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964B1 -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 Google Patents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964B1
KR101843964B1 KR1020170154853A KR20170154853A KR101843964B1 KR 101843964 B1 KR101843964 B1 KR 101843964B1 KR 1020170154853 A KR1020170154853 A KR 1020170154853A KR 20170154853 A KR20170154853 A KR 20170154853A KR 101843964 B1 KR101843964 B1 KR 10184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upper plate
inclination
plat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군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 filed Critical (주)아쿠아
Priority to KR102017015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6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air or gas pocket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rolling elements, e.g. balls,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는 침전찌꺼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100분의 1 이상의 경사를 두어 설치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로서, 상기 저수조용 물탱크가 설치되는 수평면에 배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하단이 설치되고 상단에 제1 상부플레이트가 설치된 지지기둥,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의 서로 대칭되는 상면의 가장자리에 하부가 나사 체결되어 상하 이동되며 제1 상부플레이트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머리부가 돌출 형성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 및 상기 머리부를 통해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경사도 및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H-형강 및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보조형강을 포함하는 바닥보강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저수조의 설치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저수조용 물탱크를 제공 가능하다.

Description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ASEISMICITY AND HEAT INSULATION A WATER TANK FOR STORAGE WATER TANK}
본 발명은 저수조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찌꺼기의 배출구를 향하여 경사도가 가능하고, 내진 및 보온 가능한 저수조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저수조용 물탱크는 일반적으로 용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구성된 장치로서, 이러한 저수조용 물탱크에 저장되는 용수는 예컨대, 생활용수나 소화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수조용 물탱크는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이나 콘크리트 패드(Concrete PAD)로 지칭 가능한 기초콘크리트를 지면에 배열 설치하여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콘크리트들의 상부에 사각파이프(Square pipe)나 H-형강(H-Beam)을 예컨대, 'ㄱ'자 찬넬(Channel)을 통해 고정하여 구성한 바닥프레임(Base Frame)의 상부에는 위생안전기준에 적합한 내식성 재질인 PDF 패널(Polyethylene Double Frame Panel)과 PE 시트(Polyethylene Sheet)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위패널을 조립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사각파이프나 H-형강은 기초콘크리트들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서로 맞닿아 있는 각 모서리를 용접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그 하부를 기초콘크리트에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저수조용 물탱크는 기초콘크리트와 함께 PDF 패널 및 라이닝(Lining) 등을 포함하는 바닥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측벽과 상판을 서로 연결되도록 구축함으로써, 용수를 저장하는 담수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저수조용 물탱크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콘크리트블록(132)의 상부에 바닥채널(134)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채널(134)의 상부에 PDF 패널(150)을 적층하며, 상기 PDF 패널(150)의 상부를 PE 시트(136)를 이용하여 라이닝 처리함으로써, 바닥프레임(130)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프레임(130)의 상부에 바닥과 상판을 구축하여 저수조용 물탱크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저수조용 물탱크는 기초콘크리트인 콘크리트블록을 시공해야 하는 관계로, 시공기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블록 간 높낮이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즉 콘크리트블록의 시공은 건축공사로서, 콘크리트의 양생 및 타설 등에 절대적인 시간이 필요하므로,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고 있으며,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블록 간의 높낮이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경사도를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침전찌꺼기의 배출구를 저수조의 맨 밑부분에 설치하고, 저수조의 바닥은 배출구를 향하여 100분의 1 이상의 경사를 두어 설치하는 등 배출이 쉬운 구조로 해야 하는 저수조의 설치기준(제9조의2 관련)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0229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닥프레임을 개선하여 저수조의 바닥은 배출구를 향하여 100분의 1 이상의 경사를 두어야 하는 저수조의 설치기준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진동 발생시 진동이 상부구조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바닥프레임에 내진기능을 적용하여 저수조의 안전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물탱크를 구성하는 PDF 패널 자체를 용이하게 보온하여 기온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는 침전찌꺼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100분의 1 이상의 경사를 두어 설치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로서,
