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015B1 - Soundproof wall - Google Patents

Soundproof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015B1
KR101845015B1 KR1020170081103A KR20170081103A KR101845015B1 KR 101845015 B1 KR101845015 B1 KR 101845015B1 KR 1020170081103 A KR1020170081103 A KR 1020170081103A KR 20170081103 A KR20170081103 A KR 20170081103A KR 101845015 B1 KR101845015 B1 KR 10184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unting
sound absorbing
soundproof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산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7008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0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0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ynthetic resin soundproof plat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prevents reduction of a soundproof effect from being caused by the synthetic resin soundproof plate through a sound absorbing means, and has a pair of soundproof plates which are mutually symmetrical. By doing s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oundproofing, introducing a rigidity-strengthening unit to the soundproof plate, providing superior durability, and maximizing a soundproof effect through a unique sound absorb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stallation frame; a soundproof plate fitted to a mounting unit and made of the synthetic resin; and the sound absorbing means provided in a space unit. The installation frame includes: an outer wall unit; the mounting unit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outer wall unit; and an inner space unit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unit.

Description

방음벽{SOUNDPROOF WALL}Sound barrier {SOUNDPROOF WALL}

본 발명은 도로, 주거 지역 등에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installed on a road or a residential area to absorb noise,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방음판을 이용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고, 흡음수단을 통해 합성수지 방음판에 의한 방음 효과 저하를 방지하며, 한 쌍의 방음판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양방향 방음이 가능하고, 방음판에 강성강화부를 도입하여 내구성이 탁월하며, 독특한 흡음구조를 통해 방음 효과를 극대화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insulation panel for a sound insulation panel,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maintenance costs by using a synthetic resin sound insulation panel, prevent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the synthetic resin sound insulation panel from being lowered through sound absorp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having an excellent durability by introducing a stiffening portion into a soundproof plate and maximizing a soundproof effect through a unique sound absorption structure.

근래에 들어서는 급속한 산업발달에 따라 교통수단의 다양화 및 교통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통수단이 다니는 도로, 철로, 공항이 확충되고 있다. 이에, 도로주변, 철로주변, 공항주변에 주거하는 주민들은 교통수단에서 발생하는 소음 때문에 큰 고통을 받고 있다. 따라서 도로, 철로, 공항을 설계할 때에는 일정한도 미만의 소음기준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음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diversification of transportation means and traffic volume are increasing, and roads, railways, and airports where such transportation means are being expanded. Therefore, the residents living near the roads, around the railway lines, and around the airport are suffering from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transportation means. Therefore, when designing roads, railways, and airports, noise standards below a certain level are strictly applied. Various types of soundproof walls are installed to satisfy such noise standards.

방음벽은 소음을 흡수하여 방음을 제공하는데(반사형, 공명형 등과 같은 방음벽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빈 공간을 흡음재로 충진하여 방음을 제공한다.The sound barrier wall absorbs noise to provide soundproofing (it does not consider a soundproof wall such as a reflection type, resonance type, etc.). Generally, a frame having an empty space is provided and an empty space is filled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to provide soundproofing.

일반적으로, 방음벽의 프레임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흡음재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로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frame of the soundproof wall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made of a fibrous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방음벽에 관한 종래의 기술들로, 등록특허 제10-1395743호(2014년05월09일)[방음패널 조립체](이하 종래기술1), 등록특허 제10-1528310호(2015년06월05일)[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방음벽 시공방법](종래기술2)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음벽은 방음패널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재의 압출에 의해 구성된다.With the prior art on soundproof walls, the soundproof panel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oundproof panel assembly ") (hereinafter referred to as " ) [Soundproof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Prior Art 2), and the like. The soundproof panel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is formed by extrusion of the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압출형 금속재로 프레임을 구성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비싸지고, 또한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나아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하더라도 방음판의 가격이 비싸서 유지보수비용 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frame is made of the extruded metal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the replacement is difficult and the maintenance is difficult, and even if the frame is detachable, the price of the soundproofing plate is expensiv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incurred.

따라서 제조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그 시공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necessity of the technology that is easy to construct and maintain can be re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프레임을 설치프레임과 이 설치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방음판으로 구성하여 방음판의 교체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방음판을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비용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frame is composed of an installation frame and a sound insulation board which is fitted to the installation frame to provide ease of replacement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and to provide a sound insulation board made of synthetic resin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또한 방음판을 합성수지로 구성함에 따라 저하되는 방음 효과를 보강할 수 있도록 흡음수단을 더 구비하되, 이 흡음수단을 극세사 흡음재와 중공으로 구성하여 흡음재의 절감은 물론 중공과 흡음재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향상된 방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sound absorb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with a sound absorbing means for reinforcing the sound absorbing effect which is lowered by constituting the sound insulating plate by a synthetic resin, and the sound absorbing means is formed of a hollow fiber and a micro acoustic absorbing material, And the like.

아울러 방음판에 강성강화부를 도입하여, 수직 하중을 포함한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durability by introducing a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into the soundproof plate to improve a resistance against an external force including a vertical load.

나아가 대칭형 양면 방음 구조를 도입하여, 전방 및 후방 모두에 대한 방음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와 같이 양 방향 방음이 필요한 환경 하에서 우수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by providing a symmetrical double-sided soundproofing structure and soundproofing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sound insulation effect can be provided under an environment in which bidirectional soundproofing is required, such as a center separator of a highway .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양 단부에 구비된 장착부와, 상기 외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부를 갖는 설치프레임, 그리고 상기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방음판, 그리고 상기 공간부에 구비된 흡음수단을 포함한다.An installation frame having an outer wall part, a mounting par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wall part, and an inner space part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part, and a sound absorbing plate fitted to the mounting part and made of synthetic resin, .

