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205B1 -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205B1
KR101849205B1 KR1020160147872A KR20160147872A KR101849205B1 KR 101849205 B1 KR101849205 B1 KR 101849205B1 KR 1020160147872 A KR1020160147872 A KR 1020160147872A KR 20160147872 A KR20160147872 A KR 20160147872A KR 101849205 B1 KR101849205 B1 KR 10184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ase
surface modification
cut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미
Original Assignee
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미 filed Critical 박영미
Priority to KR102016014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mouldable materials, e.g. metals, cellulose derivatives,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 컷팅 등의 두발 미용시 얼굴이나 목 주변이 붙은 머리카락 조각들을 손쉽게 털어낼 수 있는 머리카락 털이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조 과정 및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제조단가를 대폭적으로 낮춤으로써, 1회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헤어디자이너)가 매번 다른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용자(고객)에게 위생 및 청결 등에서 심리적인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나 피사용자의 얼굴 및 목 등의 피부를 보호하고 세균감염을 방지하며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러쉬는 제조과정에서, 표면의 거칠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미세한 머리카락 조각들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화장 등과 같은 미용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용분야, 특히 헤어컷 분야와 더불어 미용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Beauty brush production method using the latex}
본 발명은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 컷팅 등의 두발 미용시 얼굴이나 목 주변이 붙은 머리카락 조각들을 손쉽게 털어낼 수 있는 머리카락 털이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항균효과가 있는 라텍스를 이용하여 브러쉬를 제조함으로써, 위생 및 청결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피사용자(고객)별로 별도의 브러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헤어디자이너)에 대한 피사용자의 심리적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텍스(Latex)는 고무 식물의 수피에 상처를 냈을 때 흘러나오는 우유상의 액체를 말하는 것으로, 천연 고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각종의 유기 및 무기물의 수용액을 분산매로 하고 고무를 분산질로 한 일종의 콜로이드 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라텍스는 매트리스, 방석, 베개 등의 침구류와, 등받이 등의 가구류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미용분야에서도 브러쉬 형태로 제작되어 화장이나 헤어커팅시 머리카락 제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용분야의 경우,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0949호 '피부 터치용 스폰지 브러쉬'(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855호 '머리카락 털이용 기구'(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 등이 있다.
선행기술1은 화장용 브러쉬를 스폰지로 제작한 것으로, 손잡이부의 일측에 스폰지 브러쉬가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1의 브러쉬는 그 형상을 가공 및 성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단가가 높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자주 교체하는 것이 부담되어 하나의 브러쉬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세균감염 및 피부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2는 헤어 커팅 등을 하는 과정에서 잘려진 머리카락이 얼굴이나 목에 붙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내부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스펀지를 구성하고, 일정시간 사용시 스펀지의 상부를 절단하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의 경우, 몸체와 이송수단 등을 포함하는 머리카락 털이용 기구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품의 제작에 어려움이 많으며 제조단가 또한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결 등을 위하여 일정기간 사용하면 그 상부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헤어디자이너)가 칼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절단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면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피사용자(고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0949호 '피부 터치용 스폰지 브러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855호 '머리카락 털이용 기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조 과정 및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제조단가를 대폭적으로 낮춤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다른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용자에게 위생 및 청결 등에 대한 심리적인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 컷팅 등의 두발 미용시 얼굴이나 목 주변이 붙은 머리카락 조각들을 손쉽게 털어낼 수 있는 머리카락 털이용 브러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항균효과가 있는 라텍스를 이용하여 브러쉬를 제조함으로써, 제품 자체만으로도 위생 및 청결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은, 라텍스를 발포하여 사출성형으로 폼베이스(Foam base)를 제작하는 폼베이스 형성단계; 및 상기 폼베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에 대하여, 기계식으로 표면거칠기가 증가되도록 표면의 성질을 변경시킨 표면개질베이스를 제작하는 표면개질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기계식커터로 커팅하여, 표면거칠기를 증가시킨 표면개질베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직선형커터; 및 회전축과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축회전하는 원형커터; 중 어느 하나의 기계식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상기 기계식커터가 진동되도록 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기준커팅부; 및 상기 기준커팅부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개질커팅부;를 포함하는 기계식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상기 기준커팅부보다 높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커팅부; 및 상기 기준커팅부보다 낮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커팅부;를 