상기 저수조용 물탱크가 설치되는 수평면에 배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하단이 용접설치되고 상단에 제1 상부플레이트가 용접설치되며 횡단면이 H형으로 형성되고 공기순환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지지기둥,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의 서로 대칭되는 상면의 가장자리에 하부가 나사 체결되어 상하 이동되며 상부에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머리부가 돌출 형성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 및 상기 머리부를 통해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받침부에 하면이 받쳐지며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의 상하 이동을 통해 경사도 및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 및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H-형강(H-Beam) 및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보조형강을 포함하는 바닥보강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용 물탱크는 원형물탱크 또는 다각형물탱크일 수 있으며, SUS, SMC, PDF(Polyethylene Double Frame) 물탱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횡단면이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장공(Long hole)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체결되는 앵커 볼트(Anchor Bolt)를 통해 수평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부플레이트는 횡단면이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각각 중심부를 기준으로 4개의 제1 볼트체결용 탭홀 및 제1 볼트체결용 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는 하부에 제1,2 너트가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너트와 받침부 사이에 개재된 제1 압축스프링 또는 상기 제1 너트와 제1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와셔(Spring washer)를 포함하는 너트풀림방지수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되며, 높낮이조절볼트를 통해 제1 상부플레이트에 체결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
상기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와 제2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제2 압축스프링; 및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상부플레이트를 축 지지하는 원형볼;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는 제1 압축스프링 및 원형볼의 하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과 마주보는 제2 상부플레이트의 하면에 제2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바닥보강재가 얹혀지는 제3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2,3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고무재질로 형성된 내진용 진동조절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2개의 제1 홀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홀과 대응되는 제2 홀이 제3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2 홀에 각기 체결되는 돌출부가 내진용 진동조절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체결용 홀과 제1 홀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바닥보강재의 상부에 설치된 제1 PDF 패널;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 또는 제3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H-형강 및 상기 제2 H-형강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보조형강을 포함하는 측벽보강재; 및
상기 측벽보강재의 내벽에 설치된 제2 PDF 패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1,2 보조형강은 사각형강이나 ㄷ자형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1,2 PDF 패널의 표면에 PE 시트(Polyethylene Sheet)나 PE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라이닝(Lining)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제1,2 PDF 패널은 일단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홈부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내부공간에 배열형성된 리브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제1,2 PDF 패널을 보온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신축공간이 마련된 발포성 보온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보온재는 횡단면이 내부공간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억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보온재는 횡단면이 내부공간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 및 인출시 몸체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외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반원형의 돌기로 형성되어 발포성 보온재의 외면에 무작위로 배치되거나 신축공간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발포성 보온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를 통해 기초콘크리트를 대신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구성함으로써, 시공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조의 설치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경사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와 바닥보강재가 면 접촉하는 바닥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저수조용 물탱크의 용이한 지지는 물론이고,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예컨대 지진동 발생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의 내진용 진동조절판을 통해 진동이 바닥보강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저수조용 물탱크의 구조적 흔들림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2 PDF 패널의 내부공간에 발포성 보온재를 삽입하여 채움으로써, 제1,2 PDF 패널을 용이하게 보온할 수 있어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수조용 물탱크의 내부 오염도를 낮춰 신뢰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저수조용 물탱크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를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1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과 발포성 보온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과 발포성 보온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5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과 발포성 보온재의 결합상태를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과 신축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발포성 보온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8 내지 19는 도 17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과 신축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외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상부에 제1 H-형강(2a) 및 제1 보조형강(2b)을 포함하는 바닥보강재(2)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보강재(2)의 상부에 제1 PDF 패널(3)이 설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상부에 제1 H-형강(2a)과 제1 보조형강(2b)을 포함하는 