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07B1 -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07B1
KR101847707B1 KR1020160051213A KR20160051213A KR101847707B1 KR 101847707 B1 KR101847707 B1 KR 101847707B1 KR 1020160051213 A KR1020160051213 A KR 1020160051213A KR 20160051213 A KR20160051213 A KR 20160051213A KR 101847707 B1 KR101847707 B1 KR 10184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freezing
spermatozoa
frozen
sp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867A (ko
Inventor
조영철
이경식
선승천
김지헌
김학배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6005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21Freeze-process protecting agents, i.e. substances protecting cells from effects of the physical process, e.g. cryoprotectants, osmolarity regulators like oncotic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숙한 수컷 전복을 25~30℃에서 2시간 동안 간출 자극시키는 단계, 간출자극 후, 곧바로 18~21℃에서 각각 1시간씩 자외선 조사하는 단계, 자외선 자극이 끝난 수컷 전복의 생식소를 압박하여 정자를 채취하는 단계 및 채취한 전복 정자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2.5~15 v/v%를 포함하는 동결액에서 -196℃로 냉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방법 및 냉동보존된 전복 정자를 40℃ 수욕조에서 해동하는 단계, 해동된 전복 정자를 20만~30만/㎖으로 희석하여 2000/㎖의 전복란에 부피비 1:1로 혼합하여 인공수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Method of Cryopreservation of Sperm in Abalone and Spat Production from them}
본 발명은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의 인공종묘생산 및 유전자원확보와 우량종 개발을 위한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 기술 및 냉동된 전복 정액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옛날부터 고가의 기호식품으로서 산업적으로 전망이 밝은 고부가가치 양식품종으로 전복의 생체는 전통적으로 고단백의 고급 수산식품이며, 무지개색의 진주광택을 갖는 내측 껍질면의 패각은 고급 자개용 공예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전복 양식은 진주 양식을 위한 모패로도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전복의 종류는 현재 세계적으로 약 1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의 연안에는 북방전복을 비롯하여, 말전복, 둥근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기 및 마대오분자기 등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전복은 뛰어난 식감과 풍부한 영양소로 인하여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해산물의 일종이다. 그러나, 전복의 무분별한 채취와 함께 연안해역의 오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백화현상 등으로 말미암아,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전복의 양이 크게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복의 치패(稚貝: 어린조개)를 대량으로 방류하거나, 채롱이나 파판 등에 전복 치패를 부착시켜 수하식 또는 가두리 양식방법 등의 인공양식을 통하여 전복 생산량을 늘리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치패의 방류나 인공양식에 있어 전복의 종묘 수급문제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문제로, 1970년 이후 전복의 인공종묘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1970년대 일본에서 성숙유효적산수온개념의 확립으로 모패으 인위적인 성숙이 가능해지고, 자외선조사에 의한 산란유발 기법이 확립됨에 따라 인공종묘의 대량생산 기틀이 마련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 이후, 여수 근해산 참전복의 춘계채묘 시험을 실시하여 산란유발자극, 수정율, 유생발생, 부착재료 및 치패의 생존율에 대한 연구 등으로 전복종묘의 대량생산의 길이 열렸고 산란유발방법, 생사육 및 채묘기술 등이 개발되면서 1970년대 후반부터 국립수산과학원 북제주종묘시험장, 여수수산종묘시험장, 포항수산종묘시험장 등에서 전복인공종묘의 대량생산을 하기 시작하였다.
