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007B1 -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007B1
KR101848007B1 KR1020160052746A KR20160052746A KR101848007B1 KR 101848007 B1 KR101848007 B1 KR 101848007B1 KR 1020160052746 A KR1020160052746 A KR 1020160052746A KR 20160052746 A KR20160052746 A KR 20160052746A KR 101848007 B1 KR101848007 B1 KR 10184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terminal
adjusting member
angle adjus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440A (ko
Inventor
강동주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6005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0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07B13/005Taximeters operating mecha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07B13/02Details; Accesso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9Floor, e.g. side sills, fir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탑승 인원, 요금을 정산하는 운전자 단말기를 설치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로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좌우 회전 또는 상하 회전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부재;를 마련하여 버스 등의 차량 바닥면에 바닥판을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운전자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높이며, 운전자는 신체 조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운전자 단말기의 좌우 각도 및 상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Driver Terminal Installa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등의 운전석 옆에 설치되는 운전자 단말기의 높이, 각도 및 회전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탑승자를 확인하고, 탑승자가 휴대한 교통카드(신용카드 포함)를 판독하여 요금을 처리하며, 버스의 위치 정보를 노변 기지국(RSE)에 전송하여 교통관제센터에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기 위한 차량용 운전자 단말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운전자 단말기는 통상 버스 운전석 주변의 버스 기둥에 고정 설치되는데, 버스의 운행 중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결합 나사가 풀려 운전자 단말기가 버스 바닥과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운전자 단말기와 기둥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운전자 단말기가 회전을 하여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고정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자 단말기는 버스 내부의 기둥에 주로 장착되고 있으며, 운전자 단말기를 플레이트에 볼트 등으로 고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버스 설치용 엘이디 전광판 디스플레이 장착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버스 설치용 엘이디 전광판 디스플레이 장착구는 엘이디 전광판 디스플레이 함체 후면에 사방으로 부착되며 요입홈이 구비된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요입홈에 볼트, 너트로 체결하기 위한 장공을 구비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부착되며 나사결합의 방법으로 버스 기둥에 고정되는 클램프로 이루어져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버스 단말기의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버스 단말기의 고정장치는 버스 단말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몸체 고정 브라켓, 상기 몸체 고정 브라켓을 내부에 수용되는 버스 기둥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하며, 몸체 고정 브라켓의 윗부분 및 아랫부분을 고정하여 상기 버스 단말기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클램프, 상기 몸체 고정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고정 브라켓은 상기 버스 단말기의 후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구비된 결합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몸체는 상기 버스 단말기의 후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면서 결합하도록 복수의 결합면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면은 상기 버스 단말기를 볼트로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는 상기 버스 단말기에 형성된 디버그 포트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장공이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는 버스 기둥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체결 몸체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62224호(2004년 9월 16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72134호(2014년 4월 1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설치장치는 버스 기둥에 안착된 브래킷을 볼트로 체결하여 설치하므로, 운전자 단말기가 설치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고,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없어 운전자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 단말기를 운전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유로이 조절함은 물론 운전자가 원하는 시야각으로 상하 및 좌우 각도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탑승 인원, 요금을 정산하는 운전자 단말기를 설치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로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좌우 회전 또는 상하 회전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가스 스프링의 외면에 결합되는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커버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형성된 고정바가 고정되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좌우각도조절부;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틸트 샤프트가 결합되는 상하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에는 상기 좌우각도조절부와 상기 상하각도조절부 사이에 연장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구멍이 형성된 제1 플랜지; 상기 틸트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결합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각도조절부에는 스프링 커버의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스프링 커버에 형성된 고정구멍과 대응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 샤프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축;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일면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틸트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에 의하면, 버스 등의 차량 바닥면에 바닥판을 고정시킴으로써 설치 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운전자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높이며, 운전자는 신체 조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운전자 단말기의 좌우 각도 및 