바닥보강재(2)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보강재(2)의 상면에 배출구(9b)를 포함하는 제1 PDF 패널(3)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상부에 제2 H-형강(4a)과 제2 보조형강(4b)을 포함하는 측면보강재(4)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보강재(4)의 내벽에 제2 PDF 패널(5)이 설치되며, 측면보강재(4)의 상부에 상판(8)이 설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지지기둥(2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20)의 상부에 제1 상부플레이트(2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의 상부에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의 상부에 제2 상부플레이트(50)가 설치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상부에 바닥보강재(2)가 설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결합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지지기둥(2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20)의 상부에 제1 상부플레이트(21),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 및 제2 상부플레이트(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결합하여 정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를 통해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경사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 내지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는 콘크리트 패드(Concrete Pad)나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으로 지칭 가능한 기초콘크리트를 대신하여 물탱크의 바닥프레임(Base Frame)을 구성하는 바닥보강재(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지면이나 옥상 등의 저수조용 물탱크가 설치되는 수평면에 배열 설치되는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H-형강(2a)과 상기 제1 H-형강(2a)의 측면에 조립되는 제1 보조형강(2b)을 포함하는 바닥보강재(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저수조용 물탱크는 예컨대, 원형물탱크나 다각형물탱크일 수 있으나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다각형물탱크를 기준으로 설명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그리고 SUS, SMC 또는 PDF 물탱크일 수 있으나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PDF 물탱크를 기준으로 설명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는 바닥보강재(2)의 상면에 제1 PDF 패널(3)을 설치하여 바닥프레임을 구성하는 한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상부에 제2 H-형강(4a)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직의 제2 H-형강(4a)의 측면에 제2 보조형강(4b)을 조립함으로써, 저수조의 측면보강재(4)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보강재(4)의 내벽에 제2 PDF 패널(5)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저수조는 제2 PDF 패널(5)에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턴 버클(6)을 설치함으로써, 용수에 의해 측면보강재(4)가 변형되는 일종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턴 버클(6)의 외부를 감싸도록 PE 파이프로 실시 가능한 보호파이프(7)를 설치하여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측면보강재(4)의 상부에 상판(8)을 설치함으로써, 저수조를 전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저수조는 담수부(9)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입수구(8a)와 담수부(9)를 점검하기 위한 출입구(8b)가 상판(8)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저수조를 점검하기 위한 외부사다리(8c)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담수부(9)에 내부사다리(9a)가 설치될 수 있고, 용수의 저장량을 조절하기 위한 오버플로어배관(9c)이 설치될 수 있으며, 담수부(9)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침전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9b)가 제1 PDF 패널(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의 설치기준(제9조의2 관련)에 따르면, 저수조의 바닥은 배출구(2b)를 향하여 100분의 1 이상의 경사를 두어 설치하는 등 배출이 쉬운 구조로 할 것인데, 이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의 상면에 바닥보강재(2)를 사선방향으로 용접설치하고, 상기 바닥보강재(2)의 상부에 제1 PDF 패널(3)을 설치하여 바닥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는 베이스플레이트(1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하단이 설치되고, 상단에 제1 상부플레이트(21)가 설치되는 지지기둥(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예컨대, 스틸(Steel)을 이용하여 횡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육면체로 형성되고, 통상의 앵커 볼트(11a)를 통해 수평면에 배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중심부를 기준으로 4개의 장공(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공(11)을 통해 내진시 베이스플레이트(10)를 유동시킴으로써,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구조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하단이 설치되는 지지기둥(20)은 스틸을 이용하여 횡단면이 H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예컨대, 용접되어 설치되며, 상단에 설치되는 제1 상부플레이트(21)와도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 역시 스틸로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기둥(20)은 외면에 공기순환구멍(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순환구멍(20a)은 구조적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지기둥(2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순환구멍(20a)을 통해 온도변화에 따른 지지기둥(20)의 신축현상, 즉 온도가 높으면 늘어나고 온도가 낮으면 수축하는 신축현상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어 예컨대,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가 주위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는 제1 상부플레이트(21)에 하부가 나사 체결되는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 및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바닥보강재(2)가 얹혀지는 제2 상부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는 제1 상부플레이트(21)의 서로 대칭되는 상면의 가장자리에 하부가 나사 체결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4개의 제1 볼트체결용 탭홀(21a)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상부플레이트(50)는 상기 제1 볼트체결용 탭홀(21a)과 대응되는 4개의 제1 볼트체결용 홀(51)이 형성되는데, 제1,2 상부플레이트(30)(50)의 꼭짓점 측에 제1 볼트체결용 탭홀(21a) 및 제1 볼트체결용 홀(51)이 배치된다.
