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283B1 -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 Google Patents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283B1
KR101845283B1 KR1020160161281A KR20160161281A KR101845283B1 KR 101845283 B1 KR101845283 B1 KR 101845283B1 KR 1020160161281 A KR1020160161281 A KR 1020160161281A KR 20160161281 A KR20160161281 A KR 20160161281A KR 101845283 B1 KR101845283 B1 KR 10184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environment information
sensor
time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호
노연희
오민규
계형은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2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2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 of a nonsmoking area.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group for generating at least one sensor data tha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erver for gen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sensor data and provid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accurate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sensor data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ensor data. So, highly reliable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urther, highly reliable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changing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in correspondence with an input paramet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provide highly reliable environment information requested by a user. On the other hand,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used for visualization, enforcement, and the like. So,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an area, and can be used for determining the timing and frequency of enforcement.

Description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본 발명은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데이터의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금역구역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oking cessation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oking cessation monitoring method for monitoring smoking cessation area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sensor data.

흡연은 흡연자뿐 아니라 비흡연자에게도 간접 흡연의 피해를 줄 수 있다. 이에, 버스 정류장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흡연이 금지되고 있다. 또한 금연구역에서 흡연이 적발될 경우에는 과태료, 범칙금 등을 부과하고 있다.Smoking can cause harm to secondhand smoke not only to smokers but also to nonsmokers. Smoking is prohibited in public places such as bus stops. If smoking is detected in the smoking area, penalties and penalties are imposed.

그러나, 금연구역의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 및 단속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신고시 신고자 노출 등으로 인한 시민 참여 저하 및 단속 요원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금연구역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단속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However, various monitoring methods and control methods of smoking cessation areas have been attempted, but it is difficult to monitor and control the smoking cessation area in real time due to the lack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lack of enforcement agents due to the disclosure of the declarant.

또한, 센서데이터의 레벨만을 이용하여 단순 모니터링하므로 그 정확도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simply monitored using only the level of the sensor data, the accuracy is also low.

이에 신뢰도가 높은 모니터링 기법이 필요하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단속 및 환경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Therefore, a reliable monitoring technique is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ontro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techniqu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16465호(공개일 2010.11.0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16465 (published on November 11, 20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데이터의 통계 분석을 통해 신뢰도 높은 환경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정확한 환경정보의 선별적 제공 및 시각화 처리, 단속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ly reli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sensor data,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 of a smoking cigaret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군; 상기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따라 통계 기법을 변경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oking cesspit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sensor group for generating at least one sensor data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erver for genera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y chang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sensor data and the input variable generated in real time, and provid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군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센서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데이터 수신부; 상기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따라 통계 기법을 변경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server includes: a sensor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ensor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group; A data analyzer for genera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changing a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an accumulation amount of the sensor data and an input variable generated in real tim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n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센서데이터의 누적량을 판단하는 누적량 판단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입력변수를 판단하는 입력변수 판단부; 및 설정된 단위시간별로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발생되는 입력변수의 조합으로부터 분석 기법을 변경하면서 통계 처리를 수행하는 통계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ata analyzing unit may include: a cumulative amoun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cumulative amount of the sensor data; An input variabl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n input variable input in real time; And a statistic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statistical processing while changing an analysis technique from a combination of an accumulation amount of sensor data and an input variable to be generated for each set unit time.

여기에,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는, 통계 분석을 통해 단속 시기나 빈도를 결정하는 단속여부 판단부;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시각화 처리하여 시각데이터를 생성하는 시각화 처리부; 및 외부요청에 대응하여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선별 추출하는 데이터 선별 추출부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data analysis unit may include an intermittenc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intermittent period or frequency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ly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generate visual data; And a data sorting and extracting unit for selectively extracting statistical analyzed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request.

한편, 본 발명의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은, 서버에 의해 실행되며, 서버가, 센서군으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따라 통계 기법을 변경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smoking cessation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sensor data from a sensor group, the server being executed by a server; Gen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by changing a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an accumulation amount of the sensor data and an input variable generated in real time; And provid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이 때, 상기 환경정보는 통계 분석을 통해 단속 시기나 빈도를 결정하거나,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시각화 처리하여 시각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외부요청에 대응하여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선별 추출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time and frequency of enforcement by statistical analysis, to generate visual data by visualizing the statistical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or to extract the statistical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request .

