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261B1 -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261B1
KR101848261B1 KR1020160014798A KR20160014798A KR101848261B1 KR 101848261 B1 KR101848261 B1 KR 101848261B1 KR 1020160014798 A KR1020160014798 A KR 1020160014798A KR 20160014798 A KR20160014798 A KR 20160014798A KR 101848261 B1 KR101848261 B1 KR 10184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information
storage device
blood produc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424A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영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영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영당
Priority to KR102016001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2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06F19/32
    • G06Q50/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혈액 봉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혈액 봉투에 채집하고자 하는 혈액 제제와 관련된 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연계하여, 상기 혈액 정보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METHOD FOR MANAGING A BLOOD PRODUCT AND BLOOD PRODUNCT MANAGING SERVER THEREFOR }
본 발명은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체내에서 추출된 혈액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도, 습도 등 혈액 제제를 보관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혈액 관리법에 근거하여, 혈액원 또는 의료 기관 내 하위 부서인 혈액 은행 등 인증된 혈액 관리소를 통해 혈액 제제가 관리되고 있다.
긴급 수술 또는 수혈 등을 위해 혈액이 필요한 경우, 의료 기관 또는 의료 기관 내 수술실에서는, 혈액 관리소로 혈액 제제의 분출을 요청하고, 혈액 관리소의 허가 하에 혈액 제제를 수령하게 된다. 다만, 혈액 제제를 혈액 관리소로부터 의료기관 또는 수술실 등으로 이송하는 중에는, 혈액 제제의 마땅한 보관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일 예로, 혈액 관리소로부터 수령한 혈액 제제를 실온에서 운반하게 된다면, 혈액 제제의 신선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제제의 운송에 장시간이 소요되거나, 수술 집도 시간이 길어 혈액 제제가 상온에 장시간 노출되었다면, 혈액의 신선도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혈액 제제를 아이스 박스 등에 보관한다 하더라도, 혈액 제제를 아이스 박스에 넣거나 꺼내면서, 혈액 제제가 실온에 노출될 수 있다. 결국, 아이스 박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혈액 제제가 실온에 노출되고, 혈액 제제를 운송하는 운송자가 혈액 제제가 얼마만큼 실온에 노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혈액 제제의 상온 노출 시간 등을 관리하여, 혈액의 신선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1. KR10-2007-0043233 (2007. 4. 25 공개)
2. JP2008-310600 (2008. 12. 25 공개)
3. KR10-2011-0041269 (2011. 4. 21 공개)
4. EP2858017 (2015. 4. 5 공개)
본 발명은 혈액 제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혈액 제제의 보관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 제제의 상온 노출 시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로부터 혈액 봉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혈액 봉투에 채집하고자 하는 혈액 제제와 관련된 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연계하여, 상기 혈액 정보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 제제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혈액 제제가 사용 또는 폐기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 모듈;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혈액 봉투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혈액 봉투에 채집하고자 하는 혈액 제제와 관련된 혈액 정보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사용 여부 또는 폐기 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혈액 정보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혈액 제제의 상온 노출 시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 제제의 보관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혈액 봉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보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보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혈액 제제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혈액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편집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보관함의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혈액 제제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혈액 관리소 계정 및 사용자 계정의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모니터링 메뉴에 대한 관리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단말기를 통해 소정 기간별 데이터 조회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냉장 보관, 냉동 보관 또는 상온 보관 등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 보관할 것이 요구되는 신선품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선품은, 혈액 제제, 육류, 생선, 과일 등 온도와 보관 방법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는, 신선품의 예로, 혈액 제제를 한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혈액 제제 이외의 신선품에 대해서도,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혈액 제제를 보관하기 위한 혈액 봉투는, 신선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봉토 또는 보관 용기 등으로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혈액 제제 관리 시스템은, 채취한 혈액 제제를 보관하기 위한 혈액 봉투(10),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를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기 위한 단말기(100), 혈액 봉투(10)의 이송에 사용되는 보관 장치(200), 혈액 제제 정보를 관리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혈액 봉투(10)는 채취한 혈액 제제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혈액 봉투(10)는 단말기(100) 및 