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014B1 - Toilet bowl system - Google Patents

Toilet bow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014B1
KR101843014B1 KR1020170136443A KR20170136443A KR101843014B1 KR 101843014 B1 KR101843014 B1 KR 101843014B1 KR 1020170136443 A KR1020170136443 A KR 1020170136443A KR 20170136443 A KR20170136443 A KR 20170136443A KR 101843014 B1 KR101843014 B1 KR 10184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ariable
variable seat
hol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문호
Original Assignee
손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문호 filed Critical 손문호
Priority to KR102017013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0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ilet seat device for inducing regular motions which enable a user to defecate while the user takes a posture advantageous in regular motions by providing a tilt-angle-adjustable variable seat on an upper portion of a toilet seat. The toilet seat device for inducing regular mo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of a toilet bowl, comprises: a support sea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hole formed in a center portion is coaxial to a first hole of the toilet seat; the variable sea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eat in a state in which a rear end of the variable seat is hinge-coupled to the support seat; and a tilt angle adjusting member raising or lowering a front end of the variable seat so as to adjust a tilt angle of the variable seat. The tilt angle of the variable se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s.

Description

쾌변 유도 좌변장치{Toilet bowl system}[Toilet bowl system]

본 발명은 좌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변기시트의 상부에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가변시트를 구비함에 따라 쾌변에 유리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쾌변 유도 좌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ft sid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ft side apparatus for a left side which is provided with a variable seat capable of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at an upper portion of a toilet seat so as to perform a bowel movement in a posture favorable to a bowel movement.

일반적으로 인체구조의 특성상 복압을 높여야만 배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릎이 고관절보다 높아야만 치골직장근 이완 및 항문 직장의 수직화와 그에 따른 복압률을 높일 수 있다.Gener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structure, the excretion of the abdomen can be improved smoothly. If the knee is higher than that of the hip joint, the symmetry of the pubic rectus muscle and the verticalization of the anus rectum and the resulting rate of subepithelial pressure can be increased.

그런데 통상적인 양변기는 좌판과 등받이가 직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판은 수평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무릎과 고관절이 거의 평행하게 놓인 상태에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는 바, 항문 직장이 수직화되지 못한 상태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has a shape in which the seat plate and the backres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Since the seat plate is provided horizontally, the bowel movement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knee and the hip joint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of defecation activity.

더욱이 배변시, 대다수의 사람들은 복압률을 높이기 위해 상체를 약간 앞쪽으로 기울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로 인해 항문 직장의 운동이 방해되거나 심한 경우 항문 직장의 배출구가 폐쇄되면서 배변활동을 더욱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Moreover, most people tend to tilt their upper body slightly forward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succumbing pressure, which causes obstruction of the anus rectus movement or, in severe cases, clogging of the anus rectal outlet, which makes the bowel movement more difficult do.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좌변기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120449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05-0120449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is disclosed as one of technologies for a left side lid to solve such a problem.

상기 종래기술은 양변기 시트의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도록 하여 배변시 사용자의 무릎이 고관절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llows the rear portion of the toilet paper sheet to be positioned relatively lower than the front portion, so that the user's knee can be position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hip joint at the time of defecation.

즉, 상기 종래기술은 양변기 시트를 경사진 상태로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배변활동에 유리한 자세를 자동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시트의 경사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경사각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ince the toilet seat is inclined, the user can automatically take a posture favorable to the bowel movement. However,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is fixed, This is a difficult problem.

또한, 시트의 전방부가 상방으로 많이 올라간 상태가 되면 시트와 좌변기 사이의 틈을 통해 소변이 배출되는 등의 위생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시트의 경사각을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조절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 sheet is raised to a large extent upward, sanitary problems such as discharging urin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at and the left side lid may occur.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eet .

KR 10-2005-0120449 A 2005.12.22.KR 10-2005-0120449 A 2005.12.2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좌변시트의 상부에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가변시트를 구비함에 따라 쾌변에 유리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쾌변 유도 좌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n the upper left seat, So that the activity can be perform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쾌변 유도 좌변장치는 양변기의 변기시트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좌변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형성된 제 2홀이 상기 변기시트의 제 1홀과 동축을 갖는 상태로 상기 변기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시트; 후단이 상기 지지시트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변시트; 및 상기 가변시트의 전단을 승하강시켜, 상기 가변시트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하는 경사각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가변시트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ft side apparatus for use in a toilet seat provided on a toilet seat of a toilet in a state where a second hole formed in the center is coaxial with a first hole of the toilet seat, A support shee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A variable sea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eet with a rear end hinged to the support sheet; And a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by raising and lowering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seat,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body condition.

