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803B1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 - Google Patent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803B1
KR101842803B1 KR1020160176605A KR20160176605A KR101842803B1 KR 101842803 B1 KR101842803 B1 KR 101842803B1 KR 1020160176605 A KR1020160176605 A KR 1020160176605A KR 20160176605 A KR20160176605 A KR 20160176605A KR 101842803 B1 KR101842803 B1 KR 10184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taphylococcus aureus
paucibacter
growth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황정문
최아영
김지환
이창수
김향미
임경준
남승원
Original Assignee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filed Critical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to KR102016017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기존의 항생제와 다른 새로운 의약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에 항균 활성 효능을 가진 새로운 미생물과 이를 활용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 첨가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와 이를 활용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Novel microorganism Paucibacter sp. CR182 for inhibiting growth of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본 발명은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미생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은 기존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균의 일종이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은 창상감염, 골관절염, 폐렴, 패혈증, 독소 쇼크 증후군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메티실린에 내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암피실린(ampicillin), 나프실린(nafcillin) 등과 같은 β-락탐(β-lactam) 계열 항생제를 비롯하여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및 마크로라이드(macrolides) 계열의 항생제에 대해서도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균이다. 또한, MRSA 감염은 병원에서 획득되는 감염병이며 미국에서 이 감염은 매년 수천만 명을 죽음에 이르게 하며, 치료를 위해 30~40억 달러의 비용이 든다는 보고가 2007년 미국에서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부터 MRSA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3차 병원에서 분리되는 황색포도상구균의 MRSA가 차지하는 비율은 70~80%를 넘고 있으며 1, 2차 의료기관에서 분리율은 2000년부터 조사한 결과 2004년 이후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MRSA 치료에 반코마이신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의 발생도 점차 증가하였다.
항생제의 빈번한 사용으로 자신을 죽이려는 항생제에 살아남기 위한 자체 방어 능력으로 유전자 변이과정을 거쳐 내성균이 된다. 병원 내 항생제가 오남용되거나 적정 농도로 처방되지 못했을 때, 항생제로 죽어야할 세균들이 MRSA와 같이 항생제 내성을 갖게 되어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하는데 이들을 MDR(multi-drug-resistant)로 통칭하며 슈퍼 박테리아의 일종이다. 이러한 MDR 세균의 빈번한 출현은 기존의 항생제를 무력화시키므로 새로운 의약소재 발굴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항생제 내성률이 OECD 평균의 2.4배로 최고 수준에 달하며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지역사회와 병원 간에 점차 확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어려워지면서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극히 제한적인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선행문헌]
비특허문헌 1: Mesbah, M., Premachandran, U., and Whitman, W. B. (1989). Precise Measurement of the G+C content of deoxyribonucleic aci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nt J Syst Bacteriol 39(2), 159-167.
비특허문헌 2: Rapala, J., Berg, K. A., Lyra, C., Niemi, R. M., Manz, W., Suomalainen, S., Paulin, L. & Lahti, K. (2005). Paucibacter toxinivorans gen. nov., sp. nov., a bacterium that degrades cyclic cyanobacterial hapatotoxins microcystins and nodularin. Int J Syst Evol Microbiol 55, 1563-1568.
비특허문헌 3: Xie, C. & Yokota, A. (2005). Reclassification of Alcaligenes latus strains IAM 12599T and IAM 12664 and Pseudomonas saccharophila as Axohydromonas lata gen. nov., comb. nov., Azohydromonas australica sp. nov. and Pelomonas saccharophila gen. nov., comb. nov., respectively. Int J Syst Evol Microbiol 55, 1563-1568.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항생제와 다른 새로운 의약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에 항균 활성 효능을 가진 새로운 미생물과 이를 활용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미생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규균(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에 유효한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 균주로서, 이의 배양액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항균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저해용 약학 조성물,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건강식품, 항생제 내성 미생물 생장 억제용 사료 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CR182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도 2는 CR182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만든 계통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CR182 균주의 배지별 항균활성 검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항생제와 다른 새로운 의약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에 항균 활성 효능을 가진 새로운 미생물을 발굴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새롭게 분리된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 균주의 배양액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항균 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의 배양액은 그 목적에 따라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사료 첨가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로 활용 시 약학적 조성물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 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건강기능식품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건강기능성 음료로 제조 시 구연산, 올리고당, 타우린, 과실농축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CR182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CR182 균주의 분리
미생물 분리를 위한 시료로서 2015년 10월 6일 낙동강 상류와 영강 하류의 주변 토양과 강물 2개 지점에서 채취된 4점의 시료를 사용하였다. 영강 하류의 좌표는 36°32'13.3"N 128°15'27.0"E 였고, 낙동강 상류의 좌표는 36°31'23.3"N 128°15'50.2"E 였다.
