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88B1 -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88B1
KR101848688B1 KR1020160042037A KR20160042037A KR101848688B1 KR 101848688 B1 KR101848688 B1 KR 101848688B1 KR 1020160042037 A KR1020160042037 A KR 1020160042037A KR 20160042037 A KR20160042037 A KR 20160042037A KR 101848688 B1 KR101848688 B1 KR 10184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cylindrical
hole
spra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674A (ko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온
Priority to KR102016004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6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바닥면에 의해 막혀 있으며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원통형 몸체(112)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외주면에 빙 둘러서 띠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 마개돌기(114)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내면 수직격벽돌기(116)와, 상기 수직격벽돌기(116)들의 사이에 존재하고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넓고 안쪽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는 소용돌이 유도홀(118)과,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118)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119)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사용할 경우, 에어로졸 캔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도, 외부로 향 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Injection Nozzle Ca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Injecting Aromatic Perfume}
본 발명은 향 분사기의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것을 이용한 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PG와 같은 고압기체를 사용하지 않는 향 분사기에 있어서, 분사되어지는 향 성분을 미세하게 분무화시킬 수 있는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을 이용하여 향 성분을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분사할 수 있는 상기 분사캡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 분사기는 에어로졸 캔의 내부에 향 성분을 충진시키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일정량의 향 성분을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생활용품 중의 하나이다. 자동 향 분사기를 사용함으로써,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에 향기 성분을 공급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도하고 있다.
자동 향 분사기는 에어로졸 캔의 내부에 충진된 향 성분이 외부로 분출될 경우, 강한 압력으로 분출됨으로써, 공기 중에서 용이하게 분무화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LP 가스 등을 향 성분과 함께 충진시키고 있다. 자동 향 분사기에 충진된 향 성분과 LP 가스는 향 성분이 분사될 때마다 공기 중에 분출되어지고, 향 성분에 의해 실내에 향긋한 향을 제공하는 반면에, 실내 공기를 오히려 오염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자동 향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향 성분 중의 LP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캔의 내부에 향 주머니를 만들고, 향 주머니의 내부에 순수한 향 성분만을 충진시키고, 상기 향 주머니와 에어로졸 캔의 사이에 질소(N2) 가스를 충진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오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할 경우, 향 분사기는 대체적으로 가압되는 압력이 낮아서, 분사노즐을 통과하는 향 성분이 제대로 분무되지 않고, 분사노즐의 끝단에서 약간씩 액적의 형태로 분사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향 분사기는 통상적인 분사기의 노즐을 사용할 경우, 언제나 위와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특별한 구조의 노즐을 개발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의 향 분사기에 사용된 분사 노즐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31595호 "회전날개 노즐구조"로 소개되어 있다. 상기 "회전날개 노즐구조"에 의하면,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외부에 가늘고 긴 통로를 만들고, 그 몸체의 끝단에 회전날개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부를 삽입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향 분사기에 사용된 분사노즐은 회전날개에 의한 회전력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본체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의 진행 방향과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 방향이 동일한 축 선상에 있으므로, 향 성분의 회전력을 충분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31595호 "회전날개 노즐구조" (2003. 10. 2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6384호 "분사장치와 향 용기의 결합장치" (2002. 3. 4.).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PG와 같은 고압기체를 사용하지 않는 향 분사기에 있어서 분사되어지는 향 성분을 미세하게 분무화시킬 수 있는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을 제공하고,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을 분사노즐의 접속결합부에 결합하여 향 성분을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분사할 수 있는 상기 분사캡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바닥면에 의해 막혀 있으며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빙 둘러서 띠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 마개돌기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내면 수직격벽돌기와, 상기 수직격벽돌기들의 사이에 존재하고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넓고 안쪽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는 소용돌이 유도홀과,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을 포함하고 있는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은, 향기성분을 고압으로 충진하고 있는 에어로졸 캔과, 전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일정한 시간마다 향기 분출공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에어로졸 캔과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결합시켜주고 외부로 향기성분을 발산하는 접속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향 분사기에 결합되어 사용되어진다. 상기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은 상기 접속결합부의 노즐 전면에 위치한 원통형 편심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을 상기 접속결합부의 원통형 편심몸체에 삽입시켜 결합시키되, 상기 분사캡의 외주면 마개돌기가 상기 원통형 편심몸체의 원통형 절개홈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분사캡의 내면 수직격벽돌기가 상기 원통형 편심몸체의 원통형 절개홈의 안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속결합부의 향기분출공의 설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기 분사캡의 분사공의 설치 위치에 비하여 더 위쪽에 존재하도록 결합시키며, 이를 통하여 상기 향기분출공과 상기 분사공이 서로 편심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접속결합부에서 가압되는 향 성분의 이동 방향과 분사캡의 분사공에서 공기 중으로 분사되어 진행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편심축 상에 있으므로, 공기 중으로 분사되는 향 성분이 더욱 심하게 요동치면서 혼화되어지고, 심하게 회전되어지면서 분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을 사용할 경우, 에어로졸 캔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도, 외부로 향 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b는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의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절개도이며,
