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245B1 -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245B1
KR101844245B1 KR1020160049772A KR20160049772A KR101844245B1 KR 101844245 B1 KR101844245 B1 KR 101844245B1 KR 1020160049772 A KR1020160049772 A KR 1020160049772A KR 20160049772 A KR20160049772 A KR 20160049772A KR 101844245 B1 KR101844245 B1 KR 10184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late
soil plate
flang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403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 일성뉴텍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성뉴텍, 김영철 filed Critical (주) 일성뉴텍
Priority to KR102016004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2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류판은 지하 구조물 시공 시 인접 지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된 H-Beam형 엄지말뚝과 엄지말뚝 사이에 끼워넣어 흙 차단벽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일단이 상기 엄지말뚝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며 4각 파이프 형상의 토류판 외부체와; 일단은 상기 엄지말뚝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류판의 길이를 상기 엄지말뚝과 엄지말뚝 사이의 간격 및 설치 오차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하며, 상기 토류판의 양단이 엄지말뚝의 웨브(Web)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와 동일한 형태의 4각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한 토류판 내부체로 구성되며,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높이 측의 중앙에는 일정 길이의 슬로트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토류판 내부체의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높이 측의 중앙에는 일정 간격으로 일정 직경의 천공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 내부체의 이동은 상기 슬로트홀을 통해 보이는 상기 천공에 이동치구를 꽂아 좌우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쉬우며, 길이 조정을 쉽게 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용융 아연도금을 실시해 부식이 방지되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축폐기물 발생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전반적으로 시공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Adjustable Length Type Soil Retaining Panel}
본 발명은 흙막이용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및 지상에 가시설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터파기를 행하는 공사에서 그 가장자리의 토사가 안으로 침하되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되며, 간단한 구조로 재활용 가능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안된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류판이라 함은 건설 및 토목현장에서 흙을 파낸 뒤 주위의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시행하는 흙막이 공사 시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간이 흙막이 벽체 또는 토류벽이라 불리기도 한다.
흙막이 공사는 현장여건과 작용되는 토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시공방법 중에서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박아 설치한 H형강 타입의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단 성형된 토류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토류판은 주로 목재를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토류판은 목재가 기초말뚝들 사이에 배치되므로 이들을 하나하나 빼내기가 곤란하므로 대개 매몰시켜 폐기하는 실정이다.
이는 자원의 낭비와 공사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벽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입 설치된 H형강 타입의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의 전면에 적층되어 토사가 붕괴되거나 유출됨을 방지하는 토류판과, 상기 토류판을 엄지말뚝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기초말의 전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구멍 및 상기 토류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철거가 용이한 강재 토류판이 안출되어 토류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토류판을 기초말뚝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말뚝과 토류판에 모두 볼트를 결합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 비용을 소모하는 일이다.
더구나 이와 같은 작업은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어야만 하고,또 토류판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다시 이들 볼트와 너트로 다 풀어야 하므로 고비용의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체결수단을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단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등록 게시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458821 길이조절식 토류판은 토류판 본체와 2개의 길이조절체로 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많이 들며 볼트로 조여야 하므로 설치가 번거럽고, 4면 중 1면이 거의 오픈 상태이므로 단면계수가 작아 토류판이 커지는 문제점과, 재활용을 위해서는 볼트를 풀어야 하므로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458821 (등록일자 2004년 11월 18일) 길이조절식 토류판과 이를 이용한 토류벽 가시설 설치공법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13006 (등록일자 2016년 04월 08일) 너비조절이 되는 사각프레임형 토류판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41726 (등록일자 : 2013년 12월 09일) 조립식 토류판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542789 (등록일자 : 2015년 08월 03일) 흙막이용 토류판 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926726 (등록일자 : 2009년 11월 06일) 충격흡수가 용이한 토류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간편하고, 부식 방지가 되어 재활용 가능하며,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토류판은 지하 구조물 시공 시 인접 지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된 H-Beam형 엄지말뚝과 엄지말뚝 사이에 끼워넣어 흙 차단벽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일단이 상기 엄지말뚝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며 4각 파이프 형상이고,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토류판 외부체와; 일단은 상기 엄지말뚝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류판의 길이를 상기 엄지말뚝과 엄지말뚝 사이의 간격 및 설치 오차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하며, 상기 토류판의 양단이 엄지말뚝의 웨브(Web)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와 동일한 형태의 4각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하며,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토류판 내부체로 구성된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높이 측 일면에는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중앙에 일정 길이의 슬로트홀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류판 내부체의 높이 측 일면에는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중앙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직경의 천공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토류판 내부체의 이동은 상기 슬로트홀을 통해 보이는 상기 천공에 이동치구를 꽂아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는 길이 1300~1700mm, 높이 170~200mm, 살두께 1.2~2.0mm 이며, 폭은 상기 토류판의 필요 단면계수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토류판 내부체는 길이 700~1100mm, 살두께 1.2~2.0mm 이며, 높이와 폭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슬로트홀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양단에서 각각 40~60mm 떨어진 위치에서 300~400mm 길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천공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의 양단에서 각각 30~50mm 떨어진 위치에서 40~60mm 간격으로 직경 18~22mm의 홀로 5~10개 형성된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토류판 내부체(22)는 부식을 방지하여 재사용 시 상기 토류판 내부체(22)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 내부에서 원활히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스틸로 제작한 후 내면과 외면을 용융 아연도금(Hot Dip Galvanizing) 처리해야 한다.