전복 인공종묘의 생산은 먼저 환경변화에 강한 둥근전복이나 북방전복을 대상으로, 각장 13 cm 이상의 성숙한 모패를 선택하여 수온자극, 간출자극, 자외선 조사, 해수 자극, pH 상승, 과산화수소 첨가 자극 및 오존통기 해수 방법 등으로 산란을 유발하고 정충에 노출시켜 수정을 유도한다. 수정란은 부화조에서 부화, 채묘되어 양식 가능한 종패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전복의 인공종묘 생산은 다른 수산생물의 인공종묘 생산과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즉, 대부분 체외수정을 하는 수산생물은 일정한 방란 및 방정 시기를 갖고 있어 시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수정시켜야하는 문제가 있으며, 자연산 어매 유래의 수정란 확보가 자연자원의 급격한 감소로 어려움이 있어 우량종 획득을 위한 선택적 교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전복의 종에 따라 번식기간 동안만 정액의 채취가 가능하므로 종간 교잡종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며, 단일 종이라도 번식기간에만 인공종묘를 생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정액의 냉동보존방법은 축산업 분야에서는 종 다양성의 확보 및 육종 등을 위하여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어류, 패류를 포함하는 수산양식업에서는 그 연구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세계적으로는 멸종위기 종의 보호 및 어류자원 확보의 측면에서 어류 정자의 냉동보존을 이용하여 종묘생산에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방란, 방정 시기가 불일치하거나 성비가 고르지 못할 때 발생하는 채란, 채정의 비동시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수컷 어미의 사육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우량종의 선택교배를 가능하게 하고, 우량종과 유전공학에 의해 생산된 신품종 어류의 격리보존이나 멸종위기에 놓인 재래종의 보존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 종의 정액 냉동보존에 관한 연구는 아직 전무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0416호는 피조개 부유 유생의 냉동보존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조개 부유유생을 동결방지제가 희석된 인공해수 안에 넣어 동결방지제를 흡수하도록 하는 단계, 피조개 부유유생을 실온에서 평형시간동안 놓아두는 단계, 피조개 부유유생을 동결기에 사용하여 냉각하는 단계를 통해 피조개 양식분야, 특히 피조개 인공종묘생산에 있어 과학적이고 예측 가능한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특1997-0009554호는 직접 이식용 소 수정란의 동결보존액 및 이를 이용한 동결보존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 수정란 동결보존액을 수정란을 동결 및 보존 후에 암소에 직접 이식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소 수정란의 동결보존 기본액 약 70v/v%, 에틸렌글리콜 1.02.5M, 슈크로스 0.050.20M, 소 혈청알부민(BSA) 35중량%, 및 태내 송아지 혈청(FCS) 1030v/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특2002-0023001호는 돼지정자 동결용 희석액에 관한 것으로, 동결정액의 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율을 개선하여 실용화를 이룰 수 있도록, 100를 기준으로 락토스 수화물 11g, 난황 20, N-아세틸-D-글루코사민 0.011.5g, 나머지 증류수를 포함하는 돼지정자 동결용 희석액을 제공한다. 또한 100를 기준으로 락토스 수화물 11g, 난황 20, 글리세롤 4%, 오이피 1.0%, N-아세틸-D-글루코사민 00.05g, 나머지 증류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정자 동결용 희석액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7497호는 자바리 정자의 냉동보존용 인공정장에 관한 것으로, 정자 냉동보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자바리 정자의 냉동보존에 적합한 동해방지제를 제안하고, 자바리 정액의 특성을 파악하여 종 특이적인 희석액(인공정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자바리 정자의 냉동보존용 인공정장과 적정 동해방지제는 정자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바리처럼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을 하여 성숙한 수컷을 얻기 어렵거나 암수의 성비가 맞지 않아 인공수정이 어려운 경우 매우 유용함으로써 향후 자바리의 종 보존방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염화칼륨(KCl) 0.01 w/v%와, 염화나트륨(NaCl) 0.9 w/v%와, 염화칼슘(CaCl2) 0.006 w/v%와, 염화마그네슘(MgCl2) 0.008 w/v%와, 중탄산나트륨(NaHCO3) 0.05 w/v%와, 알부민 0.002 w/v%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바리 정자의 냉동보존용 인공정장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수컷 전복을 25~30℃ 이상 실온에서 간출자극시키는 단계, 자외선 조사 해수에서 3시간 자극시키는 단계, 생식소 압박 또는 정액 채취 및 냉동하는 단계, 수욕조에서 40℃의 수욕조에서 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는 상이하다.
