KR101849609B1 -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09B1
KR101849609B1 KR1020170167438A KR20170167438A KR101849609B1 KR 101849609 B1 KR101849609 B1 KR 101849609B1 KR 1020170167438 A KR1020170167438 A KR 1020170167438A KR 20170167438 A KR20170167438 A KR 20170167438A KR 101849609 B1 KR101849609 B1 KR 10184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ixture
opening member
opening
mai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17016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7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lid or cover seated on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식품을 각각 분리된 공간에 수용하여 휴대하였다가 음용 시에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이종 식품을 서로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개폐 가능한 밀폐캡에 의해 사용 후 다시 재사용 할 수 있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주 용기와 상기 주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 용기에 수용된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상기 주 용기와 독립되게 수용되는 혼합물 용기 및 상기 주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물 용기가 결합 고정되면서 주 용기의 상부를 밀폐하는 고정캡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용기는 내부에는 혼합물이 수용되는 개방부재 및 상기 개방부재의 하부 외측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재를 고정 지지하면서 개방부재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내측에서 상하 승강되면서 밀폐부재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A heterogeneous food mixing vessel capable of simultaneously accommodating different foods in separate spaces and reusable}
본 발명은 식품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식품을 각각 분리된 공간에 수용하여 휴대하였다가 음용 시에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이종 식품을 서로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개폐 가능한 밀폐캡에 의해 사용 후 다시 재사용 할 수 있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 가능한 액체를 휴대함에 있어서 액체가 누출되지 않는 용기에 수용하여 휴대하였다가 시간과 장소에 상관 없이 음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용기들은 하나의 음용 가능한 액체만을 휴대할 수 있어서 다른 종류의 식품을 함께 휴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용기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커피의 경우, 온수를 용기에 수용하여 휴대하고 분말 형태의 커피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야외 활동 중 용기에 분말 커피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분말 커피가 용기 외부로 쏟아지거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골프, 등산 등 야외 활동이 많아지고, 야외 활동 중 음료나 주류를 음용함에 있어서, 색다르게 음용하기 위해 이종의 식품을 혼합하여 음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막걸리를 보다 맛있게 음용하기 위해 복분자 액을 혼합하여 음용하거나, 맥주에 소주를 혼합하여 음용하는 등 취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음료나 주류를 혼합하여 음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종의 음료나 주류를 혼합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용기에 휴대하였다가 음용 시 혼합하여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한국공개특허 10-2012-0097736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마개)에서는 용기에 하나의 액체가 수용되고, 이를 밀폐하는 캡에 별도의 이종 물질을 수용하고 이를 저장막으로 분리되게 수용하였다가 캡의 상부를 하강시킴에 따라 저장막이 파손되면서 캡 내부에 있던 물질이 용기로 유입되어 이를 혼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하지만 저장막이 파손됨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능 하고, 캡이 하강되는 것을 별도로 방지함에 있어서 회전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돌기와 이동홈이 구비되어있지만 휴대중 캡이 회전되면서 이동돌기와 이동홈이 조작되어 캡이 눌려짐에 따라 음용 전에 이종 물질이 혼합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한국공개특허 10-2012-0097736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마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액체를 보관 및 휴대하는 용기 중 특히 음용 액체를 보관함에 있어서,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 등을 서로 독립되게 하나의 용기에 수용할 수 있고, 음용 시 용기의 상부를 가압하여 눌러주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서로 독립되게 수용되었던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 등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서로 독립되게 수용됨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1회용이 아닌 사용후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주 용기(100);, 상기 주 용기(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 용기(100)에 수용된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상기 주 용기(100)와 독립되게 수용되는 혼합물 용기(200); 및 상기 주 용기(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물 용기(200)가 결합 고정되면서 주 용기(100)의 상부를 밀폐하는 고정캡(300);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용기(200)는 내부에는 혼합물이 수용되는 개방부재(210) 및 상기 개방부재(210)의 하부 외측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재(210)를 고정 지지하면서 개방부재(210)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밀폐하는 밀폐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재(210)는 상기 밀폐부재(220)의 내측에서 상하 승강되면서 밀폐부재(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재(210)는 내부에 혼합물이 수용되는 혼합물 수용부(211)와, 상기 혼합물 수용부(211)의 상부에 구비되고, 판 형태로 이루어져 손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판(212)과, 상기 개방부재(21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개방부재(210)를 상기 밀폐부재(220) 내부에서 