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492B1 - Trash boiler system capable of reducing clinker - Google Patents
Trash boiler system capable of reducing clin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492B1 KR101843492B1 KR1020160029329A KR20160029329A KR101843492B1 KR 101843492 B1 KR101843492 B1 KR 101843492B1 KR 1020160029329 A KR1020160029329 A KR 1020160029329A KR 20160029329 A KR20160029329 A KR 20160029329A KR 101843492 B1 KR101843492 B1 KR 1018434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chamber
- tube
- water
- diaphragm
- clin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1/00—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 F22G1/02—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with heat supply by hot flue gases from the furnace of the steam boi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8—Multi-hearth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 F23J3/02—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 F23J3/023—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cleaning the fireside of watertubes in boi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9/00—Preventing premature solidification of molten combustion resid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은,
수관들과, 상기 수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관들과 용접된 격판들로 구성된 제1연소실;
상기 제1연소실과 연통된 제2연소실;
상기 제2연소실과 연통된 제3연소실;
상기 제3연소실과 연통되며, 몸체와 상부드럼과 하부드럼과 과열기로 구성된 보일러; 및
상기 격판에 설치된 클링커감소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linker-reduced incinerator boil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bustion chamber composed of water tubes, partition plate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ubes and welded to the water tubes;
A second combus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A third combus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A boiler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and comprising a body, an upper drum, a lower drum, and a superheater; And
And clinker reduction devices installed on the diaphragm.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nker-reduced incinerator boiler system.
소각 보일러 시스템은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하는 열을 난방이나 발전에 사용하는 시스템이다.The incinerator boiler system is a system that uses the heat generated by incineration of waste for heating or power generation.
소각 보일러 시스템은 연소실, 보일러로 구성된다.The incinerator boiler system consists of a combustion chamber and a boiler.
연소실은 제1연소실, 제2연소실, 제3연소실로 구성된다.The combustion chamber is composed of a first combustion chamber, a second combustion chamber, and a third combustion chamber.
제1연소실은 내화벽돌로 만들어진다. 제2연소실, 제3연소실은 물이 흐르는 수관들이 서로 용접되어 만들어진다. 보일러의 몸체는 물이 흐르는 수관들이 서로 용접되어 만들어진다.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s made of refractory bricks.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and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are made by welding the water pipes through which water flows. The body of the boiler is made by welding water pipes to each other.
제1연소실에서 폐기물이 소각되면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제2연소실, 제3연소실, 보일러를 통과하여 대기로 배출된다.The combustion gas generated as the waste is incinerated in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passes throug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and the boiler and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연소가스가 제2연소실, 제3연소실, 보일러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연소가스에 포함된 열이 수관을 흐르는 물로 전달된다. 열을 받은 물은 난방시설이나 발전시설로 공급된다.While the combustion gas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and the boiler, the heat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is transferred to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pipe. The heat is supplied to the heating o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제1연소실 내부는 900~1500℃의 고온이다. 이러한 고온으로 인해, 제1연소실의 내벽에 폐기물이 고온 융착된다. 고온 융착된 폐기물은 딱딱하게 굳어, 연소실의 내벽에 달라붙는다. 이렇게 연소실의 내벽에 딱딱하게 달라붙은 폐기물을 “클링커 (clinker)”라 칭한다.The inside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s a high temperature of 900 to 1500 ° C. Due to such a high temperature, the waste is hot-weld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The high-temperature welded waste hardens and sticks to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waste adhering to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hardly is called a " clinker ".
제1연소실의 내벽에 클링커가 달라붙으면, 소각용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주기적(1~1.5개월)으로 클링커를 제거해야 한다. 클링커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소각 보일러 시스템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작업자가 제1연소실로 들어가, 제1연소실의 내벽에 달라붙은 클링커를 해머로 깨야 한다.When the clinker sticks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the incineration capacity is reduced. Therefore, the clinker should be removed periodically (1 to 1.5 months). In order to remove the clinker, the incineration boiler system is shut down and the operator enters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and breaks the clinker that has clung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with a hammer.
