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496B1 -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 Google Patents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496B1
KR101846496B1 KR1020170134781A KR20170134781A KR101846496B1 KR 101846496 B1 KR101846496 B1 KR 101846496B1 KR 1020170134781 A KR1020170134781 A KR 1020170134781A KR 20170134781 A KR20170134781 A KR 20170134781A KR 101846496 B1 KR101846496 B1 KR 10184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square
rectangular
weigh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길상
김유경
Original Assignee
(주)굿21하우징
권길상
김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21하우징, 권길상, 김유경 filed Critical (주)굿21하우징
Priority to KR102017013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의 각 열의 사각패널들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의 홈부에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의 돌출부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는 헤드 부위가 각 사각패널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산 부위가 각 사각패널의 홈부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를 갖는 연결클립을 관통하여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되고, 사각패널의 상면에 규조토 도포재가 도포됨으로써 나사 등 금속부재의 부식에 따른 규조토 도포재의 오염에 의해 규조토 도포재의 친환경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헤드를 중심으로 그 사각패널 상면으로부터 규조토 도포재가 들떠서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Eco-friendly interior finishing assembly using diatomite}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을 마감하기 위한 실내마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는 전기 배선, 덕트, 케이블 트레이, 인터넷 연결선 등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됨에 따라서 심미성이 저하되고,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가속화되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콘크리트의 중성화로 인해 콘크리트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어 실내공간의 내면으로부터 각종 분진과 다양한 구조물이 낙하되어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물의 실내공간에는 전기 배선이나 각종 배관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심미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마감패널을 설치한다.
대부분 실내공간의 내면에는 복수 개의 패널을 배치하고 복수 개의 패널과 실내공간의 내면을 나사 결합하여 실내공간의 내면을 마감 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복수 개의 패널을 실내공간의 내면에 나사 결합하면 외부로 노출된 나사가 부식되어 실내공간의 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나사 부식으로 인해 잔해물이 발생되어 낙하하거나 패널과 실내공간 내면 사이의 결합이 약해져 그 내면으로부터 패널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8693호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은 실내에 존재하는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규조토 마감재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규조토 마감재를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실내공간의 마감패널에 도포하게 되면 실내마감패널 상의 나사 등 금속부재의 부식으로 인해 유해물질 흡착 등과 같은 친환경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사 등 금속부재가 설치된 부위로부터 규조토 마감재가 들떠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내마감패널 상의 나사 등 금속부재의 부식으로 친환경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헤드를 중심으로 그 사각패널 상면으로부터 규조토 도포재가 들떠서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 유해물질 흡착 등 친환경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는 각각이 네 개의 측면 중 제 1 측면에 횡단면 "ㄷ"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 2 측면에 상기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이 일정 폭만큼 연장되는 형태로 함몰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평판으로서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 규조토를 포함하며 상기 각 사각패널의 상면에 도포되는 규조토 도포재; 각각이 상기 각 사각패널의 하측 공간에 은닉되도록 헤드 부위가 상기 각 사각패널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나사; 및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나사 중 적어도 하나의 나사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각 사각패널의 홈부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를 갖는 복수 개의 연결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각 열의 사각패널들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의 홈부에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의 돌출부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는 헤드 부위가 상기 각 사각패널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산 부위가 상기 연결클립을 관통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각 연결클립을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규조토 도포재는 상기 규조토 외에 탄산칼슘, 점증제, 섬유, 바인더, 유동화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사각패널의 상면 전체는 다수의 보풀이 일어나도록 브러싱 처리가 되어 있고, 상기 규조토 도포재는 상기 각 사각패널의 상면 전체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사각패널의 상면의 다수의 보풀과 엉겨 붙어서 경화되고, 상기 규조토 도포재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14 ~ 34 중량부, 탄산칼슘 18 ~ 45 중량부, 점증제 1.6 ~ 4 중량부, 섬유 0.1 ~ 3 중량부, 바인더 0.3 ~ 0.7 중량부, 유동화제 0.2 ~ 0.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루로스이고, 상기 바인더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을 결합한 공중합체 재분산수지일 수 있다.
