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036B1 -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 Google Patents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036B1
KR101847036B1 KR1020170041681A KR20170041681A KR101847036B1 KR 101847036 B1 KR101847036 B1 KR 101847036B1 KR 1020170041681 A KR1020170041681 A KR 1020170041681A KR 20170041681 A KR20170041681 A KR 20170041681A KR 101847036 B1 KR101847036 B1 KR 10184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fixing plate
vertic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of precast concrete, comprising: a bottom member installed on a ground or a foundation; a vertical member vertically engaged to a top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to support rear soil from a front side; and a support member engaged to a rea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to support the vertical member,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being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by a fixing member. The fixing member has a first fixing plate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a second fixing plate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lat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holes, and a fixing bolt penetrating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to fix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nd a support member is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gag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to stably support earth pressure of soil to be supported. The bottom member, vertical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re firmly engaged to each other by the engag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and support pow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pressure applied from the rear soil, thereby preventing accident caused by solid collapse.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0001]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0002]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붕괴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송이 간편하고 조립이 용이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assembling-type retaining wall block which can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soil erosion and which is easy to carry and easy to assemble.

일반적으로 도로·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 하천제방, 해안도로, 주거지역의 사면 등의 옹벽공사는 주로 현장에서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이하, 'RC옹벽'이라 함)에 의한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RC옹벽의 시공방법은 지반굴착, 기초콘크리트 타설, 철근조립, 본체 콘크리트 타설, 뒷채움 공사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Generally, retaining walls such as slopes of roads and railways, slopes of park areas, river banks, coastal roads, and slopes of residential areas are mainly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RC) and formwork,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C retaining wall is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ground excavation, foundation concrete pouring, rebar assembly, body concrete pouring, backfill construction, and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RC옹벽 시공은 모든 작업을 현장에서 직접 시행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RC옹벽의 배근도를 참조하여 철근의 배근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가 자립을 위한 강도를 유지하는데 대략 7일 이상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며,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해체해야하는 등의 여러단계에 걸친 시공과정 및 긴 공사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 및 시공성에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RC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carried out directly at the sit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reinforcing work of the reinforcing bars by referr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C retaining wall in the field, and after installing the form, the concrete is laid. There is a problem in economical efficiency and workability because it requires a curing period of about 7 days or longer in order to maintain the strength and requires a long construction period and various construction steps such as dismantling the form after curing is completed.

때문에, 최근에는 시공성, 경제성 및 민원발생 가능성 측면을 고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블록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까지 이송한 후, 현장에서는 단지 조립만을 실시하게 되므로 시공성에서 매우 우수하며, 이에 따른 민원발생 가능성 또한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교통량이 많은 복잡한 도심지 나 긴급한 공사에 매우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Recently, the use of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economical efficiency, and possibility of civil complaints. The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is manufactured in advance at a factory and transferred to the site. , It is very effective in construction because it is only assembl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complaints. Therefore, it is very effective for complicated urban areas or urgent construction with high traffic volum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배후토사 등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으며, 과도한 토압이 발생될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개선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table in supporting the rear soil and the like,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should be improved when an excessive earth pressure is gener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0683호 (2014.04.24.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90683 (Registered on April 24, 2014)