포함하는 개질커팅부가 형성된 기계식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폼베이스의 다른 일측면에 손잡이끼움홈을 형성하는 베이스 성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개질베이스를 복수 개의 단위 브러쉬로 분할하도록 절단하는 베이스 성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성형단계는, 상기 표면개질베이스를 복수 개의 단위 브러쉬로 분할하는 가상의 절단선 중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단위 브러쉬가 서로 연결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성형단계는, 상기 표면개질베이스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기계식커터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가 증가되도록 절단하여, 상기 단위 브러쉬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은, 라텍스를 발포하여 사출성형한 폼베이스 및 표면개질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단위 브러쉬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상의 절단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절단선 중 적어도 일부를 반복적으로 절단하여,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 브러쉬가 서로 연결되도록 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제조 과정 및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제조단가를 대폭적으로 낮춤으로써, 1회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매번 다른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용자에게 위생 및 청결 등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나 피사용자의 얼굴 및 목 등의 피부를 보호하고 세균감염을 방지하며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브러쉬는 헤어 컷팅 등의 두발 미용시 얼굴이나 목 주변이 붙은 머리카락 조각들을 손쉽게 털어낼 수 있는 머리카락 털이용 브러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브러쉬는 제조과정에서, 표면의 거칠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미세한 머리카락 조각들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브러쉬는 화장 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용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항균효과가 있는 라텍스를 이용하여 브러쉬를 제조함으로써, 제품 자체만으로도 위생 및 청결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미용분야, 특히 헤어컷 분야와 더불어 미용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이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단계 'S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단계 'S200'에서 사용되는 커터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단계 'S300' 및 과정 'S3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난 과정 'S310'에 의해 형성된 손잡이끼움홀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은 폼베이스(Foam base) 형성단계(단계 S100) 및 표면개질단계(단계 S200)를 포함한다.
폼베이스 형성단계(단계 S100)는 항균기능이 있는 라텍스를 발포하여 사출성형으로 폼베이스(Foam base)를 제작하는 것으로, 폼베이스는 하기에 설명될 브러쉬의 형상이거나, 복수 개의 브러쉬가 결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폼베이스의 내부에는 다공성 구조가 형성되는 반면, 외부면에는 금형과의 접촉으로 인해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브러쉬를 머리카락 털이용으로 사용할 경우, 머리카락이 원활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개질단계(단계 S200)를 통해 피사용자(고객)의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을 개질할 필요가 있다.
이에, 표면개질단계(단계 S200)는 폼베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에 대하여, 표면거칠기가 증가되도록 표면의 성질을 변경시킨 표면개질베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화학적 방식을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증가시킬 경우, 라텍스의 성질변화나 화학약품에 의해 사용자(헤어디자이너)나 피사용자의 피부에 다양한 종류의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적 방식을 통해 표면거칠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라텍스의 성질변화 및 피부질환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의 거칠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미세한 머리카락 조각들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항균효과가 있는 라텍스의 성질을 유지함으로써, 그 자체로 위생 및 청결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러쉬는 화장 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용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표면개질베이스는 도 1에 나타난 단계 'S100' 및 단계 'S200'에 의해 하나의 브러쉬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브러쉬가 연결된 상태로 제작되고, 사용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브러쉬를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이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은 베이스 성형단계(단계 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성형단계(단계 S300)는 표면개질단계(단계 S200)를 거쳐 제작된 표면개질베이스를 복수 개의 단위 브러쉬로 분할하도록 절단하는 것으로, 각각의 단위 브러쉬를 완전히 절단하여 낱개로 제품화하거나, 일부만 절단한 상태로 제품화하여 사용자가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과정 S320).
이때, 각각의 단위 브러쉬 일측에 손잡이끼움홀(과정 S310)을 형성하면, 브러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잡이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을 통해, 미용분야에서 사용되는 브러쉬의 제조 과정 및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제조단가를 대폭적으로 낮춤으로써, 1회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매번 다른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사용자에게 위생 및 청결 등에 대한 심리적인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이나 피사용자의 얼굴 및 목 등의 피부를 보호하고 세균감염을 방지하며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단계 'S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나타난 폼베이스 형성단계(단계 S100)에 의해 폼베이스(10)가 제조되면, 도 1의 표면개질단계(단계 S2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폼베이스(10)의 일측면 표면층(11)을 기계적 방식으로 커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폼베이스(10) 내부의 다공성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표면을 다공성 구조로 개질한 표면개질베이스(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표면층(11)의 커팅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계적 방식으로 동작되는 기계식커터에 의해 커팅될 수 있다.
