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965B1 -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965B1
KR101845965B1 KR1020170096428A KR20170096428A KR101845965B1 KR 101845965 B1 KR101845965 B1 KR 101845965B1 KR 1020170096428 A KR1020170096428 A KR 1020170096428A KR 20170096428 A KR20170096428 A KR 20170096428A KR 101845965 B1 KR101845965 B1 KR 10184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signal
correlation
tra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영호
이보연
공기수
이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9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G01V1/36Effecting static or dynamic corrections on records, e.g. correcting spread; Correlating seismic signals; Eliminating effects of unwanted energy
    • G01V1/362Effecting static or dynamic corrections; Sta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G01V1/30Analysis
    • G01V1/301Analysis for determining seismic cross-sections or geo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G01V1/30Analysis
    • G01V1/306Analysis for determin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bsurface, e.g. impedance, porosity or attenuation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Oceanograph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ell correction method for seismic exploration data, which corrects distortions or errors in analysis of a seismic stack section, caused by a swell effect, occurring during performance of high-resolution seismic exploration for exploration of submarine geological features. The method includes: obtaining a seismic stack section by seismic exploration; obtaining a submarine location and extracting a submarine signal from the stack section by picking; flattening the extracted submarine signal; generating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using a correlation; extracting lag values of traces by correlating the reference reflection signal and the traces; removing a swell effect by adding the extracted lag values to the trace signals, respectively; and restoring a stack section in which the swell is corrected. A stack section having a higher level of resolution can be obtained by removing distortions or alterations in analysis of the stack section caused by a swell effect occurring during performance of high-resolution seismic exploration.

Description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저 지질구조 탐사를 위한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너울의 영향에 따른 중합단면의 해석 시 왜곡이나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rrecting waviness of seismic w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rrecting distortions or errors in the analysis of a cross-s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waviness occurring when performing a high resolution seismic survey for exploration of an underwater geological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rrecting waviness of seismic data.

석유, 천연가스, 가스하이드레이트 등 해저 부존 자원을 찾아내거나 해저 파이프라인 및 케이블 매설, 해저터널, 해저 저장시설, 교량 등과 같은 해양 건설공사를 위한 기반암 조사 등을 위한 목적으로 해양 탄성파 탐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해저 파이프라인 및 케이블 매설, 해저터널, 해저 저장시설, 교량 등과 같은 해양 토목 및 건설 공사와 같은 엔지니어링을 목적으로 하는 고해상 탄성파 탐사의 경우지질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Oceanic seismic survey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finding underwater resources such as oil, natural gas, gas hydrate, and investigating bedrock for marine construction such as submarine pipelines, cable laying, submarine tunnels, seabed storage facilities, and bridges . It is aimed at grasping the geological structure in the case of high resolution seismic exploration aimed at engineering such as marine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uch as submarine pipelines and cables, submarine tunnels, seabed storage facilities, and bridges.

고해상 탄성파 탐사는 탐사자료의 해상도가 1m 이내가 되도록 정밀한 탐사가 요구된다. 하지만, 해상은 항상 해류 조류 그리고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너울(swell) 또는 파도가 탐사자료에 영향을 미쳐 탄성파 단면에서 지층구조의 정밀한 파악이 용이하지 않다. 탄성파 단면에서의 너울 영향은 톱니바퀴 형태의 해저면 떨림으로 표현되며, 이러한 현상은 탄성파 단면 전체에 영향을 주게 되어 지층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igh resolution seismic surveys require precise survey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survey data is within 1m. However, seawater always influences survey data by swells or waves generated by currents and wind, and it is not easy to precisely grasp the stratigraphic structure in the seismic section. The effect of the waviness on the section of the elastic wave is expressed by the sea bottom surface of the gear wheel. This phenomenon affects the whole section of the elastic wave, and the continuity of the ground layer is deteriorated.