본 발명은 외부의 토압으로부터 지지가능하도록 충분한 강성 및 지지력을 확보하여 배후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토사붕괴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cast concrete assembling-type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earth soil against the earth pressure by securing sufficient rigidity and supporting force to be able to be supported from an external earth pressure,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soil erosion It is for that purpos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져 배후토사를 지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지반 또는 기초에 설치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배후토사를 지지하는 수직부재 빛 상기 수직부재의 후방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고, 고정수단을 통하여 하부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복수개의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고정플레이트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이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며, 하면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의 상면에 대면 접촉하고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assembling-type retaining wall block comprising a precast concrete panel and supporting rear soil gravel, comprising: a bottom member installed in a ground form or a foundation in a plate form; And a support member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through fixing means, the support member being fixedly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to support the vertical member, A first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in a plate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thereon, and an upper surface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s, And a fixing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o fix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to each other in a fixed manner to each other, the pre-cast concret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to provide.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as it does not mean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must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the middle,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바닥부재, 수직부 및 지지부재가 결합수단과 고정수단을 통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며, 서로 충분한 강성 및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형성되어 배후토사의 토압에 대해여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토사붕괴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bottom member,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supporting member are structurally very rigid through the coupl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and are formed to secure sufficient stiffness and supporting force with each other to stably support the earth pressure of the rear soil,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둘째, 바닥부재, 수직부재,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어 시공현장까지 이송이 간편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 및 시공성이 용이하며,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structure including the bottom member, the vertical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is constituted by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it is easy to transfer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easy to assemble, so that the workability and workability are easy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Effect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에서 지지부재의 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크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of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of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of Figure 1,
Figure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of Figure 1,
Figure 6 is a top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of Figure 1,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of Figure 1,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caustic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and 9B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of Fig. 8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져 시공성이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횡 방향을 따라 인접 배치되어 배후토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은 바닥부재(100), 수직부재(200), 지지부재(300) 및 무수축 몰탈부재(6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구성들이 서로 조립 결합되어진다.1 and 2 illustrate a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precast concrete block is composed of precast concrete panels to improve workability. So as to support the rear soil. The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includes a bottom member 100, a vertical member 200, a support member 300, and a non-shrinkage mortar member 600, and the structures described above are assembled to each other.

상기 바닥부재(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지반 또는 기초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가 설치되어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ottom member 10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plate in a ground or foundation and supports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so that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installed.

상기 바닥부재(100)는 상면에 상기 수직부재(2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2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조립 안착되는 제1안착홈(110)과, 상면에 상기 지지부재(3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 조립되는 제2안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member 100 has a first seating groove 11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20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200 inserted and assembled, The second seating groove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and is inserted and assemb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여기서, 상기 제1안착홈(110)은 상기 제2안착홈(120)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바닥부재(100)와 상기 수직부재(200)가 서로 접촉되는 면을 늘려 상기 수직부재(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 지지할 수 있기 위함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ating groove 110 is formed deeper than the second seating groove 120. This is because the vertical member 20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increasing the surface where the bottom member 100 and the vertical member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에, 상기 바닥부재(100)는 상기 제1안착홈(110)이 형성되는 부분을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착홈(120)이 형성된 상면보다 높도록 돌출부(111)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11)에 상기 제1안착홈(110)을 형성하고 있다.The bottom member 10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11 so that the first seating groove 110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second seating groove 120 is formed, 111 form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10.

상기 제2안착홈(120)에는 상기 지지부재(300)와 결합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고정수단(500)이 설치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econd seating groove 120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500 to be described later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ing member 3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상기 수직부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재(100)의 상면 상기 제1안착홈(110)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바닥부재(10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배후토사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직부재(200)는 후면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후면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돌출부(210)에 제1결합면(220)이 형성된다.The vertical member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1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And the rear gypsum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The vertical member 200 is formed with a rear protrusion 210 protruding along the rea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coupling surface 220 is formed on the rear protrusion 210.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후방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직부재(200)를 지지하고, 상기 수직부재(200)가 받는 배후토사의 토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member 30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member 200 to support the vertical member 200 and supports the earth pressure of the rear soil received by the vertical member 200.

상기 지지부재(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세워져 하면이 상기 바닥부재(100)의 상면에 결합하는 제1지지플레이트(310)와, 후면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310)의 전면에 결합하고, 전면은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결합면(220)과 대면하여 제2결합면(3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420)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 300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310 that is erect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a rear surfac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310, And a second support plate on which a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is formed facing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of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o which the engagement member 420 is coupled.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3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형상이 직각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310 has a rear surface inclined so as to have a wider transverse 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transverse sectional shape is formed as a right triangle.

상기 지지부재(300)는 결합수단(400)을 통하여 상기 수직부재(200)의 후방에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지지부재(300)와 상기 수직부재(20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부재(300)와 상기 수직부재(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410)과, 서로 연결된 상기 지지부재(300)와 상기 수직부재(20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20)를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 30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member 200 through the coupling means 400. Here, the coupling means 400 serves to securely connect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 vertical member 200 to each other, and connects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 vertical member 200 Means 410 and a coupling member 420 coupling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 vertical member 200 to each other.