상기 각 연결클립은 상기 각 사각패널의 홈부의 폭보다 얇은 두께의 강판 소재로 제작되어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되는 구조로 상기 각 사각패널의 홈부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의 홈부의 아래턱에 어느 하나의 연결클립이 물린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의 돌출부가 끼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클립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나사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나사공의 주변 부위가 절개되어 횡단면 "ㄱ"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날개 사이의 하나의 "ㄷ" 형태의 횡단면 부위는 상기 각 사각패널의 홈부의 아래턱에 물릴 수 있는 하나의 물림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사각패널의 상면의 함몰 영역은 제 1 층과 제 2 층의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 영역의 제 1 층의 면은 상기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보다 더 함몰되어 있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의 홈부의 아래턱에 물린 어느 하나의 연결클립의 바닥판은 상기 홈부의 내측 상면과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의 상면의 함몰 영역의 제 1 층의 면 사이에 압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의 헤드 말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의 상면의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에 압착될 수 있다.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의 각 열의 사각패널들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의 홈부에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의 돌출부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는 헤드 부위가 각 사각패널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산 부위가 각 사각패널의 홈부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를 갖는 연결클립을 관통하여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되고, 사각패널의 상면에 규조토 도포재가 도포됨으로써 나사 등 금속부재의 부식에 따른 규조토 도포재의 오염에 의해 규조토 도포재의 친환경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헤드를 중심으로 그 사각패널 상면으로부터 규조토 도포재가 들떠서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각 사각패널의 상면 전체는 다수의 보풀이 일어나도록 브러싱 처리가 되어 있고, 규조토 도포재는 상기 각 사각패널의 상면 전체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사각패널의 상면의 다수의 보풀과 엉겨 붙어서 경화되고, 규조토 도포재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14 ~ 34 중량부, 탄산칼슘 18 ~ 45 중량부, 점증제 1.6 ~ 4 중량부, 섬유 0.1 ~ 3 중량부, 바인더 0.3 ~ 0.7 중량부, 유동화제 0.2 ~ 0.6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규조토 도포재의 바인더 함량을 대폭 감소시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의 유해물질 흡착 등 친환경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가 반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연결클립(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조립 평면도이다.
도 5-6은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조립 저면도이다.
도 7-8은 도 6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절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과 부착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규조토를 이용하여 건물 실내의 유해물질 흡착 등 친환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마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를 간략하게 "실내마감조립체"로 호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와 그것의 각 부품이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실내마감조립체와 그것의 각 부품의 방향과 내외부를 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가 반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연결클립(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조립 평면도이고, 도 5-6은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조립 저면도이다. 도 7-8은 도 6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절단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1), 규조토 도포재(2), 복수 개의 나사(3), 및 복수 개의 연결클립(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은 건물의 실내공간의 천장면 또는 측면의 콘크리트 벽면일 수도 있고, 그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된 금속부재일 수도 있다.
도 1,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사각패널(1)은 그 각각이 사각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이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된다. 각 사각패널(10)은 규조토 도포재(2)의 친환경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그것의 부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등 목질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사각패널은 그 제작단가의 절감을 위해 일반적으로 석면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계열의 가벼운 불연성 소재로 제작되었으나, 석면은 규조토 도포재(2)의 친환경 기능을 훼손시킬 수 있다.
각 열의 사각패널(1)들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연결된다. 복수 개의 사각패널(1)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은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에 다른 열의 사각패널(1)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연결된다. 복수 개의 사각패널(1)은 각 열의 사각패널(1)들이 연결되는 구조만으로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복수 개의 사각패널(1)간의 결합력은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사각패널(1)간의 결합력 강화에 의해 각 연결클립(4)이 작게 제작되더라도 복수 개의 사각패널(1)이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각 사각패널(1)은 그 네 개의 측면 중 전측면에 횡단면 "ㄷ" 형상의 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전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측면에 홈부(11)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의 사각패널(1)들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전측면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후측면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각 사각패널(1)의 좌측면에 횡단면 "ㄷ" 형상의 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우측면에 홈부(11)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은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의 우측면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각패널(1)의 좌측면에는 사각패널(1)의 두께보다 작은 일정 폭을 갖는 횡단면 "ㄷ" 형상의 홈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각패널(1)의 두께보다 작은 일정 폭을 갖는 횡단면 "ㄷ" 형상의 홈부(11)가 형성됨에 따라 "ㄷ" 형상의 홈부(11)와 사각패널(1)의 하면 사이에는 "ㄷ" 형상의 홈부(11)의 깊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아래턱이 형성되고, "ㄷ" 형상의 홈부(11)와 사각패널(1)의 상면 사이에는 "ㄷ" 형상의 홈부(11)의 깊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위턱이 형성된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각패널(1)의 하면에는 나사(3)가 각 사각패널(1)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으면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간의 결합이 대략 각 사각패널(1)의 두께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출부(12)의 상면이 일정 폭만큼 연장되는 형태로 함몰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규조토 도포재(2)는 규조토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가 친환경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도포된다. 복수 개의 나사(3)는 그 각각이 각 사각패널(1)의 하측 공간에 은닉되도록 그 헤드 부위가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된다.