본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의 인공종묘생산 및 유전자 자원확보와 우량종 개발을 위한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 기술 및 냉동된 전복 정액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전복의 인공종묘생산 및 유전자 자원확보와 우량종 개발을 위한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 기술 및 냉동된 전복 정액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숙한 수컷 전복을 25~30℃에서 2시간 동안 간출 자극시키는 단계(1), 간출자극 후, 곧바로 18~21℃에서 각각 1시간씩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2), 자외선 자극이 끝난 수컷 전복의 생식소를 압박하여 정자를 채취하는 단계(3) 및 채취한 전복 정자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2.5~15 v/v%를 포함하는 동결액에서 -196℃로 냉동하는 단계(4)를 포함하는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방법을 제공한다.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의 인공종묘생산 및 유전자 자원확보와 우량종 개발을 위한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 기술 및 냉동된 전복 정액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의 인공종묘생산방법을 확립하여, 안정적인 전복양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간 산란시기가 달라 교잡종 생산 및 유전자 자원확보가 어려웠던 전복 종의 우량종 개발 등 전복 자원 연구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전복의 모패를 선별하여 산란유발자극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모패성숙도를 관찰하는 모습, B는 간출자극 중인 모패, C는 모패수용, D는 자외선 조사 및 해수자극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수컷 전복으로부터 정자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압박재취법에 의한 정자채취, B는 절개채취법에 의한 정자채취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C는 압박채취로 얻은 정자(200배), D는 절개채취법으로 얻은 정자(200배)의 현미경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을 전복란에 수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의 해동과정, B는 해동된 전복 정자를 수득한 모습, C는 해동된 정자의 수정과정, 그리고 D는 해동된 정자에 의하여 수정된 수정란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을 이용한 수정란의 발생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동결되었던 정자가 난막을 침투하고 있는 모습을, B는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개시한 후, 4세포기의 모습을, C는 수정 24시간 후, 면반이 완성된 모습을, 그리고 D는 수정 40시간 후, 유각이 완성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을 이용한 수정란이 발생 후, 채묘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수정 96시간 후, 소돌기가 출현한 유생으로 발생한 모습을, B는 실험실적 규모의 전복 파판에 전복 유생이 채묘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의 인공종묘생산과 유전자 자원확보를 통해 연중 안정적인 전복 종묘의 생산 및 우량종 개발을 위한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 기술 및 냉동된 전복 정액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전복 정액 냉동 보존 및 인공종묘생산 실험은 2014. 12. 8 ~ 2016. 4. 8까지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전복연구소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전복 생식세포(정자) 동결보존 실험
1.1 산란유발 및 생식세포 수집
도 1은 전복의 모패를 선별하여 산란유발자극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모패성숙도를 관찰하는 모습, B는 간출자극 중인 모패, C는 모패수용, D는 자외선 조사 및 해수자극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생식세포(정충) 채집을 위해 성숙한 우량 수컷(성숙도 80% 이상)을 25~30℃ 이상 실온에서 2시간 이상 간출 자극시켰다. 간출 후 곧바로 18, 19.5 및 21℃에서 각각 1시간씩 자외선 조사 해수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자극을 실시하였다.
도 2는 수컷 전복으로부터 정자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압박재취법에 의한 정자채취, B는 절개채취법에 의한 정자채취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C는 압박채취로 얻은 정자(200배), D는 절개채취법으로 얻은 정자(200배)의 현미경사진이다.
전복의 생식소는 각정밑에 위치하며, 산란기에 암컷은 짙은 녹색, 수컷은 담황색을 띠고 있다. 산란 유발된 수컷 중 정충 방정의 징후가 관찰되는 개체를 수조에서 꺼내 생식소를 압박 또는 절개하여 정액을 채취 하였다. 수집한 시료는 원심분리기로 1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고, 하층에 모여진 정자를 분리 채집하여 4℃의 온도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채집된 정액의 농도는 1㎖당 10억에서 15억 마리의 농도를 나타냈으며, 압박에 의한 채취가 절개법에 비해 이물질의 유입이 적고 정자의 활성도 및 생존율(압박 약 90%, 절개법 75%내외)이 높은 특징을 나타냈다.
