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86B1 -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86B1
KR101849086B1 KR1020150071865A KR20150071865A KR101849086B1 KR 101849086 B1 KR101849086 B1 KR 101849086B1 KR 1020150071865 A KR1020150071865 A KR 1020150071865A KR 20150071865 A KR20150071865 A KR 20150071865A KR 101849086 B1 KR101849086 B1 KR 10184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raw water
water tank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835A (ko
Inventor
이종환
문형민
이권재
오교언
김재훈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86B1/ko
Priority to MYPI2017703827A priority patent/MY182421A/en
Priority to JP2017553126A priority patent/JP6522151B2/ja
Priority to CN201680020065.XA priority patent/CN107428570B/zh
Priority to PCT/KR2016/003707 priority patent/WO2016163804A1/ko
Publication of KR2016013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운반탱크는 수처리장치에 공급될 원수가 저장되며 이동가능한 원수탱크; 및 상기 원수탱크에 구비되며, 원수가 저장된 상기 원수탱크가 이동되어 상기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된 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WATER DELIVERY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을 운반하는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도록 한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수도 등의 원수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로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나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만드는 이온수기 또는 원수에 탄산을 용해하여 탄산수를 만드는 탄산수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장치는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에 연결관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다.
한편,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원수를 공급받을 수 없는 곳에 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물운반탱크에 원수공급원의 원수를 저장하고 수처리장치로 옮긴 후 수처리장치에 물운반탱크를 장착하여, 물운반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수처리장치에 공급하였다.
종래에는 물운반탱크를 들어올려서 수처리장치에 장착하기 때문에, 물운반탱크를 수처리장치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물운반탱크를 수처리장치에 장착한 후, 별도로 물운반탱크를 수처리장치에 연결해야만 수처리장치에서의 원수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물운반탱크를 들거나 다른 운반수단을 통해서 옮겨야만 하기 때문에, 물운반탱크를 원수공급원이나 수처리장치로 옮기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운반탱크를 용이하게 수처리장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운반탱크를 용이하게 원수공급원이나 수처리장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운반탱크는 수처리장치에 공급될 원수가 저장되며 이동가능한 원수탱크; 및 원수탱크에 구비되며, 원수가 저장된 원수탱크가 이동되어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면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된 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수탱크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원수탱크본체와, 원수탱크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원수탱크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연결부는 원수탱크덮개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연결부에는 원수탱크연결부에 구비되는 원수연결부가 연결되어, 원수탱크의 원수가 수처리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원수유로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유로연결부는 원수탱크덮개에 형성된 제1구비부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와, 체크밸브 위의 제1구비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원수연결부가 밀봉되게 연결되는 원수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연결부는 원수탱크연결부에 구비되는 살균수연결부가 연결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원수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수유로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유로연결부는 원수탱크덮개에 형성된 제2구비부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와, 체크밸브 위의 제2구비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살균수연결부가 밀봉되게 연결되는 살균수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수탱크와 함께 이동하도록 원수탱크 위에 구비되며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한 폐수가 저장되는 폐수탱크; 및 폐수탱크에 구비되며, 폐수탱크가 원수탱크와 함께 이동되어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면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된 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는 폐수유로연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탱크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폐수탱크본체와, 폐수탱크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폐수탱크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유로연결부는 폐수탱크덮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유로연결부는 폐수탱크덮개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 폐수탱크덮개에 형성된 배수부를 덮는 유로연결부재와, 폐수탱크연결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유로연결부재에 형성된 삽입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부재, 삽입부에 구비되어 로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개폐탄성부재 및, 로드부재에 연결되며 삽입부에 형성된 유입구멍을 개폐하는 폐수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수탱크 또는 폐수탱크에는 수위감지용 부재가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용 부재는 물에 뜨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자석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수탱크에는 원수탱크 또는 원수탱크와 폐수탱크의 이동시 사용하는 이동용 손잡이가 포함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탱크연결부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되는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탱크연결부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되는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장치본체; 장치본체에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술한 물운반탱크;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및 여과부에 연결되며 물운반탱크가 장치본체에 장착되면 물운반탱크에 연결되는 탱크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는 정전압이 인가되면 전기화학적인 이온교환에 의해서 원수를 여과하고 역전압이 인가되면 재생되며 살균수를 생성하는 이온교환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연결부는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며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유로연결부에 연결되는 원수탱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연결부는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며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폐수유로연결부에 연결되는 폐수탱크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운반탱크를 용이하게 수처리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운반탱크를 용이하게 원수공급원이나 수처리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를 원수탱크와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원수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와 도6은 도2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유로연결부에 수처리장치의 탱크연결부의 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7과 도8은 도2의 B-B'선에 따른 확대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유로연결부에 수처리장치의 탱크연결부의 