상기 연결수단(410)은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가 서로 접촉하는 결합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를 서로 연결하며, 제1연결부재(411)와, 제2연결부재(412)와, 연결축(413)을 포함한다.The connection unit 410 is provided on a coupling surface where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nect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to each other, Member 411, a second linking member 412, and a connection shaft 413. [

상기 제1연결부재(411)는 복수개로 상기 지지부재(300)와 접촉하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결합면(220)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U자형으로 양단부는 상기 수직부재(200)에 매립 고정되고 절곡부분은 제1결합홀(414)이 형성되도록 노출된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s 411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of the vertical member 200 contacting the support member 300.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411 are U- And the bent portion is exposed so as to form the first coupling hole 414.

상기 수직부재(200)는 상기 제1결합면(220)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221)에 상기 제1연결부재(411)가 상기 제1결합홈(221)으로부터 노출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411)를 보호하고 상기 지지부재(300)와의 조립 후 조립공간이 컴팩트하도록 한다.The vertical member 200 has a first coupling groove 221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upling surface 220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4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21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411 is protected and the assembly space after the assembly with the support member 300 is compact.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부재(412)는 복수개로 상기 수직부재(200)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제2결합면(321)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U자형으로 양단부는 상기 수직부재(200)에 매립 고정되고 절곡부분은 제2결합홀이 형성되도록 노출되어 있다.3 to 5, the second linking member 4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nking members 412 which are dispos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engaging surface 321 of the support member 300 contacting the vertical member 200, And both ends are U-shaped and are embedded in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bent portions are exposed to form a second coupling hole.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제2결합면(321)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제2결합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322)에 상기 제2연결부재(412)가 상기 제2결합홈(322)으로부터 노출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면(220)과 상기 제2결합면(321)은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가 서로 조립 연결되면 서로 대면접촉하여 상기 연결축(413)이 삽입되도록 수직한 방향의 홀이 형성된다.The supporting member 300 is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groove 322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upling surface 32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41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2 And is exposed and coupled from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322. When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are in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is formed.

한편 상기 제1결합면(220)과 상기 제2결합면(321)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연질의 밀폐패드가 추가로 삽입되어짐으로써, 결합수단(400)의 내부로 오염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since a soft sealing pa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urther inserted betwee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contaminants or moisture penetrate into the engagement means 400 And the lik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413)은 상기 제1결합홀(414)과 상기 제2결합홀이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411)와 상기 제2연결부재(412)가 서로 교차 중첩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홀(414)과 상기 제2결합홀에 동시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6 and 7, the connection shaft 41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14 such that the first connection hole 414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are coaxial,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ing member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414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at the same time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412 and 412 are overlapped and aligned with each other .

상기 연결축(413)은 상기 제1결합홀(414)과 상기 제2결합홀이 교차 정렬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공통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철근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은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제1결합홀(414)과 상기 제2결합홀에 상기 연결축(413)이 삽입 결합된 후 상기 공통홀로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된다.The connection shaft 413 may be formed of a reinforcing bar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a diameter of a common hole concentrically formed by intersecting the first coupling hole 414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Meanwhile, in the pre-cast concrete assembling-type retaining wall block, the connecting shaft 413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holes 414 and 414, and then the fiel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common hole.

한편, 상기 연결수단(410)은 상기한 U자형의 제1연결부재(411)와 제2연결부재(412)와, 상기 연결축(413)을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축(413)이 없어도 상기 지지부재(300)와 상기 수직부재(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410 includes the U-shaped first connecting member 411,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12, and the connecting shaft 413, The supporting member 300 and the vertical member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the connecting shaft 413. [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수단(410)은 제1연결부재(411)와, 상기 제1연결부재(411)와 연결되는 절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411)는 상기 지지부재(300)와 접촉하는 상기 수직부재(200)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U자형으로 제1결합홀이 형성되도록 양단부는 상기 수직부재(200)에 매립 고정되고 절곡부분은 노출된다.The connecting means 41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411 and a bend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411.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4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200 contacting the support member 300.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411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bending portion is exposed.