복수 개의 연결클립(4)은 그 각각이 복수 개의 나사(3) 중 적어도 하나의 나사에 의해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며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를 갖는다. 각 연결클립(4)의 고정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3)는 헤드 부위가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산 부위가 연결클립(4)을 관통하여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됨으로써 각 연결클립(4)을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시킨다. 현재, 건물 실내공간의 천장면에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종래의 사각패널은 그것을 관통하여 천장면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천장면에 부착됨에 따라 그 사각패널 상면에 나사 헤드가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각패널에 규조토 도포재(2)를 도포할 경우, 금속 재질의 나사 헤드에 규조토 도포재(2)가 잘 부착되지 않음에 따라 나사 헤드를 중심으로 그 사각패널 상면으로부터 규조토 도포재(2)가 들떠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규조토 도포재(2)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규조토 도포재(2) 내의 화학물질에 해당하는 접착 성분을 늘리면 규조토 도포재(2)의 친환경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건물 실내공간의 천장면에 시공된 사각패널 마감이 그 시공 시로부터 상당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그 사각패널 상면에 노출된 나사 헤드가 실내의 습기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건물 실내공간의 천장면에 시공된 사각패널 상의 나사 헤드가 실내의 습기에 의해 부식되면, 그 사각패널 상면에 노출된 나사 헤드의 부식에 의해 부식된 나사 헤드를 중심으로 그 사각패널 상면으로부터 규조토 도포재(2)가 일어나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나사 헤드의 부식에 따른 규조토 도포재(2)의 오염에 의해 규조토 도포재(2)의 친환경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13300호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등 종래기술은 건물 실내공간의 마감패널 상에 나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시하고 있으나, 마감패널과 마감패널 사이에 금속부재가 존재함에 따라 규조토 도포재(2)가 잘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금속부재의 부식이 여전히 문제될 수 있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함에 따라 건물 실내공간의 마감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연결클립(4)의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의 연결클립(4)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클립(4)은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려져서 각 사각패널(1)이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에 고강도의 경량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만약, 연결클립(4)이 강도가 약하고 무거운 구조로 제작될 경우 사각패널(1)과 연결클립(4)의 무게에 의해 연결클립(4)의 물림 부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연결클립(4)과 사각패널(1)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연결클립(4)은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폭보다 얇은 두께의 강판 소재로 제작되어 그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되는 구조로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리는 하나의 물림 부위(44)를 형성한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어느 하나의 연결클립(4)이 물린 상태에서 그 사각패널(1)의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됨으로써 고강도의 경량 구조로 두 개의 사각패널(1)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비해 매우 간단한 고강도의 경량 구조로 천장 마감에 사용되는 나사의 개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매우 얇은 두께의 구조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마감으로 인한 실내공간의 감소가 거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마감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각 연결클립(4)은 일측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42)을 갖는 사각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나사공(42)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3)에 의해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는 바닥판(41)과 바닥판(41)의 나사공(42)의 주변 부위가 절개되어 횡단면 "ㄱ" 형태로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날개(43)로 구성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41)과 날개(43) 사이의 하나의 "ㄷ" 형태의 횡단면 부위는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릴 수 있는 하나의 물림 부위(44)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클립(4)의 물림 부위(44)가 하나의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린 상태로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두 개의 연결클립(4)이 부착되는 구조로 하나의 사각패널(1)이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부착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바닥판(41)과 하나의 날개(43)로 구성되는 연결클립(4)은 사각판형 강판의 일부를 절개 절곡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각 연결클립(4)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먼저, 강판의 좌측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42)을 형성한다. 연결클립(4)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대한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평판에는 복수 개의 나사공(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강판의 나사공(42)의 우측 부분을 "??" 형태로 절개한다. 이어서, 절개 부위를 수직으로 꺾어 올려 "ㄱ" 형태로 절곡시킴으로써 횡단면 "ㄱ" 형태의 날개(43)를 형성한다.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 특히 천장면에 시공되는 소재들은 무거울 경우 시공이 어렵고, 시공된 후에 실내공간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사각형 강판을 절개 절곡하여 연결클립(4)의 바닥판(41)과 날개(43)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연결클립(4)의 바닥판(41)에 날개(43)를 추가로 결합 내지 부착시킨 경우에 비해 더욱 가볍게 연결클립(4)은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대한 시공이 용이해지면서도 실내공간의 내면으로부터 연결클립(4)이 분리되는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로 제작된 연결클립(4)을 사용하여 실내마감이 가능함에 따라 실내마감으로 인한 실내공간의 감소가 거의 없고, 마감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에서의 조립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내마감조립체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은 제 1 층과 제 2 층의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 함몰 영역의 제 1 층의 면은 그 우측면의 돌출부(11)의 하면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층의 면보다 더 함몰되어 있다. 