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546B1 -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546B1
KR101847546B1 KR1020160128431A KR20160128431A KR101847546B1 KR 101847546 B1 KR101847546 B1 KR 101847546B1 KR 1020160128431 A KR1020160128431 A KR 1020160128431A KR 20160128431 A KR20160128431 A KR 20160128431A KR 101847546 B1 KR101847546 B1 KR 10184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p
sheet
panel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전자
Priority to KR102016012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는, 램프헤드와, 암에 의해 램프헤드와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램프헤드는, 전면에서 빛을 발산하는 조명패널과, 조명패널의 빛을 굴절시켜 집광하는 프리즘시트와, 프리즘시트에 의해 굴절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포함하며, 프리즘시트는,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되고 프리즘 패턴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시트; 및 한 쌍의 제1 시트 사이에서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되고 프리즘 패턴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2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즘시트의 굴절특성에 의한 빛의 비대칭형 집광형태를 대칭형태로 개선하면서도 광량은 유지 또는 상승시키고, 광원의 단계적 밝기조절 및 연속적 밝기조절의 동시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DESK LAMP WITH STACKED OPTICAL FILM STRUCTURE}
본 발명은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즘시트의 굴절특성에 의한 빛의 비대칭형 집광형태를 대칭형태로 개선하면서도 광량은 유지 또는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stand)는 플로어나 테이블에 놓이는 형태의 등으로, 플로어 스탠드, 테이블 스탠드, 나이트 스탠드 등이 있으며 국부 조명으로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27162호에는 반사광 조사식 엘이디 간접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2013-0127162호는 칩엘이디 어레이; 상기 칩엘이디 어레이가 부착되고 상기 칩엘이디 어레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PCB; 상기 PCB의 지지대 역할 및 반사경의 기능을 하는 반사경프레임; 상기 반사경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조명장치를 보호하는 반사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3-0127162호는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명패널과 반사경 간 일정한 이격거리가 요구됨에 따라, 조명패널이 설치되는 헤드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조명패널의 빛을 광학렌즈를 통해 집광하는 구조를 갖는 스탠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조명패널의 빛을 광학렌즈를 통해 집광하는 구조에서도 조명패널과 광학렌즈 사이에 일정한 이격거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명패널의 빛을 광학렌즈를 통해 집광하는 구조는, 조명패널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이와 같은 빛의 손실을 감소시키려면, 조명패널과 광학렌즈 사이에 반사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반사판 등 추가구성의 설치는 중량 증가와 원가 상승 등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78164호에는 적층시트필름을 구비한 조명기구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78164호는 LED 광원과, LED 광원이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과, 다양한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 하우징의 윗면을 덮으면서 LED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커버를 통과할 때 굴절시켜 음영을 없앰과 동시에 빛이 산란되도록 하는 커버와, 커버의 외부측에 결합되고 빛이 집중 및 확산되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적층시트필름 및 커버 및 적층시트필름을 상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되, 적층시트필름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되면서 집광되도록 표면에 미세한 프리즘형상이 형성된 필름 재질의 프리즘시트와 프리즘시트를 통과한 빛이 골고루 확산되도록 필름의 양면에 확산 안료가 혼합된 확산시트를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에는 커버, 프리즘시트 및 확산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중복되거나 임의의 순서로 적층된 조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프리즘시트를 통과한 빛은 프리즘시트의 프리즘패턴의 산과 골 방향으로 (빛이 더 퍼지는) 방향성을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등록특허공보 제1578164의 적층시트필름을 구비한 조명기구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에서 외부로 나오는 빛은 상기 프리즘시트의 굴절특성에 의해 비대칭형태를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도 3 참조)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2893호에는 인버터 스탠드에 적용 가능한 엘이디 램프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2893호는 터치센서의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 신호입력부에 연결되어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단과 신호출력단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류입력단이 형성되어 전구의 점등을 제어하는 집적회로; 입력되는 전기의 전류를 제한하도록 직렬 연결되는 제 1저항 내지 제 4저항; 제 4저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2다이오드; 제2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류하는 전압조정기 튜브; 전압조정기 튜브에 연결되며 집적회로부의 전류입력단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2캐패시터; 집적회로의 신호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제3캐패시터; 제3캐패시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엘이디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트라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2893호는 인버터 램프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인체가 터치할때 마다 발생되는 정전용량 신호 변화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엘이디 전구의 온오프와 조도 조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2893호는 오프, 어두움, 빛, 밝음, 종료와 같이 전구의 온오프와 조도 조절을 단계별로 