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959B1 -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 - Google Patents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959B1
KR101847959B1 KR1020160079883A KR20160079883A KR101847959B1 KR 101847959 B1 KR101847959 B1 KR 101847959B1 KR 1020160079883 A KR1020160079883 A KR 1020160079883A KR 20160079883 A KR20160079883 A KR 20160079883A KR 101847959 B1 KR101847959 B1 KR 10184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feeding
baby
load cel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132A (ko
Inventor
황희석
Original Assignee
(주)명성에이앤티(A&T)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에이앤티(A&T) filed Critical (주)명성에이앤티(A&T)
Priority to KR1020160079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9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유 수유모가 아기에 수유중에도 아기의 체중 측정이 용이하며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 전송이 가능한 수유쿠션으로서,
일부분에 설치되어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며 설정된 부분에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의 체결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결속부재; 상기 각각의 결속부재에 결합되며 수유를 위해서 아기 신체가 상부에 놓여지고 수유 및 체중측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아기 신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쿠션유닛; 상기 각각의 결속부재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쿠션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상기 쿠션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과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유 수유모의 경우에도 아기의 체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모유 수유량을 확인함으로써, 적정량의 모유수유를 할 수 있고, 로드셀을 상하의 쿠션유닛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로드셀을 지지해주므로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서도 아기 체중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여,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적적량의 수유량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체크하면서 수유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EASY WEIGHT MEASURING FEEDING CUSHION AND TAB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아기 체중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유시 아기와 수유모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유 쿠션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유 쿠션은 주로 내부에 솜을 넣어 형성하거나 평편한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등의 스펀지(sponge)를 넣어 형성하여 유아의 받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솜을 넣어 형성되는 수유 쿠션의 경우 아기가 놓이는 면이 곡률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유시 수유모가 아기를 지탱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펀지를 넣어 형성되는 수유 쿠션의 경우 평편한 면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이 역시 수유 쿠션의 높이를 고려하면 수유시 아기를 지탱해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0-2015-0030509호 `모유수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쿠션과 수유의자 및 이를 활용한 모유수유량 모니터링 방법`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수유량측정을 위한 수유쿠션은, 모유 수유모(M)가 아기(B)에게 모유수유를 할수 있는 수유쿠션으로서, 아기(B)가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유쿠션본체; 상기 수유쿠션 본체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홈에 아기(B)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수유쿠션본체 저면이 전체로써 지지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전자파가 차단되는 수유쿠션지지패널; 상기 수유쿠션지지패널의 저면에 배치되어, 모유수유 전후의 상기 아기(B)의 체중이 측정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이 가압되도록 수유쿠션지지패널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수유쿠션지지패널에 놓여있는 수유쿠션본체를 담는 외피부재; 및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모유수유 전후의 상기 아기(B)의 체중이 표시되며, 상기 외피부재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게 설치되어, 모유수유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유량측정을 위한 수유쿠션과 수유의자 및 이를 활용한 수유방법에 따르면, 분유 수유모의 경우 수유량을 측정해서 아이에게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유를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모유 수유모의 경우에도 모유 수유량을 확인함으로써, 적정량의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적정량의 모유수유를 유지하기 위해 로드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수유쿠션이 놓여지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아기 체중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수유쿠션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59720호(발명의 명칭: 모유수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쿠션과 수유의자 및 이를 활용한 모유수유량 모니터링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분유 수유모의 경우 수유량을 측정해서 아이에게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유를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아기의 체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모유 수유모의 경우에도 모유 수유량을 확인함으로써, 적정량의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은, 모유 수유모가 아기에 수유중에도 아기의 체중 측정이 용이하며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 전송이 가능한 수유쿠션으로서, 일부분에 설치되어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며 설정된 부분에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의 체결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결속부재; 상기 각각의 결속부재에 결합되며 수유를 위해서 아기 신체가 상부에 놓여지고 수유 및 체중측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아기 신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쿠션유닛; 상기 각각의 결속부재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쿠션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상기 쿠션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과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유닛은, 합성수지소재를 이용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부에 아기가 놓이거나 하부가 바닥면에 놓여질 때 충격을 흡수하면서 아기를 지지하는 쿠션폼; 상기 쿠션폼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쿠션폼을 받쳐주거나 대면하면서 상기 쿠션폼을 지지하며, 상기 결속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속판; 및 상기 쿠션폼과 상기 속판을 에워싸면서 상기 쿠션폼과 속판이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체결턱이 노출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속판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설정된 길이에서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고리띠와 상기 고리띠와 상기 속판 사이에 개재되는 긴장용 스프링이 구비되는 봉형상의 스토퍼; 상기 결속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의 말단과 맞닿는 부분에 설정된 형태의 굴곡부를 형성시키고 가압을 통해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굴곡부의 홈을 통한 결합이 가능하며, 가압되는 방향의 내부 측면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버튼; 및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결속부재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버튼에 삽입된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분에 구비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유쿠션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아기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유닛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로 측정된 아기의 체중과 상기 체온계로 측정된 체온을 외부에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는, 모유수유량과 아기 체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연동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수유쿠션이 탈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유쿠션이 받쳐지는 수유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수유쿠션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은, 모유 수유모의 경우에도 아기의 체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모유 수유량을 확인함으로써, 적정량의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또한, 로드셀을 상하의 쿠션유닛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로드셀을 지지해주므로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서도 아기 체중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여,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적적량의 수유량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체크하면서 수유가 가능하다.
