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613B1 -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613B1
KR101847613B1 KR1020110022153A KR20110022153A KR101847613B1 KR 101847613 B1 KR101847613 B1 KR 101847613B1 KR 1020110022153 A KR1020110022153 A KR 1020110022153A KR 20110022153 A KR20110022153 A KR 20110022153A KR 101847613 B1 KR101847613 B1 KR 10184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display
display panel
information
us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467A (ko
Inventor
유그라미
유경희
김현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613B1/ko
Priority to EP12158954.3A priority patent/EP2500814B1/en
Priority to US13/418,575 priority patent/US8823663B2/en
Priority to CN201210147485.8A priority patent/CN102682740B/zh
Publication of KR2012010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Transparent Display Panel)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제 1 공간 영역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패널의 전방 및 후방에서도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Transparent Display Panel)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제 1 공간 영역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객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감지부는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카메라(Camera), 스캐너(Scann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제 1 오브젝트가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와 다른 제 2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의 문자 폰트(Font)가 서로 다르거나, 색이 서로 다르거나, 밝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의 표시 위치와 상기 제 2 정보의 표시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Transparent Display Panel)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제 1 공간 영역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 간격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인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를 표시하고,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보다 큰 제 2 간격인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와 다른 제 2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상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컨트롤 메뉴이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하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작이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38은 증강현실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 내지 도 49는 영상의 반전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0 내지 도 70은 양면터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1 내지 도 79는 거치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0 내지 도 88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울어짐에 따른 모든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9 내지 도 97은 비밀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98 내지 도 107은 측면 터치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화면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면서도,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건너편에 위치하는 사물의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사용자(19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 2 사용자(180)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는 무기 박막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Thin Film Electroluminescent Display)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수동형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TFT가 필요 없기 때문에 광투과성이 충분히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로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능동형 매트릭스(Active Matrix) OLED처럼, TFT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조성계 산화물 반도체와 같은 투명 물질을 이용해서 TFT를 제조하는 경우, 광투광성을 충분히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를 살펴보면, OLED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투명기판(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제 2 투명기판(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20) 및 제 1 투명기판(110)과 제 2 투명기판(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투명기판(110)과 제 2 투명기판(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층(130)을 유기셀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투명기판(110)과 제 2 투명기판(120)은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층(130)은 양극(Anode, 131),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132), 발광층(Emmitting layer, 133),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134) 및 음극(Cathode, 1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135)과 양극(131)에 전압이 걸리게 되면, 계조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음극(135)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수송층(134)을 통해 발광층(133)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양극(131)으로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수송층(132)을 통해 발광층(133)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광층(133)에서는 전자수송층(134)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정공수송층(132)으로부터 공급된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충돌에 의해 발광층(133)에서 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광층(133)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양극(131)으로 공급되는 계조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발광층(133)에서 광이 발생하면, 제 1 투명기판(11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고, 또는 제 2 투명기판(12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투명기판(110)을 통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또는 제 2 투명기판(120)을 통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여기, 도 2의 경우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방송신호 수신기에 적용되는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방송신호 수신기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영상을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101Q)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구동부(101Q)는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101Q)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가 방송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구동부(101Q)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영상 표시를 위한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101Q)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의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01Q)는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및 명령 입력부(160Q)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1Q)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구동부(101Q)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별개로 모듈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85Q),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음향 감지부(191Q) 및 사용자의 움직임, 위치, 안면 등을 감지하거나, 소정의 오브젝트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소정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 감지부(192Q)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의 제어부(170Q)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저장부(140Q)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명령 입력부(160Q)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유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선 입력부(190Q) 및 무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무선 입력부(200Q)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음량 조절, 화면상에서 커서(Cursor)의 이동, 메뉴(Menu) 선택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입력부(200Q)는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명령 입력부(160Q)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유선 입력부(190Q)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명령은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어부(170Q)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입력부(200Q)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입력부(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Q)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또는 음성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또는 음성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터치 스크린에 배치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감지부(191Q)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감지부(191Q)는 음성 센서 혹은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감지부(192Q)는 사용자의 움직임, 위치, 안명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객체 감지부(192Q)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객체 감지부(192Q)는 카메라(Camera) 등의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객체 감지부(192Q)는 센서부와 촬영부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안면, 위치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객체 감지부(192Q)는 사용자의 모션 뿐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Face)의 형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 등의 정보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방송국(210Q)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네트워크 서버(220Q)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Q)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Q)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Q)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Q)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230Q)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Q)는 예를 들어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Q)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Q)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및 외부장치(230Q)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Q)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 뿐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38은 증강현실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및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일반적으로 가상 환경 및 가상현실에서 파생한 용어로서, 실제 환경에 컴퓨터 그래픽 영상을 삽입하여 실세계 영상과 가상의 영상을 혼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증강 현실은 실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제 1 공간 영역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증강 현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객체 감지부(192Q)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감지부(192Q)는 앞선 도 3에서 설명한 바 있다.
객체 감지부(192Q)SS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소정의 오브젝트(Object)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오브젝트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감지부(192Q)는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카메라(Camera), 스캐너(Scann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객체 감지부(192Q)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기준으로 사용자(19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왼편, 예컨대 제 1 공간 영역(SP1)에 위치하고, 소정의 객체(4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오른편, 예컨대 제 1 공간 영역(SP1)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19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하여 객체(400)를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사용자(19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과 객체(400)를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객체 감지부(192Q)가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한 객체(400)의 영상을 촬영(700)하여, 객체(400)의 사진, 즉 오브젝트 사진을 획득(710)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객체 감지부(192Q)는 객체(400)의 위치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서는 사용자가 설정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7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설명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영상 표시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8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19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 제 2 공간 영역(SP2)을 바라볼 때, 객체(400)가 소정의 테이블(410)의 좌측 상부에 놓여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8의 (C)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객체(400)의 크기 증가시키기 위한 설정 변경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도 8의 (B)의 경우와 같은 객체 감지부(192Q)가 촬영한 객체(400)의 사진(800)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 예컨대 테이블(410)의 우측 상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관찰 방향)를 고려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객체(400)의 사진을 표시할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객체(400)가 실제로 테이블(410)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광을 투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테이블(410)의 좌측 상부에 위치한 실제 객체(400)도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객체 감지부(192Q)가 획득한 객체(400)의 영상 정보(사진), 위치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서 가상으로 객체(4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객체 감지부(192Q)가 획득한 객체(400)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서 가상으로 객체(400)의 컬러(Color)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객체 감지부(192Q)가 객체(400)의 컬러도 감지하는 경우이다.
즉, 객체 감지부(192Q)는 객체(400)를 촬영한 영상/사진을 분석하여 객체(400)의 컬러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객체(4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제 1 위치에 소정의 제 1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객체(400)를 바라볼 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제 1 위치와 객체(400)는 중첩(Overlap) 혹은 일치되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제 1 위치에 표시된 제 1 컬러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건너편에 위치한 객체(400)와 함께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400)의 컬러가 변경된 것처럼 느끼게 하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도 9의 (C)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가 Po1에서 Po2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 1 컬러 영상(CI)과 실제 객체(400)를 중첩 혹은 일치시키기 위해 제 1 컬러 영상(CI)이 표시되는 위치를 제 1 위치(Lo1)에 제 2 위치(Lo2)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컬러 영상(CI)은 제 1 공간 영역(SP1)에 위치하는 사용자와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는 객체(400)를 연결한 라인 상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객체 감지부(192Q)가 획득한 객체(400)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서 가상으로 객체(400)의 크기(Size)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객체 감지부(192Q)가 객체(400)의 크기, 형태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이다.