구현함에 따라 조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으므로, 스탠드를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조도를 정확하게 맞춰 눈의 피로를 낮추기 위해 다이얼로 밝기를 조절하는 타입의 스탠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다이얼로 밝기를 조절하는 타입의 스탠드는, 조도를 어두움에서 밝음, 또는 밝음에서 어두움으로 급격하게 변화시키고자 할 경우, 다이얼을 여러 번 회전시켜야 하는 과도한 조작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27162호 (공개일: 2013.11.22)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78164호 (등록일: 2015.12.10)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2893호 (공개일: 2015.11.27)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즘시트의 굴절특성에 의한 빛의 비대칭형 집광형태를 대칭형태로 개선하면서도 광량은 유지 또는 상승시키고, 광원의 단계적 밝기조절 및 연속적 밝기조절의 동시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램프헤드와, 암에 의해 상기 램프헤드와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헤드는, 전면에서 빛을 발산하는 조명패널과, 상기 조명패널의 빛을 굴절시켜 집광하는 프리즘시트와, 상기 프리즘시트에 의해 굴절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시트는, 상기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되고 프리즘 패턴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시트; 및 상기 한 쌍의 제1 시트 사이에서 상기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되고 프리즘 패턴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2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는, 프리즘 패턴의 산과 골이 상기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조명패널의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로터리 엔코더를 회전시키는 엔코더노브; 및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 신호 및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 신호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면을 형성하고, 상기 터치면 안쪽에 전도판이 부착된 원통형 중공하우징; 및 상기 전도판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전도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엔코더노브는, 상기 터치면의 바깥에서 상기 중공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씌워진 캡; 및 상기 캡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종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축에는 복수의 종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엔코더노브는, 상기 터치면의 바깥에서 상기 중공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씌워진 제1 캡; 상기 중공하우징의 회전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캡에 씌워진 제2 캡;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상기 중공하우징의 회전축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스프링; 및 상기 제2 캡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종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주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됨으로써, 프리즘시트의 굴절특성에 의한 빛의 비대칭형 집광형태를 대칭형태로 개선하면서도 광량은 유지 또는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코더노브가 터치센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광원의 단계적 밝기조절 및 연속적 밝기조절의 동시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램프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한 장의 프리즘시트와 이를 통해 집광된 빛의 비대칭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프리즘시트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프리즘시트와 이를 통해 집광된 빛의 대칭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베이스에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값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는, 프리즘시트의 굴절특성에 의한 빛의 비대칭형 집광형태를 대칭형태로 개선하면서도 광량은 유지 또는 상승시키고, 광원의 단계적 밝기조절 및 연속적 밝기조절의 동시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램프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한 장의 프리즘시트와 이를 통해 집광된 빛의 비대칭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프리즘시트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프리즘시트와 이를 통해 집광된 빛의 대칭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1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의 베이스에서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값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10)는, 프리즘시트(120)의 굴절특성에 의한 빛의 비대칭형 집광형태를 대칭형태로 개선하면서도 광량은 유지 또는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지며, 램프헤드(100), 암(200) 및 베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헤드(100)는 빛을 발하여 집광하는 구성으로서, 조명패널(110), 프리즘시트(120), 확산시트(130), 투광커버(140) 및 하우징(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패널(110)은 빛을 발산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LED 또는 OLED가 탑재된 평판패널로 구비된다. 아래에서는 OLED가 탑재된 평판패널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프리즘시트(120), 확산시트(130) 및 투광커버(140)는 조명패널(110)의 전면에 순서대로 적층된다. 조명패널(110)의 전면은 OLED가 탑재된 조명패널(110)의 한쪽 면을 의미한다. OLED는 도 2를 기준으로 조명패널(110)의 밑면에 탑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은 조명패널(110), 프리즘시트(120), 확산시트(130) 및 투광커버(140)가 고정되는 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몸체(151) 및 커버(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51)는 조명패널(110)의 전면 쪽에 개구부를 갖는 액자틀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151)에는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투광커버(140)의 전면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단턱부(151F)가 형성된다.
