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873B1 - Apparatus supplying cool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supplying cool 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1873B1 KR101841873B1 KR1020170021683A KR20170021683A KR101841873B1 KR 101841873 B1 KR101841873 B1 KR 101841873B1 KR 1020170021683 A KR1020170021683 A KR 1020170021683A KR 20170021683 A KR20170021683 A KR 20170021683A KR 101841873 B1 KR101841873 B1 KR 1018418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ir
- wind direction
- vertical
- blo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5/0021—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stor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 또는 냉동팩 등에 의해 실내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가정, 사무실 등의 실내 공기를 차갑게 해주는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that blows air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a room temperature by ice or a freezing pack or the like to cool indoor air in homes, office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냉풍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얼음팩이나 얼음 등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고, 송풍수단을 회전시켜 냉각된 공기를 냉풍으로 내보내는 것으로, 얼음팩이나 얼음 등을 보관하는 수납통과 냉각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 송풍수단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즉 냉풍기는 회전하는 프로펠러, 임펠러 등의 송풍수단에 의해 바람을 일으키는 개념은 선풍기와 유사하나, 송풍 수단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냉각 수단이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풍기는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전력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Generally, a refrigerator takes in air to cool the sucked air by using an ice pack or ice, and discharges the cooled air to cool air by rotating the blowing means. Blowing means for blowing air, and motor for rotating the blowing means. That is, the concept of generating wind by a blowing means such as a rotating propeller or an impeller is similar to that of a fan, but a cool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means. The above-described cooler has advantages in that it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and power consumption is low.
상기한 바와 같은 냉풍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875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As a technology relating to the above-described cooling fa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17875 and the like are disclosed.
종래의 냉풍기에 의하면, 냉풍기의 송풍구가 360도로 뚫려 있어 바람이 부는 각도가 항상 360도로 일정하다. 이러한 종래 냉풍기는 사용자가 닿지 않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외시키는 조절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공간까지도 냉풍을 공급하게 되어 전력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일일이 원하는 각도에서 냉풍기를 배치시키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냉풍기는 냉풍기의 송풍구 및 높이에 따라 냉풍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냉풍이 공급되는 높이가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he blowing port of the air conditioner is 360 degrees, and the angle of wind is constantly 360 degrees.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can not be adjusted to selectively exclude a direction that the user does not reach. Therefore, even the unnecessary space is supplied with the cold air,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large and the user has to install the air conditioner at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Als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supply of the cold air is limited because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old air according to the air outlet and height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바람의 방향 및 높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전력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냉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use of electric power 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and height do.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풍기는, 바닥 상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상에 설치되고 외주면의 하단에 사방으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하우징; 상기 공기흡입구의 내측상단에 배치되고, 얼음 또는 냉동팩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통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송풍프레임과,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수직팬과, 상기 수직팬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팬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수평팬과, 상기 수직팬과 수평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부; 상기 동력제공부가 내측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송풍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동하우징; 상기 이동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차단부; 및 상기 송풍프레임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뚜껑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floor disposed on a floor; A lower housing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n air inlet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four directions; A cooling unit dispos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air inlet for cooling the air sucked from the air inlet through a receiving cylinder in which an ice or a freezing pack can be stored; A vertical fan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inside of the air blowing frame and blowing air to the outside, a horizontal fan installed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an, A blowing unit including a horizontal fan for blowing air to the vertical fan and a power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vertical fan and the horizontal fan;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wind blowing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selectively adjust the wind direction; A movable housing fixedly coupled to an inner upper end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selectively adjust a height of the power supply unit; A blocking unit coupled to the moving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selectively block the air outlet so as to adjust a blowing direction; And a lid for sealing the upper end of the air blowing frame.
여기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의 일측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과, 상기 레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housing includes a rail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at one side of the rail groov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piec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
또한 상기 이동하우징은, 상기 동력제공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측프레임과, 하단이 상기 내측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하우징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외측프레임을 포함 할 수 있다. The movable housing includes a plate to which the power providing unit is coupled, an inner fram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ate and slidable inside the lower hous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which is spaced outwardly from the lower housing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hous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housing and includes protruding piece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have.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송풍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볼을 포함하는 송풍부 하부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에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하단에 상기 고정볼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blow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ow-down lower frame including a cylindrical fix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ir blowing frame, and a fixing ball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truding outwardly,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disposed to be slidabl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and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and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hielding plate to correspond to the fixed balls, And a coupling hole which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수납통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프레임과 상기 구획판은 메시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box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fram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 partition plat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frame to partition the space, The partition plate is preferably formed in a mesh structure.
또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직팬의 상단을 베어링 지지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를 밀폐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기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d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plate that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an, a lid that hermetically seal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has a space therein, And a gear plate.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은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having a charging port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slidably provided on the charging port to selectively open / close the charging port.
