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447B1 -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447B1 KR101843447B1 KR1020167016515A KR20167016515A KR101843447B1 KR 101843447 B1 KR101843447 B1 KR 101843447B1 KR 1020167016515 A KR1020167016515 A KR 1020167016515A KR 20167016515 A KR20167016515 A KR 20167016515A KR 101843447 B1 KR101843447 B1 KR 101843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buttons
- virtual
- processing
- touch
- sensing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 H04M1/72519—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가상 버튼들에 대한 부정확한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부정확한 프로세싱을 감소시키는 모바일 단말 및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은: 복수의 가상 버튼들 및 터치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과 연결되고 보조 감지 영역 및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트리거들을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가상 버튼들 중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프로세싱 칩을 포함한다.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및 보조 감지 영역에 대한 각각의 트리거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컴퓨터 프로세싱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 출원은 중화인민공화국 지식재산권국(SIPO)에 2015년 1월 19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025615.4호 및 중화인민공화국 지식재산권국에 2015년 1월 7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008097.5호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에 기초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전자 기술의 발전과 함께, 모바일 단말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고, 이들의 업그레이드는 매우 빠르다. 단말에 대한 입력은 처음에는 키보드로, 그리고 터치스크린으로, 그리고 지금은 점점 더 지능형(intelligent)으로 되어가는 발전된 풀 터치 스크린으로 실현된다. 터치 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에서, 물리적 버튼들의 많은 기능들이 터치 스크린의 가상 버튼들로써 실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버튼들의 기능들을 가상 버튼들을 클릭(clicking) 하거나, 다른 제스쳐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 1 양상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이 제공된다:
복수의 가상(virtual) 버튼들 및 보조(auxiliary) 감지(sensing) 영역―여기서 상기 보조 감지 영역은 터치 패널의 일측에 위치함―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과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보조 감지 영역 및 적어도 두개의 가상 버튼들의 트리거들(triggers)을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프로세싱 칩.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은 터치 패널의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은 복수의 가상 버튼들의 양 측(two side)에 각각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영역의 복수의 가상 버튼들에 대해 정렬되는 적어도 두개의 보조 감지 영역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프로세싱 칩은 복수의 비교기들(comparators)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비교기들은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하나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intensity)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하나의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 2 양상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및 보조 감지 영역에 대한 트리거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트리거들을 획득하는 것은: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하나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하나의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 3 양상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및 보조 감지 영역의 트리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모듈.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하나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서브 모듈;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하나의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링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된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과 일관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은 설명하는 것으로 기능한다.
도 1 은 종래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은 종래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예시들이 상세하게 참조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며, 여기서 상이한 도면들의 동일한 번호들은 달리 표현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앞으로의 설명에 기재된 구현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을 대표하지는 않는다. 대신, 그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관련한 양상들과 일치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예시에 불과하다.
종래,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들은 터치 스크린을 가진다. 터치 스크린의 가상 버튼들은 많은 오리지널 물리적 버튼들의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버튼들과의 차이는, 가상 버튼들은 높은 압력 대신에 터치 감지(sensing)를 통해 트리거링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에서 우로 정렬된 가상 버튼 1, 가상 버튼 2 및 가상 버튼 3이 존재한다. 모바일 단말을 그/그녀의 오른손으로 잡는(hold)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가 버튼 1을 그/그녀의 오른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클릭할 때, 그/그녀는 버튼 2 또는 버튼 3을 실수로 터치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버튼 2 또는 버튼 3에 대한 트리거링 하에 부정확하게 프로세싱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치 패널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터치 감지(sensitive) 영역들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 우선 순위는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조정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부정확한 프로세싱이 감소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가상 버튼들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가상 버튼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제어 영역의 매뉴 버튼들, 홈버튼 및 뒤로가기 버튼(back button) 또한 가상 버튼들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방식으로 구현되는 가상 버튼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응용 가능하다.
도 2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은 터치 패널(201) 및 터치 프로세싱 칩(202)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201)은 복수의 가상 버튼들(203) 및 보조 감지 영역(204)을 포함한다. 보조 감지 영역(204)은 터치 패널(201)의 일측에 위치한다.
