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737B1 - 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737B1
KR101848737B1 KR1020160093519A KR20160093519A KR101848737B1 KR 101848737 B1 KR101848737 B1 KR 101848737B1 KR 1020160093519 A KR1020160093519 A KR 1020160093519A KR 20160093519 A KR20160093519 A KR 20160093519A KR 101848737 B1 KR101848737 B1 KR 10184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otating
weight
air breath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0812A (en
Inventor
노수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16009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737B1/en
Publication of KR2018001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브리더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출입구가 구비된 제1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공기출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파이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어박스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제1파이프에 구비된 공기출입구가 회동수단에 의해 항상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기어박스 내부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브리더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reather and a cran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st pipe having an air inlet and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pipe such that the air inlet of the first pipe faces upward An air breather which can prevent the oil in the gear box from leaking with the air inlet port provided in the first pipe always facing upward by the rotating means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gear box is changed and an air breather It's about a crane.

Description

에어브리더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reather and a cra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브리더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reather and a crane having the same.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박스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제1파이프에 구비된 공기출입구가 회동수단에 의해 항상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기어박스 내부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브리더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breather which can prevent the oil in the gear box from leaking with the air inlet port provided in the first pipe always facing upward by the rotating means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gear box is changed and a crane .

일반적으로 에어브리더는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스(예를 들면, 기어박스 등)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로부터의 공기 배출을 통해 기어의 작동으로 인한 케이스 내부의 상승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Generally, an air breather is installed in a case (for example, a gear box) of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discharges the upward pressure inside the ca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gear through the air exhaust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to the outside.

이러한 종래의 에어브리더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1358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Such conventional air breathe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9-0031358.

종래의 에어브리더는, 그 중앙부에 상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연에 그 상하면을 연결하는 홈이 형성된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A conventional air brea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as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case, a cap member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therein, And a mov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cap member and having a groove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the outer periphery.

하지만, 종래의 에어브리더는 케이스의 위치가 바뀔 경우, 케이스의 위치에 따라 배출공이 하측을 향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의 오일이 에어브리더를 통해 누유될 수 있고, 이 때문에 케이스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breather, when the position of the case is changed, the discharge hole can be directed downwar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se, so that the oil in the case can leak through the air bre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특히, 종래의 에어브리더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2128호에 게재된 크레인의 붐과 같이 상하로 회동하는 움직임이 있는 부위에 장착된 윈치의 기어박스에 설치될 경우, 붐의 회동(굴절)에 의해 기어박스의 위치가 바뀌게 되고, 기어박스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에어브리더의 배출공이 향하는 방향이 하측으로 바뀔 수 있으므로 크레인의 동작 또는 격납 시 기어박스 내부의 오일이 에어브리더를 통해 누유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when a conventional air breather is installed in a gear box of a winch mounted on a moving part that rotates up and down like a boom of a cran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2128,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air breather may be changed to the lower side as the position of the gear box is changed. Therefore, the oil in the gear box can be leaked through the air breather when the crane is operated or stored. .

KRKR 20-1999-003135820-1999-0031358 UU KRKR 10-151212810-1512128 B1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어박스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제1파이프에 구비된 공기출입구가 회동수단에 의해 항상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기어박스 내부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브리더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inlet port provided in a first pip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breather and a crane hav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브리더는, 공기출입구가 구비된 제1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공기출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파이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pe having an air inlet and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pipe such that the air inlet of the first pipe faces upward .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추 및,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추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추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voting means may include a rotating weigh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formed to b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rotating weight so as to be rotatable additionally .

또한,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회전추 및 상기 제1파이프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ipe is located ab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ating weight and the first pipe.

또한,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회전추의 상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ipe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weight.

