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240B1 - 마루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마루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240B1
KR101849240B1 KR1020170074407A KR20170074407A KR101849240B1 KR 101849240 B1 KR101849240 B1 KR 101849240B1 KR 1020170074407 A KR1020170074407 A KR 1020170074407A KR 20170074407 A KR20170074407 A KR 20170074407A KR 101849240 B1 KR101849240 B1 KR 10184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oor
floorboard
side groove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102017007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Abstract

마루 시공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마루 시공구조는, 마루의 바닥에 시공되되 포인트 시공을 위한 포인트 유닛 마루판;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측벽 일측에 조립식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되 장변측에 장변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되는 장변측 홈부 마루판; 및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측벽 타측 또는 상기 장변측 홈부 마루판과 조립식으로 결합되되 단변측에 단변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되는 단변측 홈부 마루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루 시공구조{FLOORING STRUCTURE}
본 발명은, 마루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다른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여러 장의 원하는 패턴 모양의 마루판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하고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마루와 달리 고품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포인트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시공 후 한 장씩의 유지보수(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는 마루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마루 바닥재는 가정 등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인테리어와 내구성 측면을 강화시킴과 더불어 층간 소음이나 진동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의 마루 바닥재는 판 형상의 조립식 마루 패널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대해 설명한다.
온돌 마루의 경우, 조립식 마루 패널은 그 사용 소재에 따라 원목 마루, 합판 마루, 강화 마루 등으로 구별되며, 또한 시공 방식에 따라 현가식(직접 깔기, 마루틀 깔기), 접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원목 마루는 원목을 그대로 가공한 것으로 표면 질감으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만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합판 마루는 합판을 중간의 코어재로 사용하고 표면 측에 무늬 단판을 접착한 것으로서, 합판의 측면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혀 부위와 그루브 부위가 결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접착식 시공법만을 채용함으로 인해 하자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 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강화마루의 경우에는 표면 라미네이트층, 코어 목질층, 방습 라미네이트층이 접착되어 표면을 강화시킨 제품으로서, 현가식 시공방법을 채용하며 그 시공방법상의 특성상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 현가식 시공방법은 바닥면에 방수비닐과 폼재를 먼저 시공하고, 마루판 패널 테두리의 각각 형성된 돌기부와 레일부가 끼워지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때 바닥의 가장자리에 마루판 조립체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벽체의 내측면과 바닥재 패널 조립체의 테두리 사이에 각각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여유 공간을 확보한 후에, 이후 조립이 완료되면 각각의 스페이서들을 빼내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조립시공 중에 마루판 조립체의 수축/팽창을 고려하여 여유 공간을 두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존 마루판 조립체의 조립과정 시 다수개의 바닥재 패널을 일자 형태로 배열하거나, 상호 엇갈리게 배열되도록 한 후에 돌기부와 레일부들을 상호 결합시켜 하나의 조립체로 형성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하지만, 그루브 형태의 레일부와 돌기부가 조립되는 부위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해야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시 분해하기가 까다롭고 그 분해 작업시 연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해서,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마루 시공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 알려져 있는 마루 시공구조의 경우에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여러 장의 원하는 패턴 모양의 마루판을 한 번에 시공하기가 어렵다.
