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372B1 -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 Google Patents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372B1
KR101845372B1 KR1020160158996A KR20160158996A KR101845372B1 KR 101845372 B1 KR101845372 B1 KR 101845372B1 KR 1020160158996 A KR1020160158996 A KR 1020160158996A KR 20160158996 A KR20160158996 A KR 20160158996A KR 101845372 B1 KR101845372 B1 KR 101845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oving
gas leakage
unit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란주
Original Assignee
유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란주 filed Critical 유란주
Priority to KR102016015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372B1/ko
Priority to PCT/KR2017/013396 priority patent/WO20180976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26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pressure differences
    • H01L35/2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양단을 개방시킨 일직선의 관 형상 부재로 일단은 매니폴더에 마련된 소켓부(10)에 연결 결합되는 가스이동관(100); 가스이동관(100)의 일측에는 이동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공(110); 가스배출공(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 게이지관(300)과 이동관(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최종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 및 제어부(510), LED 표시부(520), 그리고 저장부(550)를 구비하며, 저장부(550)에 가스이동관(100)을 통한 가스 이동량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별 압력범위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가스누설확인부(500); 를 포함하며, 제어부(510)는 각 압력센서(1)로부터 수신된 압력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센서(1)가 있는 경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내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의한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LED 표시부(520)로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을 구현하는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양단을 개방시킨 일직선의 관 형상 부재로 일단은 매니폴더에 마련된 소켓부(10)에 연결 결합되는 가스이동관(100); 가스이동관(100)의 일측에는 이동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공(110); 가스배출공(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 게이지관(300)과 이동관(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최종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 및 제어부(510), 펠티어 소자(530), 시온 안료 표시부(540), 그리고 저장부(550)를 구비하며, 저장부(550)에 가스이동관(100)을 통한 가스 이동량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별 압력범위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가스누설확인부(500); 를 구비하며, 제어부(510)는, 각 압력센서(1)로부터 수신된 압력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센서(1)가 있는 경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내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의한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뒤, 펠티어 소자(530)를 제어하여, 시온 안료 표시부(540)와 접촉하고 있는 면만을 가온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시온 안료 표시부(540)의 색상을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산업현장 전반에서 사용자가 가스의 사용 중 가스별 누출 상태를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진동이 있는 음향 신호로 알람을 경보하는 것이 아닌 LED 표시부를 이용해 각 가스별 특성에 맞는 색상을 구현하거나, 시온 안료와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색상 변화를 이용해 원거리의 작업자가 손쉽고 안전하게 가스 누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 부주의로 인한 가스 테스터기의 잘못된 사용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산업현장의 폭발사고의 주범이 되는 산소/에틸렌의 호환사용이 불가하도록 각 가스별 사이즈로 제작하여 사용상의 부주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GAS LEAK DETECTOR AS POSSIBLE TO CHECK GAS LEAK}
본 발명은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가스가 사용되는 산업현장에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와 원거리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수시로 가스 누설에 대한 확인할 수 있는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산업현장 전반에서 가스를 사용하나, 가스를 사용하는 곳은 설비의 운전중 가스가 누설될 우려가 있는 부분이 많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플랜치 결합부, 안전밸브, 벤트스틱, 드레인 등의 개방부분 등에서 가스 누출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소에서의 가스누출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가스경보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가스경보장치는 가스설비에서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를 요소요소에 설치하고,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로부터 일정농도 이상의 가스가 감지될 경우 이를 주로 소리로 알람을 경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경보장치는 