또한 상기 흡음수단은 양단이 상기 외벽부에 고정된 흡음재 및, 상기 흡음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공간부의 나머지 공간인 중공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absorbing means may include a sound absorbing material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outer wall portion and a hollow space which is a remaining space of the space portion divid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아울러 상기 방음판은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기 두 장착부 사이에서 상기 외벽부와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강성강화부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und insulation plate may have a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 as the outer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mounting portions of the installation frame.

나아가 상기 외벽부는 전방 제1외벽부 및 후방 제2외벽부를 포함,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외벽부에 구비된 제1장착부 및 상기 제2외벽부에 구비된 제2장착부를 포함, 상기 방음판은 상기 제1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방음판 및, 상기 제2장착부에 결합되는 제2방음판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uter wall part includes a front first outer wall part and a rear second outer wall part, and the mounting part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outer wall part and a second mount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outer wall part, A first sound-absorbing plate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a second sound-absorbing plate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방음판의 교체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방음판을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흡음재의 절감은 물론 중공과 흡음재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향상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직 하중을 포함한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와 같이 양 방향 방음이 필요한 환경 하에서 우수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oundproof panel with ease of replacement and to provide the soundproof panel with the synthetic resin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and to provide the soundproof effect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ollow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s well as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resistance against external force including vertical loa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durability,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soundproof effect in an environment requiring double-directional sound insulation such as a median strip of a highway.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도 및 일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도(설치프레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detailed view (installation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은 합성수지 방음판을 이용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고, 흡음수단을 통해 합성수지 방음판에 의한 방음 효과 저하를 방지하며, 한 쌍의 방음판을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양방향 방음이 가능하고, 방음판에 강성강화부를 도입하여 내구성이 탁월하며, 독특한 흡음구조를 통해 방음 효과를 극대화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ound insulation board for a sound insulation board,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by using a synthetic resin sound insulation board, prevent a sound insulation effect by a synthetic resin sound insulation board through sound absorp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having an excellent durability by introducing a stiffening portion into a soundproof plate and maximizing a soundproof effect through a unique sound absorption stru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이하 본 방음벽)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도 및 일부 구성도(방음판),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상측 시점(평면도 시점)에서 본 방음벽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예인 도 3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도 1 및 도 2의 도시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특정되어 제2실시예(도 4)에 적용하는 실시가 배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2 is a detail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 to 4 show the sound barrier seen from the top view (top view). In particular, Figs. 1 and 2 are based on Fig. 3,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ecified by the figures of Figs. 1 and 2, and the embodiment to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It should not be.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방음판(2)이 구비된 방향을 전방, 그 반대를 후방으로 설정하고, 각 도면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좌, 우를 구분한다. 이러한 방향의 특정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board 2 is provided is set for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set backwar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left and right are separated do. Unless otherwise stated, the specification of such direction shall apply equally to the Claims.

도 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면,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크게 설치프레임(1), 방음판(2), 흡음수단(3)을 포함한다.1 to 3, the present soundproof wall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stallation frame 1, a soundproofing plate 2, and a sound absorbing unit 3, as shown in FIG. 1 to FIG. .

각 구성 별로,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1)은 본 방음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방음벽의 기초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외벽부(11)와, 외벽부(11)의 양 단부에 구비된 장착부(12)와, 외벽부(11)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부(13)를 포함한다.1 to 3, the installation frame 1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soundproof wall is to be installed, and provides the foundation of the soundproof wall. The outer wall 11 and the outer wall 11, and an inner space 13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portion 11. The inner space portion 13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portion 13,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외벽부(11)는 기초벽(111), 그리고 기초벽(111)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결된 측벽(112)으로 구성되어, 상측 시점(도 1 기준)에서 바라볼 때, 'ㄷ'자 또는 'ㄷ'자 유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명확하게는 외벽부(11)는 기초벽(111)과 이 기초벽(111)의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결된 측벽(112)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outer wall portion 11 is composed of a base wall 111 and a side wall 112 vertically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base wall 111, and when viewed from an upper view (reference in FIG. 1) Quot; or " C " -like shape. More specifically, the outer wall portion 11 is composed of a base wall 111 and a side wall 112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ase wall 111.

다음, 장착부(12)는 외벽부(11)의 양 단부, 보다 명확하게는 외벽부(11) 중 측벽(112), 측벽(112) 중에서도 전방 측에 구비되는데, 설치프레임(1)이 내부에 공간부(13)를 가지면서도 방음판(2)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외벽부(11) 및 장착부(12)가 상기 구조를 따라야 하는 것은 자명한 바, 장착부(12)의 위치를 굳이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아도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행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Next, the mounting portion 1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wall portion 11, more specifically,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wall 112 and the side wall 112 of the outer wall portion 11, It is obvious that the outer wall portion 11 and the mounting portion 12 have to follow the structure in order to have the space portion 13 and the sound insulating plate 2 to be coupled with each other. It is expected that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have no difficulty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장착부(12)는 장착홈(121) 또는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12 may be composed of the mounting groove 121 or the receiving portion 122a of the bracket 122 for fixing the angle (a) or a combination thereof. .

다음, 공간부(13)는 외벽부(11)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벽(111), 측벽(112) 및 방음판(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다.Next, the space portion 13 is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portion 11, more specifically,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base wall 111, the side wall 112, and the soundproof plate 2. [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2)은 설치프레임(1)에 결합되어 방음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설치프레임(1)의 장착부(12)에 끼움 결합된다.1 to 3, the soundproofing panel 2 is composed of a plate-like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1 and provides soundproofing. The mounting portion 12 of the mounting frame 1, Respectively.