즉, 객체 감지부(192Q)는 객체(400)를 촬영한 영상/사진을 분석하여 객체(400)의 크기/형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객체(4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확대한 객체(400)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0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객체(400)의 확대 사진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한 객체(40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객체(400)의 크기가 실제 증가된 것처럼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증강현실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도 11의 경우와 같이, 테이블(410)의 제 1, 2, 3, 4 오브젝트(500~530)가 배치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이용하여 테이블(410)의 우측 부분을 관찰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제 1, 2, 3, 4 오브젝트(500~530) 중 제 1, 2 오브젝트(500, 510)가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2 오브젝트(500, 51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잡힐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12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오브젝트(500)를 선택하기 위한 오브젝트 선택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복수의 오브젝트(500~530) 중 제 1 오브젝트(500)가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 1 오브젝트(500)의 주위에 선택됨을 표시하기 위한 선택 마크(60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브젝트(50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제 1 오브젝트(5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시각 방향, 사용자의 눈의 고도 등 위치 정보, 사용자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거리, 제 1 오브젝트(500)의 고도 등 위치 정보, 제 1 오브젝트(5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 눈높이, 시각방향 등을 고려할 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어느 부분이 제 1 오브젝트(500)와 중첩되어 보이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판단 결과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위치에 선택 마크(600)를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 1 오브젝트(500)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실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도 12의 (B)의 경우와 같이, 선택 마크(600)만이 표시될 수 있지만, 사용자는 투명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건너편에 위치한 제 1 오브젝트(500)와 선택 마크(600)를 함께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제 1 오브젝트(500)의 주위에 선택 마크(600)가 형성되어 제 1 오브젝트(500)가 선택된 것처럼 보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되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 마크(600)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선택한 오브젝트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500)가 선택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제 1 오브젝트(500)의 정보(800), 예컨대 종류, 가격, 일시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되는 제 1 오브젝트(500)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제 1 오브젝트(500)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오브젝트(5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는 소정의 제 1 서버(Server)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오브젝트(500)의 영상/사진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사진을 제 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송한 영상/사진에 대응하는 정보를 다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충분히 큰 메모리 용량을 갖는 경우, 메모리에 제 1 오브젝트(500)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도 제 1 오브젝트(500)의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오브젝트에 정보 인식을 위한 정보 코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오브젝트(600)에 바코드, QR코드 등 오브젝트(600)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 코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600)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 코드는 바코드, QR코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오브젝트(600)에 표시된 정보 코드를 스캔(Scan)하여 오브젝트(6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객체 감지부(192Q)는 오브젝트(600)에 표시된 정보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예컨대 레이저 스캐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오브젝트의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혹은 오브젝트의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의 보다 상세한 상세 정보(하위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소정의 제 1 오브젝트(870)와 제 2 오브젝트(880)가 표시된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제 1 오브젝트(870)와 제 2 오브젝트(88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1 정보(820)와 제 2 오브젝트(880)의 제 1 정보(83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1 정보(820)는 제 1 오브젝트(870)의 이름 혹은 종류 정보이고, 제 2 오브젝트(880)의 제 1 정보(830)는 제 2 오브젝트(880)의 이름 혹은 종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 1 오브젝트(870)와 제 2 오브젝트(880)를 직접 선택하지 않더라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제 1 오브젝트(870)와 제 2 오브젝트(880)가 대응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제 1 오브젝트(870)와 제 2 오브젝트(880)의 제 1 정보(820, 83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15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제 1 오브젝트(870)와 제 2 오브젝트(880)의 제 1 정보(820, 83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포인터(200) 등을 이용하여 제 1 오브젝트(870)를 선택하는 경우에,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1 정보(820)의 상세 정보(하위 정보)인 제 2 정보(821)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1 정보(820)의 상세 정보(하위 정보)인 제 2 정보(821)는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2 정보(821)는 제 1 오브젝트(870)의 가격 정보, 재질 정보, 출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제 1 오브젝트(870)와 제 2 오브젝트(880)의 제 1 정보(820, 83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포인터(200) 등을 이용하여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1 정보(820)를 선택하는 경우에,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1 정보(820)의 상세 정보(하위 정보)인 제 2 정보(821)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한 상태에서, 선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6의 경우와 같이, 제 1 오브젝트(870)의 제 1 정보(820)의 상세 정보(하위 정보)인 제 2 정보(821)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 2 오브젝트(880)의 제 1 정보(830)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 1 오브젝트(870)를 선택한 경우이기 때문에 제 2 오브젝트(880)의 제 1 정보(830)를 생략해도 무방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고, 복수의 오브젝트의 정보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 오브젝트의 정보의 표시 위치를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 중 제 2 화면 영역(DA2)에 제 1, 2, 3 오브젝트(900~920)가 표시되는 경우에 제 1, 2, 3 오브젝트(900~920)들의 정보(901, 911, 921)들은 제 2 화면 영역(DA2)과 다르고 제 2 화면 영역(DA2)과 이격된 제 1 화면 영역(DA1)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18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 중 제 2 화면 영역(DA2)에 제 1, 2, 3 오브젝트(900~920)가 표시되고, 제 1 화면 영역(DA1)에 제 4 오브젝트(930)가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2, 4 오브젝트(900, 910, 930)들의 정보(901, 911, 931)들은 제 1 화면 영역(DA1)에 표시되고, 제 2 화면 영역(DA2)에는 제 3 오브젝트(920)의 정보(921)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 중 제 1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개수가 제 1 화면 영역과 다른 제 2 화면 영역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제 1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정보의 개수는 제 2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정보의 개수보다 많은 것이 가능하다.
즉, 오브젝트의 개수가 적은 영역에 오브젝트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지, 팩스, 명함 등의 다양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의 (A)의 경우와 같이, 엽서(1000)가 오브젝트로서 선택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9의 (B)의 경우와 같이, 엽서(1000)의 정보(1001), 즉 엽서(1000)의 내용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엽서(1000)에 문자로서 기재된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객체 감지부(192Q)가 스캔하고, 스캔한 내용을 도 19의 (B)의 경우와 같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엽서(1000)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 코드가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엽서(1000)에 형성된 정보 코드를 스캔하여 엽서(1000)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엽서(1000)의 메시지에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에 한정하여 정보 코드를 스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엽서(1000)에 형성된 정보 코드에는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의 인식정보, 예컨대 패스워드, 안면 윤곽, 음성 패턴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엽서(1000)의 메시지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엽서(1000)의 내용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혹은 객체 감지부(192Q)를 이용하여 안면 윤곽을 촬영하고, 촬영한 안면 윤곽을 엽서(1000)에 형성된 정보 코드에 포함된 안면 윤곽 정보와 비교하거나, 혹은 음향 감지부(191Q)를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한 음성 패턴을 엽서(1000)에 형성된 정보 코드에 포함된 음성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접근이 허가되는 경우에 도 19의 (B)의 경우와 같이 엽서(1000)의 정보(내용)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엽서(1000)의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도 20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는 엽서(1000)에 숨겨진 정보(Hidden)를 포함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제 2 사용자는 숨겨진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0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엽서(1000)의 내용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이미 표시된 엽서(1000)의 내용과는 다른 숨겨진 정보(Hidden Message)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오브젝트의 이미지(영상/사진)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1의 (A)의 경우와 같이, 영화표(Movie Ticket, 1100)가 오브젝트로서 선택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1의 (B)의 경우와 같이, 영화표(1100)의 영상 정보(1110), 예컨대 영화표(1100)의 예고편 영상(1110)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영화표(1100)의 음성 정보도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22의 (A)의 경우와 같이, 명함(1200)이 오브젝트로서 선택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2의 (B)의 경우와 같이, 명함(1200)의 정보(1210), 예컨대 명함(1200)에 대응하는 인물의 사진(1210)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명함(1200)에 대응하는 인물의 사진(1210) 뿐 아니라, 인물의 성향, 버릇 등의 다양한 정보를 함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전자기기인 경우에,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제어권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컨트롤 메뉴(Control Menu)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3의 (A)의 경우와 같이, 휴대전화(1300)가 오브젝트로서 선택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3의 (B)의 경우와 같이, 휴대전화(1300)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1300)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전화(1300)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획득한 제어권을 이용하여, 도 23의 (b)의 경우와 같이, 수신된 문자 메시지(1310)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브젝트로서 대응되는 전자기기의 제어권을 획득하기 위해, 오브젝트로서 대응되는 전자기기의 컨트롤 메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의 (A)의 경우와 같이, 냉장고(1400)가 오브젝트로서 선택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4의 (B)의 경우와 같이, 냉장고(1400)의 컨트롤 메뉴(1410)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냉장고(1400)의 컨트롤 메뉴(1410)는 냉장 온도를 업 또는 다운시키는 메뉴, 냉동온도를 업 또는 다운시키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냉장 온도를 업 