또한 기존의 제품은 숙련자가 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시공시간이 길어져 시공 시간과 그에 따른 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시공 후 한 장씩의 유지보수(A/S)가 어렵다는 점 등의 다양한 사항들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마루 시공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3484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1047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844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7-00148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다른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여러 장의 원하는 패턴 모양의 마루판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하고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마루와 달리 고품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포인트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시공 후 한 장씩의 유지보수(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는 마루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2평을 기준으로 여러 장을 합쳐 조립하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도 이동이 용이하며, 어떠한 패턴일지라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제작이 가능해질 있는 마루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제품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차 없이 깔끔한 시공이 가능하고, 현장 상황에 맞게 사이즈(가로/세로) 조절이 용이한 마루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마루의 바닥에 시공되되 포인트 시공을 위한 포인트 유닛 마루판;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측벽 일측에 조립식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되 장변측에 장변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되는 장변측 홈부 마루판; 및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측벽 타측 또는 상기 장변측 홈부 마루판과 조립식으로 결합되되 단변측에 단변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되는 단변측 홈부 마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시공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변측 홈부 마루판은, 3개의 제1 내지 제3 단위판재의 적층결합에 의해 제작되되 상기 제1 및 제3 단위판재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중간의 상기 제2 단위판재는 상기 제1 및 제3 단위판재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판재의 일측 장변이 상기 제1 및 제3 단위판재 사이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장변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변측 홈부 마루판은, 3개의 제4 내지 제6 단위판재의 적층결합에 의해 제작되되 상기 제4 및 제6 단위판재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중간의 상기 제5 단위판재는 상기 제4 및 제6 단위판재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5 단위판재의 일측 단변이 상기 제4 및 제6 단위판재 사이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단변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은, 에폭시 침투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다공성 망부재; 및 상기 다공성 망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되 외표면에 패턴부가 형성되고, 측면 둘레방향을 따라 측면홈이 형성되는 패턴용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은, 상기 패턴용 패널의 상부에 박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망부재는 부직포 또는 그물망이며, 상기 패턴용 패널은 커팅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패턴용 패널의 두께는 상기 장변측 홈부 마루판 및 상기 단변측 홈부 마루판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보호 필름은 PVC 재질로 제작되되 시공 후 박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다른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여러 장의 원하는 패턴 모양의 마루판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하고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마루와 달리 고품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포인트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시공 후 한 장씩의 유지보수(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2평을 기준으로 여러 장을 합쳐 조립하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도 이동이 용이하며, 어떠한 패턴일지라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제작이 가능해질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제품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차 없이 깔끔한 시공이 가능하고, 현장 상황에 맞게 사이즈(가로/세로)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 시공구조에 적용되는 장변측 홈부 마루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단변측 홈부 마루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D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패턴용 패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포인트 유닛 마루판과 몇 개의 장변측 홈부 마루판 및 단변측 홈부 마루판의 배치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이용한 마루 시공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 시공구조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 시공구조에 적용되는 장변측 홈부 마루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방향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B 방향의 측면도, 도 5는 단변측 홈부 마루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C 방향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D 방향의 측면도, 도 9는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평면도, 도 10의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패턴용 패널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포인트 유닛 마루판과 몇 개의 장변측 홈부 마루판 및 단변측 홈부 마루판의 배치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를 이용한 마루 시공구조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루 시공구조는 종전과 다른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여러 장의 원하는 패턴 모양의 마루판(110,150,160)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하고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마루와 달리 고품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포인트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시공 후 한 장씩의 유지보수(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포인트 시공이라 함은 주위의 다른 부위와 색상 및 문양을 달리하여 다른 부위와는 차별화되도록 포인트를 줄 수 있게 시공하는 것으로, 마루시공, 도배, 또는 장판 시공 등의 분야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용어이며, 이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인트 시공"이라는 문구는 상기와 같은 의미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루 시공구조는 1/2평을 기준으로 여러 장을 합쳐 조립하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도 이동이 용이하며, 어떠한 패턴일지라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제작이 가능하고, 다른 제품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차 없이 깔끔한 시공이 가능하며, 현장 상황에 맞게 사이즈(가로/세로)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루 시공구조는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 그리고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은 마루의 바닥에 시공되되 도 13처럼 포인트 시공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도 12처럼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 하나에 다수의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과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12가 하나의 세트 단위가 될 경우, 이동이 편리함은 물론 그만큼 공기 단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은 도 9 내지 도 1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의 바닥에 시공되되 포인트 시공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은 다공성 망부재(120), 패턴용 패널(130), 그리고 보호 필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망부재(120)는 에폭시 침투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되며, 바닥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다공성 망부재(120)는 부직포 또는 그물망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소재가 사용됨으로써 에폭시 침투가 가능해질 수 있다.
패턴용 패널(130)은 다공성 망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일정한 두께의 패널이다. 패턴용 패널(130)의 두께는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과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의 두께와 동일하다. 패턴용 패널(130)은 커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용 패널(130)의 외표면에는 패턴부(13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측면홈(1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부(131)는 벌집 모양을 갖는다. 하지만, 도시된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시된 벌집 모양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이 패턴화될 수 있다.