1.2 적정 동해방어제의 종류 및 농도 실험
정자의 동결보존 전 단계로 동결보존시 적정 동해방어제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등조액 3종{인공정장; ASP(Alsevers solution, marine fish ringer solution), 수크로오스(Sucrose), 글루코스(glucose)}와 동해방어제 4종{(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EG), glycerol, methyl alcohol)}을 5, 10 v/v% 농도로 제조하여 각각 1:1 비율로 희석한 다음, 표 1의 실험 조건 1 및 2의 방법으로 냉동보존하였다. 이하 %는 혼합 조성된 동결보존액 전체 부피의 동해방어제 부피 백분율(v/v%)을 나타낸다.
표 1은 본 발명의 전복 냉동 보존방법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조건표이다. 해동은 수욕조를 사용하여 20~50℃의 온도에서 급속 해동하였으며, ASW(인공해수, 18)와 정자를 100:1 비율로 자극하여 활성개체를 형광현미경(OLIMPUS Bx-53)과 혈구 계산판으로 생존율을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냉동 보존 방법은 표 1과 같다.
냉동 보존방법 실험 조건표
조 건 초기보관온도 동결 조건 해 동
1 4℃ -196℃ 급속동결(액체질소 보관) 20℃ 수욕조 해동
2 4℃ -196℃ 급속동결(액체질소 보관) 30℃ 수욕조 해동
3 4℃ -196℃ 급속동결(액체질소 보관) 40℃ 수욕조 해동
4 4℃ -196℃ 급속동결(액체질소 보관) 50℃ 수욕조 해동
5 4℃ -76℃ 예비동결 -196℃ 본동결 20℃ 수욕조 해동
6 4℃ -76℃ 예비동결 -196℃ 본동결 30℃ 수욕조 해동
7 4℃ -76℃ 예비동결 -196℃ 본동결 40℃ 수욕조 해동
8 4℃ -76℃ 예비동결 -196℃ 본동결 50℃ 수욕조 해동
9 4℃ -30℃ 1차 예비동결 (3분) -76℃ 2차 예비동결(10분) -196℃ 본동결 20℃ 수욕조 해동
10 4℃ -30℃ 1차 예비동결 (3분) -76℃ 2차 예비동결(10분) -196℃ 본동결 30℃ 수욕조 해동
11 4℃ -30℃ 1차 예비동결 (3분) -76℃ 2차 예비동결(10분) -196℃ 본동결 40℃ 수욕조 해동
12 4℃ -30℃ 1차 예비동결 (3분) -76℃ 2차 예비동결(10분) -196℃ 본동결 50℃ 수욕조 해동
1.3 냉동보존 방법별 동결보존 효과 분석
표 2는 동해 방어제 종류와 동결조건에 따른 생존율을 나타낸 표이다. 일반적으로 냉동보존에 사용하는 동해 방어제 농도 및 종류 실험에서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낮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상기 실험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은 DMSO를 전복 정액 냉동보존의 최적의 동해방어제로 판단하였으며, 동결액 내의 DMSO 농도 10%보다 5%에서 생존율이 높은 것에 착안하여 DMSO 5% 이하의 농도범위에서 3~5번 냉동보존 방법으로 생존율을 비교 관찰하였다.