보관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근거리 통신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는 혈액 봉투(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혈액 봉투(10)의 외면에 근거리 통신부(15)가 노출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예와 달리, 근거리 통신부(15)는 혈액 제제와 분리될 수 있는 상태(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5)를 비닐 등 혈액 제제와 차단 가능한 물질로 봉인함)로 혈액 봉투(10)안에 삽입되거나 혈액 봉투(10)에 형성된 주머니에 삽입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15)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WiFi Direct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5)는 NFC 등의 비접촉식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기(100)는 혈액 봉투(10)와 통신을 수행하고, 혈액 봉투(10)에 보관된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업로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1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메모리(120), 유무선 통신부(130), 근거리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를 띨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로써 기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메모리(120)는 혈액 제제 관리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한편, 혈액 제제 관리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12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12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20)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120),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30)는 단말기(100)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선 통신부는 LAN(Locan Area Network) 등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부(13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40)는 단말기(100)와 혈액 봉투(10)(구체적으로, 혈액 봉투(10)에 포함된 혈액 제제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부(140)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WiFi Direct 등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혈액 봉투(10) 및 단말기(1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NFC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50)는 혈액 제제 관리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이동형 장치일 수도 있고, PC 등과 같은 고정형 장치일 수도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상에서는 단말기(100)가 스마트폰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단말기(100)는 관리자 계정, 혈액 관리소에 부여된 혈액 관리소 계정 또는 혈액 관리소의 사용자별 부여된 사용자 계정으로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혈액 관리소는, 혈액원 또는 병원 내 혈액 은행 등 혈액 제제를 관리하는 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100)를 통해 등록 또는 수정된 혈액 관리 정보는 단말기(100)가 로그인한 계정과 연계된 혈액 관리소에 대한 정보로 등록될 수 있다.
혈액 관리소가 보관하고 있는 혈액 봉투(10)를 타 기관(예컨대, 병원의 수술실 또는 병실)으로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 보관 장치(200)가 이용될 수 있다.
보관 장치(200)는 혈액 제제를 보관하고, 혈액 제제의 보관 상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보관 장치(20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관 장치(200)는, 혈액 제제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을 구비하는 한편, 디스플레이부(210), 메모리(220), 무선 통신부, 근거리 통신부(240),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 제어부(260) 및 온도 측정부(270) 등의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보관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 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를 띨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로써 기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보관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메모리(220)는 혈액 제제 관리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한편, 혈액 제제 관리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22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22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220)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220),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보관 장치(200)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부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40)는 보관 장치(200)와 혈액 봉투(10)(구체적으로, 혈액 봉투(10)에 포함된 혈액 제제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부(240)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WiFi Direct 등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혈액 봉투(10) 및 단말기(1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NFC인 것으로 가정한다.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는 근거리 통신부(240)가 송신 또는 수신하고자 하는 통신 신호 세기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를 이용할 경우, 근거리 통신부(240)의 통신 가능 거리가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를 이용할 경우, NFC 통신 가능 범위는 1cm에서 10cm 내외로 증가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는 보관함의 바닥면이나, 내벽면, 보관 장치(200)의 외벽면 혹은 보관함을 덮기 위한 덮개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혈액 봉투(10)를 보관함에 넣으면, 혈액 봉투(10)를 근거리 통신부(240)에 태깅하지 않더라도, 혈액 봉투(10)의 NFC 통신 모듈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보관함에 혈액 봉투(10)를 넣는 것 만으로도, 보관 장치(200)는 혈액 봉투(10)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혈액 봉투(10)를 보관함으로부터 꺼내게 되면, 혈액 봉투(10)의 NFC 통신 모듈을 더 이상 감지할 수 없게 되므로, 보관 장치(200)는 혈액 봉투(10)의 NFC 통신 