한편, 표면게질베이스(20)는 폼베이스(10) 내부의 다공성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데 그치지 않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표면의 거칠기가 보다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서, 표면거칠기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한 기계식커터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단계 'S200'에서 사용되는 커터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계식커터는 도 4의 (a)에 나타난 원형커터(30) 및 도 4의 (b)에 나타난 직선형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원형커터(30)의 회전운동에 의해 표면층(11)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표면개질베이스(20)의 표면거칠기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원형커터(30)가 회전축(31)과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형커터(30)가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표면개질베이스(20)의 절단면(도 3에서 표면층이 제거된 표면개질베이스의 상부면)의 높낮이가 변경되기 때문에 표면거칠기가 보다 증가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직선형커터(40)의 왕복운동에 의해 표면층(11)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표면개질베이스(20)의 표면거칠기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직선형커터(40)의 커팅부(도 4에서 우측하부방향을 향하는 부분)를 기준커팅부(41)와, 기준커팅부(41)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개질커팅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질커팅부는 기준커팅부(41)보다 높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커팅부(42)와, 기준커팅부(41)보다 낮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커팅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커팅부들이 형성될 경우, 직선형커터(40)가 왕복이동하게 되면, 표면개질베이스(20)의 절단면(도 3에서 표면층이 제거된 표면개질베이스의 상부면)의 높낮이가 변경되기 때문에 표면거칠기가 보다 증가할 수 있다.
더불어, 표면층(11)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도 4에 나타난 원형커터(30) 및 직선형커터(40)가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표면개질베이스(20)의 절단면(도 3에서 표면층이 제거된 표면개질베이스의 상부면)의 표면거칠기를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커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장치 및 진동장치와의 결합구조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단계 'S300' 및 과정 'S3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표면개질베이스(20)가 복수 개의 단위 브러쉬(23)로 분할되도록 가상의 절단선(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단위 브러쉬 분할과정(과정 S320)에서 절단선(21)을 절단하여 낱개의 브러쉬(23)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사용자가 보는 앞에서 표면개질베이스(20)로부터 낱개의 단위 브러쉬(23)를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피사용자에게 심리적인 신뢰감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단선(21)의 일부만을 절단하여, 각각의 단위 브러쉬(23)가 서로 연결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절단선(21)을 따라 낱개의 단위 브러쉬(23)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표면층(11)을 커팅하는 과정과 동일 내지 유사한 방법을 통해, 절단면(표면층에 수직인 면, 22)의 표면거칠기가 증가되도록 절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도 5이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브러쉬(23)를 분리(실선 화살표)하여 사용함으로써, 피사용자에게 위생 및 청결함에 대하여 향상된 심리적인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난 과정 'S310'에 의해 형성된 손잡이끼움홀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23)의 일측면에 손잡이끼움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끼움홈(24)은 도 1에 나타난 폼베이스 성형단계(단계 S100)에서, 라텍스의 발포성형과정에서 금형의 형상에 의해 폼베이스(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개질 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개질베이스(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폼베이스(10) 또는 표편개질베이스(20)의 다른 일측면(도 3에서 하부를 향하는 면)에 손잡이끼움홈(24)을 형성하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낱개의 브러쉬(23)를 분리한 후, 손잡이(5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50)는 손잡이끼움홈(24)에 끼워지는 끼움부(51)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도중에 손잡이(50)로부터 브러쉬(2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움부(51)의 일측에 걸림돌기(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53)는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잡이(50)에 형성된 버튼(52)에 의해, 끼움부(51)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50)의 버튼(52)을 눌러 걸림돌기(53)가 끼움부(5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 상태에서, 끼움부(51)를 브러쉬(23)의 손잡이끼움홈(24)에 끼운 후 버튼(52)을 놓게 되면,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걸림돌기(53)가 돌출되면서 손잡이(50)로부터 브러쉬(2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러쉬(23)와 손잡이(50)가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간편한 조작만으로 브러쉬(23)를 교체할 수 있으며, 손잡이(5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폼베이스 11 : 표면층
20 : 표면개질베이스 21 : 절단선
22 : 절단면 23 : 브러쉬
24 : 손잡이끼움홈
30 : 원형커터 31 : 회전축
40 : 직선형커터 41 : 기준커팅부
42 : 상부커팅부 43 : 하부커팅부
50 : 손잡이 51 : 끼움부
52 : 버튼 53 : 걸림돌기

Claims (10)

  1. 라텍스를 발포하여 사출성형으로 폼베이스(Foam base)를 제작하는 폼베이스 형성단계; 및