이때, 상기 경사각조절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가변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시트의 좌우 양단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end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eat; And a lifting power section for moving the lifting ro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variable seat, respectively.

한편, 상기 가변시트에는, 상기 제 3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변시트가 승강된 상태일 때 상기 가변시트와 변기시트의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누출방지부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Meanwhile, the variable seat may further include a leakage preventing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ird hole to block a gap between the variable seat and the toilet seat when the variable seat is raised and lowered.

또한, 상기 가변시트에는, 상기 가변시트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 착석자가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ariable seat is provided with a non-slip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ated person from sliding backward when the variable seat is inclined.

한편, 상기 가변시트에는, 전방측 상부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분할부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sea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vi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n the front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좌변시트에 쉽고 빠르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and used on an existing left-side sea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변시트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all the users can conveniently use it.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장치에 적용되는 가변시트를 어린아이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변경하는 경우, 어린아이들의 배변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when the variable seat applied to the left-side apparatus is changed to a child-friendly one, it can be used for the training of a child in a bowel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일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쾌면 유도 좌변장치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사각조절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left-hand side of the left-hand side of the cur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of the left sid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use of the left-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leasant surface guiding toilet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a tilt angle adjust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좌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변기시트(1)의 상부에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가변시트(200)를 구비함에 따라 쾌변에 유리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쾌변 유도 좌변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ft-sid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eat having a toilet seat which is provided with a variable seat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of inclina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Sid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일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쾌변 유도 좌변장치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쾌면 유도 좌변장치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사각조절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도면으로서, 도 6은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ft sid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ft sid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of a left sid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use of the pleasant surface guiding left and right s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cross-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use,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use.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지지지트(100), 가변시트(200) 및 경사각조절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sheet 100, a variable sheet 200, and a tilt angle adjusting member 300.

상기 지지지트(100)는 중심부에 형성된 제 2홀이 변기시트(1)의 제 1홀과 동축을 갖는 상태로 상기 변기시트(1)의 상부에 구비된다. The supporting sheet 100 is provided on the toilet seat 1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coaxial with the first hole of the toilet seat 1.

부연하면, 상기 지지지트(100)의 하부는 상기 변기시트(1)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지트(100)의 상부는 평평한 판(plate)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지트(100)가 상기 변기시트(1)와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sheet 100 corresponds to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eat 1, and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sheet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100)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seat (1).

상기 지지지트(100)의 제 2홀은 상기 제 1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hole of the support sheet 10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hole.

상기 가변시트(200)는 중심부에 형성된 제 3홀이 상기 제 1홀 및 제 2홀과 동축을 갖도록 상기 지지지트(100)의 상부에 구비되되, 후단이 상기 지지지트(100)와 힌지 결합된다. The variable seat 20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jig 100 so that a third hol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coaxial with the first and second holes, and a rear end thereof is hinged to the supporting jig 100 .

부연하면, 상기 가변시트(200)의 하부는 상기 지지지트(100)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평평하게 이루어져 상기 지지지트(10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가변시트(200)의 상부는 착석자의 하체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지지지트(100)의 상부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eat 200 is flat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eet 100 so as to be st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eet 100, Since the lower body of the seated perso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person, it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seat 1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eat comfortably.

한편, 상기 가변시트(200)는 분할부(210)와 미끄럼 방지부(220)를 더 포함한다. The variable seat 200 further includes a split unit 210 and a non-slip unit 220.

상기 분할부(210)는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방측 상부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분할부(210)는 상기 가변시트(200)를 좌우측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방측 중심부에 구비되며, 구획된 양단에 착석자의 다리가 각각 놓여지게 된다. The divided portion 210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variable seat 200. In addition, the partitioning part 21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of the variable seat 200 so as to divide the variable seat 200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legs of the seated person are placed at both ends of the partitioned seat.

이때, 상기 분할부(210)의 좌우양단측은 착석자의 다리가 접촉되는 부분인 바, 상기 좌우양단은 다리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vided portion 210 are the portions where the legs of the seated perso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vided portion 210 are preferably made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legs.