모듈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 경우, 혈액 봉투(10)가 보관 장치(200)로부터 꺼내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270)는 보관함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260)는 온도 측정부(270)를 통해 측정된 보관함의 온도를 디스플레이부(21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혈액 제제 관리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보관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보관 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보관 장치(200)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보관 장치(200)의 내부에는 혈액 봉투(1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5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관함(510)은 뚜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보관함(510)의 내벽에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가 부착될 수 있다 도 5의 (b)에는 보관함(510)의 바닥면에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가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가 보관 장치(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근거리 통신 신호 증폭부(250)는 보관 장치(200)의 외벽면에 노출되거나, 보관함을 덮는 덮개 등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보관함(510)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보관함(510) 외부에는 냉매를 삽입하기 위한 냉매 삽입부(5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냉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보관함(510)의 온도는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보관함(510)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함으로써, 혈액 제제를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제제를 상온에 보관하게 되면,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은 단축되게 되는데, 보관함(510)에 혈액 제제를 보관함(510)으로써, 혈액 제제의 수명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전혈 성분의 혈액 제제는 수혈 뒤 상온 4시간 보관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510)을 이용할 경우에는, 혈액 제제를 상온이 아닌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혈액 제제의 수명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보관 장치(200)의 제어부(260)가 근거리 통신부(240) 및 온도 측정부(27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신호들을 처리한 뒤, 유의미한 정보를 보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예에서와 달리, 보관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부(240) 또는 온도 측정부(270)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유무선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타 단말기(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채 이동할 수 있는 핸디형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정보의 처리 및 디스플레이 등의 기능은 타 단말기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보관 장치(200)로부터 멀리 이격된 상태라 하더라도, 보관 장치(200)에 보관 중인 혈액 제제의 상태를 원격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혈액 관련 정보, 혈액 관리소에서 보관하고 있는 혈액 관련 정보 및 보관 장치(200)를 통해 운반되는 혈액 관련 정보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예로, 도 6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310), 회원 관리 모듈(320), 보관 장치 관리 모듈(330), 혈액 정보 관리 모듈(340) 및 혈액 분석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혈액 제제 분석 서버(300)에 포함된 제어부, 메모리 및 통신부 등의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10)는, 사용자 계정 정보, 보관 장치(200) 계정 정보 및 혈액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계정 정보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계정 정보를 가리킨다. 계정 정보는 관리자 계정 정보, 혈액 관리소에 부여된 혈액 관리소 계정 정보 및 혈액 관리소의 구성원에게 부여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계정은, 혈액 관리소 및 사용자들의 계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예로, 관리자 계정에는, 혈액 관리소 계정 및 사용자 계정의 추가, 삭제 및 수정 등의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되었을 경우, 각 사용자 계정을 통해 입력된 혈액 관련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연계된 혈액 관리소 계정(즉, 구성원이 속한 혈액 관리소)에서 취합하여 조회할 수도 있다. 각각의 계정에는 계정을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장치(200) 계정 정보는 보관 장치(200)에 할당된 계정 정보를 가리킨다. 보관 장치(200) 계정 정보는 보관 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혈액 관련 정보는, 혈액 봉투(10)별 식별 정보, 혈액 봉투(10)에 삽입된 혈액 제제의 종류, 혈액 제제의 양, 혈액형, 데이터 생성 시점,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 및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혈액 봉투(10)별 식별 정보는 각 혈액 봉투(10)의 근거리 통신부에 할당된 식별 정보를 가리킨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부의 MAC(Media Contal Access) 주소 등이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단말기(100)로부터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혈액 봉투(10)별 혈액 관련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0)에 등록할 수 있다.
혈액 제제의 종류는 혈액 제제의 종류를 가리킨다. 혈액 제제의 종류는 전혈(whole blood), 농축적혈구(Packed red cells), 농축혈소판(Platelet concentrates),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자가혈액, 백혈구제거적혈구(Leukocyte-depleted RBC), 백혈구제거혈소판(Leukocyte-depleted platelets), 성분채집 혈소판(Apheresis platelets), 성분채집백혈구(Leuko-apheresis), 성분채집혈소판백혈구(Aphersis platelets & WBC), 방사선조사혈액 제제(Irradiated blood componets),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신선전혈(Fresh whole blood), 세척적혈구(Washed Red blood), 냉동해동적혈구(trozen-tawed red blood cells),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혈액 제제의 양은 혈액 봉투(10)에 삽입된 혈액의 양을 가리킨다.