이러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는 일명 상투형 볼트로서, 제1 볼트체결용 탭홀(21a)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41)가 하부에 형성되고,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42)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42)의 상부에 제1 볼트체결용 홀(51)에 삽입되는 머리부(43)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43)는 제1 볼트체결용 홀(5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체결용 홀(52)과의 사이에 일종의 유동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지진동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가 흔들리더라도 유동공간에 의해 바닥보강재(2)를 지지하는 제2 상부플레이트(50)에 지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저수조의 완파나 반파 등을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용 볼트(40)를 통한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볼트체결용 탭홀(21a)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2 너트(44)(45)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를 기준으로 상부에 제1 너트(44)를 배치하고, 하부에 제2 너트(45)를 배치하여 수평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의 나사부(41)를 체결하되, 상기 제1 너트(44)와 받침부(42) 사이에 너트풀림방지수단으로서, 제1 압축스프링(46)을 개재하거나 제1 너트(44)와 제1 상부플레이트(21) 사이에 스프링와셔(47)를 개재하게 되면, 나사부(41)의 회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1 너트(44)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50)는 제1 상부플레이트(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서, 상면에 바닥보강재(2)를 구성하는 제1 H-형강(2a)이 사선방향으로 용접설치되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를 통해 경사도 및 높낮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보강재(2)는 제1 H-형강(2a) 및 제1 보조형강(2b)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보강재(2)의 상면에 제1 PDF 패널(3)이 설치되는데,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저수조는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상부에 사선방향으로 용접설치되는 제1 H-형강(2a)과 제1 보조형강(2b)을 포함하는 바닥보강재(2) 및 제1 PDF 패널(3)을 통해 바닥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보조형강(2b)은 사각형강이나 ㄷ자형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통상적인 저수조용 물탱크의 바닥프레임을 개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시공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조의 설치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경사도조절이 가능하여 청소가 용이하다. 그리고 제2 상부플레이트(50)와 바닥보강재(2)가 면 접촉된 상태에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로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가 12개소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에 제1 H-형강(2a)이 설치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로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가 12개소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에 제1 H-형강(2a)이 설치되고, 상기 제1 H-형강(2a) 사이에 제1 보조형강(2b)이 배열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7 내지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는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도면상 12개소에 일정 간격의 사각형태로 배치하여 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의 설치 개수 및 배치형태는 하나의 예로써, 저수조의 저장용량에 따라 12개소 미만으로 배치되거나 이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이러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에는 제1 H-형강(2a)이 설치되고, 상기 제1 H-형강(2a) 사이에 제1 보조형강(2b)을 배열하는 방법으로 바닥보강재(2)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보조형강(2b)은 양단이 각기 다른 제1 H-형강(2a)의 측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H-형강(2a)의 홈(2d)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제1 보조형강(2b)의 양단에 돌기(2e)를 구성함으로써, 통상적인 홈과 돌기의 삽입방식을 통해 제1 보조형강(2b)과 제1 H-형강(2a)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바닥보강재(2)의 상부에 제1 PDF 패널을 결합함으로써, 바닥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어 시공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공기순환구멍(20a)이 형성된 지지기둥(2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20)의 상부에 제1 상부플레이트(2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의 상부에 나사부(41), 받침부(42) 및 머리부(43)로 구성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의 상부에 제2 상부플레이트(50)가 설치되며, 상기 제1,2 상부플레이트(21)(50) 사이에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30), 원형볼(33) 및 제2 압축스프링(32)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0은 도 9의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를 통해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경사도를 조절하고, 원형볼(33)을 통해 축 지지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9 내지 10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는 제1 상부플레이트(21)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되며, 높낮이조절볼트(31)를 통해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에 체결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30),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50)와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30) 사이에 개재된 제2 압축스프링(32) 및 상기 제2 압축스프링(3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상부플레이트(50)를 축 지지하는 원형볼(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30)는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높낮이조절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원형볼(3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횡단면이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 상부플레이트(21)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에 나사 체결되는 높낮이조절볼트(31)에 하부가 체결되어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는 높낮이조절볼트(31)의 나사 체결을 위하여 탭(Tap) 가공을 하게 된다.