상기 입력변수는, 인체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조도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 중에서 생성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데이터일 수 있다.The input variable may be at least one sensor data generated from a human body sensor, a gas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flame sens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센서데이터의 누적 및 이의 통계 분석을 통해 더욱 정확한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신뢰도 높은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데이터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 등에 대응하여 통계 분석의 기법을 변경시킴으로써 더욱 신뢰도 높은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신뢰도 높은 환경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oke monitoring system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accur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rough accumulation of sensor data and statistical analysis thereof, thereby providing highly reli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Further, by changing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data accumulation amount and input parameters generated in real time, more reli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ly reli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can be selectively provided.

한편, 환경정보를 시각화 처리, 단속 등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직관적으로 해당 지역의 환경상태를 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속 시기나 빈도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used for visualization, interception, and the like, so that it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area, and can be used for determining the timing and frequency of enforc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시보드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oking cessatio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analy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 of a smo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form of a das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And the like.

먼저, 본 발명의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다.First, components used in the smoking cessatio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 개발용 싱글보드 PC로서, 부착된 센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aspberry Pi: A single board PC for development, which collects sensor data in real time from attached sensors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 인체감지센서 : 적외선을 감지하여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f human by detecting infrared rays.

- 가스감지센서 : 담배 연기 등을 포함한 가스 성분을 감지하여 통합 수치로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Gas detection sensor: Detects gas components including smoke, etc. and displays the integrated value.

- 조도감지센서 : 빛의 양을 감지하여 수치로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Illumination detection sensor: I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and performs numerical display function.

- 불꽃감지센서 :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 위험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lame detection sensor: Detects flame and determines the risk of fire.

-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 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센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al-time database: Load sensor data received from sensors in real time.

- 누적 데이터베이스 :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 센서데이터들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로 적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umulative database: Loads sensor data loaded in real-time database on daily, weekly, monthly and yearly bas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oking cessatio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군(1)과, 센서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와,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moking cesspit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group 1 for generating at least one sensor data tha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ensor unit 1 for gen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sensor data, A server 2, and an output device 3 for output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여기서, 센서군(1)은 인체감지센서(11), 가스감지센서(12), 조도감지센서(13), 불꽃감지센서(14)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센서군(1)은 라즈베리 파이에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센서군(1)을 환경센서라 명명하기로 한다.Here, the sensor group 1 include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a gas detection sensor 12, an illumination detection sensor 13, a flame detection sensor 14, and the like. The sensor group 1 may be configured in a raspberry pie. Hereinafter, the sensor group 1 will be referred to as an environmental sensor.

한편, 환경센서(1)는 출력장치(3)와 함께 금연구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금연구역은 버스정류장 등의 공공장소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sensor 1 can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output device 3 in a smoking area or the like. Here, the smoking area means a public place such as a bus stop.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4개의 환경센서(1)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라즈베리 파이와, 라즈베리 파이로부터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센서데이터를 수신받아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또는 누적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2)와, 클라우드 서버(2)가 전송한 환경정보를 토대로 각종 환경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장치(3)인 대시보드 등에 나타내어주는 웹 브라우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서는 라즈베리 파이와 서버(2)간 통신으로 와이파이 무선통신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moke-fre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aspberry Pie, which collects data through four environmental sensors 1, sensor data received from a Raspberry Pie via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And a web browser for visualizing various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loud server 2 and display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n a dashboard or the like as the output device 3 . The present embodiment exemplifies a Wi-Fi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y communication between the raspberry pie and the server 2, but it is not limited to 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a Time Division Multi Access (TDMA), 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FDMA), an Orthogonal Various communication such as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AN), Single Carrier-FDMA (SCFDMA), Personal Area Network (PAN), Wide Area Network (WAN), Infrared Data Assoication (IrDA) Method can be used.

웹 브라우저가 운영되는 컴퓨터는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전화, 무선 통신이 가능한 PC, 핸드폰, 키오스크, 셀룰러 폰, 셀룰러, 셀룰러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단말, 원격국,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국,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무선 모뎀과 같은, 무선 접속 매커니즘을 사용할 있는 임의의 장치 등을 포함한다.The computer on which the web browser is operated is a communicable computer device having an internet browser capable of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web, and may be a personal computer such as a desktop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A cellular phone, a cellular telephone, a cellular phone, a cellular phone, a subscriber unit,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tation, a terminal, a remote statio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Such as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elephone, a wireless local loop (WLL) station, a handheld device having a wireless connection capability, a wireless modem, any devic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mechanism, and the like.