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탱크연결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13과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원수탱크연결부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유로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15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연결부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물운반탱크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를 원수탱크와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원수탱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5와 도6은 도2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유로연결부에 수처리장치의 탱크연결부의 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7과 도8은 도2의 B-B'선에 따른 확대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유로연결부에 수처리장치의 탱크연결부의 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는 원수탱크(200)와 유로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탱크(200)에는, 예컨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처리장치(10)에 공급될 원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원수탱크(200)는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원수탱크(200)를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 이동시킨 후, 원수탱크(200)에 원수공급원의 원수를 공급하고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원수가 저장된 원수탱크(200)를 수처리장치(10)로 이동시킨 후, 원수탱크(200)를 원수의 수처리를 위해서 수처리장치(10)에 장착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탱크(200)는 원수탱크본체(210)와 원수탱크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탱크본체(210)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원수탱크본체(210)의 저장공간에는 원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원수탱크본체(210)의 하부에는 바퀴(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원수탱크(2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100)를 용이하게 원수공급원 또는 수처리장치(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수탱크본체(210)에는 수위감지용 부재(230)가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용 부재(230)는 링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수위감지용 부재(2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수위감지용 부재(230)는 원수탱크본체(210)에 구비된 승강가이드(212)에 중앙부가 삽입되어 승강가이드(212)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수위감지용 부재(230)는 물에 뜨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감지용 부재(230)는 원수탱크본체(210)에 저장된 원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가이드(212)에서 승강될 수 있다. 예컨대, 수위감지용 부재(230)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수위감지용 부재(230)를 이루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감지용 부재(230)에는 자석(231)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100)의 일실시예가 장착되는 수처리장치(10)에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수처리장치(10)에 구비된 자력감지센서가 수위감지용 부재(230)의 자석(231)의 자력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원수탱크(200)에 저장된 원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원수탱크본체(210), 예컨대 원수탱크본체(210)의 양 측면에는 장착가이드돌기(21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가이드돌기(213)는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될 때, 수처리장치(10)에 형성된 장착가이드홈(23)에 걸리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원수탱크본체(210)에는 손잡이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240)에는 이동용 손잡이(242)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용 손잡이(242)를 잡고 원수탱크(2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240)는 원수탱크본체(210)에 구비되는 손잡이 지지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용 손잡이(242)는 손잡이 지지부재(24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원수탱크(200)의 이동에 알맞게 이동용 손잡이(24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원수탱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240)에는 후술할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 위에 구비되는 경우,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폐수탱크 고정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폐수탱크 고정부(250)는 고정부 케이스(251), 고정선회부재(252) 및, 버튼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케이스(251)는,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일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 케이스(25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고정부 케이스(251)는 손잡이 지지부재(241)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 케이스(251)는 개방된 일측이 손잡이 지지부재(241)를 향하도록 손잡이 지지부재(24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 케이스(251)의 개방된 측의 반대측에는 통과구멍(251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선회부재(252)는 고정부 케이스(251)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선회부재(252)의 일측은 고정부 케이스(251)의 통과구멍(251a)을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수탱크(200) 위에 폐수탱크(400)가 구비되면, 폐수탱크(400)에 형성된 후술할 고정용 홈(411)에 고정선회부재(252)의 일측이 끼워지게 된다. 이에 의해서,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 위에 구비되었을 때,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버튼부재(253)는 고정부 케이스(251)와 손잡이 지지부재(241)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재(253)는 손잡이 지지부재(241)에 형성된 버튼부재 삽입구멍(24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버튼부재(253)를 누르면, 버튼부재(253)가 고정선회부재(252)의 타측을 밀어서, 고정선회부재(252)의 일측이 통과구멍(251a)을 통과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고정선회부재(252)를 선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폐수탱크(400)를 원수탱크(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원수탱크본체(210)에는 끼움돌기(214)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214)에는 후술할 원수탱크덮개(220)에 구비되는 후크부재(223)가 끼워질 수 있다.
원수탱크덮개(220)는 원수탱크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원수탱크덮개(220)에는 후크부재(2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재(223)에는 끼움구멍(223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재(223)의 끼움구멍(223a)에 원수탱크본체(210)의 끼움돌기(214)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원수탱크덮개(220)가 원수탱크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원수탱크본체(210)와 원수탱크덮개(220)의 사이에는 밀봉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260)에 의해서, 원수탱크본체(210)와 원수탱크덮개(220)로 이루어진 원수탱크(200)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원수탱크덮개(220)에는 유로연결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원수유로연결부(310)가 구비되는 제1구비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비부(221)의 상부는개방되며 하부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유동구멍(22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수탱크덮개(220)에는 유로연결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살균수유로연결부(320)가 구비되는 제2구비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비부(222)의 상부는 개방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비부(222)의 하부에는 살균수유동구멍(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원수탱크덮개(220)에는 제1원수공급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수공급부(224)는 마개(225)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225)를 제1원수공급부(224)로부터 분리하여 제1원수공급부(224)가 개방된 상태에서, 원수를 제1원수공급부(224)를 통해 원수탱크(200)에 공급할 수 있다.