터치 프로세싱 칩(202)은 터치 패널(201)과 연결되고, 그리고 보조 감지 영역 및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트리거들(triggers)을 획득하고,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203) 중 보조 감지 영역(204)으로부터 원격인 하나의 가상 버튼(203)의 트리거를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프로세싱 칩(202)은 터치 버튼들의 전용 칩일 수 있고 또는 범용 목적 프로세싱 칩(예를 들어, CPU)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은 보조 감지 영역과 함께 제공되고, 도 2 는 가상 버튼들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의 예시를 보여준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그/그녀의 오른손을 사용하여 잡고, 그/그녀의 오른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버튼 2를 터치하는 경우, 버튼 2, 버튼 3 및 보조 감지 영역 각각이 트리거링 될 가능성이 높다. 터치 프로세싱 칩은 버튼 2, 버튼 3 및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각각 3개의 트리거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버튼 2의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멀어서, 터치 프로세싱 칩은 버튼 3 대신에 버튼 2 를 프로세싱 할 수 있고, 그러므로 버튼 3에 대한 부정확한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오동작(misoperation)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가상 버튼들은 더 정확하게 프로세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1)은 인터페이스 영역(2011) 및 제어 영역(2012)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상 버튼들은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 복수의 가상 버튼들은 매뉴 버튼, 홈 버튼 및 뒤로가기 버튼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터치 패널의 제어 영역 및 인터페이스 영역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본 실시예가 제어 영역에 적용된 경우에 효과가 낫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상 버튼들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고, 그리고 제어 영역의 복수의 가상 버튼들에 대해 정렬된 적어도 두 개의 보조 감지 영역들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들의 주로 쓰는 손(handedness)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어떤 사용자는 그/그녀의 왼손으로 모바일 단말을 잡는 것이 익숙할 수 있고, 그리고 어떤 사용자는 그/그녀의 오른손으로 모바일 단말을 잡는 것이 익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그/그녀의 왼손으로 잡고 그리고 그/그녀의 왼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상 버튼들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 영역의 왼쪽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이 효과를 발휘한다. 사용자의 왼 손의 손가락이 버튼 2를 터치하는 경우, 버튼 1 및 왼쪽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이 동시에 터치될 수 있다. 그러면 터치 프로세싱 칩은 버튼 1 에 대한 터치를 무시하고 그리고 버튼 2 의 트리거만을 프로세싱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그/그녀의 오른손으로 잡고 그리고 그/그녀의 오른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가상 버튼들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 영역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이 효과를 발휘한다. 사용자의 오른손의 손가락이 버튼 2를 터치할 때, 버튼 3 및 오른쪽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이 동시에 터치될 수 있다. 그러면 터치 프로세싱 칩은 버튼 3에 대한 터치를 무시하고 그리고 버튼 2 의 트리거만을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왼쪽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의 트리거가 수신되는 경우,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가상 버튼들의 순서는 높은 것으로부터 낮은 것으로: 버튼3, 버튼 2 및 버튼 1이다(즉 왼쪽에 위치하는 보조 유도(induction) 영역에 관하여 먼곳에서 가까운 곳으로의 가상 버튼들을 프로세싱). 유사하게, 오른쪽에 위치하는 보조 감지 영역의 트리거가 수신되는 경우,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가상 버튼들의 순서는 높은 것으로부터 낮은 것으로 버튼 1, 버튼 2 및 버튼 3이다(즉, 오른쪽에 위치하는 보조 유도 영역에 관하여 먼곳에서 가까운 곳으로의 가상 버튼들을 프로세싱).
본 실시예는 상이한 주로 쓰는 손을 가진 사용자들에 대해 적절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감지 영역은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이 보다 정확하도록 상이한 시나리오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프로세싱 칩은 복수의 비교기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비교기는 하나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intensity)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가상 버튼에 대하여 획득된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오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정확한 프로세싱이 감소되도록, 비교기들에 의하여 보다 정확하게 터치 감지 신호의 트리거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상 버튼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및 보조 감지 영역에 대한 트리거들이 획득된다.
