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952B1 -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 Google Patents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952B1
KR101842952B1 KR1020160165862A KR20160165862A KR101842952B1 KR 101842952 B1 KR101842952 B1 KR 101842952B1 KR 1020160165862 A KR1020160165862 A KR 1020160165862A KR 20160165862 A KR20160165862 A KR 20160165862A KR 101842952 B1 KR101842952 B1 KR 10184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unit
towing vehicle
trail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환
민경훈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5Indicating devices for tow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2Adverse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은, 견인차량에 의한 차량 견인시 안전운행을 위해 견인차량의 운행상태가 후방차량에 표시되도록 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에 관한 것으로,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에 대한 점멸작동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 피견인차량의 후방에 탈착결합되고, 견인차량의 운행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표시부; 및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과 상기 표시부가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점멸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점멸제어부와 상기 표시부 간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의 점멸제어부와 연결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표시부가 탈착가능한 별물로 마련됨에 따라 피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의 완파나 일부파손 또는 야간이나 악천후 여부를 불문하고, 후방차량은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의 운행상태 등을 정확하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표시부가 피견인차량의 임의의 후미 일측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착되고 각도조절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되는 한편, 후미차량의 안전운행이 보다 확실하게 담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DETACHABLE REAR INDICATOR LIGHT LIN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OWING VEHICLE}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의 운행상태 등을 후방차량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차량의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조등은 야간주행 또는 악천후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계가 불량할 경우 차량 전방에 나타난 대상물을 명확히 인식하기 위한 조명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차량의 후방지시등은 주행중 후미에서 뒤따르는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현재 주행상태나 운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후방지시등의 신호기능은, 차량 후방에 설치되는 방향지시등, 제동등 또는 비상등과 같은 발광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주행중인 차량의 예상 진행방향이나 브레이크 작동상태 또는 전방 위험 여부를 후방차량에게 미리 알려줌으로써, 후방차량의 안전운행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그런데 피견인차량 전체를 적재공간에 상차시키는 방식이 아닌 피견인차량의 전후방 바퀴 중 일부만을 들어올리는 방식의 견인차량의 경우에는, 견인되는 피견인차량에 의해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이 차폐되는 문제가 있다.
다만, 피견인차량의 비상등이 파손되지 않은 경우에는 견인시 비상등을 임의로 점멸시킬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견인차량의 운행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어 후미에 따른 차량의 안전운행을 확실히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있으며, 더욱이 피견인차량의 비상등을 비롯한 차량 후미가 완파된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18678호(공고일자 2004년02월11일)는, 견인 차량과 피견인 차량의 점등장치 구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에 따르면,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의 비상등, 방향지시등 및 제동등이 견인차량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같이 점등되어 다른 운전자가 견인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려줄 수 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점등장치 구동 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여전히 개선이 요구되며, 꾸준한 개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예컨대, 본 선행기술은 견인차량의 주행조작이 연결수단을 통해 견인중인 피견인차량의 비상등, 방향지시등 및 제동등에 의해 구현됨으로써 후방차량의 사고 예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나, 만일 피견인차량의 후미가 완파되어 비상등 등이 모두 파손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피견인차량의 대다수는 충돌사고나 고장으로 인한 경우가 많으므로, 피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이 모두 온전한 경우는 사실상 상정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선행기술은 후방차량의 안전을 충분한 수준으로 담보할 수 없다는 안전상의 문제가 예상된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18678호(공고일자 2004년02월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을 작동시킬 수 없는 경우거나 야간 또는 악천후와 같이 전방시야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도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의 운행상태 등을 후방차량이 정확하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견인차량에 의한 차량 견인시 안전운행을 위해 견인차량의 운행상태가 후방차량에 표시되도록 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에 관한 것으로,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에 대한 점멸작동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 피견인차량의 후방에 탈착결합되고, 견인차량의 운행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표시부; 및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과 상기 표시부가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점멸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점멸제어부와 상기 표시부 간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피견인차량의 후방에 탈착결합되고, 자체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견인차량의 운행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과 상기 표시부가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점멸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점멸제어부와 상기 표시부 간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의 배면은,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 및 진공흡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피견인차량의 후방 일측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견인차량의 제동상태, 좌회전, 우회전 및 비상상태 각각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상기 점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색구별되게 