가압 및 회전 동작에 의해서만 상하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돌기(213) 및 상기 개방부재(21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하부 패킹(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220)는 상기 개방부재(210)의 외측을 감싸면서 나선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재(210)에 수용된 혼합물이 상기 주 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 용기(100)에 수용된 액체와 혼합물 용기(200)에 수용된 혼합물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수용되게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재(210)의 가압판(212)과 밀폐부재(220)의 상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 중 외부압력에 의해 개방부재(210)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 차단 부재(221)와, 상기 밀폐부재(220)의 내주연에 나선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재(210)의 유도 돌기(213)가 나선 구조로 결합 및 지지되는 개방부재 고정홈(223) 및 상기 밀폐부재(220)의 하부에 힌지(22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 중에는 개방부재(210)의 혼합물이 주 용기(100)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였다가, 상기 가압판(212)을 가압함에 따라 개방부재(210)가 하강되면 개방부재(210)가 미는 힘에 의해 개방되는 밀폐캡(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하나의 용기에서 독립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나의 용기에 독립되게 수용된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간편하게 휴대하였다가 간편한 동작으로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수용함에 있어서 다중 구조의 패킹에 의해 기밀하게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에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수용되어 휴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개방 차단부재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개방부재를 가압하여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혼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각각 독립되게 하나의 용기에 휴대하였다가 상부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이를 서로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휴대 중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누출되는 것을 기밀하게 차단하면서 혼합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주 용기(100), 혼합물 용기(200) 및 고정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 용기(100)는 음용할 수 있는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혼합물 용기(200) 및 고정캡(300)을 결합할 수 있는 개구부(120) 및 상기 개구부(120)의 외측에 상기 개구부(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고정캡(300)이 끼워지며 결합되는 고정캡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음용하기 위한 주 액체를 용이하게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부에 혼합물 용기(200)가 결합되어 주 액체와 혼합물을 서로 독립되게 하나의 용기에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 용기(100)의 내부에는 보온, 보냉을 유지할 수 있는 단열재(140)가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따듯하거나 차갑게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물 용기(200)는 내부에 혼합물이 수용되고 상하 동작되면서 혼합물 용기(200)를 개방하는 개방부재(210) 및 상기 개방부재(210)의 하부에서 상기 개방부재(210)의 외측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개방부재(210)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이 상기 주 용기(10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밀폐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방부재(210)는 액체, 정제 또는 분말 형태의 혼합물이 수용되는 혼합물 수용부(211)와, 상기 혼합물 수용부(211)의 상부에 원판 형태로 구비되어 손으로 상부를 눌러 가압할 수 있는 가압판(212)과, 상기 혼합물 용기(20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재(220) 내부에서 나선 구조에 의해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유도 돌기(213)와, 상기 혼합물 용기(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혼합물 용기(200)의 외측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부재(2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패킹 홈(222)에 끼워지며 결합되어 개방부재(210)와 밀폐부재(22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 패킹(214) 및 상기 개방부재(210)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재(220)의 내주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개방부재(210)와 밀폐부재(22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하부 패킹(2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패킹(215)은 다수가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패킹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부재(220)는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 중 개방부재(210)가 동작되면서 밀폐부재(2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 차단 부재(221)와, 상기 개방부재(210)의 상부 패킹(214)이 끼워지며 밀폐부재(220)와 개방부재(21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상부 패킹 홈(222)과, 상기 밀폐부재(220) 내주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부재(210)의 유도 돌기(213)가 회전되면서 결합 및 분리되거나 밀폐부재(220)를 개방하기 전까지 동작 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개방부재 고정홈(223)과, 상기 밀폐부재(220)의 아래쪽 끝부분에 힌지(22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혼합물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이 주 용기 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밀폐캡(224)과, 밀폐부재(220)가 상기 주 용기(100)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3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 나사홈(3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나사산(225) 및 상기 밀폐부재(220) 상부 