라즈베리 파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체감지센서(11), 가스감지센서(12), 조도감지센서(13), 불꽃감지센서(14) 등이 회로에 구성되며, 각각의 센서들은 조건에 맞는 센서데이터를 생성하였을 경우 이를 클라우드 서버(2)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aspberry pie is constituted by a human body sensor 11, a gas sensor 12, an illuminance sensor 13, a flame sensor 14, etc., It transmits it to the cloud server 2.

인체감지센서(11)는 사람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인체가 감지될 경우 센서값이 1이 될 경우, 센서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로 전송한다.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can use a sensor for detecting infrared rays of a human being.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the sensor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2 when the sensor value becomes 1.

가스감지센서(12)는 흡연 상황일 경우 센서값이 특정 수치 이상이 될 경우, 센서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로 전송한다.The gas sensor 12 transmits the sensor data to the cloud server 2 when the sensor value becomes a specific value or more in the case of a smoking situation.

조도감지센서(13)는 센서값에 관계없이 모든 센서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로 전송한다. 이 값은 센서데이터를 받은 시각이 낮인지 밤인지 판별할 때 사용된다.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13 transmits all the sensor data to the cloud server 2 regardless of the sensor value. This valu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data was received day or night.

불꽃감지센서(14)는 화재 위험이 있는 불꽃 크기가 감지될 경우 센서값이 특정 수치 이상이 될 경우, 클라우드 서버(2)로 전송하여 위험을 경보한다.The flame detection sensor 14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cloud server 2 to alert the user of the risk if the flame size is detected.

환경센서(1)가 전송한 센서데이터들은 클라우드 서버(2)에 적재되는데, 클라우드 서버(2)는 실시간 DB(Data Base)와 누적 DB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DB에 우선적으로 모든 센서데이터를 적재하고, 적재된 센서데이터들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로 묶어서 누적 DB에 추후 적재한다.The sensor data transmitted by the environment sensor 1 is loaded on the cloud server 2, and the cloud server 2 can be configured with a real time DB and a cumulative DB. All sensor data is loaded first in the real-time database, and the loaded sensor data is grouped into daily, weekly, monthly, and yearly units, and then stored in the cumulative DB.

또한 적재된 센서데이터들은 대시보드로 실시간 전송된다. 대시보드는 실시간 대시보드와 누적 대시보드로 구분될 수도 있다.Also, the loaded sensor data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dashboard. Dashboards can be divided into real-time dashboards and cumulative dashboards.

실시간 대시보드는 전송받은 센서데이터를 지역별 그래프와 시간대별 그래프로 웹 브라우저에 출력한다.The real-time dashboard displays the received sensor data to the web browser as a graph of the area and a graph of the time frame.

누적 대시보드는 전송받은 센서데이터를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로 웹 브라우저에 출력한다. 또한 지역별 그래프와 시간대별 그래프를 출력한다. 이 때, 전체 지역 평균 증감량, 전체 지역 최대 증감량, 전체 지역 최소 증감량, 전체 시간 평균 증감량, 전체 시간 최대 증감량, 전체 시간 최소 증감량 등의 그래프를 함께 출력한다. 전체 지역 통계 순위와 전체 시간 통계 순위 또한 텍스트로 출력할 수 있다.The cumulative dashboard displays the sensor data sent to the web browser on a daily, weekly, monthly, or yearly basis. It also displays graphs by region and time. At this time, graphs such as total area average increase / decrease, total area maximum increase / decrease, total area minimum increase / decrease, total time average increase / decrease, total time maximum increase / decrease, and total time minimum increase / decrease are displayed together. Total local statistical rankings and total time statistical rankings can also be output as tex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2)는, 환경센서(1)로부터 전달된 센서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데이터 수신부(21)와, 센서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22)와,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3)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정보 제공부(24)를 포함한다.2, the serv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data receiving unit 21 for receiving sensor data transmitted from the environment sensor 1, a data analyzing unit 21 for statistically analyzing the sensor data, A storage unit 23 for stor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n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서버(2)는, 일례로서, 환경센서(1)로부터 전달된 센서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즉, 센서 부분에서 4종류의 환경센서(1)가 금연구역에서의 흡연 여부를 감지하고 판단한 후 서버(2)로 센서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서버(2)에서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전송받은 실시간 데이터를 적재한다. 이어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센서데이터에 대해 통계 분석을 수행한다. 통계 분석을 통해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정보는 저장된다. 그 후, 서버(2)에서 대시보드로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대시보드에서는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실시간 대시보드와 누적 대시보드에 지역별 그래프와 시간대별 그래프, 전체 지역 평균 증감량, 전체 지역 최대 증감량, 전체 지역 최소 증감량, 전체 시간 평균 증감량, 전체 시간 최대 증감량, 전체 시간 최소 증감량 등의 그래프를 출력한다. 전체 지역 통계 순위와 전체 시간 통계 순위는 텍스트로 출력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환경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선별적으로 환경정보를 제공한다.The server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for example, sensor data transmitted from the environment sensor 1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That is, four kinds of environmental sensors 1 in the sensor part sense and judge whether or not to smoke in the smoking area, and then periodically transmit the sensor data to the server 2. The server 2 loads real-time data received from the Raspberry pie. Then,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database data of the senso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generated environment information is stored. Thereafter, the server 2 transmits environment information in real time to the dashboard. The dashboard reads the data values and displays the regional graphs and time-of-day graphs in the real-time dashboards and cumulative dashboards, the total area average increase / decrease, the total area maximum increase / decrease, the total area minimum increase / decrease, The maximum increase / decrease amount, the total time minimum increase / decrease amount, and the like. Total area statistical rankings and total time statistical rankings are output as text. On the other hand, when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outs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selectively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분석부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analy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분석부(22)는, 센서데이터의 누적량을 판단하는 누적량 판단부(221)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입력변수를 판단하는 입력변수 판단부(222)와, 설정된 단위시간별로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발생되는 입력변수의 조합으로부터 분석 기법을 변경하면서 통계 처리를 수행하는 통계 처리부(223)를 포함한다.3, the data analyzing uni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umulation amount determining unit 221 for determining an accumulation amount of sensor data, an input variable determining unit 222 for determining an input variable inputted in real time, And a statistical processing unit 223 for performing statistical processing while changing an analysis technique from a combination of an accumulation amount of sensor data and an input variable to be generated for each set unit time.