여기서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30)는 원형볼(33) 및 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압축스프링(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수용홈(30a)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30a)과 마주보는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하면에 제2 수용홈(5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 수용홈(30a)(50a)을 통해 제2 압축스프링(32)의 양단을 수용하여 용이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2 압축스프링(32) 및 이의 내부에 수용되는 원형볼(3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압축스프링(32)은 원형볼(33)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2 상부플레이트(50)를 탄성 지지하여 바닥보강재(2)와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볼(33)은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수평 및 높낮이조절시 이를 축 지지함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원형볼(33)을 통해 제2 상부플레이트(50)를 축 지지하고, 제2 압축스프링(32)을 통해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수평 및 높낮이조절을 위한 구조적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상부에 내진용 진동조절판(70) 및 제3 상부플레이트(60)가 설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공기순환구멍(20a)이 형성된 지지기둥(2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20)의 상부에 제1 상부플레이트(2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21)의 상부에 나사부(41), 받침부(42) 및 머리부(43)로 구성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40)의 상부에 제2 상부플레이트(50)가 설치되며, 상기 제1,2 상부플레이트(21)(50) 사이에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30), 원형볼(33) 및 제2 압축스프링(32)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상부에 내진용 진동조절판(70) 및 제3 상부플레이트(60)가 설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1 내지 1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1)는 내진기능을 갖도록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바닥보강재(2)가 얹혀지는 제3 상부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3 상부플레이트(50)(60) 사이에 개재되며, 고무재질로 형성된 내진용 진동조절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50)와 제1 상부플레이트(21)에 사이에는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30), 원형볼(33) 및 제2 압축스프링(32)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 상부플레이트(60)는 스틸을 이용하여 횡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육면체로 형성되어 상면에 제1 H-형강(2a)이 사선방향으로 용접설치된다. 그리고 제2,3 상부플레이트(50)(60) 사이에 개재되는 내진용 진동조절판(70)은 용수의 하중으로 인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목적과 동시에 내진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자체탄성력이 있는 고무재질, 예컨대 합성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나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를 통해 횡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육면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진용 진동조절판(70)은 상부와 하부에 돌출부(71)가 각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71)가 제2,3 상부플레이트(50)(60)에 형성된 제1,2 홀(52)(61)에 각기 삽입됨으로써, 내진용 진동조절판(7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5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2개의 제1 홀(52)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홀(52)과 대응되는 제2 홀(61)이 제3 상부플레이트(60)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2 홀(52)(61)에 내진용 진동조절판(70)의 돌출부(71)가 삽입된다.
또한, 제1 홀(52)은 제2 상부플레이트(50)에 형성된 제1 볼트체결용 홀(51)과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제1 볼트체결용 홀(52)이 제2 상부플레이트(50)의 각 꼭짓점 측에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제1 홀(5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2,3 상부플레이트(50)(60) 사이에 개재되는 내진용 진동조절판(70)을 통해 예컨대, 지진동 발생시 베이스플레이트(10), 내진용 진동조절판(70), 그리고 바닥보강재(2)가 상기 내진용 진동조절판(70)의 탄성 변형을 통해 개별적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진동전달이 방지되어 저수조의 완파나 반파 등을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3)(5)과 발포성 보온재(90)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일단에 돌기부(81a)가 형성되고, 타단에 홈부(81b)가 형성된 제1,2 PDF 패널(3)(5) 및 상기 제1,2 PDF 패널(3)(5)을 구성하는 몸체(81)의 내부공간(81c)에 삽입되는 발포성 보온재(90)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3)(5)과 발포성 보온재(90)의 결합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1,2 PDF 패널(3)(5)을 구성하며, 일면에 PE 시트(83)가 부착되는 몸체(81)와 발포성 보온재(9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3 내지 1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3)(5)은 공통적인 사항으로서, 도면상 우측 끝단에 돌기부(81a)가 형성되고, 좌측 끝단에 홈부(81b)가 형성되며, 내부공간(81c)이 마련된 몸체(81) 및 상기 내부공간(81c)에 배열형성된 리브(8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81)의 외면에 PE 시트(83)를 부착함으로써, 라이닝(Lining)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 PDF 패널(3)(5)은 돌기부(81a)와 홈부(81b)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몸체(81)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브(82)를 제외하고는 비어 있는 공간인 내부공간(81c)에 발포성 보온재(90)로서, 발포성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채우게 된다.