또한, 수유쿠션을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어프리케이션이 설치된 무선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시켜서 아기의 몸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저장하여 다이어리로 정리하여 지속적인 건강체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의 상부사시도.
도 2는 상기 수유쿠션의 하부사시도.
도 3은 상기 수유쿠션의 상부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수유쿠션의 하부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제 1부분확대도.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제 2부분확대도.
도 7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블럭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의 상부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수유쿠션의 하부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수유쿠션의 상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수유쿠션의 하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제 1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제 2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유 수유모가 아기에 수유중에도 아기의 체중 측정이 용이하며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 전송이 가능한 수유쿠션으로서, 본 발명은 로드셀(100), 결속부재(200), 쿠션유닛(300), 커넥터(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100)은 일부분에 설치되어 아기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로드셀(load cell)은 하중계나 하중센서 또는 힘센서라고도 불리며,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출력을 전기적으로 꺼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로드셀(100)은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부품으로서, 아기에 대하여 모유수유 전(前)과 모유수유 후(後)의 체중을 측정하여 이를 나타낼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정확한 모유수유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10g이내의 무게증감까지도 감지할 수 있도록, 정밀도가 우수한 전자식 로드셀(10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결속부재(2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로드셀(10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며 설정된 부분에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의 체결홀(3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결속부재(200)와 로드셀(100)의 결합방식은 결속부재(200)나 로드셀(100)에 각가 형성된 볼트홀을 통해 볼트나 나사를 이용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쿠션유닛(3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결속부재(200)에 결합되며 수유를 위해서 아기 신체가 상부에 놓여지고 수유 및 체중측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아기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쿠션유닛(300)은 쿠션폼(310), 속판(320) 및 커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폼(310)은 합성수지소재를 이용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부에 아기가 놓이거나 하부가 바닥면에 놓여질 때 충격을 흡수면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다.
쿠션폼(310)의 소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종류로는 페놀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아크릴수지, 우레아/멜라민수지, 실리콘수지 등이 있다.
상기 속판(320)은 쿠션폼(3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쿠션폼(310)을 받쳐주거나 대면하면서 쿠션폼(310)을 지지하며, 결속부재(200)에 형성된 체결홀(3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턱(50)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330)는 쿠션폼(310)과 속판(320)을 에워싸면서 쿠션폼(310)과 속판(320)이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키며 체결턱(50)이 노출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커버(330)는 아기가 모유수유 도중에 소변 등을 보거나 구토를 할 수도 있는바, 오염에 대비할 수 있는 방오(防汚)기능이 갖추어지거나, 소변 등을 포함하여 오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소재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330)는 쿠션유닛(300)을 일체형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하 한쌍의 쿠션유닛(300)을 일체로 감싸는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측면에는 지퍼 등의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교체가 편리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400)는 각각의 결속부재(2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각각의 쿠션유닛(3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일 수 있다.