한편 본 발명의 냉풍기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단의 후측 중심 형성되고, 상기 얼음 또는 냉동팩에서 녹아 낙하하는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수납하는 물수납통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using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ide of the lower housing to discharge water that melts and falls in the ice or the freezing pack, And a discharge unit disposed in the bottom portion and including a water receiving cylinder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from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과,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복수개의 풍향조절판과, 상기 풍향조절판과 결합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풍향조절판을 회동시키는 풍향조절바와, 상기 뚜껑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향조절바와 연결되어 상기 풍향조절바의 상하이동을 조정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vertical fixed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ir blowing frame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vertical fixed frames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blowing frame, A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that is coupled to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and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vertically movable so as to vertically mov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to rotat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And a gear part connected to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to adjust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여기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판은, 상기 연결프레임이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nd direction adjust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fixed frames and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ixed frames to each other. The wind direction adjustment plate includes a through hole And is coupled with the connection frame to pivot about the connection frame.
또한 상기 풍향조절판은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풍향조절바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풍향조절판과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판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wind blowing fram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pivot.
또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ortions ar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blowing frame.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뚜껑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절휠과, 상기 뚜껑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휠과 연결되어 상기 조절휠의 회동에 대응하여 회동하는 원통기어와, 상기 원통기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통기어의 회동운동에 대응하여 상하이동하는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풍향조절바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래크기어의 상하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풍향조절바를 상하이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ear portion includes a control wheel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id portion so as to be selectively rotatable, a cylindrical gea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wheel to rotate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A vertical gear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gear and vertically movable in accordance with a pivotal movement of the cylindrical gear, a vertical ge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gear, horizont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airflow control bar, And a connecting bar for vertically mov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ind speed sca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풍기에 의하면, 이동하우징을 이용하여 바람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송풍 가능한 높이가 넓어 효율적이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wind can be selectively adjusted by using the moving housing, and the blowing height is widened to be efficient.
또한 차단판이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공기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차단판을 통해 냉풍의 공급을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전력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are provid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the air outlet can be selectively blocked, and the supply of the cold air can be concentrated in a desired direction through the blocking plate.
또한 풍향조절부를 이용하여 바람의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Further,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can be selectively adjusted by using the wind direction adjuster,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풍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냉풍기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수직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냉풍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냉풍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냉풍기의 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냉풍기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수평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냉풍기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수평단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냉풍기의 풍향조절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ing portion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FIG. 6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FIG. 7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ind direction adjuster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풍기(10)는, 얼음 또는 냉매팩과 같은 냉동부재를 넣어 냉풍을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차갑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부(100), 하부하우징(200), 냉각부(300), 송풍부(400), 풍향조절부(500), 이동하우징(600), 차단부(700), 뚜껑부(800)를 포함한다.1 to 8, a
상기 바닥부(100)는 바닥 상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바닥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냉풍기(10)의 동작을 가동시키기 위한 전자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풍기(10)의 작동 및 정지 등을 제어시키기 위한 전기 배선 및 스위치 등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바닥부(100)에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스위치가 설치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풍기(10)의 작동을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는 작동스위치 및 상기 냉풍기(10)의 작동시간을 예약하는 시간조작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후술(後述)할 모터(441)와 연결된 전기적 배선은 전원공급부(미도시)와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한 단자결합을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상기 하부하우징(200)은 통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100) 상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00)은 외주면의 하단에 사방으로 공기흡입구(2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중심에는 원통형상의 하부하우징 중심프레임(20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10)은 후술(後述) 할 이동하우징(600)과의 결합을 위해 레일홈(210), 고정홈(220), 고정편(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하우징(200)은 전면에 얼음 또는 냉매팩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흡입구(201)는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외주면의 하단에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공기흡입구(201)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흡입구(201)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메시(Mesh)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흡입구(201)는 