시키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냉장고(1400)로 냉장 온도를 올리라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냉장고(140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냉장고(1400), 휴대 전화(1300) 이외에 에어컨, 오븐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원격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선택이 가능한 종류와 선택할 수 없는 종류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제 1 오브젝트(1510), 제 2 오브젝트(1520) 및 제 3 오브젝트(1530)가 배치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바코드, QR 코드 등의 정보 코드를 스캔하거나, 촬영된 영상/사진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 혹은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제 1 오브젝트(1510)와 제 3 오브젝트(1530)의 정보는 확인할 수 있으나, 제 2 오브젝트(1520)의 정보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제 2 오브젝트(1520)에는 정보 코드가 형성되지 않았고, 메모리 또는 서버에도 제 2 오브젝트(1520)의 영상/사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제 2 오브젝트(1520)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오브젝트(1510)에 대응하는 영역 및 제 3 오브젝트(1530)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선택 마크(610)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확인할 수 없는 제 2 오브젝트(1520)에는 선택마크가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제 1 오브젝트(1510) 및 제 3 오브젝트(1530)에 대응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오브젝트(1510) 및/또는 제 3 오브젝트(1530)를 선택하여 제 1 오브젝트(1510) 및 제 3 오브젝트(1530)의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제 1 오브젝트(1510) 및 제 3 오브젝트(153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제 2 오브젝트(1520)를 선택하여 제 2 오브젝트(1520)의 정보를 원하더라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제 2 오브젝트(1520)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오브젝트에는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선택 마크(610)를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방향 및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선택하는 오브젝트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부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사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부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객체 감지부(192Q)는 사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6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제 1 오브젝트(1600)와 제 2 오브젝트(1610)가 대응되고, 사용자의 눈동자(1700)의 응시 방향이 제 1 오브젝트(1600)를 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객체 감지부(192Q)는 사용자의 눈동자(1700)가 제 1 오브젝트(1600)를 향한다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 1 오브젝트(1600)와 제 2 오브젝트(1610) 중 제 1 오브젝트(1600)를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6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눈동자(1700)가 응시하는 방향에 따라 선택된 제 1 오브젝트(1600)의 정보(1601)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27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제 1 오브젝트(1600)와 제 2 오브젝트(1610)가 대응되고, 사용자의 안면(1800)이 향하는 방향이 제 1 오브젝트(1600)를 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객체 감지부(192Q)는 사용자의 안면(1800)이 제 1 오브젝트(1600)를 향한다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 1 오브젝트(1600)와 제 2 오브젝트(1610) 중 제 1 오브젝트(1600)를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7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1800)이 응시하는 방향에 따라 선택된 제 1 오브젝트(1600)의 정보(1601)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공간 영역 뿐 아니라 제 1 공간 영역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190)가 위치한 제 1 공간 영역(SP1)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브젝트(1700)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고, 아울러 사용자(19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브젝트(1710)의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객체 감지부(192QA)와 제 2 객체 감지부(192Q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객체 감지부(192QA)는 사용자(190)의 위치 정보 및 제 1 오브젝트(1710)의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하고, 제 2 객체 감지부(192QB)는 제 2 오브젝트(1700)의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객체 감지부(192QA)와 제 2 객체 감지부(192QB)는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 1 객체 감지부(192QA)는 사용자(190)의 위치 정보 및 제 1 오브젝트(1710)의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하고, 제 2 객체 감지부(192QB)는 제 2 오브젝트(1700)의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도 29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제 2 오브젝트(1700)의 정보(1701)를 표시하고, 아울러 제 1 오브젝트(1710)의 정보(1711)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제 1 오브젝트(171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화면을 가리고, 제 2 오브젝트(17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건너편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동일 오브젝트가 제 1 공간 영역(SP1)에 배치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정보와 제 2 공간 영역(SP2)에 배치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오브젝트(1800)가 사용자(19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즉 제 1 오브젝트(1800)가 제 1 공간 영역(SP1)에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도 30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1 정보(181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1 정보(1810)는 제 1 오브젝트(1800)의 종류/이름(종이상자) 정보일 수 있다.
반면에, 도 31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오브젝트(1800)가 제 2 공간 영역(SP2)에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도 31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2 정보(182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2 정보(1820)는 제 1 오브젝트(1800)의 재질, 무게, 용도 등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1 정보(1810)의 하위 정보(상세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190)의 입장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의 표시 정보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의 표시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정보가 사용자(190)를 기준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정보인지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정보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2 정보(1820)와 제 1 정보(1810)의 문자의 폰트(Font)가 서로 다르거나, 색이 서로 다르거나, 밝기가 서로 다른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2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제 1 오브젝트(171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배치되고, 제 2 오브젝트(17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와 제 1 오브젝트(1710) 사이의 간격(L1)은 사용자와 제 2 오브젝트(1700) 사이의 간격(L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오브젝트(1710)와 제 2 오브젝트(1700)의 높이, 길이, 폭 등이 100% 동일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도 32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오브젝트(1710)의 크기가 제 2 오브젝트(1700)의 크기보다 더 크게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오브젝트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오브젝트의 주위에 표시되는 선택마크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고 제 1 오브젝트(180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제 1 오브젝트(1800)의 주위에는 제 1 선택 마크(183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고 제 1 오브젝트(180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제 1 오브젝트(1800)의 주위에는 제 2 선택 마크(184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느끼는 제 1 오브젝트(1800)의 크기는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느끼는 제 1 오브젝트(1800)의 크기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3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오브젝트(1800)의 주위에 표시되는 제 1 선택마크(1830)의 크기는 제 2 선택마크(1840)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정보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정보인지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정보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4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1 정보(181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우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4의 (B)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 1 오브젝트(1800)의 제 2 정보(182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측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느끼는 제 1 오브젝트(1800)의 크기는 제 1 오브젝트(180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느끼는 제 1 오브젝트(1800)의 크기보다 크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 제 1 오브젝트(180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다르기 때문에 제 1 정보(1810)의 표시 위치와 제 2 정보(1820)의 표시 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소정의 오브젝트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인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오브젝트의 제 1 정보를 표시하고, 제 1 오브젝트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보다 큰 제 2 간격인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오브젝트의 제 1 정보와 다른 제 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오브젝트(2000)가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고,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D1)인 경우와 제 1 간격(D1)보다 큰 제 2 간격(D2)인 경우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2000)의 정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의 (A)와 같이,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D1)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와 오브젝트(2000) 사이의 간격이 작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브젝트(2000)를 충분히 자세히 관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브젝트(2000)의 종류는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6의 (B)와 같이,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D1)보다 큰 제 2 간격(D2)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와 오브젝트(2000) 사이의 간격이 크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오브젝트(2000)를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도 36의 (A)와 같이,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D1)인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오브젝트(2000)의 하위정보(상세정보)(2010), 예컨대 가격, 재질, 무게, 용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6의 (B)와 같이,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D1)보다 큰 제 2 간격(D2)인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오브젝트(2000)의 상위 정보, 예컨대 오브젝트(2000)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컨트롤 메뉴를 표시하거나 혹은 오브젝트의 상태 메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7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냉장고(1400)가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고 냉장고(14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D1)인 경우에는 냉장고(14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메뉴(2100)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컨트롤 메뉴(2100)를 이용하여 냉장고(140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7의 (B)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냉장고(1400)가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고 냉장고(14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D1)보다 큰 제 2 간격(D2)인 경우에는 냉장고(1400)의 상태 정보(2110)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2110)는 냉장고(1400)의 현재 냉장 온도 및 현재 냉동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오브젝트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오브젝트의 