여기서, 누적량 판단부는 시간단위로 누적량을 판단하며, 입력변수 판단부는 초단위로 입력변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ccumulation amoun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accumulation amount in units of time, and the input variabl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input variable in units of seconds.

여기에, 통계 분석을 통해 단속 시기나 빈도를 결정하는 단속여부 판단부(224)와,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시각화 처리하여 시각데이터를 생성하는 시각화 처리부(225)와, 외부요청에 대응하여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선별 추출하는 데이터 선별 추출부(226)를 포함한다.A visualization processing unit 225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ly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generating visual data, and a statistical analysis unit 223 for statistically analyzing the statistics And a data selection / extraction unit 226 for selectively extracting the analyzed environment information.

한편, 데이터 선별 추출부(226)는 센서데이터를 지역별로 관리하는 지역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ata sorting and extracting unit 226 preferably includes a region management unit (not shown) for managing the sensor data by reg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데이터 분석부(22)는, 일례로서, 인체감지 센서데이터, 가스감지 센서데이터, 조도감지 센서데이터 및 불꽃감지 센서데이터를 시간대별로 통계 분석한다. 여기서, 통계 분석은 누적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표본조사, 데이터 및 변수, 기초 통계 분석, 카이 검증, 독립성 검증, 차이 검증, 분산분석, 공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생존분석, 판별분석 및 다차원척도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계 분석은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대응하여 적용 모델이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analyzer 2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tatistically analyzes human body sensor data, gas sensor data, illuminance sensor data, and flame sensor data by time. Statistical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umulative database, such as sample survey, data and variables, basic statistical analysis, Kai verification, independence verification, difference verification, variance analysis, covarianc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survival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can be selectively appli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istical analysis is continuous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sensor data and the real-time input parameter.

이어서,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에 대해, 텍스트, 명도기법, 그래프기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각데이터를 생성한다. 시각데이터는 대시보드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데이터를 서버(2)측에서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시각데이터는 대시보드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선별 추출하여 제공하고, 시각데이터도 함께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요청된 환경정보는 지역별로 관리하여 실시간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various visual data including text, brightness technique, graph technique, and the like are generated for the statistically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visual data is delivered to the dashboard and displayed. In this embodiment, the time data is generated on the server 2 side, but the time data may be generated on the dashbo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n external request,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istical analyzed environment information is selectively extracted and provided, and the time data is also transmitted.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requested environment information is managed for each region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in real time.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 of a smok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 of a smo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환경센서(1)에서는 인체감지 센서데이터, 가스감지 센서데이터, 조도감지 센서데이터 및 불꽃감지 센서데이터가 생성되면(S1), 이를 서버(2)로 전송한다(S2).Referring to FIG. 4, in the environmental sensor 1, human body sensor data, gas sensor data, roughness sensor data, and flame sensor data are generated (S1)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 (S2).

