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751B1 -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 Google Patents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751B1
KR101848751B1 KR1020160156349A KR20160156349A KR101848751B1 KR 101848751 B1 KR101848751 B1 KR 101848751B1 KR 1020160156349 A KR1020160156349 A KR 1020160156349A KR 20160156349 A KR20160156349 A KR 20160156349A KR 101848751 B1 KR101848751 B1 KR 10184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oltage
unit
leve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
Original Assignee
(주)그린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그린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5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4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 G01R13/404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for discontinuous display, i.e. display of discrete values
    • G01R13/405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for discontinuous display, i.e. display of discrete values using a plurality of active, i.e. light emitting, e.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i.e. bar grap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46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application or detail not covered by any other subgroup of G01R19/00
    • G01R19/0053Noise discrimination; Analog sampling; Measuring transi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01R19/16595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with multi level ind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H05B33/080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Pilot Lamp)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이용하여 구동되는 각종 형태의 변전 설비 또는 장비 등으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크기 및 노이즈 레벨을 표시출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노이즈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전압의 상태를 다수의 적색,청색,녹색 LED가 물결 형상으로 배치 구성되는 램프부의 출력 색상 및 동작 방법의 서로 다른 조합을 통해 표시출력하되,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노이즈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를 구동하고,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노이즈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전압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Intelligent pilot lamp having function of displaying a noise condition}
본 발명은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Pilot Lamp)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이용하여 구동되는 각종 형태의 변전 설비 또는 장비 등으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크기 및 노이즈 레벨을 표시출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노이즈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로트 램프(Pilot Lamp)는 표시등이라고도 하며, 전력계통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전(受電)할 때 인입(引入)된 전력선이 살아있는지, 죽었는지(송전 중인지 아닌지)를 인입하는 지점에서 표시할 목적으로 수전반에 부착하여 이용된다.
상기한 파이로트 램프는 예컨대 변전설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변전 설비에 의해 변전되어 각 설비 또는 장비로 입력되는 전압이 정격 전압인지 여부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 변전 설비에 설치되는 파이로트 램프로는 입력되는 전압이 정상인지만을 육안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비정상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 전압이 저전압과 과전압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한편, 각 설비 또는 장비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이 저전압인 경우와 과전압인 경우는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뿐만 아니라, 그 대응방법 또는 상이하다.
따라서, 각 설비 또는 장비로 입력되는 전압이 저전압인지 아니면 과전압인지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각 설비 또는 장비의 안정적인 운용 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설비 또는 장비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노이즈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도 대응방법이 상이한 바, 관리자가 노이즈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각 설비 또는 장비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상태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램프와 노이즈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를 각각 구비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파이로트 램프의 전체 크기를 커지게 함은 물론, 동일 구조의 램프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에 따른 제품 비용의 상승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1. 공개특허 제2002-0023328호 (명칭 : 고주파 전력 측정 장치 및 방법) 2. 등록특허 제10-0809910호 (명칭 : 디지털 분전반)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각 장비 및 설비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크기 및 노이즈 레벨을 측정하여 이를 하나의 램프를 통해 표시 출력하되, 다단의 전압 크기와 노이즈 정도를 청/녹/적 LED 의 서로 다른 출력 조합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해 주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전압을 분배출력하는 전원 분배부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전압에 대응되는 전압 실효치를 출력하는 실효치 전압 측정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전압에 대한 노이즈 성분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노이즈 측정부, 상기 실효치 전압 측정부와 노이즈 측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전압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다수의 적색,청색,녹색 LED가 물결 형상으로 배치 구성되어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 색상 및 동작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다단의 전압 크기와 다단의 노이즈 레벨을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출력하는 램프부 및,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값과 노이즈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원전압 크기 범위 또는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하여 LED 색상과 동작 방법의 서로 다른 조합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램프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를 구동제어하고,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기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전압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를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적색, 녹색,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단위 램프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5 전압 크기 범위로 구분하여 전원전압 크기를 표시출력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인 제3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녹색 LED가 점등되고, 기준 전압 크기 범위 미만인 저전압 크기 범위인 제1 및 제2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청색 LED가 점등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와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인 제1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청색 