    상기 폼베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에 대하여, 기계식으로 표면거칠기가 증가되도록 표면의 성질을 변경시킨 표면개질베이스를 제작하는 표면개질단계;를 포함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기계식커터로 커팅하여, 표면거칠기를 증가시킨 표면개질베이스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직선형커터; 및 회전축과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축회전하는 원형커터; 중 어느 하나의 기계식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상기 기계식커터가 진동되도록 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기준커팅부; 및 상기 기준커팅부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개질커팅부;를 포함하는 기계식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단계는,
    상기 기준커팅부보다 높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커팅부; 및 상기 기준커팅부보다 낮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커팅부;를 포함하는 개질커팅부가 형성된 기계식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폼베이스의 일측면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베이스의 다른 일측면에 손잡이끼움홈을 형성하는 베이스 성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베이스를 복수 개의 단위 브러쉬로 분할하도록 절단하는 베이스 성형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성형단계는,
    상기 표면개질베이스를 복수 개의 단위 브러쉬로 분할하는 가상의 절단선 중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단위 브러쉬가 서로 연결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10. 라텍스를 발포하여 사출성형한 폼베이스 및 표면개질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단위 브러쉬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상의 절단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절단선 중 적어도 일부를 반복적으로 절단하여,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 브러쉬가 서로 연결되도록 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KR1020160147872A 2016-11-08 2016-11-08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KR10184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72A KR101849205B1 (ko) 2016-11-08 2016-11-08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72A KR101849205B1 (ko) 2016-11-08 2016-11-08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205B1 true KR101849205B1 (ko) 2018-04-16

Family

ID=6208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872A KR101849205B1 (ko) 2016-11-08 2016-11-08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2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0201A (en) 1941-10-28 1944-10-10 Us Rubber Co Top plate for molds
US5466231A (en) 1993-11-04 1995-11-14 Merocel Corporation Laminated sponge device
US20050244440A1 (en) 2004-04-15 2005-11-03 Kenji Nakamura Cosmetic tool having antibacterial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60949B1 (ko) 2009-12-21 2010-06-03 윤재술 피부 터치용 스폰지 브러쉬
US9015895B2 (en) 2012-07-02 2015-04-28 Sigma Enterprises, Llc Textured device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US9403953B2 (en) 2011-07-06 2016-08-02 Diversified Global Technologies, Llc Cosmetic sponge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smetic spon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0201A (en) 1941-10-28 1944-10-10 Us Rubber Co Top plate for molds
US5466231A (en) 1993-11-04 1995-11-14 Merocel Corporation Laminated sponge device
US20050244440A1 (en) 2004-04-15 2005-11-03 Kenji Nakamura Cosmetic tool having antibacterial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60949B1 (ko) 2009-12-21 2010-06-03 윤재술 피부 터치용 스폰지 브러쉬
US9403953B2 (en) 2011-07-06 2016-08-02 Diversified Global Technologies, Llc Cosmetic sponge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smetic sponge
US9015895B2 (en) 2012-07-02 2015-04-28 Sigma Enterprises, Llc Textured device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767B1 (ko) 이중 모터 클렌징 브러시
US8732890B2 (en) Toothbrush
JP2016537050A (ja) 口腔型電動歯ブラシ
EP2066246A1 (en) Skin treatment tool
US1981851A (en) Massaging and shaving brush
KR100960949B1 (ko) 피부 터치용 스폰지 브러쉬
KR101849205B1 (ko) 라텍스를 이용한 미용 브러쉬 제조 방법
US6094766A (en) Personal hygiene product
CN204274973U (zh) 一种美容洁面按摩刷
WO2018224863A1 (en) Shaving brush and related shaving kit
CN204655171U (zh) 一种电动牙刷
KR200473794Y1 (ko) 손톱 소제용 브러시
CN109527938A (zh) 双色多功能清洁防滑脚垫
WO20101274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foliation
CA2947137C (en) Circular device with rotating movement for nail varnish remover
JP3205056U (ja) 多用途機能枕
WO2023190305A1 (ja) 散髪用補助具及びこれを用いた散髪方法
JP3183221U (ja) 肌タッチ用スポンジブラシ
CN112702935B (zh) 针对个人护理用具的皮肤护理附件
KR100852754B1 (ko) 피부 세정용 장치
ES2632632A1 (es) Desinfectador portátil para bordes de vasos, tazas y útiles
WO2020148284A1 (en) Personal care devices
KR20160029281A (ko) 구강 트레이 및 구강 트레이 제조방법
JP3059517U (ja) ウレタン枕
WO2022159053A2 (en) Sinova adjustable hair and beard cutting mo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