측면홈(132)은 패턴용 패널(130)의 측면 모두에 형성된다. 즉 패턴용 패널(130)의 4측면 모두에 측면홈(132)이 형성된다.
보호 필름(140)은 패턴용 패널(130)의 상부에 박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 필름(140)은 PVC 재질로 제작되되 시공 후 박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은 도 12 및 도 13처럼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의 측벽 일측에 조립식으로 끼워 맞춤 결합된다.
이러한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측에 장변 홈부(154)가 형성되며,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된다. 다만,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들의 평면 사이즈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은 3개의 제1 내지 제3 단위판재(151~153)의 적층결합에 의해 제작되되 제1 및 제3 단위판재(151,153)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중간의 제2 단위판재(152)는 제1 및 제3 단위판재(151,153)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된다.
이때, 제2 단위판재(152)의 일측 장변이 제1 및 제3 단위판재(151,153) 사이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장변 홈부(154)가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4개의 변 중에서 장변측에 하나가 장변 홈부(154)를 이루며, 나머지 4개의 변은 모두 돌출형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을 벗어나 4개의 변 모두가 홈 형태로 되거나 4개의 변 모두가 돌기의 형태로 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은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의 측벽 타측 또는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과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측에 단변 홈부(164)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된다. 다만,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들의 평면 사이즈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은 3개의 제4 내지 제6 단위판재(161~163)의 적층결합에 의해 제작되되 제4 및 제6 단위판재(161,163)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중간의 제5 단위판재(162)는 제4 및 제6 단위판재(161,163)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된다.
이때, 제5 단위판재(162)의 일측 단변이 제4 및 제6 단위판재(161,163) 사이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단변 홈부(164)가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4개의 변 중에서 장변측에 하나가 단변 홈부(164)를 이루며, 나머지 4개의 변은 모두 돌출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포인트 유닛 마루판(110)에 다수의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과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을 요철 맞물림시켜 결합시킨 후, 그 주변으로 다수의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과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을 더 적용하거나 혹은 기존의 마루판(미도시)을 사용하여 도 13과 같은 구조의 마루 구조를 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다른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여러 장의 원하는 패턴 모양의 마루판(110,150,160)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하고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마루와 달리 고품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포인트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시공 후 한 장씩의 유지보수(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 역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1/2평을 기준으로 여러 장을 합쳐 조립하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도 이동이 용이하며, 어떠한 패턴일지라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제품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차 없이 깔끔한 시공이 가능하고, 현장 상황에 맞게 사이즈(가로/세로)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 시공구조의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포인트 유닛 마루판(210)과, 이들에 부속되는 다수의 장변측 홈부 마루판(150) 및 단변측 홈부 마루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포인트 유닛 마루판(210)을 이루는 패턴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데, 이와 같은 패턴이 형성되거나 혹은 이와 상이한 패턴이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른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여러 장의 원하는 패턴 모양의 마루판(210,150,160)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정확하고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마루와 달리 고품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포인트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시공 후 한 장씩의 유지보수(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1/2평을 기준으로 여러 장을 합쳐 조립하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도 이동이 용이하며, 어떠한 패턴일지라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다른 제품과 연결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차 없이 깔끔한 시공이 가능하고, 현장 상황에 맞게 사이즈(가로/세로)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포인트 마루 유닛 120 : 다공성 망부재
121 : 통공 130 : 패턴용 패널
131 : 패턴부 132 : 측면홈
140 : 보호 필름 150 : 장변측 홈부 마루판
151 : 제1 단위판재 152 : 제2 단위판재
153 : 제3 단위판재 154 : 장변 홈부
160 : 단변측 홈부 마루판 161 : 제4 단위판재
162 : 제5 단위판재 163 : 제6 단위판재
164 : 단변 홈부

Claims (6)