커버(152)는 조명패널(110)의 후면 쪽에서 몸체(151)에 결합된다. 따라서 조명패널(110)의 빛은 프리즘시트(120), 확산시트(130) 및 투광커버(140)를 순서대로 투과한 후 몸체(151)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에는 램프헤드(100)와 베이스(300)를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암(200)이 결합된다. 암(200)은 자바라 형태, 파이프 형태 등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주요구성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전선, 암(200) 결합구조 등이 생략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서 미설명된 부호 B는 프리즘 패턴(P)이 형성된 광학필름을 의미한다. PET 등 얇은 광학필름에 광학수지를 응고시켜 프리즘 패턴(P)을 전사하는 기술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는 등록특허공보 제1578164호에서 LED 조명기구의 빛을 집광하는 프리즘시트(1)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의 프리즘시트(1)를 통과한 빛이 집광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시트(1)는 일 방향으로 산(미도시)과 골(R)이 형성된 프리즘 패턴(P)을 갖는다. 따라서 프리즘시트(1)를 통과한 빛은 프리즘 패턴(P)의 산과 골(R) 방향으로 (빛이 더 퍼지는) 방향성을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등록특허공보 제1578164호의 LED 조명기구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빛은 프리즘시트(1)의 굴절특성에 의해 비대칭형태(도 3(b) 참조)를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A1은 집광된 빛의 중심부를 나타내고, A2는 집광된 빛의 주변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10)는, 복수의 시트(121,122)가 조합된 형태로 프리즘시트(120)를 형성하여, 프리즘 패턴(P)의 산(C)과 골(R)이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시트(120)는 조명패널(110)의 빛을 굴절시켜 집광하는 구성으로서,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 시트(121) 및 제2 시트(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a)는 다수의 시트(121,122)가 조합된 프리즘시트(12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b)는 도 5(a)의 프리즘시트(120)에 의해 집광된 빛의 대칭형태를 나타내며, 도 5(c)는 프리즘시트(120) 및 확산시트(130)에 의해 집광 및 확산된 빛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시트(121)는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되고, 한 쌍의 제2 시트(122)는 한 쌍의 제1 시트(121) 사이에서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된다.
한 쌍의 제1 시트(121) 및 제2 시트(122)가 하나의 프리즘시트(120)를 구성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시트(121)는 서로 나란한 프리즘 패턴(P)을 형성하고, 한 쌍의 제2 시트(122)도 서로 나란한 프리즘 패턴(P)을 형성한다. 제1 시트(121) 및 제2 시트(122)의 프리즘 패턴(P)은, 서로 직교한 산(미도시)과 골(R)이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5(a)의 프리즘시트(120)를 통과한 조명패널(110)의 빛은 서로 직교한 프리즘 패턴(P)을 가진 제1 시트(121)와 제2 시트(122)를 투과하면서 굴절되어, 도 5(b)와 같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대칭된 집광형태를 나타낸다.
도 5(b)는 프리즘시트(120)에 의해 집광된 빛의 대칭형태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가상의 도면으로, 실제 프리즘시트(120)를 투과하면서 집광된 빛은 확산시트(130)를 투과하면서 확산되어 도 5(c)와 같이 원 형태로서 외부로 방사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조명패널(110)의 빛을 원 형태로 집광하기 위해, 처음에는 종래 프리즘시트(1) 2장을 프리즘 패턴(P)이 서로 직교하게 겹쳐 적층하였다. 즉, 조명패널(110)의 전면에 프리즘시트(1) 2장 및 확산시트(130)를 순서대로 적층하여 제작해보았으나, (프리즘시트(1)의 광투과율이 대략 70%이므로) 프리즘시트(1) 2장을 투과한 빛의 광량이 50% 이하로 감소하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5(a)와 같이 서로 직교한 프리즘 패턴(P)을 가진 제1 시트(121)와 제2 시트(122)를 조합하여 프리즘 패턴(P)의 산과 골(R)이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조명패널(110)의 빛을 원 형태로 집광하면서 동시에 광량 감소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도 4는 도 5(a)에 도시된 프리즘시트(120)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프리즘시트(120)는 종래 프리즘시트(1)를 재단한 후 조합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프리즘시트(1)를 45도 사선방향으로 연속 절개하여 직각이등변삼각형(isosceles right triangle) 형태의 제1 시트(121) 및 제2 시트(122) 총 4개를 절취한다. 미설명된 부호 CL은 절개선을 의미한다.