특히 본 발명은 방음판(2)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에서 합성수지는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종래의 알루미늄 압출 방식보다 저렴하게 방음벽을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다는 효과는 물론, 더불어 비용 부담 없이 주기적으로 방음판(2)을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proofing plate 2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plastic synthetic resin can be used for the synthetic resi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nd construct a soundproofing wall at a lower cost than a conventional aluminum extrusion The soundproof panel 2 can be replaced periodically without any cost and cost.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수단(3)은 설치프레임(1)의 공간부(13)에 구비되어 소음을 흡수하여, 본 방음벽의 방음 효과 향상에 기여하는 구성이다. 흡음수단(3)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는 후술하기로 한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ound absorbing means 3 is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13 of the installation frame 1 to absorb noise,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the soundproof effect of the present soundproof wall . Mor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sound-absorbing means 3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합성수지 방음판(2)을 이용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eature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by using the synthetic resin soundproof plate 2.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먼저 도 1 내지 도 4(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방음판(2)이 설치프레임(1)의 두 장착부(12) 사이에서 외벽부(11)와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강성강화부(21)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particularly Fig. 1), the present soundproofing wall is formed such that the soundproofing panel 2 protrudes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 as the outer wall portion 11 between the two mounting portions 12 of the mounting frame 1 And the reinforced stiffening portion 21 can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강성강화부(21)는 판형 부재인 방음판(2)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강성강화부(21)는 수직(상하) 방향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부가하는데, 다만 강성강화부(21)를 너무 많이 구비하게 되면 오히려 수평 방향의 외력에 대해 저항력이 너무 약화될 수 있는 바, 적절한 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 21 is formed by bending the sound insulation plate 2 which is a plate-shaped member, and a plurality of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s 21 may be provided. However, if the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 21 is provided too much, resistan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too weak.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provided in an appropriate number.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2)은 강성강화부(21)와 장착부(12) 사이에 구비되는 제2강성강화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2강성강화부(22)는 강성강화부(21)와 함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보다 향상시킨다.1, the sound insulation board 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iffening reinforcing portion 22 provided between the stiffening reinforcing portion 21 and the mounting portion 12, 22 together with the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 21 further improve the resistance against external force.

이러한 강성강화부(21), 그리고 제2강성강화부(22)를 통해 본 방음벽은 외력, 특히 수직 방향에 대한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sound-insulating wall through the rigidity-strengthen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stiffness-strengthening portion 22 has an effect of enhancing durability by enhancing the resistance against an external force, particularly an external force against a vertical direction.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설치프레임(1)이 다수의 살빼기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살빼기 홀에 의해 각 부분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soundproof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frame 1 can include a plurality of slit holes, and each slit can have different thicknesses by the slit hole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하부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1)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 외측프레임)은 가장 큰 두께인 제2두께(t2)를 갖고,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 내측프레임)은 중간 두께인 제1두께(t1)를 갖고, 외측 및 내측 어디로도 노출되지 않는 은닉된 내부 부분(이하 내부프레임)은 가장 작은 두께인 제3두께(t3)를 갖는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lower right portion of FIG. 2, the outermos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er frame) of the installation frame 1 has a second thickness t2 of the largest thickness, Th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ner frame) has a first thickness t1 which is intermediate thickness, and the hidden inner portion (hereinafter inner frame) which is not exposed to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has a third thickness t3 which is the smallest thickness.

이러한 두께 차이 특징을 통해, 본 방음벽은 가장 외력을 많이 받는 외측프레임의 두께는 두껍게, 가장 외력을 적게 받는 내부프레임의 두께는 얇게 구성함으로써, 중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필요한 부분의 강성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With this thickness difference fea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rigidity of the necessary part while minimizing the weight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frame which receives the most external force thick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frame which receives the least external force thin, have.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설치프레임(1)이 외벽부(11) 중 기초벽(111)에서 측벽(112)과 동일한 방향, 즉 전방을 향해 돌출 연장된 중간벽부(17)를 더 포함하고, 이 중간벽부(17)의 단부(전방)에는 상기한 강성강화부(21)의 형상에 상응하는 강성강화대응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2, the present soundproof wall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installation frame 1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ide wall 112 in the base wall 111 of the outer wall part 11, that is, in the middle wall part The intermediate wall 17 may further include a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17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igid reinforcing portion 21 at an end of the intermediate wall 17.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하부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강화대응부(171)는 강성강화부(21)에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만약 도 2에서처럼 강성강화부(21)가 전방 측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강성강화대응부(171)는 돌기의 형태로 구비되며, 강성강화부(21)가 후방 측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강성강화대응부(171)는 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2, the stiffness enhancing portion 21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iffness enhancing portion 21, as shown in FIG. 2,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17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and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17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when the rigidity reinforcing portion 21 protrudes rearward.

이러한 강성강화대응부(171)를 통해 본 방음벽은 강성강화부(21)로 인해 취약할 수 있는 방음판(2)의 중앙 부분의 내구성을 보완하여, 향상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ound insulation wall through the rigidity strengthening counterpart 171 complements the durability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2, which can be vulnerable due to the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 21, and can have improved durability.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설치프레임(1)이 외벽부(11)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단턱부(14)와 제2단턱부(15)를 구비할 수 있고, 특히 제1단턱부(14)는 제2단턱부(15)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present soundproof wall may have a first step portion 14 and a second step portion 15, each of which has the installation frame 1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portion 11,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first step portion 14 is further protruded inward than the second step portion 15.