이렇게 짧은 주기(1~1.5개월)로, 제1연소실의 내벽에 달라붙은 클링커를 제거하므로, 소각 보일러 시스템의 가동을 빈번하게 중단시켜야 했다.In such a short cycle (1 to 1.5 months), the clinker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was remov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incineration boiler system had to be stopped frequent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10-1470569)는 제1연소실을 내화벽돌이 아닌 수관들을 서로 용접하여 구성하여, 수관에 흐르는 물이 제1연소실의 내벽을 냉각시켜, 폐기물이 제1연소실의 내벽에 고온 융착되지 못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제1연소실의 내벽에 클링커가 달라붙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atent document (10-1470569),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s constructed by welding water pipes not refractory bricks to each other so that water flowing in the water pipe cools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So that it can not be weld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t a high temperature. As a result, the clinker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to some extent.
그러나, 등록특허 역시, 서로 용접된 수관들 사이 좁은 틈 사이로 분진이 끼고, 이러한 분진들이 점점 쌓여서 수관을 덮는 현상을 발생시켰다. However, in the registered patent, too, the dust is caught between the narrow gaps between the water pipes welded to each other, and these dusts accumulate and cover the water pipe.
이로 인해, 수관의 냉각효율이 떨어져, 결국 제1연소실의 내벽에 폐기물이 고온 융착되는 현상이 다시 벌어졌다. 따라서, 제1연소실의 내벽에 달라붙은 클링커를 제거하는 주기를 기존보다 늘리기 어려웠다.As a resul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ater tube is lowered, and the phenomenon that the waste is hot-melt-bond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eventually occurs agai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period of removing the clinker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연소실의 내벽에 달라붙은 클링커를 제거하는 주기를 기존 보다 늘릴 수 있는,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nker reduction type incineration boiler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the period of removing the clinker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은,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linker reduction type incineration boiler system comprises:
수관들과, 상기 수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관들과 용접된 격판들로 구성된 제1연소실;A first combustion chamber composed of water tubes, partition plate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ubes and welded to the water tubes;
상기 제1연소실과 연통된 제2연소실;A second combus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상기 제2연소실과 연통된 제3연소실;A third combus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상기 제3연소실과 연통되며, 몸체와 상부드럼과 하부드럼과 과열기로 구성된 보일러; 및A boiler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and comprising a body, an upper drum, a lower drum, and a superheater; And
상기 격판에 설치된 클링커감소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clinker reduction devices installed on the diaphragm.
본 발명은 제1연소실의 수관들 사이에 격판을 배치하여, 수관들 사이에 분진이 낄 수 있는 틈을 없앴다. 이로 인해, 분진이 틈에 끼이고 쌓이지 못해, 분진이 수관을 덮지 못한다. 따라서, 수관의 냉각효율이 유지되어, 제1연소실의 내벽에 클링커가 잘 달라붙지 못한다.The present invention places a diaphragm between the water pipes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thereby eliminating the gap between the water pipes. As a result, the dust can not be trapped in the gap and the dust can not cover the water pipe.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ater tube is maintained, and the clinker does not stick well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은 제1연소실의 격판에 설치된 클링커감소장치들이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된 공기는 제1연소실의 수관에 분진이 달라붙지 못하게 막는다. 이로 인해, 분진이 수관에 쌓이지 못해, 분진이 수관을 덮지 못한다. 따라서, 수관의 냉각효율이 유지되어, 제1연소실의 내벽에 클링커가 잘 달라붙지 못한다. 또한, 클링커감소장치는 폐기물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충분한 양의 공기를 제1연소실에 공급하므로, 클링커를 발생시키는 폐기물의 양 자체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소실의 내벽에 달라붙는 클링커가 감소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nker reduction devices installed in the diaphragm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discharge air. The discharged air blocks the dust from adhering to the water pipe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Because of this, dust can not accumulate in the water tube, and the dust can not cover the water tube.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ater tube is maintained, and the clinker does not stick well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n addition, the clinker reduction device supplies a sufficient amount of air to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to completely combust the waste, so that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by the clinker itself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clinker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is reduced.