LED가 점멸 구동되며, 기준 전압 크기 범위 이상인 과전압 크기 범위인 제4 및 제5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적색 LED가 점등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와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인 제5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적색 LED가 점멸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두 색상의 LED가 교차 점멸되도록 제1 및 제2 노이즈 크기 범위로 구분하여 노이즈 크기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노이즈 크기 범위로 구분하여 노이즈 크기를 표시출력하되, 제1 기준 노이즈 레벨 미만인 노이즈 레벨에 대해서는 적색과 녹색 LED가 교차 점멸되고, 제1 기준 노이즈 레벨 이상이면서 제2 기준 노이즈 레벨 미만인 노이즈 레벨에 대해서는 녹색 LED가 점멸되고, 제2 기준 레벨 이상인 노이즈 레벨에 대해서는 녹색과 적색 LED가 교차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노이즈에 대해 LED를 점멸 구동함으로써 표시출력하되, 해당 노이즈 크기 범위에서 노이즈 레벨이 증가할수록 점멸 속도가 빨라지도록 표시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또한, 전압 크기 및 노이즈 레벨을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로라 통신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무선송출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 크기 및 노이즈 크기에 대응되는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원전압 수치와 노이즈 크기값을 모두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파이로트 램프를 이용하여 다단의 전원 전압의 크기 및 노이즈를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재 전원 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라(RoLa) 통신을 통해 다수 부하설비에 대한 전원상태정보를 원거리의 관리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다수 부하설비에 대한 전원전압의 품질상태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이 적용된 변전설비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노이즈 측정부(14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램프부(160)의 구성 및 표시출력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5는 도2에 도시된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적용된 변전설비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변전설비 시스템은 외부 AC 전압을 일정 레벨의 전압으로 변전하여 분배 출력하는 변전 장치(1)와, 변전 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원전압을 이용하여 목적의 동작을 수행하는 부하 설비(2)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100)는 각 부하 설비(2)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100)는 외부(예컨대, 도1에서 변전설비(1))로부터 해당 전력 장치(예컨대, 도1에서 부하 설비(2))로 입력되는 AC 전원전압의 크기 및 입력 전원의 노이즈 레벨을 측정하여 하나의 램프를 통해 관리자가 전원전압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100)가 설치되는 부하설비(2)는 외부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각종 형태의 장치로서, 다수의 부하 설비들로 공급되는 단위 설비에 대한 전원 상태를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100)는 전원 분배부(110)와, 전원부(120), 실효치 전압 측정부(130), 노이즈 측정부(140), A/D 변환부(150), 램프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 분배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전압(AC)을 상기 전원부(120)와, 실효치 전압 측정부(130), 노이즈 측정부(140)로 각각 분배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전원 분배부(110)는 서로 다른 분배 비율로 교류 전원전압을 분배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전원을 전원부(120)로 50%, 실효치 전압 측정부(130)로 25%, 노이즈 측정부(140)로 25% 비율로 각각 분배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100)를 구동하기 위한 적정한 레벨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장치의 공급전원(Vcc)으로써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120)는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실효치 전압 측정부(130)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전압에 대한 전압 실효치를 측정한다. 이때, 전압 실효치는 0V ~ 5V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측정정도는 0.1V 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RMS 측정부(130)는 입력되는 0.0V 내지 300.9V 범위의 전원전압을 상기 제어부(170)에서 인식할 수 있는 0V 내지 5V 범위의 실효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노이즈 측정부(140)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전압에 대한 노이즈 전압값을 측정한다. 이때, 노이즈는 고주파 성분으로, 고주파 성분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상기 제어부(170)에서 인식할 수 있는 0V ~ 5V 범위의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고주파 측정정도는 0.1V 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이즈 측정부(1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고주파 필터(141)와, 고주파 필터(141)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노이즈 성분을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입력 버퍼(142), 입력 버퍼(142)로부터 제공되는 AC 형태의 고주파 노이즈 크기값을 제어부(17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전압 범위의 DC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컨버터(143) 및, AC/DC 컨버터(143)로부터 제공되는 DC 형태의 고주파 노이즈 성분 전압에 대한 리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리플 필터(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2에서 A/D 변환부(150)는 상기 실효치 전압 측정부(130) 및 노이즈 측정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측정 전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램프부(16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출력 색상 및 동작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다단의 전압 크기와 다단의 노이즈 레벨을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출력한다.
즉, 상기 램프부(160)는 도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적색과 청색 및,녹색의 제1 내지 제3 LED(L1,L2,L3)가 물결(사인파) 형상으로 구성된 표시창(161)의 내측에 물결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표시창(161)을 통해 전압 크기 및 노이즈 레벨에 대한 정보를 표시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램프부(160)는 도4 (A)와 같이 제1 내지 제3 LED(L1,L2,L3) 각각이 물결 형태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제1 내지 제3 LED(L1,L2,L3)로 이루어지는 단위 램프(L)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물결 형태로 배치 구성될 수 있다. 도4에서 (B)는 램프부(160)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 즉,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이 표시 출력되는 상태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2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A/D 변환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값과 노이즈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원전압 크기 범위 또는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하여 LED 색상과 동작 방법의 서로 다른 조합을 통해 표시출력 하기 위한 램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램프부(16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노이즈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160)를 구동제어하고,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노이즈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전압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160)를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다단의 전원전압 크기 및 노이즈 레벨에 대응되는 램프 구동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며, 이를 근거로 램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램프부(160)를 제어한다.