외주연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어 상기 개방부재(210)와 밀폐부재(220) 결합 시 손으로 파지하면서 결합할 수 있는 파지 돌기(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 차단 부재(221)의 회동되는 축을 기준으로 다른 쪽 끝부분에는 개방 차단 부재(221)를 동작함에 있어서 손으로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는 개폐 손잡이(221a)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재 고정홈(223)에는 개방부재(210)가 밀폐부재(220)와 결합됨에 있어서 유도 돌기(213)가 개방부재 고정홈(223)을 따라 회전 결합된 후 밀폐부재(220)의 밀폐캡(224) 부분까지 접촉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개방부재 지지돌기(223a)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재(210)와 밀폐부재(220)는 모두 소량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유도돌기(213)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재 지지돌기(223a)는 돔 형태로 이루어져 가압하기 전에는 개방부재 지지돌기(223a)가 개방부재(210)의 유도 돌기(213)를 지지하지만 개방부재(210)를 가압하면 원기둥 형태의 유도 돌기(213)와 돔 형태의 개방부재 지지돌기(223a)가 곡면에 의해 일부 탄성 변형되면서 개방부재(210)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혼합물을 독립되게 수용한 상태에서 혼합되지 않도록 기밀하고 안전하게 휴대하였다가 필요시 선택적으로 이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캡(300)은 하부가 오목한 캡 형상을 이루며, 내주연을 따라 상기 주 용기(100)의 고정캡 결합부(130)와 끼워지며 결합되는 고정 환테(310)가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밀폐부재(220)의 고정 나사산(225)이 나사 구조로 체결되는 고정 나사홈(320)이 형성되며, 고정캡(300)의 하부 외측에는 개방 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개폐 손잡이(330)가 더 구비되며, 주 용기(100)에 결합 시 상기 주 용기(100)의 고정캡 결합부(130) 상부와 접하는 상부 내측에는 주 용기와 고정캡(3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고정캡 패킹(340)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혼합물 용기(200)를 고정캡(3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주 용기(100)와 용이하게 탈장착 하면서 기밀을 유지하여 외출 시 간편하고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에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수용되어 휴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주 용기(100)에는 음용하기 위한 주 액체를 수용하고, 상부에 구비된 혼합물 용기(200)에는 주 용기(100)에 수용된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 용기(200)는 밀폐부재(220)에 구비된 개방 차단 부재(221)에 의해 개방부재(210)와 밀폐부재(220)가 서로 동작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이로 인해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휴대할 때 이동중 외부 압력에 의해 혼합물 용기(200)가 개방되면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개방 차단부재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 용기(100)와 혼합물 용기(200)에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수용하였다가 음용 시 혼합하기 위해 개방 차단 부재(221)를 회동시켜 해제한다.
이때, 개방 차단 부재(221)가 해제됨에 따라 혼합물 용기(200)의 개방부재(210)는 밀폐부재(220)에 형성된 개방부재 고정홈(223)에 결합된 상태로 개방부재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개방부재(210)를 가압하면 개방부재(210)가 주 용기(100) 측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의 개방부재를 가압하여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혼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방 차단 부재(221)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재(210)의 가압판(212) 상부를 가압하면 개방부재(210)가 하강하면서 밀폐부재(220)의 하부에서 혼합물 용기(200)를 밀폐하고 있는 밀폐캡(224)을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캡(224)은 힌지(224a)에 의해 회동되면서 개방되어 혼합물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주 용기(100) 측으로 유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밀폐캡(224)은 힌지(224a)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주 용기(100)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혼합물 용기(200)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혼합물 용기(200)의 혼합물이 주 용기(100)로 유입되면 주 용기(100)를 흔들어줌에 따라 주 용기(100)에 수용되었던 음용할 수 있는 액체에 혼합물이 충분하게 혼합되고, 혼합이 완료되면 고정캡(300)을 개방하여 혼합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이종 물질을 독립되게 하나의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간편한 동작에 의해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서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사용 후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 용기(100)와 혼합물 용기(200) 및 고정캡(300)은 친환경 소재로 제작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은 맥주와 소주, 막걸리와 복분자 원액, 막걸리와 홍초, 온수와 분말커피, 온수와 액상커피, 우유와 액상커피, 소주와 매실액, 소주와 홍초 등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종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을 하나의 용기에 수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휴대 중 이종의 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독립되게 수용된 이종의 물질을 간편하게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주 용기 110 : 수용부
120 : 개구부 130 : 고정캡 결합부
140 : 단열재 200 : 혼합물 용기
210 : 개방부재 211 : 혼합물 수용부
212 : 가압판 213 : 유도 돌기
214 : 상부 패킹 215 : 하부 패킹
220 : 밀폐부재 221 : 개방 차단 부재
221a : 개폐 손잡이 222 : 상부 패킹홈
223 : 개방부재 고정홈 233a : 개방부재 지지돌기
234 : 밀폐캡 224a : 힌지
225 : 고정 나사산 226 : 파지 돌기
300 : 고정 캡 310 : 고정 환테
320 : 고정 나사홈 330 : 개폐 손잡이
340 : 고정캡 패킹

Claims (3)

  1.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주 용기(100);
    상기 주 용기(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 용기(100)에 수용된 액체와 다른 종류의 액체, 정제 또는 분말이 상기 주 용기(100)와 독립되게 수용되는 혼합물 용기(200); 및