원활한 공기의 흡입을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외주둘레를 따라 사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공기흡입구(201)의 외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여과시키도록 공기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는 미세한 메시구조의 먼지거름망(204)인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의 여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먼지거름망(204)은 상기 공기흡입구(201)에 구비되는 공기흡입구틀(205)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먼지거름망(204)은 상기 공기흡입구틀(205)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거름망(204)이 오염 시, 상기 먼지거름망(204)을 상기 공기흡입구틀(205)로부터 꺼내어 청소 한 후 다시 공기흡입구틀(205)에 슬라이딩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레일홈(210)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후술(後述)할 이동하우징(60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홈(210)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사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고정홈(220)은 상기 이동하우징(600)을 적정한 높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일홈(210)의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20)은 상기 레일홈(2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홈(220)은 상기 레일홈(210)의 일부가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홈(21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20)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홈(220)에 상기 이동하우징(600)의 돌출편(631)을 삽입시켜, 상기 이동하우징(600)을 적절한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상기 고정편(230)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외측에서 상기 레일홈(210)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편(230)을 상기 레일홈(210)으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0)은 상기 레일홈(210)과 연통되는 홀(2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측프레임(630)을 상하 이동시켜 상기 고정홈(220)에 상기 돌출편(631)을 삽입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높이를 조정하고, 상기 고정편(230)을 상기 레일홈(210)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홈(220)으로부터 상기 돌출편(6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230)은 상기 고정홈(22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2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하우징(6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xing
상기 투입부(240)는 냉매 또는 얼음을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투입구(241)와 개폐수단(2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투입구(241)는 냉매 또는 얼음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투입구(241)를 통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으로 냉매 또는 얼음을 투입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투입구(241)는 상기 공기흡입구(211) 및 후술(後述) 할 수납통(3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입구(241)를 통해 투입되는 냉매 또는 얼음은 상기 수납통(31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230)는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투입구(230)의 위치, 크기, 형상은 상기 냉풍기(1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상기 개폐수단(232)은 상기 투입구(2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입구(24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232)은 상기 투입구(24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개폐수단(232)을 통하여 상기 투입구(241)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으로 냉매 및 얼음을 투입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232)은 상기 투입구(24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힌지를 통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The opening / closing means 232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상기 냉각부(300)는 상기 공기흡입구(201)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부(300)는 상기 공기흡입구(201)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300)는 수납통(310)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수납통(310)은 상기 공기흡입구(201)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얼음 또는 냉동팩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기흡입구(201)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며, 얼음 또는 냉동팩이 수납 될 수납공간(3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통(310)은 수납프레임(311)과 구획판(3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상기 수납프레임(311)의 수납공간(310a)에 얼음 또는 냉동팩을 수납하고, 상기 공기흡입구(20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얼음 또는 냉동팩의 냉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납프레임(311)의 외측면 및 바닥면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메시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프레임(311)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ice or the freezing pack is received in the
상기 구획판(312)은 상기 수납공간(310a)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납프레임(311)의 내측에 구비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획판(312)을 2개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310a)을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을 따라 2개로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구획판(312)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개, 4개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부연하면,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주면 및 상기 하부하우징 중심프레임(202)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203)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03)의 상측으로 상기 수납통(3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통(310)은 상기 하부하우징 중심프레임(20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통(310)은 상기 하부하우징 중심프레임(202)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납공간(310a)을 선택적으로 상기 투입구(241)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는 상기 투입구(241)를 통하여 얼음 또는 냉동팩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다.A locking
상기 송풍부(400)는 상기 냉각부(300)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기 위한 것으로, 송풍프레임(410), 수직팬(420), 수평팬(430), 동력제공부(44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송풍프레임(410)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상측에 설치되며, 통형상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프레임(410)은 후술(後述)할 이동하우징(600)의 내측프레임(6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프레임(410)은 외주면을 따라 공기배출구(411)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구(411)를 통해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프레임(410)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메시(Mesh)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리브(412)로 구성되는 메시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리브(412)들 사이로 공기배출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송풍프레임(410)은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하단에 송풍부 하부틀(41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상단에 송풍부 상부틀(4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송풍부 하부틀(413)은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송풍프레임(410)과 상기 내측프레임(620)을 결합시킬 수 있다.The air-blowing
상기 송풍부 하부틀(413)은 외주면에 외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볼(4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상기 고정볼(414)은 상기 송풍부 하부틀(413)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볼(414)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 하부틀(413)의 외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고정볼(414)은 후술(後述) 할 차단부(700)의 결합홀(72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414)은 상기 송풍부 하부틀(413)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볼(414)은 상기 차단부(700)의 개수, 상기 결합홀(720)의 위치 및 크기 등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상기 수직팬(420)은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The