원수탱크덮개(220)에는 제2원수공급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원수공급부(226)에는 호스통과구멍(227a)이 형성된 공급밀봉부재(22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급밀봉부재(227) 위에는 집게부재(228)가 구비될 수 있다. 집게부재(228)에는 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집게부재(228)에 연결된 호스는 공급밀봉부재(227)의 호스통과구멍(227a)을 통과하여 원수탱크(200) 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스를 집게부재(228)에 의해서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에 연결하여 원수공급원의 원수를 호스를 통해 원수탱크(200)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유로연결부(300)는 원수탱크(200)에 구비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300)에는, 원수가 저장된 원수탱크(200)가 이동되어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40)에 포함된 원수탱크연결부(41)가 연결될 수 있다.
원수탱크연결부(41)는 예컨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연결부(40)에 포함되는 지지부재(43)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원수탱크연결부(41)는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원수탱크연결부(41)는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수탱크연결부(41)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대기위치로 선회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원수탱크연결부(41)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탱크(200)의 이동에 의해서 연결위치로 선회되어 유로연결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가 저장된 원수탱크(200)를 수처리장치(10)에 장착한 후 별도로 원수탱크(200)를 수처리장치(10), 예컨대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30)에 연결하지 않아도,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기만 하면 원수탱크(200)가 수처리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300)는 전술한 원수탱크덮개(2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로연결부(30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수탱크본체(210)에 구비되는 등 원수탱크(200)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300)는 원수유로연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유로연결부(31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탱크연결부(41)에 구비되며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 예컨대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30)에 연결되는 원수연결부(41a)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탱크(200)의 원수가 유로연결부(300)와 원수연결부(41a) 및 원수탱크연결부(41)를 통해 수처리장치(10), 예컨대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30)에 공급될 수 있다.
원수유로연결부(310)는 체크밸브(311)와 원수밀봉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311)는 전술한 원수탱크덮개(220)의 제1구비부(221)에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311)에 의해서, 원수탱크(200)의 원수가 수처리장치(10)로 유동하는 것은 가능하나, 수처리장치(10)로부터 원수탱크(200)로의 원수의 유동은 불가능하다.
체크밸브(311)는 밸브케이스(311a), 체크개폐부재(311b), 체크탄성부재(311c) 및, 지지부재(311d)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케이스(311a)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체크개폐부재(311b)는 밸브케이스(311a)의 개방된 타측, 예컨대 개방된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체크탄성부재(311c)는 체크개폐부재(311b)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11d)는 밸브케이스(311a)의 개방된 일측, 예컨대 개방된 상부에 구비되어 체크탄성부재(311c)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311d)에는 원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수통과구멍(311e)이 형성될 수 있다.
원수밀봉부재(31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311) 위의 제1구비부(211)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밀봉부재(312)에는 원수연결부(41a)가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원수밀봉부재(312)에는 원수통과구멍(3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체크밸브(311)를 통과한 원수는 원수밀봉부재(312)의 원수통과구멍(312a)을 통해 원수연결부(41a)로 유동할 수 있다.
유로연결부(300)는 살균수유로연결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수유로연결부(32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탱크연결부(41)에 구비되는 살균수연결부(41b)가 연결될 수 있다. 살균수연결부(41b)도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 예컨대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 예컨대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3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원수탱크연결부(41)와 살균수연결부(41b) 및 살균수유로연결부(320)를 통해 원수탱크(2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탱크(200)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살균수유로연결부(320)는 체크밸브(321)와 살균수밀봉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321)는 전술한 원수탱크덮개(220)의 제2구비부(222)에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321)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원수탱크(200)로 유동하는 것은 가능하나, 원수탱크(200)로부터 수처리장치(10)로의 원수 또는 살균수의 유동은 불가능하다.
체크밸브(321)는 밸브케이스(321a), 체크개폐부재(321b), 체크탄성부재(321c) 및, 지지부재(321d)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케이스(321a)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체크개폐부재(321b)는 밸브케이스(321a)의 개방된 일측, 예컨대 개방된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체크탄성부재(321c)는 체크개폐부재(321b)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21d)는 밸브케이스(321a)의 개방된 타측, 예컨대 개방된 하부에 구비되어 체크탄성부재(321c)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321d)에는 살균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살균수통과구멍(321e)이 형성될 수 있다.