또한, 상기 제1파이프에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추에는 오일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파이프에는 제2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 상기 오일실 및 상기 제2유로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ipe is formed with a first flow path, the rotating weight is formed with an oil chamber, and the second pipe is provided with a second flow path. The first flow path, the oil path, And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오일실에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오일실은 상기 제2파이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홀에 의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ipe is disposed to cross the oil chamber, and the second flow path and the oil chamber are communicated with 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pipe,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은, 윈치의 기어박스에 설치되는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가, 공기출입구가 구비된 제1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공기출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파이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ne including an air breather installed in a gear box of a winch, wherein the air breather includes a first pipe having an air inlet, And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pipe such that the air inlet port of the first pipe faces upward.

본 발명에 따른 에어브리더 및 이를 구비한 크레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air brea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ane hav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본 발명에 따른 에어브리더는 기어박스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제1파이프에 구비된 공기출입구가 회동수단에 의해 항상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기어박스 내부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air brea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oil in the gear box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by making the air inlet provided in the first pipe always face upward by the rotating mean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gear box is changed.

본 발명에 따른 에어브리더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The air brea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in structure and high in dur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에어브리더는 제2파이프를 통해 회전추로 유동하는 오일이 회전추에 형성된 오일실에 의해 고이게 됨으로써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air brea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il flowing through the second pipe through the rotating weight is floated by the oil chamber formed in the rotating weight, thereby preventing oil leakage.

본 발명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은 동작 또는 격납 시 에어브리더를 통해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crane equipped with the air brea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oil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air breather during operation or contain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을 도시한 제1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을 도시한 제2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을 도시한 제3사용상태도.
1 is a front view of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breath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use state view showing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use state view showing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hird use state view showing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는, 공기출입구(120)가 구비된 제1파이프(100) 및, 제1파이프(100)의 공기출입구(1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제1파이프(10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00)을 포함한다.1 and 2,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pe 100 having an air inlet 120 and a first pipe 100 having an air inlet 120 of the first pipe 100 (200) for rotating the first pipe (100) so that the first pipe (100) faces upward.

제1파이프(1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first pipe 100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파이프(10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유로(110)가 구비된다. 제1유로(11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다.The first pipe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flow path (110)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flow path 110 are both opened.

제1유로(110)의 상단측에는 제1유로(110)와 연통되는 공기출입구(120)가 형성된다. 공기출입구(120)는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거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공기출입구(12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제1유로(110)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필터(121)가 내장될 수 있다.An air inlet 12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11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110. The air inlet 120 is a portion wher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 filter 12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ir inlet 120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irst flow path 110.

제1파이프(100)의 하부에는 후술할 회전추(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1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추(21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100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130 for engaging with a rotating weight 21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0 may have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may be fastened to a rotating weight 210 to be described later.

제1결합부(130)의 상단에는 제1플랜지(140)가 형성된다. 제1플랜지(140)는 후술할 회전추에 체결되는 제1파이프(100)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A first flange 140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0. The first flange 140 serves to limit the fastening depth of the first pipe 100 fastened to a rotating weight to be described later.

제1파이프(100)의 하부에는 회동수단(200)이 설치된다. 회동수단(200)은 제1파이프(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추(210) 및,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추(210)가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추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파이프(220)를 포함한다.A rotating means (20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pipe (100). The rotating means 200 includes a rotating weight 21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100 and a second pipe 210 formed to b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weight so that the rotating weight 210 can rotate 220).

회전추(2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파이프(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추(210)의 상측 내부에는 제1파이프(100)의 제1결합부(13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된다.The rotary weight 2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a whole an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1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0 of the first pipe 100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weight 210 and is fastened.

회전추(210)의 상측에는 후술할 제2파이프(220)를 설치하기 위해 관통공(21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회전추(210)의 내부 좌측과 우측에는 관통공(211)을 둘러싼 오링(212)이 각각 설치된다. A through hole 211 is formed long to the left of the rotating weight 210 to provide a second pipe 22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through hole 211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ting weight 210 And the surrounding O-rings 212 are respectively installed.