상기 수직팬(420)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킨다. 즉 상기 수직팬(420)은 회전함으로써,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냉풍을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상기 수평팬(430)은 상기 수직팬(420)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팬(430)은 상기 냉각부(300)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상측으로 송풍시켜 상기 수직팬(410)에 전달한다. 부연하면 상기 수평팬(430)은 상기 송풍부 하부틀(413)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동력제공부(440)는 후술(後述) 할 이동하우징(600)의 내측 중심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제공부(440)는 상기 수평팬(430)과 상기 수직팬(420)에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제공부(440)는 모터(441)와 회전축(4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441)는 모터축(441a)이 상기 수평팬(430)과 결합되어, 모터(441)의 회전동력을 상기 수평팬(4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441)는 모터플레이트(441b)에 고정되어지며, 후술(後述) 할 중심프레임(611)의 내측에 상기 모터(441)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플레이트(441b)와 후술(後述) 할 플레이트(61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441)는 상기 중심프레임(611)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팬(420)은 상기 회전축(442)의 상단 베어링(442a)과 결합하고, 그 하단이 상기 모터축(441a)과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441)를 통하여 상기 모터축(441a) 및 상기 회전축(442)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평팬(430)과 상기 수직팬(420)이 회전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회전축(442)의 상단은 베어링(442a)이 결합되어, 후술(後述) 할 상부플레이트(810)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42a)은 레이디얼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442a)은 상기 회전축(442)이 고정될 때 기능성과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풍향조절부(500)는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냉풍의 상하방향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고정프레임(510), 풍향조절판(520), 풍향조절바(530), 기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부(500)는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은 후술(後述) 할 풍향조절판(52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은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51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단이 상기 송풍부 하부틀(413)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송풍부 상부틀(415)에 결합되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은 상기 풍향조절부(500)가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510)이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은 연결프레임(5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연결프레임(511)은 한 쌍의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510)을 서로 연결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프레임(511)은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510)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연결프레임(511)의 양단이 한 쌍의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풍향조절판(520)은 냉풍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풍향조절판(520)은 상기 송풍프레임(410) 내주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풍향조절판(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풍향조절판(520)이 한 쌍의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풍향조절판(520)과 한 쌍의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이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둘레를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판(520)은 상기 연결프레임(511)이 관통되도록 관통홀(5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풍향조절판(520)은 상기 관통홀(521)에 상기 연결프레임(511)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풍향조절판(520)과 상기 수직고정프레임(510)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풍향조절판(520)은 상기 연결프레임(511)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511)과 상기 풍향조절판(520)이 함께 회동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풍향조절판(520)은,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양측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향조절판(520)이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외측으로 갈수록 양측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상기 풍향조절판(520)이 회동 시,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상기 풍향조절판(520)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풍향조절판(52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직팬(420)으로부터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냉풍의 송풍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조절판(520)은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둘레를 따라 4열로 구비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풍향조절판(520)을 1열 및 2열 등으로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둘레를 따라 일부에만 구비하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e wind
상기 풍향조절바(530)는 상기 풍향조절판(520)을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풍향조절판(520)과 결합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바(530)는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풍향조절판(5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바(92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판(520)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풍향조절바(530)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판(520)과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판(520)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바(530)는 상기 풍향조절판(520)이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바(530)는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내주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풍향조절판(520)의 각 열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The wind
상기 기어부(540)는 상기 풍향조절판(520)을 선택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부(800)의 내측의 기어플레이트(83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부(540)는 상기 풍향조절바(530)와 연결되어 상기 풍향조절바(530)의 상하이동을 조정한다. 상기 기어부(540)는 조절휠(541), 원통기어(542), 원통기어베어링(542a), 원통기어축틀(542b), 래크기어(543), 래크기어틀(543a), 연결바(5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조절휠(541)은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풍향조절바(530)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부(800)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조절휠(541)은 상기 조절휠(541)을 파지하여 상기 뚜껑부(800)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후,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휠(541)을 회동시켜 상기 풍향조절바(530)의 상하이동을 조절한 후, 상기 조절휠(541)을 놓으면, 후술(後述) 할 원통기어(542)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체(541a)에 의하여 돌출시키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어, 회동시킨 상태로 상기 조절휠(541)이 고정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원통기어(542)는 양단이 상기 뚜껑부(800)의 내측의 기어플레이트(830)에 설치된 한 쌍의 원통기어축틀(542b)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조절휠(541)과 연결되어 상기 조절휠(541)의 회동에 대응하여 회동한다. 또한 상기 원통기어(542)는 상기 원통기어축틀(542b)에 구비되는 원통기어베어링(542a)에 결합지지된다.The
상기 래크기어(543)는 상기 래크기어틀(543a)에 결합되고, 상기 원통기어(542)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래크기어(543)와 상기 원통기어(542)의 기어가 서로 맞춤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래크기어(543)는 상기 원통기어(542)의 회동운동에 대응하여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래크기어(543)에 의하여 상기 조절휠(541)의 회동이 상하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풍향조절바(53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The