혈액형은 혈액 제제의 혈액형을 가리킨다. 혈액형은, ABO 식 혈액형, MN식 혈액형 및 RH식 혈액형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데이터 생성 시점은 소정 혈액 봉투(10)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서버(300)에 등록되었을 당시의 시간을 가리킨다. 데이터 생성 시점은, 데이터 생성 시점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가 단말기(100)로부터 가장 처음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시점 또는 단말기(100)가 혈액 관리 정보를 편집한 시점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혈액 제제의 유통 기한은 혈액 제제의 보관 기한을 가리킨다. 혈액 제제의 유통 기한은 혈액 제제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혈액 제제의 상태는 혈액 제제가 사용 또는 폐기되었는지 여부를 가리킨다. 일 예로, 혈액 제제의 상태는, 보관 중, 사용 또는 폐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여기서 '보관 중'은 혈액 제제가 혈액 관리소에 보관 중임을 가리키고, '사용'은 혈액 제제가 타 기관으로 운송되어 사용된 상태임을 가리킨다. '폐기'는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이 만료되거나, 훼손되어 핼액 제제를 폐기하였음을 가리킨다. '사용 중' 상태는 혈액 제제를 앞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에 반해, '사용' 및 '폐기' 상태는 혈액 제제의 처분이 완료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
회원 관리 모듈(320)은, 관리자 계정, 혈액 관리소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고, 단말기(100)로 혈액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가 소정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요청하면, 회원 관리 모듈(320)은 입력된 계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0)에 기 동록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비교하여, 단말기(100)의 로그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혈액 관리소 계정의 하위 계정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관리소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기(100)를 통해서는, 사용자 계정의 정보 및 사용자 계정을 통한 활동 내역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을 통해 생성된 혈액 정보 또는 사용자 계정을 통해 사용이나 폐기된 혈액 정보 등)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성공적으로 로그인하면,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계정과 연계된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 또는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검색값과 일치하는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보관 장치 관리 모듈(330)은, 보관 장치(200)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고, 보관 장치(200)로 혈액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보관 장치(200)가 소정의 보관 장치(200) 계정으로 로그인을 요청하면, 보관 장치 관리 모듈(330)은 입력된 계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0)에 기 등록된 보관 장치(200) 계정 정보와 비교하여, 보관 장치(200)의 로그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보관 장치(200) 계정은 혈액 관리소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될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관리소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기(100)를 통해서는, 보관 장치(200) 계정을 통한 활동 내역 정보(예를 들어, 보관 장치(200)를 통해 운반 중인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 또는 혈액 제제의 상온 노출 시간 등) 등을 조회할 수 있다.
혈액 정보 관리 모듈(340)은,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310)에 혈액 관련 정보를 등록하거나, 데이터 베이스(310)에 등록된 혈액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혈액 정보 관리 모듈(340)은,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혈액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일 예로, 혈액 정보 관리 모듈(340)은 보관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혈액 제제의 상온 노출 시간을 연산하거나, 보관 장치(200) 또는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혈액 분석 모듈(350)은, 소정 조건에 부합하는 혈액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정 조건은, 혈액 제제의 종류, 혈액 제제의 상태 및 소정 기간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 관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제제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100) 및 보관 장치(2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에 성공적으로 로그인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아울러, 도면 상의 단말기(100)는 소정 혈액 관리소의 구성원에게 부여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상태임을 가정한다.
단말기(100)가 혈액 봉투(10)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예를 들어, 혈액 봉투(10)의 근거리 통신부가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부와 근접한 경우, 또는 양자가 태깅(tagging) 되는 경우)(S701), 단말기(100)는 혈액 봉투(10)로부터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혈액 봉투(10)로부터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702).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03).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관련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704).
이와 달리,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봉투(10)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부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혈액 봉투(10)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존재할 경우, 단말기(1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혈액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은 혈액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810), 혈액 제제 종류(820), 혈액형(830), 용량(840), 유통기한(850) 및 데이터 생성 시점(860)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혈액 봉투(10)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부존재할 경우, 단말기(100)는 혈액 봉투(10)에 대한 혈액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편집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혈액 봉투(10)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존재하여, 혈액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에도, 혈액 관련 정보의 수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편집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수정하기 버튼(87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단말기(100)는 기 등록된 혈액 관련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편집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편집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편집 화면은,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910) 및 데이터 생성 시점(960) 등을 포함하는 한편, 혈액 관련 정보를 입력/수정하기 위해, 혈액 제제 종류(920), 혈액형(930), 용량(940), 유통기한(950) 등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혈액 제제의 유통 기한은 유통 기한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유통 기한의 시작 시점이 설정되면, 유통 기한의 종료 시점은 혈액 제제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표 1은 혈액 제제의 종류 별 유통기한을 예시한 도표이다.