상술한 토류판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쉬우며, 길이 조정을 쉽게 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용융 아연도금을 실시해 부식이 방지되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축폐기물 발생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전반적으로 시공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목재 토류판 예시도
도 2는 토류판 재활용을 위해 체결볼트로 체결한 토류판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전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실제 샘플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한 제1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한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한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토류판 외부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토류판 내부체 개략도
도 11은 엄지말뚝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기존의 목재 토류판 예시도이며, 도 2는 토류판 재활용을 위해 체결볼트로 체결한 토류판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전체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실제 샘플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한 제1실시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한 제2실시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설치한 제3실시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토류판 외부체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토류판 내부체 개략도이고, 도 11은 엄지말뚝 개략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토류판(2)은 지하 구조물 시공 시 인접 지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11)와 웨브(Web)(12)로 구성된 H-Beam형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에 끼워넣어 흙 차단벽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도 3-1은 상기 토류판(2)의 결합도이고, 도 3-2는 상기 토류판(2)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상기 토류판(2)은 일단이 상기 엄지말뚝(1)의 플랜지(11)와 플랜지(11) 사이에 삽입되며 4각 파이프 형상이고,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흙 차단벽의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토류판 외부체(21)와; 일단은 상기 엄지말뚝(1)의 플랜지(11)와 플랜지(11)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류판(2)의 길이를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의 간격 및 설치 오차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하며, 상기 토류판(2)의 양단이 엄지말뚝(1)의 웨브(12)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동일한 형태의 4각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하며,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흙 차단벽의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토류판 내부체(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토류판(2)은 수직으로 적층되어 흙 차단벽을 형성한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높이 측 일면에는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중앙에 일정 길이의 슬로트홀(2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높이 측 일면에는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중앙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직경의 천공(2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높이 측 일면은 도면에서 정면을 말하며, 상기 토류판(2)를 설치했을 때 전면에 보이는 면이며 이면이 적층되면 토류벽(흙막이 벽체)이 된다.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이동은 상기 슬로트홀(211)을 통해 보이는 상기 천공(221)에 이동치구를 꽂아 외력을 가해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좌우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상기 토류판(2)는 흙의 하중에 이길 수 있는 단면계수로 설계되기 때문에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토류판 내부체(22)로 분리되어 있고 별도의 결합 수단이 없이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에서 토류판 내부체(22)를 빼놓아도 흙의 하중이 수평과 수직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엄지말뚝(1)에서 분리되어 토류판(2)이 형성된 토류벽이 파손되는 일은 없다.
상기 이동치구는 상기 천공(221)에 끼울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로드 형태의 스틸로 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구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동치구를 핸드링하기 쉽게 하는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의 직경은 12~18mm 인 것이 상기 토류판 내부체(22)를 이동 시 휘어지지 않고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토류판(2)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토류판 내부체(22)로 구성되어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의 간격 및 설치 오차에 따라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이동으로 상기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를 틈이 없이 막을 수 있고, 계속 적층하여 위로 쌓아 올리면 토류벽(흙막이 벽체)이 형성된다.