상기 미끄럼 방지부(220)는 상기 가변시트(200)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 착석자가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변시트(200)의 후방부에 구비된다. The non-slip portion 220 i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variable seat 200 to prevent a seated person from slipping rearward when the variable seat 200 is inclined.

부연하면, 상기 미끄럼 방지부(200)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착석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부분인 전방부가 엉덩이 부분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안정적인 상태로 착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non-slip portion 20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the front portion, which is the portion of the seated person's hips,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hips so that the seat can be seated in a stable state.

즉, 상기 가변시트(200)는 착석자가 최대한 편안한 자세로 착석한 상태에서 배변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variable seat 200 is structured such that a sick person can perform a sick leave in a state where the sick person is seated in a comfortable position as possible.

한편, 상기 가변시트(200)에는 저주파 자극기(230)가 설치된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230)는 저주파 펄스를 발생시켜 피부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여 케겔운동(항문조이기 운동)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변비환자의 괄약근 부분에 자극을 부여함에 따라, 배변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 low frequency stimulator 230 is installed in the variable seat 200. The low-frequency stimulator 230 generates a low-frequency pulse to apply a low-frequency stimulus to the skin. The low-frequency stimulator 230 imparts a low-frequency stimulus to the user's pelvic floor muscles to naturally perform a Kegel motion (anal tightening motion) By giving a stimulus to the part,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feeling of defecation.

이때, 상기 저주파 자극기(230)는 골반저근에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가변시트(200)의 후방, 즉, 상기 미끄럼 방지부(220)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더욱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low frequency stimulator 230 is preferably positioned adjacent to the pelvic floor muscles so that the low frequency stimulator 230 is positioned behind the variable seat 200, i.e., on the side of the non-slip part 220, do.

또한, 상기 가변시트(200)에는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온 및 체지방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ariable seat 20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and a body fat sensor for measuring the body fat so that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body fat of the user can be checked.

이때, 상기 검출된 체온과 체지방 값은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and the body fat value are separately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so that they can be visually guided.

상기 경사각조절부재(300)는 상기 가변시트(200)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단을 승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경사각조절부재(300)는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단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가변시트(200)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inclination angle regulating member 300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seat 200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200 is adjusted. In addition, the inclination angle regulating member 300 raises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seat 200 so that the variable seat 200 is kep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실시예Example 1. One.

상기 경사각조절부재(300)는 승강로드(310a) 및 승강동력부(3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inclination angle regulating member 300 includes a lifting rod 310a and a lifting power unit 320a.

상기 승강로드(310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가변시트(200)의 하부에 구비된다. The lifting rod 310a is in the form of a rod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has one end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eat 200. [

상기 승강동력부(320a)는 상기 승강로드(310a)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리니어모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직선운동을 하는 동력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fting power unit 320a moves the lifting rod 310a up and down. The lifting unit 320a may be a power unit that performs linear motion such as a linear motor,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or the like.

즉,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승강동력부가 상기 승강로드(310a)를 상승시키면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방이 점차 상승되면서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기 승강동력부(320a)를 다시 하강시키면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방이 하강되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elevation power section raises the elevation rod 310a, the front of the variable seat 200 gradually rises and becomes inclined. When the elevation power section 320a is lowered again The front of the variable seat 200 is lowered.

이때, 상기 승강동력부(320a)는 상기 지지지트(100)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드(310a)는 상기 지지지트(10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변시트(20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lifting power unit 320a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ing sheet 100 and the lifting rod 310a is coupled with the variable sheet 200 whi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sheet 100 .

실시예Example 2.  2.

상기 경사각조절부재(300)는 링크부(310b) 및 승강동력부(3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inclination angle regulating member 300 includes a link portion 310b and an elevation power portion 320b.

상기 링크부(310b)는 'Y' 링크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제 1링크(311), 제 2링크(312) 및 제 3링크(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지트(100)와 가변시트(200)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link unit 310b includes a first link 311, a second link 312 and a third link 313 in the form of a 'Y' link,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heets 200.

부연하면, 상기 제 1링크(311)는 일단이 상기 가변시트(200)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링크(312)는 일단이 상기 제 1링크(311)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지트(100)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 3링크(313)는 일단이 상기 제 1링크(311) 및 제 2링크(312)의 힌지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후방측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The first link 311 is hinged to the variable seat 200 and the second link 312 is hing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311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upport sheet 310. [ (Not shown). The third link 313 is hing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311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link 312,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313 faces rearward.