여기서 발포성 보온재(90)로서 발포성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사용하는 것은 제1,2 PDF 패널(3)(5)의 폐기시 상기 제1,2 PDF 패널(3)(5)과 발포성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동시에 녹여서 재활용 가능하므로, 예컨대 재활용이 되지 않는 발포성 우레탄 대비 재활용 측면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포성 보온재(90)는 횡단면이 내부공간(81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81c)에 삽입시 이를 용이하게 채울 수 있다. 즉 도면상 횡단면이 사각모양인 내부공간(81c)에 마찬가지로 횡단면이 사각모양인 발포성 보온재(90)가 삽입되어 채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발포성 보온재(90)를 통해 제1,2 PDF 패널(3)(5)의 내부공간(81c)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기온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여 예컨대, 저수조용 물탱크의 내부 오염도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 PDF 패널(3)(5)의 내부보강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3)(5)과 발포성 보온재(90)의 결합상태를 요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1,2 PDF 패널(3)(5)의 내부공간(81c)에 상기 내부공간(81c)보다 횡단면이 크게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3)(5)과 발포성 보온재(90)의 결합상태를 요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1,2 PDF 패널(3)(5)의 내부공간(81c)에 상기 내부공간(81c)보다 횡단면이 크게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5 내지 1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포성 보온재(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내부공간(81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81c)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상 발포성 보온재(90)의 폭(C)을 내부공간(81c)의 폭(S)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81c)에 발포성 보온재(90)를 억지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발포성 보온재(90)는 발포성 소재이므로 삽입시 외형의 변형이 일부 발생하더라도 삽입 후 복원력으로 인해 내부공간(81c)에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발포성 보온재(90)의 밀착력 향상을 통해 제1,2 PDF 패널(3)(5)의 내부공간(81c)을 상기 발포성 보온재(90)로 꽉 채워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3)(5)과 신축공간(91)이 내부에 마련된 발포성 보온재(90)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일단에 돌기부(81a)가 형성되고, 타단에 홈부(81b)가 형성된 제1,2 PDF 패널(3)(5) 및 상기 제1,2 PDF 패널(3)(5)을 구성하는 몸체(81)의 내부공간(81c)에 삽입되며, 신축공간(91)이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8은 도 17의 결합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원형의 신축공간(91)이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가 제1,2 PDF 패널(3)(5)의 내부공간(81c)에 삽입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9는 도 17의 결합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사각형의 신축공간(91)이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가 제1,2 PDF 패널(3)(5)의 내부공간(81c)에 삽입된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7 내지 19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포성 보온재(90)는 제1,2 PDF 패널(3)(5)을 구성하는 몸체(81)의 내부공간(81c)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보온함과 동시에 유지보수나 교체 등을 위한 인출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신축공간(91)이 마련된다.
즉 제1,2 PDF 패널(3)(5)은 몸체(81)의 양단에 돌기부(81a)와 홈부(81b)가 형성됨에 따라 이와 인접하는 내부공간(81c)의 형상 역시 절곡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내부공간(81c)에 신축작용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발포성 보온재(90)의 내부에 신축공간(91)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신축공간(91)을 통해 발포성 보온재(90)는 내부공간(81c)에 삽입 후 신축작용에 의한 복원력으로 몸체(81)에 밀착되어 외부공기가 제1,2 PDF 패널(3)(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이로 인해 물탱크의 내외부 기온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PDF 패널(3)(5)과 신축공간(91)이 내부에 마련되고, 외면에 요철부(92)가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요철부(92)가 길이방향 또는 무작위로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가 제1,2 PDF 패널(3)(5)을 구성하는 몸체(81)의 내부공간(81c)에 삽입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즉 도 20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포성 보온재(90)는 제1,2 PDF 패널(3)(5)을 구성하는 몸체(81)의 내부공간(81c)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보온함과 동시에 유지보수나 교체 등을 위한 인출이 용이하도록 횡단면이 내부공간(81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포성 보온재(9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신축공간(91)이 마련되고, 외면에 상기 몸체(81)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요철부(92)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92)는 예컨대, 반원형의 돌기로 형성되어 발포성 보온재(90)의 외면에 무작위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요철부(92)는 신축공간(9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발포성 보온재(9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요철부(92)를 통해 발포성 보온재(90)와 몸체(81) 간의 마찰을 면 접촉에서 선 접촉으로 바꿔 상기 발포성 보온재(90)를 내부공간(81c)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다.