그러고 나서 제1 시트(121) 및 제2 시트(122)의 직각인 꼭짓점을 서로 맞대어 조합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패턴(P)의 산과 골(R)이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시트(120)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 시트(121), 제2 시트(122) 및 제3 시트(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종래 프리즘시트(1)를 60도 사선방향으로 절취하여 정삼각형(regular triangle) 형태의 제1 시트(121), 제2 시트(122) 및 제3 시트(123) 총 6개를 절취한다. 그러고 나서 제1 시트(121), 제2 시트(122) 및 제3 시트(123)의 좌우(도 4의 방향 기준) 양쪽 꼭짓점 부분을 서로 맞대어 조합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패턴(P)의 산과 골(R)이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도 6(a)의 프리즘시트(120)를 통과한 조명패널(110)의 빛은 서로 60도의 사잇각을 갖는 프리즘 패턴(P)을 가진 제1 시트(121), 제2 시트(122) 및 제3 시트(123)를 투과하면서 굴절되어, 도 6(b)와 같이 원형에 가깝게 대칭된 집광형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프리즘시트(120)에 의해 집광된 빛의 대칭형태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가상의 도면으로, 실제 프리즘시트(120)를 투과하면서 집광된 빛은 확산시트(130)를 투과하면서 확산되어 도 6(c)와 같이 원 형태로서 외부로 방사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리즘시트(120)를 각각 한 쌍의 제1 시트(121) 내지 제N 시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N은 임의의 숫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리즘시트(120)를 제1 시트(121) 내지 제10 시트로 구성한다는 것은, 종래 프리즘시트(1)를 81도 사선방향으로 절취하여 이등변삼각형(isosceles triangle) 형태를 갖는 총 20개의 시트로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고 나서 제1 시트(121) 내지 제10 시트의 좌우(도 4의 방향 기준) 양쪽 꼭짓점(꼭지각 18도) 부분을 서로 맞대어 조합하면, 프리즘 패턴(P)의 산과 골(R)이 조명패널(110)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N의 크기가 클수록 프리즘시트(120)에 의해 집광된 빛은 원 형태에 더욱 가까워지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0)는 설치면으로부터 램프헤드(1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조명패널(110)의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장치(300C)가 설치된다. 제어장치(300C)는 터치센서(310), 엔코더노브(320), 로터리 엔코더(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서 300A는 베이스(300)의 상판으로, 300B는 베이스(300)의 하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터치센서(31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중공하우징(311), 전도판(312) 및 전도스프링(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하우징(311)은 그 상면에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면(311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제작된다. 중공하우징(311)의 하단부는 회로기판(341)의 상면에 형성된 홈(341H)에 삽입된다. 중공하우징(311)의 터치면(311A) 안쪽에는 전도판(312)이 결합되고, 전도판(312)과 회로기판(341)은 전도스프링(313)에 의해 연결된다.
터치센서(310)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제작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터치면(311A)에 전류를 계속 공급하여 흐르도록 제작하면, 터치면(311A)에 손가락이 닿으면 터치면(311A)에서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게 된다. 정전용량 값의 변화는 전도스프링(313)을 통해 제어부(340)가 이를 감지해서 입력을 판별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코더노브(320)는 로터리 엔코더(33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터치센서(3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엔코더노브(320)는 캡(321) 및 주동기어(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321)은 터치면(311A)의 바깥에서 중공하우징(311)에 회전 가능하게 씌워진다. 캡(321)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중공하우징(311)에 씌워지며, 중공하우징(311)의 중심축(이하 '센서축(311X)')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회전조작시 쉽게 회전된다. 사용자는 캡(321) 상단의 구멍을 통해 터치면(311A)을 자유롭게 누를 수 있다.