동해 방어제 종류와 동결조건에 따른 생존율
조건 동해 방어제 종류와 동결조건에 따른 생존율(%)
DMSO(%) EG(%) glycerol(%) 메틸알콜(%)
5 10 5 10 5 10 5 10
1 - - - - - - - -
2 0.1 0.1 - - - - - -
3 0.1 0.1 - - 0.1 0.1 - -
4 - - - - - - - -
5 15.0 10.0 1 0.5 10.0 15.0 - -
6 16.0 12.5 1 0.5 0.1 - - -
7 15.5 15.5 1.5 0.5 0.1 0.1 - -
8 3.5 2.5 0.5 0.1 - - - -
9 18.0 13.0 3.5 1.5 10.0 15.0 - -
10 18.0 12.5 2 0.5 0.1 - - -
11 19.5 16.5 1.5 0.5 0.1 0.1 - -
12 5.5 3.5 0.5 0.1 - - - -
비고 생존개체 발견 생존개체 발견 생존개체 발견 생존개체 없음
또한 상기 표 1의 11번 조건을 세분화하여 표 3과 같은 동결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후 전복 정액 동결에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동결기를 이용하여 3~5 단계로 동결온도를 세분화하여 전복정자 동결을 실시하였다. 표 3은 프로그램동결기의 동결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프로그램동결기의 동결조건
프로그램 구분 0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step
1 온도(℃) 18 10 0 -20 -60 -196
동결속도(℃/min) - -3 -6 -9 -12 end
2 온도(℃) 18 0 -11 -38 -60 -196
동결속도(℃/min) - -6 -5.5 -27 -4.4 end
3 온도(℃) 18 0 -11 -38 -60 -196
동결속도(℃/min) - -12 -11 -54 -8.8 end
4 온도(℃) 0 -60 -196
동결속도(℃/min) - -4 end
표 4는 DMSO 농도(%)에 따른 생존율을 나타낸 표이다. 실험결과, DMSO 2.5~15% 범위에 걸쳐 3.2~80.5%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2.5% 농도에서 80.5%의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DMSO 농도(%)에 따른 생존율
프로그램 동해방어제 농도에 따른 생존율(%)
DMSO(%)
2.5 5 10 15
1 5.3 5.3 9.5 3.2
2 21.5 9.5 10.5 4.5
3 80.5 45.5 30.5 12.5
4 20.0 18.0 15 8.5
2. 동결보존 정자를 이용한 인공종묘 생산
2.1 동결보존 정자를 이용한 인공수정
일반적인 전복 인공종묘의 생산과정에서 전복 모패의 암수비율 구성 및 방란된 알과 방정된 정충의 수를 맞추어 주어야 하는 정교한 작업이다. 방정, 방란 자극에 의하여 주로 수컷이 먼저 방정을 하게 되는데, 수컷의 방정은 모패의 출수공으로부터 유백색의 정액을 연기처럼 방출한다. 이렇게 방정된 정충은 이후 산란된 알에 대해 알 1립에 정충 10,000마리의 비율로 조용히 수정시켜야 하며, 수조의 알은 40립/㎖ 가 되도록 하는데, 이때 정충의 농도를 너무 높게 하면 발생도중 난막이 찢어져 버리게 된다.
본원발명에서는 암컷 전복으로부터 전복란의 수집은 정충과 같이 수온, 간출 및 자외선 조사 해수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최종 농도가 200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동결보존 된 정충의 농도는 1㎖당 0.75억 ~ 1억 범위의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20만 ~ 30만/㎖으로 희석(㎖당 약 30㎖의 해수에 희석)후, 각 정충과 전복란을 부피비 1:1로 인공 수정시킨 다음, 수정된 개체를 광학현미경을 하에 카운팅하여 수정율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을 전복란에 수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의 해동과정, B는 해동된 전복 정자를 수득한 모습, C는 해동된 정자의 수정과정, 그리고 D는 해동된 정자에 의하여 수정된 수정란의 현미경 사진이다. 해동방법에 따라 해동된 전복 정자를 원심분리에 의하여 모으고 동결보존액을 제거 및 수회 해수로 세척한 후, 인공수정에 사용하였다.