이에 서버(2)에서는 센서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S3), 이를 저장한다(S4).The server 2 statistically analyzes the sensor data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S3), and store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S4).

그리고, 서버(2)는 환경정보를 출력장치(3)인 대시보드 등으로 실시간 전송한다(S5).Then, the server 2 transmit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dashboard, which is the output apparatus 3, in real time (S5).

대시보드(3)에서는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실시간 대시보드와 누적 대시보드에 지역별 그래프와 시간대별 그래프, 전체 지역 평균 증감량, 전체 지역 최대 증감량, 전체 지역 최소 증감량, 전체 시간 평균 증감량, 전체 시간 최대 증감량, 전체 시간 최소 증감량 등의 그래프를 출력한다. 전체 지역 통계 순위와 전체 시간 통계 순위는 텍스트로 출력한다(S6).In the dashboard (3), the data values are read and displayed on the real-time dashboard and the cumulative dashboard by region graph and time-of-day graph, total area average increase / decrease, total area maximum increase / decrease, , Total time maximum increase / decrease and total time minimum increase / decrease amount. The total regional statistical ranking and the total time statistical ranking are output as text (S6).

한편, 환경정보는 통계 분석을 통해 단속 시기나 빈도를 결정하거나,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시각화 처리하여 시각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외부요청에 대응하여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선별 추출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진행하게 된다(S7).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selectively processed by statist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time and frequency of enforcement, visual data of statistical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generate visual data, and selective extraction of statistical analyzed environment information in response to external request (S7).

여기서, 통계 분석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tatistical analysis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누적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 가스감지 센서데이터가 단위시간당 100개 미만일 경우에는 기초 통계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gas sensor data stored in the cumulative database is less than 100 per unit time, statistical process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한편, 누적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 가스감지 센서데이터가 단위시간당 101 ~ 200개일 경우에는 다변량분산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as sensor data stored in the cumulative database is 101 to 200 units per unit time, statistical process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multivariate analysis.

그리고, 여기에 일례로서 조도감지 센서데이터, 불꽃감지 센서데이터가 입력변수로 포함될 경우에는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생존분석, 판별분석 및 다차원척도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Herein, when the illumination sensor data and the flame sensor data are included as input variables, it can be changed to any one of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survival analysis, discrimination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

이는 설정시간동안 발생되는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대응하여 다양한 통계 기법이 변경되면서 환경정보를 생성하게 된다.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hang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amount of sensor data generated during the set time and input parameters generated in real time.

이와 같이,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대응하여 통계 기법 모델을 변경하면서 통계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누적량과 입력변수에 대응하는 통계 기법이 미리 설정되어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statistical processing is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model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sensor data and the input variables generated in real tim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istical technique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amount and the input variable is set and set in advance.

한편, 단속 시기나 빈도를 결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수순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eriod or frequency of the inter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먼저, 단속여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3단계 레벨을 설정한다. 일례로서, 1단계는 가스레벨이 0 ~ 150, 2단계는 가스레벨이 151 ~ 300, 3단계는 가스레벨이 301 ~ 600인 것으로 설정한다. 즉, 1단계는 금연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이고, 2단계는 금연상태와 흡연의 경계에 있는 상태이고, 3단계는 흡연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First, in order to generate intermittency data, for example, a three-level level is set. As an example, the gas level is set to 0 to 150 for the first stage, the gas level is set to 151 to 300 for the second stage, and the gas level is set to 301 to 600 for the third stage. That is, the first stage is a state in which a state of quitting is maintained, the second state is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quit smoking and the state of being in the boundary of smoking, and the third state is a state of smoking.

이 때, 이러한 단계별로 조도감지센서(13) 및 불꽃감지센서(14)의 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조합이 이루어지는 조건은 설정된 시간동안의 변화증감률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조도감지 센서데이터 및 불꽃감지 센서데이터의 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도감지 센서데이터가 대낮에 준하는 밝기임에도 불구하고 불꽃감지 센서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흡연이 이루어지는 것이 확실하므로 단속여부 데이터를 생성하며, 조도감지 센서데이터가 밤에 준하는 밝기일 때 불꽃감지 센서데이터가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흡연상태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단속여부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At this time, a combination of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13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14 is performed at each of the above-mentioned steps. When the change rate of change over the set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A combination of detection sensor data is made. Preferably, even if the illumination sensor data is in a brightness comparable to that of the daytime, if the flame sensor dat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smoking is surely performed, so intermittency data is generated. When the illumination sensor data is brightness equivalent to night When the flame detection sensor data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smoking status is not clear, so no intermission data is generated.