상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일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타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의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일부 확대 저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가 높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가 좌우로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가 상하로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일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타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탑승 인원, 요금을 정산하는 운전자 단말기를 설치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로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10), 상기 운전자 단말기(1)가 좌우 회전 또는 상하 회전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10)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부재(30), 상기 운전자 단말기(1)가 고정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30)에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부재(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는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13)이 구비된 높이조절부재(10), 상기 가스 스프링(13)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좌우각도조절부(31), 상기 좌우각도조절부(31)로부터 연장되어 운전자 단말기(1)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하각도조절부(50), 상기 상하각도조절부(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 샤프트(55)가 구비된 각도조절부재(30), 일면에 운전자 단말기(1)가 설치되고 상기 틸트 샤프트(55)에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부재(6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는 버스 등의 차량 운전자가 조작해야 되는 운전자 단말기(1)를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운전자 단말기(1)의 높이, 좌우(또는 수평) 각도 및 상하(또는 수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는 버스 등의 차량 바닥면에 설치되어 운전자 단말기(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1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운전자 단말기(1)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30)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30)에 운전자 단말기(1)를 설치하는 단말기 고정부재(60)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재(10)는 버스 등의 차량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13)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1)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고, 바닥판(11)에는 바닥면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13)은 압력 튜브, 피스톤 로드(14), 오일 실(Oil Seal), 오일 및 기타 부속품으로 이루어지며, 압력 튜브 내에 질소가스를 봉입한 후 질소가스가 새지 않도록 밀봉하여 습동되면서 압력 튜브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부 압력이 달라지면서 하중의 차이가 발생하여 작동된다.
이러한 가스 스프링은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13)에는 압력 변화에 따라 작동되는 피스톤 로드(14)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14)는 가스 스프링(13)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승강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피스톤 로드(14)는 바닥판(1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단판(11) 상면에는 가스 스프링(13)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스 스프링(13)의 상단에는 회전축(15)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5)은 가스 스프링(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15)의 상부는 각도조절부재(30)의 제1 결합구멍(33)이 끼워지도록 대략 일(一)자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회전축(15)에는 각도조절부재(30)의 좌우각도조절부(31)가 고정되도록 고정볼트(16)가 체결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13)의 외면에는 가스 스프링(13)의 승강에 따라 동시에 승강되는 스프링 커버(17)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커버(17)는 대략 열 십(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프링 커버(17)의 양 측면에는 각각 고정구멍(18)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0)는 가스 스프링(1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좌우각도조절부(31)와 상기 좌우각도조절부(3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40) 및 운전자 단말기(1)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하각도조절부(50)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각도조절부(31)에는 가스 스프링(13)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제1 플랜지(3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32)에는 회전축(15)에 끼워지는 제1 결합구멍(33)이 형성된다.
즉, 회전축(15)과 제1 결합구멍(33)은 대략 일(一)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결합되게 함은 물론 제1 플랜지(32)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플랜지(32)의 외측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체(34)가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체(34)에는 스프링 커버(17)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고정바(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바(35)에는 스프링 커버(17)의 고정구멍(18)에 대응되는 체결구멍(3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멍(18)과 체결구멍(36)에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0)는 높이조절부재(10)인 가스 스프링(13)의 승강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도조절부재(30)의 좌우각도조절부(31)는 가스 스프링(13)의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좌우(또는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의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일부 확대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재(30)에는 일측의 좌우각도조절부(31)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40)의 타측에는 상하각도조절부(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40)에는 상하각도조절부(50)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56)의 일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걸림홈부(41)가 형성되고, 연장부(40)의 양면에는 각각 걸림홈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부(42)에는 상부커버(43)의 제2 걸림돌기(45)가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40)에는 상부커버(43)와 하부커버(47)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커버(43)에는 연장부(4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걸림돌기(44)가 형성되며, 연장부(40)의 걸림홈부(4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부커버(43)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돌기(45)가 형성된다.