여기서 신축공간(9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발포성 보온재(9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92)는 일종의 보강뼈대(Rib)의 기능을 할 수 있어 발포성 보온재(90)를 내부공간(81c)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포성 보온재(90)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부(92)가 형성된 발포성 보온재(90)의 외면은 내부공간(81c)에 삽입 후 발포성 보온재(90)의 복원력으로 몸체(81)에 밀착됨으로써, 요철부(92)와 내부공간(81c)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저수조용 물탱크의 내외부 기온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
2 - 바닥보강재 2a - 제1 H-형강
2b - 제1 보조형강 2d - 제1 H-형강의 홈
2e - 제1 보조형강의 돌기 3 - 제1 PDF 패널
4 - 측면보강재 4a - 제2 H-형강
4b - 제2 보조형강 5 - 제2 PDF 패널
6 - 턴 버클 7 - 보호파이프
8 - 상판 8a - 입수구
8b - 출입구 8c - 외부사다리
9 - 담수부 9a - 내부사다리
9b - 배출구 9c - 오버플로우배관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장공
11a - 앵커 볼트 20 - 지지기둥
20a - 공기순환구멍 21 - 제1 상부플레이트
21a - 제1 볼트체결용 탭홀 30 -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
30a - 제1 수용홈 31 - 높낮이조절볼트
32 - 제2 압축스프링 33 - 원형볼
40 -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 41 - 나사부
42 - 받침부 43 - 머리부
44 - 제1 너트 45 - 제2 너트
46 - 제1 압축스프링 47 - 스프링와셔
50 - 제2 상부플레이트 50a - 제2 수용홈
51 - 제1 볼트체결용 홀 52 - 제1 홀
60 - 제3 상부플레이트 61 - 제2 홀
70 - 내진용 진동조절판 71 - 돌출부
80 - PE 시트 81 - 몸체
81a - 돌기부 81b - 홈부
81c - 내부공간 82 - 리브
90 - 발포성 보온재 91 - 신축공간
92 - 요철부 C - 보온재의 폭
S - 내부공간의 폭

Claims (14)

  1. 침전찌꺼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100분의 1 이상의 경사를 두어 설치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로서,
    상기 저수조용 물탱크가 설치되는 수평면에 배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하단이 용접설치되고 상단에 제1 상부플레이트가 용접설치되며 횡단면이 H형으로 형성되고 공기순환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지지기둥,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의 서로 대칭되는 상면의 가장자리에 하부가 나사 체결되어 상하 이동되며 상부에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머리부가 돌출 형성된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 및 상기 머리부를 통해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받침부에 하면이 받쳐지며 상기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의 상하 이동을 통해 경사도 및 높낮이가 조절되는 제2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사도 및 높낮이조절용 패드장치; 및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H-형강 및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보조형강을 포함하는 바닥보강재;
    를 포함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횡단면이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장공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 체결되는 앵커 볼트를 통해 수평면에 고정설치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부플레이트는 횡단면이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각각 중심부를 기준으로 4개의 제1 볼트체결용 탭홀 및 제1 볼트체결용 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높낮이조절용 볼트는 하부에 제1,2 너트가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너트와 받침부 사이에 개재된 제1 압축스프링 또는 상기 제1 너트와 제1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와셔를 포함하는 너트풀림방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플레이트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되며, 높낮이조절볼트를 통해 제1 상부플레이트에 체결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
    상기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와 제2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제2 압축스프링; 및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상부플레이트를 축 지지하는 원형볼;
    을 더 포함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형볼 높낮이조절플레이트는 제2 압축스프링 및 원형볼의 하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과 마주보는 제2 상부플레이트의 하면에 제2 수용홈이 형성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바닥보강재가 얹혀지는 제3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2,3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고무재질로 형성된 내진용 진동조절판;
    을 더 포함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2개의 제1 홀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홀과 대응되는 제2 홀이 제3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2 홀에 각기 체결되는 돌출부가 내진용 진동조절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형성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닥보강재의 상부에 설치된 제1 PDF 패널;