주동기어(322)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종동기어(33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캡(321)의 외면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기어(322)는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캡(321)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주동기어(322)는 캡(321)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캡(321)을 회전조작하면, 주동기어(322)는 캡(32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로터리 엔코더(330)는 엔코더노브(320)의 회전각 변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축에는 주동기어(322)와 맞물린 종동기어(331)가 구비된다.
제어부(340)는 회로기판(341)과 MCU(342; 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된다. MCU(342)는 처리부(343) 및 갱신부(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개시한 제어장치(300C)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단일 다이얼 형태로 조립된 터치센서(310) 및 엔코더노브(320)를 한 손으로 조작하여 광원의 단계적 밝기조절 및 연속적 밝기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즉, 손가락으로 터치면(311A)을 누름으로써 광원의 단계적 밝기조절을 하다가, 캡(321)을 회전시킴으로써 광원의 연속적 밝기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터치센서(310) 및 엔코더노브(320)의 회전조작에 의한 광원패널(111)의 밝기조절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에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은 엔코더노브(320)의 회전 조작에 연동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터치센서(31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밝기 조절은, 예컨대, 광원패널(111)의 점등(On)/소등(Off)뿐만 아니라 밝기 단계(예: 1단계 ~ 5단계)의 조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원패널(111)의 소등(Off) 상태일 때 짧은(예: 1초 미만)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광원패널(111)을 최소 밝기 단계(예: 1단계)로 점등하게 되며, 이어지는 짧은 터치신호의 수신 시점마다 최대 밝기 단계(예: 4단계~5단계)까지 순차적으로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최대 밝기 단계에서 또 한번의 터치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광원패널(111)은 최소 밝기 단계로 하향 조절되게 되며, 각 밝기 단계에서 설정에 따른 긴(예: 약 1초에서 2초) 터치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광원패널(111)을 소등(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장치(300C)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밝기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디밍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여기서, 로터리 엔코더(330)는 양방향으로 무한 회전하며, 예컨대, 360°회전 시, 24번의 펄스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데, 이는 15°마다 한 주기의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가 256 단계로 설정된다면, 로터리 엔코더(330)의 15°회전 조작 시 발생하는 한 주기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1 단계씩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키는 조절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예: 256단계)는, 앞서 언급한 터치센서(310)를 통해 조절되는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예: 5단계)와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매칭될 수 있다.
조작수단 터치센서 엔코더노브

매칭단계
1단계 51단계
2단계 102단계
... ...
5단계 255단계
참고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예: 256단계)와 터치센서(310)를 통해 조절되는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예: 5단계)가 매칭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 및 터치센서(310)의 터치 동작의 조합을 통해 광원패널(111)을 원하는 밝기로 빠르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패널(111)을 75%의 밝기로 조절하고 싶다면, 터치센서(310)를 연속 3회전 터치 후 로터리 엔코더(330)를 112°정방향(혹은, 역방향) 회전시키거나, 터치센서(310)를 연속 4회전 터치 후 로터리 엔코더(330)를 35.5°역방향(혹은, 정방향)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처럼,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을 통한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 조절은 터치센서(310)를 통해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조절하는 것보다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을 통한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 조절은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광원패널(111)을 최소 밝기 단계(예: 0 단계)로부터 최대 밝기 단계(예: 256 단계)까지 조절하기 위해선 로터리 엔코더(330)를 10.6 번 회전시켜야 하는 과도한 회전 조작의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로터리 엔코더(330)의 과도의 회전 조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제어장치(300C)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40)는 기 정의된 제어값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 조절을 처리하는 처리부(342A), 및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어값을 갱신하는 갱신부(342B)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처리부(342A), 및 갱신부(342B)를 포함하는 제어부(34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제어부(34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제어부(340) 