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633B1 -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 Google Patents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633B1
KR101841633B1 KR1020170078106A KR20170078106A KR101841633B1 KR 101841633 B1 KR101841633 B1 KR 101841633B1 KR 1020170078106 A KR1020170078106 A KR 1020170078106A KR 20170078106 A KR20170078106 A KR 20170078106A KR 101841633 B1 KR101841633 B1 KR 10184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bridge
longitudinal direction
bar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호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7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6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 bridge upper structure gap measuring device for a safety diagnosis is disclosed. The bridge upper structure gap measuring device comprises: a bar member; a seat member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bar member is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a housing movably guiding the bar member, which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a member guide portion movably guiding the seat member, which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bent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among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perpendicul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and a drive forc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drive force which moves the bar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tructure for a bridge structure,

본원은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 구조는 슬래브(slab)와 거더(girder)를 포함하고, 교량의 하부 구조는 거더를 지지하는 교대 및 교각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교량의 상부 구조는 계절별 온도변화에 따라 종 방향 길이가 변동하는 점을 고려하여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구조물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교량의 하부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교량의 상부 구조와 교대 사이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이 형성되도록 시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다경간 교량의 경우, 교량 상부 구조끼리 종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량의 상부 구조들의 사이나 교대와 교량의 상부 구조 사이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면 교량 상을 주행하는 차량들의 주행감이 떨어지고, 불측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Generally,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includes a slab and a girder, and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includes an alternation and a bridge supporting the girder. Of these,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arranged on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neighboring 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ongitudinal length varies with the seasonal temperature change. For example, construction is per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alternation. Also, in the case of a multi-span bridge,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so that the bridge superstructur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tructures of the upper structures of the bridge and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unning feeling of the vehicles traveling on the bridge is lowered and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occurrence of the accident is not excluded. An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between the slabs.

이와 관련하여, 최근 들어 교량의 상부 구조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하부 구조의 교량 받침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와 거더 사이의 간격이나 거더와 교대 사이의 간격이 예상 범위 내에서 변동되고 있는지, 아니면 예상 외의 변동이 발생하여 유지보수/관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러한 안전진단 차원에서 거더와 거더 사이의 간격이나 거더와 교대 사이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전망이다.In this regard, attention has recently been paid to the technique for measuring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structures of bridges, and in particular, the spacing between the girders and the girders supported by the bridge supports of the lower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or the distan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turn can be more easily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maintenance is necessary or not, Demand for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s expected to increas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6897에 교량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종래기술로서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기술로서, 실제로 교량 받침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를 기준으로 한 간격 측정 기술이 아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감지센서 및 감지바 각각을 신축이음장치로 가려져 있는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고, 감지센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점검신호등을 교량 슬래브(상판) 상에 배치하여야 한다. 이처럼 상기 종래기술은 전기신호를 발생 및 감지하는 구성들을 다수 필요로 하고 그 배치 위치 및 상호 연결에 있어서도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우며 측정(계측)에 있어서의 간편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36897 discloses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afety of bridge extension and contraction.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ique is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lab and the slab, and is not an interval measurement technique based on a girder actually supported by a bridge support. 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each of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detection bar must be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slab and the slab, which is covered with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a check signal lamp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wired line should be disposed on the bridge slab . As described above, the prior art requires a large number of configurations for generating and sensing electric signals, and there are many matters to be considered in its arrangement position and interconnection, so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installation is difficult, and simplicity in measurement .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명한 구조를 가지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지 않더라도 기계적인 조작만을 통해서도 교량상부구조의 간격(교량상부구조들의 사이 간격 또는 교량상부구조와 교대의 사이 간격) 측정이 용이한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structur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an interval between the alternations) of the bridge structur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는, 바 부재; 타단이 상기 바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는 시트 부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기 바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직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부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바 부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바 부재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1 휨 방향에 대하여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 작용시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휨 방향으로 휨 가능하고, 상기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 작용 해제시 탄성 회복되는 휨 탄성을 가지며, 상기 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시트 부재에 상기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를 가하여 상기 시트 부재의 일부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만곡되며 구부러지도록 가이드하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a bridge for a safety diagnosis, comprising: a bar member; A sheet member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r member; Wherein the bar member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be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out of a first right angl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using including a member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heet member movab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And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bar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r member, wherein the sheet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which is bent in one direction among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member guide portion has a bending elasticity that is selectively bendable in the first bending direction only when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bending dir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bending moment and is resiliently restored when the bending moment action exceeding the reference bending moment is released, And a bending portion that applies a bending moment not less than the reference bending moment to the sheet member and guides a part of the sheet member to bend and bend in one direction among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바 부재가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시트 부재의 일단이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이동되므로, 하우징을 교량상부구조 사이의 횡 방향 또는 사각 방향으로 인입시켜, 시트 부재의 일단이 이동하는 제1 직각 방향이 교량상부구조의 종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이 되도록 교량상부구조 사이(또는 교량상부구조와 교대 사이)에 배치하여, 바 부재를 길이 방향 중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부재의 일단의 이동량을 통해 교량상부구조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깊숙이 위치한 거더와 거더 사이의 공간 등과 같이 접근이 어려운 곳에 대한 간격 측정 또한 용이하고 안전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적인 신호나 조작을 활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측정이 가능하므로 소지, 제작 및 수리가 용이한 간격 측정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ne end of the sheet member is moved toward one of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s as the bar member moves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using can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upper structure) so that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sheet member moves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superstructures can be easily measured through the amount of movement of one end of the sheet member.