발광하는 LED표시장치; 상기 LED표시장치의 배면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 및 진공흡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피견인차량의 후방 일측과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접착부; 및 상기 LED표시장치 및 상기 탈착접착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가 서로 상대회동하며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LED표시장치와 상기 탈착접착부가 서로 상대회동토록 각각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1,2 힌지체; 상기 LED표시장치와 상기 탈착접착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2 힌지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볼트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2 힌지체의 면접촉영역을 따라 소정의 각도마다 서로 끼워지는 돌기 또는 홈형태로 형성되는 눈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피견인차량의 좌우 폭을 후방차량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피견인차량의 양단부까지 인출되어 피견인차량과 탈착결합되며 발광하는 보조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의 점멸제어부와 연결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표시부가 탈착가능한 별물로 마련됨에 따라 피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의 완파나 일부파손 또는 야간이나 악천후 여부를 불문하고, 후방차량은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의 운행상태 등을 정확하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표시부가 피견인차량의 임의의 후미 일측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착되고 각도조절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되는 한편, 후미차량의 안전운행이 보다 확실하게 담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의 전체구성을 연결모듈의 방식에 따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의 전체구성을 연결모듈의 방식에 따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표시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또는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100)은, 견인차량(10)에 의한 차량 견인시 피견인차량(20)의 임의의 후미 일측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착되되,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12)과 연동한 작동을 통해 견인차량(10)의 운행상태가 후방차량에 명확하게 표시되게 함으로써 후방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후방지시등에 관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멸제어부(110), 표시부(120) 및 연결모듈(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점멸제어부(110)는, 견인차량(10) 운전자의 운행조작에 따른 제동, 회전방향지시 및 비상상황 등의 입력을 전달받아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12)은 물론, 후술할 표시부(120)의 점멸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멸제어부(11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견인차량(10) 전원장치(11)와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12) 사이에 마련되어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12)에 제공되는 전원을 개별 제어하여 운전자의 운행조작에 따른 점멸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후술할 표시부(120)와도 연결모듈(130)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자의 운행조작에 따른 표시부(120)의 점멸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예를 들면, 견인차량(10)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게 되면, 점멸제어부(110)는 제동신호를 입력받아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12) 중 제동등(122a)을 점등시키는 한편, 연결모듈(130)을 통해 연결된 표시부(120)에도 동일한 제동등(122a)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멸제어부(11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 등과 같은 별개의 모듈화된 유닛은 물론, 차량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된 각 장치를 제어하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한 점멸제어부(110)의 일련의 처리과정은 기계어(machine language, 機械語)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점멸제어부(110)의 구현과 제어방법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모듈(130)은,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12)과 표시부(120)가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점멸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점멸제어부(110)와 표시부(120) 간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모듈(130)은, 도 1에 각각 구분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먼저, 도 1(a)에서처럼 연결모듈(130)은, 점멸제어부(110)와 후술할 표시부(120) 간을 유선케이블(130a)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점멸제어부(110)에 의한 표시부(120)의 제어와 표시부(120)에 대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유선케이블(130a)의 수납의 편의를 위해 견인차량(10) 일측에는 수납함(132)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납함(132) 내측에는 점멸제어부(110)와 연결된 유선케이블(130a)의 일단부가 태엽스프링(내측 중앙부분)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유선케이블(130a)은 피견인차량(20)의 전장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소정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인출될 수 있으며, 견인완료 후 표시부(120)의 탈거시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유선케이블(130a)은 자동으로 수납함(132)에 수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b)에서처럼 연결모듈(130)은, 점멸제어부(110)와 후술할 표시부(120) 간을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30b1,130b2)을 통한 무선망으로 연결하여 점멸제어부(110)에 의한 표시부(120)의 제어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에는 점멸작동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30b2)을 통한 제어명령의 수신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충전형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30b1,130b2)은, 근거리에 이격된 장치들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 RF(radio frequency) 네트워크장치를 말하는데, 구체적으로 424Mhz모듈, 900Mhz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종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30b1,130b2)의 구체적 구성이나 원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120)는, 피견인차량(20)을 견인중인 견인차량(10)의 운행상태를 후방차량에 시각적으로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발광장치로서, 피견인차량(20)의 후미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모듈(130)을 통해 점멸제어부(110)와 연결되어 견인차량(10)의 운행상태에 대응한 시각적 표시를 후방차량에 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차량과 마주하게 되는 전면에, 견인차량(10)의 제동상태, 좌회전, 우회전 및 비상상태를 각각 지시할 수 있는 제동등(122a), 좌우방향표시등(122b) 및 비상등(122c)이 