종류 유통기한 종류 유통기한
전혈 35일 농축적혈구 35일
농축혈소판 3~5일 신선동결혈장 1년
자가혈액 35일 자가혈액(냉동) 5년
백혈구제거적혈구 즉시 백혈구제거혈소판 즉시
성분채집 혈소판 3일 성분채집백혈구 24시간
성분채집혈소판백혈구 8시간 방사선조사혈액 제제 24시간
혈소판풍부혈장 5일 신선전혈 24시간
세척적혈구 21일 냉동해동적혈구 5년
동결침전제제 1년
단말기(100)는 유통기한의 시작 시점 및 혈액 제제의 종류가 특정된 경우, 상기 표 1에 따라, 유통기한의 종료 시점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표 1에서, '즉시' 항목은 혈액의 유통 기한의 종료 시점이 유통 기한의 시작 시점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유통 기한의 종료 시점이 유통 기한의 종료 시점부터 수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편집 화면을 통해 혈액 관련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S705), 단말기(1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입력된 혈액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06).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를 기초로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S707). 아울러,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제제의 상태가 혈액 관리소에 보관 중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혈액 관리소에 보관된 혈액 봉투(10)를 타 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보관 장치(200)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보관함에 혈액 봉투(10)를 넣고 꺼낼 때, 혈액 제제가 상온에 노출될 것이다. 보관함에 보관 중인 혈액 제제의 상온 노출 시간을 체계적으로 관리 하기 위해, 보관함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혈액 제제의 출입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봉투(10)가 보관함에 넣어진 것으로 감지되면(S708), 보관 장치(2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혈액 봉투(10)가 보관함으로 들어왔음을 알리는 출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09). 출입 정보에는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 및 혈액 봉투(10)가 보관함에 넣어진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혈액 봉투(10)가 보관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에 태깅되면, 보관 장치(200)는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보관 장치(2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보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혈액 관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관련 정보를 보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보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된 혈액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혈액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예에 대해서는 앞서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관 장치(200)에 보관 중인 혈액 봉투(10)의 수, 보관 장치(200)의 온도 등 보관함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은 보관함의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보관함에 보관 중인 혈액 봉투(10)의 수(1010), 보관함의 온도(1020) 및 실외 온도(1030)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관함에 보관 중인 혈액 봉투(10) 각각에 대한 혈액 관련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보관 장치(200)는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온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보관함의 온도가 적정 보관 온도 대비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보관 장치(200)로 보관함의 온도가 적정 보관 온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정 보관 온도는 보관 장치(200)에 보관 중인 혈액 제제의 종류, 혈액의 양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표 2는 혈액 제제의 종류별 적정 보관 온도를 예시한 도표이다.
종류 적정 보관 온도 종류 적정 보관 온도
전혈 1~6℃ 농축적혈구 1~6℃
세척적혈구 1~6℃ 농축혈소판 1~6℃
신선동결혈장 1~6℃ 신선동결혈장(수평연속진탕) 20~24℃
동결침전제제 -18℃ 이하 동결침전제제(해동) 1~6℃
성분채집혈소판 20~24℃ 백혈구여과제거 백혈구 20~24℃
백혈구여과제거 적혈구 1~6℃ 백혈구여과제거 혈소판 20~24℃
냉동해동적혈구 -60℃ 이하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부터 온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 보관 장치(200)는, 보관함의 온도가 적정 온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림은, 진동의 출력, 음향 데이터의 출력 및 경고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혈액 봉투(10)가 보관 장치(200)로부터 이탈한 것이 감지된 경우(예컨대, 보관함에 보관된 혈액 봉투(10)를 꺼낸 경우)(S710), 보관 장치(2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 및 혈액 봉투(10)의 이탈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11).
보관 장치(200)는 혈액 봉투(10)의 출입이 계속될 때 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출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보관함에서 이탈한 혈액 봉투(10)가 다시 보관함에 삽입된 경우, 보관 장치(200)는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 및 혈액 봉투(10)가 들어온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다시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보관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출입 정보를 기초로, 혈액 봉투(10)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S712). 이때, 혈액 봉투(10)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 중 어느 하나로 상온 노출 시간이 길어지고 있음을 알리는 경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13).
