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823B1 -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823B1
KR101847823B1 KR1020110113425A KR20110113425A KR101847823B1 KR 101847823 B1 KR101847823 B1 KR 101847823B1 KR 1020110113425 A KR1020110113425 A KR 1020110113425A KR 20110113425 A KR20110113425 A KR 20110113425A KR 101847823 B1 KR101847823 B1 KR 10184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ide portion
hinge
insertion hol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8536A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823B1/en
Publication of KR2013004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부에는 클램프 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운반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브라켓과; 일측부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운반물에 형성된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삽입홀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bracket is provided at one side of which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clamp pin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mounted to a article; A second bracket having one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side portion having a mounting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a mounting hole formed in the article; And a hinge assembly rotatably coupl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first bracke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bracket toward the insertion hole.

Description

차량용 브라켓 모듈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량용 브라켓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acket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racket module detachably coupled.

일반적으로 오디오 장치, 스티어링 휠, 계기류 등이 위치되는 차 실내의 전방에는 크래쉬 패드가 장착되어 실내 인테리어를 마무리한다. 이러한 크래쉬 패드가 장착되기 전에 차 실내로 히터나 에어컨의 온/냉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 유니트가 차체에 먼저 설치된다.In general, a crash pad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r in which the audio device, steering wheel, instrument, etc. are located to complete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Before the crash pad is mounted, a blower unit for supplying hot air or cool air of the heater or air conditioner to the vehicle interior is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first.

그리고 다음으로 스티어링 휠을 지지하고, 그 스티러링 휠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카울 크로스바가 설치된 후에 이들을 커버하기 위한 크래쉬 패드가 차량의 몸체에 장착된다.Then, a cow crossbar for supporting the steering wheel and absorbing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teering wheel is installed, and then a crash pad for covering the crash bar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카울 크로스바는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크래쉬 패드에 장착된다. 따라서, 지그 장치를 카울 크로스바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라켓 모듈이 필요하다. 이에 지그 장치는 브라켓 모듈을 통해 카울 크로스바를 크래쉬 패드로 이동시켜 결합시킨다. 이처럼 브라켓 모듈은 차량 조립 단계에서 크래쉬 패드를 차체 장착시 사용한다. 따라서, 크래쉬 패드와 카울 크로스바를 결합되 후에는 쓸모가 없는 부품이다. The cow crossbar is mounted on the crash pad using a jig device. Therefore, a bracket module is required to connect the jig device to the cowl crossbar. The jig device moves the cowl crossbar to the crash pad through the bracket module. In this way, the bracket module is used to mount the crash pad on the vehicle body during the vehicle assembly phase. Therefore, after combining the crash pad and cowl crossbar, it is a useless part.

이에 종래의 브라켓 모듈은 차량의 중량과 원가를 증가시키고, 브라켓 모듈을 탈거하기 위한 작업 공수가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bracket module increases the weight and cost of the vehicle, and increases the work flow for removing the bracket modu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가, 중량 및 조립 공수를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착탈 가능한 차량용 브라켓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bracket module that can be automatically detachable to reduce costs, weight, and assembly cost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일측부에는 클램프 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운반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브라켓과; 일측부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운반물에 형성된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삽입홀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cket module for a vehicle, including: a first bracket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receiving a clamp pin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bracket detachably mounted to the article; A second bracket having one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side portion having a mounting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a mounting hole formed in the article; And a hinge assembly rotatably coupl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first bracke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bracket toward the insertion hol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용 브라켓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bracke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이 자동으로 착탈되므로 차량의 조립 공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vehicle bracket module is automatical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number of the vehicle is reduced.

둘째, 탈거된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원가를 절감하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 removed bracket module for vehicle can be recovered and reused, which is advantageous in cost reduction.

