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718B1 -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718B1
KR101844718B1 KR1020170110644A KR20170110644A KR101844718B1 KR 101844718 B1 KR101844718 B1 KR 101844718B1 KR 1020170110644 A KR1020170110644 A KR 1020170110644A KR 20170110644 A KR20170110644 A KR 20170110644A KR 101844718 B1 KR101844718 B1 KR 101844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rver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옥
Original Assignee
김용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옥 filed Critical 김용옥
Priority to KR102017011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드론 및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드론 및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신호를 입력하고,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객체의 이미지인 제1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제1 객체 이미지에 대한 보정 이미지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보정 이미지가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객체가 정면에서 풀샷(full shot)으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드론을 이동시키고, 이동된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의 제2 객체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객체 이미지에 대한 객체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FOR CONSTRUCTION SUPERVISION}
본 발명은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감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리업무는 현장업무와 행정업무 및 대관업무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장업무는 시공 전, 중, 후 업무절차에 따른 수시 시공확인 및 검측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행정업무는 기술검토 등을 통한 각종 승인 업무(품질, 안전, 환경계획서, 자재, 하도급, 부진공정, 설계공정, 시공계획서, 시공상세도 등)와 회신, 확인 업무, 문서접수, 발송 및 대장 정리의 수작업과 민원관련 업무 등등을 수행하며, 대관업무는 각종 인허가 및 승인조건과 계약조건 등의 이행 여부 기록 관리와 각종 외부기관의 점검 및 감사대비와 공장점검 및 각종 품질시험 입회 등을 해야 한다.
또한 관련 정보 및 법령은 각 분야 감리의 업무절차 및 법적기준(각종 법령, 고시, 지침, 조례 등)에 따른 감리업무 범위와 분야별 조건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달라지며, 분산되어 있는 사례정보와 책자(기술서적)수행을 위해서는 방대한 자료 및 감리지침 등을 참조해야한다.
이와 같이 종래 건설공사 감리업무는 각 분야별 전문가와 경력자들이 아니면 쉽게 처리하기 어렵고, 누락, 지연과 같은 오류를 범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차상 해당 행정업무에서도 발주자, 시공자, 허가, 승인권자 등에 보고할 절차 및 기술검토서 작성을 해야 할 과정을 몰라서 각종 승인, 통보, 보고 등의 업무가 지연되고, 시공상의 공정지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감리업무에 대한 클레임으로 표출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공사의 감리업무에 대한 전산화를 시도하고 있는데, 통상 발주자와, 설계자, 감리회사, 건설회사, 감리운영시스템 및 외부기관들을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감리운영시스템에서 웹서비스와 아울러 공사 관련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서비스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각종 서식을 제공하고, 그 서식을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다운받아 서식 작성을 하고, 다시 해당 작성된 서식 파일을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되면, 이를 운영시스템에서 파일로 접수받아 처리하며, 각종 정보들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웹서비스를 하는데 이는 각각 클라이언트가 검색하여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공사현장을 감리하는 사용자는 해당 위치까지 직접 이동한 후 다양한 객체들에 대해 감리를 수행하여야만 하므로, 감리업무가 불편하고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으로부터 감리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써 감리 대상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표시함으로써, 편리하고 간편하게 감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를 통한 건축물 감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드론 및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드론 및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신호를 입력하고,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객체의 이미지인 제1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제1 객체 이미지에 대한 보정 이미지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보정 이미지가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객체가 정면에서 풀샷(full shot)으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드론을 이동시키고, 이동된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의 제2 객체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전송된 객체 이미지에 대한 객체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정보는 객체에 대한 ID, 제조, 시공담당, 규격, 공정시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감리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부여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하나의 객체에 대해서만 시각적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감리의 대상은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서버에 저장된 객체 이미지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체 화면 중 제1 화면에 제2 객체 이미지를, 제2 화면에 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객체 정보를 제2 객체 이미지상에 형성된 팝업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된 제1 객체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보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보정 이미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감리 대상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감리 대상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감리 대상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전송된 감리 대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감리 대상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객체가 정면에서 풀샷으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공사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화면상 각 객체들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현장의 