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safely and precisely measure the gap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which is difficult to access, such as the spa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In addition, since th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by only a simple mechanical operation without using an electrical signal or an operation, an interval measuring apparatus can be realized which is easy to carry, manufacture and repair.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제 측정하고자 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주 방향으로 하는 장치를 활용하고,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을 위한 시트 부재의 캔틸레버 형태의 돌출량 범위 이내에서는 시트 부재가 구부러지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간명한 구조를 통해서도 정확한 간격 측정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a device in which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to be actually measured is used as a main direction, and when the cantilever- Since the member is provided so as not to bend or twist, precise gap measurement is possible even through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들이 투영되게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들이 투영되게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에 있어서, 바 부재와 시트 부재의 이동을 통해 교량상부구조에 대한 간격을 측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시트 부재의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 부분의 시트 부재를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삽입길이 표시부 및 간격 표시부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삽입길이 표시부 및 간격 표시부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길이 방향 수평계 및 제1 직각 방향 수평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절곡부가 선형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길이 확장형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길이 확장형 구조에 있어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바 부재들 사이(베이스 바 부재와 확장 바 부재 사이, 2개의 확장 바 부재 사이, 확장 바 부재와 연결 바 부재 사이, 베이스 바 부재와 연결 바 부재 사이 등)의 쐐기 결합에 의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9의 길이 확장형 구조에 있어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하우징(선형부)의 단면이 원형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upper and lower parts of a bridg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jected in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are projected. FIG.
FIG. 2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bridge superstructure gap measuring apparatus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above, in which some construction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are projected.
3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an interval with respect to a bridge superstructure through movement of a bar member and a sheet member in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bridge superstructure spac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sheet member in a portion A of FIG. 2 in a three-dimensional view to illustrate a convex curved sheet shape of a sheet member of the apparatus for detecting gap upper structur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insertion length display unit and an interval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bridges for safety diagnosis for a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ertion length display unit and the interval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bridges for safety diagnosis for a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longitudinal directional leveling system and a first rectangular-directional leveling system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bridges for safety diagnosis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bending portion of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 bridge superstructure spac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FIG. 9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length-expanding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upper and lower parts of a bridg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r members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base bar member and the extension bar member, between the two extension bar members , Between the extension bar member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between the base bar member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and the like).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linear part)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ircular in the extended structure of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은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이하 '본 간격 측정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dge top structure gap measuring apparatus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간격 측정장치는 안전진단을 위해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본 간격 측정장치는 교량 거더 사이의 간격 또는 교량 거더와 교대(교대 벽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간격 측정장치는 필요에 따라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간격 또는 슬래브와 교대(교대 벽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간격 측정장치는 교량상부구조(500)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량 거더는 빔 거더, 박스 거더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량 거더는 재질 측면에서 보았을 때 콘크리트 거더, 강 거더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gap measuring device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alternating with bridge superstructure (500) for safety diagnosis. For example, the gap measuring device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bridge girders or the gap between bridge girders and alternating walls (alternating walls). As another example, the gap measuring device can be utilized to measure the gap between the slab and the slab or the gap between the slab and the alternating wall (wall surface) a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the gap measuring apparatus can be used to measure the spacing between various structures and structures. Illustratively, the bridge gird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beam girder, a box gird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ridge girder may be a concrete girder, a steel girder, or the like when viewed from the material 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들이 투영되게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들이 투영되게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에 있어서, 바 부재와 시트 부재의 이동을 통해 교량상부구조에 대한 간격을 측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시트 부재의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 부분의 시트 부재를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for measuring a distance of a bridge structur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a side,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top structure gap measuring apparatus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above, in which some structure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are projecte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interval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and the sheet member i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 distance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heet member A in FIG. 2 in a three-dimensional view to illustrate the convex curved sheet shape of the sheet member of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 space upper bridge structur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간격 측정장치는 바 부재(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is gap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bar member 1. Fig.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간격 측정장치는 구동력 전달 유닛(4)을 포함한다. 구동력 전달 유닛(4)은 바 부재(1)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바 부재(1)에 전달한다. 예시적으로, 구동력 전달 유닛(4)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는 바 부재(1)와 연결되며 구비될 수 있고, 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3)의 길이 방향(도 1 및 도 2 기준 12시-6시 방향)에 대한 바 부재(1)의 선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잡이에 대하여 가해지는 구동력이 바 부재(1)에 전달됨으로써, 바 부재(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력은 본 간격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안전진단을 위한 간격 측정자)에 의해 손잡이를 통해 바 부재(1)로 제공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gap includes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transmits the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bar member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r member 1. [ Illustratively,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may include a handle. 2, the handle may be connected to and provided with the bar member 1, and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 (in the direction of 12 o'clock to 6 o'clock in Figs. 1 and 2) The linear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relative to the base member 1 can be achieved. In other words, since the driving force applied to the handle is transmitted to the bar member 1,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can be achieved. Illustratively, the driving force can be provided to the bar member 1 through the handle by a user (an interval gauge for safety diagnosis) using the gap measuring device.