또한, 클링커감소장치는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분사구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정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날아오는 분진도 수관에 달라붙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진이 수관에 쌓이지 못해, 분진이 수관을 덮지 못한다. 따라서, 수관의 냉각효율이 유지되어, 제1연소실의 내벽에 클링커가 잘 달라붙지 못한다.Further, the clinker reduction device is provided with injection ports on the top surface as well as on the side surface. Therefore, not only the forward direction but also the lateral direction dust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water pipe. Because of this, dust can not accumulate in the water tube, and the dust can not cover the water tube.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ater tube is maintained, and the clinker does not stick well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또한, 클링커감소장치는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격판을 향해 하향 경사진 분사구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정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날아오는 분진도 수관에 달라붙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가 격판을 두들겨, 격판에 달라붙어 있는 분진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진이 수관에 쌓이지 못해, 분진이 수관을 덮지 못한다. 따라서, 수관의 냉각효율이 유지되어, 제1연소실의 내벽에 클링커가 잘 달라붙지 못한다.In addition, the clinker reduction device is provided with injection port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diaphragm on the top surface as well as on the side surface. Therefore, not only the forward direction but also the lateral direction dust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water pipe, and the discharged air can beat the diaphragm and remove dust attached to the diaphragm. Because of this, dust can not accumulate in the water tube, and the dust can not cover the water tube.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ater tube is maintained, and the clinker does not stick well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제1연소실의 내벽에 클링커가 달라붙는 것을 감소시켜, 제1연소실의 내벽에 달라붙은 클링커를 제거하는 주기를 기존 1~1.5개월에서 4~5개월로 늘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소각 보일러 시스템을 가동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linging of the clinker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and to increase the period for removing the clinker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from 1 to 1.5 months to 4 to 5 months . As a result, the time for operating the incineration boiler system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링커감소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제1변형예에 따른 클링커감소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변형예에 따른 클링커감소장치의 측단면도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linker reduction type incineration boil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inker re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inker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linker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linkering-reduced incineration boil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10)은, 연소실(100), 보일러(200), 클링커감소장치(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 1, a clinker-reduced
연소실(100)과 보일러(200)는 서로 연통된다.The
연소실(100)은 제1연소실(110), 제2연소실(120), 제3연소실(130)로 구성된다. 제1연소실(110), 제2연소실(120), 제3연소실(130)은 서로 연통된다.The
제1연소실(110)은 수관(111)들과 격판(112)들로 구성된다. 수관(111) 의 내부로 물이 흐른다. 수관(111)은 제1연소실(110)의 내벽의 온도를 낮춘다.The
격판(112)은 수관(111)들 사이에 배치되어 수관(111)들과 용접된다. 수관(111)들 사이에 격판(112)이 배치되므로, 수관(111)들 사이에 분진이 낄 수 있는 틈이 없어진다.The
폐기물은 투입구(11)를 통해서 제1연소실(110)로 투입된다. 투입된 폐기물은 제1연소실(110)의 바닥에 설치된 화격자(19) 위에 놓여진다. 화격자(19)는 계단 형태로 놓여진 판으로 구성된다. 화격자(19) 위에 놓여진 폐기물은 램푸셔(RAM PUSHER, 12)에 의해 밀려 오른쪽으로 이동한다.The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화격자(19)의 오른쪽 끝 아래에는 재수거통(13)이 설치된다.Below the right end of the
제1연소실(110)에는 제1버너(15)가 설치된다. 제1버너(15)는 제1연소실(110)에 투입된 폐기물을 1차적으로 연소시킨다. 폐기물이 타서 남은 재는 재수거통(13)으로 떨어져 모인다.A
제1연소실(110)에서 폐기물이 소각되면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제2연소실(120), 제3연소실(130), 보일러(200)를 통과하여 대기로 배출된다. 연소가스에 포함된 열은 수관(111,121,131,211)을 흐르는 물로 전달된다. 가열된 물은 난방시설이나 발전시설로 공급된다.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the waste is incinerated in the
제2연소실(120)은 제1연소실(1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2연소실(120)은 수관(121)들이 서로 용접되어 만들어진다. 제2연소실(120)에는 제2버너(16)가 설치된다. 제2버너(16)는 1차적으로 연소된 폐기물을 2차적으로 연소시킨다.The