일반적인 고해상 탄성파 탐사의 자료취득시스템은 소형 에어건(air-gun), 스파커(sparker), 부머(boomer) 등의 음원(seismic source) 발생장치와 단일채널(single channel) 또는 8채널 및 24채널 이하의 다중채널 스트리머(streamer)의 수진기(receiver) 등이 주로 활용된다. 또는 Chirp Sub-Bottom Profiler(이하, 'Chirp SBP'라함.)를 이용하여 탐사를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탐사들은 천부 지질구조 파악이 목적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활용함으로써 투과심도는 낮지만, 해상도가 높은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음원이 소형 에어건일 경우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s)은 100 - 350 Hz, 스파커는 600 - 900 Hz, 부머는 1000 - 2000 Hz, Chirp SBP는 2000 - 7000 Hz 에 해당한다.A typical high resolution seismic data acquisition system is composed of a seismic source generator such as a small air gun, sparker, boomer, and a single channel or an 8-channel and 24-channel And a receiver of a multi-channel streame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hirp Sub-Bottom Profi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irp SBP"). Because these explorations are aimed at grasping the deep geologic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cquire high resolution seismic data with high resolution, though the penetration depth is low by utiliz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When the sound source is a small air gun, the frequency bands are 100 - 350 Hz, the sparker is 600 - 900 Hz, the boomer is 1000 - 2000 Hz, and the Chirp SBP is 2000 - 7000 Hz.

탄성파 음원이 고주파일수록 수직해상도가 높아지지만 너울 및 파도의 영향에 민감해진다. 그리고 수심이 천해이면 발파간격을 더욱 좁게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역시 너울 및 파도의 영향이 탐사자료에 기록되어진다. 따라서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일수록 너울 및 파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The higher the frequency of an acoustic wave source, the higher the vertical resolution, but the more sensitive it is to the effects of the waves and the waves. And because the depth of water creates a narrower blasting interval in the deep sea, this also affects the effects of swells and waves in the exploration dat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resolution seismic data are affected by the waves and waves.

예를 들어, 주 측선 4개의 남북측선과 보조 측선 2개의 동서측선에 대해서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게 되면 총 8개의 교점이 발생하게 된다. 각 교점은 동일 지점을 지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왕복 주시가 동일하여야 한다. 하지만, 해상에서는 동일한 측선에 대해서 남-북 방향 또는 북-남 방향에 따라 바람, 조류 및 해류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왕복 주시의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각 교점마다 왕복 주시의 차이가 발생되며, 이러한 현상은 교점이 많아지게 되면 등층후도(isopach map)이나 시간 구조도(time structure map) 등을 제작할 때 오류가 발생된다. 또한, 탄성파 음원이 고주파일수록 파장이 짧기 때문에 이러한 교점 오차는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에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For example, if we perform seismic surveys on four north-south lines of main lines and two east-west lines of auxiliary lines, a total of eight intersections occur. Since each intersection passes through the same point, the round-trip attention should be the sam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ciprocal distanc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directions due to wind, algae, and current direction depending on the south-north direction or the north-south direction.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reciprocal attention at each intersection point. This phenomenon occurs when the intersection points become large, and when the isopach map or the time structure map is produced. In addition, since the wavelength is shorter as the acoustic wave source is higher in frequency, this crossing error is more apparent in high resolution seismic data.

따라서, 고해상의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도가 향상된 너울의 보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high-resolution seismic wave data, a correction method of a wavenge having an improved accuracy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829호(발명의 명칭 :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Korean Patent No. 10-1544829 (entitled: Width Influence and Cross Correction Method of High Resolution Seismic Data Using Multi Beam Echo Sounding Data)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 지질구조 탐사를 위한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너울의 영향에 따른 중합단면의 해석 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seismic wa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rrecting a waviness of seismic survey dat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은,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a waveness correction method of seismic wave-

탄성파로 해저면을 탐사하여 중합단면을 획득하는 단계; A step of acquiring a cross-section of the polymer by exploring an undersurface of an acoustic wave;

상기 중합단면으로부터 픽킹을 통해 상기 해저면의 위치를 획득하고 해저면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Obtaining a position of the bottom surface through picking from the cross-section of the cross-section and extracting a bottom surface signal;

상기 추출된 해저면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단계; Smoothing the extracted bottom surface signal;

상호상관을 이용하여 기준 반사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Generating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using cross-correlation;

상기 기준 반사신호와 각 트레이스와의 상호상관을 수행하여 각각의 트레이스에 대한 지연(lag)값을 추출하는 단계; Performing a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reference reflection signal and each trace to extract a lag value for each trace;

추출된 지연값을 각 트레이스 신호에 더하여 너울의 영향을 제거하는 단계; 및Adding the extracted delay value to each trace signal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the swell; And

너울이 보정된 중합단면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restoring the corrected cross-section of the polymerization.