상기 연결바(544)는 상기 래크기어(543)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풍향조절바(53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래크기어(543)의 상하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풍향조절바(530)를 상하이동시킨다. 즉 상기 연결바(544)는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바(530)의 상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바(53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부연하면 사용자는 상기 뚜껑(820) 외측에 형성된 조절휠(541)을 회동시켜 상기 원통기어(542) 및 상기 래크기어(543)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풍향조절바(530)를 선택적으로 상하이동 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풍향조절판(520)을 회동시켜 바람의 풍향을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바(530)는 하나의 상기 연결바(544)에 결합되어 동시에 상하이동의 제어가 가능하다. The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조절부(500)는 단계조절수단(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조절수단(550)은 상기 풍향조절판(520)의 상하 방향의 회동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풍향조절판(520)과 상기 풍향조절바(53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풍향조절바(530)는 상기 단계조절수단(550)을 통하여 상기 풍향조절판(520)과 결합되며, 상기 단계조절수단(550)의 단계에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조절수단(550)은 단계연결바(551), 단계볼(552), 단계홀(553)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wind
상기 단계연결바(551)는 상기 풍향조절바(530)와 상기 풍향조절판(520)을 연결시킨다. 즉 상기 단계연결바(551)의 일단은 상기 풍향조절판(520)과 결합되고, 상기 단계연결바(551)의 타단은 상기 풍향조절바(53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계연결바(551)와 상기 풍향조절바(530)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단계볼(552)은 상기 단계연결바(55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풍향조절판(520)에 배치된다. The
상기 단계홀(553)은 상기 단계볼(552)이 선택적으로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풍향조절판(52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볼(552)이 복수개의 상기 단계홀(553)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풍향조절판(520)의 회동단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풍향조절바(530)가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단계볼(552)이 복수개의 상기 단계홀(553)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단계홀(553)에 단계에 대응하여 상기 풍향조절판(520)의 회동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조절수단(550)을 통하여 상기 송풍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풍향조절판(520)의 회동단계를 3단계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4단계, 5단계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계홀(553)과 상기 단계볼(55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풍향조절판(520)의 회동단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stepped
상기 이동하우징(600)은 상기 송풍부(40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상기 이동하우징(600)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에 송풍부(400)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송풍부The
(400)를 함께 상하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하우징(600)은, 플레이트(610), 외측프레임(630), 내측프레임(620)을 포함할 수 있다. (400) together. The moving
상기 플레이트(610)는 중심프레임(611)과 결합고정되고, 후술(後述) 할 내측프레임(620)의 내측 상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출턱(621)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심프레임(611)의 내측으로는 상기 모터(441)가 수용 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플레이트(610)는 상기 중심프레임(61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분할리브(512)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분할리브(512) 사이로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하부에서 냉각된 공기가 원활하게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내측프레임(620)은 상기 플레이트(610)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측프레임(620)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측프레임(620)은 상기 돌출턱(6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턱(621)은 상기 내측프레임(620)의 내측 상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610)와 상기 중심프레임(611)이 상기 돌출턱(621)에 고정결합된다. The
상기 외측프레임(630)은 하단이 상기 내측프레임(620)과 연결되고, 상기 내측프레임(62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외측프레임(630)과 상기 내측프레임(62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후술(後述) 할 차단부(700)가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프레임(630)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프레임(630)은 복수개의 돌출편(631)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출편(631)이 상기 레일홈(210)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편(631)은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돌출편(631)은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상기 고정홈(2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측프레임(630)의 외주면을 따라 사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출편(631)이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한 후, 상기 복수개의 고정홈(220)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동하우징(600)을 적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홈(220)과 상기 돌출편(631)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송풍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돌출편(631)은,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상기 송풍부(400)를 고정시킬 위치의 높이에서 상기 고정홈(220) 측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홈(220)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편(631)을 상기 고정홈(220)에 삽입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편(230)을 홀(231)에 삽입시켜, 상기 레일홈(210)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홈(220)으로부터 상기 돌출편(6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631), 상기 고정홈(220) 및 상기 고정편(230)의 결합구조를 통하여 상기 이동하우징(6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고정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며, 송풍되는 바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차단부(700)는 상기 공기배출구(411)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송풍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하우징(6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차단부(700)는, 복수개의 차단판(710)과, 결합홀(720)을 포함한다.The blocking
상기 복수개의 차단판(710)은 상기 내측프레임(620)과 상기 외측프레임(630)에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차단판(710)은 상기 이동하우징(600)의 상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함으로서 상기 공기배출구(411)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710)이 상기 공기배출구(411)를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판(710)은 상기 내측프레임(62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차단판(710)은 5개로 구성되고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차단판(710)의 개수는 5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단판(71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냉풍이 공급되는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복수개의 차단판(710)의 상측에 파지 가능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판손잡이(7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차단판손잡이(711)를 파지하여 상기 차단판(710)을 상기 차단판(710)을 상하방향 이동시켜 상기 공기배출구(411)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ocking
상기 결합홀(720)은 상기 차단판(7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판(71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홀(720)은 상기 고정볼(414)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414)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차단판(710)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볼(414)이 상기 결합홀(72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414)과 상기 결합홀(72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710)이 상기 공기배출구(411)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배출구(411)를 차단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뚜껑부(800)는,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상단을 밀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뚜껑부(800)는, 상부플레이트(810), 뚜껑(820), 기어플레이트(8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d part (800) closes the upper end of the air blowing frame (410). To this end, the