상기 승강동력부(320b)는 리니어모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직선운동을 하는 동력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제 3링크(313)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3링크(313)를 전방으로 밀어내거나 후방으로 잡아당기도록 한다. The lifting power unit 320b is a power unit that performs linear motion such as a linear motor,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and pushes the third link 313 forward or rearwar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link 313, .

이에 따라, 상기 승강동력부(320b)가 상기 제 3링크(313)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면, 상기 제 1링크(311) 및 제 2링크(312)가 점차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방은 상승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 제 3링크(313)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제 1링크(311) 및 제 2링크(312)가 점차 오므려지면서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방이 하강되게 된다. The first link 311 and the second link 312 are gradually opened so that the variable seat 20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lifting power unit 320b pushing the third link 313 forward. When the third link 313 is pulled backward, the first link 311 and the second link 312 are gradually pinched, and the variable seat 200 is pulled up,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조절부재(300)는 상기 가변시트(200)의 좌우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변시트(200)가 안정된 상태로 승하강되도록 하며,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clination angle regulating member 300 may be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variable seat 200 so that the variable seat 20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stable state, do.

한편, 상기 경사각조절부재(300)에 의해 상기 가변시트(20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가변시트(200)와 지지지트(100) 사이에는 상승된 높이만큼의 틈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배변시 상기 틈을 통해 소변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상기 가변시트(200)에는 누출방지부(400)가 구비된다. Meanwhile, when the variable seat 200 is raised by the inclination angle regulating member 300, a gap of an increased height is generated between the variable seat 200 and the supporting seat 100. As a result, a problem such as leakage of urine through the gap may occur at the time of defecation, so that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is provided in the variable seat 200.

상기 누출방지부(400)는 상기 가변시트(200)의 제 3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extends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ird hole of the variable seat 200.

부연하면, 상기 누출방지부(400)는 상기 가변시트(200)가 최하부로 하강된 상태일 때, 상기 제 2홀 및 제 1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좌변기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누출방지부(400)가 최상부로 상승된 상태일 때, 상기 누출방지부(400)가 상기 틈을 폐쇄하게 됨에 따라, 소변이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로 소변이 튀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variable seat 200 is lowered to the lowermost position,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is inserted into the left side of the second hole and the first hole at the same time. As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closes the gap when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is raised to the uppermost position, the leakage of the urine to the outside is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320a, and 320b.

상기 누출방지부(400)의 전방측에는 소변검사 키트가 삽입되는 키트수납부(410)가 구비되어 배변활동시 자동적으로 소변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eakage preventing part 400 is provided at a front side thereof with a kit storage part 410 into which a urine test kit is inserted so that urine can be automatically inspected during a bowel movement so that the user can periodically check his / do.

상기 키트수납부(410)는 'ㄴ'자 단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한 쌍의 수납부재(411)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수납부재(411)의 절곡된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기 누출방지부(400)에 구비된다. The kit housing part 410 is composed of a pair of receiving members 411 having a "?" -Shaped cross s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ent ends of the pair of the receiving members 411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is provided in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in a deployed state.

즉, 상기 키트수납부(410)는 한 쌍의 상기 수납부재(411)의 사이로 소변검사 키트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kit housing part 41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the receiving members 411 to insert the urine test kit.

한편, 상기 가변시트(200)와 지지지트(100) 사이에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변시트(200)의 외측 둘레와 상기 지지지트(100)의 외측 둘레를 연결하는 보호부재(500)가 구비된다. A protective member 500 is provided between the variable seat 200 and the support 100 to connect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riable seat 20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100 .

상기 보호부재(500)는 상기 가변시트(200)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 상기 가변시트(200)와 지지지트(100) 사이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가변시트(200)와 지지지트(100) 사이에 구비된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protective member 500 surrounds the variable seat 200 and the support 100 when the variable seat 200 is inclined so that the variable seat 200 and the support seat 100 100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외관이 깔끔해 보일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습기 등에 의해 내부 구성이 부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As a result, not only the appearance is clean, but also the inner structure is corroded by the moisture of the toilet.