상기 해저면 위치를 획득하고 해저면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은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bottom surface position and extracting the bottom surface signal

탄성파 단면도에서 y축을 나타내는 시간을 샘플링 간격(sampling interval)으로 제산하여 dt를 제거하는 단계; Dividing the time representing the y-axis in the acoustic wave cross-section by a sampling interval to remove dt;

해저면의 탄성파 단면도를 픽킹(picking)하여 스무팅(smoothing) 처리한 후 반사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Picking up a seismic section of the seabed surface to smoothen and extracting a reflected signal;

해저면의 탄성파 단면도로부터 일정크기의 윈도우를 설정하고, 설정된 윈도우 내의 진폭 값의 평균을 윈도우의 중앙에 할당하는 할당단계; An allocation step of setting a window of a predetermined size from an elastic wave sectional view of the sea floor and allocating an average of amplitude values in the set window to the center of the window;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x축(trace 축) 방향으로 한 샘플씩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포함하고 And a moving step of moving the generated window by one sample in the x axis (trace axis) direction

상기 할당단계 및 상기 이동단계를 x축의 개수에 대응하는 샘플링 수 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llocating step and the moving step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s many times as the sampling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x-axes.

상기 윈도우는 100 내지 150 샘플의 크기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indow may be configured to set a size of 100 to 150 samples.

상기 해저면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단계는 The step of smoothing the bottom surface signal

A 반사신호와 B 반사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저면 신호 중 상기 B 반사신호에서 해저면의 심도만큼 감산하는 단계; Subtracting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from the B reflection signal among the bottom surface signals constituted by the A reflection signal and the B reflection signal;

상기 결과값에 소정 개수의 샘플 수를 가산하여 기준 정렬 심도(y축)를 평활화(flattening)시키는 단계; 및Ad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amples to the resultant value to flatten the reference alignment depth (y-axis); And

상기 각 트레이스별로 B 반사신호에서 빼준 지연(lag)값을 파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d extracting, as a file, a lag value subtracted from the B reflection signal for each of the traces.

상기 기준 반사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ference reflection signal comprises:

n번째 트레이스와 n+1의 트레이스를 상호상관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왔을 때 이 두 개의 트레이스를 중합(Stacking)시키는 제1 상호상관 단계; a first cross-correlation step of cross-correlating the n-th trace and the n + 1 trace and stacking the two traces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the highest;

상기 중합된 트레이스를 n+2 번째 트레이스와 상호상관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왔을 때 중합시키는 제2 상호상관 단계; A second cross-correlation step of cross-correlating the polymerized trace with an (n + 2) -th trace to polymerize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highest;

상기 제1 상호상관 단계 및 상기 제2 상호상관 단계를 반복하여 모든 트레이스에 대하여 상호상관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 및 Repeating the first cross-correlation step and the second cross-correlation step to cross-correlate and polymerize all traces; And

상기 반복단계에서의 결과값을 총 트레이스의 개수로 나누어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d generating a reference signal by dividing the result of the iterative step by the number of total traces.

(여기서, n은 1부터 10301번 째까지의 자연수 값을 나타내고, 10301회의 상호상관과 중합하는 과정을 반복함.) (Where n represents a natural number value from 1 to 10301, repeating the process of 10301 cross-correlation and polymerization).

상기 상호상관은 서로 다른 두 신호에서 한 신호를 이동시키면서 두 신호의 곱을 이동 변위의 함수로 표시한 것을 나타내며, 신호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1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2
의 상호상관(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3
)은 아래의 식으로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ross-correlation indicates that the product of two signals is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the displacement, while moving one signal from two different signals,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1
Wow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2
Cross-correlation of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3
) Can be configured to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4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4

(여기서, 전술한 상관계수는 상관계수의 크기는 -1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5
은 지연(lag)값을 의미하며,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6
는 최대 지연(lag)값을 의미함)(Here, the above-mentioned correlation coefficient has a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1 and 1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5
Means a lag value,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6
Means the maximum lag value)

상기 너울이 보정된 중합단면을 복원하는 단계는The step of restoring the sheared,

너울영향이 제거된 탄성파 단면도에서 해저면의 심도만큼 가산하는 단계; Adding the depth of the seabed surface in the elastic wave cross-section where the swell influence is removed;

상기 심도만큼 가산된 결과값에 상기 소정의 샘플 수 만큼 감산하는 단계; 및Subtracting the result value added by the depth by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amples; And

y축을 나타내는 시간에 샘플링 간격을 승산하여 dt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restoring dt by multiplying the time representing the y-axis by the sampling interval.