즉, 그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은 제 1 층의 면보다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층의 면은 각 나사(3)의 헤드 길이만큼의 깊이로 함몰됨이 바람직하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린 어느 하나의 연결클립(4)의 바닥판(41)은 그 홈부(11)의 내측 하면과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의 제 1 층의 면 사이에 압입된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린 연결클립(4)의 바닥판(41)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42)에 삽입되어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3)의 헤드 말단은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상면의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에 압착된다. 이와 같이,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이 각 나사(3)의 헤드 길이만큼의 깊이로 함몰되어 있고, 나사(3)의 헤드 상면이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상면의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에 압착되게 됨에 따라 각 나사(3)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나사(3)의 풀림이 방지됨에 따라 지진 등에 기인한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으로부터의 실내마감조립체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4,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1)은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와 그 열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가 일직선을 이루는 구조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 개의 사각패널(1)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은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의 우측면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은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 중 어느 하나의 행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에 그것과 동일한 행에 속하는 다른 열의 사각패널(1)의 우측면 돌출부(12)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1)은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와 그 열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가 어긋나는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어느 하나의 열에 속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간의 경계는 다른 하나의 열에 속하는 하나의 사각패널(1)의 상하 중간에 위치하도록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와 그 열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가 어긋나는 구조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 개의 사각패널(1)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은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열에 속하는 사각패널(1)들의 우측면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은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 중 어느 하나의 행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에 그것과 맞닿아 있는 두 개의 행에 속하는 다른 열의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우측면 돌출부(12)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 개의 사각패널(1)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열의 사각패널(1)들은 어느 하나의 열에 속하는 하나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의 아래턱에 어느 하나의 연결클립(4)이 물린 상태에서 그 하나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열에 속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우측면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된다. 또한, 그 다른 하나의 열에 속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의 아래턱에 다른 하나의 연결클립(4)이 물린 상태에서 그 두 개의 사각패널(1)의 좌측면 홈부(11)에 그 다른 하나의 열에 이웃하는 또 다른 열에 속하는 하나의 사각패널(1)의 우측면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된다.
각 나사(3)가 접시 형태의 헤드를 갖는 나사인 경우, 각 나사(3)가 연결클립(4)의 나사공(42)에 삽입될 때에 각 나사(3)의 헤드의 상면은 연결클립(4)의 바닥판(4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계단 형태가 아닌, 그 우측면의 돌출부(11)의 하면이 연장되는 형태로 함몰될 수 있고, 나사(3)의 헤드 상면이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하면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각 나사(3)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1)이 어느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와 그 열에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열의 사각패널(1)들간의 경계가 어긋나는 구조로 배치되고, 연결클립(4)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세 개의 사각패널(1)이 연결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복수 개의 사각패널(1)간의 결합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각 사각패널은 그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사각패널의 길이의 2배, 4배 등 짝수배만큼 더 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자리의 각 사각패널의 길이가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사각패널에 비해 더 길게 됨에 따라 복수 개의 사각패널(1)간의 결합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는 친환경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건물 실내공간에 노출되는 표면, 즉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규조토 도포재(2)가 도포된다. 