소리로 알람을 경보시, 가스의 특성에 따라 알람음의 진동으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1-0001718호 "가스누설경보기의 단자대 인출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654057호 "조인트부의 가스누설 점검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62613호 "가스누설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현장 전반에서 사용자가 가스의 사용 중 가스별 누출 상태를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이 있는 음향 신호로 알람을 경보하는 것이 아닌 LED 표시부를 이용해 각 가스별 특성에 맞는 색상을 구현하거나, 시온 안료와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색상 변화를 이용해 원거리의 작업자가 손쉽게 가스 누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부주의로 인한 가스 테스터기의 잘못된 사용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산업현장의 폭발사고의 주범이 되는 산소/에틸렌의 호환사용이 불가하도록 각 가스별 사이즈로 제작하여 사용상의 부주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양단을 개방시킨 일직선의 관 형상 부재로 일단은 매니폴더에 마련된 소켓부(10)에 연결 결합되는 가스이동관(100); 가스이동관(100)의 일측에는 이동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공(110); 가스배출공(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 게이지관(300)과 이동관(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최종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 및 제어부(510), LED 표시부(520), 그리고 저장부(550)를 구비하며, 저장부(550)에 가스이동관(100)을 통한 가스 이동량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별 압력범위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가스누설확인부(500); 를 포함하며, 제어부(510)는 각 압력센서(1)로부터 수신된 압력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센서(1)가 있는 경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내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의한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LED 표시부(520)로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부(510)는, 이동부(200)의 위치를 라인센서(미도시)를 통해 검출한 뒤, 각 이동부(200)의 위치에 다른 각 압력센서(1)의 압력범위와 비교를 통해 위치별 가스 누출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매니폴더와 가스호스가 직접 체결이 안 되고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통해서만 체결이 가능하도록 각 가스별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양단을 개방시킨 일직선의 관 형상 부재로 일단은 매니폴더에 마련된 소켓부(10)에 연결 결합되는 가스이동관(100); 가스이동관(100)의 일측에는 이동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공(110); 가스배출공(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 게이지관(300)과 이동관(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최종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 및 제어부(510), 펠티어 소자(530), 시온 안료 표시부(540), 그리고 저장부(550)를 구비하며, 저장부(550)에 가스이동관(100)을 통한 가스 이동량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별 압력범위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가스누설확인부(500); 를 구비하며, 제어부(510)는, 각 압력센서(1)로부터 수신된 압력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센서(1)가 있는 경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내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의한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뒤, 펠티어 소자(530)를 제어하여, 시온 안료 표시부(540)와 접촉하고 있는 면만을 가온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시온 안료 표시부(540)의 색상을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부(510)는, 시온 안료 표시부(540)로 가스 누출에 따른 색상 제어시,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으로는 산소는 녹색, 에틸렌은 노란색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매니폴더와 가스호스가 직접 체결이 안 되고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통해서만 체결이 가능하도록 각 가스별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산업현장 전반에서 사용자가 가스의 사용 중 가스별 누출 상태를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진동이 있는 음향 신호로 알람을 경보하는 것이 아닌 LED 표시부를 이용해 각 가스별 특성에 맞는 색상을 구현하거나, 시온 안료와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색상 변화를 이용해 원거리의 작업자가 손쉽고 안전하게 가스 누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사용자의 사용 부주의로 인한 가스 테스터기의 잘못된 사용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산업현장의 폭발사고의 주범이 되는 산소/에틸렌의 호환사용이 불가하도록 각 가스별 사이즈로 제작하여 사용상의 부주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에서의 가스 누설 확인을 위한 가스누설확인부(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에서의 가스 누설 확인을 위한 가스누설확인부(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크게 소켓부(10), 안전게이지 바디부(20), 그리고 플러그부(30)로 이루어짐으로써, 선박현장의 가스 누설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가스를 취급하는 모든 곳에 사용하며, 니플/커플러 교환 방식을 통해, 가스별 매니폴더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니플 분리가 이루어지는 작업휴식/작업종료 후 니플을 분리하지 않고 방치해두어 가스가 새어 폭발이나 질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를 방지한다.