커넥터(400)는 스토퍼(410), 누름버튼(420) 및 스프링걸림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10)는 속판(32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설정된 길이에서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고리띠(412)와 고리띠(412)와 속판(320) 사이에 개재되는 긴장용 스프링이 구비되는 봉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420)은 결속부재(200)의 측면에서 스토퍼(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토퍼(410)의 말단과 맞닿는 부분에 설정된 형태의 굴곡부(440)를 형성시키고 가압을 통해 스토퍼(410)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굴곡부(440)의 홈을 통한 결합이 가능하며, 가압되는 방향의 내부 측면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걸림부(430)는 누름버튼(420)에 대응하여 결속부재(200)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누름버튼(420)에 삽입된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돌기(43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쿠션유닛(3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로드셀(100)과 연결되어 로드셀(100)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 수유쿠션(10)은 무선통신모듈(600), 손잡이(700), 체온계(810) 및 디스플레이(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600)은 쿠션유닛(3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500)에 연결되어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는 무선통신모듈(600)을 블루투스 통신모듈, 와이파이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는 하나인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나 상기의 방식에만 국한하지 않고 최선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700)는 일부분에 구비되어 수유쿠션(1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온계(810)는 쿠션유닛(300)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아기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유닛(300)에 단순 온도계 거치부를 두어 체온측정하거나 써미스터을 이용하여 체온/주변 온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IR을 활용한 비접촉성 체온계, Bio 표시외에 '자(ruler)'를 내입하거나 줄자를 두어 키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00)는 쿠션유닛(300)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컨트롤러(500)와 연결되어 로드셀(100)로 측정된 아기의 체중과 체온계(810)로 측정된 체온을 외부에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무선 모바일 단말기는 모유수유량과 아기 체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무선통신모듈(600)을 통해서 수유쿠션(10)과 연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통한 수유쿠션(10)과 연동하여 아기 체중과 수유량 등의 정보를 공유하여 아기의 성장 다이어리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어 지속적인 아기 몸상태의 모니터링으로 건강 체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유쿠션(10)이 거치되는 수유테이블(9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유테이블(900)은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10)이 탈착되게 설치되며 수유쿠션(10)이 받쳐지는 받침대와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유테이블(900)은 전동 모터를 활용하여 상판을 상하로 움직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 바퀴를 달아서 이동성을 편리하게 하는 기능, 발바침을 갖추거나, 수유테이블(900)과 수유쿠션(10)에 자석을 설치하여 수유쿠션을 수유테이블고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아기를 전자파에서 보호하기 위한 전자파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는 수유쿠션(1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전자파가 차단되는 상기 성분은 그 종류에 있어서 어떠한 제한이 없으며, 전자파로부터 아기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와는 무관할 것이며, 전자파 차단필름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유쿠션(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수유모의 허리를 감싸주는 쿠션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벨트는 일명 찍찍이라고 칭하는 벨크로부재(velclo tape)를 통한 결합이나, 스넵(snap)단추 또는 버클(buckle)벨트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양단부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결합된 것이 다시 해제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밖에 또 다른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유쿠션(10)은, 모유 수유모가 아기를 수유쿠션(10)에 편하게 눕힌 후에, 모유수유 전(前)에 아기(B)의 체중을 측정하고, 모유수유 후(後)의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이에 따라 적정량의 모유수유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유수유 전(前)과 모유수유 후(後)에는 잠시 동안만이라도 아기의 체중이 정확하게 상기 로드셀(100)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상기 수유쿠션(10)의 하부에 장착된 쿠션유닛(300)을 통해서 로드셀(100)을 지지하면서 안정적인 아기 체중의 측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수유쿠션(10)은, 커넥터(400)에 의해 결속부재(200)와 쿠션유닛(30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700)를 이용하여 운반이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로드셀(100)이 결합된 결속부재(200)를 사이에 두고 쿠션유닛(300)이 상하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로드셀(100)과 쿠션유닛(300)이 서로 독립적인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로드셀이 쿠션유닛에 둘러싸인 형태로 쿠션유닛의 내부에 배치됨으로 인해 로드셀에 아기의 체중에 의한 하중에 더하여 쿠션의 변형이나 탄성의 영향이 함께 전달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수유쿠션들의 구성과는 달리, 로드셀이 쿠션유닛의 변형 및 탄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아기 체중의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고, 그것에 의해, 아기의 체중 및 모유 수유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확인하면서 적정량의 모유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수유쿠션 30 : 체결홀
50 : 체결턱 100 : 로드셀
200 : 결속부재 300 : 쿠션유닛
310 : 쿠션폼 320 : 속판
330 : 커버 400 : 커넥터
410 : 스토퍼 412 : 고리띠
420 : 누름버튼 430 : 스프링걸림부
432 : 수용돌기 440 : 굴곡부
500 : 컨트롤러 600 : 무선통신모듈
700 : 손잡이 800 : 디스플레이
810 : 체온계 900 : 수유테이블

Claims (9)

  1. 모유 수유모가 아기에 수유중에도 아기의 체중 측정이 용이하며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 전송이 가능한 수유쿠션으로서,
    일부분에 설치되어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며 설정된 부분에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의 체결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결속부재;
    상기 로드셀이 결합된 상기 결속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되며 수유를 위해서 아기 신체가 상부에 놓여지고 수유 및 체중측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아기 신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쿠션유닛;
    상기 각각의 결속부재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쿠션유닛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상기 쿠션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과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컨트롤러; 및