규조토 도포재(2)는 규조토, 탄산칼슘, 점증제, 섬유, 바인더, 유동화제, 및 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1)의 각 열의 사각패널들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의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의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3)는 헤드 부위가 각 사각패널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산 부위가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를 갖는 연결클립(4)을 관통하여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되고, 사각패널(1)의 상면에 규조토 도포재(2)가 도포됨으로써 나사 등 금속부재의 부식에 따른 규조토 도포재의 오염에 의해 규조토 도포재(2)의 친환경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헤드를 중심으로 그 사각패널 상면으로부터 규조토 도포재가 들떠서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는 다수의 보풀이 일어나도록 브러싱 처리가 되어 있다. 도 1, 4에는 이와 같이 브러싱 처리가 된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에 규조토 도포재(2)가 도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규조토 도포재(2)는 각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과정에서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다수의 보풀과 엉겨 붙어서 경화된다. 이와 같이, 규조토 도포재(2)가 각 사각패널(1)의 상면의 다수의 보풀과 엉겨 붙어서 경화되기 때문에 규조토 도포재(2)의 여러 성분을 각 사각패널(1)의 표면에 접착하는 접착제 역할을 하는 바인더가 소량만 첨가되더라도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규조토 도포재(2)가 단단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브러싱 처리가 된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도포되는 규조토 도포재(2)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말 형태의 규조토 14 ~ 34 중량부, 탄산칼슘 18 ~ 45 중량부, 점증제 1.6 ~ 4 중량부, 섬유 0.1 ~ 3 중량부, 바인더 0.3 ~ 0.7 중량부, 및 유동화제 0.2 ~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도포되는 규조토 도포재(2)의 바인더 함량은 각 사각패널(1)의 상면의 브러싱 처리로 인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8693호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의 바인더의 함량보다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바인더와 같은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독성의 화학 물질이다. 하기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비교적 독성이 낮은 화학 물질, 즉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을 결합한 공중합체 재분산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바인더의 함량이 약간만 증가하더라도 규조토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유해물질 흡착 등 특유의 친환경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본 실시예는 규조토 도포재(2)의 바인더 함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친환경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도포되는 규조토 도포재(2)의 바인더 함량을 대폭 감소시킨 상태에서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대한 규조토 도포재(2)의 부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 각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보풀이 일어서 있는 부위가 상면 전체 면적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각 보풀의 직경이 0.001 ~ 0.1 밀리미터가 되도록 각 사각패널(1)의 상면을 가공함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보풀이 일어서 있는 부위가 상면 전체 면적의 50% 미만이면 보풀 부족으로 인해 규조토 도포재(2)가 보풀에 충분히 엉겨 붙지 못하여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대한 규조토 도포재(2)의 부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각 보풀의 직경이 0.001 밀리미터 미만이면 각 보풀이 너무 가늘어 규조토 도포재(2)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끊어질 수 있고, 0.1 밀리미터를 초과하면 각 보풀이 너무 두꺼워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도포되는 규조토 도포재(2)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규조토의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사각패널(1)의 상면 가공은 롤러 형태의 브러시를 이용하여 각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를 긁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규조토는 단세포 조류인 규조의 규산질 유해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을 말하며, 규산(SiO2)을 주성분으로 한다. 규조토는 그 특유의 다공성으로 인하여 자체 중량의 50%가 넘는 수분을 흡수할 정도로 흡수성이 강하다. 또한, 규조토는 낮은 열전도율, 높은 용융점, 낮은 열팽창율, 고온에서의 낮은 수축율, 열충격 저항성, 온도 증가에 따른 강도 증가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규조토는 흡착, 흡습, 소취, 단열, 내화 등의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규조토를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부착된 복수의 사각패널(1)의 도포재로 사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흡착 기능으로 인해 실내의 유해 물질이 감소되고, 흡습 기능으로 인해 실내 습도가 감소되고, 소취 기능으로 인해 실내 악취가 감소되고, 단열 기능으로 인해 건물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고, 내화 기능으로 인해 건물 화재가 방지될 수 잇다.
규조토 도포재(2)에서의 규조토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4 ~ 34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규조토의 함량이 11 중량부 미만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규조토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흡착, 흡습, 소취, 단열, 내화 등 여러 가지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고, 34 중량부를 초과하면 각 사각패널(1)에 대한 규조토 도포재(2)의 부착력 감소로 인해 각 사각패널(1)로부터 규조토 도포재(2)가 일어나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탄산칼슘은 칼슘의 탄산염으로 대리석, 방해석, 선석, 석회석, 빙주석 등으로부터 산출된다. 탄산칼슘은 백색 고체로 값이 저렴하고 독성이 없기 때문에, 주로 플라스틱, 도료, 고무 등의 분야에서 필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탄산칼슘은 도막강도의 개선, 표면 광택의 향상, 도료에 구조점성의 부여 등의 장점을 가지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8693호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에서 사용된 석회석은 상온에서 겔(gel) 상태로 유지되기 어려워 굳어지는 특성을 갖고 있으나, 탄산칼슘은 상온에서 겔 상태로 오랜 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사각패널(1)의 도포에 유리하다.