도 3b는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의 내부를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향 분사기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향 분사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향 성분을 미세하게 분무화시킬 수 있는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제공한다.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통상의 향 분사기에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LPG와 같은 고압기체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캔(120)의 내부에 순수한 향 성분만을 충진하여 사용하는 향 분사기에 더욱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에서는 순수한 향 성분만을 충진하고 있는 향 충진주머니(122)와, 가압 기체로서 질소가스 등을 충진하는 가압공간부(124)를 형성하고 있는 에어로졸 캔(12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인 반면에, 도 1b는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통상적으로 향 분사기는 향 성분을 고압으로 충진하고 있는 에어로졸 캔(120)과, 전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일정한 시간마다 향기 분출공(134)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부(140)와, 상기 에어로졸 캔(120)과 상기 솔레노이드부(140)를 결합시켜주고 외부로 향기성분을 분무하여 발산하는 접속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그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바닥면에 의해 막혀 있는 원통형 몸체(1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12)는 한쪽 부분이 뚫려 있고 그 반대쪽이 바닥면으로 막혀 있으며,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원통형의 크기는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원통형 절개홈(138)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한정되어진다.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외주면에 빙 둘러서 외주면 마개돌기(1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주면 마개돌기(114)는 외주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빙 둘러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면 마개돌기(114)는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의 내부로 삽입되어, 원통형 절개홈(138)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외주면 마개돌기(114)는 원통형 몸체(112)와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의 틈새를 따라 들어온 향 성분이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방벽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내면 수직격벽돌기(11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직격벽돌기(116)는 원통형 몸체(122)의 내부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격벽돌기(116)는 2개 이상 5개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들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격벽돌기(116)는 원통형 절개홈(138)에 삽입될 경우,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의 안쪽 방향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시킨다. 상기 수직격벽돌기(116)와 수직격벽돌기(116)의 사이에는 빈 공간의 틈새를 형성하고, 향 성분이 이동할 수 있는 작은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바닥면에 복수의 소용돌이 유도홀(11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118)은 상기 수직격벽돌기(116)과 수직격벽돌기(116)의 사이에 존재하고,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넓고 안쪽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향 성분이 고압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명확한 바와 같이, 바깥쪽에 비하여 안쪽에서 더욱 빠르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그 과정에서 회오리 내지 소용돌이를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액상의 향 성분이 더욱 효율적으로 미세한 기체상으로 분무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상기 바닥면의 중앙 부분에 분사공(11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분사공(119)은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118)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의 중앙에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분사공(119)을 통하여 향 성분이 외부의 공기 중으로 분무되어 나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의 사용방법은 향 분사기의 접속결합부(130)에 결합한 다음, 에어로졸 캔(120)의 내부에 존재하는 향 성분을 분출시킴으로써 완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향기성분을 고압으로 충진하고 있는 에어로졸 캔(120)과, 전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일정한 시간마다 향기 분출공(134)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부(140)와, 상기 에어로졸 캔(120)과 상기 솔레노이드부(140)를 결합시켜주고 외부로 향기성분을 발산하는 접속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있는 향 분사기에 결합되어 사용되어진다.
상기 에어로졸 캔(120)은 향기 성분을 고압으로 충진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으로는 향 성분에 LPG와 같은 압력 추진성분을 혼합하여 포함하고 있지만, 순수한 향 성분만을 분사시키고 압력 추진성분을 별도로 충진시키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에어로졸 캔(120)은 순수한 향 성분만을 충진하고 있는 향 충진주머니(122)와, 가압 기체로서 질소가스 등을 충진하는 가압공간부(12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4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와 같은 전기적인 또는 전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일정한 시간마다 접속결합부(130)의 향기 분출공(134)을 개폐시킨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40)가 상기 향기 분출공(134)을 개방시킬 경우, 상기 에어로졸 캔(120)의 내부에 있는 향 성분이 고압으로 상기 향기 분출공(134)을 통하여 분출되어지고, 상기 솔레노이드부(140)가 상기 향기 분출공(134)을 폐쇄시킬 경우, 상기 에어로졸 캔(120)의 내부에 있는 향 성분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저지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결합부(130)는 상기 에어로졸 캔(120)을 결합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부(140)를 결합시켜주고,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14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 캔(120) 내부의 향 성분을 외부로 분사되어지도록 해주는 것을 돕는다. 상기 향 성분의 외부에 대한 분사 작용은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노즐 전면에 존재하는 일련의 구성부분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원통형 편심몸체(13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진 다음, 에어로졸 캔(120)의 내부에 충진된 향 성분이 외부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되어진다.