토양 시료 1g을 멸균수 0.9ml에 넣어 10-6~10-7까지 10배씩 희석한 후, R2A 배지와 TSA 한천배지에 도말하였다. 하천수 시료의 경우 멸균수 0.9ml에 시료 1ml을 넣어 10-3~10-4까지 10배씩 희석한 후 토양 시료와 동일한 배지에 도말하였다. 28℃ 배양기에 2~3일간 정치배양 후 다양한 모양의 균체를 순수분리하였고, 이를 CR182 균주로 명명하였다. 수질환경은 멀티수질측정기인 YSI(556MPS)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2015년 10월 6일 영강 하류의 수온은 23.6℃, pH 7.7, DO 174.1%, 14.73 mg/L, 전기전도도는 303㎲/cm-1로 측정되었고, 낙동강 상류의 수온은 23.4℃, pH 8.5, DO 132.1%, 11.23 mg/L, 전기전도도는 255㎲/cm-1로 측정되었다.
(2) CR182 균주의 동정
상기 분리된 CR182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CR182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1448bp, 도 1 참조)을 결정하고, GenBank/EMBL/DDBJ의 데이터베이스와 상동성 검색을 수행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도 2에서는 CR182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만든 계통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교점 숫자는 1000 반복에서 나온 부트스트랩 값(bootstrap value)을 나타낸다. 계통수는 Neighbour-Joining 방법을 이용하여 그려졌다.
유전자 유사도는 펠로모나스(Pelomonas) 속의 3 균주와 97.2∼97.7%, 키네레티아 아사카로필라(Kinneretia asaccharophila)와 97.4%, 미츠아리아 키토사니타비다(Mitsuaria chitosanitabida)와는 97.0%로 가장 높은 근연종이었다. 그러나, 계통도에서 유사도가 96.8%인 파우시박터 톡시니보란스(Paucibacter toxinivorans)와 확고한 단일 클레드(clade)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비교 균주로 펠로모나스(Pelomonas) 속과 파우시박터(Paucibacter) 속의 기준 균주(type strains)인 펠로모나스 사카로필라(Pelomonas saccharophila)와 파우시박터 톡시니보란스(Paucibacter toxinivorans)를 선택하여 생리·생화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분리된 CR182 균주는 그람(Gram) 음성으로 혐기성 조건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였다. 이 균주와 유사한 종과의 생리·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Api kit를 사용하여 근연종과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CR182 균주의 G+C 함량은 균주의 유전체(genomic) DNA를 추출·분리하여 효소적으로 나누어진 뉴클레오사이드(nucleoside)와 GC 함량을 칼럼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이다(Mesbah et al., 1989).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CR182 균주의 생리·생화학적 특성을 근연종들과 비교한 결과, 집락 색깔은 R2A 고체배지에서 짙은 연두색을 띄었고, 혐기성 조건에서는 생장하지 않았다. API kit 시험의 밸린 아릴라미다아제, 액시드 포스파타아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효소 등의 중요한 표현형적 특성에서 CR182 균주가 근연종들과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G+C 함량에 있어서, 파우시박터(Paucibacter) 균주는 66.1~68.0mol%, 펠로모나스(Pelomonas) 균주는 69.1 mol%인 반면, CR182 균주는 55~62%로 근연종들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
한편, CR182 균주와 근연종 간의 지방산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은 R2A 배지에 3일간 28℃에서 액체배양한 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OD600=0.8-1.0) 배양액을 수거하여 수행되었다. 지방산 분석에는 MIDI 방법이 사용되었고, GC로 추출물을 분석하여 Sherlock Software에서 제공하는 TSB 6.0 database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2