이러한 제1단턱부(14) 및 제2단턱부(15)는,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재(31)가 공간부(13)에 배치될 때 흡음재(31)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소음 흡수 과정에서 진동을 중앙(기초벽(111)의 중앙) 측으로 집중시켜 방음 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3 (A), when the sound-absorbing material 31 is disposed in the space portion 13, the first and second step portions 14 and 15 are formed so that the sound- And further, the vibration is concentrated to the center (the center of the base wall 111) in the noise absorption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soundproof effect.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흡음수단(3)이 양단이 외벽부(11)에 고정된 흡음재(31) 및, 이 흡음재(31)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13)의 나머지 공간인 중공(32)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3 and 4, the present soundproof wall comprises a sound absorbing material 31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outer wall portion 11 and a space portion (not shown) partition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1 And a hollow space 32 which is a remaining spac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3 and 13.

보다 구체적으로, 흡음재(31)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흡음재(31)는 도 3 [A]와 같이 공간부(13)의 대부분을 점유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 [B]와 같이 공간부(13)의 아주 일부만을 점유하여 구비(이하 극세사 흡음재(31))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generally, a fibrous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may be used. Such a sound absorbing material 31 may occupy most of the space portion 13 as shown in Fig. 3 (A) or occupy a very small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13 as shown in Fig. 3 (B) Sound absorbing material 31).

그러나 흡음재(31)의 도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한다는 측면, 또한 중공(32)의 크기를 일정 부분 확보하여 방음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측면을 고려할 때, 도 3 [B]와 같은 극세사 흡음재(31)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at the cost of introduc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1 is reduced and the size of the hollow 32 is secured to maximize the sound insulation effect, the micro-acoustic absorbent 31 as shown in FIG. 3 [B] Is preferably used.

(여기에서 극세사 흡음재(31)가 공간부(13)의 아주 일부만을 점유한다는 개념은 공간부(13) 중에서 중공(32)이 차지하는 부피가 극세사 흡음재(31)가 차지하는 부피보다 큰 것을 의미하며, 적어도 중공(32)이 차지하는 부피가 극세사 흡음재(31)가 차지하는 부피보다 2배 이상 큰 것을 의미한다.)(Here, the concept that the micro-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31 occupies only a very small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13 means that the volume occupied by the hollow portion 32 in the space portion 13 is larger than the volume occupied by the micro- Means that the volume occupied by at least the hollow portion 32 is at least twice as large as the volume occupied by the micro-acoustic absorbent material 3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흡음재(31)와 중공(32)을 포함하는 흡음수단(3)을 통해 방음판(2)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데에 따르는 방음 효과 저하를 방지하여, 탁월한 방음 성능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terioration of the sound insulation effect due to the sound insulation board 2 made of synthetic resin through the sound absorption means 3 including the sound absorption material 31 and the hollow 32 to provide excellen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

다음으로, 제2실시예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외벽부(11)는 전방 제1외벽부(11A) 및 후방 제2외벽부(11B)를 포함하고, 장착부(12)는 제1외벽부(11A)에 구비된 제1장착부(12A) 및 제2외벽부(11B)에 구비된 제2장착부(12B)를 포함하고, 방음판(2)은 제1장착부(12A)에 결합되는 제1방음판(2A) 및 제2장착부(12B)에 결합되는 제2방음판(2B)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4, the present soundproof wall includes an outer wall portion 11 including a front first outer wall portion 11A and a rear second outer wall portion 11B, and the mounting portion 12 The sound insulation board 2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12A provided on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11A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2B provided on the second outer wall portion 11B. And a second soundproof plate 2B coupled to the first soundproof plate 2A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2B.

보다 구체적으로, 제1외벽부(11A)와 제2외벽부(11B)는 상호 대칭을 이루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제1장착부(12A)와 제2장착부(12B) 역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따라서 제1방음판(2A)과 제2방음판(2B)이 상호 대칭(평행)을 이루며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11A and the second outer wall portion 11B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12A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2B are also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2A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2B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이때 설치프레임(1)의 공간부(13)는 제1외벽부(11A)와 제2외벽부(11B), 그리고 제1방음판(2A)과 제2방음판(2B)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되므로, 제1외벽부(11A) 측과 제2외벽부(11B) 측의 공간부(13)가 서로 공유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portion 13 of the installation frame 1 is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11A, the second outer wall portion 11B,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2A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2B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11A side and the space portion 13 on the second outer wall portion 11B side are shared with each other.

상기한 대칭형 양면 방음 구조를 통해 본 방음벽은 전방 및 후방 모두에 대한 방음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와 같이,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의 방음이 필요함과 동시에 타 방향에서 일 방향으로의 방음이 필요한 경우 효과적이다.The present soundproof wall can be soundproofed both forward and rearward through the symmetrical double-sided soundproofing structure. For example, sound insulation from one direction to the other is required as in the case of a center separator of a highway, It is effective when the soundproofing is required.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흡음수단(3)이 외벽부(11)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흡음재(3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4, the present soundproof wall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33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11 to fix the sound absorbing member 31, .

이러한 고정부재(33)는 특히 극세사 타입 흡음재(31)를 도입하는 경우에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극세사 타입 흡음재(31)가 공간부(13) 내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극세사 타입 흡음재(31)의 텐션 저하에 의한 방음 효과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Such a fixing member 33 may be meaningful especially when the micro-yarn type sound-absorbing material 31 is introduced, and the micro-yarn type sound-absorbing material 31 can be maintained in a tight state in the space portion 1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ound insulation effect due to the lowering of the tension of the seat 31.

추가로, 상기한 고정부재(33)의 설치를 위해 설치프레임(1)의 외벽부(11), 그 중에서도 측벽(112)의 내측면에는 고정부재(33) 삽입을 위한 삽입홈(16)이 구비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16 for inserting the fixing member 3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11 of the mounting frame 1, .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음벽은 장착부(12)가 외벽부(11)에 형성된 장착홈(121), 또는 외벽부(11)에 결합된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4, the present soundproof wall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mounting portion 12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1 formed in the outer wall portion 11 or the bracket 122 for fixing the angle a fixed to the outer wall portion 11 , Or a combination of the two.