표1은 전원전압 크기 및 노이즈 레벨에 따른 램프부(160) 동작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단계/형태 전압크기 점등방식
전압1단계 210 V 미만 청색 점멸
전압2단계 210V 이상 220V 미만 청색 점등
전압3단계 220V 이상 230V 미만 녹색 점등
전압4단계 230V 이상 240V 미만 녹색 점등
전압5단계 240V 이상 적색 점멸
노이즈 1단계 5V 이상 50V 미만 적색/녹색 교차점멸
노이즈 2단계 50V 이상 적색/청색 교차점멸
즉,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부(160)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5 전압 단계로 구분하여 전원전압 크기를 표시출력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상범위인 220V~230V 전압 범위를 기준 단계인 전압 3단계에 대해서는 녹색 LED가 점등되고, 기준 전압 크기 범위 미만인 저전압 레벨에 대해서는 청색 LED를 구동하며, 기준 전압 크기 범위 이상인 과전압 레벨에 대해서는 적색 LED를 구동하되, 기준 전압 범위에 가까운 저전압, 또는 과전압에 대해서는 해당 LED를 점멸 구동함으로써, 저전압 또는 과전압 정도를 구분되게 표시출력한다. 즉, 저전압 크기 범위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단계에 대해서는 청색 LED가 점등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와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인 제1 전압 단계에 대해서는 청색 LED가 점멸 구동되고, 과전압 크기 범위에 해당하는 제4 및 제5 전압 단계에 대해서는 적색 LED가 점등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와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인 제5 전압 단계에 대해서는 적색 LED가 점멸 구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램프부(160)의 색상을 근거로 현재 인가되는 입력 전압이 정상전압인지, 저전압인지 또는 과전압인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램프부(160)의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근거로 저전압 또는 과전압의 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1과 같이 램프부(160)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노이즈 단계로 구분하여 노이즈 크기를 표시출력한다.
즉, 노이즈 레벨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가지 색상의 LED가 교차 점멸된다.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기준 전압값(표1에서 50V)을 기준으로 그 미만 범위에 대해서는 적색과 녹색 LED가 교차 점멸하도록 구동되고, 노이즈 기준 전압값 이상범위에 대해서는 적색과 청색 LED가 교차 점멸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노이즈 레벨은 각 노이즈 단계에서 노이즈 레벨이 증가할수록 점멸속도가 빨라지도록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노이즈 1단계 범위에서 노이즈 크기값(레벨)이 10V인 경우보다 노이즈 크기값이 30V 인 경우 점멸속도가 더 빠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멸되는 램프부(160)의 색상 조합을 통해 대략적인 노이즈 크기를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LED 점멸 속도를 근거로 일정 범위에서의 노이즈 크기 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램프부(160)는 노이즈 전압 범위를 대/중/소의 3개 범위로 구분 설정하고, 노이즈 성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 범위에 해당하는 제1 노이즈 범위에 대해서는 램프부(160)의 녹색과 청색 LED가 교차 점멸되고, 노이즈 성분이 중간정도인 "중" 범위에 해당하는 제2 노이즈 범위에 대해서는 램프부(160)의 녹색 LED가 점멸되며, 노이즈 성분이 상대적으로 큰 "대" 범위에 해당하는 제3 노이즈 범위에 대해서는 램프부(160)의 적색과 녹색 LED가 교차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전압크기 보다 노이즈 레벨을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노이즈 레벨이 최저 기준 레벨(표1에서 5V) 미만인 경우에는 전원전압 크기에 대응되도록 램프부(160)을 구동제어하고, 노이즈 레벨이 최저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노이즈 크기에 대응되도록 램프부(160)를 구동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평상시에는 램프부(160)를 통해 입력 전원에 대한 전압 크기를 표시출력하다가, 입력 전원에 일정 레벨 이상의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램프부(160)를 통해 노이즈 크기를 표시출력한다.