또한, 타인의 가스호스 임의사용 방지를 위해 매니폴더와 가스호스가 직접 체결이 안 되고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통해서만 체결이 가능하도록 각 가스별(예, 산소 가스, 에틸렌 가스, ...)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규격으로 제작이 됨으로써, 2차 안전사고 예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압력센서(1), 가스이동관(100), 이동부(200), 게이지관(300), 스프링(400), 가스누설확인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이동관(100)은 양단을 개방시킨 일직선의 관 형상 부재로써, 가스이동관(100)의 일단은 매니폴더에 마련된 소켓부(10)에 연결 결합한다.
한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통해서 각 가스별 매니폴더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스이동관(100)의 일측에는 이동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공(110)이 마련된다. 또한 가스배출공(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 게이지관(300)과 이동관(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최종 영역에는 도 2와 같이 2개의 압력센서(1)가 구비됨으로써, 가스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가스배출공(110)은 가스이동관(100)의 길이방향, 즉 가스 배출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슬릿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스배출공(110)은 이동부(200)의 이동위치에 따라 개방되는 정도를 달리하면서 게이지관(300)으로의 가스 배출정도를 달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가스배출공(110)은 가스이동관(100)에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이동관(100)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배출공(110)은 가스이동관(100)의 둘레면을 따라 45도 간격마다 4곳에 형성하거나 90도 간격으로 2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이동부(200)는 소켓부(10)를 통해 가스이동관(100) 내측으로 이동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려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한다. 이같이,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가스배출공(110)의 배출정도를 조절되게 하여, 상술한 2개의 압력센서(1)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가스이동관(100)에서 게이지관(300)으로의 가스 이동량을 달리되게 한다. 이동부(200)는 소켓부(1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리거나 스프링(400)에 의해 밀림된다.
여기서, 이동부(200)는 도 2와 같이 일측을 개방시킨 통 형상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동부(200)는 일측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가스이동관(100)의 외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한다. 이때, 이동부(200)의 내측면은 가스이동관(1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동부(200)의 내측면은 가스이동관(10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삽입 설치한다. 따라서,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부(200)의 내측면과 가스이동관(100)의 외측면 사이에는 틈새가 없어지면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고, 이동부(200)는 가스의 압력을 그대로 받아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부(200)의 내측에는 이동부(200)의 내측면과 가스이동관(100)의 외측면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씰링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이동부(200)를 적용한 구조로,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수직단면의 외측면 형상을 가지는 봉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한다. 여기서, 이동부(200)의 외측면은 가스이동관(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부(200)의 외측면과 가스이동관(100)의 내측면 사이에는 틈새가 없어지면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여, 이동부(200)는 가스의 압력을 그대로 받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부(200)의 외측에는 이동부(200)의 외측면과 가스이동관(100)의 내측면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씰링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봉 구조를 갖는 이동부(200)가 삽입되는 가스이동관(100)에서 가스배출공(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 게이지관(300)과 이동관(1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최종 영역에는 도 3에서와 같이 2개의 압력센서(1)가 구비됨으로써, 가스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에서의 가스 누설 확인을 위한 가스누설확인부(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스누설확인부(500)는 제어부(510), LED 표시부(520), 그리고 저장부(550)를 구비하며, 저장부(550)에 가스이동관(100)을 통한 가스 이동량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별 압력범위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10)는 2개의 압력센서(1)로부터 수신된 압력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센서(1)가 있는 경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내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의한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510)는 이동부(200)의 위치를 라인센서(미도시)를 통해 검출한 뒤, 각 이동부(200)의 위치에 다른 각 압력센서(1)의 압력범위와 비교를 통해 위치별 가스 누출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LED 표시부(520)로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10)는 