이러한 장착부(12)에 관한 실시를 설명하면, 먼저 장착부(12)가 외벽부(11)에 형성된 장착홈(121)으로 이루어지는 실시는 도 2에 하부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에서는 장착홈(121)에 방음판(2)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An implementation of such a mounting portion 12 is shown in the lower portion of FIG. 2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2 is first formed of the mounting groove 121 formed in the outer wall portion 11.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groove 121 The soundproof plate 2 is fitted and fixed.

또한 장착부(12)가 장착홈(121)과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로 이루어진 실시는 도 4 하부 원 영역 내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에서는 장착홈(121)에 방음판(2)을 걸치는 형태로 삽입하고 난 후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을 외벽부(11)에 결합하거나 또는 외벽부(11)에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을 선 결합한 후 방음판(2)을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로 후 삽입하는 형태로 방음판(2)의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embodiment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2 is composed of the mounting groove 121 and the receiving portion 122a of the bracket 122 for fixing the angle (a) is shown in the lower circle region of Fig. (A) fixing bracket 122 to the outer wall portion 11 or to attach the angle (a) fixing bracket 122 to the outer wall portion 11 The sound insulating plate 2 is coupl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122a of the angle bracket 122 after the sound insulating plate 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2a.

장착부(12)를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만으로 구성하는 실시는 상기 혼합 실시에서장착홈(121)을 제거하면 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embodiment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2 is constituted by only the receiving portion 122a of the bracket 122 for fixing the angle (a) only needs to remove the mounting groove 121 in the above-mentioned mixing.

이러한 장착부(12)는 방음판(2)을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방음판(2)의 교체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본 방음벽의 유지, 보수 및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한다.This mounting portion 12 allows the soundproofing plate 2 to be fitted and fitted, thereby facilitating replacement and separation of the soundproofing plate 2, thereby providing ease of maintenan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soundproofing wall.

추가로, 도 4 하부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은 당연히 앵글(a) 삽입부(123)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bottom circle area of Fig. 4, it is obvious that the angle (a) fixing bracket 122 should, of course, be provided with the angle (a)

만약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을 생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1)의 외벽부(11), 그 중에서도 특히 기초벽(111)의 후면에 앵글(a) 삽입부(123)를 홈의 형태로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3 (A), the outer wall portion 11 of the mounting frame 1, particularly the inner wall of the base wall 111, And the angle (a) insertion portion 12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n the rear surface.

이하 도 3 및 도 4의 각 실시(제1 및 제2실시예)에 대해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면, 먼저 도 3 [A]는 [단면-일반 흡음재]에 관한 실시로, 설치프레임(1)의 장착부(12)에 방음판(2)이 결합되고, 내부 공간부(13)에 흡음재(31)가 배치된 실시이다.3 (A) and 3 (B),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G. 3 (A) In which the soundproof plate 2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2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1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portion 13. [

다음으로, 도 3 [B]는 [단면-극세사 흡음재]에 관한 실시로, 극세사 흡음재(31)에 의해 중공(32)이 제1중공(321)과 제2중공(322) 두 개로 구획되는 실시이다. 이러한 실시에서는 제1중공(321)과 제2중공(322)이 상호 작용을 하여 도 3 [A]의 실시에 비해 보다 향상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3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low portion 32 is divided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321 and the second hollow portion 322 by the micro- to b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llow 321 and the second hollow 322 inter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more soundproof effect as compar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Fig. 3 [A].

다음으로, 도 3 [C]는 [단면-극세사 흡음재-2중]에 관한 실시로, 공간부(13)에 두 개의 극세사 흡음재(31), 즉 제1흡음재(311)와 제2흡음재(312)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중공(32)을 제1 내지 제3중공(321)(322)(323)으로 구획된 실시이다. 이러한 실시에서는 제1 내지 제3중공(321)(322)(323)이 상호 작용을 하기 때문에 진동에 대한 완충이 보다 강해지므로, 다시 말해 방음 효과가 보다 도 3 [B]에 비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도 3 [C]의 실시에서처럼 흡음재(31)의 수를 늘리는 것은 구조의 복잡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정밀성을 보다 요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저하되는 바, 방음 효과와 시공성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절충된 수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photosensitive sound absorbing material-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tosensitive material 31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sound absorbing material 311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material 312 The hollows 32 are divided into the first to third hollows 321, 322, and 323,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to third hollows 321, 322 and 323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buffer against vibration becomes stronger, that is, the soundproofing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FIG. 3 [B] have. However,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s 31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C] causes not only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but also the precision of the work, so that the workability is lowered. Lt; / RTI > is preferred.

다음으로, 도 4 [A]는 [양면-극세사 흡음재-중앙 배치]에 관한 실시로, 제1흡음재(31A)와 제2흡음재(31B)가 중앙 측으로 집중 배치되어 제2중공(32B)이 제1 및 제3중공(32A)(32C)에 비해 작게 형성된 실시이다.(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의 구분을 위해 도면참조부호를 달리함)Next, Fig. 4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ouble-side microfibrous sound absorbing material-centered arrangement in which the first sound absorbing material 31A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material 31B are concentrically arranged on the center side, 1 and the third hollows 32A and 32C.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distinguishing from the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도 4 [B]는 [양면-극세사 흡음재-편중 배치]에 관한 실시로, 제1흡음재(31A)와 제2흡음재(31B)가 방음판(2) 측으로 편중 배치되어 공간부(13)의 대부분을 하나의 중공(32)으로 구성한 실시이다.The first sound absorbing material 31A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material 31B are placed on the sound absorbing plate 2 side by side to form the space portion 13, Most of which is constituted by one hollow portion 32.

