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762B1 -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762B1
KR101843762B1 KR1020160047484A KR20160047484A KR101843762B1 KR 101843762 B1 KR101843762 B1 KR 101843762B1 KR 1020160047484 A KR1020160047484 A KR 1020160047484A KR 20160047484 A KR20160047484 A KR 20160047484A KR 101843762 B1 KR101843762 B1 KR 10184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orce input
remote controller
force
virtual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455A (ko
Inventor
박성흠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6004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762B1/ko
Priority to US15/254,907 priority patent/US10048791B2/en
Priority to EP16204303.8A priority patent/EP3236666A1/en
Publication of KR2017011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8Switch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 처리 장치는,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showing force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with three dimensional image in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탑 박스(Set-Top Box)는 TV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와 음성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고 그 내용을 TV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셋탑 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 외에도, 예컨대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 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셋탑 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P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셋탑 박스나 TV가 제공하는 기능도 다양해졌고,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의 버튼 개수 또한 증가하였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에 배치된 많은 버튼들의 용도를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가 많기 때문에, TV 화면에 향해있는 시선을 유지한 상태로 리모콘을 조작하는 블라인드 콘트롤(blind control)은 어렵고, 리모콘을 조작할 때마다 TV 화면에 향해있던 시선을 다시 리모콘으로 돌려야 하는 등 리모콘 조작 시 시청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이 다수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이 리모콘의 사용 방법을 용이하게 숙지하도록 함은 물론 리모콘 조작 시 블라인드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096호 (공개일 : 2015년 12월 15일)
본 발명은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리모콘의 키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리모콘 입력의 변화를 3D 개체로 출력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3D 가상 개체를 다른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의 레벨에 따라 상기 가상 개체의 형상, 색상, 사이즈, 깊이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force 입력 레벨의 변화에 따라 상기 3D 가상 개체는 입체적으로 변화되되,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콘의 제 1 키로의 force 입력시 출력되는 3차원 가상 개체는 상기 리코몬의 제 2 키로의 force 입력시 출력되는 3차원 가상 개체와 다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D 가상 개체는 사라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의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리모콘의 키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리모콘 입력의 변화를 3D 개체로 출력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키에 대한 force 입력을 쉽게 인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특정 키 조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체 출력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rce 입력에 따른 가상 개체를 출력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하는 셋탑 박스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기기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미지 처리 장치는 셋탑 박스 자체일 수도 있으며 셋탑 기능을 가지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모콘은 적어도 하나의 키(key)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조작한 키의 레벨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은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키의 레벨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키는 돔 키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키일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키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10) 및 이미지 처리 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모콘(110)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바디(200)와 바디(20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200) 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키들은 상하좌우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Navi Key)(210), ESC 키나 홈키 등과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능키(214) 및 OK 키 등과 같이 동작의 실행을 결정하는 결정키(21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리모콘(110)에는 내비키(210), 기능키(214) 및 결정키(212) 이외에도 다양한 키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 키들은 내비키(210), 결정키(212) 및 기능키(214)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하나의 키에 대해 복수의 입력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콘(110)은 구비된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지원한다.
여기서, normal 입력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르는 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터치 수단(400)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의 (b)와 같이 터치 수단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터치된 입력이 normal 입력일 수 있다.
또한, force 입력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을 누른 입력을 의미한다. 도 3의 (a)와 같이 터치 수단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의 (b)와 같이 누른 후 더 강한 세기나 더 넓은 면적을 지속적으로 눌러 도 3의 (c)와 같은 상태의 입력이 force 입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동일한 키를 누르더라도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에 따라 감지 레벨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은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따라 다른 감지 레벨에 따른 다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리모콘(110)은 하나의 키에 대해 사용자가 normal 입력한 경우와 force 입력한 경우, 각기 상이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에 형성된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복수의 동작과 관련된 기능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리모콘(110)은 각기 다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에 대한 키 정보와 normal 입력에 대한 제1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force 입력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에 대한 키 정보와 force 입력에 대한 제2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사용자가 동일한 특정 키를 조작하였더라도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에 따라 각기 상이한 동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은 사용자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와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압력) 또는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10)은 제어 신호를 좌표 정보로써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키에 대한 정보는 X축 및 Y축 좌표로서,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감지 레벨은 Z축 좌표로써 제어 신호(C(x,y,z))에 포함되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제1 감지 레벨로 조작한 경우, 리모콘(110)은 제1 제어 신호로써 C1(x, y, z1)을 이미지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제2 감지 레벨로 조작하는 경우, 리모콘(110)은 제2 제어 신호로써 C2(x,y,z2)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사용자가 동일한 키를 조작하였을지라도 감지 레벨에 따라 각기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제1 감지 레벨로 조작되는 경우(즉,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이 normal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인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감지 레벨에 따라 당해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감지 레벨이 force 입력에 따른 제2 감지 레벨이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2 감지 레벨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리모콘(110)을 통해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작된 키 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 제어를 위해 설정된 제어 명령을 해당 외부 기기로 전송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가 조명이라고 가정하자. 