상기 절곡부재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된다. 상세하게 상기 절곡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300)에 매립 고정되고 타단부는 돌출되어 상기 제1결합홀에 끼워지도록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The bent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300 contacting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ends thereof ar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hole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bending member is formed in a L-shaped configuration, and one end of the bending member is embedded in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bending member is protruded and bent upward or downward so as to be fit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hole.

이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의 조립 작업은 작업 시 상기 수직부재(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결합홀에 상기 절곡부재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부재(3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부재(200)와 지지부재(300)를 조립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assembling operation of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may be performed by inserting the vertical member 200 into the first engagement hole of the vertical member 200,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by installing the support member 300 so that the end portion is fit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한편,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가 서로 조립 설치된 후에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가 서로 마주하는 사이 공간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되면서 전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fter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site concrete is placed in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Not only the strength of the support member 3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pouring concrete.

나아가,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로 대면 접촉되는 상기 제1결합면(220)과 상기 제2결합면(321)의 각각에 조립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를 대면 접촉시켜 정렬하는 작업 및 상기 공통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1결합면(220)과 상기 제2결합면(321)에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may have an assembly part formed on each of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The operation of aligning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in a face-to-face manner and the formation of the common hole can be facilitated. The assembly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zigzag shape so as to form a groove and a protrusion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상기 결합부재(420)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420)는 수평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부재(200)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421)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볼트(421)는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420 is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to couple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together. The coupling member 42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421 penetrating the supporting member 3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astened to the vertical member 200. Here, the fastening bolt 421 is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so that the fastening bolt 421 can effectively exert the binding force.

상기 지지부재(300)는 고정수단(500)을 통하여 하부가 상기 바닥부재(10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지지부재(300)가 상기 바닥부재(100)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서, 제1고정플레이트(510)와, 제2고정플레이트(520) 및 고정볼트(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5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재(10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외곽을 따라 복수개의 제1관통홀(511)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30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through a fixing unit 500. The fixing unit 500 fixes the supporting member 300 to the bottom member 100 and includes a first fixing plate 510 and a second fixing plate 520 and a fixing bolt 530 . The first fixing plate 5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and ha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511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5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00)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며, 하면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510)의 상면에 대면 접촉하고 상기 제1관통홀(5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관통홀(521)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fixing plate 5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late 5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late 510, 511. The second through holes 52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s 511. [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520)는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철판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520)는 각각 상기 바닥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300)의 제조 시 매립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는 등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52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The first fixing plate 5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20 are preferably made of a steel plate so that sufficient rigidity can be maintained. The first fixing plate 5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20 may be embedded and fix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ottom member 100 and the supporting member 300, 5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20 can be fixedly installed, various methods are applicable.

상기 고정볼트(530)는 상기 제1관통홀(511)과 상기 제2관통홀(521)에 관통체결되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520)를 서로 고정 결합시킨다.The fixing bolt 530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5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21 and fixes the first fixing plate 5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20 to each other .

한편,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520) 사이에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압착패드(540)가 삽입되어지며, 외부충격 발생시 지지부재(300)의 충격이 상기 압착패드(540)에 흡수되어 바닥부재(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되어지는 효과가 있다.A pressing pad 540 made of a soft material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5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20, The impact applied to the bottom member 100 by the impact of the pressing pad 540 is reduced.