회전추(210)의 중앙 상측 내부에는 오일실(213)이 형성된다. 오일실(213)은 제1파이프(100)의 제1유로(110)와 서로 연통되며, 하단부 일부분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오일실(213)에는 기어박스(G)에서 비산되어 후술할 제2파이프를 통해 회전추(210)로 유동하는 오일이 고이게 됨으로써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n oil chamber 213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rotating weight 210. The oil chamber 213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low path 110 of the first pipe 100, and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il chamber 213 is tapered. The oil flowing into the rotating weight 210 through the second pipe, which is scattered by the gear box G and is described later, is filled in the oil chamber 213,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oil.

회전추(210)에는 제2파이프(220)가 설치된다. 제2파이프(22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파이프(220)는 회전추(210)가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추(210)의 상측 양측면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제2파이프(220)는 회전추(21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된다.A second pipe 22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weight 210. The second pipe 220 is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pipe 220 is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weight 210 so that the rotating weight 210 can rotate. That is, the second pipe 220 is eccentrically installed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weight 210.

제2파이프(220)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유로(221)가 구비된다. 제2유로(221)는 좌측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우측단부가 폐쇄되어 있다. 제2유로(221)는 오일실(213)과 서로 직교한다. 제2유로(221)는 제2파이프(220)가 기어박스(G)에 설치될 경우, 기어박스(G)의 내부와 연통된다. 제2유로(221)는 기어박스(G)의 내부, 오일실(213) 및 제1유로(110)와 서로 연통되어 있어서 기어박스(G) 내의 상승압력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second pipe 220 is provided therein with a second flow path 221 which is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left end of the second flow path 221 is open, and the right end is closed. The second flow path 221 is orthogonal to the oil chamber 213. The second flow path 221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gear box G when the second pipe 220 is installed in the gear box G. [ The second flow path 221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gear box G and the oil chamber 213 and the first flow path 110 to discharge upward pressure and air in the gear box G to the outside.

제2파이프(220)의 우측에는 제2파이프(2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홀(222)이 형성된다. 각각의 홀(222)은 제2파이프(22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제2유로(221)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홀(222)은 일정간격으로 네 개가 형성되어 제2유로(221)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홀(222)은 오일실(213)과 제2유로(221)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holes 222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pipe 22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pe 220. Each of the holes 222 is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220 an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low path 221. It is preferable that four holes 22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221. Each of the holes 222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oil chamber 213 and the second flow path 221.

제2파이프(220)의 좌측에는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어박스(G)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부(223)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22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기어박스(G)에 체결될 수 있다.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pipe 220, a second coupling portion 223 for coupling with the gear box G is formed in the case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3 may be threa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fastened to the gear box G. [

제2결합부(223)의 우측단에는 제2플랜지(224)가 형성된다. 제2플랜지(224)는 기어박스(G)에 체결되는 제2파이프(220)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A second flange 224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223. The second flange 224 serves to restrict the fastening depth of the second pipe 220 fastened to the gear box G. [

제2파이프(220)의 우측에는 회전추(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3결합부(225)가 형성된다. 제3결합부(22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3결합부(225)는 제2파이프(220)가 회전추(210)를 관통하여 설치될 때 회전추(210)의 우측면으로 튀어나오게 되어 너트(N)와 체결된다.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pipe 220, a third engaging portion 225 for engaging with the rotating weight 210 is formed.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5 is formed with thread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When the second pipe 220 is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weight 210, the third coupling part 225 protrudes to the right side of the rotating weight 210 and is fastened to the nut N. [