살균수밀봉부재(32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321) 위의 제2구비부(222)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밀봉부재(322)에는 살균수연결부(41b)가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살균수밀봉부재(322)에는 살균수통과구멍(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연결부(41b)와 살균수밀봉부재(322)의 살균수통과구멍(322a) 및 체크밸브(321)를 통과하여 원수탱크(200)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100)는 폐수탱크(400)와 폐수연결유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탱크(400)는 원수탱크(200)와 함께 이동하도록 원수탱크(200) 위에 구비될 수 있다. 폐수탱크(400)에는 수처리장치(10)에서 발생한 폐수, 예컨대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30)에서 발생한 재생수 등의 폐수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수탱크(200)에 저장된 원수가 모두 소모된 경우, 원수탱크(200)와 함께 폐수탱크(400)를 수처리장치(10)로부터 분리하고, 원수탱크(200)와 폐수탱크(400)를 함께, 예컨대 원수공급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수탱크(200)에는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폐수탱크(400)에 저장된 폐수를 버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수가 가득 저장된 원수탱크(200)와 비어 있는 폐수탱크(400)를 함께 수처리장치(10)로 이동시켜서 수처리장치(10)에 장착할 수 있다.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탱크(400)는 폐수탱크본체(410)와 페수탱크덮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수탱크본체(410)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폐수탱크본체(410)의 저장공간에는 폐수가 저장될 수 있다. 폐수탱크본체(410)에는 고정용 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용 홈(4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 위에 구비될 때, 폐수탱크 고정부(250)의 고정선회부재(252)의 일측이 끼워져서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 위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폐수탱크본체(410)에도 수위감지용 부재(430)가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용 부재(430)는 링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수위감지용 부재(4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수위감지용 부재(430)는 폐수탱크본체(410)에 구비된 승강가이드(412)에 중앙부가 삽입되어 승강가이드(412)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수위감지용 부재(430)는 물에 뜨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감지용 부재(430)는 폐수탱크본체(41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가이드(412)에서 승강될 수 있다. 수위감지용 부재(430)는, 예컨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수위감지용 부재(430)를 이루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감지용 부재(430)에는 자석(431)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100)의 일실시예가 장착되는 수처리장치(10)에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와 함게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수처리장치(10)에 구비된 자력감지센서가 수위감지용 부재(430)의 자석(431)의 자력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폐수탱크(400)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폐수탱크본체(410)에는 끼움돌기(413)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413)에는 후술할 폐수탱크덮개(420)에 구비되는 후크부재(422)가 끼워질 수 있다.
폐수탱크덮개(420)는 폐수탱크본체(4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폐수탱크덮개(420)에는 배수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421)를 통해 폐수탱크(400)에 저장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폐수탱크덮개(420)에는 후크부재(4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재(422)에는 끼움구멍(422a)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재(422)의 끼움구멍(422a)에 폐수탱크본체(410)의 끼움돌기(413)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폐수탱크덮개(420)가 폐수탱크본체(410)에 연결될 수 있다.
폐수탱크본체(410)와 폐수탱크덮개(420)의 사이에는 밀봉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440)에 의해서, 폐탱크본체(410)와 폐수탱크덮개(420)로 이루어진 폐수탱크(400)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폐수탱크덮개(420)에는 제1선회지지부재(423)와 제2선회지지부재(4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선회지지부재(423)에는 폐수유로연결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유로연결부재(510)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선회지지부재(424)에는 운반용 손잡이(450)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반용 손잡이(450)를 잡고 폐수탱크(40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폐수유로연결부(500)는 폐수탱크(400)에 구비될 수 있다. 폐수유로연결부(500)는 폐수탱크(400)가 원수탱크(200)와 함께 이동되어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40)에 포함된 폐수탱크연결부(42)가 연결될 수 있다.