상기 무수축 몰탈부재(600)는 상기 바닥부재(100)와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수단(500)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안착홈(12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300)의 측면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5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non-shrinkage mortar member 600 is fixe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500 so as to cover the fixing means 500 when the bottom member 100,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coupled, And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insert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300 to protect the fixing unit 500. [

또한 상기 무수축 몰탈부재(600)는 사용 목적에 따라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가 아니라 현장에서 몰탈이 충진되는 무수축 몰탈충진으로도 대체되어 사용가능하다.Also, the non-shrinkage mortar member 600 may be replaced with a non-shrinkage mortar filled with mortar in the field instead of a precast previously prepa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은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연결 배치될 시 정렬 작업을 향상키실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재(100)와 상기 수직부재(200)의 측면에 서로 치합되어 조립되는 조립홈부와 조립돌출부를 각각 형성하여 정령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cast concrete assembling-type retaining wall blocks are assembled to the bottom member 1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200 so as to improve the aligning operation when a plurality of the precast concrete assembling-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spirit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made.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결합수단(400)인 U자형의 제1연결부재(411)와, 제2연결부재(412)와, 연결축(413)을 생략하고, 수직부재(200)와 지지부재(300)를 고정 체결할 수 있다.8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haped first connecting member 411,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12, the connecting shaft 413, And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can be fixedly fastened.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결합면(220) 양측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제1결합부(22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지지부재(300)의 제2결합면(321) 양측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제2결합부(323)가 형성되어진다.A pair of first engaging portions 22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engaging surface 220 of the vertical member 200 so as to be bent inward to form a pair of first engaging portions 222, A pair of second engaging portions 3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ngaging surface 321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21, which are bent inward.

상기 제1결합부(222)와 상기 제2결합부(32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가 결합되어지면, 상기 제1결합부(222)와 상기 제2결합부(323)는 내측방향으로 凸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When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222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323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222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323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inward.

한편,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가 결합되어지면, 상기 제1결합면(220)과 제2결합면(321) 사이에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결합표시부(700)가 더 구성되어진다.When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urfaces 220 and 3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700).

상기 결합표시부(700)는 소정의 두께로 구성된 몸체부(710)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부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돌기부(71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710)의 중앙부분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한쌍의 돌기부(711)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봉(720)이 구성되어진다.The joint display portion 700 includes a body portion 7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air of protrusions 711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body portion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A fixing rod 720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nd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pair of protrusions 711 is formed.

상기 고정봉(720)의 일측단부는 몸체부(71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는 구 형상의 표시부재(730)가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재(73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One end portion of the fixing rod 720 is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710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a spherical display member 730. Here, the display member 730 is preferably formed in a spherical shape, but it is not excluded that the display member 730 is formed in a different shape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 same object and function.

상기 결합표시부(700)의 몸체부(710)와 한쌍의 돌기부(711)는 상기 공통홀에 위치되어지며, 상기 표시부재(730)는 상기 공통홀의 외부에 위치되어지며, 상기 한쌍의 돌기부(711)에 의해 수직부재(200)와 지지부재(300)를 고정결합하게 되며, 상기 공통홀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면, 외부에서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는 양을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body portion 710 and the pair of protrusions 711 of the joint display portion 700 are positioned in the common hole and the display member 730 is positioned outside the common hole and the pair of protrusions 711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bolt or a bolt. When the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common hole, the amount of the concrete being poured from the outside can be easily visually confirmed.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결합면(220)과 상기 지지부재(300)의 제2결합면(321)이 서로 밀착되어지면, 상기 제1결합면(22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222)와, 상기 제2결합면(321)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323)는 내측방향으로 凸자 형상을 형성하며 서로 밀착되어진다.9A and 9B, whe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of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of the support member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22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323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engaging surface 321 form a convex shape in the inward direction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이때, 상기 결합표시부(700)는 제1결합면(220)과 제2결합면(321)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진다. At this time, the joint display unit 700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수직부재(200)와 지지부재(300)가 밀착되어지면, 상기 제1결합면(220)과 제2결합면(320) 사이에는 공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통홀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면, 상기 결합표시부(700)의 몸체부(710)는 상기 공통홀의 벽면방향으로 밀려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몸체부(71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부(711)는 상기 제1결합부(222)와 상기 제2결합부(323)를 끼워맞춤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결합표시부로 인해 수직부재(200)와 지지부재(300)가 결합 고정되어진다.When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 common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0, The body portion 710 of the joint display portion 700 is pushed toward the wall surface of the common hole and at the same time a pair of protrusions 711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body portion 71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joint display portion.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부(710)가 상기 공통홀의 벽면방향으로 밀려가게 되면서, 상기 몸체부(7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고정봉(720) 또한 외부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봉(72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표시부재(730)가 외부방향으로 함께 밀려나가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도 손쉽게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채워지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710 is pushed toward the wall surface of the common hole, so that the fixing rod 720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710 is also pushed outwardly, The display member 730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display unit 730 is pushed out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see the height at which the on-site concrete is filled and filled with the naked eye.