LED 표시부(520)로 가스 누출에 따른 LED 소자 점등시,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으로는 산소는 녹색, 에틸렌은 노란색 등과 같이 산업현장별로 통일된 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스 누설 발생시 식별이 용이하도록 LED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소리에 의한 음향 알람의 경우 가스별 발화를 위한 외부 파라미터 특성 중 진동을 발생시켜 마찰에 의한 발화점에 도달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에서의 가스 누설 확인을 위한 가스누설확인부(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스누설확인부(500)는 제어부(510), 펠티어 소자(530), 시온 안료 표시부(540), 그리고 저장부(550)를 구비하며, 저장부(550)에 가스이동관(100)을 통한 가스 이동량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별 압력범위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10)는 2개의 압력센서(1)로부터 수신된 압력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센서(1)가 있는 경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내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의한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510)는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펠티어 소자(530)를 제어함으로써, 시온 안료 표시부(540)와 접촉하고 있는 면만을 가온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시온 안료 표시부(540)의 색상을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을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도 동일하게 제어부(510)는 시온 안료 표시부(540)로 가스 누출에 따른 색상 제어시,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으로는 산소는 녹색, 에틸렌은 노란색 등과 같이 산업현장별로 통일된 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스 누설 발생시 식별이 용이한 가스별 고유의 색상을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소리에 의한 음향 알람의 경우 가스별 발화를 위한 외부 파라미터 특성 중 진동을 발생시켜 마찰에 의한 발화점에 도달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압력센서
100 : 가스이동관
110 : 가스배출공
200 : 이동부
300 : 게이지관
301 : 걸림단
400 : 스프링
500 : 가스누설확인부
510 : 제어부
520 : LED 표시부
530 : 펠티어 소자
540 : 시온 안료 표시부
550 : 저장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양단을 개방시킨 일직선의 관 형상 부재로 일단은 매니폴더에 마련된 소켓부(10)에 연결 결합되는 가스이동관(100);
    가스이동관(100)의 일측에는 가스이동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스배출공(110);
    가스배출공(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 게이지관(300)과 가스이동관(10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최종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 및
    제어부(510), 펠티어 소자(530), 시온 안료 표시부(540), 그리고 저장부(550)를 구비하며, 저장부(550)에 가스이동관(100)을 통한 가스 이동량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별 압력범위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가스누설확인부(500); 를 구비하며,
    제어부(510)는, 각 압력센서(1)로부터 수신된 압력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압력범위를 벗어나는 압력센서(1)가 있는 경우,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내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에 의한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뒤, 펠티어 소자(530)를 제어하여, 시온 안료 표시부(540)와 접촉하고 있는 면만을 가온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시온 안료 표시부(540)의 색상을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으로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어부(510)는, 이동부(200)의 위치를 라인센서를 통해 검출한 뒤, 각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른 각 압력센서(1)의 압력범위와 비교를 통해 위치별 가스 누출을 분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어부(510)는, 시온 안료 표시부(540)로 가스 누출에 따른 색상 제어시, 각 가스별 고유의 색상으로는 산소는 녹색, 에틸렌은 노란색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동부(200)는, 가스이동관(10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외측면 형상을 갖는 봉 구조로 제작되어 가스이동관(100)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이동부(200)의 외측에는, 이동부(200)의 외측면과 가스이동관(100)의 내측면 사이를 밀폐하는 성능 향상을 위한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매니폴더와 가스호스가 직접 체결이 안 되고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를 통해서만 체결이 가능하도록 각 가스별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KR1020160158996A 2016-11-28 2016-11-28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KR101845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96A KR101845372B1 (ko) 2016-11-28 2016-11-28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PCT/KR2017/013396 WO2018097611A1 (ko) 2016-11-28 2017-11-23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96A KR101845372B1 (ko) 2016-11-28 2016-11-28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372B1 true KR101845372B1 (ko) 2018-04-04

Family