폐수탱크연결부(42)는 예컨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연결부(40)에 포함되는 지지부재(43)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폐수탱크연결부(42)는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폐수탱크연결부(42)는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원수탱크(200)와 함께 폐수탱크(4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수탱크연결부(42)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대기위치로 선회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원수탱크(200)와 함께 폐수탱크(4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폐수탱크연결부(42)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탱크(400)의 이동에 의해서 연결위치로 선회되어 폐수유로연결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어 있는 폐수탱크(400)를 원수탱크(200)와 함께 수처리장치(10)에 장착한 후 별도로 폐수탱크(400)를 수처리장치(10), 예컨대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30)에 연결하지 않아도, 원수탱크(200)와 함께 폐수탱크(4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기만 하면 폐수탱크(400)가 수처리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폐수유로연결부(500)는 전술한 폐수탱크덮개(4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폐수유로연결부(50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폐수탱크본체(410)에 구비되는 등 폐수탱크(400)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폐수유로연결부(500)는 유로연결부재(510), 로드부재(520), 개폐탄성부재(530) 및, 폐수개폐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연결부재(510)는 폐수탱크덮개(420)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연결부재(510)는 폐수탱크덮개(420)에 구비된 제1선회지지부재(423)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연결부재(510)는 폐수탱크덮개(420)의 배수부(421)를 덮을 수 있다. 유로연결부재(510)에는 배수밀봉부재(512)가 구비되어 유로연결부재(510)와 배수부(421)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폐수탱크(400)에 저장된 폐수를 버리기 위해서는, 유로연결부재(510)를 선회시켜서 배수부(421)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유로연결부재(5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재(510)의 삽입부(511)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탱크연결부(42)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재(510)의 삽입부(511)의 하부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멍(511a)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재(520)는 유로연결부재(510)의 삽입부(51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탄성부재(530)는 유로연결부재(510)의 삽입부(511)에 구비되어 이동부재(5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폐수개폐부재(540)는 로드부재(5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폐수개폐부재(540)는 유로연결부재(510)의 삽입부(511)에 형성된 전술한 유입구멍(511a)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연결부(40)의 폐수탱크연결부(42)가 유로연결부재(510)의 삽입부(511)에 삽입되면, 로드부재(520)가 하강하여 폐수개폐부재(540)가 삽입부(511)의 유입구멍(511a)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처리장치(10)에서 발생한 폐수가 폐수탱크연결부(42)와 삽입부(511)의 유입구멍(511a)을 통해 폐수탱크(4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탱크연결부(40)의 폐수탱크연결부(42)가 유로연결부재(510)의 삽입부(511)로부터 분리되면, 로드부재(520)가 상승하여 폐수개폐부재(540)가 삽입부(511)의 유입구멍(511a)을 폐쇄할 수 있다.
수처리장치
이하, 도9 내지 도1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탱크연결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13과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원수탱크연결부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유로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그리고, 도15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연결부가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의 일실시예의 폐수탱크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의 일실시예는 장치본체(20), 전술한 물운반탱크(100), 여과부(30) 및, 탱크연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에는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30) 및 탱크연결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 장치본체(20)에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CP)나 응축기(CD) 또는 냉수탱크(CT)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장치본체(20)에는 물운반탱크(1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는, 예컨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과부(30)와 탱크연결부(40) 등이 구비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에는 커버(21)가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100)의 일실시예를 장치본체(20)에 장착시킨 후 커버(21)를 닫을 수 있다. 또한, 커버(21)를 열고 장치본체(20)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100)의 일실시예를 장치본체(20)로부터 꺼낸 후 커버(21)를 닫을 수 있다.
장치본체(20)의 내부 양측면에는 각각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2)는 장치본체(20) 안쪽으로 갈수록 그 사이가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운반탱크(100)가 장치본체(20)의 장착공간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의 가이드부(22)에는 장착가이드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홈(23)에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100)의 일실시예의 원수탱크(200)에 형성된 장착가이드돌기(213)가 걸리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운반탱크(100)가 수처리장치(10)에 장착되면, 물운반탱크(100)가 수처리장치(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장치본체(20)의 바닥부에는 경사면(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운반탱크(100)가 용이하게 장치본체(20)의 장착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물운반탱크(100)는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에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의 커버(21)를 열고 물운반탱크(100)를 장치본체(20)에 장탈착할 수 있다.
물운반탱크(100)에 대하여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과부(30)는 물운반탱크(100)에 포함된 원수탱크(200)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여과부(30)는 정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부(30)는 이온교환필터(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교환필터(31)는 정전압이 인가되면 전기화학적인 이온교환에 의해서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이온교환필터(31)에 역전압이 인가되면 재생되며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온교환필터(31)는 양전극(도시되지 않음)과 음전극(도시되지 않음) 및 바이폴라 이온교환막(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양전극은, 예컨대 봉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음전극은 봉형상의 양전극이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양전극에 전원(도시되지 않음)의 양극이 연결되고 음전극에는 전원의 음극이 연결되면, 이온교환필터(31)에 정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양전극에 전원의 음극이 연결되고 음전극에 전원의 양극이 연결되면 이온교환필터(31)에 역전압이 인가된다.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은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은 나선형상으로 감겨서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온교환필터(31)에 유입된 원수는 나선형으로 감긴 바이폴라 이온교환막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일면은 양이온이 교환되는 양이온교환측이며 타면은 음이온이 교환되는 음이온교환측이 된다. 이에 따라, 이온교환필터(31)에 정전압이 인가되면, 바이폴라 이온교환막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물에 포함된 이온형태의 이물질이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에 포집된다.