다양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함으로써 키 조작 등이 없어도 오브젝트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도 38의 경우와 같이 소정 오브젝트(2000)가 사용자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즉 오브젝트(2000)가 제 1 공간 영역(SP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 간격이 증가할수록 오브젝트(2000)와 사용자 사이의 간격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2000)가 제 1 공간 영역(SP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는 경우의 반대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1 간격(D11)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와 오브젝트(200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반면에,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1 간격(D11)보다 큰 제 12 간격(D12)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와 오브젝트(2000) 사이의 간격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1 간격(D11)인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오브젝트(2000)의 상위정보, 예컨대 오브젝트의 이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1 간격(D11)보다 큰 제 12 간격(D12)인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오브젝트(2000)의 하위정보(상세정보), 예컨대 가격, 무게, 용도, 색상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공간 영역(SP1)에 배치된 오브젝트(2000)가 전자기기인 경우,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1 간격(D11)인 경우에는 오브젝트(2000)의 상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오브젝트(2000)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간격이 제 11 간격(D11)보다 큰 제 12 간격(D12)인 경우에는 오브젝트(2000)의 컨트롤 메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9는 영상의 반전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9를 살펴보면, 제 1 사용자(190)가 제 1 공간 영역(SP1)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관찰하고, 제 2 사용자(180)가 제 2 공간 영역(SP2)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관찰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제 1 사용자(19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도 39의 (A)와 같은 타입으로 관찰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2 사용자(18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도 39의 (A)와 같은 타입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반대로 돌리게 되면 제 1 사용자(19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도 39의 (B)와 같은 타입으로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19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조작하는 주 사용자라고 가정하면, 제 1 사용자(190)는 정상적인 영상인 도 39의 (A)와 같은 타입의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제 1 사용자(19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도 40의 (B)와 같은 타입(정상타입)으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도 40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반대로 돌리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반전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사용자(19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반대로 돌려진 이후에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도 40의 (C)와 같은 타입(정상타입)으로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는 제 1 화면(110)과 제 2 화면(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해 보자.
여기서, 도 40과 같이, 제 1 화면(110)은 제 1 사용자(190)를 향해 영상을 표시하는 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화면(110)은 제 1 투명기판일 수 있다.
아울러, 제 2 화면(120)은 제 1 사용자(190)의 반대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하는 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화면(120)은 제 2 투명기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뒤집어지는 경우, 도 40의 (B)에서 제 1 화면(110), 즉 제 1 투명기판에 표시되는 영상은 반전됨으로써 도 40의 (C)에서 제 2 화면(120), 즉 제 2 투명기판에 표시되는 영상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사용자(190)가 정상적인 영상을 시청하다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뒤집어서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이전과 동일한 정상적인 영상을 계속해서 시청할 수 있다.
이처럼, 시청자로 하여금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뒤집어지는 경우에도 이전과 동일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객체 감지부(192Q)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제 1 사용자(190)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객체 감지부(192QA)는 제 1 사용자(190)가 제 1 화면(110)의 전반에 위치한다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객체 감지부(192QA)가 획득한 위치 정보에 따라 제 1 화면(11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사용자(190)가 정상적인 "ABC"를 시청할 수 있도록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뒤집어져서 도 41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이 제 1 사용자(190)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2 객체 감지부(192QB)는 제 1 사용자(190)가 제 2 화면(120)의 전반에 위치한다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객체 감지부(192QB)가 획득한 위치 정보에 따라 제 2 화면(12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사용자(190)가 정상적인 "ABC"를 시청할 수 있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가장 근접한 사용자에 따라 영상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의 (A)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제 1 사용자(190)를 향해 배치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이 제 2 사용자(180)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사용자(190) 사이의 간격(S1)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2 사용자(180) 사이의 간격(S2)보다 작은 경우에, 제 1 사용자(190)와 제 2 사용자(180) 중에서 제 1 사용자(190)가 주사용자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190)와 제 2 사용자(180) 중에서 제 1 사용자(190)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권을 갖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2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제 1 사용자(190)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 제 1 화면(11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사용자(190)가 정상적인 "ABC"를 시청할 수 있도록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뒤집어져서 도 42의 (C)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이 제 1 사용자(190)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 2 화면(12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사용자(190)가 정상적인 "ABC"를 시청할 수 있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전시킬 수 있다.
한편,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3의 (A)의 경우와 같이, 중력방향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이 지면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소정의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관찰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제 1 화면(11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가 정상적인 "ABC"를 시청할 수 있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도 44의 (A)의 경우와 같이, 중력방향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지면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소정의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에 표시되는 영상을 관찰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제 2 화면(12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가 정상적인 "ABC"를 시청할 수 있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반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청자가 영상을 시청할 가능성이 높은 방향으로 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반전을 금지하는 반전금지모드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반전모드에서는 앞선 도 40 내지 도 4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에 제 1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제 2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에 제 2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반면에, 반전금지모드에서는, 제 1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에 제 1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제 2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에 제 2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반전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사용자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 도 4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화면(11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가 정상적인 "ABC"를 시청할 수 있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도 45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뒤집어져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이 사용자(190)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에, 영상 반전을 금지한 반전금지모드에서는, 도 45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2 화면(12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190)가 "ABC"가 반전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앞면이 사용자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뒷면이 사용자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46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사용자(190)를 향하는 경우에 제 1 화면(110)에 제 1 영상(2300)을 표시하고, 제 2 화면(120)이 사용자(190)를 향하는 경우에 제 2 화면(120)에 제 1 영상(2300)과 다른 제 2 영상(23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영상(2300)은 소정의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이고, 제 2 영상(2310)은 그 오브젝트를 제 1 방향과 역방향인 제 2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영상(2300)은 소정의 오브젝트의 앞모습이고, 제 2 영상(2310)은 소정의 오브젝트의 뒷모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7의 경우와 같이, 오브젝트가 휴대폰(2400)인 경우, 제 1 영상(2300)은 휴대폰(2400)을 제 1 방향(DR1)에서 촬영한 영상이고, 제 2 영상(2310)은 휴대폰(2400)을 제 1 방향(DR1)과 반대인 제 2 방향(DR2)에서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컨텐츠의 제공자, 예컨대 방송국은 소정의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 및 그 오브젝트를 제 1 방향과 역방향인 제 2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을 복수의 서브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서브 화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은 다른 서브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반전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8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은 하부 화면 영역(2500)과 상부 화면 영역(251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8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공간 영역(SP1)에 위치하는 제 1 사용자(190)가 하부 화면 영역(2500)에 표시된 영상을 정상적으로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는 제 2 사용자(180)가 상부 화면 영역(2510)에 표시된 영상을 정상적으로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190) 및 제 2 사용자(180)는 각각 정상적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화면영역(2510)에 표시되는 영상과 하부 화면영역(25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서로 동일한 채널(Channel)에 대응하는 영상이거나 혹은 서로 상이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9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은 좌측 화면 영역(2600)과 우측 화면 영역(261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공간 영역(SP1)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좌측 화면 영역(2600)에 표시된 영상을 정상적으로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우측 화면 영역(2610)에 표시된 영상을 정상적으로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공간 영역(SP1)에 위치하는 사용자 및 제 2 공간 영역(SP2)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각각 정상적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화면영역(2600)에 표시되는 영상과 우측 화면영역(2610)에 표시되는 영상은 서로 동일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이거나 혹은 서로 상이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인 것일 수 있다.