표 2을 참조하면, CR182 균주와 근연종의 주요 지방산은 feature 3(C16 :1 ω7c and/or C16 :1 ω6c)과 C16:0이다. 또한, 지방산의 전체적인 패턴은 유사하나 C17 :1 iso ω5c, C17 :1 anteiso A, iso-C17 :0은 CR182 균주에서만 발견되었고, 다른 지방산의 양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CR182 균주는 상기 생리·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파우시박터(Paucibacter) 속의 새로운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2016년 06월 17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로부터 수탁번호 KCCM11845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CR182 균주의 장내 유해 미생물 및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배양 기내 억제 효능 검정
CR182 균주를 포함한 분리 세균 4종의 장내 유해 미생물 및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4종 세균의 항균활성 검정에는 장내유해미생물 6종(Bacillus cereus KCTC 3624, Bacillus subtilis KACC 10111, Candida albicans KACC 7270, Escherichia coli KCTC 2443, Filobasidium neoformans KCTC 7902,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30068)과,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5종(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CCARM 3089, CCARM 3090, CCARM 3091, CCARM 3095, KCCM 40510)이 사용되었다. 상기 병원균을 R2A 액체배지에 25℃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균 증류수에 현탁하여(O.D600=0.4)현탁액 0.1㎖를 배지에 도말하였다. 또한, 분리 균주도 R2A 액체배지에 25℃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 100㎕를 종이 디스크(직경 5㎜)에 충분히 스며들게 한 후 병원균을 도말한 배지 위에 올려두고 25℃, 24시간 정치배양하였다. 종이디스크 주변 생장억제 길이를 확인하여 항균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하기 표 3 및 표 4에 각각 CR182를 포함한 분리된 4종 미생물의 장내 유해 미생물 및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조사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3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4
표 3을 참조하면, CR182 균주가 6종의 장내 유해 미생물 중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CTC 362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ACC 10111에 1mm 이하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가장 활성이 좋은 CR41, CR166, CR180은 염기서열 결과, 크리세보박테리움 감브리니(Chryseobacterium gambrini) 5-1StlaT, 디엘라 마렌시스(Dyella marensis) CS5-B2T, 바실러스 아리압하타이(Bacillus aryabhattai) B8W22T와 각각 99.9%, 100%, 100%의 유사도를 가지는 잘 알려진 미생물이었다.
또한 하기 표 4를 참조하면, CR182 균주의 5종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도 2~3㎜ 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특이한 점은 CR182 균주의 경우 종이디스크 위에 배양액을 올린 뒤, 2~3일 정치배양을 한 뒤에 억제지대(inhibition zone)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CR182 균주의 배양조건 최적화
CR182 균주에 대하여 0.5TSA, R2A, NA, 0.1TSA, LB, MA 및 TSA 고체배지에서 생장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를 참조하면, CR182 균주는 0.1TSA, 0.5TSA, R2A 및 NA 배지에서 잘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0.1TSA는 초록색, 0.5TSA는 흰색, R2A는 초록색 및 NA는 흰색과 초록색 집락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5
CR182의 온도별 생장테스트는 0.5R2A 고체배지에서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25~30℃에서 가장 잘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6
CR182의 pH별 생장테스트는 R2A 액체배지에서 28℃, 180rpm 조건으로 3일간 진탕배양하여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으며, pH 6.5~8.5 사이에서 가장 잘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7
실시예 4: CR182 균주의 배양조건별 항균활성 검정