상기 상부플레이트(810)는 상기 송풍프레임(4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442)의 상단과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810)는 상기 회전축(442)의 상단을 베어링(442a)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뚜껑(82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81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820)의 공간으로 상기 기어부(5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820)을 개폐하여 상기 베어링(442a), 기어부(540), 원통기어베어링(542a) 등 내부부품의 장착 및 교체를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다. The
상기 기어플레이트(8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81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공간을 구획한다. 즉, 상기 기어플레이트(830)의 상측으로 상기 원통기어축틀(542b), 래크기어틀(543a) 및 상기 기어부(5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플레이트(83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810)의 사이 공간에서는 상기 연결바(544)가 상하이동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냉풍기(10)는 배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900)는 냉매 또는 얼음으로부터 적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구(901), 개폐밸브(910), 물수납통(92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배출구(901)는,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배출구(901)는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하단의 후측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901)를 통하여 상기 얼음 또는 냉동팩에서 녹아 낙하하는 물이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901)는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상기 개폐밸브(910)는 상기 배출구(901)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9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즉 상기 개폐밸브(910)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901)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배출구(901)로 배출되는 물을 후술(後述) 할 물수납통(920)에 이동시킬 수 있다. The opening /
상기 물수납통(920)은 상기 바닥부(100)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901)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수납한다. 즉 상기 물수납통(920)은 상기 수납통(310)에 수납된 얼음 또는 냉동팩에서 녹아 낙하하는 물이 상기 배출구(901)를 통하여 이동하면, 상기 배출구(901)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수용한다. 부연하면 상기 개폐밸브(910)가 상기 배출구(901)를 개방하면 상기 배출구(901)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물수납통(920)은 상기 바닥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입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물수납통(920)내에 수납된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물수납통(920)을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분리 할 시, 상기 개폐밸브(910)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901)를 폐쇄시킨 후, 상기 물수납통(920)을 꺼내어 수납되는 물을 제거시킬 수 있다.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풍기(10)에 의하면, 이동하우징(200)을 이용하여 바람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송풍 가능한 높이가 넓어 효율적이다. According to the
또한 차단판(710)이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 상하이동 가능하도로 구비됨으로써 공기배출구(411)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차단판(710)을 통해 냉풍의 공급을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전력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the blocking
또한 풍향조절부(500)를 이용하여 바람의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Further,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can be selectively adjusted by usi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냉풍기 100 : 바닥부
200 : 하부하우징 201 : 공기흡입구
202 : 하부하우징 중심프레임 203 : 걸림턱
204 : 먼지거름망 205 : 공기흡입구틀
210 : 레일홈 220 : 고정홈
230 : 고정편 231 : 홀
240 : 투입부 241 : 투입구
242 : 개폐수단 300 : 냉각부
310 : 수납통 310a : 수납공간
311 : 수납프레임 312 : 구획판
400 : 송풍부 410 : 송풍프레임
411 : 공기배출구 412 : 리브
413 : 송풍부 하부틀 414 : 고정볼
415 : 송풍부 상부틀 420 : 수직팬
430 : 수평팬 440 : 동력제공부
441 : 모터 441a : 모터축
441b : 모터 플레이트 442 : 회전축
442a : 베어링 500 : 풍향조절부
510 : 수직고정프레임 511 : 연결프레임
520 : 풍향조절판 521 : 관통홀
530 : 풍향조절바 540 : 기어부
541 : 조절휠 541a : 탄성체
542 : 원통기어 542a : 원통기어베어링
542b : 원통기어축틀 543 : 래크기어
543a : 래크기어틀 544 : 연결바
550 : 단계조절수단 551 : 단계연결바
552 : 단계볼 553 : 단계홀
600 : 이동하우징 610 : 플레이트
611 : 내측중심프레임 620 : 내측프레임
621 : 돌출턱 630 : 외측프레임
631 : 돌출편 700 : 차단부
710 : 차단판 711 : 차단판 손잡이
720 : 결합홀 800 : 뚜껑부
810 : 상부플레이트 820 : 뚜껑
830 : 기어플레이트 900 : 배출부
901 : 배출구 910 : 개폐밸브
920 : 물수납통 10: Cooling fan 100:
200: lower housing 201: air inlet
202: lower housing center frame 203:
204: Dust screen 205: Air inlet frame
210: rail groove 220: fixing groove
230: Fixing piece 231: Hole
240: input portion 241: input port
242: opening / closing means 300: cooling section
310:
311: storage frame 312: partition plate
400: blowing part 410: blowing frame
411: Air outlet 412: Rib
413: Pull-down lower frame 414: Fixed ball
415: a feeder upper frame 420: a vertical fan
430: horizontal fan 440: power supply
441:
441b: motor plate 442:
442a: Bearing 500: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10: vertical fixed frame 511: connection frame
520: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521: Through hole
530: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540:
541: Adjusting
542:
542b: Cylindrical gear shaft frame 543:
543a: Rae size uttle 544: connection bar
550: step adjusting means 551: step connecting bar
552: step ball 553: step hole
600: moving housing 610: plate
611: inner center frame 620: inner frame
621: protruding jaw 630: outer frame
631: protruding part 700: blocking part
710: blocking plate 711: blocking plate handle
720: coupling hole 800: lid portion
810: upper plate 820: lid
830: gear plate 900:
901: Outlet 910: Opening / closing valve
920: Water receiving container
Claims (13)
상기 바닥부 상에 설치되고 외주면의 하단에 사방으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하우징;
상기 공기흡입구의 내측상단에 배치되고, 얼음 또는 냉동팩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통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송풍프레임과,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수직팬과, 상기 수직팬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팬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수평팬과, 상기 수직팬과 수평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부;
상기 동력제공부가 내측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송풍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동하우징;
상기 이동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차단부; 및
상기 송풍프레임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하우징은,
상기 동력제공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측프레임과, 하단이 상기 내측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하우징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측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는,
상기 송풍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볼을 포함하는 송풍부 하부틀이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에 사이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공기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내측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하단에 상기 고정볼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냉풍기.A bottom disposed on the floor;
A lower housing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n air inlet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four directions;
A cooling unit dispos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air inlet for cooling the air sucked from the air inlet through a receiving cylinder in which an ice or a freezing pack can be stored;