상기 토류판(2)은 스틸로 되어 있어 강도가 강하고, 간격 및 설치 오차는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이동으로 완전 밀폐가 가능하여 설치가 쉽고, 부식이 되지 않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설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인건비 및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토류판 내부체(22)는 부식을 방지하여 재사용 시 상기 토류판 내부체(22)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 내부에서 원활히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스틸로 제작한 후 내면과 외면을 용융 아연도금(Hot Dip Galvanizing)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토류판 내부체(22)는 철판을 절곡하여 4각으로 만들고 두 단면의 만나는 접합면을 용접하여 제작한 후 용접 슬래그를 제거하고 표면을 매끈하게 마무리한 후 용융 아연도금 처리를 한다.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외형 크기는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에서 큰 유격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접합면의 용접은 전체를 다할 필요는 없고 스파트 용접을 하되 용접비드가 내부로 튀어 나와 상기 토류판 내부체(22)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데 장애가 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접합면의 용접은 전체를 다할 필요는 없고 스파트 용접을 하되 용접비드가 외부로 튀어 나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데 장애가 되어서는 안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토류판(2)을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에 적층하는 방법의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토류판(2)을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에 적층하여 설치하여 토류벽(흙막이 벽체)을 형성시킨 제1실시예로써, 적층 방법은 먼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을 우측 엄지말뚝(1)의 웨브(12)에 밀착시킨 후, 상기 토류판 외부체(21) 내에 있는 상기 토류판 내부체(22)를 상기 이동치구를 이용하여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엄지말뚝(1)의 웨브(12)까지 밀착시키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토류판(2)을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에 적층하여 설치하여 토류벽(흙막이 벽체)을 형성시킨 제2실시예로써, 적층 방법은 먼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을 좌측 엄지말뚝(1)의 웨브(12)에 밀착시킨 후, 상기 토류판 외부체(21) 내에 있는 상기 토류판 내부체(22)를 상기 이동치구를 이용하여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엄지말뚝(1)의 웨브(12)까지 밀착시키면 된다.
도 8은 상기 토류판(2)의 적층방법은 도 6이나 도 7과 같이 한쪽으로만 적층하지 않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21)과 토류판 내부체(22)가 번갈아 가면서 적층한 것으로 이 방법이 균일하게 힘을 받을 수 있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21)과 토류판 내부체(22)의 상하 적층에 의한 틈이 적게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한 적층방법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토류판 외부체(21)는 일단이 상기 엄지말뚝(1)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며 4각 파이프 형상이고,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흙 차단벽의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킨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높이 측 일면에는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중앙에 일정 길이의 슬로트홀(2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로트홀(211)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양단에서 각각 40~60mm 떨어진 위치에서 300~400mm 길이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류판 외부체(21)는 길이 1300~1700mm, 높이 170~200mm, 살두께 1.2~2.0mm 이고, 폭은 상기 토류판(2)의 필요 단면계수에 의해 정해진다.
도 9의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에 표기된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것이며, 토사의 하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토류판 내부체(22)는 일단은 상기 엄지말뚝(1)의 플랜지(11)와 플랜지(11)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류판(2)의 길이를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의 간격 및 설치 오차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하며, 상기 토류판(2)의 양단이 엄지말뚝(1)의 웨브(12)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동일한 형태의 4각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하며,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흙 차단벽의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킨다.
상기 토류판 내부체(22)는 길이 700~1100mm, 살두께 1.2~2.0mm 이고, 높이와 폭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천공(221)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양단에서 각각 30~50mm 떨어진 위치에서 40~60mm 간격으로 직경 18~22mm의 홀로 5~10개 형성된다.
도 10의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에 표기된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것이며, 토사의 하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엄지말뚝(1)은 흙막이용 수직말뚝을 칭하며, 플랜지(11)와 웨브(Web)(12)로 구성된 H-Beam형을 사용한다.
흙막이 공사는 상기 엄지말뚝(1)을 근입한 후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에 본 발명의 상기 토류판(2)을 설치하고, 굴착한다.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쉬우며, 길이 조정을 쉽게 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용융 아연도금을 실시해 부식이 방지되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축폐기물 발생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전반적으로 시공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1 : 엄지말뚝
11 : 플랜지 111 : 상부플랜지
112 : 하부플랜지 12 : 웨브
2 : 토류판
21 : 토류판 외부체 211 : 슬로트홀
22 : 토류판 내부체 221 : 천공

Claims (4)

  1. 지하 구조물 시공 시 인접 지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11)와 웨브(Web)(12)로 구성된 H-Beam형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에 끼워넣어 흙 차단벽을 만드는 흙막이용 토류판(2)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2)은 일단이 상기 엄지말뚝(1)의 플랜지(11)와 플랜지(11) 사이에 삽입되며 4각 파이프 형상이고,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토류판 외부체(21)와;