CR182 균주의 배양조건별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KCCM 40510)을 0.5R2A 및 0.5NA를 섞은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CR182 균주는 0.5R2A+0.5NA, R2A, NB, 0.5TSB, 0.1TSB에 액체배양시킨 뒤, 배양액 100㎕를 종이디스크에 충분히 스며들게 한 후 포도상구균을 도말한 배지 위에 올려두고 1~6일까지 정치배양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26199043-pat00008
표 8을 참조하면, 배양 1일째에는 전혀 활성이 보이지 않았고, 6일째 R2A, 0.5TSB에서 배양액에 포도상구균의 생장을 가장 많이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0.5TSB 및 R2A에서 액체배양을 하고 종이디스크 위에 올린 뒤 6일까지 시간이 지날수록 항균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845P 20160617
<110>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Novel microorganism Paucibacter sp. CR182 for inhibiting growth of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130> NP16-12208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448 <212> DNA <213> Paucibacter sp. <400> 1 gattgaacgc tggcggcatg ccttacacat gcaagtcgaa cggtaacagg ttaagctgac 60 gagtggcgaa cgggtgagta atgtatcgga acgtgcccag tcgtggggga taactactcg 120 aaagagtggc taataccgca tacgacctga gggtgaaagc gggggaccgt aaggcctcgc 180 gcgattggag cggccgatat cagattagct agttggtggg gtaaaagccc accaaggcga 240 cgatctgtag ctggtctgag aggacgacca gccacactgg gactgagaca cggcccagac 300 tcctacggga ggcagcagtg gggaattttg gacaatggac gcaagtctga tccagccatg 360 ccgcgtgcgg gaagaaggcc ttcgggttgt aaaccgcttt tgtcagggaa gaaacgagtt 420 tctctaatac agagacttaa tgacggtacc tgaagaataa gcaccggcta actacgtgcc 480 agcagccgcg gtaatacgta gggtgcaagc gttaatcgga attactgggc gtaaagcgtg 540 cgcaggcggt tatgcaagac agaggtgaaa tccccgggct caacctggga actgcctttg 600 tgactgcata gctagagtac ggcagagggg gatggaattc cgcgtgtagc agtgaaatgc 660 gtagatatgc ggaggaacac cgatggcgaa ggcaatcccc tgggcctgta ctgacgctca 720 tgcacgaaag cgtggggagc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ccctaaacga 780 tgtcaactgg ttgttgggag ggtttcttct cagtaacgta gctaacgcgt gaagttgacc 840 gcctggggag tacggccgca aggttgaaac tcaaaggaat tgacggggac ccgcacaagc 900 ggtggatgat gtggtttaat tcgatgcaac gcgaaaaacc ttacctaccc ttgacatgcc 960 aggaatcctg cagagatgtg ggagtgctcg aaagagaacc tggacacagg tgctgcatgg 1020 cc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tgt 1080 cattagttgc tacgaaaggg cactctaatg agactgccgg tgacaaaccg gaggaaggtg 1140 gggatgacgt caggtcatca tggcccttat gggtagggct acacacgtca tacaatggcc 1200 ggtacagagg gctgccaacc cgcgaggggg agctaatccc agaaaaccgg tcgtagtccg 1260 gatcgtagtc tgcaactcga ctgcgtgaag tcggaatcgc tagtaatcgc ggatcagctt 1320 gccgcggtga atacgttccc gggtcttgta cacaccgccc gtcacaccat gggagcgggt 1380 tctgccagaa gtagttagcc taaccgcaag gggggcgatt accacggcag ggttcgtgac 1440 tggggtga 1448

Claims (6)

  1.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16S rRN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시박터 속(Paucibacter sp.) CR182(수탁번호: KCCM11845P) 균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생장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6.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생장 억제용 사료 첨가제.
