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628B1 -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628B1
KR101843628B1 KR1020160003224A KR20160003224A KR101843628B1 KR 101843628 B1 KR101843628 B1 KR 101843628B1 KR 1020160003224 A KR1020160003224 A KR 1020160003224A KR 20160003224 A KR20160003224 A KR 20160003224A KR 101843628 B1 KR101843628 B1 KR 101843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main motor
pulley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841A (ko
Inventor
김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신하이텍
김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신하이텍, 김주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신하이텍
Priority to KR102016000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6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20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e.g. with electric starter motors or exci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생성하여 공급해 주기 위한 메인 모터부; 상기 메인 모터부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기계 설비로 전달해 주기 위한 실린더부; 상기 메인 모터부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풀리부; 상기 풀리부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풀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해 두기 위한 전원세이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Machine Equipment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 설비가 구동하지 않을 시 메인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충전해 두었다가 기계 설비 또는 메인 모터 등으로 재공급하도록 구현한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의 메인 모터의 경우에는 공장의 가동에 상관없이 항시 구동하고 있다. 따라서 공장이 가동하고 있지 않을 시에는 불필요한 전력을 메인 모터 등이 계속 소비하고 있는 것인데, 이러한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6718호(2007.05.03.)는 아웃 로터 방식으로 모터를 구성하고 기어박스를 설치하지 않고서 모터에 직접 시브를 설치하여 무게 중심이 모터의 중심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용 모터 시스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원판에 복수의 영구자석이 자극으로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영구자석과 대응해서 복수의 코일이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자; 상기 회전자들의 사이에 고정자 배치되어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고정자들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고정자 코일들의 배선이 내부에 결합 구성되는 고정축; 상기 복수의 회전자가 일체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면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모터 케이스를 이루는 회전체; 그 회전체의 중앙 외측 둘레에 고정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권회시켜 엘리베이터의 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시브(Sheave); 및 상기 고정축의 양측에서 모터 설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고정자와 회전자가 다단 배열된 구조로서, 고정자들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모터의 속도나 출력등을 제어할 수 있고, 회전자에 일체형으로 엘리베이터의 시브를 설치함으로써, 기어박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구조적으로 무게중심에 시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안정적인 설치 및 운전이 가능하여 수명 연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9321호(2015.07.20.)는 공장 등의 지붕 배기용 덕트에 설치되는 원구형 횡류팬인 배기팬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지붕 배기팬 설치형 발전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지붕 배기용 덕트에 설치되며, 원구형 횡류팬인 배기팬이 회전축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팬은 케이스 내부에 다수 개의 날개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 하부에는 발전기가 설치되되, 발전기는 회전축에 로테이터 휠이 장착되고, 상기 로테이터 휠에는 내부날개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날개에는 영구자석인 발전기 로터가 결합되며, 상기 발전기 로터외주에는 코일이 감겨있는 발전기 스테이터가 설치되되, 상기 발전기 스테이터 내부에서 상기 발전기로터가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발전기 스테이터의 외주연은 지붕면에 설치되는 덕트에 결합되어, 발전기 스테이터내부에서 발전기 로터가 회전되며 전기가 발전되고, 발전된 전기는 전선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지붕 배기팬 설치형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내부에는 팬 하부가이드가 설치되되, 상기 팬 하부가이드의 하단은 상기 케이스 하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배기팬의 진동을 저감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는 내부에 오일레스 베어링이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서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 서포트의 끝단은 상기 팬 하부가이드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에는 팬 지지서포트의 일단이 연결되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팬지지서포드의 타단은 팬 하부가이드에 결합되는 것이며, 발전기 스테이터 외주면에는 발전기 스테이터 고정서포트가 설치되어 덕트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너지 세이빙 장치는, 그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기존 공장 설비에 장착 설치가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비용 또한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너지 세이빙 장치는, 에너지 절약에 초점을 맞추고 설계되어 메인 모터의 오작동이나 정전 등의 상황에는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671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3932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 설비가 구동하지 않을 시 메인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 후 충전해 두었다가 기계 설비 또는 메인 모터 등으로 재공급하도록 구현한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생성하여 공급해 주기 위한 메인 모터부; 상기 메인 모터부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기계 설비로 전달해 주기 위한 실린더부; 상기 메인 모터부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풀리부; 상기 풀리부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풀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해 두기 위한 전원세이빙부를 포함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계 설비는, 항시 구동하는 항시구동설비; 및 조건이 있을 시에만 구동하는 조건구동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에이빙부는, 충전해 둔 전기를 상기 항시구동설비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계 설비의 무부하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무부하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생성한 무부하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상기 풀리부에서 상기 발전부로의 동력 공급 전달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 설비가 무부하인 경우에 상기 풀리부가 상기 발전부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풀리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모터부로의 전원 공급 중단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전원공급중단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생성한 전원공급중단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상기 전원세이빙부에서 충전해 둔 전기의 상기 메인 모터부로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원세이빙부에서 충전해 둔 전기를 상기 메인 모터부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제1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모터부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오작동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3감지부; 상기 메인 모터부대신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실린더부로 공급해 주기 위한 백업모터부; 및 상기 전원세이빙부에서 저장해 둔 전기의 상기 백업모터부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제2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감지부에서 생성한 오작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 설비가 구동하지 않을 시 메인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 후 충전해 두었다가 기계 설비 또는 메인 모터 등으로 재공급하도록 구현한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구조를 간단하도록 설계하여 기존 공장 설비에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모터의 오작동이나 정전 등의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10)은, 메인 모터부(100), 실린더부(200), 풀리부(300), 발전부(400) 및 전원세이빙부(500)를 포함한다.