도 50 내지 도 70은 양면터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양면터치 모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양쪽면에서 모두 터치 기능할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 및 제 2 화면(120)에 각각 터치 패널(111, 121)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111, 121)은 정전용량 터치 패널, 압력식 터치 패널, 광학 터치 패널 등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패널(111, 121)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터치가 발생한다는 것은 터치가 발생하는 영역에 터치 패널(111, 121)이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면을 터치하는 경우와 타측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설명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에 제 1 기능을 수행하고, 제 2 화면(120)의 제 1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에 제 1 기능과 다른 제 2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 및 제 2 화면(120)의 제 2 위치가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는 제 1, 2 기능과는 다른 제 3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1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2700) 등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R1)를 터치하게 되면 도 51의 (B)의 경우와 같이 전원을 온(Power ON)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52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2700) 등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의 제 2 위치(R2)를 터치하게 되면 도 52의 (B)의 경우와 같이 전원을 오프(Power OFF)시킬 수 있다.
또는, 도 53의 경우와 같이, 제 1 타입(Type1)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R1)를 터치하게 되면 음량을 증가(Volume Up)시키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의 제 2 위치(R2)를 터치하게 되면 음량을 감소(Volume Down)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제 2 타입(Type2)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R1)를 터치하게 되면 채널을 업전환(Channel Up)시키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의 제 2 위치(R2)를 터치하게 되면 채널을 다운전환(Channel Down)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위치(R1)를 터치하는 경우 및 제 2 위치(R2)를 터치하는 경우의 기능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를 함께 또는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위치(R1)가 단독으로 터치되는 경우 및 제 2 위치(R2)가 단독으로 터치되는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4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R1)를 터치하고 이와 함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의 제 2 위치(R2)를 터치하게 되면 도 54의 (B)의 경우와 같이 전자메일(E-mail) 메뉴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4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를 함께 터치하게 되면 전자메일(E-mail)의 메시지 내용(2800)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55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를 함께 터치하게 되면 숨겨진 메시지(Hidden Message, 2900)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5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를 함께 터치하게 되면 숨겨진 이미지(Hidden Image, 2910)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를 함께 터치하게 되면 숨겨진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를 함께 터치하는 경우 또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6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는 서로 일부중첩(Partially Overlap)할 수 있다.
또는, 도 56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위치(R2)는 제 1 위치(R1)에 전체중첩(Fully Overlap)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6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평 방향으로 소정거리(S10)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터치의 신뢰성을 위치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 사이의 간격(S10)은 제 1 위치(R1)의 직경(r1) 및 제 2 위치(R2)의 직경(r2)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 1 위치(R1)의 영역 크기는 제 2 위치(R2)의 영역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7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한손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부를 잡는(Grip) 경우에 손가락 중 엄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 접하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제 2 화면(120)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엄지로 제 1 위치(R1)를 터치하고, 검지로 제 2 위치(R2)를 터치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R1)를 터치하는 엄지의 크기는 제 2 위치(R2)를 터치하는 검지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5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위치(R1)의 영역 크기는 제 2 위치(R2)의 영역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위치(R1)와 제 2 위치(R2)가 원형태를 갖는 경우, 제 1 위치(R1)의 반지름(r1)은 제 2 위치(R2)의 반지름(r2)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도 58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R1)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제 1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도 58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 위치한 오브젝트(3100)를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오브젝트(3100)를 제 1 방향(DR1)으로 드래그(Drag)하여 오브젝트(3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도 59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2 화면(120)의 제 2 위치(R2)에서 제 1 방향(DR1)과 역방향인 제 2 방향(DR2)으로 제 2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도 59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에 위치한 오브젝트(3100)를 제 2 방향(DR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오브젝트(3100)를 제 2 방향(DR2)으로 드래그(Drag)하여 오브젝트(3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도 60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화면(110)의 제 1 위치(R1)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제 1 터치가 발생하고, 제 2 화면(120)의 제 2 위치(R2)에서 제 1 방향(DR1)과 역방향인 제 2 방향(DR2)으로 제 2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도 58 및 도 59와는 다르게, 오브젝트(3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과 제 2 화면(120)을 함께 터치하는 양면 터치 모드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과 제 2 화면(120)에 각각 터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1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는 제 1 터치 메뉴(2800)가 표시되고, 제 2 화면(120)에는 제 2 터치 메뉴(290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과 제 2 화면(120)에 각각 터치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는 양면 터치 모드를 발동시키기 위한 발동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 입력 수단, 목소리, 제스처 등을 이용하여 양면 터치 모드를 발동시키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는 제 1 터치 메뉴(2800)가 표시되고, 제 2 화면(120)에는 제 2 터치 메뉴(2900)가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사용자를 향해 배치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 표시된 제 1 터치 메뉴(2800)를 터치하는 경우에 제 2 화면(120)에 제 2 터치 메뉴(2900)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2 터치 메뉴(2900)는 제 1 화면(110)에 표시된 제 1 터치 메뉴(2800)를 터치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이 사용자를 향해 배치되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잡는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는 5개의 손가락 중 엄지가 대응되고, 제 2 화면(120)에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이 대응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화면(120)의 터치 여유도가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에 배치되는 제 1 터치 메뉴(2800)의 개수는 제 2 화면(120)에 배치되는 제 2 터치 메뉴(2900)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또한, 제 2 터치 메뉴(2900)의 개수가 제 1 터치 메뉴(2800)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에 제 1 터치 메뉴(2800)에 비해 제 2 터치 메뉴(2900)에는 더욱 다양한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터치 메뉴(29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제 1 터치 메뉴(28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비해 하위 기능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터치 메뉴(2900)는 제 1 터치 메뉴(2800)에 비해 하위 메뉴인 것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화면(110)에 표시된 제 1 메뉴(2800)를 터치하는 경우, 제 2 화면(120)에 제 1 메뉴(2800)의 하위 메뉴인 제 2 메뉴(2900)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의 손의 형태에 따라 제 1 메뉴(2800)와 제 2 메뉴(2900)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2의 경우와 같이, 제 1 화면(110)의 소정 위치에 제 1 터치 메뉴(2800)를 표시하고, 제 1 터치 메뉴(2800)의 주위에 4개의 제 2 터치 메뉴(2910~2940)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터치 메뉴(2800)는 도 63의 경우와 같이 손가락 중 엄지에 대응하는 메뉴로서 4개의 제 2 터치 메뉴(2910~2940)를 활성화시키는 메뉴일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메뉴(2800)는 제 2 터치 메뉴(2910~2940)들의 상위 메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터치 메뉴(2800)는 메인 메뉴(Main Menu)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2 터치 메뉴(2900)는 하위 메뉴(Sub Menu)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4의 경우와 같이, 메인 메뉴(2800)는 음 설정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인 메뉴(2800)를 터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메인 메뉴(2800)를 터치하는 경우 음량 설정 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 1 하위메뉴(Sub Menu1)는 음량 증가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제 2 하위메뉴(Sub Menu2)는 음량 감소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제 3 하위메뉴(Sub Menu3)는 선호볼륨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제 4 하위메뉴(Sub Menu4)는 추천 볼륨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메뉴(2800)가 선택되면 음량 설정 모드로 진입하고, 이후 제 1~4 하위메뉴(Sub Menu1~Sub Menu4)를 이용하여 음량에 대한 상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배열을 고려하여, 복수의 제 2 터치 메뉴(2910~2940) 중 선택된 2개의 메뉴 사이의 최대 간격은 제 1 터치 메뉴(2800)와 제 2 메뉴(2910~2940)의 사이의 최대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2의 경우와 같이, 제 1 터치 메뉴(2800)와 번호 2940 제 2 터치 메뉴 사이의 간격(K2)은 번호 2910 제 2 터치 메뉴와 번호 2940 제 2 터치 메뉴 사이의 간격(K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한손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잡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터치 메뉴(Main Menu, 2800)는 사용자가 제 1 화면(110) 중 기 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 1 화면(110)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5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의 소정 위치(R10)를 터치하는 경우 도 6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화면(110)에 제 1 터치 메뉴(280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터치 메뉴(2800)는 소정 위치(R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메뉴(2800)는 사용자가 제 1 화면(110) 중 기 설정된 영역을 임계시간 이상 터치하는 경우에 제 1 화면(110)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5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화면(110)의 소정 위치(R10)를 임계 시간 이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도 6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화면(110)에 제 1 터치 메뉴(2800)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 1 터치 메뉴(2800)는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서 소정 패턴에 따른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에 제 1 화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6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①-②-③-④-⑤-⑥ 위치의 순서로 터치하는 경우에 제 1 화면(110)에 제 1 터치 메뉴(2800)가 표시될 수 있다. 