도5는 도2에 도시된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가 부하설비에 결합되되, 해당 부하설비로 인가되는 전원라인과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부하설비로 인가되는 전원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이 실효치 전압 측정부(130) 및 노이즈 측정부(140)로 분배 출력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실효치 전압 측정부(130)와 노이즈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전원전압 크기 및 노이즈에 대응되는 측정 전압값이 A/D 변환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인가된다(ST110).
제어부(170)는 A/D 변환부(150)로부터 인가되는 노이즈 전압값이 기 설정된 최저 노이즈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T120). 예컨대, 노이즈 전압이 "5V" 이상의 값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ST12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노이즈 전압이 최저 기준 레벨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노이즈 전압이 포함되는 노이즈 크기 범위를 탐색하고, 탐색된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응되는 램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램프부(160)로 제공함으로써, 램프부(160)를 통해 노이즈 크기에 해당하는 정보가 표시출력되도록 제어한다(ST130,ST140).
한편, 상기 ST12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노이즈 전압이 최저 기준 레벨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ST110 단계에서 A/C 변환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 크기가 포함되는 전압 크기 범위를 탐색하고, 탐색된 전압 크기 범위에 대응되는 램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램프부(160)로 제공함으로써, 램프부(160)를 통해 전압 크기에 해당하는 정보가 표시출력되도록 제어한다(ST150,ST160).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510)가 추가로 구비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500)가 각 부하설비(2)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6에서 통신부(510)는 로라(RoLa)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로라 통신을 통해 외부의 관리 단말(200)로 해당 부하설비(2)로 공급되는 전원 상태정보를 일정 주기 단위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단말(200)은 PC 또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이 로라 통신이 가능한 각종 형태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이때,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500)는 A/D 변환부(도2의 15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신호에 대응되는 전원전압의 크기값 및 노이즈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원 전압 크기값과 노이즈 수치를 모두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통신부(510)를 통해 관리 단말(700)로 무선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500)는 전압 크기 또는 노이즈 레벨이 변동되는 경우에만 전원 상태정보를 새롭게 생성하여 관리 단말(7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도6에서 상기 외부 관리 단말(700)을 통해 서로 다른 다수의 부하 설비에 결합된 각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500)로부터 해당 부하설비에 대한 전원 크기 및 노이즈 레벨로 이루어지는 전원 상태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관리자가 원격에서 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단말(700)에서 일정 장소(공장)내 다수 부하설비로 인가되는 전원 상태를 일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해당 설비 시설내 부하 장비별 노이즈 발생 라인 또는 전원 크기 이상 라인을 용이하게 추적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효치 전압 측정부(도2의 140)를 통해 R,S,T 3상별 전원전압에 대한 실효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상(R,S,T)별 전압크기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500 :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110 : 전원 분배부, 120 : 전원부,
130 : 실효치 전압 측정부, 140 : 노이즈 측정부,
150 : A/D 변환부, 160 : 램프부,
170 : 제어부, 510 : 통신부.

Claims (8)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전압을 분배출력하는 전원 분배부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전압에 대응되는 전압 실효치를 출력하는 실효치 전압 측정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전압에 대한 노이즈 성분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노이즈 측정부,
    상기 실효치 전압 측정부와 노이즈 측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전압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다수의 적색,청색,녹색 LED가 물결 형상으로 배치 구성되어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 색상 및 동작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다단의 전압 크기와 다단의 노이즈 레벨을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출력하는 램프부 및,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값과 노이즈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원전압 크기 범위 또는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하여 LED 색상과 동작 방법의 서로 다른 조합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램프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노이즈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를 구동제어하고, 노이즈 크기가 기 설정된 최저 기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 전압 크기 범위에 대응되도록 램프부를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적색, 녹색, 청색 LED로 이루어지는 단위 램프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5 전압 크기 범위로 구분하여 전원전압 크기를 표시출력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인 제3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녹색 LED가 점등되고, 기준 전압 크기 범위 미만인 저전압 크기 범위인 제1 및 제2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청색 LED가 점등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와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인 제1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청색 LED가 점멸 구동되며, 기준 전압 크기 범위 이상인 과전압 크기 범위인 제4 및 제5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적색 LED가 점등되되, 기준 전압 크기 범위와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인 제5 전압 크기 범위에 대해서는 적색 LED가 점멸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두 색상의 LED가 교차 점멸되도록 제1 및 제2 노이즈 크기 범위로 구분하여 노이즈 크기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노이즈 크기 범위로 구분하여 노이즈 크기를 표시출력하되,