각각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획된 각각의 지시등은 점멸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색구별되게 발광하는 LED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의 배면은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124a) 및 진공흡착판(12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피견인차량(20)의 임의의 후방 일측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진공흡착판(124b)은 피견인차량(20)의 평평한 금속차체 또는 유리창 등에 용이한 탈착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고, 영구자석(124a)은 피견인차량(20)의 파손으로 인해 부착부위가 평평하지 않더라도 금속차체에 용이한 탈착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120) 배면의 복합 탈착구조는, 피견인차량(20)의 파손 상태나 위치 등을 불문하고 부착과 탈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표시장치(122), 탈착접착부(124) 및 각도조절부(1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LED표시장치(122)는, 표시부(120)가 후방차량과 마주하게 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견인차량(10)의 제동상태, 좌회전, 우회전 및 비상상태 각각을 지시할 수 있도록 제동등(122a), 좌우방향표시등(122b) 및 비상등(122c)으로 구획되며, 그 각각은 점멸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색구별되게 발광하는 LED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탈착접착부(124)는, LED표시장치(122)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124a) 및 진공흡착판(12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피견인차량(20)의 후방 일측과 탈착결합하게 된다. 이때, 영구자석(124a) 및 진공흡착판(124b)은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도조절부(126)는, LED표시장치(122) 및 탈착접착부(124)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가 서로 상대회동하며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판형상의 LED표시장치(122) 및 탈착접착부(124)가 어느 일측에서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고정될 수 있는 구조 내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1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힌지체(126a,126b), 고정부(126c) 및 눈금부(126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2 힌지체(126a,126b)는, LED표시장치(122)와 탈착접착부(124)가 서로 상대회동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각각의 연결부 즉, 서로 힌지결합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형성되는 구성요소이이다. 그리고 고정부(126c)는 제1,2 힌지체(126a,126b)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볼트결합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제1,2 힌지체(126a,126b)가 가압되거나 가압해제됨에 따라 LED표시장치(122)와 탈착접착부(124)는 고정 또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눈금부(126d)는 LED표시장치(122)와 탈착접착부(124)가 임의의 각도를 이루며 견고하게 고정되고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1,2 힌지체(126a,126b)의 면접촉영역을 따라 소정의 각도마다 서로 끼워지는 돌기 또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부(126)를 통한 각도조절방법은, 피견인차량(20)의 후미 중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탈착접착부(124)를 부착시킨 다음, 후미차량 운전자의 시야와 LED표시장치(122)가 서로 마주하도록 LED표시장치(122)를 회동시키면서 눈금부(126d)의 돌기와 홈이 서로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 후 고정부(126c)를 회전시켜 제1,2 힌지체(126a,126b)가 가압되도록 하여 LED표시장치(122)와 탈착접착부(124)가 임의의 각도에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보조LED(140)는, 피견인차량(20)의 좌우 폭을 후방차량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표시부(120')의 양단부에서 각각 피견인차량(20)의 양단부까지 인출되어 피견인차량(20)과 탈착결합되거나 또는 수축되어 표시부(120)의 양단부와 결합되는 발광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LED(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양단부에서 분할된 조각형태로 이루어져 점멸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는 보조LED(140) 본체와, 일단부는 표시부(120') 내부에 수납되고 점멸제어부(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태엽스프링(내측 중앙부분)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되고 타단부는 보조LED(140)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권취케이블(142)과, 보조LED(140)의 배면에 구비되어 피견인차량(20)의 양단부 쪽에 탈부착되는 진공흡착판(1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견인차량(10)의 운전자는 표시부(120')를 피견인차량(20)의 후미 중앙에 부착한 후 피견인차량(20)의 좌우 폭을 인식할 수 있도록 보조LED(140)를 인출하여 피견인차량(20)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피견인차량(20)의 양단부가 후미차량에 의해 인식되도록 한 상태에서 소정의 장소까지 견인이 완료된 후, 견인차량(10)의 운전자가 보조LED(140)를 탈거하게 되면,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케이블(142)이 감기면서 보조LED(140)는 자동으로 표시부(120')의 양단부에 결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도조절부(126) 및 보조LED(140)를 통해, 표시부(120')가 피견인차량(20)의 임의의 후미 일측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착됨은 물론, LED표시장치(122)가 후미차량 운전자의 시야와 일치되도록 회동 및 고정되고, 피견인차량(20)의 양단부 위치를 후미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의 증진과, 후미차량의 안전운행이 보다 확실하게 담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견인차량 11: 전원장치
12: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 20: 피견인차량
100: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110: 점멸제어부 120,120': 표시부
122: LED표시장치 122a: 제동등
122b: 좌우방향표시등 122c: 비상등
124: 탈착접착부 124a: 영구자석
124b: 진공흡착판 126: 각도조절부
126a,126b: 제1,2 힌지체 126c: 고정부
126d: 눈금부 130: 연결모듈
130a: 유선케이블 130b1,130b2: 무선통신모듈
132: 수납함 140: 보조LED
142: 권취케이블 144: 진공흡착판

Claims (6)

  1. 견인차량에 의한 차량 견인시 안전운행을 위해 견인차량의 운행상태가 후방차량에 표시되도록 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에 관한 것으로,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에 대한 점멸작동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