KR1020160176605A 2016-12-22 2016-12-22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 KR10184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05A KR101842803B1 (ko) 2016-12-22 2016-12-22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05A KR101842803B1 (ko) 2016-12-22 2016-12-22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803B1 true KR101842803B1 (ko) 2018-03-27

Family

ID=6187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605A KR101842803B1 (ko) 2016-12-22 2016-12-22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54A (ko) * 2018-12-13 2020-06-24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브레비바실러스 속 tgs2-1 균주 및 tgs2-1 균주에서 분리된 화합물
KR20230049286A (ko) 2021-10-06 2023-04-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파우시박터 아쿠아틸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7677A1 (en) 2007-09-11 2010-12-16 Hassel Bret A Methods of Treating a Microbial Infection by Modulating RNase-L Expression and/or Activity
WO2011006158A2 (en) 2009-07-10 2011-01-13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Targeting nad biosynthesis in bacterial pathoge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7677A1 (en) 2007-09-11 2010-12-16 Hassel Bret A Methods of Treating a Microbial Infection by Modulating RNase-L Expression and/or Activity
WO2011006158A2 (en) 2009-07-10 2011-01-13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Targeting nad biosynthesis in bacterial pathoge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O.CP0136921(2015.12.3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54A (ko) * 2018-12-13 2020-06-24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브레비바실러스 속 tgs2-1 균주 및 tgs2-1 균주에서 분리된 화합물
KR102129427B1 (ko) 2018-12-13 2020-07-09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브레비바실러스 속 tgs2-1 균주 및 tgs2-1 균주에서 분리된 화합물
KR20230049286A (ko) 2021-10-06 2023-04-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파우시박터 아쿠아틸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912B2 (en) Bacillus methylotrophicus strain DR-08 producing natural volatile compound and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nd use thereof
Sujada et al. Termite nests as an abundant source of cultivable actinobacteria for biotechnological purposes
Tan et al. The bioprospecting of anti-Vibrio Streptomyces species: Prevalence and applications
Tarhriz et al.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novel freshwater bacterium Tabrizicola aquatica as a prominent natural antibiotic available in Qurugol Lake
Nandhini et al. Bioactive compounds produced by Streptomyces strain
Valan et al. Characteriz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novel polyene type antimicrobial metabolite producing actinomycetes from marine sediments: Bay of Bengal India
WO2020262910A1 (ko) 브레비바실러스 브레비스 hk544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Maataoui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 Streptomyces strain isolated from deteriorated wood
Nas et al. A comparative GC–MS analysis of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halotolerant Bacillus spp. isolated from the Great Sebkha of Oran
KR101842803B1 (ko)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
Elyasifar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biotic-producing halophilic bacteria from Dagh Biarjmand and Haj Aligholi salt deserts, Iran
Onajobi et al.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farmlands against selected pathogens
Powthong et al. Antimicrobial and enzyme activity produced by Bacillus SPP. isolated from soil
Wahaab et al. Bioprospecting marine actinomycetes for multidrug-resistant pathogen control from Rameswaram coastal area, Tamil Nadu, India
Tavarideh et al.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ndophytic bacteria associated with medicinal plant, Scrophularia striata
Hathout et al. Novel Egyptian bacterial strains exhibiting antimicrobial and antiaflatoxigenic activity
Djebbah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Streptomyces strain from Algeria and its in-vitro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microbial pathogens
Afrin et al. Antagonistic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amyloliquefacien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Serratia rubidaea
Contreras-Castro et al. Marine Sediment Recovered sp. Inhibits the Growth of Emerging Bacterial Pathogens and other Multi-Drug-Resistant Bacteria
Anggelina et al. Presence of Biosynthetic Gene Clusters (NRPS/PKS) in Actinomycetes of Mangrove Sediment in Semarang and Karimunjawa, Indonesia.
KR101467990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3e-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WO2022005143A1 (ko) 페니바실러스 엘지아이 jck-5075 균주의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세균병 방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식물세균병 방제 방법
Roy et al. Broad spectrum antibacterial activity of granaticinic acid, isolated from Streptomyces thermoviolaceus NT1; an endophyte in Catharanthus roseus (L.) G. Don
Seratnahaei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secondary metabolite extracted from a Nocardia strain
KR101789877B1 (ko) 항생제 내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균속을 용균하는 박테리오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