관리 서버(300)로부터 경고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는, 혈액 봉투(10)의 상온 노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림은, 진동의 출력, 음향 데이터의 출력 및 경고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를 통해서는, 혈액 봉투(10)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자가,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를 통해,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혈액 제제의 상태를 '사용' 또는 '폐기'로 변경하게 되면,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혈액 봉투(10)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혈액 제제의 상태를 업데이트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제제의 상태를 '사용' 또는 '폐기'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혈액 제제의 상태가 '사용' 또는 '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즉, 혈액 제제의 상태가 '사용' 또는 '폐기'로 설정되어 있다면, 혈액 제제의 처분이 이미 완료된 상태이므로, 혈액 봉투(10)가 장시간 상온에 노출되었음을 경고하는 경고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봉투(10)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혈액 봉투(10)의 상태가 '사용' 또는 '폐기'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혈액 봉투(10)의 상태를 자동으로 '사용' 또는 '폐기'로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봉투(10)의 상태를 '사용' 또는 '폐기'로 변경하면서,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로 혈액 제제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변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0) 또는 보관 장치(200)는, 진동, 음향 데이터 또는 메시지 등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상태가 '보관 중'인 혈액 제제 중 유통기한의 종료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이거나, 유통기한의 종료 시점이 경과한 경우,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이 임박 또는 도과 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메시지, 음향 데이터 또는 진동 등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100)를 통해 관리자가 혈액 제제의 상태를 '폐기'로 변경한 경우,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제제의 상태를 폐기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유통기한이 도과하였거나, 유통기한이 도과한 이후로 소정 시간 경과한 혈액 제제의 상태를 자동으로 '폐기'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유통기한이 지난 혈액 제제의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혈액 제제의 상태를 '폐기'로 변경하면서, 단말기(100)로 혈액 제제의 상태가 '폐기'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혈액 관리소의 혈액 제제 관리 정보 또는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혈액 제제 정보를 단말기(100)에게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은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되는 혈액 제제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은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되었을 경우의 출력 예인 것으로 가정한다.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되어 있을 경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혈액 관리소에 대한 정보를 취합한 통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100)는 혈액 관리소에 보관 중인 혈액 제제에 대한 통계 정보 또는 보관 장치(200)를 통해 운송 중인 혈액 제제에 대한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Home 메뉴(1110)는 각 혈액 관리소에 대한 통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혈액은행 관리(1120) 및 사용자 관리 메뉴(1130)는 각각 혈액 관리소 계정 및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모니터링 메뉴(1140)는 혈액 봉투(10) 또는 보관 장치(200)를 통해 운송 중인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1은 혈액 제제에 대한 통계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혈액 제제 사용수, 혈액 제제 폐기 수, 보관 장치(200)(도 11에서는, 냉매 박스로 예시됨) 사용수 및 최근 사용된 혈액 제제를 분석한 차트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예 이외에도, 혈액 관리소 별 혈액 제제 종류별 잔량 및 용량 정보 등에 대한 통계 정보도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잔량은, 혈액 관리소의 관리하에 있는 혈액 봉투(10) 중 혈액 관리 상태가 '보관 중'을 가리키는 혈액 봉투(10)의 수를 가리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혈액 관리소 계정 및 사용자 계정의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혈액 관리소 계정 및 사용자 계정 관리 화면을 통해, 관리자는 혈액 관리소 계정 및 관리자 계정의 추가, 수정 및 삭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각 계정의 기본 정보 등이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기(100)에 의해 수정되거나, 추가 또는 삭제 버튼을 통해 새로운 계정의 추가 또는 기 존재하던 계정의 삭제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모니터링 메뉴에 대한 관리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니터링 메뉴의 하위 메뉴로는, 혈액 봉투(10)별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1410), 보관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1420) 및 혈액 관리소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14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봉투(10)별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혈액 봉투(10)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조회 화면에서, ID는, 혈액 봉투(10)에 할당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혈액 관리소는 혈액 봉투(10)가 보관 중인 혈액 관리소를 식별한다. 종류, 혈액형, 용량 및 유통기한 등은 혈액 붕투에 담긴 혈액 제제에 대한 정보를 가리키고, 입고 날짜는 혈액 봉투(10)가 혈액 관리소에 입고된 날짜를 가리킨다.
보관 장치(200)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보관 장치(200)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조회 화면의 냉매박스 리스트 영역에서, ID는 보관 장치(200)에 할당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연결 상태는 보관 장치(200)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 사이의 통신 상태를 가리킨다. 연결 상태가 On 상태인 것은, 보관 장치(200)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가 온라인 상태인 것을 가리키고, 연결 상태가 Off 상태인 것은, 보관 장치(200)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가 오프라인 상태인 것을 가리킨다. 혈액 제제 유무는, 보관 장치(200)에 혈액 봉투(10)가 보관 되어 있는지 여부를 가리키고, 실내 온도 및 실외 온도는 각각 보관함의 온도 및 보관함 외부의 온도를 가리킨다. 아울러, 전력 잔량 항목은 보관 장치(200)의 배터리 잔류량을 가리킬 수 있다.