내 저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제어부(340)는 위 구성을 통해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최소 밝기 단계로부터 최대 밝기 단계까지의 밝기 단계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제어부(34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제1펄스신호 및, 제1펄스신호와 펄스 폭이 동일한 제2펄스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제1펄스신호와 제2펄스신호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구조적 특성 상 상호 간 1/2 펄스 폭만큼의 지연이 발생하게 됨을 전제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처리부(342A)는 기 정의된 제어값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 조절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342A)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제1펄스신호 및 제2펄스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기 정의된 제어값을 기초로 제1펄스신호에 대해 인터럽트 발생 구간을 지정하여, 인터럽트 발생 시점의 제2펄스신호의 펄스 값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가 조절되도록 처리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342A)에서 참조되는 제어값의 경우, 기본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Edge) 구간(a, b) 각각을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하며, 인터럽트 발생 시점의 제2펄스신호의 펄스 값이 ‘O’인 경우,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제1조절개수(예: 한 단계)만큼 상향 조절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제1펄스신호의 하강 에지(Falling Edge) 구간을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하며, 인터럽트 발생 시점의 제2펄스신호의 펄스 값이 ‘1’인 경우,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제1조절개수(예: 한 단계)씩 상향 조절하도록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인터럽트 발생 시점의 제2펄스신호의 펄스 값이 ‘1’인 경우에는 반대로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제1조절개수(예: 한 단계)만큼 하향 조절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갱신부(342B)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를 기초로 제어값을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부(342B)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인터럽트 발생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에 대한 조절이 개시된 경우,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처리부(342A)에서 참조되는 제어값을 갱신함으로써, 제1펄스신호에서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되는 펄스 구간 및 인터럽트 발생 시점에 조절되는 밝기 단계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에 대한 확인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럽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이웃한 상승 에지 구간, 또는 하강 에지 구간까지의 펄스 폭(a, b)을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터럽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이웃한 상승 에지 구간, 또는 하강 에지 구간까지의 펄스 폭(a, b) 각각은,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짧아지는 상관관계를 가지게 되는 데, 따라서 이러한 펄스 폭의 길이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처럼 인터럽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이웃한 상승 에지 구간, 또는 하강 에지 구간까지의 펄스 폭을 이용하여 확인되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를 기초로 제어 값을 갱신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우선 갱신부(342B)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가 제1기준속도(예: 15ms)를 초과하며(빠르며), 제2기준속도(14ms) 이하인(느린)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과 하강 에지 구간 모두가 상기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되며, 인터럽트 발생 시점의 밝기 단계가 제1조절개수(한 단계)만큼 조절되도록 제어값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과 하강 에지 구간 모두가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된다는 것은,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만이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되는 경우에 비해 한 주기 동안 인터럽트 발생 빈도가 두 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 시점의 밝기 단계가 제1조절개수(한 단계)만큼 조절되도록 제어값이 갱신되더라도,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만이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되는 경우에 비해 조절되는 밝기 단계의 개수는 두 배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최소 밝기 단계(예: 0 단계)로부터 최대 밝기 단계(예: 256 단계)까지 조절하기 위해선 로터리 엔코더(330)를 10.6 번 회전시켜야 하는 앞선 예를 참조하면,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과 하강 에지 구간 모두가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되는 경우, 로터리 엔코더(330)를 5.3 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최소 밝기 단계(예: 0 단계)로부터 최대 밝기 단계(예: 256 단계)까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과 하강 에지 구간 모두가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되도록 하는 제어값의 갱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에서의 