한편,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고정봉(720)과 상기 표시부재(730)는 현장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지면, 상기 고정봉(720)을 회전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봉(720)이 제거된 자리에는 방수재 또는 밀폐재를 추가로 타설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ite concrete is cured, the fixing rod 720 and the display member 730 protruded outward can be easily removed by rotating the fixing rod 720, and the fixing rod 720, A waterproofing material or a sealing material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removed pla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do so.

100 : 바닥부재 110 : 제1안착홈
120 : 제2안착홈 200 : 수직부재
210 : 후면돌출부 220 : 제1결합면
221 : 제1결합홈 300 : 지지부재
310 : 제1지지플레이트 320 : 제2지지플레이트
321 : 제2결합면 322 : 제2결합홈
400 : 결합수단 410 : 연결수단
411 : 제1연결부재 412 : 제2연결부재
413 : 연결축 414 : 제1결합홀
420 : 결합부재 421 : 체결볼트
500 : 고정수단 510 : 제1고정플레이트
511 : 제1관통홀 520 : 제2고정플레이트
521 : 제2관통홀 530 : 고정볼트
600 : 무수축 몰탈부재 700 : 결합표시부
100: bottom member 110: first seat groove
120: second seating groove 200: vertical member
210: rear protrusion 220: first coupling surface
221: first engagement groove 300: support member
310: first support plate 320: second support plate
321: second engagement surface 322: second engagement groove
400: coupling means 410: coupling means
411: first connecting member 412: second connecting member
413: connection shaft 414: first coupling hole
420: coupling member 421: fastening bolt
500: fixing means 510: first fixing plate
511: first through hole 520: second fixing plate
521: second through hole 530: fixing bolt
600: non-shrinkage mortar member 700: coupling indicator