셋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을 착탈 가능하기에 차량의 중량을 줄이는 장점도 있다.Third, since the vehicle bracket modul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he weight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이 운반물에 장착된 모습의 일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이 운반물에 장착된 모습의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이 운반물에 장착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of a vehicle bracket module mounted on a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a vehicle bracket module mounted on a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hinge assembly of a vehicle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bracket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arriag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브라켓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bracket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이 운반물에 장착된 모습의 일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이 운반물에 장착된 모습의 타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의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of a vehicle bracket module mounted on a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a vehicle bracket module mounted on a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hinge assembly of a vehicle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반물(10)은 크래쉬 패드(10), 카울 크로스바(10)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운반물(10)은 이하 카울 크로스바(10)로 지칭하도록 한다.The article 10 may be a crash pad 10, a cowl crossbar 10, or the lik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ticle 10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wl crossbar 10.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제1브라켓(100), 제2브라켓(200)과 힌지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힌지 어셈블리(300)는 힌지 샤프트(310)와 탄성부재(32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카울 크로스바(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1 to 3, a vehicle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100, a second bracket 200, and a hinge assembly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assembly 300 includes a hinge shaft 310 and an elastic member 320. The vehicle bracket module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ow crossbar 10, respectively.

제1브라켓(100)은 일측부에 지그 장치(30)의 클램프 핀(31)이 삽입되는 삽입홀(110)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100)의 타측부는 카울 크로스바(10)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삽입홀(11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형성된다.The first bracket 100 has an insertion hole 110 through which the clamp pin 31 of the jig device 30 is inserte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acket 1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owl crossbar 10.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0 are formed, and two insertion holes 110 are formed in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제1브라켓(100)의 타측부는 카울 크로스바(10)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20)가 형성된다. 끼움돌기(1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카울 크로스바(10)는 끼움돌기(120)가 끼워지는 끼움홀(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브라켓(100)은 카울 크로스바(10)에 장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acket 100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120 protruding toward the cowl cross bar 10 side. The fitting protrusions 120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 the cowl crossbar 10, a fitting hole 11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120 is fitted is formed. Thus, the first bracket 100 is mounted on the cowl crossbar 10.

제1브라켓(100)은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가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100)은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후술할 힌지 샤프트(310)가 관통되는 제1힌지부(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힌지부(130)에는 힌지 샤프트(310)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The first bracket 100 may be formed to be bent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first bracket 100 may have a first hinge 13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310 will pass. That is, the first hinge unit 130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310 passes.

제2브라켓(200)은 일측부가 삽입홀(11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2브라켓(200)의 일측부는 삽입홀(110)에 대응되는 부분이 삽입홀(110)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110)에 대응되는 부분은 "ㄷ" 자 형으로 돌출 형성된다.One side of the second bracket 20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10. One side of the second bracket 200 is protruded toward the insertion hole 110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10 is protruded in a "C" shape.

제2브라켓(200)은 타측부에 카울 크로스바(10)에 형성된 장착홀(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210)가 돌출 형성된다. 제2브라켓(200)은 힌지 어셈블리(300)와 클램프 핀(31)에 의해 회동한다. 이로서 제2브라켓(200)의 장착부(210)는 장착홀(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second bracket 200 has a mounting portion 210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hole 12 formed in the cowl crossbar 10 at the other side thereof. The second bracket 200 is rotated by the hinge assembly 300 and the clamp pin 31. Thus, the mount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bracket 2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mounting hole 12.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지그 장치(30)에 의해 카울 크로스바(10)를 이동시키는바, 장착부(210)는 카울 크로스바(10)의 하중을 견딜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210)는 "ㄷ"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r bracket module moves the cowl crossbar 10 by the jig device 30 and the mounting portion 210 has a rigidity enough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cowl crossbar 10. [ 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210 is protruded in a "C" shape.

제2브라켓(200)은 일측부와 타측부의 사이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ㄴ" 자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The second bracket 200 is formed to be bent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bent into "? &Quot; in this embodiment.

또한, 제2브라켓(200)은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후술할 힌지 샤프트(310)가 관통되는 제2힌지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힌지부(230)는 힌지 샤프트(310)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The second bracket 200 may have a second hinge part 23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310 will pas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econd hinge part 230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310 passes.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힌지 샤프트(310) 상에 배치된 탄성부재(320)가 제2힌지부(23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힌지부(230)은 2개가 형성된다. 이에, 탄성부재(320)도 힌지 샤프트(310)상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lastic member 320 disposed on the hinge shaft 31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230. In this embodiment, two second hinge portions 230 are formed. Accordingly, two elastic members 320 may be disposed on the hinge shaft 310. [

힌지 어셈블리(300)는 제2브라켓(200)을 제1브라켓(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힌지 어셈블리(300)는 제2브라켓(200)에 삽입홀(110)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hinge assembly 300 rotatably couples the second bracket 200 to the first bracket 100. The hinge assembly 30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bracket 200 toward the insertion hole 110 side.