    피견인차량의 후방에 탈착결합되고, 견인차량의 운행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표시부; 및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과 상기 표시부가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점멸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점멸제어부와 상기 표시부 간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견인차량의 제동상태, 좌회전, 우회전 및 비상상태 각각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상기 점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색구별되게 발광하는 LED표시장치; 상기 LED표시장치의 배면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 및 진공흡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피견인차량의 후방 일측과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접착부; 및 상기 LED표시장치 및 상기 탈착접착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가 서로 상대회동하며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LED표시장치와 상기 탈착접착부가 서로 상대회동토록 각각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제1,2 힌지체; 상기 LED표시장치와 상기 탈착접착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2 힌지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볼트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2 힌지체의 면접촉영역을 따라 소정의 각도마다 서로 끼워지는 돌기 또는 홈형태로 형성되는 눈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피견인차량의 좌우 폭을 후방차량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피견인차량의 양단부까지 인출되어 피견인차량과 탈착결합되며 발광하는 보조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피견인차량의 후방에 탈착결합되고, 자체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견인차량의 운행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견인차량의 후방지시등과 상기 표시부가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점멸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점멸제어부와 상기 표시부 간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배면은,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 및 진공흡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피견인차량의 후방 일측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LED는,
    상기 표시부의 양단부에서 분할된 조각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점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는 본체와, 일단부는 상기 표시부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점멸제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권취케이블과, 상기 본체의 배면에 구비되어 피견인차량의 양단부 쪽에 탈부착되는 진공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5. 삭제
  6. 삭제
KR1020160165862A 2016-12-07 2016-12-07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KR10184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62A KR101842952B1 (ko) 2016-12-07 2016-12-07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62A KR101842952B1 (ko) 2016-12-07 2016-12-07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952B1 true KR101842952B1 (ko) 2018-03-28

Family

ID=6190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862A KR101842952B1 (ko) 2016-12-07 2016-12-07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9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2368C1 (ru) * 2019-06-17 2020-01-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Шереметьево-Карго"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ключением световых сигналов радиоуправляемых фонарей телеги автопоезда
RU2712381C1 (ru) * 2019-06-17 2020-01-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Шереметьево-Карго" Беспроводной радиоуправляемый фонарь телеги автопоезда и адаптер для установки фонаря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20210054387A (ko) * 2019-11-05 2021-05-13 문남도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신호등 제어신호 연결 장치
CN113420620A (zh) * 2021-06-08 2021-09-2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恶劣天气下车灯使用状态的检测方法与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49B2 (ja) * 1995-07-13 2000-06-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セル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49B2 (ja) * 1995-07-13 2000-06-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セル受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2368C1 (ru) * 2019-06-17 2020-01-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Шереметьево-Карго"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ключением световых сигналов радиоуправляемых фонарей телеги автопоезда
RU2712381C1 (ru) * 2019-06-17 2020-01-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Шереметьево-Карго" Беспроводной радиоуправляемый фонарь телеги автопоезда и адаптер для установки фонаря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20210054387A (ko) * 2019-11-05 2021-05-13 문남도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신호등 제어신호 연결 장치
KR102298542B1 (ko) * 2019-11-05 2021-09-03 문남도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신호등 제어신호 연결 장치
CN113420620A (zh) * 2021-06-08 2021-09-2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恶劣天气下车灯使用状态的检测方法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952B1 (ko) 견인차량의 운행과 연동되는 탈착형 후방지시등
US7463136B2 (en) Trailer safety system
US20160023588A1 (en) Removable Signa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829390B1 (ko)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US20170080852A1 (en) A rear light system for a towable vehicle
KR20150110986A (ko) 차량 안전 삼각대
US8816840B1 (en) Self-contained, removable, wireless turn signal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trailers
WO2015013664A2 (en) Removable signa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20313793A1 (en) Truck mounted stop light display
US20150158417A1 (en) Portable Illumination Brake and Indicator Lights Panel for Vehicle
KR101152985B1 (ko) 트렁크 리드에 탈부착 가능한 차량용 안전판 장치
KR20160123582A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KR102009792B1 (ko) 차량 안전 삼각대
US20150203025A1 (en) Reverse Light Assembly for Tractor-Trailers
GB2411458A (en) A light board for a towed vehicle
CN107472120B (zh) 具有高位制动灯的机动车辆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101305782B1 (ko) 차량용 비상표시장치
US9840189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foldable-reinstallable wireless warning system for transporting oversize loads
CN110831452A (zh) 可操作以与车辆照明相对应的远程照明系统
US20170057407A1 (en) Courtesy Light
CN112654530A (zh) 车灯
KR101078142B1 (ko) 차량용 유턴 및 순간정차 표시장치
CN210951156U (zh) 一种无线拖车警示装置
KR200478402Y1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구비되는 안전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