제3연소실(130)은 제2연소실(120)의 우측에 위치된다. 제2연소실(120)과 제3연소실(130)은 제1격벽(W1)으로 구획된다. 연소가스가 제2연소실(120)에서 제3연소실(1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격벽(W1)의 위는 뚫려 있다. 제3연소실(130)은 수관(131)들이 서로 용접되어 만들어진다. 제3연소실(130)의 아래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가 떨어져 모이는 제1호퍼(17)가 설치된다.The
보일러(200)는 몸체(210), 상부드럼(220), 하부드럼(230), 과열기(240)로 구성된다.The
몸체(210)는 수관(211)들이 용접되어 만들어진다. 몸체(210)의 내부는 제2격벽(W2)에 의해 제1보일러실(S1)과 제2보일러실(S2)로 구획된다. 연소가스가 제1보일러실(S1)에서 제2보일러실(S2)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격벽(W2)의 아래는 뚫려 있다. 제2보일러실(S1)의 아래에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가 떨어져 모이는 제2호퍼(18)가 설치된다. 제2호퍼(18)의 상측에는 대기로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굴뚝(14)이 설치된다.The
상부드럼(220)은 구형(球形)이며 몸체(2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부드럼(220)은 수관(111,121,131,211)과 연통된다. 수관(111,121,131,211)의 내부를 흐르는 물과 증기는 상부드럼(220)에 모여, 상부드럼(220) 내에서 포화수와 포화증기 상태로 존재한다.The
하부드럼(230)은 구형(球形)이며 몸체(210)의 하부에 설치된다. 하부드럼(23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관(111,121,131,211)에 공급한다. 수관(111,121,131,211)의 내부를 흐르는 물은, 제1연소실(110), 제2연소실(120), 제3연소실(130), 제1보일러실(210), 제2보일러실(220)을 통과하는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받는다.The
과열기(240)는 제3연소실(130)의 내부에 위치된다. 과열기(240)는 상부드럼(220)으로부터 포화증기를 공급받는다. 과열기(240)는 난방시설 또는 발전시설에 과열증기를 공급한다.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링커감소장치(300)들은 제1연소실(110)을 구성하는 격판(112)에 설치된다. 클링커감소장치(300)들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1에서 격판(112)에 배치된 클링커감소장치(300)들의 식별이 쉽도록, 사각박스를 그려 클링커감소장치(300)들을 감쌌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클링커감소장치(300)들은 화격자(19)와 근접(0.5~1m)한 상측에 배치된다. 그 이유는, 화격자(19) 위에서 폐기물이 소각되므로, 화격자(19)가 근처가 제1연소실(110)에 가장 온도(900~1500℃)가 높아, 폐기물이 제1연소실(110)의 내벽에 고온 융착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링커감소장치(300)는 제1몸체(310), 제2몸체(320), 튜브(330), 너트(34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다.2 and 3, the
제1몸체(310)는 격판(112)에 형성된 구멍(112a)을 통과하여 제1연소실(110)안에 위치된다. 제1몸체(310)는 제1연소실(110)안에 위치되므로, 열에 강한 세라믹 재질로 만들어진다. 제1몸체(310)의 상면에는 1개의 분사구(311)가 구비된다. 물론, 분사구(311)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The
제2몸체(320)는 제1몸체(310)의 후단과 연결되며, 제1연소실(110)의 바깥에 위치된다. 제2몸체(3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튜브(330)는 제2몸체(320)의 후단에 연결되어 분사구(311)로 공기를 공급한다. 튜브(330)는 공기펌프(미도시)와 연결된다.The
너트(340)는 제2몸체(320)에 체결되어, 제1몸체(310) 및 제2몸체(320)를 격판(112)에 고정시킨다.The
분사구(3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분진이 수관(111)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아, 분진이 수관(111)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이하, 제1변형예에 따른 클링커감소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linker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예에 따른 클링커감소장치(400)는, 제1몸체(410), 제2몸체(420), 튜브(430), 너트(44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나타낸다.4, the
제1몸체(410)의 상면에 제1분사구(411)가 구비되고, 제1몸체(410)의 측면에 제2분사구(412)들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제1분사구(411)와 제2분사구(412)들은 서로 연통된다.A
제1분사구(4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정면에서 날아오는 분진이 수관(111)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아, 분진이 수관(111)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제2분사구(412)들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측방향에서 날아오는 분진이 수관(111))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분진이 수관(111)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제2몸체(420), 튜브(430), 너트(440)는 클링커감소장치(300)의 제2몸체(320), 튜브(330), 너트(340)와 각각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이하, 제2변형예에 따른 클링커감소장치를 설명한다.The clinker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변형예에 따른 클링커감소장치(500)는, 제1몸체(510), 제2몸체(520), 튜브(530), 너트(540)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공기 토출방향을 나타낸다.5, the
제1몸체(510)의 상면에 제1분사구(511)가 구비되고, 제1몸체(510)의 측면에 격판(112)을 향해 경사진 제2분사구(512)들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A
제1분사구(511)와 제2분사구(512)들은 서로 연통된다.The