제2펄스신호의 펄스 값이 ‘0’인 경우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의 상향 조절이 이루어진다면, 반대로 제1펄스신호의 하강 에지 구간에서는 제2펄스신호의 펄스 값이 ‘1’인 경우에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의 상향 조절이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갱신부(342B)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가 제2기준속도 (14ms)를 초과하는 경우, 앞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제1펄스신호의 상승 에지 구간과 하강 에지 구간 모두가 상기 인터럽트 발생 구간으로 지정되며, 인터럽트 발생 시점에 조절되는 밝기 단계가 제1조절개수(예: 한 단계)보다 많은 제2조절개수(예: 다섯 단계)를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보다 많은 개수로 조절되도록 제어값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럽트 발생 시점에 조절되는 밝기 단계가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보다 많은 개수로 조절된다는 것은, 하나의 인터럽트 발생 시점에 조절될 수 있는 밝기 단계의 개수가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보다 많은 개수로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따라서, 로터리 엔코더(330)를 예컨대, 빠르게 약 1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여러 번의 회전 조작 없이도 광원패널(111)의 밝기 단계를 최소 밝기 단계(예: 0 단계)로부터 최대 밝기 단계(예: 256 단계)까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제2조절개수(예: 다섯 단계)를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보다 많은 개수로 조절되도록 제어값을 갱신하는 것은, 광원패널(111)의 밝기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는 디밍 기능의 장점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며, 이러한 제2조절개수(예: 다섯 단계)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갱신부(342B)는 각 인터럽트 발생 시점 이후 확인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를 기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인터럽트 발생에 따라 확인되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와 이전 인터럽트 발생 시점에 확인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 이전 제어값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300C)의 구성에 따르면,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 속도에 따라 광원패널(111)의 최소 밝기 단계로부터 최대 밝기 단계까지의 밝기 단계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광원패널(111)의 밝기를 최소 밝기로부터 최대 밝기까지의 조절에 있어서, 로터리 엔코더(330)의 과도한 회전 조작의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300C)는 엔코더노브(320)의 가압조작에 의해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변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엔코더노브(320)는 제1 캡(321A), 제2 캡(321B), 이격스프링(323) 및 주동기어(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캡(321A)은 터치면(311A)의 바깥에서 중공하우징(311)에 회전 가능하게 씌워지고, 제2 캡(321B)은 센서축(311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캡(321A)에 씌워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캡(321A)의 바깥면에는 센서축(311X) 방향의 홈이 형성되고, 제2 캡(321B)의 내면에는 센서축(311X) 방향의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홈을 따라 센서축(311X)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2 캡(321B)은 센서축(311X)을 중심으로 제1 캡(321A)과 동시에 회전되는 한편, 센서축(311X) 방향으로는 제1 캡(321A)과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캡(321A)의 외면과 제2 캡(321B)의 내면 사이에는 이격스프링(323)이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는 공간(이하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제2 캡(321B)은 제1 캡(321A)과의 걸림구조에 의해 일정구간(이하 '이동구간') 내에서 센서축(311X) 방향으로 상대유동이 가능하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321B)은 외력 미인가시 이격스프링(323)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구간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
주동기어(322)는 로터리 엔코더(330)의 종동기어(33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제2 캡(321B)의 외면에 복수로 형성된다. 주동기어(322)는 제1 주동기어(322A)와 제2 주동기어(322B)로 구성되며, 제2 캡(321B)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주동기어(322)는 제2 캡(321B)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제2 캡(321B)을 회전조작하면, 주동기어(322)는 캡(32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로터리 엔코더(330)는 엔코더노브(320)의 회전각 변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로터리 엔코더(330)의 회전축에는 주동기어(322)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기어(331) 즉, 제1 종동기어(331)와 제2 종동기어(331B)가 구비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엔코더노브(320)를 아래로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주동기어(322A)와 제1 종동기어(331)가 맞물리게 되고, 엔코더노브(320)와 로터리 엔코더(330) 간 회전비율은 제1 주동기어(322A)와 제1 종동기어(331) 간 기어비에 따른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엔코더노브(320)를 아래로 누른 상태에서는 제2 주동기어(322B)와 제2 종동기어(331B)가 맞물리게 되고, 엔코더노브(320)와 로터리 엔코더(330) 간 회전비율은 제2 주동기어(322B)와 제2 종동기어(331B) 간 기어비에 따른다.