[실시예 1][Example 1]

모든 환경센서(1)는 특정 순간에만 작동하는 것이 아닌, 상시 작동되고 있음을 명시한다. 라즈베리 파이를 설치한 금연구역에 사람의 접근이 감지될 경우에는 인체감지센서(11)가 센서값 1을 출력하고, 접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접근한 사람이 담배를 피울 경우에는 가스감지센서(12)의 센서값이 400 이상을 출력하고, 평상시에는 100 ~ 150 정도를 출력한다. 이를 통하여 금연구역 접근자의 흡연 사실을 판단한다. 조도감지센서(13)의 경우 낮 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의 빛의 양을 감지하고, 밤 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의 빛의 양을 감지하여 출력한다. 이 때, 인체감지센서(11)와 가스감지센서(12)를 통해 금연구역에서의 흡연 사실이 확인될 경우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한 만약 흡연자가 담뱃불을 제대로 끄고 가지 않았을 때를 대비하여 불꽃감지센서(14)가 근처의 불꽃 여부를 감지한다. 화재 위험이 있는 크기의 불꽃이 감지되었을 경우 위험 여부를 클라우드 서버(2)로 전송한다.All the environmental sensors 1 indicate that they are always operating, not only at a specific moment.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outputs the sensor value 1 when the person's approach is detected in the smoking area where the raspberry pie is installed and outputs 0 when the approach is not detected. When a person approaches the cigarette, the sensor value of the gas detection sensor 12 is 400 or more and normally 100 to 150. Through this,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smoker is accessing the smoking area. In the case of the illuminance sensor 13, a relatively high amount of light is detected during the daytime, and a relatively low amount of light is detected during the night time. At this time, when smoking is detected in the smoking area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11 and the gas sensor 12, all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2 in real time. Also, in case the smoker does not turn off the cigarette properly, the flame sensor 14 detects whether there is a nearby flame. If a flame of a size that is of a fire hazard is detected, the risk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2).