제1분사구(5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정면에서 날아오는 분진이 수관(111)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아, 분진이 수관(111)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제2분사구(512)들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측방향에서 날아오는 분진이 수관(111)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분진이 수관(111)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 또한, 제2분사구(512)들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격판(112)을 두들겨, 격판(112)에 묻어 있는 분진을 털어낸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제2몸체(520), 튜브(530), 너트(540)는 클링커감소장치(300)의 제2몸체(320), 튜브(330), 너트(340)와 각각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상술한 클링커감소장치(300,400,500)는 클링커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화격자(19)와 근접(0.5~1m)한 상측에 설치되어, 분진이 수관(111)을 덮어, 수관(111)의 냉각효율이 떨어뜨리지 못하게, 분진이 수관(111)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아주는 구성이다. 따라서, 그 최종목적이 클링커 감소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슈트블로워 와는 그 목적이 전혀 다른 구성이라 할 것이다.The
10: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
110: 제1연소실 120: 제2연소실 130: 제3연소실
111,121,131,211: 수관
112: 격판
200: 보일러
300,400,500: 클링커감소장치10: Clinker-less incinerator boiler system
110: first combustion chamber 120: second combustion chamber 130: third combustion chamber
111, 121, 131, 211:
112: diaphragm
200: Boiler
300, 400, 500: Clinker reduction device
Claims (5)
상기 제1연소실과 연통된 제2연소실;
상기 제2연소실과 연통된 제3연소실;
상기 제3연소실과 연통되며, 몸체와 상부드럼과 하부드럼과 과열기로 구성된 보일러;
상기 제1연소실 안에 돌출되게 상기 격판 상에 위치되며, 상기 수관 및 상기 격판을 향해 날아오는 분진이 상기 수관 및 상기 격판에 달라붙지 못하게 공기를 정면으로 토출하는 제1분사구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격판에 달라붙은 분진을 상기 격판을 직접 두들겨서 떼어내도록 상기 격판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2분사구가 후방 경사지게 양 측면에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후단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1연소실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제1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분사구 및 상기 제2분사구로 공기를 공급하며, 공기펌프와 연결된 튜브; 및
상기 제2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격판에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사구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통로는 상기 제2몸체의 내부 및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구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통로는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었다가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격판을 향해 후방 경사지게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분사구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통로 중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와, 상기 제2분사구와 상기 튜브를 연결하는 통로 중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는 공통된 통로이며,
상기 공기펌프에서 상기 튜브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공통된 통로를 지나 상기 제1분사구와 상기 제2분사구 방향으로 나뉘어져,
상기 제1분사구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수관 및 상기 격판을 향해 날아오는 분진을 밀어내고, 동시에 상기 제2분사구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격판에 달라붙은 분진을 상기 격판을 두들겨 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링커 감소형 소각 보일러 시스템.A first combustion chamber made up of water tubes and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water tubes so that dust can not be trapped between the water tubes by dropping the water tubes;
A second combus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A third combust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bustion chamber;
A boiler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ombustion chamber and comprising a body, an upper drum, a lower drum, and a superheater;
A first injection port located on the partition plate so as to protrude into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toward the front face of the water tube and the partition plate so that the dust flying toward the water tube and the partition plate does not adhere to the water tube and the partition plate, A first body formed on both sides with a second jetting port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diaphragm so as to directly bite and remove the dust adhered to the diaphragm by rearward inclination;
A second body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body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passing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body located outside the first combustion chamber;
A tube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body to supply air to the first and second ejection orifices and connected to the air pump; And
And a nut fastened to the second body and fix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the diaphragm,