또 제2 걸림돌기(45)의 하부에는 하부커버(47)의 내측에 안착되는 제3 걸릴돌기(4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47)에는 상부커버(43)의 제3 걸림돌기(46)에 대응되는 안착홈부(48)가 형성되고, 하부커버(47)의 저면에는 연장부(40)에 고정되도록 커버고정구멍(49)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43)의 제1 걸릴돌기(44)는 연장부(40)의 상면에 안착되고, 제2 걸림돌기(45)는 연장부(4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부(42)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3 걸림돌기(46)는 하부커버(47)의 안착홈부(48)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 하부커버(47)는 연장부(40)의 저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커버(47)는 연장부(40)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커버고정구멍(49)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연장부(40)에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40)의 타측에는 운전자 단말기(1)를 상하로 각도 조절하는 상하각도조절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각도조절부(50)는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플랜지(51)와 상기 제2 플랜지(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 샤프트(55)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40)의 양측에는 제2 플랜지(51)가 형성되며, 이들 제2 플랜지(51)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2 플랜지(51)에는 틸트 샤프트(5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결합구멍(52)이 형성된다.
상기 틸트 샤프트(55)는 소정 길이로 이루어져 제2 플랜지(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틸트 샤프트(55)에는 토션 스프링(56)이 설치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56)의 일측은 연장부(40)의 스프링 걸림홈부(41)에 밀착되고, 타측은 운전자 단말기(1)에 밀착된다.
상기 틸트 샤프트(55)에는 제2 플랜지(51)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다수의 스프링 디스크(58)가 설치된다.
상기 틸트 샤프트(55)에는 단말기 고정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60)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플레이트(61)와 상기 제1 플레이트(61)로부터 틸트 샤프트(55)에 결합되도록 일면으로 돌출되는 제2 플레이트(62)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62)에는 틸트 샤프트(55)가 결합되는 회전구멍(63)이 형성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는 바닥판(11)의 상면에 가스 스프링(13)을 설치하며, 가스 스프링(13)의 상면에는 회전축(15)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바닥판(11)은 버스 등의 차량 바닥면에 올려 놓고서 바닥판(11)의 고정구멍(12)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체결하며, 상기 바닥판(11)은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15)에는 각도조절부재(30)의 제1 플랜지(3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구멍(33)이 끼워져 결합되고, 각도조절부재(30)의 좌우각도조절부(31)는 회전축(15)에 고정볼트(16)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좌우각도조절부(31)는 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즉, 좌우각도조절부(31)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각도조절부재(30)의 상하각도조절부(50)에 틸트 샤프트(5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틸트 샤프트(55)에는 토션 스프링(56)이 설치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56)의 일측은 연장부(40)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걸림홈부(41)에 끼워져 밀착되고, 타측은 운전자 단말기(1)에 밀착된다. 이에 토션 스프링(55)은 운전자 단말기(1)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1)는 토션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적정 각도로 지지된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1)는 단말기 고정부재(60)에 장착된 상태로 버스 등의 운전석 근처에 설치된다.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1)를 조작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에 맞게 높이, 좌우(또는 수평) 각도 및 상하(또는 수직)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높이조절부재(10)인 가스 스프링(13)을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게 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운전자 단말기(1) 또는 각도조절부재(3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가스 스프링(13)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하강된다.
이러한 가스 스프링(13)은 운전자가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가스 스프링(13)의 하강은 멈추게 된다.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1)의 높이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1)가 상승되도록 아래에서 위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 스프링(13)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승된다.
이러한 가스 스프링(13)은 운전자가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가스 스프링(13)의 상승은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스 스프링(1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가스 스프링(13)은 상승 또는 하강되며, 운전자는 가스 스프링(13)을 적정 위치로 승강시킴으로써, 운전자 단말기(1)의 설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1)를 잡고서 좌우(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1)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키고자 하는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도조절부재(30)는 좌우각도조절부(3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7(a)에서와 같이, 운전자 단말기(1)는 도면상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운전자는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7(b)에서와 같이, 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거나 도 7(c)에서와 같이,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우각도조절부(31)는 회전축(15)을 회전시키게 되며, 운전자 단말기(1)는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운전자 단말기(1)는 도면상 수직 상태로 설치된다. 운전자는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8(a)에서와 같이, 위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운전자 단말기(1)는 틸트 샤프트(55)가 제2 플랜지(51)의 제2 결합구멍(52)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된다.