따라서 본 발명의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은 해저 지질구조 탐사를 위한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너울의 영향에 따른 중합단면의 해석 시 발생하는 왜곡 또는 일그러짐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해상도가 높은 중합단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method of compensating the waviness of the seismic wave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distortion or distortion occurring in the analysis of the cross-s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aviness generated when the high resolution seismic wave survey is performed for exploring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eab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ymerized cross-section with high resolu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파 탐사하여 획득한 중합단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해저면 위치를 획득하고 해저면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신호를 픽킹한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해저면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신호를 평활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반사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반사신호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너울이 보정된 본래의 자료로 복원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신호와 평활화시킨 해저의 탄성파 단면을 상호상관하여 신호를 복원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너울의 영향을 제거하기 이전과 제거한 이후의 탄성파 단면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correcting a waveness of an acoustic wave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lymerization cross-section obtained by seismic expl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the bottom surface position of FIG. 1 and extracting a bottom surfa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flection signal is pi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moothing a bottom surface signal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lection signal is smoot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reflected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storing the original data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reconstruction by cross-correlating a seismic section of a seabed that is smoothed with a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elastic wave sections before and after removing the influence of a wave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rrecting a waviness of an acoustic wave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S202단계에서 탄성파 탐사하여 중합단면을 획득한다. Referring to FIG. 1, first, in step S202, an acoustic wave is surveyed to obtain a cross-s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파 탐사하여 획득한 중합단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obtained by seismic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 수행 후 취득한 Seg-Y(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Y) 파일이 필요하다. 즉, 중합단면을 나타내는 Seg-Y파일의 x축은 수신한 트레이스 개수, y축은 시간(time)에 따라 기록된 반사신호를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가로축은 트레이스(Trace)의 개수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9303개로 표시되어 있다. 세로축은 샘플의 개수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01개로 샘플링 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g-Y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Y) file acquired after performing a high-resolution seismic exploration is required. That is, the x-axis and the y-axis of the Seg-Y file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polymer represent the number of received trace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reflected signal recorded according to time (time). In the figure,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traces,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303 pieces are shown.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samples,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01 samples are sampled.

S204단계에서 중합단면으로부터 픽킹(picking)을 통해 해저면 위치를 획득하고 해저면 신호를 추출한다. S204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의 순서도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step S204, the submarine surface position is obtained by picking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polymerization and the bottom surface signal is extracted. The step S20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206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해저면 신호를 평활화시킨다. S206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step S206, the extracted bottom surface signal is smoothed. Step S20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208단계에서 상호상관을 이용하여 기준 반사신호를 생성한다. 트레이스별 신호를 상호상관(cross-correlation) 및 중합(stack)을 수행하여 해저면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대표하는 신호인 기준 반사신호가 생성된다. In step S208,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is generated using cross-correlation. Cross-correlation and stacking of the trace-specific signals produces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that is a signal representative of the impedance of the seabed.

S208단계에서 기순 반사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reflex reflection signal in step S20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210단계에서 기준 반사신호와 각 트레이스와의 상호상관을 수행하여 각각의 트레이스에 대한 지연(lag)값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한 지연값은 서로 다른 두 신호에서 한 신호를 이동시키면서 상호상관을 수행 시 상호상관의 값이 가장 클 때의 이동변위 값을 추출한 것이다. 즉, 후술하는 수학식 1에서 상호상관(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7
)이 최대가 될 때의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8
값을 의미한다. In step S210, the reference reflection signal is cross-correlated with each trace to extract a lag value for each trace. The delay value extract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extracting a moving displacement value when a cross-correlation is performed while moving one signal from two different signals. That is, in Equation 1 described below,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7
) Is the maximum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8
Lt; / RTI >

S212단계에서 추출된 지연값을 각 트레이스 신호에 더하여 너울의 영향을 제거한다. The delay value extracted in step S212 is added to each trace signal to remove the influence of the swell.

S214단계에서 너울이 보정된 중합단면을 복원한다. S206단계에서 너울이 보정된 중합단면을 복원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step S214, the corrected cross-section is restored.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corrected cross-section in which the waviness is corrected in step S20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해저면 위치를 획득하고 해저면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the bottom surface position of FIG. 1 and extracting a bottom surfa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2단계에서 탄성파 단면도에서 y축(time)을 시간이 아닌 샘플(sample) 수로 변환하기 위하여 dt를 제거한다. dt를 제거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y축을 나타내는 시간을 샘플링 간격(sampling interval)으로 제산하여 dt를 소거시킨다. dt를 제거시킨 이후에 y축은 801개의 샘플 수가 출력된다. 샘플 단위는 편의상 1의 간격을 가지는 심도(depth)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S302, dt is removed to convert the y-axis time into a sample number, not a time, in the elastic wave section. The specific procedure for removing dt is to divide the time representing the y-axis by the sampling interval to eliminate dt. After removing dt, 801 samples are output on the y-axis. A sample unit is referred to as a depth having an interval of 1 for the sake of convenience.