건축현황을 보다 쉽게 관리 감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공사현장을 감리하는 사용자에게 공사현장에 관한 별다른 사전 준비없이 이동 단말기 하나만으로도 쉽게 감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대한 빌딩이나 구조물에 대한 감리업무라도 작업 전 별도의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준비해야 하는 등의 사전작업이 필요없이, 서버 및 드론과 연결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편리하고 간단하게 감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감리 현장으로 사용자가 직접 이동할 필요없이 드론을 원격 조종함으로써, 편리하고 간단하게 감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리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관한 블록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관한 블록도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일 예,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 건축물의 감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다른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 건축물의 감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객체 정보를 확인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특정 도면에 해당 부호가 없더라도, 그 이전에 설명된 도면에 해당 부호가 있다면 이를 표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리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리 시스템(500)은 이동 단말기(100), 드론(200),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망을 통하여 드론(200) 및 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하고, 드론(200) 및 서버(300) 상호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신호를 드론(200)으로 전송하고, 드론(200)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드론(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드론(200)은 수집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드론(200)이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수집된 정보를 드론(200)에서 서버(300)로 곧바로 전송하도록 드론(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 또는 드론(2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서버(300)는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정보가 특정 객체(예: 창틀)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경우, 서버(300)는 해당 객체에 대한 객체 정보(예: 창틀의 ID, 제조정보, 시공담당, 규격, 공정시한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추출된 객체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 또는 이동통신 모듈(112)은 드론(200) 또는 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말한다. 적용가능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12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시키는 렌즈 유닛과, 렌즈 유닛에 의해 결상된 상을 전기적 신호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 촬상 소자는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광전 변환하는 소자로서,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촬상 소자나,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OS) 촬상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기기 결합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 또는 전원은 외부 전자기기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에 관련된 정보는 물론, 이동 단말기 (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드론(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드론(200)이 검출한 벡터촬영정보나 서버(300)의 처리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드론(200) 또는 서버(300)와 각종 정보들(예: 실사 이미지, 벡터촬영정보, 식별값, 속성값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드론(200)으로부터 전체 속성값과 매칭정보가 수신되면, 촬영된 실사 이미지에 전송된 매칭정보를 결합하여 실사 이미지상의 각 객체들의 외곽선이 화이어 프레임으로 강조되는 등의 방법으로 활성화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에 출력한다. 그리고 실사 이미지 상의 활성화된 객체들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에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200)은 무선 통신부(210), AV 입력부(220), 인터페이스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제어부(280),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에 관한 설명과 동일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221)는 드론(200)의 외부 상하좌우면 또는 이외의 다양한 부위에 복수로 결합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조작에 따라 감리가 필요한 공사현장(예: 현장의 건축 구조물 등)을 촬영하여 실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센싱부(240)는 거리측정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드론(200)과 특정 객체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40)는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특정 객체의 크기, 예를 들어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대각선 길이, 지름, 원주 길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드론(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 또는 서버(300)와 각종 정보들(예: 실사 이미지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이동 단말기(100)의 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100)을 통해 공사현장에서 감리(예: 도면과 실제 시공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업무 등)가 필요한 피사체(예: 현장의 건축 구조물 등)를 촬영하고, 서버(300)로부터 상기 촬영된 건축물(건축 구조물)에 관한 속성정보들을 다운로드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공사현장의 사용자(예: 감리자, 공사감독자, 검측원 등)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서, 원하는 객체를 선택(화면터치)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들(예: ID정보, 제조정보, 시공담당, 규격, 공정시한 등)을 열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프리뷰(pre-view)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드론(200)과 통신이 이루어지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드론(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21)를 활성화시키도록 드론(2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드론(200)의 카메라(221)가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프리뷰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S410).