다음으로, 도 4 [C]는 [양면-극세사 흡음재-균형 배치]에 관한 실시로, 제1흡음재(31A)와 제2흡음재(31B)가 균형 있게 배치되어 제1 내지 제3중공(32A)(32B)(32C)이 각각 적정 부피를 갖는 실시이다. 특히 도 4 [C]의 실시에서는 제1흡음재(31A)와 제2흡음재(31B)를 균형 배치해야 하므로, 2개의 고정부재(33)가 사용될 수 있다.Next, Fig. 4 [C] is an example of the [both-side-microfiber absorption material-balance arrangement] in which the first sound absorbing material 31A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material 31B are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32B) and (32C) have respective appropriate volumes. In particular, in the implementation of Fig. 4 [C], the first sound absorbing material 31A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material 31B must be balancedly arranged, so that two fixing members 33 can be used.

상기한 도 4 [A], [B], [C]의 각 실시는 흡음재(31)의 위치를 어느 위치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시이며, 원하는 방음 성능을 위해 실시자가 흡음재(31)의 배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다.4 (A), 4 (B) and 4 (C) show that the position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31 can be disposed at any position. For the desired sound-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한편, 본 발명은 외면에 구비되는 방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lay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이러한 방수층은 본 방음벽의 방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데, 이러한 방수층은 방수층 전체 중량에 대해 포졸란(Pozzolan) 2 ~ 3 중량%, 왁스 또는 파라핀 3 ~ 4 중량%,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 2 중량%, 아민계 경화제 2.5 ~ 3.5 중량%, 비정질 폴리올레핀(APO: Amorphous Polyolefin) 1.5 ~ 3 중량% 및, 철 슬래그 0.5 ~ 0.7 중량%을 포함하고, 나머지 잔량은 마사토와 포졸란 분말의 혼합에 의해 구성된 혼합재와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중량%는 방수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The waterproofing layer is added to improve the waterproofing property of the present soundproofing wall. The waterproofing layer comprises 2 to 3% by weight of pozzolan, 3 to 4% by weight of wax or paraffin, 1 to 2% by weight of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2.5 to 3.5% by weight of an amine-based curing agent, 1.5 to 3% by weight of an amorphous polyolefin (APO) and 0.5 to 0.7% by weight of an iron slag, and the remaining balance is a mixed material composed of a mixture of a masterbatch and a pozzolan powder And water. (The weight% is based on the weight of the waterproof layer.)

먼저 혼합재는 마사토와 포졸란 분말의 혼합에 의해 만들어지며, 물과 함께 방수층 전체 조성비의 80 ~ 90중량%를 차지하며, 방수층의 응고, 도포 등과 같은 시공 규격에 따라 물의 비중을 높이거나 또는 낮추거나 하는 식의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mixed material is made by mixing Masato and pozzolan powder, and it occupies 80 to 9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ratio of the waterproof layer together with water, and increases or decreases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andard such as coagulation and application of the waterproof lay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equation.

각 조성물 별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면, 먼저 포졸란(Pozzolan)은 규조토(Diatomite)와 같은 천연 광물성 소재로서, 음이온 방출과 탈취 효과 및 항균 작용에 의해, 방수층의 외면에 접착되는 이물질의 정화를 제공하고, 방수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포졸란이 2 중량% 미만이면 정화 효과가 낮고,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합력이 저하된다.Pozzolan is a natural mineral material such as diatomite, which provides purification of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by anion release,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on , And serves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waterproof layer. When the pozzolan is less than 2% by weight, the cleaning effect is low, and when it is more than 3% by weight, the binding force is decreased.

다음으로, 방수층은 왁스 또는 파라핀이 3 ~ 4 중량% 포함될 수 있는데, 왁스 또는 파라핀은 40 ∼ 60℃의 녹는점을 갖기 때문에, 방수층의 생산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고, 내화학성으로 방수층의 경화 후, 휘발되지 않아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 왁스 또는 파라핀은 3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첨가효과가 거의 없으며, 4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방수층의 취성이 증가하여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된다.Next, the waterproof layer may contain 3 to 4% by weight of wax or paraffin. Since wax or paraffin has a melting point of 40 to 60 캜, it functions to lower the production temperature of the waterproof layer, , And it does not volatilize, so that it does not deteriorate the quality. When the wax or paraffin is ad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3% by weight, the effect of addition is scarcely added. If the wax or paraffin is added in an amount of more than 4% by weight, brittleness of the waterproof layer increases and cracks easily occur.

다음으로, 방수층은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도 1 ~ 2 중량% 포함될 수 있는데,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양말단기의 폴리스치렌 블록(polystyrene block)을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로 하고 중간에는 폴리부타디엔이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혼합용제에 용해 시 저점도화 시킬 수 있고 고탄성, 저온 내구성이 우수하여 시간이 경과함으로서 발생되는 방수층의 균열현상과 동절기의 저온 내구성 부족으로 발생되는 방수층 표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며 미립자상태로 분산시킨 합성 제오라이트 분말은 내부의 규칙적인 미세기공에 의하여 방수층이 외력에 대한 일정 완충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Next, the waterproof layer may contain 1 to 2% by weight of a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The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has a polystyrene block as a hard segment and a polybutadiene as a soft segment in the middle, Segment has the structure and can be low viscosity when it is dissolved in mixed solvent. It has excellent elasticity and low temperature durability. It prevents cracking of waterproof layer caused by elapsing time and lifting of surface of waterproof layer caused by lack of low temperature durability during winter And the composite zeolite powder dispersed in the particulate state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waterproof layer to have a certain buffer against the external force due to regular fine pores inside.