S304단계에서 해저면의 탄성파 단면도를 픽킹(picking)하여 스무팅(smoothing) 처리한 후 반사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S304단계에서는 프로맥스 소프트웨어(promax software)를 이용하여 픽킹하고 픽킹에 의해 반사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In step S304, the elastic wave sec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picked and smoothed to extract a reflection signal. In step S304, the reflected signal can be extracted by picking and picking using promax software.

S306단계에서 해저면의 탄성파 단면도로부터 일정크기의 윈도우를 설정하고, 설정된 윈도우 내의 진폭 값의 평균을 윈도우의 중앙에 할당한다. 이때, 설정하는 일정 크기의 윈도우는 100 내지 150 샘플 정도의 크기로 설정한다. In step S306, a window of a predetermined size is set from the acoustic wa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 floor, and an average of the amplitude values in the set window is assigned to the center of the window.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size window is set to about 100 to 150 samples.

S308단계에서 윈도우를 x축(trace 축) 방향으로 한 샘플씩 이동시킨다. In step S308, the window is shifted by one sample in the x-axis (trace axis) direction.

S306단계 및 S308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Steps S306 and S308 are repeatedly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신호를 픽킹한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flection signal is pi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노란색 실선(A)이 픽킹에 의해 추출된 반사신호를 나타낸다. 전술한 상호상관(Cross correlation) 계산의 효율성(컴퓨터 성능을 고려한 계산 시간 단축)을 위해 해저면을 포함하여 B 반사신호의 일부 샘플링 구간(0~353)만을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4, a yellow solid line A represents a reflection signal extracted by picking. (0 to 353) of the B reflection signal including the bottom surface are extracted for the efficiency of the above-mentioned cross correlation calculation (shortening the calculation time considering the computer performan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해저면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moothing the bottom surface signal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해저면 신호는 A 반사신호와 B 반사신호를 포함한다. First, the bottom surface signal includes an A reflection signal and a B reflection signal.

S402단계에서 각 트레이스별로 추출한 해저면 신호 중 B 반사신호에서 해저면의 심도만큼 감산한다. 여기서 해저면의 심도는 픽킹한 해저면의 A 반사신호의 위치이다. In step S402, subtracting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from the B reflection signal among the bottom surface signals extracted for each trace. Here, the depth of the sea floor is the position of the A reflection signal of the seabed bottom.

S404단계에서 100개의 샘플 수를 가산하여 기준 정렬 심도(y축)를 100에 맞춰 평활화(flattening)시킨다. 100개의 샘플 수를 가산하는 것은 반사신호를 심도만큼 감산한 값이 y축의 0 이하에 정렬되기 때문에 신호의 잘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step S404, the number of 100 samples is added and the reference alignment depth (y axis) is flattened to 100. The addition of 100 samples is intended to prevent the signal from being cut off because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flection signal by the depth is aligned to 0 or less on the y-axis.

S406단계에서 s404단계에서 평활화를 수행한 후 각 트레이스별 B 반사신호에서 빼준 지연(lag)값을 파일로 추출한다. In step S406, smoothing is performed in step S404, and a lag value subtracted from the B reflection signal for each trace is extracted as a fi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신호를 평활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lection signal is smoot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5의 순서도에 따라 평활화시킨 신호가 나타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signal smoothed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5 is show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반사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S502단계에서 n번째 트레이스와 n+1의 트레이스를 상호상관 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왔을 때 이 두 개의 트레이스를 중합(Stacking)시킨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S502, the two traces are stacked when the n-th trace and the n + 1 trace cross-correl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the highest.

상호상관이란 신호간의 유사성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서 서로 다른 두 신호에서 한 신호를 이동시키면서 두 신호의 곱을 이동 변위의 함수로 표시한 것. 신호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9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0
의 상호상관(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1
)은 아래의 식으로 표현됨.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2
은 지연(lag)값을 의미하며,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3
는 최대 지연(lag)값을 의미한다. Cross correlation is a function indica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signals. It is a function of moving displacement of two signals while moving one signal from two different signals. signal
Figure 112017073264497-pat00009
Wow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0
Cross-correlation of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1
)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2
Means a lag value,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3
Means the maximum delay value.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4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4

또한, 전술한 상관계수는 두 신호의 상호 관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상관계수의 크기는 -1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서로 유사한 신호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호상관의 값이 제일 클 때, 상관계수가 가장 높음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rrelation coefficient is an index for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wo signal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has a value between -1 and 1, and the closer to 1, the more similar signals. That is, when the value of the cross-correlation is the large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the highest.