    일단은 상기 엄지말뚝(1)의 플랜지(11)와 플랜지(11)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토류판(2)의 길이를 상기 엄지말뚝(1)과 엄지말뚝(1) 사이의 간격 및 설치 오차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하며, 상기 토류판(2)의 양단이 엄지말뚝(1)의 웨브(12)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동일한 형태의 4각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가능하며, 적층되어 일면이 외벽면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토류판 내부체(22)로 구성되며,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높이 측 일면에는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중앙에 일정 길이의 슬로트홀(2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높이 측 일면에는 양단에서 각각 일정 길이 떨어진 중앙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직경의 천공(22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이동은 상기 슬로트홀(211)을 통해 보이는 상기 천공(221)에 이동치구를 꽂아 외력을 가해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21)는 길이 1300~1700mm, 높이 170~200mm, 살두께 1.2~2.0mm 이고, 폭은 상기 토류판(2)의 필요 단면계수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토류판 내부체(22)는 길이 700~1100mm, 살두께 1.2~2.0mm 이고, 높이와 폭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슬로트홀(211)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양단에서 각각 40~60mm 떨어진 위치에서 300~400mm 길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천공(221)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양단에서 각각 30~50mm 떨어진 위치에서 40~60mm 간격으로 직경 18~22mm의 홀로 5~10개 형성되고,
    상기 이동치구는 상기 천공(221)에 끼울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로드 형태의 스틸로 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동치구를 핸드링하기 쉽게 하는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토류판 내부체(22)는 부식을 방지하여 재사용 시 상기 토류판 내부체(22)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 내부에서 원활히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스틸로 제작한 후 내면과 외면을 용융 아연도금(Hot Dip Galvanizing) 처리하고,
    상기 끼움부의 직경은 상기 토류판 내부체(22)를 이동 시 휘어지지 않고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12~18mm 이며,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와 토류판 내부체(22)는 철판을 절곡하여 4각으로 만들고 두 단면의 만나는 접합면을 용접하여 제작한 후 용접 슬래그를 제거하고 표면을 매끈하게 마무리하고,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접합면의 용접은 스파트 용접을 하되 용접비드가 내부로 튀어 나와 상기 토류판 내부체(22)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토류판 내부체(22)의 접합면의 용접은 스파트 용접을 하되 용접비드가 외부로 튀어 나와 상기 토류판 외부체(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49772A 2016-04-25 2016-04-25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KR10184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72A KR101844245B1 (ko) 2016-04-25 2016-04-25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72A KR101844245B1 (ko) 2016-04-25 2016-04-25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03A KR20170121403A (ko) 2017-11-02
KR101844245B1 true KR101844245B1 (ko) 2018-05-14

Family

ID=6038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772A KR101844245B1 (ko) 2016-04-25 2016-04-25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26B1 (ko) 2019-11-28 2020-08-06 박문신 단차 결합구조를 갖는 강재 토류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15B1 (ko) * 2022-03-24 2022-09-30 라파이엔씨 주식회사 암파쇄 방호시설용 토류판 수평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 방호시설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16Y1 (ko) * 2001-02-06 2001-07-19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방호시설장치
KR100732943B1 (ko) * 2005-03-10 2007-06-27 윤은중 흙막이 조립체
KR101102434B1 (ko) * 2010-11-29 2012-01-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흙막이용 강재 토류판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재사용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16Y1 (ko) * 2001-02-06 2001-07-19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방호시설장치
KR100732943B1 (ko) * 2005-03-10 2007-06-27 윤은중 흙막이 조립체
KR101102434B1 (ko) * 2010-11-29 2012-01-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흙막이용 강재 토류판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재사용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26B1 (ko) 2019-11-28 2020-08-06 박문신 단차 결합구조를 갖는 강재 토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03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68048B1 (ko) 철재 토류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6332303B1 (en) 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KR101714371B1 (ko)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KR101844245B1 (ko) 설치가 용이한 길이 조절식 토류판
US9856620B2 (en) Shoring system using at least one liquid-controlling slide rail
US3352120A (en) Reinforced concrete pile
KR101862208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공법
WO2018089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ropagation of cracks in concrete
KR100952596B1 (ko) 습지용 기초 구조물
KR101677236B1 (ko) 2중 강판 토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WO2016136980A1 (ja) 柱と杭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構造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20100118482A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한 측면이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JP7102228B2 (ja) コンクリート矢板部材、土留め壁および土留め壁の構築方法
KR20170090190A (ko) 강판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강판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8524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6012398B2 (ja) 鉄塔の補強構造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1608286B1 (ko) 인발에 의한 분리가능 구조를 가지는 phc말뚝-강재빔의 합성형 중간말뚝
KR20100138455A (ko) 띠장용 홈메우기 블록 및 홈메우기 방법
CN105908738A (zh) 大尺寸钢与混凝土组合空心抗滑桩及其施工方法
KR100843557B1 (ko) 강화형 금속재 맨홀 어셈블리
KR100716278B1 (ko) 흙막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