상기 원통형 편심몸체(132)는 상기 접속결합부(130)에 연결되어 있고, 그의 내부에 원통형 절개홈(13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분출공(134)은 이동통로(136)를 통하여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은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의 몸체(112)를 삽입시켜 결합시키기 위하여 원통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원통형 편심몸체(132)에 삽입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분사캡(110)의 외주면 마개돌기(114)가 상기 원통형 편심몸체(132)의 원통형 절개홈(138)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분사캡(110)의 내면 수직격벽돌기(116)가 상기 원통형 편심몸체(132)의 원통형 절개홈(138)의 안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분출공(134)을 통하여 분출된 향 성분은 상기 이동 통로(136)를 통하여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으로 진행하게 되고, 상기 수직격벽돌기(116)들에 의해 몇개의 지류로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 향 성분은 다시 상기 원통형 몸체(122)의 바닥면에 형성된 각각의 소용돌이 유도홀(118)을 따라 세차게 회전하면서 상기 분사공(119)으로 분출되어진다. 상기 분사공(119)에서는 분무화된 향 성분이 실내의 공기 중으로 분사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향기분출공(134)의 설치 위치는 상기 분사캡(110)의 분사공(119)의 설치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위쪽에 존재하게 된다. 이는 상기 향기분출공(134)과 상기 분사공(119)이 서로 편심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상기 분사 노즐 결합용 분사캡의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 분사캡, 112 : 원통형 몸체,
114 : 외주면 마개돌기, 116 : 내면 수직격벽돌기,
118 : 소용돌이 유도홀, 119 : 분사공,
120 : 에어로졸 캔, 122 : 향기 충진주머니,
124 : 가압 공간부, 130 : 접속결합부,
132 : 원통형 편심몸체, 134 : 분출공,
136 : 이동통로, 138 : 원통 절개홈,
140 : 솔레노이드부

Claims (4)

  1. 향분사기의 접속결합부(130)에 결합되어지고, 그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바닥면에 의해 막혀 있으며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원통형 몸체(112)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외주면에 빙 둘러서 띠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원통형 절개홈(138)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12)를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원통형 몸체(112)와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의 틈새를 따라 들어온 향 성분이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방벽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외주면 마개돌기(114)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2개 내지 5개의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편심몸체(132)의 원통형 절개홈(138)의 안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112)에 고정되어지도록 하며,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분출공(134)과 이동통로(136)와 원통형 절개홈(138)을 따라 진행되어 오던 향 성분을 상기 2개 내지 5개의 지류로 나누어져 진행하도록 해주는 내면 수직격벽돌기(116)와,
    상기 수직격벽돌기(116)와 수직격벽돌기(116)의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넓고 안쪽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는 소용돌이 유도홀(118)과,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118)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119)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12)는 상기 접속결합부(130)에 결합되어짐으로써,
    향 성분을 고압으로 충진하고 있는 에어로졸 캔(120)과, 전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일정한 시간마다 향기 분출공(134)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부(140)와, 상기 에어로졸 캔(120)과 상기 솔레노이드부(140)를 결합시켜주고 외부로 향기성분을 분무하여 발산하는 상기 접속결합부(130)로 구성된 향 분사기의 용도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
  3. 향분사기의 접속결합부(130)에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을 결합하여 사용하되,
    상기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은, 그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바닥면에 의해 막혀 있으며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원통형 몸체(112)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외주면에 빙 둘러서 띠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원통형 절개홈(138)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12)를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원통형 몸체(112)와 상기 원통형 절개홈(138)의 틈새를 따라 들어온 향 성분이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방벽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외주면 마개돌기(114)와;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2개 내지 5개의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편심몸체(132)의 원통형 절개홈(138)의 안쪽 외주면에 밀착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112)에 고정되어지도록 하며,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분출공(134)과 이동통로(136)와 원통형 절개홈(138)을 따라 진행되어 오던 향 성분을 상기 2개 내지 5개의 지류로 나누어져 진행하도록 해주는 내면 수직격벽돌기(116)와; 상기 수직격벽돌기(116)와 수직격벽돌기(116)의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넓고 안쪽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는 소용돌이 유도홀(118)과;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118)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119)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향분사기의 에어로졸 캔(120)에서 나온 향 성분이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이동통로(134)와 원통형 절개홈(138)으로 진행하고,
    상기 외주면 마개돌기(114)에 의해 그 진행방향이 막히게 된 향 성분이 상기 수직격벽돌기(116)와 수직격벽돌기(116)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따라 각각의 지류로 나누어져 진행하고,
    상기 수직격벽돌기(116)와 수직격벽돌기(116)들의 틈새를 따라 나온 향 성분이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118)에 의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그 이동속도가 빠르게 진행하며,
    상기 소용돌이 유도홀(118)을 따라 진행하던 향 성분이 상기 원통형 몸체(112)의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119)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의 사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결합부(130)의 향기분출공(134)의 설치 위치가 상기 분사캡(110)의 분사공(119)의 설치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위쪽에 존재하도록 결합시키며, 이를 통하여 상기 향기분출공(134)과 상기 분사공(119)이 서로 편심 방향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110)의 사용방법.