한편,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vation power sections 320a and 320b may be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별도의 리모컨, 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져, 조작버튼(211)의 조작에 따라 무선으로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When the elevating power units 320a and 320b are manually operated, the elevating power units 320a and 320b are controlled by a controller 60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includes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a controller, and the lik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power units 320a and 320b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211. [

또는 상기 제어부(600)는 좌변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되 전선 등에 의해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조작버튼(211)을 조작하면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의 동작이 적절히 제어되도록 한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60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eft side device, and when the operation button 211 is operat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vation power units 320a and 320b by electric wires or the like, the elevation power units 320a and 320b Ensure that the operation is properly controlled.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좌변장치의 어느 위치에든 구비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직접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좌변시트의 전단측 상부에서 조작버튼(211)이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left side apparatus. However,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while checking the seat in a seated state, As shown in FIG.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분할부(210)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211)을 더욱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분할부(210)에 내장되되, 상기 조작버튼(211)은 상기 분할부(210)의 상방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좌변장치의 외관이 더욱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vision unit 21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211 more easily.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is built in the division unit 210, and the operation button 211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vision unit 21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left side device can be made more clear.

자동으로 조작되는 경우,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는 제어부(6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변시트(200)에 구비된 하중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에 따라 상기 가변시트(200)가 적절한 경사각을 갖는 상태로 동작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6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lifting power sections 320a and 320b so that the variable lifting section 32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oad measured by the load sensor provided on the variable seat 200, (200) to be operated with a proper inclination angle.

부연하면, 상기 제어부(600)에는 하중별 상기 가변시트(200)의 적절 경사각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완전히 착석한 상태에서 측정된 하중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도출한 뒤, 상기 가변시트(200)가 상기 경사각에 대응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승강동력부(320a, 320b)를 동작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stores data on a proper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200 with respect to the load, and the controller 600 calculates the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load measured in a fully seated state The elevating power units 320a and 320b are operated such that the variable seat 200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즉, 사용자의 착석과 동시에 상기 가변시트(200)는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은 경사각을 갖는 상태를 이루게된다. That is, 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is seated, the variable seat 200 is in a stat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suitable for the body shape of the user.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좌변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좌변시트에 쉽고 빠르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변시트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eft s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on the left side seat that has been previously installed. Further,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 users can conveniently use it.

또한, 상기 좌변장치에 적용되는 가변시트를 어린아이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변경하는 경우, 어린아이들의 배변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when the variable seat applied to the left-side apparatus is changed to a child-friendly 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the training of a child in a bowel move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변기시트
100 : 지지시트 200 : 가변시트
210 : 분할부 211 : 조작버튼
220 : 미끄럼 방지부 230 : 저주파 자극기
300 : 경사각조절부재
310a : 승강로드 320a : 승강동력부
310b : 링크부 311 : 제 1링크
312 : 제 2링크 313 : 제 3링크
320b : 승강동력부
400 : 누출방지부 410 : 키트수납부
411 : 수납부재
500 : 보호부재 600 : 제어부
S1 : 온도센서 S2 : 체지방 센서
1: toilet seat
100: support sheet 200: variable sheet
210: Partition 211: Operation button
220: non-slip part 230: low frequency stimulator
300: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mber
310a: lifting rod 320a:
310b: link portion 311: first link
312: second link 313: third link
320b:
400: leak prevention part 410: kit storage part
411:
500: protective member 600:
S1: Temperature sensor S2: Body fat sensor

Claims (5)