  1. 마루의 바닥에 시공되되 포인트 시공을 위한 포인트 유닛 마루판;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측벽 일측에 조립식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되 장변측에 장변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되는 장변측 홈부 마루판; 및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의 측벽 타측 또는 상기 장변측 홈부 마루판과 조립식으로 결합되되 단변측에 단변 홈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측벽이 돌출형으로 마련되는 단변측 홈부 마루판을 포함하는 마루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변측 홈부 마루판은,
    3개의 제1 내지 제3 단위판재의 적층결합에 의해 제작되되 상기 제1 및 제3 단위판재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중간의 상기 제2 단위판재는 상기 제1 및 제3 단위판재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판재의 일측 장변이 상기 제1 및 제3 단위판재 사이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장변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시공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측 홈부 마루판은,
    3개의 제4 내지 제6 단위판재의 적층결합에 의해 제작되되 상기 제4 및 제6 단위판재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중간의 상기 제5 단위판재는 상기 제4 및 제6 단위판재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5 단위판재의 일측 단변이 상기 제4 및 제6 단위판재 사이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단변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시공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은,
    에폭시 침투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다공성 망부재; 및
    상기 다공성 망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되 외표면에 패턴부가 형성되고, 측면 둘레방향을 따라 측면홈이 형성되는 패턴용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시공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유닛 마루판은,
    상기 패턴용 패널의 상부에 박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시공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망부재는 부직포 또는 그물망이며,
    상기 패턴용 패널은 커팅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패턴용 패널의 두께는 상기 장변측 홈부 마루판 및 상기 단변측 홈부 마루판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보호 필름은 PVC 재질로 제작되되 시공 후 박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시공구조.
KR1020170074407A 2017-06-13 2017-06-13 마루 시공구조 KR10184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407A KR101849240B1 (ko) 2017-06-13 2017-06-13 마루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407A KR101849240B1 (ko) 2017-06-13 2017-06-13 마루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240B1 true KR101849240B1 (ko) 2018-04-16

Family

ID=6208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407A KR101849240B1 (ko) 2017-06-13 2017-06-13 마루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686A (ko) 2019-05-28 2019-07-10 (주) 천우 데코모듈을 갖는 마루판 조립체
KR20190082687A (ko) 2019-05-28 2019-07-10 신병철 자력을 이용한 데코모듈을 갖는 마루판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642Y1 (ko) * 2005-03-15 2005-06-16 주식회사 우드뱅크 마루판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642Y1 (ko) * 2005-03-15 2005-06-16 주식회사 우드뱅크 마루판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686A (ko) 2019-05-28 2019-07-10 (주) 천우 데코모듈을 갖는 마루판 조립체
KR20190082687A (ko) 2019-05-28 2019-07-10 신병철 자력을 이용한 데코모듈을 갖는 마루판 조립체
KR102212105B1 (ko) 2019-05-28 2021-02-04 (주) 천우 데코모듈을 갖는 마루판 조립체
KR102213695B1 (ko) 2019-05-28 2021-02-15 주식회사 두앤비 자력을 이용한 데코모듈을 갖는 마루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240B1 (ko) 마루 시공구조
RU2007120756A (ru) Система покрытия пола, имеющая множество мест совмещения
EP2351897A1 (en) New type of plastic ground mat
US20090065305A1 (en) Panel and Use Of Such A Panel As A Scaffolding Board or A Building Panel
KR200405592Y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바닥 마감재
KR100737948B1 (ko) 물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친환경 마루 시공방법 및 그 마루 시공구조체
JP5837921B2 (ja) 床を支持するための部分構造及び該部分構造を備える床システム
CN109642425B (zh) 具有隔音性能的结构系统
CN210134557U (zh) 墙体结构
KR101021514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식 시공 방법
KR200486272Y1 (ko) 목재건축물
KR100977168B1 (ko)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KR20190131659A (ko) 목재블록벽체
CN209818456U (zh) 复合板材结构
CN105971238A (zh) 一种塑胶地板
US20130167473A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wall system
CN218701874U (zh) 一种吸音石材蜂窝板
KR200431431Y1 (ko) 물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친환경 마루 시공구조체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JPH07259305A (ja) ユニット畳およびその連結具
KR101444826B1 (ko)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CN106049823A (zh) 一种六边形塑胶地板组件
JP3165701U (ja) 斜行型単板積層パネル及びブロックパネル
RU2350722C1 (ru) Плитка покрытия
KR200356197Y1 (ko) 석판 프레임과 이 석판 프레임을 이용한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