Claims (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져 배후토사를 지지하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반 또는 기초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부재(100)와, 상기 바닥부재(100)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수직부재(200)와, 결합수단(400)을 통해 상기 수직부재(200)의 후방에 고정 결합되며, 고정수단(500)을 통해 하부가 상기 바닥부재(100)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재(300)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 결합면(220) 양측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부(222)와, 상기 지지부재(300)의 제2 결합면(321) 양측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2 결합부(32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300) 사이에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표시부(700)가 더 포함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결합표시부(700)는 소정의 두께로 구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711)를 포함하는 몸체부(710)와, 상기 몸체부(710)의 중앙부분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한 쌍의 돌기부(711)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봉(720)과, 상기 고정봉(720)의 일측단부는 상기 몸체부(71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콘크리트 타설시 채워지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구 형상의 표시부재(730)가 더 포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
A bottom member 100 formed of a precast concrete panel and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support rear soil so as to be horizontally installed on a ground or a foundation, a vertical member 100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A support member 300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member 200 through a coupling means 400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through a fixing means 500, A pre-cast concret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surface 220 of the vertical member 200 are formed by a pair of first coupling portions 222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and formed in a L- 32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pair of second engaging portions 323, which are bent inward and formed in a L-
The plurality of coupling display units 700 ar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upporting member 30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The joint display unit 700 includes a body portion 7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cluding a pair of protrusions 711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opposite ends thereof and a center portion 710 of the body portion 710, A fixing rod 720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pair of protrusions 711 so as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pair of protrusions 711 and one end of the fixing rod 720 is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710 And the other end portion further includes a spherical display member 730 for confirming a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fill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면(22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222)와 상기 제2 결합면(321)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32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00)의 제1 결합면(220)과 상기 지지부재(300)의 제2 결합면(321)이 서로 밀착되어질 시 상기 제1 결합부(222)와 상기 제2 결합부(323)는 내측방향으로 凸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2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first engaging surface 22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23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engaging surface 32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0 of the vertical member 200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321 of the support member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222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323 Is formed in a convex shape in the inward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면(220)과 제2 결합면(320) 사이에는 공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통홀에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공통홀에 구비된 몸체부(710)는 상기 공통홀의 벽면방향으로 밀려가게 되며, 상기 몸체부(710) 양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돌기부(711)는 凸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결합부(222)와 제2 결합부(323)를 끼워맞춤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7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상기 고정봉(720)과 상기 고정봉(720) 타측단부에 구비된 표시부재(730)는 동시에 외부방향으로 함께 밀려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
3. The method of claim 2,
A common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surface 220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320.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common hole, the body portion 710 provided in the common hole is pushed toward the wall surface of the common hole. A pair of protrusions 71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710 are fixed through a first engaging portion 222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323 formed in a convex shape, The fixing rod 720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710 and the display member 730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xing rod 720 are simultaneously pushed out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Retaining wall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0)은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곽을 따라 복수개의 제1 관통홀(511)이 형성된 제1 고정플레이트(510)와, 상기 지지부재(300) 하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510)의 상면에 대면 접촉하고 상기 제1 관통홀(5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 관통홀(521)이 형성된 제2 고정플레이트(520)가 구비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바닥부재(100) 상면에 형성된 제2 안착홈(120)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510)와 제2 고정플레이트(520)가 안착되어지도록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안착홈(120)에 안착 조립되어진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510)와 제2 고정플레이트(520)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볼트(530)에 의해 체결되어지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510)와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52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300)에서 발생된 충격이 상기 바닥부재(100)에 가해지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해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소정의 두께만큼 형성되어진 압착패드(540)가 더 포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옹벽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ans (500)
A first fixing plate 51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511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second fixing plate 510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And a second fixing plate 520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52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s 511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seating groove 1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510 and 520, Is fastened by a fixing bolt (530) for fixing the first fixing plate (5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20) fixedly assembled to the mounting groove (120)
The first fixing plate 5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20 are made of a soft material so as to reduce the impact of the support member 300 on the bottom member 100, And further comprises a compression pad (540)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 Desc / Clms Page number 25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41681A 2017-03-06 2017-03-31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KR1018470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8511 2017-03-06
KR1020170028511 2017-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036B1 true KR101847036B1 (en) 2018-05-28

Family

ID=6244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681A KR101847036B1 (en) 2017-03-06 2017-03-31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0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34B1 (en) 2022-03-15 2023-03-17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Assembling type retaing wall with improved worka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58B1 (en) * 2007-04-10 2008-01-3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Combined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58B1 (en) * 2007-04-10 2008-01-3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Combined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34B1 (en) 2022-03-15 2023-03-17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Assembling type retaing wall with improved work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6B1 (en) Precast concrete block for cantileve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38918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frame by channel
KR101200927B1 (en) C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body and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KR100862977B1 (en) Precast concrete f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20100008491A (en) Temporary structure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KR101183691B1 (en)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847036B1 (en) Precast concrete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KR102386348B1 (en) Girder installed strengthen and space cap device
KR101193312B1 (en) Three-segment assembly retaining wall
KR200420394Y1 (en) Precast concrete block for cantilever retaining wall
JP3275738B2 (en) How to assemble underground wall steel reinforced cage
KR20080103260A (en)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separate concrete pours and strut system method utilizing the same
KR20080059951A (en) Underground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connecting member strengthening shearing force therefor
KR100919921B1 (en) Retaining Wall using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058982B1 (en) Middle beam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258949Y1 (en) Trusstype support structures for building landslide protection wall
JP3963326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ridge pi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1262586A (en) Foundation structure of dwelling house
KR100823348B1 (en) Installa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JP2964127B2 (en) How to build a basement
CN220908470U (en) Prefabricated and cast-in-situ laminated side wall structure of subway station
CN216339660U (en) Sheet pile-counterfort assembled retaining wall
KR102386349B1 (en) Girder installed precast panel
CN220847688U (en) Assembled steel retaining wall
KR20030013138A (en) Filling crushed stone type retaining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