ID=6197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96A KR101845372B1 (ko) 2016-11-28 2016-11-28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5372B1 (ko)
WO (1) WO201809761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070B1 (ko) 2018-07-05 2019-03-25 방병주 가스 압력 측정 게이지가 구비된 가스 연결관 장치
KR101962068B1 (ko) 2018-06-26 2019-03-25 방병주 가스 압력 측정 게이지가 구비된 가스 연결관 장치
KR102083586B1 (ko) 2018-09-11 2020-03-02 방병주 밀폐성을 구비한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KR20200144235A (ko)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다중 검출 인자에 기반한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44237A (ko)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미세 가스누출 검출이 가능한 멀티센싱모듈의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9763B1 (ko) * 2023-05-19 2023-08-23 국방과학연구소 탄약 내부 독성 화학물질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충격완화 안전기능이 포함된 탄약 천공장치 및 탄약 내부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900B2 (ja) * 1994-05-20 2001-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ス漏洩検知装置
JP3641506B2 (ja) * 1995-04-26 2005-04-20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漏れ警報器
KR101774362B1 (ko) 2016-02-29 2017-09-19 이정명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78Y1 (ko) * 2001-01-20 2001-06-15 이기원 가스누설경보기의 단자대 인출장치
KR100654057B1 (ko) * 2005-12-22 2006-12-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조인트부의 가스누설 점검장치
KR20160052184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스피드터치 열전소자를 적용한 발열 감지 및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900B2 (ja) * 1994-05-20 2001-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ス漏洩検知装置
JP3641506B2 (ja) * 1995-04-26 2005-04-20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漏れ警報器
KR101774362B1 (ko) 2016-02-29 2017-09-19 이정명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068B1 (ko) 2018-06-26 2019-03-25 방병주 가스 압력 측정 게이지가 구비된 가스 연결관 장치
KR101962070B1 (ko) 2018-07-05 2019-03-25 방병주 가스 압력 측정 게이지가 구비된 가스 연결관 장치
KR102083586B1 (ko) 2018-09-11 2020-03-02 방병주 밀폐성을 구비한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KR20200144235A (ko)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다중 검출 인자에 기반한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44237A (ko)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미세 가스누출 검출이 가능한 멀티센싱모듈의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9763B1 (ko) * 2023-05-19 2023-08-23 국방과학연구소 탄약 내부 독성 화학물질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충격완화 안전기능이 포함된 탄약 천공장치 및 탄약 내부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611A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372B1 (ko) 가스 누설 확인이 가능한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
US10982888B2 (en) Refrigerant charg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11118820B2 (en) Servic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959197B1 (en) Smart valve
CN202938025U (zh) 气体泄漏检测装置
US20080216491A1 (en) Pressure gauges and methods of use
KR101625645B1 (ko) 배관 수압 테스트용 블라인드 플랜지
EP1543309B1 (de) Prüfleckeinrichtung für einen schnüffellecksucher
US7581433B2 (en) Cylinder leak detector
US7107781B2 (en) Pressure testing and refrigerant recharging hose assembly for automobiles
US3438397A (en) Pressure test plug and means for bypassing gas meters
EP2311756A1 (en) Leakage self-help container for stocking hazardous chemical products
US7124598B2 (en) Pressure testing and refrigerant recharging conduit assembly for automobiles
KR101962070B1 (ko) 가스 압력 측정 게이지가 구비된 가스 연결관 장치
EP2545353B1 (en) Measuring needle with non return valve function
KR20160001352U (ko) 가스안전 게이지 밸브
KR101954163B1 (ko) 누설탐지 외부부착형 및 누설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가지는 볼밸브
JP2001349500A (ja) 蛇腹型伸縮管継手の漏洩検知装置
JP7287769B2 (ja) ハンディ型ガス検知器
KR20180129008A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EP3271644A2 (en) A shut-off valve
CN115615728A (zh) 泄爆装置的测试方法、测试系统和泄爆装置
GB2562527A (en) A venting valve assembly for a fluid storage vessel
GB2523377A (en) Hydrostatic testing apparatus
IT9003530A1 (it) Sistema per il controllo della alimentazione dei gas ad apparecchiature sanitarie, in particolare ad apparecchiature per aneste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