제 1 터치 메뉴(28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터치 패턴은 도 66에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터치 메뉴(Sub Menu, 2900)는 사용자가 제 1 화면(110)에 표시된 제 1 터치 메뉴(2800)의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에 사라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7의 경우와 같이, t0 시점에 사용자가 제 1 터치 메뉴(2800)를 터치하는 경우에 제 2 화면(120)에 제 2 터치 메뉴(2900)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t1시점에서 제 1 터치 메뉴(2800)의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에 제 2 터치 메뉴(2900)는 제 2 화면(120)에서 사라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t1시점에서 제 2 터치 메뉴(2900)는 제 2 화면(120)에서 사라지지 않고, 제 2 터치 메뉴(2900)의 휘도(발기)가 낮아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터치 메뉴의 영상 휘도는 사용자가 제 1 터치 메뉴(2800)의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에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터치 메뉴(2800) 및 제 2 터치 메뉴(290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휘도(밝기)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8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터치 메뉴(2800)와 제 2 터치 메뉴(2900)가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메뉴(2900)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 2 터치 메뉴(2900)의 영상 휘도는 제 1 터치 메뉴(2800)의 영상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컨대, 제 1 터치 메뉴(2800)가 선택되어 제 2 터치 메뉴(2900)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선 도 64에서 음량 설정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도 6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터치 메뉴(2800)와 제 2 터치 메뉴(2900)가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메뉴(2900)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터치 메뉴(2800)의 영상 휘도는 제 2 터치 메뉴(2900)의 영상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선 도 64에서 음량 설정 모드로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제 1 터치 메뉴(2800)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제 2 메뉴(2900)의 표시위치도 연동되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9의 경우와 같이, 제 1 터치 메뉴(Main Menu, MM)가 제 1 화면(110)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터치 메뉴(Sub Menu1~4, SM1~4)도 제 1 화면(110)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제 1 터치 메뉴(Main Menu, MM)와 제 2 터치 메뉴(Sub Menu1~4, SM1~4)를 용이하게 터치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그립 모드(Grip Mode)에서 제 1 터치 메뉴(2800)를 제 1 화면(110)에 표시하고 제 2 터치 메뉴(2900)는 제 2 화면(12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0의 경우와 같이, 그립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100)하고, 판단결과 그립모드로 진입하라는 그립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 1 터치 메뉴(2800)를 제 1 화면(110)에 표시하고 제 2 터치 메뉴(2900)는 제 2 화면(12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그립 모드 진입 명령은 사용자가 소정의 입력키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 설정된 손잡이 영역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경우에 그립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립 모드가 아닌 거치 모드, 예컨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거치대에 거치하는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 1 터치 메뉴(2800) 및 제 2 터치 메뉴(2900)를 표시하지 않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71 내지 도 79는 거치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1을 살펴보면, 거치 모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대(3200)는, 도 72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330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거치대(32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331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거치대(32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주변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332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제 1 경우(First Case)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되는 제 2 경우(Second Case)에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제 1 경우(First Case)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되는 제 2 경우(Second Case)의 음량이 다를 수 있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서 이탈되거나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경우 음량이 이전과 비교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경우와 제 2 경우에서 휘도, 영상 모드, 화면 크기, 해상도 등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3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제 1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크기는 도 73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서 이탈되는 제 2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었던 영상은 그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었던 영상은 그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74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잡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사용자가 손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고려하여 영상을 표시할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3400)의 크기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3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제 1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해상도는 도 73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서 이탈되는 제 2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해상도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도 73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제 1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휘도(밝기)는 도 73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서 이탈되는 제 2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휘도(밝기)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중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하기 때문에 영상에 대한 집중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도 73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제 1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휘도(밝기)는 도 73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패널 거치대(3200)에서 이탈되는 제 2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의 휘도(밝기)보다 높은 것이 가능하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손잡이 영역(GA1, GA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6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 설정된 손잡이 영역(GA1, GA2)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76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영역(GA1, GA2)에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77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영역(GA1, GA2)에 터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손잡이 영역(GA1)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메뉴(3600)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77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영역(GA1, GA2)에 터치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손잡이 영역(GA1)에 표시되었던 터치 메뉴(3600)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손으로 파지한 경우에는 제 1 손잡이 영역(GA1)을 손으로 잡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터치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78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영역(GA1, GA2)의 투명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영역(GA1, GA2)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려질 수 있기 때문에 투명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제 1 경우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되는 제 2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다르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측에 손잡이 영역(GA)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에 대응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측에는 손잡이 영역(GA)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9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 설정된 손잡이 영역(GA)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79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영역(GA)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으면서도 영상의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3400)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측에서 제 2 단변(SS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을 손잡이 영역(GA)과 중첩(Overlap)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Shift)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간의 간격(Y1)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3400)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간의 간격(Y2)보다 클 수 있다.
도 80 내지 도 88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울어짐에 따른 모든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0을 살펴보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실행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기울어지는 각도가 제 1 각도인 경우를 제 1 경우(First Case)라고 하고,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기울어지는 각도가 제 1 각도보다 작은 제 2 각도인 경우를 제 2 경우(Second Case)라고 할 때, 제 1 경우에서 제 2 경우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 실행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0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바닥면을 향해 수직으로 서 있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 예컨대 방송 영상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1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상에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방송신호 등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모드를 영상시청모드라 하겠다.
반면에, 도 80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소정의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지면의 사이에 위치한 소정의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관찰하거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메뉴 또는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바닥면 간의 각도가 작아서 증강 현실 모드, 스캔 모드 및 검색 모드 등의 적용이 더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1의 (B)의 경우와 같이, 검색 모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소정의 검색식 혹은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모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사용자 명령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입력키(3500)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사용자 명령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입력키(3500)가 표시되는 경우를 키보드 모드라고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바닥면 간의 각도에 따라 영상시청모드 설정하거나 혹은 검색 모드를 설정하는 등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최적화된 실행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면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놓여있는 부분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책상위에 놓여있는 경우에는 바닥면은 책상의 상부면인 것이다.
혹은 바닥면은 지면일 수 있다. 이처럼, 바닥면이 지면인 경우에는 중력방향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실행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바닥면이 지면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82의 (A)를 살펴보면, 중력방향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기울어져서 지면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각도가 θ10~θ11인 경우에는 앞선 도 80의 (A) 도 81의 (A)의 경우와 같이 영상시청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θ10은 직각일 수 있다.