제2파이프(220)의 중앙 부근에는 제2파이프(220)의 제3결합부(225)가 회전추(210)의 우측으로 일정위치까지 돌출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단차부(226)가 형성된다. 단차부(226)는 제2파이프(220)를 회전추(210)의 좌측면에서 우측면으로 관통시킬 때 제2파이프(220)의 우측단부가 일정위치까지 이동하면 회전추(210)의 좌측면에 걸려 제2파이프(220)가 더 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단차부(226)를 기준으로 제2파이프(220)의 좌측부분은 회전추(210)의 관통공(211)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A stepped portion 226 serving as a stopper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second pipe 220 so that the third engaging portion 225 of the second pipe 220 protrudes to the right side of the rotating weight 2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 When the right end of the second pipe 220 mov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second pipe 220 is pass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rotating weight 210, So that the second pipe 220 can no longer move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The left portion of the second pipe 220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211 of the rotating weight 210 with respect to the stepped portion 226.

제2파이프(220)는 우측단부측에 형성된 제3결합부(225)가 회전추(210)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추(210)를 관통하고, 이 상태로 제3결합부(225)가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제2파이프(220)와 회전추(210)가 결합된다. 이때, 회전추(210)는 제2파이프(220)를 축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제2파이프(220)는 회전추(210) 및 제1파이프(10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추(210)에 설치된다. 이는 회전추(210) 및 제1파이프(10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회전추(210)를 관통한 제2파이프(220)를 기준으로 회전추(210)의 하측부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서 볼 때, 제2파이프(220)를 기준으로 회전추(210)의 하측부 무게는 회전추(210)의 상측부 및 제1파이프(100)의 무게의 합보다 무겁도록 형성되어 기어박스(G)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도 회전추(210)의 상측부 및 제1파이프(100)의 무게의 합보다 무겁도록 형성된 회전추(210)의 하측부는 항상 제2파이프(220)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제1파이프(100)의 공기출입구(120)가 항상 상측을 향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어박스(G) 내부에서는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오일이 누유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pipe 220 passes through the rotating weight 210 so that the third engaging part 225 formed on the right end side protrudes to the right from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otating weight 210. In this state, The second pipe 220 and the rotating weight 2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rotary weight 210 is rotatable about the second pipe 2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pipe 22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weight 2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ating weight 210 and the first pipe 100. This is because the entire weight of the rotating weight 210 and the first pipe 10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weight 210 based on the second pipe 220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weight 210. 1 and 2, the w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weight 210 is determined based on the sum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weight 210 and the weight of the first pipe 100 based on the second pipe 220,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weight 210 formed to be heavier than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weight 210 and the weight of the first pipe 100 is constantly maintained even when the gear box G is rotated in the front- And the air inlet 120 of the first pipe 100 is always directed upward, because the second pipe 220 is located below the second pipe 220. Therefore, only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gear box G, and oil leakage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을 설명함에 있어서 에어브리더는 전술했던 에어브리더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각 구성들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crane having the air breath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breather is the same as the air breather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을 도시한 제1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을 도시한 제2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을 도시한 제3사용상태도이다.FIG. 3 is a first use state view showing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third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은, 윈치(50)의 기어박스(G)에 설치되는 에어브리더(60)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 에어브리더(60)는, 공기출입구(120)가 구비된 제1파이프(100) 및, 제1파이프(100)의 공기출입구(1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제1파이프(10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00)을 포함한다.3 to 5,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60 installed in a gear box G of a winch 50 The air breather 60 includes a first pipe 100 having an air inlet 120 and a second pipe 100 having an air inlet 120 of the first pipe 100 facing upward, (200).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은 굴절식 크레인으로서 기본적으로 아우트리거(10), 지지프레임(20), 제1붐(30), 제2붐(40) 및 윈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ractory crane and basically comprises an outrigger 10, a support frame 20, a first boom 30, a second boom 40, (5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의 하부를 이루며, 작업 시 차량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3, the outrigger 10 is a lower part of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s to fix and support the vehicle at the time of work.

아우트리거(10)의 상부에는 지지프레임(20)이 설치된다. 지지프레임(20)은 아우트리거(10)의 상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A support frame (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rigger (10). The support frame 20 is pivotally moun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t the top of the outrigger 10.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는 제1붐(30)이 연결된다. 제1붐(30)은 제1유압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된다.A first boom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20). The first boom (3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vertically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25).