    상기 제2 상부플레이트 또는 제3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H-형강 및 상기 제2 H-형강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보조형강을 포함하는 측벽보강재; 및
    상기 측벽보강재의 내벽에 설치된 제2 PDF 패널;
    을 더 포함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2 PDF 패널은 일단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홈부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내부공간에 배열형성된 리브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제1,2 PDF 패널을 보온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신축공간이 마련된 발포성 보온재;
    를 더 포함하는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보온재는 횡단면이 내부공간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억지 삽입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보온재는 횡단면이 내부공간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 및 인출시 몸체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외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반원형의 돌기로 형성되어 발포성 보온재의 외면에 무작위로 배치되거나 신축공간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발포성 보온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KR1020170154853A 2017-11-20 2017-11-20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KR10184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53A KR101843964B1 (ko) 2017-11-20 2017-11-20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53A KR101843964B1 (ko) 2017-11-20 2017-11-20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964B1 true KR101843964B1 (ko) 2018-03-30

Family

ID=6190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53A KR101843964B1 (ko) 2017-11-20 2017-11-20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58B1 (ko) 2020-03-04 2020-06-09 (주)아쿠아 볼트조립식 내진용 pdf 물탱크
KR20220133524A (ko) * 2021-03-25 2022-10-05 김성국 내진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저수장치 및 내진패드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058A (ja) * 2000-11-14 2002-05-22 Hideo Nakajima 建物用免震構造
KR101091183B1 (ko) * 2011-04-20 2011-12-09 진영이티에스 (주)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JP2013257033A (ja) * 2012-06-08 2013-12-26 Mikio Hamada 濱田式免震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058A (ja) * 2000-11-14 2002-05-22 Hideo Nakajima 建物用免震構造
KR101091183B1 (ko) * 2011-04-20 2011-12-09 진영이티에스 (주)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JP2013257033A (ja) * 2012-06-08 2013-12-26 Mikio Hamada 濱田式免震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58B1 (ko) 2020-03-04 2020-06-09 (주)아쿠아 볼트조립식 내진용 pdf 물탱크
KR20220133524A (ko) * 2021-03-25 2022-10-05 김성국 내진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저수장치 및 내진패드 시공방법
KR102562484B1 (ko) * 2021-03-25 2023-08-01 김성국 내진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저수장치 및 내진패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963B1 (ko) 내진용 물탱크의 기초패드장치
KR101843964B1 (ko) 경사도가 가능한 저수조용 내진 및 보온 물탱크
KR101865758B1 (ko) 내부 보강재와 기초패드 결합구조에 의한 내진성을 갖는 물탱크
KR101691326B1 (ko) 지진에 안전한 내진 물탱크
KR101723029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912321B1 (ko) 방진용 경량 인슐레이션 석재 패널 구조체
KR102232677B1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물탱크
KR102120457B1 (ko) 내부 무보강 내진용 pdf 물탱크
KR101912713B1 (ko)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498236B1 (ko)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KR102006932B1 (ko)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KR101706038B1 (ko)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KR101362746B1 (ko) 내, 외부보강 및 이중바닥으로 시공되는 구조보강용 원통형 저장탱크
CN110145643B (zh) 一种抗震支吊架及其施工方法
KR102120458B1 (ko) 볼트조립식 내진용 pdf 물탱크
JPH11278584A (ja) 二重殻貯槽の内槽支持構造
KR102059195B1 (ko) 물탱크용 조립식 기초 패드장치
KR101965852B1 (ko) 내진 시스템이 구비된 물탱크
KR101132415B1 (ko) 다중강성의 지주를 갖는 방음벽
KR101994882B1 (ko) 내진 및 외부보강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CN111456267A (zh) 双向耦合剪切阻尼器、减震框架结构体系
KR101796469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및 그 조립식 보호방벽 설치방법
US10640999B2 (en) Earthquake dampening platform for a ground level storage vessel
CN213629247U (zh) 一种建筑物用给排水管道穿板固定装置
KR102047485B1 (ko) 지중 매설용 하수처리시설의 조립식 보호방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