아울러, 도 82의 (B)의 경우와 같이, 중력방향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기울어져서 지면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각도가 θ11~0ㅀ인 경우에는 앞선 도 80의 (B) 도 81의 (B)의 경우와 같이 증강현실모드, 스캔 모드 및/또는 검색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θ11은 영상시청모드와 다른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임계각도일 수 있다.
도 83의 (A)의 경우와 같이 탁자(3600)위에 엽서(1000)가 오브젝트로서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엽서(1000)에 대응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탁자(3600)위에 올려놓게 되면, 탁자면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의 각도가 충분히 작을 수 있다. 또는 지면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각도도 충분히 작다. 예를 들면, 앞선 도 80의 (B), 도 81의 (B), 도 82의 (B)의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3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되는 엽서(1000)를 선택할 수 있고, 이후 도 83의 (C)의 경우와 같이, 엽서(1000)의 정보(1001), 즉 엽서(1000)의 내용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오브젝트, 즉 엽서(1000)의 내용을 스캐닝하는 스캔 모드, 혹은 엽서(1000)를 선택하는 증강현실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도 84의 (A)의 경우와 같이, 도 83의 엽서(1000)가 신문(3600)으로 대체된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응되는 신문(3600)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도 84의 (B)의 경우와 같이, 신문(3600)의 정보(3610), 즉 신문(3600)의 내용(3610)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모드를 발동시키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신문(3600)의 내용(3610)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문(3600)의 내용(3610) 중에서 "LG전자"라는 단어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오브젝트, 즉 신문(3600)의 내용을 스캐닝하는 스캔 모드, 혹은 신문(3600)을 선택하는 증강현실 모드, 혹은 신문(3600)의 정보(3610) 중 원하는 단어를 검색하는 검색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도 85의 (A)의 경우와 같이, 도 83의 엽서(1000)가 다른 신문(3700)으로 대체된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신문(3700)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비춰지는 다른 신문(3700)의 부분을 스캔할 수 있고, 스캔한 영상/데이터(3710)를 도 85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검색모드에서 스캔한 영상/데이터(3710)에서 원하는 단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캔한 영상/데이터(3710)를 팩스, 메일 등을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모드 스캔 모드 및/또는 검색 모드에서 터치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의 크기와 영상시청모드에서 터치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6의 (A)의 경우와 같이, 영상시청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영상시청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터치 영역(TA)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이와는 다르게 도 86의 (B)의 경우와 같이, 검색모드, 증강현실모드 및/또는 스캔모드에서는 스캔, 검색,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터치 영역(TA)의 크기를 영상시청모드에 비해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영상시청모드에서 검색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혹은 영상시청모드에서 스캔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혹은 영상시청모드에서 증강현실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표시되고 있던 영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7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소정의 영상(3400), 예컨대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시청모드에서 도 87의 (B)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지면 혹은 바닥면과 대략 수평한 상태가 되면 스캔 모드 혹은 검색 모드로 모드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87의 (B)의 경우로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드전환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었던 영상(34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검색 또는 스캔 기능을 사용하면서도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87의 (A)에서 (B)로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직전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었던 영상(3400)의 크기를 줄이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3400)의 표시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9 내지 도 97은 비밀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입김을 부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숨겨진 메시지 등의 비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9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의 제 1 부분(3700)에 사용자(190)가 입김을 부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도 89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190)의 입김이 쏘여진 제 1 부분(3700)에 대응하는 제 1 화면 영역(3800)에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김이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190)의 입김을 감지하기 위해 소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0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에 센서(39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3900)는 수증기 센서, 입김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바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3900)는, 도 90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의 수증기량이 임계값(THV)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3900)가 감지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의 수증기량이 임계값(THV)을 초과하는 T0 시점에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의 수증기량이 임계 기간 내에서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우 숨겨진 메뉴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임계기간을 1분이라고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도 90의 (B)의 경우와 같이 T0 시점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에 입김을 불어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고, 이후 T0 시점으로부터 1분 이내에 다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에 입김을 부는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는, 제 1 부분(3700)의 수증기량이 임계수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1의 (A)의 경우와 같이, 센서(3900)가 감지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의 수증기량이 임계값(THV)을 초과하는 T0 시점에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표시하고, 이후 제 1 부분(3700)의 수증기량이 임계값(THV)보다 작아지는 T1 시점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T1 시점에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지시(3800)의 표시를 종료/해제하는 것이다.
또는,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가 표시된 시점(T0)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1의 (B)의 경우와 같이, 센서(3900)가 감지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3700)의 수증기량이 임계값(THV)을 초과하는 T0 시점에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표시하고, 이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THP)가 지난 T2시점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는 수증기량이 임계수치(THV) 이상으로 증가하기 이전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었던 영상에 겹치게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0의 T0시점 이전에 도 92의 경우와 같이 "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92의 경우와 같이, 소정 부분의 수증기량이 임계수치(THV)를 초과하는 경우에 다른 숨겨진 메뉴(3810), 예컨대 사용자의 전자메일(E-Mail)에 대한 숨겨진 메뉴(3810)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전자메일에 대한 숨겨진 메뉴(3810)는 T0 시점 이전에 화면에 표시된 "산"에 대응하는 영상과 중첩되도록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숨겨진 메뉴(3810)가 표시된 영역에서 "산"에 대한 영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숨겨진 메뉴는 수증기량이 임계수치 이상으로 증가하기 이전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었던 영상을 가리는 상태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0의 T0시점 이전에 도 92의 경우와 같이 "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93의 경우와 같이, 소정 부분의 수증기량이 임계수치(THV)를 초과하는 경우에 또 다른 숨겨진 메뉴(3820), 예컨대 사용자의 앨범(Album) 및 전자메일(E-Mail)에 대한 숨겨진 메뉴(3820)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전자메일에 대한 숨겨진 메뉴(3820)는 T0 시점 이전에 화면에 표시된 "곰"에 대응하는 영상을 일부 가리는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설치되는 센서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4의 경우와 같이, 제 1~5 센서(3910~395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의 수증기량이 임계수치 이상으로 증가하고, 이와 함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수증기량이 임계수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 2 부분에 대응되는 제 2 화면 영역에 다른 숨겨진 메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5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4000) 및 제 2 부분(4010)의 수증기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를 넘어가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부분(4000)에 배치되는 제 1 센서(3910) 및 제 2 부분(4010)에 배치되는 제 2 센서(3920)는 각각 수증기량이 임계수치를 넘어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5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입김이 쏘여진 제 1 부분(4000)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에 제 1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4100)가 표시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입김이 쏘여진 제 2 부분(4010)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에 제 2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4110)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4100)는 제 2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4110)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4100)는 사용자의 일정(Schedule) 정보를 포함하고, 제 2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4110)는 사용자의 전자메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사용자의 입김이 닿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숨겨진 메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온도변화에 따라 소정의 숨겨진 메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6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의 부분(4300)에 사용자(190)가 입김을 부는 경우에 소정 부분(4300)의 수증기량이 증가할 수 있지만, 소정 부분(4300)의 온도도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190)의 입김을 감지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부분(4300)에 온도센서(4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4200)는, 도 96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부분(4300)의 온도가 임계온도(THV1)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센서(4200)가 감지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부분(4300)의 온도가 임계온도(THV1)를 초과하는 T10 시점에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소정 부분(4300)의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로 감소하는 T11시점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온도가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위치의 온도가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김 뿐 아니라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하여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위치를 손으로 일정시간 동안 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이 터치된 위치의 온도는 사용자의 체온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온도를 사용자의 체온보다 낮거나 혹은 그에 대응하는 온도로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입김을 불지 않아도 손의 터치만으로도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가 표시되는 위치에서는 광 투과율이 낮아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에 대응되는 위치의 투명도는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7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소정의 부분(4400)에 사용자의 입김이 불거나 혹은 손의 터치에 의해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가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부분(4400)의 투명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부분(4400)의 이외의 부분(4410)은 투명도가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에 대응되는 소정 부분(4400)을 제 1 부분(4400)이라 하고, 나머지 부분을 제 2 부분(4410)이라고 할 때, 제 1 부분(4400)의 투명도/광투과율은 제 2 부분(4410)의 투명도보다 낮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97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는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 97의 (B)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서는 제 1 부분(4400)의 투명도가 낮은 이유로 인해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를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숨겨진 메뉴 혹은 메시지(3800)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98 내지 도 107은 측면 터치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Side Edge)를 이용하여 터치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8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대략 4각형 형태를 갖고, 이에 