제1붐(30)의 상부에는 제2붐(40)이 연결된다. 제2붐(40)은 제2유압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붐(30)에 연결된다.A second boom (40)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om (30). The second boom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om (30) so as to be vertically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35).

제2붐(40)의 하부측에는 윈치(50)가 장착된다. 윈치(50)는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로써 드럼(미도시), 모터(미도시), 감속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G) 및 와이어(5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종래의 윈치(50)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om (40), a winch (50) is mounted. The winch 50 is constituted by a drum (not shown), a motor (not shown), a gear box G having a reducer built therein and a wire 51 as a machine for lifting or pulling a heavy object to a high place, The winch 50 is the same as the winch 50 of FIG.

윈치(50)에는 에어브리더(60)가 설치된다. 에어브리더(60)는 윈치(50)의 기어박스(G)에 설치되어 전술했던 바와 같이, 기어박스(G) 내부의 상승압력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브리더(60)의 제2파이프(220)는 제2붐(40)의 회동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기어박스(G)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브리더(60)의 제2파이프(220)는 제2붐(40)의 회동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어박스(G)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2붐(40)의 회동방향과 에어브리더(60)의 회전추(210)의 회동방향은 동일하게 된다.The winch (50) is provided with an air breather (60). The air breather 60 is installed in the gear box G of the winch 50 and serves to discharge the upward pressure inside the gear box G and the air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ipe 220 of the air breather 60 is installed in the gear box G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om 4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ipe 220 of the air breather 60 is installed in the gear box 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ivot axis of the second boom 40,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weight 210 of the air breather 60 is the sam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브리더(60)의 공기출입구(120)는 제1붐(30) 및 제2붐(40)이 각각 제1유압실린더(25) 및 제2유압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굴절되더라도 제2파이프(220)를 기준으로 회전추(210) 하측부의 무게가 회전추(210) 상측부 및 이에 설치된 제1파이프(100)의 무게를 더한 값보다 무겁기 때문에 제2파이프(220)를 축으로 회동하여 항상 상측을 향하게 되며, 이로 인해 기어박스(G)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 to 5, the air inlet 120 of the air breather 6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boom 30 and the second boom 40 are connected to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25 and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40, respectively, The w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weight 210 is calculated by adding the weight of the first pipe 10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weight 210 and the weight of the first pipe 100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weight 210, The second pipe 220 rotates about the axis and is constantly directed upward so that the oil in the gear box G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an do.

10 : 아우트리거 20 : 지지프레임
25 : 제1유압실린더 30 : 제1붐
35 : 제2유압실린더 40 : 제2붐
50 : 윈치 51 : 와이어
60 : 에어브리더 100 : 제1파이프
110 : 제1유로 120 : 공기출입구
121 : 필터 130 : 제1결합부
140 : 제1플랜지 200 : 회동수단
210 : 회전추 211 : 관통공
212 : 오링 213 : 오일실
220 : 제2파이프 221 : 제2유로
222 : 홀 223 : 제2결합부
224 : 제2플랜지 225 : 제3결합부
226 : 단차부 G : 기어박스
N : 너트
10: Outrigger 20: Support frame
25: first hydraulic cylinder 30: first boom
35: second hydraulic cylinder 40: second boom
50: winch 51: wire
60: air breather 100: first pipe
110: first flow path 120: air inlet
121: filter 130: first coupling portion
140: first flange 200: rotating means
210: Rotation weight 211: Through hole
212: O-ring 213: Oil seal
220: second pipe 221: second flow path
222: hole 223: second coupling portion
224: second flange 225: third engaging portion
226: step G: gear box
N: Nut

Claims (7)