단계 502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가 프로세싱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트리거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각각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가상 버튼에 대한 획득된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에 대한 실현은 전술한 설명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본 실현은 모바일 단말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 및 기능들이 설명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획득 모듈(601) 및 프로세싱 모듈(602)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601)은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및 보조 감지 영역의 트리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602)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획득 모듈(601)은 획득 서브 모듈, 결정 서브 모듈 및 트리거링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획득 서브 모듈은 각각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서브 모듈은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트리거링 서브 모듈은 가상 버튼에 대해 획득된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에 관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개별 모듈들에 대한 동작들의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식들은 방법들에 관련한 실시예들에서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며, 여기서는 자세하게 상술되지 않을 것이다.
도 7 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컨트롤 하기 위한 디바이스(700)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700)는 모바일 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징 디바이스, 게이밍 콘솔, 태블릿, 의료 디바이스, 운동 장비, PDA 등일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디바이스(700)는 이하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의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싱 컴포넌트(702), 메모리(704), 파워 컴포넌트(7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 오디오 컴포넌트(7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712), 센서 컴포넌트(714) 및 통신 컴포넌트(7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레코딩 동작과 연관된 디바이스(7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전술한 방법들에서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명령들을 실행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720)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702)와 다른 컴포넌트들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702)와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 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디바이스(7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들은 디바이스(700) 상에서 동작되는 방법들 또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명령들, 컨택 데이터, 폰북 데이터, 메시지, 그림,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7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램어블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삭제가능한 프로그램어블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어블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파워 컴포넌트(706)는 디바이스(7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파워 컴포넌트(706)는 상기 디바이스(700)에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에 관련한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전원, 및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는 상기 디바이스(700)와 사용자 사이에서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screen)을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크린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 패널 상의 터치들, 스와이프(swipe)들, 및 제스쳐들을 감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터치 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들은 터치 또는 스와이프 액션의 경계를 감지할 뿐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스와이프 액션에 관련된 압력 및 시간 기간도 감지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는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는, 상기 디바이스(700)가 사진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일 때, 외부 멀티미디어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 또는 초첨 및 광학 줌 역량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710)는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컴포넌트(710)는 상기 디바이스(700)가 통화 모드, 레코딩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일 때,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7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716)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디오 컴포넌트(710)는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확성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인터페이스(71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702)와, 키보드, 클릭 휠, 버튼들 등과 같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튼들은, 홈버튼, 볼륨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714)는 디바이스(700)의 다양한 양상들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컴포넌트(714)는, 상기 디바이스(700)의 온/오프(on/off) 상태, 상기 디바이스(7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키패드와 같은 컴포넌트들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714)는 추가적으로 상기 디바이스(700)의 또는 상기 디바이스(700)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경, 상기 디바이스(700)와의 사용자 접촉의 존재 유무, 상기 디바이스(700)의 방향(orientation) 또는 가속/감속, 및 상기 디바이스(7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컴포넌트(714)는 어떠한 물리적 접촉 없이도 근처의 오브젝트들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컴포넌트(714)는 추가적으로 이미징(imaging)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되기 위한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라이트(light) 센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707)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장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716)는 