규조토 도포재(2)에서의 탄산칼슘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 ~ 4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의 함량이 18 중량부 미만이면 규조토 도포재(2)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작은 충격에도 쉽게 쪼개지거나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균열 부위가 넓어지게 되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규조토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흡착, 소취, 단열, 내화 등 여러 가지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게 된다.
점증제는 식물에서 추출된 분말 형태의 천연 셀루로스를 주원료로 하는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재료로 부착 강도를 높게 해 주며, 도료의 제조, 저장, 도막 형성시 도료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점증제는 도료 안에서 다른 재료와 그물형태 구조를 형성하여 도장시의 높은 전단력에 의해 쉽게 파괴되어 점도가 낮게 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그물형태는 회복되어 점도는 다시 상승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증제로는 규조토 성분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증점 효율이 우수하여 소량 사용시에도 높은 점도를 얻을 수 있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루로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규조토 도포재(2)에서의 점증제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 ~ 4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점증제의 함량이 1.6 중량부 미만이면 규조토 도포재(2)의 성분 상호간의 결합력이 저하됨에 따라 규조토 성분이 손이나 옷에 묻어나는 현상이 발생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규조토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흡착, 소취, 단열, 내화 등 여러 가지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섬유는 규조토 도포재(2)의 소성 수축 균열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내충격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섬유로는 도포재 도포 후의 건조 과정에서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면서 규조토 성분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천연의 셀룰로오스 화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규조토 도포재(2)에서의 섬유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섬유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규조토 도포재(2)의 도포 후의 건조 과정에서 규조토 도포재(2)에 균열이 발생되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규조토 성분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흡착, 소취, 단열, 내화 등 여러 가지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바인더는 규조토 도포재(2)의 여러 성분을 각 사각패널(1)의 표면에 접착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인더로는 점증제로는 규조토 성분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량 사용시에도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있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을 결합한 공중합체 재분산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규조토 도포재(2)에서의 바인더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0.7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이면 규조토 도포재(2)의 부착력 감소로 인해 각 사각패널(1)로부터 규조토 도포재(2)가 일어나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0.7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규조토 성분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의 흡착, 소취, 단열, 내화 등 여러 가지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유동화제는 규조토 도포재(2)의 유동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화제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도장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으나, 스프레이 도장 시에 필요한 만큼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화제로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polycarboxylate)를 사용할 수 있다. 규조토 도포재(2)에서의 유동화제의 양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 0.6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유동화제의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이면 규조토 도포재(2)의 분사가 어렵고, 0.6 중량부를 초과하면 각 사각패널(1)의 표면으로부터 규조토 도포재(2)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마감조립체는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롤러 형태의 브러시를 이용하여 다수의 보풀이 일어서 있는 부위가 상면 전체 면적의 약 50%을 점유하고, 각 보풀의 직경이 약 0.01 밀리미터가 되도록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분말 형태의 규조토 30 중량부, 탄산칼슘 31 중량부, 점증제 3 중량부, 섬유 1.8 중량부, 바인더 0.6 중량부, 유동화제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규조토 도포재를 브러싱 처리된 사각패널의 상면 전체에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실내에서 하루 정도 건조시켰다. 여기에서, 점증제, 섬유, 바인더, 유동화제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루로스, 셀룰로오스 화이버,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을 결합한 공중합체 재분산수지, 폴리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34 중량부, 바인더 0.3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14 중량부, 바인더 0.7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37 중량부, 바인더 0.2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43 중량부, 바인더 0.1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53 중량부, 바인더 0.1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13 중량부, 바인더 1.3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10 중량부, 바인더 2.3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가공하고, 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4 중량부, 바인더 4.6 중량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7>