A vertical fan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inside of the air blowing frame and blowing air to the outside, a horizontal fan installed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an, A blowing unit including a horizontal fan for blowing air to the vertical fan and a power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vertical fan and the horizontal fan;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wind blowing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selectively adjust the wind direction;
A movable housing fixedly coupled to an inner upper end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selectively adjust a height of the power supply unit;
A blocking unit coupled to the moving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selectively block the air outlet so as to adjust a blowing direction; And
And a lid part for sealing the upper end of the air blowing frame,
The moving housing includes:
An inner fram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ate and sliding inside the lower hous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housing,
The blower
A blowing unit lower frame having a cylindrical shap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ir blowing frame and including a fixing ball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truding outwardly,
The cut-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arrange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respectively, to selectively block the air outlet and to b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And a coupling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all and to which the fixing ball is selectively coupled.
상기 하부하우징은,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의 일측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과,
상기 레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냉풍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housing comprises:
A rail groove formed in the inn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at one side of the rail groov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member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상기 외측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냉풍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frame comprises:
And protruding piec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ded from the protruding pieces and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selectively.
상기 수납통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수납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프레임과 상기 구획판은 메시구조로 형성되는 냉풍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cylinder may include:
A housing frame provid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partition plat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torage frame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storage frame and the partition plate are formed in a mesh structure.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직팬의 상단을 베어링 지지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를 밀폐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기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냉풍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part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an,
A lid which hermetically seal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has a space therein,
And a gear plate disposed above the upper plate and partitioning the space.
상기 하부하우징은,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냉풍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housing comprises:
A charging por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loading unit slidably mounted on the loading port, the loading unit including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loading port.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단의 후측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얼음 또는 냉동팩에서 녹아 낙하하는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수납하는 물수납통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냉풍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utlet formed at the rear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ide of the lower housing so as to discharge water dissolved and melted in the ice or freezing pack,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outlet,
And a discharge portion disposed in the bottom portion, the discharge portion including a water storage tube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from the discharge port.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과,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송풍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복수개의 풍향조절판과,
상기 풍향조절판과 결합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풍향조절판을 회동시키는 풍향조절바와,
상기 뚜껑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향조절바와 연결되어 상기 풍향조절바의 상하이동을 조정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냉풍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eferably,
A pair of vertical fixed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air blowing frame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wind direction control plate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blowing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ixing frame to selectively control the wind direction,
A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which is coupled to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and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movable up and down so as to vertically mov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And a gear portion provided on the li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to adjust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고정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판은,
상기 연결프레임이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냉풍기.The method of claim 9,
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fram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fixed frames and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ixed frames to each other,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plate includes: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is coupled with the connection frame and is rotat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상기 풍향조절판은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측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풍향조절바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풍향조절판과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판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냉풍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ind direction adjustme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wind blowing fram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bar
Wherein the plurality of wind direction adjustment plates ar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wind direction adjustment plat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plurality of wind direction adjustment plates.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송풍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냉풍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Preferably,
Wherein a plurality of air blowing frames are provid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blowing frame.