디바이스(700)와 다른 단말들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700)는 Wi-Fi, 2G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708)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관련 정보 또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708)는 근거리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FC 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기술, UWB(ultra-wideband) 기술, BT(Bluetooth) 기술 또는 다른 기술들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700)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컨트롤러들, 마이크로 컨트롤러들,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전자적 컴포넌트들과 같은 전자적 엘리먼트들(electronic elements)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으로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바이스(700)의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704)와 같이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설명서를 고려하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이론에 따라,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들, 사용들 또는 각색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되고, 그리고 기술 분야의 관행 또는 공지된 사실 내에서 도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부터의 이탈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과 예시들이 설명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원리 및 진정한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전술되고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도시된 정확한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8)
- 모바일 단말로서,
복수의 가상(virtual) 버튼들 및 보조(auxiliary) 감지(sensing) 영역―여기서 상기 보조 감지 영역은 터치 패널의 일측에 위치함―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과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보조 감지 영역 및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트리거들(triggers)을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프로세싱 칩;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 우선 순위는 상기 보조 감지 영역을 통해 조정되는,
모바일 단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은 터치 패널의 제어 영역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
-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상 버튼들의 양 측(two side)에 각각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영역의 복수의 가상 버튼들에 대해 정렬되는 적어도 두개의 보조 감지 영역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프로세싱 칩은 복수의 비교기들(comparators)을 포함하고,
각각의 비교기는: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하나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고;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intensity)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하나의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
-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및 보조 감지 영역에 대한 트리거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 우선 순위는 상기 보조 감지 영역을 통해 조정되는,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트리거들을 획득하는 것은,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하나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하나의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
-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및 보조 감지 영역의 트리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보조 감지 영역으로부터 원격인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모듈;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상 버튼들의 프로세싱 우선 순위는 상기 보조 감지 영역을 통해 조정되는,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하나의 가상 버튼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서브 모듈;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터치 감지 신호의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상 버튼들 중 상기 하나의 가상 버튼의 트리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링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008097 | 2015-01-07 | ||
CN201510008097.5 | 2015-01-07 | ||
CN201510025615.4 | 2015-01-19 | ||
CN201510025615.4A CN104571709B (zh) | 2015-01-07 | 2015-01-19 | 移动终端及虚拟按键的处理方法 |
PCT/CN2015/093409 WO2016110146A1 (zh) | 2015-01-07 | 2015-10-30 | 移动终端及虚拟按键的处理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7225A KR20160097225A (ko) | 2016-08-17 |
KR101843447B1 true KR101843447B1 (ko) | 2018-03-29 |
Family
ID=5308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6515A KR101843447B1 (ko) | 2015-01-07 | 2015-10-30 |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1) | EP3232301B1 (ko) |
JP (1) | JP6229069B2 (ko) |
KR (1) | KR101843447B1 (ko) |
CN (1) | CN104571709B (ko) |
MX (1) | MX358467B (ko) |
RU (1) | RU2642375C2 (ko) |
WO (1) | WO20161101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71709B (zh) * | 2015-01-07 | 2017-10-1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终端及虚拟按键的处理方法 |
CN106325724B (zh) * | 2015-06-24 | 2020-02-07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触控响应方法及装置 |
CN106325621B (zh) * | 2015-06-24 | 2019-05-14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终端及触摸响应方法 |
CN106462293B (zh) | 2016-08-08 | 2022-04-2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终端、触控响应方法及装置 |
CN106775084B (zh) | 2016-12-16 | 2019-04-1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触摸屏的防误触方法、装置及移动终端 |
CN106774668A (zh) * | 2016-12-19 | 2017-05-3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移动终端及触摸按键模块的控制方法 |
KR20190021774A (ko) * | 2017-08-23 | 2019-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이벤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34433A1 (en) * | 2008-12-03 | 2010-06-03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