    이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결속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쿠션유닛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운반이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데 더하여,
    상기 로드셀이 결합된 상기 결속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쿠션유닛이 상하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로드셀과 상기 쿠션유닛이 서로 독립적인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로드셀이 상기 쿠션유닛의 변형 및 탄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상기 로드셀이 상기 쿠션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에 비해 아기 체중의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아기의 체중 및 모유 수유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확인하면서 적정량의 모유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유닛은,
    합성수지소재를 이용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부에 아기가 놓이거나 하부가 바닥면에 놓여질 때 충격을 흡수하면서 아기를 지지하는 쿠션폼;
    상기 쿠션폼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쿠션폼을 받쳐주거나 대면하면서 상기 쿠션폼을 지지하며, 상기 결속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속판; 및
    상기 쿠션폼과 상기 속판을 에워싸면서 상기 쿠션폼과 속판이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체결턱이 노출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속판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설정된 길이에서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형성되는 고리띠와 상기 고리띠와 상기 속판 사이에 개재되는 긴장용 스프링이 구비되는 봉형상의 스토퍼;
    상기 결속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출입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의 말단과 맞닿는 부분에 설정된 형태의 굴곡부를 형성시키고 가압을 통해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굴곡부의 홈을 통한 결합이 가능하며, 가압되는 방향의 내부 측면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버튼; 및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결속부재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버튼에 삽입된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유쿠션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아기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쿠션유닛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로 측정된 아기의 체중과 상기 체온계로 측정된 체온을 외부에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는,
    모유수유량과 아기 체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연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9.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항 및 청구항 6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유쿠션이 탈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유쿠션이 받쳐지는 수유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수유쿠션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테이블.
KR1020160079883A 2016-06-27 2016-06-27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 KR10184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83A KR101847959B1 (ko) 2016-06-27 2016-06-27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83A KR101847959B1 (ko) 2016-06-27 2016-06-27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32A KR20180001132A (ko) 2018-01-04
KR101847959B1 true KR101847959B1 (ko) 2018-04-30

Family

ID=6099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883A KR101847959B1 (ko) 2016-06-27 2016-06-27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9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7578A1 (en) * 2012-06-12 2013-12-12 Daniel Lawrence Roth Nursing platform with integrated weighing means
KR101559026B1 (ko) * 2015-07-27 2015-10-08 주식회사 쁘레베베 유모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유아 상태 모니터링 방법
KR101559720B1 (ko) * 2015-03-04 2015-10-13 황희석 모유수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쿠션과 수유의자 및 이를 활용한 모유수유량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7578A1 (en) * 2012-06-12 2013-12-12 Daniel Lawrence Roth Nursing platform with integrated weighing means
KR101559720B1 (ko) * 2015-03-04 2015-10-13 황희석 모유수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쿠션과 수유의자 및 이를 활용한 모유수유량 모니터링 방법
KR101559026B1 (ko) * 2015-07-27 2015-10-08 주식회사 쁘레베베 유모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유아 상태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32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465B2 (ja) 乳幼児用支持パッド
KR101559720B1 (ko) 모유수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쿠션과 수유의자 및 이를 활용한 모유수유량 모니터링 방법
US10809121B2 (en) Combined infant changing and weighing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8695137B1 (en) Portable diaper-changing restraint system
US8927883B2 (en) Nursing platform with integrated weighing means
US20170311886A1 (en) A wearable sensing assembly
US20120319835A1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Body Monitoring, more particularly for Infants
US8245338B1 (en) Portable diaper changing pad device
US20150272503A1 (en) Pulse meter for new-borns
KR101847959B1 (ko) 체중 측정이 용이한 수유쿠션 및 이를 이용한 수유테이블
CA3101705A1 (en) Child-supporting harness
US20210121370A1 (en) Pacifier Strap with Wireless Locator
US20180361887A1 (en) Car Seat Child Safety Alert Device
US20160331151A1 (en) Infant Support Wrap
KR101941543B1 (ko) 수면베개
US20160073889A1 (en) Infant patient transfer device with temperature sensor
JP2018171236A (ja) 検出装置
CN110996656A (zh) 佩戴器具以及佩戴方法
WO2018105471A1 (ja) 体表温測定具
US20160228004A1 (en) Infant body temperature and sleep monitoring system
KR20060085906A (ko) 일정 대상 또는 도구의 위치, 자세 또는 상태의 변화를전해주는 도구, 시스템 및 방법
CZ2018573A3 (cs) Miniaturní ohebný teploměr pro kontinuální měření teploty lidského těla a způsob měření teploty lidského těla tímto teploměrem
JP6934710B2 (ja) 乳幼児用睡眠パッド
KR101965797B1 (ko) 아기머리보호패드
CN214511138U (zh) 睡眠监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