즉, 물에 포함된 양이온 형태의 이물질은 전압차에 의해서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양이온교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양이온 형태의 이물질은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양이온교환측에 전자기력에 의해서 붙어 있던 수소이온(H+)과 교환되어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양이온교환측에 포집된다.
또한, 물에 포함된 음이온 형태의 이물질은 전압차에 의해서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음이온교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음이온 형태의 이물질은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음이온교환측에 전자기력에 의해서 붙어 있던 수산화이온(OH-)과 교환되어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음이온교환측에 포집된다.
그리고,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으로부터 분리된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은 결합하여 물이 된다. 이에 의해서, 이온교환필터(31)에서 물이 여과될 수 있다.
한편, 이온교환필터(31)에 역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차에 의해서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양이온교환측과 음이온교환측에 각각 포집된 양이온 형태의 이물질과 음이온 형태의 이물질은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으로부터 분리된 양이온 형태의 이물질과 음이온 형태의 이물질은 바이폴라 이온교환막 사이를 유동하는 물에 포함된 후 이온교환필터(31)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온교환필터(31)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재생수는 물운반탱크(100)의 폐수탱크(400)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온교환필터(31)에 역전압이 인가되면,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의 음이온교환측에 포집된 염소이온(Cl-)도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폴라 이온교환막으로부터 분리된 염소이온(Cl-)은 양전극에 전자를 내어놓음으로 해서 산화되어 염소기체(Cl2)가 되며 물에 녹게 된다. 이에 따라, 이온교환필터(31)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교환필터(31)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물운반탱크(100)의 원수탱크(200)에 공급되어 원수탱크(200)를 살균할 수 있다.
여과부(30)는 이온교환필터(31) 이외에, 전처리복합필터(32)와 후처리필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복합필터(32)와 전술한 이온교환필터(31) 및 후처리필터(33)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서로 순차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는 전처리복합필터(32)와 이온교환필터(31) 및 후처리필터(33)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3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수를 여과할 수 있는 정수필터라면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포함될 수 있다.
탱크연결부(40)는 여과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운반탱크(100)가 탱크본체(20)에 장착되면 물운반탱크(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운반탱크(100)가 탱크본체(20)에 장착된 후 별도로 물운반탱크(100)와 여과부(30)를 연결하지 않아도, 물운반탱크(100)가 탱크본체(20)에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물운반탱크(100)가 여과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탱크연결부(40)는 지지부재(43)와 원수탱크연결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3)는 장치본체(2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43)는 장치본체(20)에 구비되는 지지판(SP)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원수탱크연결부(41)는 지지부재(43)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탱크연결부(41)는 물운반탱크(100)에 포함되는 전술한 유로연결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원수탱크연결부(41)는 물운반탱크(100)의 유로연결부(300)의 높이에 대응되는 지지부재(43)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수탱크연결부(41)는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물운반탱크(100)가 장치본체(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수탱크연결부(41)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대기위치로 선회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운반탱크(100)가 장치본체(20)에 장착되면서 원수탱크(200)가 원수탱크연결부(41)를 연결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원수탱크연결부(41)가 원수탱크(200)의 원수탱크덮개(220)에 구비되는 유로연결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원수탱크연결부(41)의 원수연결부(41a)는 원수유로연결부(310)에 연결되고 원수탱크연결부(41)의 살균수연결부(41b)는 살균수유로연결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운반탱크(100)가 장치본체(20)로부터 꺼내지면, 원수탱크연결부(41)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대기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원수탱크연결부(41)의 원수연결부(41a)와 살균수연결부(41b)에는 각각 원수와 살균수가 유동하는 유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연결부(41a)의 유로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여과부(30), 예컨대 여과부(30)의 전처리복합필터(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살균수연결부(41b)의 유로는 연결관 등에 의해서 여과부(30), 예컨대 여과부(30)의 이온교환필터(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탱크(200)의 원수가 여과부(30)에 공급되고, 이온교환필터(31)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원수탱크(200)에 공급될 수 있다.