제1 주동기어(322A)와 제1 종동기어(331) 간 기어비를 제2 주동기어(322B)와 제2 종동기어(331B) 간 기어비보다 작게 형성하면, 사용자가 엔코더노브(320)를 아래로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경우, 아래로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것보다 로터리 엔코더(330)를 더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광원패널(111)의 빛의 밝기를 더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엔코더노브(320)에서 손을 떼면, 제2 캡(321B)은 이격스프링(323)의 가압력에 의해 다시 이동구간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됨으로써, 프리즘시트의 굴절특성에 의한 빛의 비대칭형 집광형태를 대칭형태로 개선하면서도 광량은 유지 또는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코더노브가 터치센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광원의 단계적 밝기조절 및 연속적 밝기조절의 동시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전기스탠드
100 : 램프헤드 110 : 조명패널
120 : 프리즘시트 121 : 제1 시트
122 : 제2 시트 123 : 제3 시트
B : 광학필름 P : 프리즘패턴
C : 산 R : 골
130 : 확산시트 140 : 투광커버
150 : 하우징 151 : 몸체
152 : 커버 151F : 단턱부
200 : 암
300 : 베이스 300C : 제어장치
310 : 터치센서 311 : 중공하우징
311A : 터치면 311X : 센서축
312 : 전도판 313 : 전도스프링
320 : 엔코더노브 321 : 캡
321A : 제1 캡 321B : 제2 캡
322 : 주동기어 323 : 이격스프링
330 : 로터리 엔코더 331 : 종동기어
340 : 제어부 341 : 회로기판
342 : MCU 343 : 처리부
344 : 갱신부

Claims (6)

  1. 램프헤드와, 암에 의해 상기 램프헤드와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헤드는, 전면에서 빛을 발산하는 조명패널과, 상기 조명패널의 빛을 굴절시켜 집광하는 프리즘시트와, 상기 프리즘시트에 의해 굴절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시트는, 상기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되고 프리즘 패턴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시트; 및 상기 한 쌍의 제1 시트 사이에서 상기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구비되고 프리즘 패턴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조명패널의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로터리 엔코더를 회전시키는 엔코더노브; 및 상기 터치센서의 터치 신호 및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 신호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서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면을 형성하고, 상기 터치면 안쪽에 전도판이 부착된 원통형 중공하우징; 및 상기 전도판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전도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축에는 복수의 종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엔코더노브는, 상기 터치면의 바깥에서 상기 중공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씌워진 제1 캡; 상기 중공하우징의 회전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캡에 씌워진 제2 캡;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상기 중공하우징의 회전축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스프링; 및 상기 제2 캡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격스프링의 압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종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는, 프리즘 패턴의 산과 골이 상기 조명패널의 전면 중앙을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노브는,
    상기 터치면의 바깥에서 상기 중공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씌워진 캡; 및
    상기 캡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종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6. 삭제
KR1020160128431A 2016-10-05 2016-10-05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KR101847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31A KR101847546B1 (ko) 2016-10-05 2016-10-05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31A KR101847546B1 (ko) 2016-10-05 2016-10-05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546B1 true KR101847546B1 (ko) 2018-04-10

Family

ID=6197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431A KR101847546B1 (ko) 2016-10-05 2016-10-05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967A (zh) * 2018-05-30 2018-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灯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483A (ja) 2009-07-07 2011-01-27 Nec Lighting Ltd 照明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483A (ja) 2009-07-07 2011-01-27 Nec Lighting Ltd 照明スタン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967A (zh) * 2018-05-30 2018-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灯具
CN108468967B (zh) * 2018-05-30 2024-03-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0508A1 (en) Improved Room Lamp
CN107076392B (zh) 照明设备和照明系统
JP6868016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光出力を生成する方法
CN101789320B (zh) 具发光亮度变化的按键装置
WO2016134560A1 (zh) 光电一体式机械轴键盘开关模组
US10544919B2 (en) Optical arrangement,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method
TW201633343A (zh) 光電一體式機械軸鍵盤開關模組
KR101847546B1 (ko) 광학필름 적층구조를 갖는 집광형 전기스탠드
KR20180027250A (ko) 밝기 조절이 용이한 전기스탠드
CN201696962U (zh) 光源装置
CN116006909A (zh) 发光装置、照明装置以及光学部件
US6685336B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flashlight
TWI322868B (ko)
KR102014522B1 (ko) 스마트 조명 장치
CN116428550B (zh) 一种舞台灯
US8777433B2 (en) Keypad ligh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847552B1 (ko) 집광형 전기스탠드
CN217763307U (zh) 弧形灯具
NO334160B1 (no) Lampe for arbeidsplassbelysning
CN104930379B (zh) 一种可变焦的灯具
US8079734B2 (en) Lighting device
JP2016004719A (ja) 光学素子及び面光源装置
CN210372943U (zh) 一种led灯具
EP3521693B1 (en) Light-diffusing lamp shade and panel lamp having same
CN218268842U (zh) 一种壁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