메인 모터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일반적으로 공장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 등)을 공급받아 동력을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동력을 실린더부(200) 및 풀리부(300)로 공급해 준다.
실린더부(200)는, 메인 모터부(100)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메인 모터부(10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기계 설비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기계 설비는, 항시 구동하는 항시구동설비(1)(예를 들어, 기계 구동에 상관없이 작동하여야 하는 제어시스템 등) 및 조건이 있을 시에만 구동하는 조건구동설비(2)(예를 들어, 기계 설비 구동 시에만 작동하는 전자시스템 또는 기계 기구 장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부(300)는, 메인 모터부(100)와 연결 설치되어, 메인 모터부(10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동력을 발전부(400)로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발전부(400)는, 풀리부(300)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풀리부(30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동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며, 해당 생산한 전기를 전원세이빙부(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전부(400)는, 메인 모터부(100)로의 전원 공급 중단 또는 오작동 등으로 인해 메인 모터부(100)가 정상적인 작동을 할 수 없을 시 전원세이빙부(500)로부터 전원을 역으로 공급받아 발전 대신 역회전하여 모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6002807705-pat00001
표 1은, 기존 설비에 발전부(400)를 설치할 경우 부착 전/후의 부하의 차이값를 나타낸 표이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설비에 발전부(4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발전부(400)의 설치에 따른 부하의 차이 값이 미비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동력이 전달되는 벨트의 장력에 따라 소비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벨트가 부착된 후 손으로 눌렀을 때 약 1cm 정도 눌릴 정도가 바람직하다.
전원세이빙부(500)는, 발전부(4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기를 충전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세이빙부(500)는, 충전해 둔 전기를 항시구동설비(1)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세이빙부(500)는, 메인 모터부(100)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10)은, 기계 설비가 구동하지 않을 시 메인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 후 충전해 두었다가 기계 설비 또는 메인 모터 등으로 재공급하도록 구현한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구조를 간단하도록 설계하여 기존 공장 설비에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20)은, 메인 모터부(100), 실린더부(200), 풀리부(300), 발전부(400), 전원세이빙부(500), 제1감지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모터부(100), 실린더부(200), 풀리부(300), 발전부(400) 및 전원세이빙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감지부(600)는, 기계 설비의 무부하(즉, 클러치 등이 떨어지고 나서 동력 전달이 되고 있지 않는 공회전 상태 등)를 감지하며, 해당 감지한 무부하에 따른 무부하감지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무부하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제어부(700)는, 제1감지부(600)에서 생성한 무부하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무부하감지신호에 따라 풀리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풀리제언신호를 풀리부(300)로 전달하여 풀리부(300)에서 발전부(400)로의 동력 공급 전달 또는 차단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기계 설비의 무부하인 경우 발전부(400)로의 동력 공급시키기 위한 풀리제어신호를 생성하며, 기계 설비에 부하가 걸린 경우 발전부(400)로의 동력 차단을 위한 풀리제어신호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기계 설비에 부하가 걸려 있다는 것은, 해당 기계 설비가 구동을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풀리부(300)에서 발전부(400)로 추가적인 동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전부(400)의 구동에 따른 별도의 동력 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풀리부(300)는, 제어부(700)에서 생성한 풀리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풀리제어신호에 따라 발전부(400)로의 동력 공급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부(400)는, 기계 설비의 무부하인 경우에만 풀리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30)은, 메인 모터부(100), 실린더부(200), 풀리부(300), 발전부(400), 전원세이빙부(500), 제어부(700) 및 제2감지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모터부(100), 실린더부(200), 풀리부(300), 발전부(400), 전원세이빙부(500) 및 제어부(7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감지부(800)는, 메인 모터부(100)로의 전원 공급 중단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한 전원 공급 중단에 따른 전원공급중단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전원공급중단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제2감지부(800)에서 생성한 전원공급중단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원공급중단신호에 따라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충전해 둔 전기를 메인 모터부(100)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후술할 제1스위치부(900)로 전달하여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충전해 둔 전기의 메인 모터부(100)로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30)은, 제1스위치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부(900)는, 제어부(700)에서 생성한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1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충전해 둔 전기를 메인 모터부(100)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스위치부(900)는,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충전해 둔 전기를 메인 모터부(100)로 스위칭 오프 함으로써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충전해 둔 전기를 절약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세이빙부(500)는, 제1스위치부(900)의 제어에 따라 충전해 둔 전기를 메인 모터부(100)로의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30)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모터의 오작동이나 정전 등의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40)은, 메인 모터부(100), 실린더부(200), 풀리부(300), 발전부(400), 전원세이빙부(500), 제어부(700), 제3감지부(1000), 백업모터부(1100) 및 제2스위치부(1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모터부(100), 실린더부(200), 풀리부(300), 발전부(400), 전원세이빙부(500) 및 제어부(7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감지부(1000)는, 메인 모터부(100)의 오작동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한 오작동에 따른 오작동감지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오작동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제3감지부(1000)에서 생성한 오작동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오작동감지신호에 따라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저장해 둔 전기의 백업모터부(1100)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후술할 제2스위치부(1200)로 전달하여 제2스위치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스위치부(1200)는, 제어부(700)에서 생성한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2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저장해 둔 전기의 백업모터부(1100)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스위치부(1200)는,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저장해 둔 전기의 백업모터부(1100)로 스위칭 오프 함으로써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충전해 둔 전기를 절약함이 바람직하다.