    제1 기준 노이즈 레벨 미만인 노이즈 레벨에 대해서는 적색과 녹색 LED가 교차 점멸되고, 제1 기준 노이즈 레벨 이상이면서 제2 기준 노이즈 레벨 미만인 노이즈 레벨에 대해서는 녹색 LED가 점멸되고, 제2 기준 레벨 이상인 노이즈 레벨에 대해서는 녹색과 적색 LED가 교차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노이즈에 대해 LED를 점멸 구동함으로써 표시출력하되,
    해당 노이즈 크기 범위에서 노이즈 레벨이 증가할수록 점멸 속도가 빨라지도록 표시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전압 크기 및 노이즈 레벨을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로라 통신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무선송출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전압 크기 및 노이즈 크기에 대응되는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원전압 수치와 노이즈 크기값을 모두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KR1020160156349A 2016-11-23 2016-11-23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KR10184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49A KR101848751B1 (ko) 2016-11-23 2016-11-23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49A KR101848751B1 (ko) 2016-11-23 2016-11-23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751B1 true KR101848751B1 (ko) 2018-04-13

Family

ID=6197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349A KR101848751B1 (ko) 2016-11-23 2016-11-23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964B1 (ko) * 2018-12-12 2019-08-2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미믹동작표시기와 el와이어 램프에 의한 도어록킹 연동시스템이 적용된 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27B1 (ko) * 2012-04-19 2012-08-30 (주)그린텍시스템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KR20130011543A (ko) * 2011-07-22 2013-01-30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이상유무 확인이 가능한 노이즈필터 및 노이즈필터용 이상유무 확인장치
JP5154741B2 (ja) * 2005-05-26 2013-02-27 テクトロニ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セールス・ゲーエムベーハー 雑音特性表示方法
JP5433202B2 (ja) * 2008-10-24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ノイズ評価装置
JP2014163787A (ja) * 2013-02-25 2014-09-08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多相電力機器の絶縁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JP2014228386A (ja) * 2013-05-22 2014-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ノイズ源位置推定装置及びノイズ源位置推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4741B2 (ja) * 2005-05-26 2013-02-27 テクトロニ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セールス・ゲーエムベーハー 雑音特性表示方法
JP5433202B2 (ja) * 2008-10-24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ノイズ評価装置
KR20130011543A (ko) * 2011-07-22 2013-01-30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이상유무 확인이 가능한 노이즈필터 및 노이즈필터용 이상유무 확인장치
KR101178427B1 (ko) * 2012-04-19 2012-08-30 (주)그린텍시스템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JP2014163787A (ja) * 2013-02-25 2014-09-08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多相電力機器の絶縁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JP2014228386A (ja) * 2013-05-22 2014-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ノイズ源位置推定装置及びノイズ源位置推定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964B1 (ko) * 2018-12-12 2019-08-2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미믹동작표시기와 el와이어 램프에 의한 도어록킹 연동시스템이 적용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663B2 (en) Monitoring lighting
US9554440B2 (en) Dimmable LED lighting apparatus
CN106569571B (zh) 具有色彩管理功能的电源分配设备
WO2012008800A2 (ko) Led 조명용 통합 전원 집적 회로
EP2398298A2 (en) Power supply for an airfield LED sign
KR20100045342A (ko) 전원안정화 기능을 갖는 교류전원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42106B1 (ko) 그룹 디밍이 가능한 정전류 엘이디 컨버터
CN101917800A (zh) 一种led控制器
US9439256B2 (en) Flicker-free lamp dimming-driver circuit for sequential LED bank control
KR101848751B1 (ko) 노이즈 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KR101743064B1 (ko) 엘이디 조명의 디밍 제어장치
CN101749582B (zh) 一种具有连续精确调光、稳光功能的灯具
KR101263414B1 (ko) 중성-접지 진단형 컨디션램프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
US10333259B1 (en) Power distribution unit
EP2647260B1 (en) Adaptable driver circuit for driving a light circuit
KR200259103Y1 (ko) 무정전 전원 전환장치
KR102120123B1 (ko) Led 감성 조명 장치
KR101987906B1 (ko) Led 개수에 따라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101311730B1 (ko) 플리커레스 기능이 구비된 led조명등기구
CN111436175A (zh) 应急标志灯和灯具管理系统
KR101598987B1 (ko) 가로등 및 터널등 등의 엘이디 등기구 디밍 제어방법 및 엘이디 등기구 시스템
KR101178427B1 (ko)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KR100970202B1 (ko) 조명기기 조절장치가 결합된 모니터
CN110277686B (zh) 电源分配器
KR101494816B1 (ko) 조명 조절 시스템 및 조도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