    상기 주 용기(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물 용기(200)가 결합 고정되면서 주 용기(100)의 상부를 밀폐하는 고정캡(300);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용기(200)는 내부에는 혼합물이 수용되는 개방부재(210) 및 상기 개방부재(210)의 하부 외측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재(210)를 고정 지지하면서 개방부재(210)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밀폐하는 밀폐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재(210)는 상기 밀폐부재(220)의 내측에서 상하 승강되면서 밀폐부재(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상기 개방부재(210)는 내부에 혼합물이 수용되는 혼합물 수용부(211)와, 상기 혼합물 수용부(211)의 상부에 구비되고, 판 형태로 이루어져 손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판(212)과, 상기 개방부재(21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개방부재(210)를 상기 밀폐부재(220) 내부에서 가압 및 회전 동작에 의해서만 상하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돌기(213) 및 상기 개방부재(21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하부 패킹(215)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재(220)는 상기 개방부재(210)의 외측을 감싸면서 나선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재(210)에 수용된 혼합물이 상기 주 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 용기(100)에 수용된 액체와 혼합물 용기(200)에 수용된 혼합물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수용되게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재(210)의 가압판(212)과 밀폐부재(220)의 상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 중 외부압력에 의해 개방부재(210)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 차단 부재(221)와, 상기 밀폐부재(220)의 내주연에 나선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재(210)의 유도 돌기(213)가 나선 구조로 결합 및 지지되는 개방부재 고정홈(223) 및 상기 밀폐부재(220)의 하부에 힌지(22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 중에는 개방부재(210)의 혼합물이 주 용기(100)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였다가, 상기 가압판(212)을 가압함에 따라 개방부재(210)가 하강되면 개방부재(210)가 미는 힘에 의해 개방되는 밀폐캡(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70167438A 2017-12-07 2017-12-07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KR10184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438A KR101849609B1 (ko) 2017-12-07 2017-12-07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438A KR101849609B1 (ko) 2017-12-07 2017-12-07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609B1 true KR101849609B1 (ko) 2018-04-17

Family

ID=6208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438A KR101849609B1 (ko) 2017-12-07 2017-12-07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082B1 (ko) * 2019-03-18 2019-10-23 우성인팩(주)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1904A1 (en) * 2008-06-05 2009-12-10 Brian L. Bullar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eparate storage and mixing of substances
JP2010083556A (ja) * 2008-09-30 2010-04-15 Yoshino Kogyosho Co Ltd 容器用ポンプのストッパ
KR101202811B1 (ko) * 2011-11-30 2012-11-19 임효빈 용기마개
KR20140140750A (ko) * 2013-05-30 2014-12-10 김성훈 용기 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1904A1 (en) * 2008-06-05 2009-12-10 Brian L. Bullar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eparate storage and mixing of substances
JP2010083556A (ja) * 2008-09-30 2010-04-15 Yoshino Kogyosho Co Ltd 容器用ポンプのストッパ
KR101202811B1 (ko) * 2011-11-30 2012-11-19 임효빈 용기마개
KR20140140750A (ko) * 2013-05-30 2014-12-10 김성훈 용기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082B1 (ko) * 2019-03-18 2019-10-23 우성인팩(주)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5954B2 (en) Twist-action mixing bottle
CN101061044B (zh) 饮料容器的盖结构
US20220110486A1 (en) Blending system with a liner for blending container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KR100593246B1 (ko) 용기
US20130153085A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US9604747B2 (en) Compartmented beverage bottle
KR20140083585A (ko)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US20180297830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Liq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 Of Liquids In Containers
KR101849609B1 (ko) 이종 식품을 서로 분리된 공간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식품 혼합 용기
US9796516B2 (en) Vessel for containing heated or cooled beverages
KR20110119143A (ko) 재사용 가능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TW200540077A (en) Plastic container
KR101505593B1 (ko)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US20150210465A1 (en) Method and Device to Seal, Insulate and Dispense from a Beverage Can
KR100947673B1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KR101740663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RU2684511C1 (ru) Капсульное 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JP2019051955A (ja) 多種類の材料を収容し混合可能な飲料瓶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20120131012A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TWI746629B (zh) 可供多種物料容納、混合之飲料瓶
KR20100133044A (ko) 용기, 혼합용기 및 가열냉각용기
KR200352133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