촬영된 프리뷰 이미지는 감리의 대상인 건축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된 영상에는 다양한 객체, 예를 들어 건축물의 창문, 도어(door), 전등, 콘센트 등 다양한 객체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시로써 설명하기 위하여 감리의 대상을 건축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철도, 해양, 항만, 소방, 배전, 보안,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객체에 대한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420).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터치 스크린)상에 하나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터치를 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터치 신호의 입력에 의해 하나의 객체 이미지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객체 이미지 및 보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선택된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하고, 객체 이미지에 대한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객체 이미지는 촬영 각도, 위치 등으로 인해 객체의 정확한 특정이 곤란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서버에 저장된 객체와 대응될 수 있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이미지 변경에 의해 생성된 것이 보정 이미지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생성된 보정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440). 보정 이미지는 감리 대상인 객체를 더욱 정확한 이미지로 구체화된 것이므로, 보정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함은 보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요청하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보정 이미지를 수신한 서버(300)는 제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객체 정보는 서버(300)로 전송된 보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객체의 ID 정보, 생산 정보, 시공담당 정보, 규격 정보, 공정시한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객체 정보는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며,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S450). 이로써 사용자는 공사현장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객체에 대한 감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이동 단말기를 통한 감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 건축물의 감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5(a)는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21)를 통해 본 공사현장의 프리뷰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카메라(221)가 드론(200)의 전면부에 장착되었다고 가정한다면, 도 5(a)와 같은 프리뷰 이미지가 획득되기 위해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200)의 카메라(221)는 A영역 및 B영역을 동시에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론(200)이 감리 대상인 객체를 전반적으로 촬영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카메라(221)는 도어, 창문, 전등, 벽, 천장, 바닥과 같은 객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로 촬영하며, 드론(200)은 촬영된 프리뷰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드론(200)의 카메라(221)가 촬영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감리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하여 크기, 색깔, 테두리 굵기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시각적 효과가 부여된 다양한 객체 중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 중 감리하고자 하는 하나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을 감리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상의 창문 이미지(400)를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인 창문 이미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나머지 객체와 구별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은 시각적 효과가 유지되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객체 이미지는 시각적 효과가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선택된 객체 이미지에 대한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는 선택된 객체 이미지(400)인 창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객체 이미지(400)는 정면에서 촬영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객체 이미지(400)는 직사각형의 창문을 촬영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다리꼴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더욱이 이러한 사다리꼴 형태의 객체 이미지(400)에 대응되는 감리 대상 이미지가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없다면, 객체 이미지(400)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객체 이미지(40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사다리꼴 형태인 객체 이미지(400)에 대해서는 좌측 변 길이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사각형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변 및 하변의 기울기를 각각 변화시킴으로써,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정 이미지(401)가 획득 또는 생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생성된 보정 이미지(401)의 가로 및 세로 비율은 1.92:1 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객체 이미지(400) 및 보정 이미지(401)는 하나의 화면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보정 이미지(401)가 생성되면, 제어부(180)는 생성된 보정 이미지(401)를 자동으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된 보정 이미지(401)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300)는 수신된 보정 이미지(401)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보정 이미지(401)가 직사각형의 형상이기는 하나, 보정 이미지(401)의 가로 및 세로 비율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객체가 없다면, 서버(300)는 보정 이미지(401)에 대응되는 형태의 감리 대상 이미지를 모두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서버(300)는 감리 대상 이미지 및 이들 각각에 대한 객체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감리 대상 이미지를 도 6(b)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감리 대상 이미지(402, 403, 404) 중 촬영된 객체 이미지(400)에 가장 유사한 하나(402)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하나의 감리 대상 이미지(402)에 대한 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0에서 상세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서는 객체 이미지(400)를 보정하여, 보정 이미지(401)와 동일한 형상의 감리 대상 이미지(402, 403, 404)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객체 이미지(400)를 보정하더라도, 다른 방향으로 보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하는 객체 정보를 불러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객체 이미지를 촬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하에서 서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다른 예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드론(200)과 통신이 이루어지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드론(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21)를 활성화시키도록 드론(2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드론(200)의 카메라(221)가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S710).
촬영된 제1 이미지는 감리의 대상인 객체가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객체에 대한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720).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터치 스크린)상에 하나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터치를 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객체 이미지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하고, 객체 이미지에 대한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S730),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도 6(b)와 같은 감리 대상 이미지가 보정 이미지 또는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상의 버튼(미도시)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가 정면에서 풀샷(full shot)으로 촬영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드론(200)이 선택된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객체 정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거나, 드론(200)이 선택된 객체 정면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S740).
카메라(221)의 활성화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드론(200)은 해당 객체의 정면으로 이동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해당 객체의 정면에서 기 설정된 거리로부터 촬영된 제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S750). 즉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특히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해당 객체의 정면 이미지가 풀샷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화면에 해당 객체의 이미지가 전부 표시되도록 드론(200)과 해당 객체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해당 객체의 정면 이미지가 풀샷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객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드론(200)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촬영된 제2 이미지를 드론(200)으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760). 또는 제어부(180)는 촬영된 제2 이미지를 드론(200)으로부터 서버(300)로 곧바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이미지를 수신한 서버(300)는 제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객체 정보는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S770). 