2.2 수정란의 발생 및 채묘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을 이용한 수정란의 발생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동결되었던 정자가 난막을 침투하고 있는 모습을, B는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개시한 후, 4세포기의 모습을, C는 수정 24시간 후, 면반이 완성된 모습을, 그리고 D는 수정 40시간 후, 유각이 완성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정난의 발생은 수온 20℃ 조건에서 정자와 전복란 혼합 후, 4~6시간 이후부터 관찰되었다. 또한 극체 분열 12시간 후 부유유생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12시간 정도 유각 형성단계를 거치며, 부유유생에서 채묘단계 까지는 통상 75~85시간이 소요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되었던 전복 정액을 이용한 수정란이 발생 후, 채묘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수정 96시간 후, 소돌기가 출현한 유생으로 발생한 모습을, B는 실험실적 규모의 전복 파판에 전복 유생이 채묘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두부촉각에서 제3소돌기 출현시점에 채묘를 시도하였다. 채묘 24시간 후, 파판에 부착된 부화유생의 개체수를 카운트하여 최종 채묘율을 측정하고 표 5에 나타내었다.
수정난의 단계별 발생율
단계별 발생율 수정율 부화율 채묘율
난자 1만립(100%) 6,000 (60%) 4,800 (80%) 2,640 (55%)
표 5는 전복란 10,000립을 기준으로 냉동보존되었던 전복 정자의 수정율, 부화율, 채묘율을 나타낸 표이다. 전복란 10,000립 기준으로 수정된 개체는 60%에 달하여 양호한 수정율을 나타내었으며, 전체 수정 개체의 80%가 소돌기가 출현한 부화유생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전복 파판에 부착 확인된 개체는 부화유생의 55%에 해당하여 본 발명의 전복 정액 냉동 보존방법에 의하여 높은 효율의 전복란 수정율과 부화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전복 양식 등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의 인공종묘생산 및 유전자 자원확보와 우량종 개발을 위한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 기술 및 냉동된 전복 정액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환경변화에 취약한 전복의 인공종묘생산방법을 확립하고, 말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전복 또는 마대오분자기 등의 전복의 종간 산란의 비동시성을 조절하여 교잡종 생산 및 유전자 자원확보와 우량종 개발이 용이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4)

  1. 성숙한 수컷 전복을 25~30℃에서 2시간 동안 간출 자극시키는 단계(1); 상기 간출자극 후, 곧바로 18~21℃에서 각각 1시간씩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2); 상기 자외선 자극이 끝난 수컷 전복의 생식소를 압박하여 정자를 채취하는 단계(3);
    상기 채취한 전복 정자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2.5 v/v%를 포함하는 동해방어제에서 냉동하며, 동결온도별 동결속도(℃/min)는 0℃까지 분당 동결속도 -12℃, -11℃까지 분당 동결속도 -11℃, -38℃까지 분당 동결속도 -54℃, -60℃까지 분당 동결속도 -8.8℃로 설정하여 최종 -196℃까지 냉동하는 단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방법.