상기 기어부는,
상기 뚜껑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절휠과,
상기 뚜껑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휠과 연결되어 상기 조절휠의 회동에 대응하여 회동하는 원통기어와,
상기 원통기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통기어의 회동운동에 대응하여 상하이동하는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풍향조절바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래크기어의 상하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풍향조절바를 상하이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냉풍기.The method of claim 9,
The gear portion
An adjusting wheel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id part so as to be selectively rotatable,
A cylindrical gea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adjustment wheel to rotate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adjustment wheel,
A cylindrical gear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ylindrical gear and which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a pivotal movement of the cylindrical gear,
And a connection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shield and horizont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windshield control bar to vertically move the windshield control bar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indshiel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1683A KR101841873B1 (en) | 2017-02-17 | 2017-02-17 | Apparatus supplying cool 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1683A KR101841873B1 (en) | 2017-02-17 | 2017-02-17 | Apparatus supplying cool 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1873B1 true KR101841873B1 (en) | 2018-05-04 |
Family
ID=6219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1683A KR101841873B1 (en) | 2017-02-17 | 2017-02-17 | Apparatus supplying cool 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1873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5443B1 (en) * | 2018-06-15 | 2018-10-08 | 주식회사 파미르 | The thrust generator apparatus having a heterogeneous propeller at a central axis |
CN108662711A (en) * | 2018-06-12 | 2018-10-16 | 广东伊斐净化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fresh air all-in-one machine |
CN110887182A (en) * | 2019-11-08 | 2020-03-1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opening assembly,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KR20200068852A (en) | 2018-12-06 | 2020-06-16 | 이제관 | Cooling Fan Apparatus |
CN117663317A (en) * | 2024-01-31 | 2024-03-08 | 陕西中博工业制冷设备有限公司 | Industrial air cooler |
KR102662507B1 (en) * | 2023-03-22 | 2024-05-02 | 김동엽 | Cold and hot air blow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807B1 (en) * | 2007-07-25 | 2008-03-03 | (주)서용 엔지니어링 | Air circulation device |
KR200451919Y1 (en) | 2010-08-20 | 2011-01-19 | 김유목 | Cold air blower |
JP2015021701A (en) | 2013-07-23 | 2015-02-0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leaner |
-
2017
- 2017-02-17 KR KR1020170021683A patent/KR10184187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807B1 (en) * | 2007-07-25 | 2008-03-03 | (주)서용 엔지니어링 | Air circulation device |
KR200451919Y1 (en) | 2010-08-20 | 2011-01-19 | 김유목 | Cold air blower |
JP2015021701A (en) | 2013-07-23 | 2015-02-0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Air cleane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62711A (en) * | 2018-06-12 | 2018-10-16 | 广东伊斐净化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fresh air all-in-one machine |
KR101905443B1 (en) * | 2018-06-15 | 2018-10-08 | 주식회사 파미르 | The thrust generator apparatus having a heterogeneous propeller at a central axis |
KR20200068852A (en) | 2018-12-06 | 2020-06-16 | 이제관 | Cooling Fan Apparatus |
CN110887182A (en) * | 2019-11-08 | 2020-03-1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opening assembly,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CN110887182B (en) * | 2019-11-08 | 2023-10-2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Tuyere assembly,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KR102662507B1 (en) * | 2023-03-22 | 2024-05-02 | 김동엽 | Cold and hot air blow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
CN117663317A (en) * | 2024-01-31 | 2024-03-08 | 陕西中博工业制冷设备有限公司 | Industrial air cooler |
CN117663317B (en) * | 2024-01-31 | 2024-05-03 | 陕西中博工业制冷设备有限公司 | Industrial air cool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1873B1 (en) | Apparatus supplying cool air | |
JP4694852B2 (en) | Cold air discharge channel for ice making in refrigerators | |
EP1394485A2 (en) | Refrigerator | |
CN105180581B (en) | Article-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the article-storage device | |
CN110319569A (en) | Air conditioner | |
KR101811206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487212B1 (en) | Refrigerator having Air Processing Apparatus | |
KR20040036155A (en) | Vegetable room optimum preserv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 |
CN105546915B (en) | A kind of cold storage plant | |
CN107192198A (en) | Refrigerator | |
US11624545B2 (en) | Refrigerator having removable cooling module | |
KR20040036154A (en) | Vegetable room optimum preserv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 |
KR950033365A (en) | Refrigerator | |
US5826441A (en) |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generating air curtains | |
KR101743345B1 (en) | Apparatus supplying cool air | |
CN208817809U (en) | Refrigerator | |
KR100828046B1 (en) | Refrigerator | |
US5950449A (en) | Refrigerator having cool air dispersing blades of which angular position is changed successively | |
JP2006275297A (en) | Refrigerator | |
CN114183977A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CN210861383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KR20140095166A (en) | Air cooling dehumidifier | |
WO2008120907A2 (en) | A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200345579Y1 (en) | A device to control cool air quantity for refrigerator | |
JP2021124208A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