[실시예 2][Example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3)는, 가장 메인이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라즈베리 파이에 부착된 센서에서 받아오는 값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대시보드 탭이 있다. 이하, 실시간 탭으로 명명한다. 지도모양의 화면에는 지역별로 설치된 라즈베리 파이에서 받아오는 센서값들의 분포 차이를 색의 명도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이 때, 명도는 수치별로 다르며 1부터 최대치까지 점점 더 진해진다. 다음 지도 옆의 두 개의 그래프는 시간대별로 흡연여부를 카운트하는 그래프이다. 0시부터 24시까지 측정하며, 전국의 흡연여부를 카운트하여 시간대별로 출력된다. 막대그래프 형태와 꺾은선 그래프 형태 두 가지로 표현된다. 지도 그래프에서 센서가 설치된 특정 지역을 클릭할 경우 그 지역만을 표시하는 새로운 지도 형태가 화면에 출력되며, 도, 시, 군, 구 까지 세부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표시되는 범위에 따라 옆의 시간대별 그래프도 그 범위안의 시간대별 카운트 양만 그래프에 출력된다. 왼쪽의 2개의 탭 중 윗부분이 현재 표현한 UI의 탭이며 두 번째 탭은 일일별로 누적된 카운트 양들을 보여주는 누적 대시보드 탭이다. 이하, 누적 탭이라 명명한다. 누적 탭 안의 누적 그래프 또한 지역별, 시간대별 두 가지 기준으로 표현되며, 누적 단위를 일, 주, 월, 년도 별로 날짜 단위 버튼을 클릭하여 볼 수 있다. 일 버튼을 클릭하면 일 단위로 누적 그래프가 출력되고, 주, 월, 년도 단위 버튼을 클릭하면 주, 월, 년도 단위로 누적 그래프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직접 날짜의 범위를 지정하여 볼 수도 있다. 이 때의 지도 그래프, 시간대별 그래프는 실시간 탭의 형태와 같다. 누적 탭의 경우 두 가지 그래프 이외에 순위별 차트 또한 표현된다. 이 또한 지역별, 시간대 별로 표현되며, 지역별 차트는 현재 측정되는 지역 중 시 단위로 가장 많이 카운트되는 지역을 1순위에서 3순위까지 화면에 출력해준다. 시간대별 차트는 전국의 시간대별 카운트 양중 가장 높은 시간대부터 3순위까지 화면에 출력해준다.As shown in FIG. 5, the dashboard 3 has a dashboard tab that displays, in real time, a value received from a sensor attached to a raspberry pie as a main user interface. Hereinafter, the real time tap is named. On the map-shaped screen, the distribution difference of the sensor values received from the raspberry pie installed in each region is expressed by color brightness. At this time, the brightness varies from one value to the next,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1 to the maximum value. The two graphs next to the map are graphs that count the smoking status by time zone. It is measured from 0:00 to 24:00, and it is counted whether or not to smoke in the whole country and it is outputted by time zone. It is expressed in bar graph form and line graph form. If you click on a specific region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in the map graph, a new map type that displays only the reg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details of the map, city, group, and sphere can be output. Depending on the displayed range, the time graph for the next time is also displayed on the graph only for the amount of time in the range. The top of the two tabs on the left is the tab for the currently rendered UI, and the second tab is the cumulative dashboard tab showing cumulative counts for each day. Hereinafter, it is called a cumulative tap. The cumulative graph in the cumulative tab is also expressed in two different criteria according to region and time, and cumulative units can be viewed by clicking the date unit button for each day, week, month, and year. If you click the day button, cumulative graph will be output on a daily basis. If you click the week, month, year button, cumulative graph will be output in week, month and year. You can also specify the date range by yourself. At this time, the map graph and time graph are the same as the real time tab. In addition to the two graphs, a ranked chart is also displayed for the accumulation tab. This is also expressed by region and time zone, and the regional chart displays the region counte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rank, which is the most counted by the hour among the currently measured regions. The time chart shows the time from the highest time to the third among all the time counts in the whole country.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or more exemplary implementations, the functions present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the functions may be stored on or transmitted via one or more instructions or code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any medium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a computer program from one place to another. The storage medium may be any general purpose computer or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special purpose computer.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such computer-readable media can comprise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RAM, ROM, E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edia, magnetic disk storage media or other magnetic storage devices, But not limited to, a general purpose computer, a special purpose computer, a general purpose processor, or any other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particular processor.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connection means may be considered as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xample, when software is transmitted over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a coaxial cable, a fiber optic cable, a twisted pair, a digital subscriber line (DSL), or an infrared radio, and a microwave from a web site, server, or other remote source,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cable, fiber optic cable, twisted pair, DSL, or infrared radio, and microwave may be included within the definition of such medium. The discs and discs used here include compact discs (CDs), laser discs, optical discs, DVDs, floppy discs, and Blu-ray discs where disc plays the data magnetically, As shown in FIG. The combinations may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computer readable media.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엘리먼트, 컴포넌트, 논리블록,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various illustrative elements, components, logical blocks, modules, and algorithm step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electronic hardware, computer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In order to clarify the interchangeability of hard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components, blocks, modules and steps have been described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depends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se functions in varying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but such implementation decisions are not necessarily outside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개시물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illustrative logical blocks and modul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or performed with a general purpose process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othe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ransistor logic, discrete hardware components, or any combination design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A general purpose processor may be a microprocessor;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such a processor may be an existing 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or state machine.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comput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 combination of such configurations.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및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For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various illustrative logic, logic blocks, and modules of processing unit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spec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Such a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discrete gate or transistor logic, discrete hardware components, general purpose processors, Controllers, microprocessors, other electronic units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general purpose processor may be a microprocessor, but, in the alternative, it may be any conventional 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or state machine. The processor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computing devices (e.g.,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ny other suitable configuration). Additionally, at least on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capable of implementing one or more of the steps and / or operations described herein.