다음으로, 방수층은 아민계 경화제가 2.5~3.5 중량% 포함될 수 있는데, 아민계 경화제 함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강도와 내구성이 낮아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으며,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떨어지게 된다.If the content of the amine-based curing agent is less than 2.5% by weight,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waterproof layer may be lower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f the content of the amine-based curing agent is more than 3.5% by weight The viscosity becomes high and the workability becomes poor.

다음으로, 방수층은 비정질 폴리올레핀을 1.5 ~ 3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비정질 폴리올레핀(APO: Amorphous Polyolefin)은 에틸렌과 프로필렌 같은 올레핀을 첨가 중합시킨 강한 접착성 소재로서, 방수층 내부로 전달되는 열의 전도율을 저하시켜 방수층에 작용하는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한다.Next, the waterproof layer may further include 1.5 to 3% by weight of an amorphous polyolefin. Amorphous polyolefin (APO) is a strong adhesive material in which an olefin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is added and polymerized. Thereby reducing the conductivity and minimizing the change in temperature acting on the waterproof layer.

이하 방수층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waterproof layer will be described.

실시예Example

방수층으로서, 마사토 500g과 포졸란 분말 250g을 혼합하여 혼합재 750g을 제조하고, 이에 물 140g을 혼합하였고, 여기에 포졸란 20g, 파라핀 30g, 스티렌 가소성 엘라스토머 10g, 아민계 경화제 30g, 비정질 폴리올레핀 20g를 혼합하여 방수층 1kg을 제조하였다.As a waterproof layer, 500 g of Masato and 250 g of pozzolan powder were mixed to prepare 750 g of a mixed material. To this mixture, 140 g of water was mixed with 20 g of pozzolan, 30 g of paraffin, 10 g of styrene plastic elastomer, 30 g of an amine curing agent and 20 g of amorphous polyolefin, 1 kg.

이 후 방수층을 본 방음벽의 외벽에 도포 후, 완전 경화하는 단계를 거쳐,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본 방음벽에 12시간동안 물을 분사한 후, 드릴로 분쇄하여 내부 침습도를 검사한 결과, 본 방음벽에서는 습기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Thereafter, the waterproof layer was applied to the outer wall of the present soundproof wall, and the waterproof layer was formed through a step of fully curing. Then, water was sprayed on the soundproof wall for 12 hours and then pulverized by a drill. No moisture was detected at the soundproof wall.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설치프레임
11: 외벽부 11A, 11B: 제1 및 제2외벽부
12: 장착부 12A, 12B: 제1 및 제2장착부
13: 공간부
2: 방음판 2A, 2B: 제1 및 제2방음판
21: 강성강화부
3: 흡음수단 31: 흡음재
32: 중공 33: 고정부재
1: Installation frame
11: outer wall portion 11A, 11B: first and second outer wall portions
12: mounting portion 12A, 12B: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13: space portion
2: soundproof plate 2A, 2B: first and second soundproof plate
21: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
3: Sound absorption means 31: Sound absorption material
32: hollow 33: fixed member

Claims (4)

외벽부(11)와, 상기 외벽부(11)의 양 단부에 구비된 장착부(12)와, 상기 외벽부(11)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부(13)를 갖는 설치프레임(1);
상기 장착부(12)에 끼움 결합되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방음판(2); 및
상기 공간부(13)에 구비된 흡음수단(3);
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수단(3)은 양단이 상기 외벽부(11)에 고정된 흡음재(31) 및, 상기 흡음재(31)에 의해 구획된 상기 공간부(13)의 나머지 공간인 중공(32)을 포함하고,
상기 방음판(2)은 상기 설치프레임(1)의 상기 두 장착부(12) 사이에서 상기 외벽부(11)와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강성강화부(21)를 갖고,
상기 방음판(2)은 상기 강성강화부(21)와 상기 장착부(12) 사이에 구비되는 제2강성강화부(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프레임(1)은 다수의 살빼기 홀을 포함하여, 각 부분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되, 설치프레임(1)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인 외측프레임은 가장 큰 두께인 제2두께(t2)를 갖고,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인 내측프레임은 중간 두께인 제1두께(t1)를 갖고, 외측 및 내측 어디로도 노출되지 않는 은닉된 내부 부분인 내부프레임은 가장 작은 두께인 제3두께(t3)를 갖고,
상기 외벽부(11)는 기초벽(111), 그리고 기초벽(111)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결된 측벽(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1)은 외벽부(11) 중 기초벽(111)에서 측벽(112)과 동일한 방향, 즉 전방을 향해 돌출 연장된 중간벽부(17)를 더 포함하고, 이 중간벽부(17)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강성강화부(21)의 형상에 상응하는 강성강화대응부(171)를 포함하고,
외면에 구비되는 방수층;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수층은 방수층 전체 중량에 대해 포졸란(Pozzolan) 2 ~ 3 중량%, 왁스 또는 파라핀 3 ~ 4 중량%,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 2 중량%, 아민계 경화제 2.5 ~ 3.5 중량%, 비정질 폴리올레핀(APO: Amorphous Polyolefin) 1.5 ~ 3 중량% 및, 철 슬래그 0.5 ~ 0.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A mounting frame (1) having an outer wall part (11), a mounting part (1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wall part (11), and an inner space part (13)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part (11);
A sound insulation board (2)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12) and made of synthetic resin; And
Sound absorbing means (3)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13);
/ RTI >
The sound absorbing means 3 includes a sound absorbing material 31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outer wall portion 11 and a hollow space 32 as a remaining space of the space portion 13 defin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1 ,
The soundproofing panel 2 has a rigidity strengthening portion 21 protruded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 as the outer wall portion 11 between the two mounting portions 12 of the mounting frame 1,
The soundproofing panel 2 further includes a second rigid reinforcing portion 22 provided between the rigid reinforcing portion 21 and the mounting portion 12,
The mounting frame 1 includes a plurality of depressed holes, and each of the parts has a different thickness. The outer frame, which is the outermost part of the mounting frame 1, has a second thickness t2, The inner frame being the innermost portion has a first thickness t1 of intermediate thickness and the inner frame which is a hidden inner portion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inside is smaller than the third thickness t3 ),
The outer wall portion 11 is composed of a base wall 111 and side walls 112 vertically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base wall 111,
The mounting frame 1 further includes a middle wall portion 17 which protrudes from the base wall 111 of the outer wall portion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ide wall 112, A rigid reinforcing portion 17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igid reinforcing portion 2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igid reinforcing portion 21,
A waterproof lay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waterproof layer comprises 2 to 3 wt% of pozzolan, 3 to 4 wt% of wax or paraffin, 1 to 2 wt% of 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2.5 to 3.5 wt% of amine curing agent, 1.5 to 3% by weight of an amorphous polyolefin (APO) and 0.5 to 0.7% by weight of an iron sla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은 상기 외벽부(11)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단턱부(14)와 제2단턱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단턱부(14)는 상기 제2단턱부(15)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frame 1 further includes a first step portion 14 and a second step portion 15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portion 11,
Wherein the first step portion (14) projects further inward than the second step portion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2)는 상기 외벽부(11)에 형성된 장착홈(121), 상기 외벽부(11)에 결합된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착홈(121)에는 상기 방음판(2)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에서는, 상기 장착홈(121)에 상기 방음판(2)을 걸치는 형태로 삽입하고 난 후 상기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을 상기 외벽부(11)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외벽부(11)에 상기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을 선 결합한 후 상기 방음판(2)을 상기 앵글(a) 고정용 브래킷(122)의 수용부(122a)로 후 삽입하는 형태로 상기 방음판(2)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12 includes a mounting groove 121 formed in the outer wall portion 11, a receiving portion 122a of the bracket 122 for fixing the angle a fixed to the outer wall portion 11, , ≪ / RTI >
The sound insulation plate 2 is fitted and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121,
(A) fixing bracket 122 is inser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2a of the angle (a) fixing bracket 122 in such a manner that the soundproof plate 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1, (A) fixing bracket 122 is fastened to the outer wall part 11 or the soundproof plate 2 is fastened to the angle bracket 122 The sound absorbing plate (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2a) of the sound absorbing plate (2).