리모콘(110)의 UP 키와 DOWN 키의 force 입력에 대응하여 조명 제어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UP 키가 force 입력되면 조명을 온(On)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리모콘(110)의 DOWN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감지 레벨에 따라 조명의 조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LEFT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의 조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리모콘(110)의 RIGHT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의 조도를 낮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복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는 각각의 외부 기기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해당 force 입력 이후 리모콘 조작에 따라 특정 키에 대응하여 설정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명, 가스,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의 외부 기기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미지 처리 장치(120) 전용 리모콘의 특정 키를 단축키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에 설정된 각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지정된 키를 force 입력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를 통해 제어할 외부 기기를 선택한 후 리모콘의 키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번거롭게 다수의 리모콘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며, TV 등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 없이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normal 입력되었는지 또는 force 입력되었는지에 따라 각기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가 normal 입력되는 경우 프로그램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키가 formal 입력되는 경우 VOD 리스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지 레벨이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압력) 또는 면적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감지 레벨은 복수의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리모콘(110)은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압력)와 면적을 각각 감지 레벨로써 제어 신호에 포함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 신호는 (x,y,z,t)와 같은 4차원 좌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의 키의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감지 레벨에 관한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의 감지 레벨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 또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와 비교하면, 종래의 리모콘(110)은 키에 대해 normal 입력만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의 리모콘(110)은 하나의 키에 하나의 동작만 매칭되므로, 리모콘(110)에 무수히 많은 키들이 존재하여야 하였으며, 그 결과 리모콘 구조가 복잡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과 같은 다른 감지 레벨의 입력이 제공되므로, 리모콘(110)에 형성된 하나의 키는 하나의 기능이 아니라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도록 매칭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종래에 비해, 적은 키만 존재하여도 되므로, 리모콘 구조가 간단해져 사용자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켜 리모콘 조작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와 감지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정보를 제어 신호로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함으로써, 리모콘(110)에서 동일한 좌표 정보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각기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며, 무선 연결되는 리모콘(110)의 감지 레벨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 또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의 normal 입력에 따라 키 정보와 제1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C(x,y,z1))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한다(단계 510).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시, 해당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하였는지 또는 force 입력하였는지에 따라 감지 레벨이 달라진다. 이로 인해, 리모콘(110)은 사용자가 동일 키를 조작하더라도 해당 키를 조작한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이미지 처리 장치(120)를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515).
계속하여,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키를 더 강한 힘 또는 면적으로 조작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에 대한 키 정보와 제2 감지 레벨에 대한 제2 제어 신호(C(x,y,z2))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한다(단계 520).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525).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상이한 동작(기능)을 수행하거나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대한 감지 레벨에 따라 복수의 기능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하고 있는지 force 입력하고 있는지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리모콘(110)의 force 조작을 인지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특정 키 조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개체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단계 61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으로부터 특정 키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와 해당 특정 키가 눌려진 세기(압력)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지 레벨을 포함한다.
단계 61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에 대한 감지 레벨이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감지 레벨이 변화된 경우, 단계 62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감지 레벨의 변화가 상향 변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감지 레벨의 변화가 상향 변화인 경우, 단계 62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가상 개체를 3차원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만일 감지 레벨의 변화가 하향 변화이면, 단계 63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3D 출력중인 가상 개체를 제거한다.
사용자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한 후 릴리즈 동작 없이 연속하여 도 7의 (B)와 같이 특정 키를 force 입력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의 감지 레벨의 값은 증가하게 되는바, 감지 레벨의 값의 차이는 양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 레벨의 값의 변화가 증가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감지 레벨이 상향 변화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force 입력 중인 상태에서 릴리즈 없이 다시금 normal 입력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감지 레벨의 값은 감소하게 되는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감지 레벨이 하향 변화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감지 레벨이 하향 변화한 경우, 즉 특정 키가 force 입력 중인 상태에서 릴리즈되지 않고 다시 normal 입력으로 변경되는 경우, force 입력에 상응하여 출력중인 가상 개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에만, 사용자로 하여금 force 입력 중임을 알리는 가상 개체가 3차원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615의 판단 결과 감지 레벨이 변화되지 않은 경우, 단계 63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감지 레벨이 제2 감지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제2 감지 레벨이 아니면, 단계 61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감지 레벨이 제2 감지 레벨이면, 단계 630으로 진행한다.