S504단계에서 이 중합된 트레이스를 n+2 번째 트레이스와 상호상관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왔을 때 중합시킨다. In step S504, the polymerized trace is cross-correlated with the (n + 2) -th trace and polymerized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the highest.

전술한 S502단계 및 S504단계를 반복하여 모든 트레이스에 대하여 상호상관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여기서, n은 1부터 10301번 째까지의 자연수 값을 나타내며, 따라서 10301회의 상호상관과 중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Repeat steps S502 and S504 to repeat the steps of cross-correlation and polymerizing all the traces. Here, n represents a natural number value from 1 to 10301, and therefore the process of cross-correlation and polymerization of 10301 is repeated.

S506단계에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얻은 결과값을 총 트레이스의 개수로 나누어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총 트레이스의 개수는 19303개로 설정하였다. In step S506, the reference signal is generated by dividing the result obtain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by the total number of traces. As described above, the total number of traces is set to 1930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반사신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howing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각 신호를 상호상관 및 중합을 수행하여 해저면의 임피던스(Impedence)를 대표하는 기준 반사신호(Reference Reflection Signal) 하나를 생성하였다. Referring to FIG. 8,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representing the impedance of the undersurface is generated by performing cross-correlation and polymerization of each signal.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너울이 보정된 본래의 자료로 복원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storing the original data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S602단계에서 너울영향이 제거된 탄성파 단면도에서 해저면의 심도(픽킹한 해저면의 A 반사신호의 위치)만큼 가산하는 과정; Referring to FIG. 9, in step S602, the depth of the seabed surface (the position of the A reflection signal on the bottomed seam)

S604단계에서 심도만큼 가산된 결과값에 100개의 샘플 수 만큼 감산한다. In step S604, the resultant value added by the depth is subtracted by 100 samples.

S606단계에서 y축을 나타내는 시간에 샘플링 간격을 승산하여 dt를 복원시킨다. In step S606, the sampling interval is multiplied by the time representing the y-axis to restore dt.

이와 같은 결과로 너울효과가 제거된 탄성파 단면도를 획득할 수 있으며 x축으로는 트레이스 개수 19393개, y축으로는 시간(time)축으로 801개의 샘플을 획득하였다. As a result, we can obtain a seismic section with no waviness effect. We obtain 19393 traces in the x axis and 801 in the y axi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신호와 평활화시킨 해저의 탄성파 단면을 상호상관하여 신호를 복원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reconstruction by cross-correlating elastic wave sections of a submarine smoothed with a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너울의 영향을 제거시킨 탄성파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너울의 영향을 제거하기 이전과 제거한 이후의 탄성파 단면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elastic wave sections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influence of a wave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특히 도 11의 (a)는 보정하기 전의 해저면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11의 (b)는 보정된 후의 해저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1의 (a)의 노란색의 타원형 내부에 나타난 왜곡이 도 11의 (b)에서는 왜곡이 보정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단면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in particular, Fig. 11 (a) shows a section of the sea floor before correction and Fig. 11 (b) shows a section of the sea floor after cor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istortion shown inside the yellow ellipse of FIG. 11 (a) is corrected in the case of FIG. 11 (b) to show a more natural section.

즉, 본 발명의 상호상관 기법으로 너울영향을 보정하면 해저면의 심도 추출 및 해저면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대표할 수 있는 신호를 상호상관을 통해 추출하고 이 추출된 트레이스를 사용하여 최종탄성파 단면의 해저면과 직접 상호상관을 수행하여 너울효과를 보정하기 때문에 계산시간이 빠르고 너울이 정확하게 보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other words, by correcting the influence of the waveness by the cross-correl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representative of the depth of the undersea surface and the impedance of the undersurface is extracted through cross-correlation, And the correction of the waveness effect is performed, so that the calculation time is fast and the wavenumber is accurately corrected.

