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271B1 - 센서 브래킷 - Google Patents

센서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271B1
KR101844271B1 KR1020160146861A KR20160146861A KR101844271B1 KR 101844271 B1 KR101844271 B1 KR 101844271B1 KR 1020160146861 A KR1020160146861 A KR 1020160146861A KR 20160146861 A KR20160146861 A KR 20160146861A KR 101844271 B1 KR101844271 B1 KR 10184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nd surface
support column
rotating pie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5/00Adjusting position or attitude, e.g. level,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or of parts thereof; Compensating for the effects of tilting or acceleration, e.g. for optical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센서 브래킷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 면이 천장 또는 벽에 결합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결합되고, 센서가 장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센서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고정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밀착되는 회전편; 상기 회전편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회전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천장 또는 벽 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편을 포함하는 센서 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브래킷{SENSOR BRACKETS}
본 발명은 센서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센서는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되어 설치 공간 중 일부를 감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에 의한 감시 영역은 적외선 센서의 설치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적외선 센서의 설치 각도가 결정된 후, 즉 적외선 센서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적외선 센서에 의한 감시 영역을 변경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에 의한 감시 영역을 변경하기 위하여 적외선 센서의 해체 및 재 설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수도 있다. 한편, 센서 브래킷은 센서,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천장 또는 벽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지지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227호(2003.07.04, 센서 지지브래킷)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센서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 면이 천장 또는 벽에 결합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결합되고, 센서가 장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센서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고정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밀착되는 회전편; 상기 회전편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회전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천장 또는 벽 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편을 포함하는 센서 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편의 직경은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편은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는 상기 결합 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편의 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편의 회전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위치결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장편은 상기 회전편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장편은 상기 회전편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90°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가 장착되는 장공이 만곡된 형상의 연장편에 형성됨으로써, 센서의 설치 각도가 센서의 장착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회전편은 고정볼트를 일부 풀어 지지기둥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센서의 설치 방향이 회전편 및 연장편의 회전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브래킷을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브래킷을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지기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센서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브래킷을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브래킷을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브래킷(10)은 지지기둥(100) 및 센서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둥(100)의 일단 면은 용접(W) 등을 통해 천장(20) 또는 벽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기둥(1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지지기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 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홀(110)은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에서 지지기둥(100)의 일단 측으로, 즉 지지기둥(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에는 결합 홀(11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센서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센서고정부(200)는 회전편(210), 고정볼트(220) 및 복수 개의 연장편(2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편(210)은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에 밀착될 수 있다.
회전편(210)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회전편(210)의 일면이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에 밀착될 수 있다.
회전편(210)의 직경은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편(210)이 고정볼트(220)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회전 위치 중 어느 하나로 회전하더라도 각각의 회전 위치에서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에 밀착될 수 있다.
회전편(210)의 중앙에는 관통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편(210)의 일면에는 위치결정 홈(120)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 돌기(213)는 관통 홀(21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편(210)은 고정볼트(220)를 일부 풀어 위치결정 돌기(213)가 위치결정 홈(120)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편(210)의 일면이 지지기둥(100)의 타단 면에 밀착되면 위치결정 돌기(213)가 위치결정 홈(120)에 삽입됨으로써 회전편(210)의 회전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고정볼트(220)는 관통 홀(211)을 통해 회전편(210)을 관통하여 결합 홀(11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회전편(210)을 지지기둥(100)에 구속시킬 수 있다.
연장편(230)은 회전편(210)에서 연장되어 천장(20) 또는 벽 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편(230)에는 센서(30)가 장착되는 장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30)는 센서 프레임(31)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볼트(33)가 장공(231)을 관통한 상태에서 결합너트(35)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장편(230)에 장착될 수 있다. 장공(231)은 연장편(2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장공(231)은 연장편(230)과 마찬가지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편(23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연장편(230)은 회전편(2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편(210)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센서(30)를 어느 하나의 연장편(230)에서 다른 하나의 연장편(230)으로 옮겨 장착함으로써 센서(30)의 설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연장편(230)은 회전편(210)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90°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전체 설치 공간을 센서(30)에 의한 감시 영역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센서 브래킷 20: 천장
30: 센서 31: 센서 프레임
33: 결합볼트 35: 결합너트
100: 지지기둥 110: 결합 홀
120: 위치결정 홈 200: 센서고정부
210: 회전편 211: 관통 홀
213: 위치결정 돌기 220: 고정볼트
230: 연장편 231: 장공

Claims (5)

  1. 일단 면이 천장 또는 벽에 결합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결합되고, 센서가 장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센서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고정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밀착되는 회전편;
    상기 회전편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회전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천장 또는 벽 측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는 상기 결합 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편의 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편의 회전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위치결정 돌기가 형성되는 센서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의 직경은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편은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 면에 밀착 가능한 센서 브래킷.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장편은 상기 회전편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센서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장편은 상기 회전편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90°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서 브래킷.
KR1020160146861A 2016-11-04 2016-11-04 센서 브래킷 KR10184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861A KR101844271B1 (ko) 2016-11-04 2016-11-04 센서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861A KR101844271B1 (ko) 2016-11-04 2016-11-04 센서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271B1 true KR101844271B1 (ko) 2018-04-03

Family

ID=6197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861A KR101844271B1 (ko) 2016-11-04 2016-11-04 센서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2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35733U (zh) 2015-03-13 2015-08-05 甘肃省地震局 一种传感器安装支架
CN204847646U (zh) 2015-07-13 2015-12-09 内蒙古自治区特种设备检验院 电梯导轨多参数测试传感器安装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35733U (zh) 2015-03-13 2015-08-05 甘肃省地震局 一种传感器安装支架
CN204847646U (zh) 2015-07-13 2015-12-09 内蒙古自治区特种设备检验院 电梯导轨多参数测试传感器安装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4940U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JP6294388B2 (ja) 機器を取り付ける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取外方法
US8205760B2 (en) Curved curtain rod
US9033163B2 (en) Curved shower rod assembly having flexible mounting base
US20030217410A1 (en) Compression mount for a shower curtain rod
US7231990B2 (en) Limit structure for a hook of a pneumatic tool
CN105392598B (zh) 用于安装紧固件的工具
KR101844271B1 (ko) 센서 브래킷
WO2020187323A1 (zh) 一种标定支架
KR20190002434U (ko)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10172029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기구용 브라켓 조립체
US9845818B2 (en) Coupling device and lam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101549B2 (ja) 位置決め装置
JP2017110335A (ja) 壁面の取付ユニット
US20140299561A1 (en) Storage system
CN112653808A (zh) 调节支架组件及监控摄像机
US5934655A (en) Beam clamp
JP6445280B2 (ja) 物干し用支持装置
JP6297640B2 (ja) 軒樋支持具
EP3527884A1 (en) Lighting apparatus
KR20140076989A (ko) 체결용 클램프
KR200299183Y1 (ko) 회전과 각도 조절이 편리한 텔레비젼 걸이장치
JP2018137045A (ja) 照明器具
JP2009195308A (ja) ソケット
JP6920117B2 (ja) 自在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