백업모터부(1100)는, 실린더부(200)와 연결 설치되며, 전원세이빙부(500)에서 저장해 둔 전기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기로 메인 모터부(100)대신 동력을 생성하며, 해당 생성된 동력을 실린더부(200)로 공급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40)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모터의 오작동이나 정전 등의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항시구동설비
2: 조건구동설비
10, 20, 30, 40: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100: 메인 모터부
200: 실린더부
300: 풀리부
400: 발전부
500: 전원세이빙부
600: 제1감지부
700: 제어부
800: 제2감지부
900: 제1스위치부
1000: 제3감지부
1100: 백업모터부
1200: 제2스위치부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생성하여 공급해 주기 위한 메인 모터부;
    상기 메인 모터부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기계 설비로 전달해 주기 위한 실린더부;
    상기 메인 모터부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풀리부;
    상기 풀리부와 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풀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해 두기 위한 전원세이빙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계 설비의 무부하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무부하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생성한 무부하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상기 풀리부에서 상기 발전부로의 동력 공급 전달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모터부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오작동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3감지부;
    상기 메인 모터부대신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실린더부로 공급해 주기 위한 백업모터부; 및
    상기 전원세이빙부에서 저장해 둔 전기의 상기 백업모터부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제2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설비는,
    항시 구동하는 항시구동설비; 및
    조건이 있을 시에만 구동하는 조건구동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세이빙부는,
    충전해 둔 전기를 상기 항시구동설비로 공급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 설비가 무부하인 경우에 상기 풀리부가 상기 발전부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풀리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풀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터부로의 전원 공급 중단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전원공급중단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생성한 전원공급중단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상기 전원세이빙부에서 충전해 둔 전기의 상기 메인 모터부로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원세이빙부에서 충전해 둔 전기를 상기 메인 모터부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하기 위한 제1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감지부에서 생성한 오작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KR1020160003224A 2016-01-11 2016-01-11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KR101843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24A KR101843628B1 (ko) 2016-01-11 2016-01-11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24A KR101843628B1 (ko) 2016-01-11 2016-01-11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841A KR20170083841A (ko) 2017-07-19
KR101843628B1 true KR101843628B1 (ko) 2018-04-03

Family

ID=5942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24A KR101843628B1 (ko) 2016-01-11 2016-01-11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6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407B1 (ko) * 2012-01-12 2012-06-07 주식회사탑스타테크놀러지 유휴동력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407B1 (ko) * 2012-01-12 2012-06-07 주식회사탑스타테크놀러지 유휴동력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841A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4591B (zh) 用于涡轮机组的盘车工作的方法和装置
WO2020196310A1 (ja) 電動機システム
EP2452420A1 (en) Motor yaw drive system for a wind turbine
EP1981163A3 (en) Controller of electric motor
CN108475974A (zh) 可扩展的发电机
CN106216033A (zh) 一种永磁同步电机直驱式节能型球磨机
CN207542976U (zh) 一种无刷直流电机
CN107317457B (zh) 一种永磁耦合调速电机
US8093860B2 (en) Ceiling fan motor with generator winding
CN202634186U (zh) 电动旋转机器
CN107332389B (zh) 一种吹风机电机及吹风机
KR101843628B1 (ko) 기계 설비 발전 시스템
WO2016036346A1 (en)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JP2000170766A (ja) 磁気軸受を利用した発電装置
CN207117459U (zh) 半侧自励式永磁调速器
CN107070071B (zh) 飞轮系统及球形机器人
CN203104234U (zh) 双气隙混合励磁直驱开关磁阻风力发电机及其机组系统
CN102055277A (zh) 无轴电机
KR101115233B1 (ko) 모터 축 동력발전기
JP2009528815A (ja) 少数の回転を有する、特にリフト装置を駆動するための電気モータ
CN103023243A (zh) 双气隙混合励磁直驱开关磁阻风力发电机及其机组系统
KR101284482B1 (ko) 발전기
CN207353983U (zh) 一种吹风机电机及吹风机
JP4517775B2 (ja) フライホイール式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無停電電源装置
CN105262319B (zh) 一种能够启动电路的新型双出轴内拖发电型电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