삭제delete 공기출입구가 구비된 제1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공기출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파이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추; 및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추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추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
A first pipe having an air inlet; And
And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pipe such that the air inlet port of the first pipe faces upward,
The rotating means
A rotating weigh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And
And a second pi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weight so as to be rotatable additional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회전추 및 상기 제1파이프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pipe is located ab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ating weight and the first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회전추의 상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pipe is install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wei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에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추에는 오일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파이프에는 제2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 상기 오일실 및 상기 제2유로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flow path is formed in the first pipe,
An oil chamber is formed in the rotating weight,
A second flow path is formed in the second pipe,
Wherein the first flow path, the oil chamber, and the second flow pat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오일실에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오일실은 상기 제2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의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pipe is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oil chamber,
Wherein the second flow path and the oil chamber are communicated by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pe.
윈치의 기어박스에 설치되는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는,
공기출입구가 구비된 제1파이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공기출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파이프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추; 및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추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추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를 구비한 크레인.



A crane having an air breather installed in a gear box of a winch,
The air-
A first pipe having an air inlet; And
And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pipe such that the air inlet port of the first pipe faces upward,
The rotating means
A rotating weigh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And
And a second pi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weight so as to be rotatable additionally.



KR1020160093519A 2016-07-22 2016-07-22 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 KR101848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19A KR101848737B1 (en) 2016-07-22 2016-07-22 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19A KR101848737B1 (en) 2016-07-22 2016-07-22 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12A KR20180010812A (en) 2018-01-31
KR101848737B1 true KR101848737B1 (en) 2018-05-21

Family

ID=6108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519A KR101848737B1 (en) 2016-07-22 2016-07-22 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73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6975A (en) 2005-11-28 2007-06-14 Kubota Corp Breather device of working car
JP2009242024A (en) * 2008-03-28 2009-10-22 Ihi Corp Transport method of deck crane
JP2010038222A (en) * 2008-08-04 2010-02-18 Toyota Motor Corp Breathe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6975A (en) 2005-11-28 2007-06-14 Kubota Corp Breather device of working car
JP2009242024A (en) * 2008-03-28 2009-10-22 Ihi Corp Transport method of deck crane
JP2010038222A (en) * 2008-08-04 2010-02-18 Toyota Motor Corp Breath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12A (en)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737B1 (en) Air breather and crane having the same
KR101816815B1 (en) Getting on and off type wall structure for flood preventing
CN100596323C (en) Support cylinder as well as support means and crane having the same
JP2011032812A (en) Center joint and working machine
CN209621394U (en) Tunnel drainage system
ITTO930871A1 (en) CASING SYSTEM FOR HYDRAULIC UNITS
KR20000075513A (en) Guard cover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1254083B1 (en) Coupling pipe one body type underground water well cover with cavity waterway
CN102817827A (en) Reversing valve and manual hydraulic pump with same
CN108953285A (en) A kind of lifting special piston cylinder
KR101159234B1 (en) Drain oil tank for ship
CN105387193B (en) A kind of liquid level sensor mounting structure
CN108645475A (en) A kind of high temperature resistant visualization liquid position display device
CN104003311B (en) Fender guard and hoisting crane
KR100581550B1 (en) Structure constructing an environment to diagnose safety of construction under water
US10071324B2 (en) Backwashing fluid discharge apparatus and filter unit
CN207728573U (en) Stable type high-pressure slurry pump installation
CN204250700U (en) Oil drum is drained the oil control setup and fluid apparatus for placing
CN206157798U (en) Hydraulic grab grooving machine
ITTO20080209A1 (en) PRESSURE CONDUCTING CLOSURE SYSTEM AND RELATED INSTALLATION PROCEDURE.
JP3225239B2 (en) Rotary joint
CN213090910U (en) Circulating mixing drum slurry liquid level monitoring device
CN204127032U (en) Oil hydraulic cylinder oil-leakage-prevention end cap
CN213871059U (en) Motor oil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CN218296552U (en) Dry centrifuge of chemi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