KR1020160042037A 2016-04-06 2016-04-06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KR10184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37A KR101848688B1 (ko) 2016-04-06 2016-04-06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37A KR101848688B1 (ko) 2016-04-06 2016-04-06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74A KR20170114674A (ko) 2017-10-16
KR101848688B1 true KR101848688B1 (ko) 2018-05-24

Family

ID=6029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37A KR101848688B1 (ko) 2016-04-06 2016-04-06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2520B (zh) * 2019-12-04 2021-03-02 吉林大学 能够快速的对大范围病房进行喷药的喷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306Y1 (ko) * 2000-09-20 2001-03-15 김현 개선된 배출구를 갖는 전자식 분사장치
KR100385696B1 (ko) * 1995-02-28 2003-08-21 칼마 아이엔씨. 가변스프레이패턴을가진분무기
KR200341892Y1 (ko) * 2003-11-19 2004-02-11 안한옥 미립자의 향 분사를 위한 공압식 향 분사밸브
WO2011065413A1 (ja) 2009-11-25 2011-06-03 株式会社ダイゾー 噴霧ノズル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696B1 (ko) * 1995-02-28 2003-08-21 칼마 아이엔씨. 가변스프레이패턴을가진분무기
KR200216306Y1 (ko) * 2000-09-20 2001-03-15 김현 개선된 배출구를 갖는 전자식 분사장치
KR200341892Y1 (ko) * 2003-11-19 2004-02-11 안한옥 미립자의 향 분사를 위한 공압식 향 분사밸브
WO2011065413A1 (ja) 2009-11-25 2011-06-03 株式会社ダイゾー 噴霧ノズル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74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65393B2 (en) Telescoping foamer nozzle
RU2434686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ыления жидкости и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варианты)
US7354008B2 (en) Fluidic nozzle for trigger spray applications
CN102196865B (zh) 喷头和具有压力气体管道的喷雾装置
CN106573258B (zh) 具有共用的相互作用区域的多个入口、多个喷射的射流杯喷嘴和喷射产生方法
KR101926666B1 (ko) 정적 분무 혼합기
WO2007004314A1 (ja) 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CA2347614A1 (en) Improved air assisted spray nozzle
JPS62201666A (ja) 泡生成装置
EP3408032B1 (en) Improved swirl nozzle assembly with high efficiency mechanical break up to generate mist sprays of uniform small droplets
EP3122469A1 (en) Improved swirl nozzle assemblies with high efficiency mechanical break up for generating mist sprays of uniform small droplets
KR101848688B1 (ko)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KR100328011B1 (ko) 매체방출용방출헤드
CN108136424B (zh) 具有喷嘴的排出器
KR101280865B1 (ko)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WO2016076038A1 (ja) スプレーノズルおよび該スプレーノズルを備えた加湿器
CN102179328B (zh) 气泡雾化施药喷头
US20090039180A1 (en) Mixing cap for spray nozzle for packaging machine
JP2012179518A (ja) ドライミスト噴射ノズル
CN102327684B (zh) 用于干粉灭火的雾混罐
JP2007130514A (ja) 液体噴霧装置
BR112012016987A2 (pt) dispositivo de evaporação de um líquido de tratamento
CN201178781Y (zh) 粉末喷出结构
KR20000013522A (ko) 2성분 노즐
CN202207414U (zh) 用于干粉灭火的雾混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