냉매박스 리스트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관 장치(200)가 선택되면, NFC 태그 리스트 영역을 통해서는 선택된 보관 장치(200)에 보관 중이 혈액 봉투(10)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혈액 관리소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혈액 관리소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조회 화면의 혈액 관리소 리스트 영역에서, ID는 혈액 관리소에 할당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예를 들어, 혈액 관리소 계정 아이디), 이름은, 혈액 관리소의 이름을 가리킨다. 담당자는 혈액은행의 담당자를 가리키고, 입고 개수는 혈액 관리소에 입고된 혈액 봉투(10)의 수(또는 핼액 제제의 양)을 가리키며, 잔량 개수는 혈액 관리소에서 보관 중인 혈액 봉투(10)의 수(또는 핼액 제제의 양)을 가리킬 수 있다.
혈액 관리소 리스트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혈액 관리소가 선택되면, NFC 태그 리스트 영역를 통해서는 선택된 혈액 관리소에서 보관 중인 혈액 봉투(10)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말기(100)의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추출한 뒤, 추출된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7은 단말기(100)를 통해 소정 기간별 데이터 조회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소정 기간별 데이터 조회 화면에는, 데이터 조회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7에서는, 일간, 주간 및 월간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 및 사용자가 설정한 기한에 걸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기간이 설정되면, 단말기(100)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설정된 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설정된 기간에 부합하는 혈액 관련 데이터를 추출한 뒤, 이를 통계화하여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일 예로, 설정된 기간에 입고된 혈액 봉투(10)의 수, 설정된 기간에 사용된 혈액 봉투(10)의 수 및 설정된 가간에 폐기된 혈액 봉투(10)의 수 등이 통계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혈액 종류, 혈액형 또는 혈액 관리소 별로 통계치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는, 소정 기간 동안의 사용량을 통계화한 정보를 출력하되, 혈액 종류, 혈액형 및 혈액 관리소 등을 선별하여 통계치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메뉴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예에서,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 시간 단위로 통계치를 분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간 데이터를 조회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설정된 기간 동안 혈액 봉투(10)의 입고수, 사용수 및 폐기수 등을 합산한 값과 함께, 요일별 혈액 봉투(10)의 입고수, 사용수 및 폐기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는,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되었을 경우,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하였다. 관리자 계정이 아닌 혈액 관리소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되었을 경우, 제공되는 화면들의 구성은 도시된 예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혈액 관리소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되었을 경우, 로그인된 계정에 대응하는 혈액 관리소 내의 혈액 제제 관리 현황을 가리키는 통계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계정 관리 화면은 미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단말기(100)의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혈액 제제를 보관하고 있는 타 혈액 관리소의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말기(100)로부터 소정 혈액 제제를 소정 용량 이상 보유한 혈액 관리소의 정보가 요청되었다면,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소정 종류의 혈액 제제를 소정 용량 이상 보유한 혈액 관리소의 정보를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는 혈액 관리소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혈액 제제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지 못할 경우, 타 혈액 관리소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혈액 제제의 혈액을 확보하고 있지 못할 경우, 타 혈액 관리소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혈액 제제의 분출을 손쉽게 요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보관 장치(200)가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로 출입 정보를 전송하면, 혈액 제제 관리 서버(300)가 출입 정보를 기초로, 혈액 제제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을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설명한 예와 달리, 보관 장치(200)는 혈액 봉투(10)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기초로, 스스로 혈액 제제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10 : 혈액 봉투
100 : 단말기
200 : 보관 장치
300 : 혈액 제제 관리 서버

Claims (18)

  1. 혈액 제제 관리 서버에 의한 혈액 제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혈액 봉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혈액 봉투에 채집하고자 하는 혈액 제제와 관련된 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연계하여, 상기 혈액 정보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를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혈액 제제의 사용 여부 또는 상기 혈액 제제의 폐기 여부를 지시함;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혈액 봉투가 보관 장치를 통해 운송되는 동안, 상기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혈액 봉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보관 중인 상태에서 사용 완료된 상태 또는 폐기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보관 장치로 상기 혈액 봉투의 상온 노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정보는, 상기 혈액 제제의 종류, 상기 혈액 제제의 혈액형, 상기 혈액 제제의 용량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기한은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사이의 기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시작 시점이 설정되면, 상기 종료 시점은, 상기 혈액 제제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보관 장치 내부의 온도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 범위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온도값이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이 도과한 경우,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는 자동으로 폐기된 상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혈액 봉투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소정 검색 조건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상기 혈액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추출된 혈액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혈액 제제의 관리 방법.