양변기의 변기시트(1)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좌변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형성된 제 2홀이 상기 변기시트(1)의 제 1홀과 동축을 갖는 상태로 상기 변기시트(1)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시트(100);
후단이 상기 지지시트(100)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시트(1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중심부에 형성된 제 3홀이 상기 제 1홀 및 제 2홀과 동축을 갖도록 구비되는 가변시트(200); 및
상기 가변시트(200)의 전단을 승하강시켜, 상기 가변시트(200)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하는 경사각조절부재(300);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시트(200)에는,
상기 가변시트(200)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 착석자가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220)가 상기 지지시트(100)의 후방부측에 더 구비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220)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착석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부분인 전방부가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의 곡률에 대응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220)의 전방부에는,
저주파 펄스를 발생시켜 착석자의 골반저근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는 저주파 자극기(230)가 구비되며,
상기 가변시트(200)에는,
상기 제 3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변시트(200)가 승강된 상태일 때 상기 가변시트(200)와 변기시트(1)의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누출방지부(4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누출방지부(400)의 전방측에는,
'ㄴ'자 단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수납부재(411)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재(411)의 절곡된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키트수납부(410)가 구비되고, 상기 키트수납부(410)에는 소변검사 키트가 삽입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가변시트(200)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 유도 좌변장치.
In a left side apparatus provided on a toilet seat (1) of a toilet bowl,
A support sheet (100)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1) in a state where a second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coaxial with a first hole of the toilet seat (1);
And a third hol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heet 100 in a state where a rear end thereof is hinge-coupled to the support sheet 100, the third hole being coaxial with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200); And
A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mber (300) for moving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seat (200) up and down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200);
/ RTI >
In the variable seat 200,
A non-slip portion 220 is further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support sheet 100 to prevent a sidewinder from slipping rearward when the variable seat 200 is inclined,
The non-skid portion 220 may be formed of a non-
Wherein a front portion, which is a portion to which the hip of the seated person comes into contact, corresponds to a curvature of the hip portion of the seated person,
In the front portion of the non-slip portion 220,
A low frequency stimulator 230 for generating a low frequency pulse to apply a low frequency stimulus to the pelvic floor muscle of a seated person,
In the variable seat 200,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ird hole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variable seat 200 and the toilet seat 1 when the variable seat 200 is lifted and lowered Respectively,
On the front side of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400,
And a pair of receiving members 411 having a '?' -Shaped cross section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kit receiving portion 410 is disposed so that the bent ends of the receiving member 411 face each other A urine test kit is inserted into the kit receiving portion 410,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eat (200) is adjustable according to a user's body cond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조절부재(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가변시트(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로드(310a); 및
상기 승강로드(310a)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동력부(320a);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시트(200)의 좌우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 유도 좌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mber (300)
A lifting rod 310a in the form of a ro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eat 200; And
A lifting power section 320a for moving the lifting rod 310a up and down;
, And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variable seat (2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시트(200)에는,
전방측 상부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분할부(2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 유도 좌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variable seat 200,
Further comprising a dividing portion (210)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KR1020170136443A 2017-10-20 2017-10-20 Toilet bowl system KR101843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43A KR101843014B1 (en) 2017-10-20 2017-10-20 Toilet bow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43A KR101843014B1 (en) 2017-10-20 2017-10-20 Toilet bow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014B1 true KR101843014B1 (en) 2018-03-28

Family

ID=6190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443A KR101843014B1 (en) 2017-10-20 2017-10-20 Toilet bow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0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7881A (en) * 2019-01-02 2019-03-22 董思思 The electronic toilet seat that increases has helped device
KR102043975B1 (en) 2018-12-11 2019-11-12 이영근 Toilet seat have defecation inducement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75B1 (en) 2018-12-11 2019-11-12 이영근 Toilet seat have defecation inducement structure
CN109497881A (en) * 2019-01-02 2019-03-22 董思思 The electronic toilet seat that increases has helpe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9634B2 (en) Device f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814581B1 (en) Device for a person to reduce straining during expulsion of fecal matter into a toilet
KR101843014B1 (en) Toilet bowl system
US20090019629A1 (en) Toilet apparatus providing a user with a physiologically natural position during bowel movement
KR200460173Y1 (en) Toilet bowl having foothold
KR102001463B1 (en) Apparatus for having a bowel movement
KR101734071B1 (en) Reclining sofa having massaging apparatus
US20210244584A1 (en) Stand Assist Stool and Method
JP2012065729A (en) Relaxation device and vehicle
KR101633906B1 (en) Muscular function deterioration protection
KR101423912B1 (en) Toilet seat for facilitating defecation
CN111970948B (en) Foot rest for supporting squat and use thereof
KR100735516B1 (en) pelvic floor muscles contracting power increasing device
KR101931238B1 (en) Toilet bowl-foothold to induce regular bowel movements
KR101931262B1 (en) Toilet bowl support apparatus for easy defecation
JP4647711B1 (en) Defecation assistance device
US20020135219A1 (en) Portable hip-abducting seat support and method
KR102669405B1 (en)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device
KR20120003933U (en) A chair for rehabilitation
KR102043975B1 (en) Toilet seat have defecation inducement structure
KR101196482B1 (en) Toilet seat
CN206507960U (en) The machine with training is determined for Pelvic floor power
TWM445948U (en) Intelligent toilet seat device
JP2012085869A (en) Toilet seat device for western-style toilet
KR20130004961U (en) Pleasure Stool For Toilet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