이로써 사용자는 공사현장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감리하고자 하는 객체에 대한 감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이동 단말기를 통한 감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 건축물의 감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8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21)를 통해 본 공사현장의 프리뷰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카메라(221)가 드론(200)의 전면부에 장착되었다고 가정한다면, 도 5(a)와 같은 프리뷰 이미지가 획득되기 위해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200)의 카메라(221)는 A영역 및 B영역을 동시에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론(200)이 감리 대상인 객체를 전반적으로 촬영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카메라(221)는 도어, 창문, 전등, 벽, 천장, 바닥과 같은 객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로 촬영하며, 드론(200)은 촬영된 프리뷰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드론(200)의 카메라(221)가 촬영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 중 감리하고자 하는 하나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을 감리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상의 창문 이미지(400)를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인 창문 이미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나머지 객체와 구별되도록 이미지의 크기, 색깔, 테두리 굵기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이후 드론(200)은 선택된 객체인 창문의 정면으로 이동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이미지가 획득된다. 이러한 프리뷰 이미지가 획득되기 위해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200)의 카메라(221)는 B영역만을 향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드론(200)이 감리하고자 하는 특정 객체(창문)만을 촬영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카메라(221)는 창문을 정면에서 풀샷으로 촬영하며, 드론(200)은 촬영된 창문의 프리뷰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드론(200)의 카메라(221)가 촬영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드론(200)은 촬영 지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프리뷰 이미지와 함께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인 창문 이미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미지의 크기, 색깔, 테두리 굵기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부여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프리뷰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이 없더라도, 제어부(180)는 이를 자동으로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300)는 수신된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이미지가 도 8(c)와 같다면, 서버(300)는 수신된 이미지에 포함된 창문 또는 창틀 이미지(400)를 추출하고, 추출된 창문 또는 창틀 이미지(400)로부터 객체가 창문 또는 창틀임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창문 또는 창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5(c)에 도시된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리뷰 이미지에 포함된 창문 이미지(40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창문 이미지(400)로부터 객체가 창문임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객체(예: 창문 또는 창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객체인 창문 이미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미지의 크기, 색깔, 테두리 굵기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부여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후 서버(300)는 수신된 객체(예: 창문 또는 창틀)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객체 이미지 또는 객체에 대한 정보 요청 신호와 함께 해당 객체 이미지 또는 객체의 위치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특정 위치(예: 서울시 강남구 XX동 123번지 Y동 1203호)에 해당하는 객체 정보(예: 창틀 또는 창문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는 특정 위치의 특정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객체 정보를 확인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화면 중 일부 영역(151-1)에는 객체 이미지(400)가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영역(151-2)에는 객체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객체 및 이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에 객체 이미지(400)가 디스플레이되고, 팝업 화면(151-3)상에 객체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객체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조 정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전환되거나, 추가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공사현장(서울시 강남구 XX동 123번지 Y동 1203호)의 특정 객체(창문 또는 창틀)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감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500: 감리 시스템 300: 서버
200: 드론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9)

  1.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드론 및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드론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의 이미지인 제1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1 객체 이미지에 대한 보정 이미지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보정 이미지가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가 정면에서 풀샷(full shot)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드론에 장착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의 제2 객체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객체 이미지에 대한 객체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객체에 대한 ID, 제조, 시공담당, 규격, 공정시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감리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부여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하나의 객체에 대해서만 상기 시각적 효과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리의 대상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상기 서버에 저장된 객체 이미지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체 화면 중 제1 화면에 상기 제2 객체 이미지를, 제2 화면에 상기 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정보를 상기 제2 객체 이미지상에 형성된 팝업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객체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상기 보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 이미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감리 대상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감리 대상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감리 대상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감리 대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감리 대상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가 정면에서 풀샷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20170110644A 2017-08-31 2017-08-31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844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44A KR101844718B1 (ko) 2017-08-31 2017-08-31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44A KR101844718B1 (ko) 2017-08-31 2017-08-31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718B1 true KR101844718B1 (ko) 2018-04-02

Family

ID=6197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644A KR101844718B1 (ko) 2017-08-31 2017-08-31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88B1 (ko) 2013-07-05 2014-0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88B1 (ko) 2013-07-05 2014-0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726B1 (ko) 건축물 감리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감리방법
AU2019275575B2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917618B2 (en)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for secondary devices with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354688B1 (ko)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 방법
US97475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urveillance systems with unmanned aerial devices
US11335097B1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210342479A1 (en) Privacy protection in mobile robot
US10650247B2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762622B1 (ko) 위치 기반으로 현장 사진을 도면에 기록하는 건설 정보 관리 방법
US10841542B2 (en) Locating a person of interest using shared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80218201A1 (en) Sharing Positive Information Captured Using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601109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urveillance systems
CN106027897A (zh) 拍摄参数的设置方法及装置
JP72074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914386B1 (ko)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210160424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CN106200654A (zh) 无人机飞行速度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844718B1 (ko) 건축물 감리를 위한 이동 단말기
CN106250763A (zh) 智能机器人的安全防护方法及装置
KR20160018120A (ko) 다중 스마트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2452B1 (ko)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CN110998621A (zh) 利用信标的基于位置信息的实时物料和库存管理方法及执行其的系统
US1110077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7289056B2 (ja) ドアホン子機
US1086149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and transmitt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