  11.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 모듈;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혈액 봉투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혈액 봉투에 채집하고자 하는 혈액 제제와 관련된 혈액 정보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혈액 제제의 사용 여부 또는 폐기 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혈액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혈액 봉투를 운송하기 위한 보관 장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보관 장치 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혈액 봉투가 보관 장치를 통해 운송되는 동안, 상기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혈액 봉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혈액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출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는,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되,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사용 완료 또는 폐기된 상태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봉투가 상온에 노출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혈액 제제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보관 장치로 상기 혈액 봉투의 상온 노출 시간이 임계값을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정보는, 상기 혈액 제제의 종류, 상기 혈액 제제의 혈액형, 상기 혈액 제제의 용량 및 상기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기한은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사이의 기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시작 시점이 설정되면, 상기 종료 시점은, 상기 혈액 제제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장치 관리 모듈은, 상기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보관 장치 내부의 온도값을 수신하고,
    상기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 범위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관 장치 관리 모듈은 상기 보관 장치로, 상기 온도값이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
  17. 삭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제제의 유통기한이 도과한 경우, 상기 혈액 제제의 상태 정보는 자동으로 폐기된 상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제제 관리 서버.
KR1020160014798A 2016-02-05 2016-02-05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 KR10184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798A KR101848261B1 (ko) 2016-02-05 2016-02-05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798A KR101848261B1 (ko) 2016-02-05 2016-02-05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424A KR20170093424A (ko) 2017-08-16
KR101848261B1 true KR101848261B1 (ko) 2018-04-12

Family

ID=5975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798A KR101848261B1 (ko) 2016-02-05 2016-02-05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4904A2 (en) * 2018-11-23 2020-05-28 Strides Software Solutions Pvt Ltd A smart haemovigilance box
KR102474932B1 (ko) * 2020-08-31 2022-12-07 주식회사 리얼팜 실시간 교배 통제를 위한 축산 정액 관리 및 교배 통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600A (ja) * 2007-06-14 2008-12-25 Olympus Corp 輸血管理システム
KR101233641B1 (ko) * 2012-09-18 2013-02-15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원격제어모니터링을 이용한 저장고 관리 및 저장대상물 반입, 반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600A (ja) * 2007-06-14 2008-12-25 Olympus Corp 輸血管理システム
KR101233641B1 (ko) * 2012-09-18 2013-02-15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원격제어모니터링을 이용한 저장고 관리 및 저장대상물 반입, 반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424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27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the cryogenic processing of samples
JP6948953B2 (ja) 血液ドナーの統一的登録および識別の方法
KR101848261B1 (ko) 혈액 제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혈액 제제 관리 서버
CN102917069B (zh) 与设备无关性的医疗信息采集中间件装置及其设计方法
US20190174722A1 (en) Bovine rumination and estrus prediction system (bres) and method
Henrichs et al. Providing ABO‐identical platelets and cryoprecipitate to (almost) all patients: approach, logistics, and associated decreases in transfusion reaction and red blood cell alloimmunization incidence
EP3334275B1 (en) Device for transport of biological samples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JP2016527580A5 (ko)
US8976021B2 (en) Remote pati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N106296861A (zh) 巡更记录方法、装置以及系统
CN108463854A (zh) 细胞处理技术
US10051505B2 (en) Messaging devices and methods
US20220180075A1 (en) Wearable data storage and transmission device for processing sensor data
CN105740927A (zh) 基于囊匣的文物管理方法、系统及装置
CN208570115U (zh) 一种医疗废物在线监管系统
RU2627462C1 (ru)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ораживания криоконсервирован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крови
Kopfnagel et al. The Hannover Unified Biobank (HUB)-Centralized Standardised Biobanking at Hannover Medical School.
CN113915842A (zh) 一种冰箱及其食材监控方法
CN107689251B (zh) 利用了介质的iPS细胞建库系统及其方法
Chalissery et al. An intelligent organ distribution using Internet of Things-driven systems
Thyagarajan et al. Loss of integrity of umbilical cord blood unit freezing bags: description and consequences
JP2017534092A (ja) 細胞の処理方法
KR102604501B1 (ko) 바이오 물질 이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
RU27063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ораж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крови
US20230073576A1 (en) Blood transfusion tracking and decisio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