  2. 삭제
  3. 삭제
  4. 성숙한 수컷 전복을 25~30℃에서 2시간 동안 간출 자극시키는 단계(1); 상기 간출자극 후, 곧바로 18~21℃에서 각각 1시간씩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2); 상기 자외선 자극이 끝난 수컷 전복의 생식소를 압박하여 정자를 채취하는 단계(3);
    상기 채취한 전복 정자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2.5 v/v%를 포함하는 동해방어제에서 냉동하며 동결온도별 동결속도(℃/min)는 0℃까지 분당 동결속도 -12℃, -11℃까지 분당 동결속도 -11℃, -38℃까지 분당 동결속도 -54℃, -60℃까지 분당 동결속도 -8.8℃로 설정하여 최종 -196℃로 냉동하는 단계(4);
    상기 냉동 보존된 전복 정자를 40℃ 수욕조에서 해동하는 단계(5); 상기 해동된 전복 정자를 20만~30만/㎖으로 희석하여 2000/㎖의 전복란에 부피비 1:1로 혼합하여 인공수정시키는 단계(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정액의 냉동 보존방법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KR1020160051213A 2016-04-27 2016-04-27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KR10184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13A KR101847707B1 (ko) 2016-04-27 2016-04-27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13A KR101847707B1 (ko) 2016-04-27 2016-04-27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867A KR20170122867A (ko) 2017-11-07
KR101847707B1 true KR101847707B1 (ko) 2018-04-12

Family

ID=6038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213A KR101847707B1 (ko) 2016-04-27 2016-04-27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287B1 (ko) 2020-08-27 2021-09-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범가자미 정자의 동결보존방법
KR20220168088A (ko) 2021-06-15 2022-12-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줄가자미 정자의 동결보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197B1 (ko) * 2021-03-19 2022-08-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 동결정자의 염색체 손상 여부 판단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Gwo 외 2명, Semen cryopreservation of small abalone, 2002년 발간, p.1563-1578
정종균 외 5명, 결빙억제제의 종류, 농도 및 침지시간이 참전복 발생배의 생존활성에 미치는 영향, 2012년 발간, 15(4), p301-30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287B1 (ko) 2020-08-27 2021-09-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범가자미 정자의 동결보존방법
KR20220168088A (ko) 2021-06-15 2022-12-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줄가자미 정자의 동결보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867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Cryopreservation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mbryos by vitrification
Akçay et al. Cryopreservation of mirror carp semen
Paredes Exploring the evolution of marine invertebrate cryopreservation–Landmarks, state of the art and future lines of research
Fornari et al.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survival of cascudo preto (Rhinelepis aspera) embryos stored at–8° C
Bozkurt et al. Cryopreservation of brown trout (Salmo trutta macrostigma) and ornamental koi carp (Cyprinus carpio) sperm
KR101847707B1 (ko) 전복 정액 냉동 보존을 이용한 전복 인공종묘 생산방법
Bernáth et al. Commercial-scale out-of-season cryopreservation of Eurasian perch (Perca fluviatilis) sperm and its application for fertilization
Labbé et al. Cryopreservation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larvae: Revisiting the practical limitations and scaling up the procedure for application to hatchery
CN114258911B (zh) 一种黄鳍鲷精子的冷冻保存溶液及冷冻保存方法
Fornari et al. Increasing storage capability of pacu (Piaractus mesopotamicus) embryos by chilling: development of a useful methodology for hatcheries management
Otémé et al. Testicular structure, spermatogenesis and sperm cryopreservation in the African clariid catfish Heterobranchus longifilis (Valenciennes, 1840)
Zhang Cryopreservation of gametes and embryos of aquatic species
Gil et al. Effects of cryoprotectants and diluents on the cryopreservation of spermatozoa from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Miskolczi et al. Examination of larval malformations in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following fertilization with cryopreserved sperm
Gwo et al. Preliminary experiments on the cryopreservatioh of penaeid shrimp (penaeus japonicus) embryos, nauplii and zoea
Bozkurt et al. Effect of freezing techniques, extenders and cryoprotectants on the fertilization rate of froze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sperm
CN112352777A (zh) 一种精子冻存液及其在中华乌塘鳢精子冷冻保存中的应用
Choi et al. Influences of developmental stages, protective additives and concentrations of cryoprotective agents on the cryopreservation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larvae
Bozkurt et al. Effect of different extenders and storage periods on motility and fertilization success of grass carp (Ctenopharyngodon idella) sperm during spawning season
KR20180082275A (ko) 능성어 정자의 동결 보존액 및 이를 사용한 능성어 정자의 동결 보존 방법
Robles et al. -Embryo cryopreservation: what we know until now
Li et al. Cryopreservation of embryos of humpback grouper (Cromileptes altivelis) using combinations of non-permeating cryoprotectants
Paredes et al.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cryopreserved embryos survival and growth: Effects of cryopreservation parameters and reproductive seasonality
Adams et al. Cryopreservation of Pacific oyster oocytes
Narida et al. First successful production of adult corals derived from cryopreserved larv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