힌지 어셈블리(300)는 힌지 샤프트(310)와 탄성부재(320)를 포함한다. 힌지 샤프트(310)는 제2브라켓(200)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 및 제1브라켓(100)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관통하여 제2브라켓(2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The hinge assembly 300 includes a hinge shaft 310 and an elastic member 320. The hinge shaft 310 penetrates through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200 and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100 so that the second bracket 200 is rotatably coupled.

탄성부재(320)는 힌지 샤프트(310)상에 배치되어 제2브라켓(200)을 삽입홀(110)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2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20)는 힌지 샤프트(310)상에 2개가 배치된다. 탄성부재(320)는 일단은 제1브라켓(1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브라켓(200)과 연결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20 is disposed on the hinge shaft 310 to provide the second bracket 200 with an elastic force toward the insertion hole 110 side. The elastic member 320 is made of a spring. As described above, two elastic members 320 are disposed on the hinge shaft 310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30)는 양측으로 이동가능한 지그부를 포함한다. 지그부는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그부는 복수의 클램프 핀(31)을 구비한다. 클램프 핀(31)은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그루브(32)가 형성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그루브(32)는 클램프 핀(31)을 삽입홀(110)에서 빼는 경우, 삽입홀(110)에 걸리게 된다. 이에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카울 크로스바(10)에서 자동으로 탈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jig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ig movable on both sides. The jig is made up of a pair. The jig has a plurality of clamp pins (31). The clamp pin (31) is formed with a groove (32)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The grooves 32 are caught by the insertion holes 110 when the clamp pins 31 are pulled out of the insertion holes 110 as described later. Thus, the vehicle bracket module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cowl crossbar 1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racke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라켓 모듈이 운반물에 장착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bracket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arriage.

운반물(10)은 크래쉬 패드(10), 카울 크로스바(10)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운반물(10)은 이하 카울 크로스바(10)로 지칭하도록 한다.The article 10 may be a crash pad 10, a cowl crossbar 10, or the lik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ticle 10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wl crossbar 10.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용 브라켓 모듈을 카울 크로스바(10)에 장착한다. 즉, 제1브라켓(100)의 타측부에 형성된 끼움돌기(120)를 카울 크로스바(10)에 형성된 끼움홀(11)에 끼워 장착한다.Referring to FIG. 5, first, the vehicle bracket module is mounted on the cowl crossbar 10. That is, the fitting protrusion 12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racket 100 is fitted in the fitting hole 11 formed in the cowl crossbar 10.

지그 장치(30)의 클램프 핀(31)을 제1브라켓(1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삽입홀(110)에 삽입한다.The clamp pin 31 of the jig device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100. [

삽입홀(110)을 통해 삽입된 클램프 핀(31)에 의해 제2브라켓(200)은 회동한다. 제2브라켓(200)의 회동하기에 장착부(210)가 카울 크로스바(10)에 형성된 장착홀(12)에 장착된다. 이에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카울 크로스바(10)에 장착된다.The second bracket 200 is rotated by the clamp pin 31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0. The mounting portion 210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12 formed in the cowl crossbar 10 in order to pivot the second bracket 200. The vehicle bracket module is mounted on the cowl crossbar 10.

지그 장치(30)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을 통해 카울 크로스바(10)를 들어 올려 크래쉬 패드로 이동시킨다.The jig device (30) lifts the cow crossbar (10) through the vehicle bracket module and moves it to the crash pad.

지그 장치(30)는 카울 크로스바(10)를 크래쉬 패드로 이동시키면, 클램프 핀(31)을 삽입홀(110)에서 뺀다. 이때 제2브라켓(200)은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홀(110)측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제2브라켓(200)의 장착부(210)는 카울 크로스바(10)의 장착홀(12)에서 탈거된다.When the cigarette cross bar 10 is moved to the crash pad, the jig device 30 pulls the clamp pin 31 out of the insertion hole 110. At this time, the second bracket 200 is rotated toward the insertion hole 1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20. Therefore, the mount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bracket 200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hole 12 of the cowl crossbar 10.