위에 열거된 실시예와 비교예와는 달리 MDF 소재의 사각패널의 상면을 브러싱 처리하지 않았다. 모든 성분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중량부로 혼합하여 규조토 도포재를 제조하였다.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1-3과 비교예 1-7 각각에 대한 유해물질 흡착 능력과 부착력을 알아보기 위해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 측정 시험과 부착력 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시험의 구체적인 방법과 결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예 1>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3, 비교예 1-6 각각의 유해물질 흡착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3, 비교예 1-7 각각에 대해 데시케이터 법을 이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시험에 대해 살펴보면, 실시예 1의 일부를 잘라낸 시편을 실온의 데시케이터 내에 넣은 후에 방치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의 시편이 데시케이터 내에서 방치된 후에 경과된 시간 별로 데시케이터 내의 증류수에 흡수된 포름알데히드의 양을 아세틸아세톤 방법을 이용하여 적외선 분광기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경과시간은 각각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및 72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2-3, 비교예 1-7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그 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종류 경과시간 (방출량 단위 : ppm)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72시간
실시예 1 0.06 0.05 0.05 0.03 0.02 0.01
실시예 2 0.06 0.05 0.04 0.03 0.02 0.01
실시예 3 0.07 0.07 0.06 0.05 0.03 0.02
비교예 1 0.05 0.04 0.04 0.03 0.02 0.01
비교예 2 0.05 0.04 0.03 0.02 0.01 0.01
비교예 3 0.04 0.03 0.02 0.02 0.01 0.01
비교예 4 0.12 0.11 0.10 0.09 0.08 0.07
비교예 5 0.13 0.12 0.11 0.10 0.09 0.08
비교예 6 0.15 0.14 0.13 0.13 0.12 0.11
비교예 7 0.06 0.05 0.05 0.04 0.03 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과 비교예 1-3, 7을 비교해 보면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사각패널에 도포된 규조토 도포재의 규조토 함량이 3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규조토 함량이 늘어나더라도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감소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과 비교예 4-6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1-3에 비해 비교예 4-6에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사각패널에 도포된 규조토 도포재의 규조토 함량이 14 중량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3, 비교예 1-6 각각의 규조토 도포재의 부착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3, 비교예 1-7 각각의 규조토 도포재에 대해 JIS A 6909 : 2014에 따라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종류 부착력 (단위 N/mm2)
실시예 1 0.62
실시예 2 0.6
실시예 3 0.63
비교예 1 0.35
비교예 2 0.34
비교예 3 0.28
비교예 4 0.65
비교예 5 0.67
비교예 6 0.7
비교예 7 0.3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 1-3에 비해 비교예 1-3에서 규조토 도포재의 부착력이 크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사각패널에 도포된 규조토 도포재의 바인더 함량이 0.3 중량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규조토 도포재의 부착력이 크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과 비교예 4-6을 비교해 보면 규조토 도포재의 부착력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사각패널에 도포된 규조토 도포재의 바인더 함량이 0.7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인더 함량이 늘어나더라도 부착력 증가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7을 비교해 보면 비교예 7이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의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에 비해 규조토 도포재의 부착력이 크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각 사각패널의 브러싱 처리 가공이 독성물질인 바인더의 함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임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과 부착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a)에는 실시예 1-3, 비교예 1-7 각각에 대한 시험예 1에서의 72 시간 경과 후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의 크기 순서대로 실시예 1-3, 비교예 1-7을 나열하고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표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b)에는 실시예 1-3, 비교예 1-7 각각에 대한 시험예 2에서의 부착력의 크기 순서대로 실시예 1-3, 비교예 1-7을 나열하고 부착력을 표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로부터 각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를 다수의 보풀이 일어나도록 브러싱 처리를 한 후에,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14 ~ 34 중량부, 탄산칼슘 18 ~ 45 중량부, 점증제 1.6 ~ 4 중량부, 섬유 0.1 ~ 3 중량부, 바인더 0.3 ~ 0.7 중량부, 유동화제 0.2 ~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규조토 도포재(2)를 도포함으로써 규조토 도포재(2)의 부착력이 양호한 조건에서 규조토 도포재(2)의 바인더 함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의 도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유해물질 흡착 등 친환경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사각패널
11 : 홈부
12 : 돌출부
2 : 규조토 도포재
3 : 나사
4 : 연결클립
41 : 바닥판
42 : 나사공
43 : 날개
44 : 물림 부위

Claims (7)

  1. 각각이 네 개의 측면 중 제 1 측면에 횡단면 "ㄷ" 형상의 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 2 측면에 상기 홈부(11)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12)의 상면이 일정 폭만큼 연장되는 형태로 함몰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평판으로서 건물의 실내공간의 내면에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사각패널(1);
    규조토, 탄산칼슘, 점증제, 섬유, 바인더, 유동화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각 사각패널(1)의 상면에 도포되는 규조토 도포재(2);
    각각이 상기 각 사각패널(1)의 하측 공간에 은닉되도록 헤드 부위가 상기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나사(3); 및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나사(3) 중 적어도 하나의 나사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44)를 갖는 복수 개의 연결클립(4)을 포함하고,
    상기 각 열의 사각패널(1)들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홈부(11)에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되는 구조로 차례대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3)는 헤드 부위가 상기 각 사각패널(1)의 하면의 함몰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산 부위가 상기 연결클립(4)을 관통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각 연결클립(4)을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점증제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루로스이고, 상기 바인더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을 결합한 공중합체 재분산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는 다수의 보풀이 일어나도록 브러싱 처리가 되어 있고,