따라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응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제 1 단변(SS1)에 대응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의 소정 영역을 측면 터치 영역(SE)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터치 영역(SE)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도 98의 (B)의 경우와 같이, 음량증가(Volume Up), 음량감소(Volume Down), 채널 업변경(Channel Up), 채널 다운변경(Channel Down)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Touch) 시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SE)을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화면 영역(Active Area)의 크기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9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1 투명기판(110) 및 제 2 투명기판(120)을 포함하는 경우, 측면 터치 영역은 제 1 투명기판(110) 및 제 2 투명기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제 1 투명기판(110) 및 제 2 투명기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터치(Touch) 시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는, 측면 터치 영역(SE) 제 1 투명기판(110) 및 제 2 투명기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Side Edge) 뿐 아니라 측면에 인접하는 영역까지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0의 경우와 같이, 제 1 투명기판(110)의 측면 터치 영역(SE)은 제 1 투명기판(110)의 측면 및 제 1 투명기판(110)의 측면과 인접한 인접영역(4500)이 측면 터치 영역(SE)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101의 경우와 같이, 제 1 투명기판(110) 및 제 2 투명기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측면 터치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해 제 1 투명기판(110) 및 제 2 투명기판(120)의 사이에 터치 센서(Touch Sensor, 460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센서(4600)는 신체 또는 특정 물체가 가지고 있는 미세한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터치 센서(4600)는 신체 또는 정전용량을 지난 물체의 터치 시 그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투명기판(110) 및 제 2 투명기판(12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터치 영역(SE)이 터치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2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투명기판(110) 및/또는 제 2 투명기판(120)에서 터치 센서(4600)가 배치되는 영역을 터치했을 경우에, 터치 센서(4600)는 사용자가 터치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102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투명기판(110) 및/또는 제 2 투명기판(120)에서 터치 센서(46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터치했을 경우에는 터치 센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투명기판(110)과 제 2 투명기판(120)의 사이에 터치 센서(460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 1 투명기판(110) 및/또는 제 2 투명기판(120)의 일부, 즉 측면 터치 영역을 스위치(Switch)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SE)을 복수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서로 다른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의 제 1 영역은 제 1 기능에 대응되고 제 2 영역은 제 2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영역의 터치 시 제 1 기능이 구현되고, 제 2 영역의 터치 시 제 2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3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 영역을 제 1 영역(4700), 제 2 영역(4710), 제 3 영역(47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3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영역(4700)에는 음량증가(Volume Up) 기능을 할당하고, 제 2 영역(4710)에는 음량감소(Volume Down) 기능을 할당하고, 제 3 영역(4720)에는 전원 온/오프(Power ON/OFF)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측면 터치 모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SE)의 터치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1회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표시된 소정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음량을 변경하거나, 채널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04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제 1 경우(①)라 하자.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제 2 경우(②)라 하자.
이러한 경우, 도 104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경우(①)에는 음량증가(Volume Up), 채널 업변경(Channel Up), 혹은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위쪽으로 이동(Move to top)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경우(②)에는 음량감소(Volume Down), 채널 다운변경(Channel Down), 혹은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이동(Move to bottom)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05의 (A)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제 1 경우(①)라 하자.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제 2 경우(②)라 하자.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제 3 경우(③)라 하자.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설정된 측면 터치 영역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제 4 경우(④)라 하자.
이러한 경우, 도 105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경우(①)에는 음량증가(Volume Up), 제 2 경우(②)에는 음량감소(Volume Down), 제 3 경우(③)에는 채널 업변경(Channel Up), 제 4 경우(④)에는 채널 다운변경(Channel Down)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Rear Surface) 중 적어도 하나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에 할당된 기능에 대응하는 마크(Mark)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5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의 상부에는 제 1 경우(①)에 해당하는 음량증가(Volume) 기능이 할당됨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기호, 숫자 등의 마크(미도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마크를 이용하여 어떤 위치가 어떠한 기능으로 할당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면 터치 모드가 실행 중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측면 터치 기능이 실행 중임을 알리기 위한 마크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6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측면 터치 모드로 동작 중인 것을 알리는 마크(480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측면 터치 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도 70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잡이 모드(그립 모드)로 진입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즉 손잡이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측면 터치를 해제할 수 있다.
손잡이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에 파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손잡이 모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는 오동작의 가능성이 크다.
다르게 표현하면, 손잡이 모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을 터치하더라도 할당된 기능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선 도 71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손으로 쥐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되는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터치 영역(SE)을 활성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고려할 때, 위에서 설명한 손잡이 모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거치대(3200)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이 것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영역을, 특정 모드에서, 영상 영역과 응용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7의 경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중 제 1 영역(4900)은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TV Area), 즉 영상 영역(49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 중 제 2 영역(4910)은 증강현실 기능을 위한 영역(AR Area), 즉 응용 영역(49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응용 영역(4910)은 증강현실 기능 뿐 아니라, 스캔, 검색 등 다양한 응용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 등의 영상을 시청하면서도 다양한 응용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영상을 구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Transparent Display Panel);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제 1 공간 영역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과되는 상기 제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상에, 중첩하여,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표시하고,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객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 1 오브젝트가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와 다른 제 2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정보의 문자 폰트(Font)가 서로 다르거나, 색이 서로 다르거나, 밝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의 표시 위치와 상기 제 2 정보의 표시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9. 영상을 구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Transparent Display Panel);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제 1 공간 영역에 대응되는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과되는 상기 제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상에, 중첩하여,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중첩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 간격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인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를 표시하고,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격이 제 1 간격보다 큰 제 2 간격인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제 1 정보와 다른 제 2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공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정보의 상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10022153A 2011-03-13 2011-03-13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7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53A KR101847613B1 (ko) 2011-03-13 2011-03-13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EP12158954.3A EP2500814B1 (en) 2011-03-13 2012-03-09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3/418,575 US8823663B2 (en) 2011-03-13 2012-03-13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210147485.8A CN102682740B (zh) 2011-03-13 2012-03-13 透明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53A KR101847613B1 (ko) 2011-03-13 2011-03-13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467A KR20120104467A (ko) 2012-09-21
KR101847613B1 true KR101847613B1 (ko) 2018-05-28

Family

ID=4711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153A KR101847613B1 (ko) 2011-03-13 2011-03-13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6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2140A1 (en) * 2005-05-18 2006-11-23 Kujawa Gregory A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visual augmentation of perceived reality
JP5032798B2 (ja) 2006-03-24 201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2140A1 (en) * 2005-05-18 2006-11-23 Kujawa Gregory A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visual augmentation of perceived reality
JP5032798B2 (ja) 2006-03-24 201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467A (ko)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0814B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500816B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698771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965058B2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37974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анирующего дисплея
KR1021114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11590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EP2148267B1 (e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setting virtual keypad thereof
CN110489025B (zh) 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101799317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2893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EP2500815B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99318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2226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99316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EP2400374A1 (en) User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47613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9931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11593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492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32909B2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US20110187648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3333695B1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KR10200784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CN103313136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