물론,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감지 레벨이 상향 변화되지 않고, force 입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force 입력 중임을 알 수 있도록 가상 개체를 3차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시청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force 입력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됨에 따라 force 입력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화면의 중앙에 리모콘(110)에 상응하는 가상 개체를 출력한 후 가상 개체의 모양, 색상, 사이즈, 방향 및 깊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3차원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force 입력하고 있음을 정확히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 레벨의 변화에 따라 3D 가상 개체를 입체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 레벨의 변화에 따라 3D 가상 개체가 정해진 축을 기준으로 회전(예를 들어, spin)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가 normal 입력보다 더 큰 레벨로 순차적으로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3D 가상 개체의 명암 또는 사이즈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특정 키의 입력이 normal 입력에서 force 입력으로 넘어가는 것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목표 입력 레벨에 도달하면,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목표 입력 레벨에 도달하기 전에 리모콘의 입력이 해제되면, 3D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을 조작하는 개별 사용자의 인지에 따라 3D 가상 개체를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리모콘(110)을 조작하는 개별 사용자는 인지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리모콘(110)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터치 세기, 터치 면적 등)을 기초로 개별 사용자가 인지될 수도 있으며, 리모콘(110)에 설정된 특정 키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될 수도 있다. 물론, 리모콘(110)에 별도의 센서가 구비된 경우, 해당 센서에 의해 계측된 정보를 기초로 개별 사용자가 인지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 레벨에 따라 3D 가상 개체의 출력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force 입력 레벨인 경우, 3D 가상 개체만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force 입력 레벨인 경우, 3D 가상 개체와 force 입력 동작과 관련된 상세 기능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3D 가상 개체가 출력되는 표시 영역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IP인 경우, 3D 가상 개체는 PIP의 표시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 레벨에 따라 3D 가상 개체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가상 개체가 리모콘(110)에 관련된 개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상 개체의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9는 리모콘(110)의 내비 키 중 어느 하나가 force 입력된 경우, 그에 따른 가상 개체를 3차원으로 출력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키에 따라 가상 개체를 상이하게 출력할 수도 있다.
다시 정리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normal 입력 후 릴리즈 동작 없이 더 강한 압력이나 면적으로 force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키의 force 입력을 인지할 수 있도록 가상 개체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normal 입력되는 것을 알리는 가상 개체는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리모콘(110)의 force 입력에 대해서만 3차원 가상 개체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리모콘(110)을 force 입력하고 있음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rce 입력에 따른 가상 개체를 출력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101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으로부터 제1 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101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제1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어, 단계 102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으로부터 제2 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102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2 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제2 가상 개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에서 force 입력되는 키에 따라 각각 상이한 3차원 가상 개체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 레벨에 따라 3차원 가상 개체의 형상, 색상, 크기, 깊이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단지 force 입력하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force 입력의 레벨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1에는 가상 개체가 정육면체 형상인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내비키가 force 입력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내비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3차원 가상 객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결정키나 기능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3차원 가상 개체의 색상을 변경시켜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됨에 따라 모드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3차원 가상 개체에 전환되는 모드에 관한 정보 또는 force 입력에 따라 전환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force 입력의 레벨이 복수 레벨로 구분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force 입력 레벨에 따라 3차원 가상 개체를 변화시켜 사용자가 force 입력 레벨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동일한 형상의 3차원 가상 개체에 대해 색상이나 방향 등을 변경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키에 따라 가상 개체의 형상 자체가 달라질 수도 있으며, 크기가 변화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수신부(1210), 디스플레이부(1215), 메모리(1220) 및 프로세서(1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121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 및 특정 키가 눌려진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1215)는 프로세서(1225)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5)는 액정화면일 수 있다.