한편 탄성파 탐사 수행 후 획득한 중합단면을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하는 과정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컴퓨터는 연산량에 따라 일반 가정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및 슈퍼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waviness of the seismic surve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ross section obtained after performing the seismic survey can be performed using a computer. The compu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eneral home computer, a work station, a super computer,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amount of calculation.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식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탄성파 탐사하여 중합단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중합단면으로부터 픽킹을 통해 해저면 위치 획득 및 해저면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해저면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단계;
트레이스별 신호를 상호상관을 이용하여 기준 반사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반사신호와 각 트레이스와의 상호상관을 수행하여 각각의 트레이스에 대한 지연(lag)값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지연값을 각 트레이스 신호에 더하여 너울의 영향을 제거하는 단계; 및
너울이 보정된 중합단면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저면 위치를 획득하고 해저면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은,
탄성파 단면도에서 y축을 나타내는 시간을 샘플링 간격(sampling interval)으로 제산하여 dt를 제거하는 단계;
해저면의 탄성파 단면도를 픽킹(picking)하여 스무팅(smoothing) 처리한 후 반사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해저면의 탄성파 단면도로부터 일정크기의 윈도우를 설정하고, 설정된 윈도우 내의 진폭 값의 평균을 윈도우의 중앙에 할당하는 할당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윈도우를 x축(trace 축) 방향으로 한 샘플씩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단계 및 상기 이동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
Seismic waves to obtain a cross-section of the polymer;
Extracting the undersea surface position and extracting the undersea signal from picking up the cross-section through picking;
Smoothing the extracted bottom surface signal;
Generating a reference reflection signal using cross-correlation of the signal for each trace;
Performing a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reference reflection signal and each trace to extract a lag value for each trace;
Adding the extracted delay value to each trace signal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the swell; And
And recovering the corrected cross-section of the polymerizatio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bottom surface position and extracting the bottom surface signal includes:
Dividing the time representing the y-axis in the acoustic wave cross-section by a sampling interval to remove dt;
Picking up a seismic section of the seabed surface to smoothen and extracting a reflected signal;
An allocation step of setting a window of a predetermined size from a seismic section of the sea floor and allocating an average of amplitude values within a set window to the center of the window; And
And a moving step of moving the generated window by one sample in the x axis direction (trace axis), and repeating the allocating step and the moving ste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100 내지 150 샘플 크기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1,
100 to 150 sample sizes. ≪ RTI ID = 0.0 > 8.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 신호를 평활화시키는 단계는
A 반사신호와 B 반사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저면 신호 중 상기 B 반사신호를 해저면의 심도만큼 감산하는 단계;
소정 개수의 샘플 수를 가산하여 기준 정렬 심도(y축)를 평활화(flattening)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각 트레이스별 B 반사신호에서 빼준 지연(lag)값을 파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moothing the undersea signal comprises:
Subtracting the B reflection signal from the bottom surface signal including the A reflection signal and the B reflection signal by a depth of the bottom surface;
Ad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amples to flatten the reference alignment depth (y-axis); And
Extracting a lag value subtracted from the B reflection signal for each trace to a file; and correcting a waveness correction method of the seismic wa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반사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n번째 트레이스와 n+1의 트레이스를 상호상관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왔을 때 이 두 개의 트레이스를 중합(Stacking)시키는 제1 상호상관 단계;
상기 중합된 트레이스를 n+2 번째 트레이스와 상호상관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왔을 때 중합시키는 제2 상호상관 단계;
상기 제1 상호상관 단계 및 상기 제2 상호상관 단계를 반복하여 모든 트레이스에 대하여 상호상관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 및
상기 반복단계에서의 결과값을 총 트레이스의 개수로 나누어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
(여기서, n은 1부터 10301번 째까지의 자연수 값을 나타내고, 10301회의 상호상관과 중합하는 과정을 반복함.)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generating the reference reflection signal comprises:
a first cross-correlation step of cross-correlating the n-th trace and the n + 1 trace and stacking the two traces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the highest;
A second cross-correlation step of cross-correlating the polymerized trace with an (n + 2) -th trace to polymerize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highest;
Repeating the first cross-correlation step and the second cross-correlation step to cross-correlate and polymerize all traces; And
And generating a reference signal by dividing the result of the iterative step by the number of total traces.
(Where n represents a natural number value from 1 to 10301, repeating the process of 10301 cross-correlation and polymeriz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상관은,
서로 다른 두 신호에서 한 신호를 이동시키면서 두 신호의 곱을 이동 변위의 함수로 표시한 것을 나타내며, 신호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5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6
의 상호상관(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7
)은 아래의 식으로 표현하도록 구성되는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8