탱크연결부(40)는 폐수탱크연결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폐수탱크연결부(42)도 지지부재(43)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폐수탱크연결부(42)는 물운반탱크(100)에 포함되는 전술한 폐수유로연결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폐수탱크연결부(42)는 물운반탱크(100)의 폐수유로연결부(500)의 높이에 대응되는 지지부재(43)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폐수탱크연결부(42)는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물운반탱크(100)가 장치본체(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수탱크연결부(42)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대기위치로 선회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15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운반탱크(100)가 장치본체(20)에 장착되면서 폐수탱크(400)가 폐수탱크연결부(42)를 연결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폐수탱크연결부(42)가 폐수탱크(400)의 폐수탱크덮개(420)에 구비되는 폐수유로연결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운반탱크(100)가 장치본체(20)로부터 꺼내어지면, 폐수탱크연결부(42)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대기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폐수탱크연결부(42)에는 폐수가 유동하는 유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폐수탱크연결부(42)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여과부(30), 예컨대 여과부(30)의 이온교환필터(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30), 예컨대 여과부(30)의 이온교환필터(31)에서 발생한 재생수, 즉 폐수가 폐수탱크(4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물운반탱크가 수처리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물운반탱크를 용이하게 수처리장치에 장착할 수 있고, 물운반탱크를 용이하게 원수공급원이나 수처리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처리장치 20 : 장치본체
21 : 커버 22 : 가이드부
23 : 장착가이드홈 24 : 경사면
30 : 여과부 31 : 이온교환필터
32 : 전처리복합필터 33 : 후처리필터
40 : 탱크연결부 41 : 원수탱크연결부
41a : 원수연결부 41b : 살균수연결부
42 : 폐수탱크연결부 43 : 지지부재
100 : 물운반탱크 200 : 원수탱크
210 : 원수탱크본체 211 : 바퀴
212, 412 : 승강가이드 213 : 장착가이드돌기
214, 413 : 끼움돌기 220 : 원수탱크덮개
221 : 제1구비부 221a : 원수유동구멍
222 : 제2구비부 222a : 살균수유동구멍
230, 430 : 수위감지용 부재 223, 422 : 후크부재
223a, 422a : 끼움구멍 224 : 제1원수공급부
225 : 마개 226 : 제2원수공급부
227 : 공급밀봉부재 227a : 호스통과구멍
228 : 집게부재 231, 431 : 자석
240 : 손잡이부 241 : 손잡이 지지부재
241a : 버튼부재 삽입구멍 242 : 이동용 손잡이
250 : 폐수탱크 고정부 251 : 고정부 케이스
251a : 통과구멍 252 : 고정선회부재
253 : 버튼부재 260, 440 : 밀봉부재
300 : 유로연결부 310 : 원수유로연결부
311, 321 : 체크밸브 311a, 321a : 밸브케이스
311b, 321b : 체크개폐부재 311c, 321c : 체크탄성부재
311d, 321d : 지지부재 311e, 312a : 원수통과구멍
312 : 원수밀봉부재 320 : 살균수유로연결부
321e, 322a : 살균수통과구멍 322 : 살균수밀봉부재
400 : 폐수탱크 410 : 폐수탱크본체
411 : 고정용 홈 420 : 폐수탱크덮개
421 : 배수부 422 : 후크부재
422a : 끼움구멍 423 : 제1선회지지부재
424 : 제2선회지지부재 450 : 운반용 손잡이
500 : 폐수유로연결부 510 : 유로연결부재
511 : 삽입부 511a : 유입구멍
512 : 배수밀봉부재 520 : 로드부재
530 : 개폐탄성부재 540 : 폐수개폐부재
CP : 압축기 CD : 응축기
CT : 냉수탱크 SP : 지지판

Claims (20)

  1. 수처리장치에 공급될 원수가 저장되며 이동가능한 원수탱크; 및
    상기 원수탱크에 구비되며, 원수가 저장된 상기 원수탱크가 이동되어 상기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된 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수탱크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원수탱크본체와, 상기 원수탱크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원수탱크덮개를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부는 상기 원수탱크덮개에 구비되는 물운반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부에는 상기 원수탱크연결부에 구비되는 원수연결부가 연결되어, 상기 원수탱크의 원수가 상기 수처리장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원수유로연결부를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로연결부는
    상기 원수탱크덮개에 형성된 제1구비부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위의 상기 제1구비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원수연결부가 밀봉되게 연결되는 원수밀봉부재를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부는 상기 원수탱크연결부에 구비되는 살균수연결부가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장치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상기 원수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수유로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유로연결부는
    상기 원수탱크덮개에 형성된 제2구비부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위의 상기 제2구비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수연결부가 밀봉되게 연결되는 살균수밀봉부재를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8. 수처리장치에 공급될 원수가 저장되며 이동가능한 원수탱크;
    상기 원수탱크에 구비되며, 원수가 저장된 상기 원수탱크가 이동되어 상기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된 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
    상기 원수탱크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원수탱크 위에 구비되며 상기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한 폐수가 저장되는 폐수탱크; 및
    상기 폐수탱크에 구비되며, 상기 폐수탱크가 상기 원수탱크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된 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는 폐수유로연결부;
    를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탱크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폐수탱크본체와,
    상기 폐수탱크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폐수탱크덮개를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유로연결부는 상기 폐수탱크덮개에 구비되는 물운반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유로연결부는
    상기 폐수탱크덮개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폐수탱크덮개에 형성된 배수부를 덮는 유로연결부재와,
    상기 폐수탱크연결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상기 유로연결부재에 형성된 삽입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부재,
    상기 삽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개폐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유입구멍을 개폐하는 폐수개폐부재를 포함하는 물운반탱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 또는 폐수탱크에는 수위감지용 부재가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물운반탱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용 부재는 물에 뜨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자석이 내부에 구비되는 물운반탱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에는 상기 원수탱크 또는 상기 원수탱크와 폐수탱크의 이동시 사용하는 이동용 손잡이가 포함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물운반탱크.