    상기 규조토 도포재(2)는 상기 각 사각패널(1)의 상면 전체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사각패널(1)의 상면의 다수의 보풀과 엉겨 붙어서 경화되고,
    상기 규조토 도포재(2)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14 ~ 34 중량부, 탄산칼슘 18 ~ 45 중량부, 점증제 1.6 ~ 4 중량부, 섬유 0.1 ~ 3 중량부, 바인더 0.3 ~ 0.7 중량부, 유동화제 0.2 ~ 0.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클립(4)은 상기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폭보다 얇은 두께의 강판 소재로 제작되어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되는 구조로 상기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리는 물림 부위(44)를 형성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어느 하나의 연결클립(4)이 물린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돌출부(12)가 끼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클립(4)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42)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나사(3)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의 내면에 고정되는 바닥판(41); 및
    상기 바닥판(41)의 나사공(42)의 주변 부위가 절개되어 횡단면 "ㄱ"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날개(43)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41)과 상기 날개(43) 사이의 하나의 "ㄷ" 형태의 횡단면 부위는 상기 각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릴 수 있는 하나의 물림 부위(4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각패널(1)의 상면의 함몰 영역은 제 1 층과 제 2 층의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 영역의 제 1 층의 면은 상기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보다 더 함몰되어 있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사각패널(1) 중 어느 하나의 사각패널(1)의 홈부(11)의 아래턱에 물린 어느 하나의 연결클립(4)의 바닥판(41)은 상기 홈부(11)의 내측 상면과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상면의 함몰 영역의 제 1 층의 면 사이에 압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3)의 헤드 말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사각패널(1)의 상면의 함몰 영역의 제 2 층의 면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KR1020170134781A 2017-10-17 2017-10-17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KR10184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81A KR101846496B1 (ko) 2017-10-17 2017-10-17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81A KR101846496B1 (ko) 2017-10-17 2017-10-17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496B1 true KR101846496B1 (ko) 2018-04-09

Family

ID=6197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781A KR101846496B1 (ko) 2017-10-17 2017-10-17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6108A (zh) * 2018-11-28 2019-02-26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金属公母插槽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693B1 (ko) * 2011-03-11 2011-10-14 주식회사 에코빌드 디엔씨 친환경 바닥마감재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1170293B1 (ko) * 2012-03-02 2012-07-31 손만호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693B1 (ko) * 2011-03-11 2011-10-14 주식회사 에코빌드 디엔씨 친환경 바닥마감재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1170293B1 (ko) * 2012-03-02 2012-07-31 손만호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6108A (zh) * 2018-11-28 2019-02-26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金属公母插槽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0217B1 (en) Glass fiber reinforced facer mat
US20140057066A1 (en) Building boar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522916A (ja) セメント系物品、配合物、作製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100645368B1 (ko) 결로방지용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392B1 (ko) 건축용 외단열패널
KR101846496B1 (ko) 규조토를 이용한 친환경 실내마감조립체
EP2612969A2 (en) Microfiber-containing fiber reinforced facer mats and the method of making
KR101135663B1 (ko) 흡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E10333299B4 (de) Wärmedämmsystem
WO2011110172A1 (de) Dekorplatte mit witterungsbeständiger deckplatte
JP7397436B2 (ja) 被覆基材の製造方法
KR100389068B1 (ko) 목재패널
JP2006328910A (ja) 建築物の表装仕上げ構造および表装仕上げ層の形成方法
US4990407A (en) Ceiling tile composite
DE10007775A1 (de) Wärmedämmplatte aus Polystryrol (EPS/XPS) mit äußeren Beschichtungen zur Verbesserung der mechanischen und weiterer physikalischer Eigenschaften der Plattenoberfläche
DE102009038773B4 (de) Innendämmpaneel mit einem hydrophilen, porösen Grundkörper
CN103206020B (zh) 积层结构体
KR100302125B1 (ko)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를 이용한 고건축물의 내/외장재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DE202014105346U1 (de) Luftkammerplatte
JP4137937B2 (ja) 建材用漆喰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建築物
CN205171910U (zh) 纱线防水防火防污壁纸
RU219176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CN108571130B (zh) 施工物
KR101902193B1 (ko) 크랙 발생과 광물질의 유실이 방지되는 건축물 외벽 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외벽 마감재,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109580U (ja) パネル、該パネルを使用した室内用建材および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