(여기서, 전술한 상관계수는 상관계수의 크기는 -1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9
은 지연(lag)값을 의미하며,
Figure 112017073264497-pat00020
는 최대 지연(lag)값을 의미함)
6. The method of claim 5,
Indicates that a product of two signals is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moving displacement while moving one signal from two different signals,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5
Wow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6
Cross-correlation of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7
) ≪ / RTI > is expressed as: < RTI ID = 0.0 >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8

(Here, the above-mentioned correlation coefficient has a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1 and 1
Figure 112017073264497-pat00019
Means a lag value,
Figure 112017073264497-pat00020
Means the maximum lag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울이 보정된 중합단면을 복원하는 단계는
너울영향이 제거된 탄성파 단면도에서 해저면의 심도만큼 가산하는 단계;
상기 심도만큼 가산된 결과값에 소정의 샘플 수만큼 감산하는 단계; 및
y축을 나타내는 시간에 샘플링 간격을 승산하여 dt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restoring the wedge-
Adding the depth of the seabed surface in the elastic wave cross-section where the swell influence is removed;
Subtracting a result value added by the depth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samples; And
and multiplying the sampling interval by a time representing a y-axis to reconstruct dt.
KR1020170096428A 2017-07-28 2017-07-28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KR101845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428A KR101845965B1 (en) 2017-07-28 2017-07-28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428A KR101845965B1 (en) 2017-07-28 2017-07-28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965B1 true KR101845965B1 (en) 2018-05-18

Family

ID=6245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428A KR101845965B1 (en) 2017-07-28 2017-07-28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9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466B1 (en) * 2019-02-08 2019-07-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swell effect correction of offshore 3d seismic survey data at shallow tratum and marine 3d seismic survey mehod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408A (en) * 2002-08-28 2004-03-18 Shimizu Corp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velocity of elastic wa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408A (en) * 2002-08-28 2004-03-18 Shimizu Corp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velocity of elastic wav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해상 해저 탄성파 탐사자료에 대한 너울영향 보정(지구물리와 물리탐사, 2013. 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466B1 (en) * 2019-02-08 2019-07-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swell effect correction of offshore 3d seismic survey data at shallow tratum and marine 3d seismic survey me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829B1 (en)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effect and intersection point in high-resolution seismic survey data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data
Clare et al. Direct monitoring of active geohazards: Emerging geophysical tools for deep‐water assessments
US20120224454A1 (en) Method and device to acquire marine seismic data
CN102636811B (en) Eliminating method of multiple waves in bidimensional seismic data on sea
CN111487678B (en) Analysis method for determining high-resolution small multichannel seismic minimum offset distance and system delay
CN103454681B (en) Evaluate the method and apparatus of 3 D seismic observation system imaging effect
KR102003466B1 (en) Method for swell effect correction of offshore 3d seismic survey data at shallow tratum and marine 3d seismic survey mehod using the same
CN101576621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of submarine cable double-detection seismic exploration
Kim et al. A case study on pseudo 3-D Chirp sub-bottom profiler (SBP) survey for the detection of a fault trace in shallow sedimentary layers at gas hydrate site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Shynkarenko et al. Investigating the subsurface in a shallow water environment using array and single-station ambient vibration techniques
KR100412097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ismic data using the time-varying optimum offset concept
KR101845965B1 (en) 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of seismic survey data
KR101416278B1 (en) System for profiling the shallow sedimentary layers using chirp and a method using the same
Heyburn et al. Seismic and hydroacoustic observations from underwater explosions off the East coast of Florida
CN111158050B (en)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and tunnel seismic wave advanced prediction method
KR101864307B1 (en) Method of seismic survey data processing for detecting sub-surface structure and swell effect correction using gradient analysis
CN113514889B (en) 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low-frequency signal energy in ocean deep reflection seismic data
CN109490962A (en) A kind of removing method of shallow seismic profile Non-zero Offset
Morley et al. Array element localization using ship noise
US20170336523A1 (en) Seismic signal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ei et al. Data processing of the Kuiyang-ST2000 deep-towed high-resolution multichannel seismic system and application to South China Sea data
Yang et al. Revealing the shallow soil structure of the Yigong Lake in the Tibetan Plateau using a portable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interrogator
CN117169816B (en) Passive positioning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broadband sound source in deep sea sound shadow area
KR102549989B1 (en) Seismic data processing method
Williams Listening to the seafloor with optical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