  15. 수처리장치에 공급될 원수가 저장되며 이동가능한 원수탱크; 및
    상기 원수탱크에 구비되며, 원수가 저장된 상기 원수탱크가 이동되어 상기 수처리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탱크연결부에 포함된 원수탱크연결부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수탱크연결부는 상기 탱크연결부에 포함되는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물운반탱크.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탱크연결부는 상기 탱크연결부에 포함되는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물운반탱크.
  17.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1항과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운반탱크;
    상기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운반탱크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물운반탱크에 연결되는 탱크연결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8.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물운반탱크;
    상기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운반탱크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물운반탱크에 연결되는 탱크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정전압이 인가되면 전기화학적인 이온교환에 의해서 원수를 여과하고 역전압이 인가되면 재생되며 살균수를 생성하는 이온교환필터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9.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장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물운반탱크;
    상기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운반탱크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물운반탱크에 연결되는 탱크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연결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며 상기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유로연결부에 연결되는 원수탱크연결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며 상기 물운반탱크에 포함되는 폐수유로연결부에 연결되는 폐수탱크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0150071865A 2015-04-10 2015-05-22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849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65A KR101849086B1 (ko) 2015-05-22 2015-05-22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MYPI2017703827A MY182421A (en) 2015-04-10 2016-04-08 Water treatment apparatus
JP2017553126A JP6522151B2 (ja) 2015-04-10 2016-04-08 水処理装置
CN201680020065.XA CN107428570B (zh) 2015-04-10 2016-04-08 水处理设备
PCT/KR2016/003707 WO2016163804A1 (ko) 2015-04-10 2016-04-08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65A KR101849086B1 (ko) 2015-05-22 2015-05-22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835A KR20160137835A (ko) 2016-12-01
KR101849086B1 true KR101849086B1 (ko) 2018-04-17

Family

ID=5757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865A KR101849086B1 (ko) 2015-04-10 2015-05-22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27B1 (ko) * 2012-05-01 2012-07-30 (주)대우건설 순환압력과 듀얼펌프를 이용한 고집적 막여과 이동 정수장치 및 방법
KR101445209B1 (ko) 2014-01-22 2014-09-29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형 음용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27B1 (ko) * 2012-05-01 2012-07-30 (주)대우건설 순환압력과 듀얼펌프를 이용한 고집적 막여과 이동 정수장치 및 방법
KR101445209B1 (ko) 2014-01-22 2014-09-29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형 음용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835A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181B1 (ko) 액체 처리 시스템을 위한 밸브, 밸브 구동 디바이스, 카트리지 및 어댑터
KR101427989B1 (ko) 전기분해 장치를 구비한 수소수기
WO2018161441A1 (zh) 净水系统
KR101471864B1 (ko)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TW201306911A (zh) 水淨化裝置
JP4706564B2 (ja) 浄水器
JP2007326065A (ja) 浄水器
KR101748791B1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JP2021512024A (ja) 液体容器蓋および装置ならびに使用方法
KR20190060390A (ko) 잔류수 배출방지 및 필터 인식기능을 구비한 복합필터
KR100621058B1 (ko) 정수기
KR101849086B1 (ko) 물운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74878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US6872306B2 (en) Multifunctional pure water maker
JP6016305B2 (ja) 浄水装置
KR101407728B1 (ko) 정수기
CN203667178U (zh) 水容器及具有其的净水设备和饮水机
CN104724370B (zh) 水容器及具有其的净水设备和饮水机
TW201026609A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KR101074960B1 (ko) 상방 역류형 정수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환형 정수장치
CN108569784B (zh) 净水系统
KR100311911B1 (ko) 정수및살균수제조장치
WO2008013068A1 (fr) Purificateur d'eau
JP6523141B2 (ja) 酸性液の中和処理器
KR101330154B1 (ko) 물 필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