CN103258171A (zh) * | 2012-02-20 | 2013-08-21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防止移动终端触摸屏误触控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
US20140240252A1 (en) * | 2013-02-25 | 2014-08-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1202A (ja) * | 1995-02-15 | 1996-08-30 | Brother Ind Ltd | 情報表示装置 |
JP4450783B2 (ja) * | 2005-09-28 | 2010-04-1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影装置 |
CN101644960A (zh) * | 2008-08-08 | 2010-02-10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组合键防误触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装置 |
CN101715020A (zh) * | 2008-10-08 | 2010-05-26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通话防误触方法及使用该方法的触控式手机 |
KR20110014040A (ko) * | 2009-08-04 | 2011-02-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
JP5278259B2 (ja) * | 2009-09-07 | 2013-09-04 | ソニー株式会社 |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2298479A (zh) * | 2010-06-28 | 2011-12-28 | 精元电脑股份有限公司 | 键盘装置的触控面积量化感测系统及方法 |
CN102411441A (zh) * | 2010-09-21 | 2012-04-11 |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 防止误触的触控板、防止方法及其应用方法 |
CN103140822A (zh) * | 2010-10-13 | 2013-06-05 | Nec卡西欧移动通信株式会社 | 移动终端设备和用于移动终端设备中的触摸板的显示方法 |
CN102455806B (zh) * | 2010-10-15 | 2013-12-18 |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带有触摸屏的终端运行方法及终端 |
TWM432086U (en) * | 2011-10-31 | 2012-06-21 | Yi-Ta Chen | Proximity sensing device having keyboard function |
TWI489337B (zh) * | 2012-11-23 | 2015-06-21 |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 具虛擬功能鍵之觸控面板的製造方法、干涉判斷方法及觸控裝置 |
KR102047865B1 (ko) * | 2013-01-04 | 2020-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키 입력 유효성을 판별하는 단말 장치와 이에 이용되는 터치 키 입력 유효성 판별 방법 및 장치 |
CN104571709B (zh) * | 2015-01-07 | 2017-10-1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终端及虚拟按键的处理方法 |
-
2015
- 2015-01-19 CN CN201510025615.4A patent/CN104571709B/zh active Active
- 2015-10-30 WO PCT/CN2015/093409 patent/WO2016110146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0-30 JP JP2016546092A patent/JP6229069B2/ja active Active
- 2015-10-30 EP EP15832786.6A patent/EP3232301B1/en active Active
- 2015-10-30 MX MX2016007139A patent/MX358467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10-30 RU RU2016125116A patent/RU2642375C2/ru active
- 2015-10-30 KR KR1020167016515A patent/KR1018434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34433A1 (en) * | 2008-12-03 | 2010-06-03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
CN103258171A (zh) * | 2012-02-20 | 2013-08-21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防止移动终端触摸屏误触控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
US20140240252A1 (en) * | 2013-02-25 | 2014-08-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32301A1 (en) | 2017-10-18 |
RU2642375C2 (ru) | 2018-01-24 |
JP2017506381A (ja) | 2017-03-02 |
CN104571709A (zh) | 2015-04-29 |
EP3232301B1 (en) | 2020-04-22 |
KR20160097225A (ko) | 2016-08-17 |
WO2016110146A1 (zh) | 2016-07-14 |
EP3232301A4 (en) | 2018-01-17 |
RU2016125116A (ru) | 2017-12-28 |
JP6229069B2 (ja) | 2017-11-08 |
CN104571709B (zh) | 2017-10-13 |
MX358467B (es) | 2018-08-22 |
MX2016007139A (es) | 2016-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3447B1 (ko) | 가상 버튼을 프로세싱 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 | |
EP317971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hotograph from being shielded | |
RU2636135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лючения приложений | |
US1028203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restraining edge touches | |
US1072119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reading | |
RU2633187C1 (ru) |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функции съемки | |
RU2640733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ложением | |
KR101903261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오터치 방지 방법 및 장치 | |
US20170060320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using a side touch panel | |
US2017034417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terminal | |
CN106484284B (zh) | 切换单手模式的方法和装置 | |
JP6431911B2 (ja) | 閾値を設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JP6230762B2 (ja) | 指紋識別方法、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移動端末 | |
CN106201292A (zh) | 终端防误触方法和装置 | |
EP310974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haracter | |
CN104317402B (zh) | 描述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 |
CN105511777B (zh) | 触控显示屏上的会话显示方法及装置 | |
KR20180081638A (ko)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 |
US20170344184A1 (en) |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for controlling state of touch screen | |
US10705729B2 (en) | Touch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 key, and storage medium | |
CN112905136A (zh) | 投屏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 |
RU2628484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ации рабочего состоя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 |
US20160195992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generated from touching virtual keys | |
CN105700882B (zh) | 终端控制方法及装置 | |
CN106843691B (zh) | 移动终端的操作控制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