또 도 8(b)에서와 갈이, 운전자가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운전자 단말기(1)는 틸트 샤프트(55)가 제2 플랜지(51)의 제2 결합구멍(5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높이조절부재 11: 바닥판
12: 고정구멍 13: 가스 스프링
14: 피스톤 로드 15: 회전축
16: 고정볼트 17: 스프링 커버
18: 고정구멍 30: 각도조절부재
31: 좌우각도조절부 32: 제1 플랜지
33: 제1 결합구멍 34: 원통체
35: 고정바 36: 체결구멍
40: 연장부 41: 스프링 걸림홈부
42: 걸림홈부 43: 상부커버
44: 제1 걸림돌기 45: 제2 걸림돌기
46: 제3 걸림돌기 47: 하부커버
48: 안착홈부 49: 커버고정구멍
50: 상하각도조절부 51: 제2 플랜지
52: 제2 결합구멍 55: 틸트 샤프트
56: 토션 스프링 57: 고정축
58: 스프링 디스크 60: 단말기 고정부재
61: 제1 플레이트 62: 제2 플레이트
63: 회전구멍

Claims (11)

  1.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탑승 인원, 요금을 정산하는 운전자 단말기를 설치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로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좌우 회전 또는 상하 회전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고정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가스 스프링의 외면에 결합되는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커버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형성된 고정바가 고정되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좌우각도조절부;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틸트 샤프트가 결합되는 상하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에는 상기 좌우각도조절부와 상기 상하각도조절부 사이에 연장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구멍이 형성된 제1 플랜지;
    상기 틸트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결합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각도조절부에는 스프링 커버의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상기 스프링 커버에 형성된 고정구멍과 대응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샤프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축;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고정부재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일면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틸트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KR1020160052746A 2016-04-29 2016-04-29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KR10184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46A KR101848007B1 (ko) 2016-04-29 2016-04-29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46A KR101848007B1 (ko) 2016-04-29 2016-04-29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40A KR20170123440A (ko) 2017-11-08
KR101848007B1 true KR101848007B1 (ko) 2018-04-12

Family

ID=6038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746A KR101848007B1 (ko) 2016-04-29 2016-04-29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45Y1 (ko) * 2023-02-15 2023-11-09 주식회사 엠피지오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4Y1 (ko) 2012-05-07 2014-04-08 주식회사 에이텍 버스 단말기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4Y1 (ko) 2012-05-07 2014-04-08 주식회사 에이텍 버스 단말기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40A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514B2 (en)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US9211812B2 (en) Utility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rotation adjustment device
JP2015058929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CN101346750A (zh) 显示器与支承用具的连结构造、显示器、支架及附属装置
US20080246310A1 (en) Adapter for fixation of a robotic drive in a car
US7490559B2 (en) Modular base for industrial tools
KR101848007B1 (ko) 운전자 단말기 설치장치
JP2011161994A (ja) ガラス調整治具およびガラス調整方法
US11034375B2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driver's cab and a steering unit
JP2009249878A (ja) パネル支持装置
US5294098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car door
CN110546103A (zh) 升降平台
KR101404974B1 (ko) 센서박스 거치용 카트
KR10204304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모듈커버의 돌출에지부 면취장치
CN105314005A (zh) 汽车仪表盘试制工装及使用其试制样车的方法
KR100488733B1 (ko)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차량 부품 취출 및 정렬 장치
KR20220094599A (ko) 골프 연습용 매트 유닛
JP6805963B2 (ja) 車体支持装置
KR101977925B1 (ko) 차량용 룸미러
US9862581B2 (en) Adjustable load supporting stand apparatus and method
KR200213322Y1 (ko) 쌍호차
CN220249545U (zh) 升降支架
CN219571365U (zh) 平板支架结构及车辆辅助标定装置
US11021354B2 (en) Industrial truck having a hydraulic fluid tank
KR101317238B1 (ko) 방진대 수평 조정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