Wherein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injection port and the tub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an inside of the second body and an inside of the first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jetting port and the tub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second body and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clined back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A passage formed in the second body of the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injection port and the tube and a passage formed in the second body of the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injection port and the tube are a common passage,
The air supplied to the tube from the air pump is divided into the first jetting port and the second jetting port through the common passage,
The air ejected from the first ejection port pushes out the dust flying toward the water tube and the diaphragm,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ejected from the second ejection opening blows away the dust adhering to the diaphragm, Clinker Reduced Incinerator Boiler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9329A KR101843492B1 (en) | 2016-03-11 | 2016-03-11 | Trash boiler system capable of reducing clin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9329A KR101843492B1 (en) | 2016-03-11 | 2016-03-11 | Trash boiler system capable of reducing clin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930A KR20170105930A (en) | 2017-09-20 |
KR101843492B1 true KR101843492B1 (en) | 2018-03-29 |
Family
ID=6003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9329A Active KR101843492B1 (en) | 2016-03-11 | 2016-03-11 | Trash boiler system capable of reducing clin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49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2814Y1 (en) * | 2005-12-30 | 2006-03-31 | 진주산업(주) | Incinerator air nozzle liner and clinker attachment prevention device using same |
KR101470569B1 (en) * | 2014-06-13 | 2014-12-10 | (주) 디아이비앤피 | A trash boiler of water tube panel cooling type |
-
2016
- 2016-03-11 KR KR1020160029329A patent/KR1018434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2814Y1 (en) * | 2005-12-30 | 2006-03-31 | 진주산업(주) | Incinerator air nozzle liner and clinker attachment prevention device using same |
KR101470569B1 (en) * | 2014-06-13 | 2014-12-10 | (주) 디아이비앤피 | A trash boiler of water tube panel cooling ty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930A (en) | 201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7422B1 (en) | Boilers that produce steam from flue gas under optimum conditions | |
JP6682231B2 (en) | Combustion device | |
JP6183068B2 (en) | Fluidized bed boiler and its operation method | |
EP3438534A1 (en) | Stoker-type garbage incinerator provided with waste heat recovery boiler | |
KR101843492B1 (en) | Trash boiler system capable of reducing clinker | |
KR101470569B1 (en) | A trash boiler of water tube panel cooling type | |
JP6183066B2 (en) | Fluidized bed boiler | |
JP2016166723A (en) | Compound steam boiler employing chain stoker fore grate for solid fuel | |
RU2654800C1 (en) | Mechanical device for combustion of solid fuel (variants) | |
JP5422514B2 (en) | Solid fuel fired boiler | |
KR101792580B1 (en) | Trash boiler system capable of improving gas flow rate | |
JP2020067205A (en) | Boiler, ash process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boiler, and method of operating ash processing device | |
KR102206035B1 (en) | High life incinerating trash type boiler | |
US20140083339A1 (en) | Incinerator having afterburner grate | |
KR102078139B1 (en) | Solid fuel boiler | |
KR100974323B1 (en) | A reactor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 |
KR101994903B1 (en) | Adhesion dust removal device for horizontal tail end Boiler capable of side abrasion restraining, and Boiler using the same | |
KR20180053837A (en) | Multistage boiler heat exchange apparatus | |
CA1059835A (en) | Furnace design for pulverized coal and stoker firing | |
US1441246A (en) | Ash-discharge apparatus for boilers | |
RU2609268C1 (en) | Prismatic settling chamber | |
JP6284923B2 (en) | Gas nozzle mounting structure | |
JP2005201595A (en) | High temperature air generator and incinerator | |
JP3184168U (en) | Solid fuel combustion device and boiler device | |
KR200485449Y1 (en) | Combus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