메모리(12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force 입력됨을 알리는 가상 개체를 3차원으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12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수신부(1210), 메모리(122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1225)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에 따라 키 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5)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force 입력됨을 알릴 수 있는 가상 개체를 3차원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25)는 가상 개체를 출력함과 동시에 진동 또는 소리를 함께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5)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더라도 해당 특정 키에 대응하여 하나의 기능만 설정되어 있거나 제어 대상 외부 기기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상 개체를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5)는 가상 개체가 출력된 상태에서,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normal 입력으로 변경되면, 출력중인 가상 개체를 제거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25)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에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가상 개체가 3차원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가상 개체는 조작되는 키에 따라 상이한 모양, 색상 및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10: 리모콘
120: 이미지 처리 장치

Claims (17)

  1.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되는 키의 터치 세기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개별 사용자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개별 사용자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 개체를 다르게 출력하며,
    특정 콘텐츠가 화면에 재생중인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force 입력을 표시하기 위해 force 입력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의 레벨에 따라 상기 가상 개체의 형상, 색상, 사이즈, 깊이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되는 키에 따라 상기 가상 개체를 상이하게 3차원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진동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큰 레벨로 순차적으로 입력이 가해질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D 가상 개체의 명암 또는 사이즈를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ormal 입력 보다 더 큰 레벨로 순차적으로 입력이 가해질 때 상기 force 입력 레벨에 해당하는 목표 입력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force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 입력 레벨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리모콘의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3D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 레벨에 따라 상기 3D 가상 개체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이 제1 force 입력 레벨이면, 상기 3D 가상 개체만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force 입력 레벨이면 상기 force 입력에 따른 동작과 관련된 상세 기능을 상기 3D 가상 개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0.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3D 가상 개체를 다른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의 레벨에 따라 상기 가상 개체의 형상, 색상, 사이즈, 깊이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되는 키의 터치 세기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개별 사용자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개별 사용자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 개체를 다르게 출력하며,
    특정 콘텐츠가 화면에 재생중인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force 입력을 표시하기 위해 force 입력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되는 키에 따라 상이한 가상 개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에서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3.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force 입력 레벨의 변화에 따라 상기 3D 가상 개체는 입체적으로 변화되되,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되는 키의 터치 세기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개별 사용자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개별 사용자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 개체를 다르게 출력하며,
    특정 콘텐츠가 화면에 재생중인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force 입력을 표시하기 위해 force 입력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4.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차원 가상 개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콘의 제 1 키로의 force 입력시 출력되는 3차원 가상 개체는 상기 리모콘의 제 2 키로의 force 입력시 출력되는 3차원 가상 개체와 다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되는 키의 터치 세기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개별 사용자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개별 사용자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 개체를 다르게 출력하며,
    특정 콘텐츠가 화면에 재생중인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force 입력을 표시하기 위해 force 입력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 레벨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 개체의 형상, 색상, 크기, 깊이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7. 리모콘으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force 입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시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3차원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force 입력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normal 입력으로 변화되면 상기 3D 가상 개체는 사라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나 상기 normal 입력임을 표시하는 가상 개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되,
    상기 3D 가상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되는 키의 터치 세기 및 터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개별 사용자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개별 사용자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 개체를 다르게 출력하며,
    특정 콘텐츠가 화면에 재생중인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force 입력을 표시하기 위해 force 입력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의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KR1020160047484A 2016-04-19 2016-04-19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KR10184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84A KR101843762B1 (ko) 2016-04-19 2016-04-19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US15/254,907 US10048791B2 (en) 2016-04-19 2016-09-01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force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with three dimensional image in the same
EP16204303.8A EP3236666A1 (en) 2016-04-19 2016-12-15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force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with three dimensional image i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84A KR101843762B1 (ko) 2016-04-19 2016-04-19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455A KR20170119455A (ko) 2017-10-27
KR101843762B1 true KR101843762B1 (ko) 2018-05-14

Family

ID=5791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484A KR101843762B1 (ko) 2016-04-19 2016-04-19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48791B2 (ko)
EP (1) EP3236666A1 (ko)
KR (1) KR1018437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4846B (en) * 1998-01-23 2000-09-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erson tactual virtual environment
EP1129443B1 (en) * 1999-09-10 2012-10-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Remote control device with pressure-sensitive keys
US20070136681A1 (en) * 2005-12-08 2007-06-14 Syntax Brillian Corp. On-screen display for configuring a display apparatus using graphic icons
KR20080036688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터치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리모콘의 동작 제어 방법
US8120585B2 (en) * 2006-11-16 2012-02-2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vibration control interface
JP2010134629A (ja) * 2008-12-03 2010-06-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361018B2 (en) * 2010-03-01 2016-06-07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KR101128704B1 (ko) 2010-03-24 2012-03-23 글로벌테크링크(주) 터치 장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 장치
US20120065784A1 (en) * 2010-09-13 2012-03-15 Philip Feldman Providing kinetic feedback for computer-human interaction in virtual or remote operation environments
KR20140034612A (ko)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유저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905127B2 (ja) * 2012-12-17 2016-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システム
JP6341096B2 (ja) * 2013-01-29 2018-06-13 日本電気株式会社 触力覚提示装置、情報端末、触力覚提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50051769A (ko) 2013-11-05 2015-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JP2017510923A (ja) * 2014-03-21 2017-04-13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触覚対応湾曲装置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864461B2 (en) * 2014-09-26 2018-01-09 Sense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 virtual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8791B2 (en) 2018-08-14
US20170300158A1 (en) 2017-10-19
EP3236666A1 (en) 2017-10-25
KR20170119455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634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51935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2D and 3D modes
US91707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JP5138833B2 (ja) 映像生成装置、方法及び集積回路
US992802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view display
WO2012070161A1 (ja) 情報処理装置
KR201201379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그리고 리모컨 장치
KR10204899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78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EP305697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EP30573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833790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43762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US9582150B2 (en)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014998A (ja) 操作システム
KR101833789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81375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101637285B1 (ko)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패널
KR20170111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62845B1 (ko)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