게다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은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또는 명령들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In addition, various aspects or featur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 method, apparatus, or article of manufacture using standard programming and / or engineering techniques. Moreover, steps and / or operation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spec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the two. Additionally, in some aspects, steps or acts of a method or algorithm may be present as a machine-readable medium, or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any combination of codes or instructions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It can be integrated into computer program stuff. The term article of manufacture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 computer program accessible from any suitable computer-readable device or medium.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 : 환경센서
2 : 서버
3 : 출력장치
1: Environmental sensor
2: Server
3: Output device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각각의 센서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조도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센서군; 상기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따라 통계 기법을 변경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상기 인체감지 센서데이터, 가스감지 센서데이터, 조도감지 센서데이터 및 불꽃감지 센서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센서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센서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정시간 동안 발생하는 센서데이터의 누적량과 실시간 발생되는 입력변수에 따라 통계 기법을 변경하면서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정보는 통계 분석을 통해 단속 시기나 빈도를 결정하거나,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시각화 처리하여 시각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외부요청에 대응하여 통계 분석된 환경정보를 선별 추출하는 작업을 진행하며,
상기 출력장치에서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실시간 대시보드와 누적 대시보드에 지역별 그래프와 시간대별 그래프, 전체 지역 평균 증감량, 전체 지역 최대 증감량, 전체 지역 최소 증감량, 전체 시간 평균 증감량, 전체 시간 최대 증감량, 또는 전체 시간 최소 증감량의 그래프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
A sensor group including a human body sensor, a gas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flame sensor for generating respective sensor data; A server for genera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changing a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an accumulation amount of the sensor data and an input variable generated in real time;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 transmitting the human body sensor data, the gas sensor data, the illumination sensor data, and the flame sensor data to a server;
(b)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ensor data by the server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 transmit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step (b) of genera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sensor data comprise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while chang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sensor data generated during the set time and the input variable generated in real tim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period or frequency of enforcement by statistical analysis, generate visual data by visualizing the statistically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or selectively extract statistical analyze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request,
The data is read from the output device and displayed on a real-time dashboard and a cumulative dashboard by a region graph and a time line graph, a total area average increase / decrease, a total area maximum increase / decrease, A time maximum increase / decrease, or a total time minimum increase / decrease amount, based on a result of the comparison.
삭제delet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센서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조도감지센서와 불꽃감지센서의 조합이 이루어지는 조건은 설정된 시간동안의 변화증감률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조도감지 센서데이터와 불꽃감지 센서데이터의 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b) of gen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sensor data,
Wherein the combination of the illumination sensor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is a combination of the illumination sensor data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data when the rate of change during the set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How to monit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센서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조도감지 센서데이터와 불꽃감지 센서데이터가 입력변수로 포함될 경우의 통계분석은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생존분석, 판별분석 및 다차원척도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구역 환경 모니터링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b) of gen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sensor data,
The statistical analysis when the illumination sensor data and the flame sensor data are included as input variables is changed to any one of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survival analysis, discrimination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Non - smoking area environmental monitoring method.
KR1020160161281A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KR1018452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81A KR101845283B1 (en)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81A KR101845283B1 (en)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283B1 true KR101845283B1 (en) 2018-04-05

Family

ID=6197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281A KR101845283B1 (en)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2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01A (en) * 2020-08-12 2022-0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anaging service Method for Non-smoking area and system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79B1 (en) * 2012-03-26 2013-10-02 (주)케이웍스 Non-smoking are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79B1 (en) * 2012-03-26 2013-10-02 (주)케이웍스 Non-smoking are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01A (en) * 2020-08-12 2022-0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anaging service Method for Non-smoking area and system thereof
KR102375686B1 (en) * 2020-08-12 2022-03-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anaging service Method for Non-smoking area and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0894B2 (en) Situation forecast mechanisms for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CN106053103B (en) Node Dynamic Data Acquiring and propagation
EP3019970B1 (en) Interoperability mechanisms for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US20160284197A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220066192A (en) Sensor device and system
US20170316320A1 (en) Predicting User Attentiveness to Electronic Notifications
US10223878B2 (en) Automatic illuminating user interface device
CN102496240B (en) Mud-rock flow early warning system
CN107566163A (en) A kind of alarm method and device of user behavior analysis association
CN103124990B (en) Fire detector
CN103876290A (en) Intelligent smoking cessat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WO2017218437A1 (en) Situation forecast mechanisms for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WO2022026384A1 (en) Providing and surfacing metrics for visualizations
KR101845283B1 (en)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 of nonsmoking area
KR101831373B1 (en) IoT(Internet of Thing) tracking server and method
WO2015027954A1 (en) Management of operational data from multiple data sources
WO2015153786A1 (en) Disturbance detection, predictive analysis, and handling system
KR100992066B1 (en) An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an 3d picture
CA3232019A1 (en) Heat-not-burn activity de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08102884A (en) Daily life degree analysis system
CN114063546A (en)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checking working state of equipment
CN112181786B (en)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inspection application
CN113949590B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safety alarm event grade
CN109497628A (en) Electronic cigarette device, smoking seat determine that system and smoking seat determine method
KR101660122B1 (en) A smoking control device, a smoking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