또한, 클램프 핀(31)이 삽입홀(110)에서 빠질 때, 클램프 핀(31)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그루브(32)가 삽입홀(110)에 걸린다. 따라서, 제1브라켓(100)의 끼움돌기(120)가 카울 크로스바(10)의 끼움홀(11)에서 탈거된다. 이로서 차량용 브라켓 모듈은 카울 크로스바(10)로부터 완전히 탈거된다. When the clamp pin 31 comes out of the insertion hole 110, the groove 32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 pin 31 is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110. Therefore, the fitting protrusion 120 of the first bracket 100 is detached from the fitting hole 11 of the cowl crossbar 10. As a result, the vehicle bracket module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ow crossbar 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운반물 11: 끼움홀
12: 장착홀 30: 지그 장치
31: 클램프 핀 32: 그루브
100: 제1브라켓 110: 삽입홀
120: 끼움돌기 130: 제1힌지부
200: 제2브라켓 210: 장착부
220: 돌출부 230: 제2힌지부
300: 힌지 어셈블리 310: 힌지 샤프트
320: 탄성부재
10: article 11: insert hole
12: mounting hole 30: jig device
31: clamp pin 32: groove
100: first bracket 110: insertion hole
120: insertion protrusion 130: first hinge part
200: second bracket 210:
220: protruding portion 230: second hinge portion
300: hinge assembly 310: hinge shaft
320: elastic member

Claims (9)

일측부에는 클램프 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운반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브라켓과;
일측부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타측부는 상기 운반물에 형성된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삽입홀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A first bracket detachably mounted on the article, and a second bracket detachably mounted on the second bracket;
A second bracket having one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side portion having a mounting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a mounting hole formed in the article;
And a hinge assembly rotatably coupl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first bracke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bracket toward the inser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샤프트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삽입홀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assembly includes:
A hinge shaft penetrating between th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and between th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and pivotably coupl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first bracket;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disposed on the hinge shaft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insertion hole side in the second brack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spr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힌지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1힌지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힌지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2힌지부이 형성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bracket has a first hinge portion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passes,
And the second bracket has a second hinge portion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pa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타측부는 상기 운반물 측으로 돌출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운반물은 상기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toward the article,
Wherein the article has a fit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j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핀은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그루브가 형성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 pin has a groove protruding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일측부와 타측부의 사이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차량용 브라켓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bracket is formed to be bent between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KR1020110113425A 2011-11-02 2011-11-02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KR101847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25A KR101847823B1 (en) 2011-11-02 2011-11-02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25A KR101847823B1 (en) 2011-11-02 2011-11-02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36A KR20130048536A (en) 2013-05-10
KR101847823B1 true KR101847823B1 (en) 2018-04-12

Family

ID=4865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425A KR101847823B1 (en) 2011-11-02 2011-11-02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82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07B1 (en) 2007-11-20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racket apparatus for lifting a cockpit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07B1 (en) 2007-11-20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racket apparatus for lifting a cockpi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36A (en)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3968B2 (en) Headlamp body positioning method and body positioning structure
ATE400489T1 (en) MOTOR VEHICLE FRONT UNIT SUPPORT AND ASSEMBLY METHOD
CN101311011B (en) Vehicle top air conditioner for bus
JP3692425B2 (en) Jig device for bolster assembly of vehicle
JP5653526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US8240746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US9868334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vehicle-mounted device
KR101847823B1 (en) a bracket assembly for vehicles
KR101566128B1 (en) mounting structure of front cooling module for automobile
JP5889178B2 (en) Work vehicle bonnet structure
JP2010137846A (en) Automobile equipped with air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the air guide apparatus
JP2009149226A (en) Head lamp mounting structure
KR101517723B1 (en) rear bumper bracket assembly for automobile
JP2004351959A (en) Head lamp attaching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1890617B1 (en) Cockpit module
KR101637264B1 (en) Air bag module extracting unit for steeling wheel
JP2008080848A (en) Vehicular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2011093357A (en) Method of preventing coming-off of luggage cage of bicycle and the like
JP2002284057A (en) Front end module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JP4048991B2 (en)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evice for front body unit
JP2006035908A (en) Vehicle cover and motorcycle
KR20050116858A (en) Mounting structure for air bag cutoff switch
KR20090062140A (en) Apparatus for jigging a crash pad module
JP6390136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vehicle front assembly method
CN218140889U (en) Automobile front axle assembly with adjustable caster angle of kingpin and vehicle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