삭제delete
KR1020170081103A 2017-06-27 2017-06-27 Soundproof wall KR101845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03A KR101845015B1 (en) 2017-06-27 2017-06-27 Soundproof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03A KR101845015B1 (en) 2017-06-27 2017-06-27 Soundproof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015B1 true KR101845015B1 (en) 2018-04-03

Family

ID=6197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103A KR101845015B1 (en) 2017-06-27 2017-06-27 Soundproof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01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145Y1 (en) * 2003-01-27 2003-05-16 주식회사 케이.알 Both side type soundproofing plate
KR200404635Y1 (en) * 2005-10-18 2005-12-26 김철홍 A Mortar Nozzle for the shot cleat with a side air presser to shot
KR101001217B1 (en) * 2009-06-19 2010-12-17 (주)엘지하우시스 Soundproof panel for absorbing sound
JP2011026165A (en) * 2009-07-24 2011-02-10 Hakko Kogyo Kk Mortar spraying method for weed suppression
KR101649464B1 (en) 2016-06-07 2016-08-18 고광식 Weed control composition and weed control sheet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weed control block manufactured by the weed contro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145Y1 (en) * 2003-01-27 2003-05-16 주식회사 케이.알 Both side type soundproofing plate
KR200404635Y1 (en) * 2005-10-18 2005-12-26 김철홍 A Mortar Nozzle for the shot cleat with a side air presser to shot
KR101001217B1 (en) * 2009-06-19 2010-12-17 (주)엘지하우시스 Soundproof panel for absorbing sound
JP2011026165A (en) * 2009-07-24 2011-02-10 Hakko Kogyo Kk Mortar spraying method for weed suppression
KR101649464B1 (en) 2016-06-07 2016-08-18 고광식 Weed control composition and weed control sheet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weed control block manufactured by the weed control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9238B (en) Sound-absorbing noise barrier
CN104264596B (en) Particle sound barrier and sound absorption and insulation barrier board thereof
CN1332096C (en) Double-face sound-absorbing contacting oral cavity sound shield without cotton
CN202577174U (en) Noise reduction shield
CN105714702A (en) Damping vibration-isolation sound barrier
CN202131570U (en) Hollow reinforcement filled enhanced sound barrier with oblique holes
KR101845015B1 (en) Soundproof wall
CN211522810U (en) Stable modular bridge structure
KR101863616B1 (en) Shockproof apparatus
KR20010036969A (en) Polymer Composites for Impact Sound Insulation
JPH0830275A (en) Sound absorbing material
KR101818192B1 (en) Soundproof plate
KR101903096B1 (en) Soundproof wall
JPH10183811A (en) Soundproof panel
CN211312956U (en) Integrated self-filling sound insulation material partition wall
KR200419652Y1 (en) Structure for excluding bottom impact sounds
CN209686616U (en) A kind of building structure for floor sound proof noise reduction
KR102056870B1 (en) Construction method to reduce noise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using composite mortar
JP2003232014A (en) Fiber-reinforced resin-made sound insulation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20413996U (en) Seam-riding type sound-absorbing noise-reducing bridge expansion device
KR101753489B1 (en) a floor object for railway cars
CN220117553U (en) Floor with sound insulation structure
JPH0517232Y2 (en)
CN211058050U (en) Sound insulation board for building construction external wall
CN114412109B (en) Decorative sound insulation board for building construction external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