바 부재(1)는 전달 받은 구동력을 후술할 시트 부재(2)에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력에 의해 바 부재(1)가 길이방향 중 일 방향(도 3 기준 6시 방향)으로 이동되면, 바 부재(1)의 일단이 시트 부재(2)의 타단을 길이방향 중 일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시트 부재(2) 또한 길이방향 중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구부러져 방향이 전환되는 시트 부재(2)와 달리, 바 부재(1)는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되면서 구동력을 시트 부재(2)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구동력이 선형적으로 보다 명확하게 시트 부재(2)에 전달될 수 있도록 소정 이상 리지드(rigid)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바 부재(1)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선형적인 구동력 전달이라는 역할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바 부재(1)는 시트 부재(2)보다 휨에 있어서 덜 플렉서블한(덜 유연한) 재질 및 단면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bar member 1 can transmit the transmitted driving force to the sheet member 2 to be described later. 3, when the bar member 1 is moved in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rection of 6 o'clock in Fig. 3) by the driving force, one end of the bar member 1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sheet member 2 The sheet member 2 can also be moved in on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s while pressing the sheet member 2 in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unlike the sheet member 2 in which the bending direction is switched, the bar member 1 is configured to linearl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sheet member 2,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so as to be clearly transmitted to the sheet member 2. Illustratively, the bar member 1 may be of 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 view of the role of linear driving force transmis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r member 1 is provided in a less flexible (less flexible) material and a cross-sectional shape in warpage than the sheet member 2.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간격 측정장치는 시트 부재(2)를 포함한다. 시트 부재(2)의 타단은 바 부재(1)의 일단과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부재(2)는 길이 방향에서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1 휨 방향에 대하여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 작용시에만 선택적으로 제1 휨 방향으로 휨 가능하고,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 작용 해제시 탄성 회복되는 휨 탄성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시트 부재(2)는 상기 휨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 스틸 시트(flexible steel sheet), 플렉서블 플라스틱 시트, 판 스프링 부재 등일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1, this gap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sheet member 2. The other end of the sheet member (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r member (1). 2, the sheet member 2 is selectively bendable in the first bending direction only in the first bending direction bent in one direction among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ly when the bending moment acts at a reference bending moment or more And has a flexural elasticity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elasticity upon releasing a bending moment acting beyond a reference bending moment. Illustratively, the sheet member 2 may be a flexible steel sheet, a flexible plastic sheet, a leaf spring member, or the like having the above-mentioned flexural elasticity.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간격 측정장치는 하우징(3)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3)은 바 부재(1) 및 시트 부재(2)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위치하는 선형부(31), 및 시트 부재(2)의 제1 직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위치하는 절곡부(32)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gap includes a housing 3. 2, the housing 3 includes a linear portion 31 in which a bar member 1 and a portion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are positioned, and a linear portion 31 extending in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And a bent portion 32 on which the portion is located.

또한, 하우징(3)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바 부재(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고, 길이 방향(길이 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2)가 길이 방향과 제1 직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부재 가이드부(5)를 포함한다.The housing 3 includes a bar member 1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ar member 1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ember guide portion (5) for guiding the sheet member (2) arranged to be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도 2를 참조하면, 바 부재(1)는 하우징(1)의 선형부(31)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시트 부재(2)는 선형부(31) 내에 위치하며 타단이 바 부재(1)의 일단과 연결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 및 절곡부(32) 내에 위치하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기 배치 상태에서, 구동력 전달 유닛(4)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바 부재(1)가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a만큼 이동되면, 타단이 바 부재(1)의 일단과 연결된 시트 부재(2)도 바 부재(1)와 함께 a만큼 이동되되, 부재 가이드부(5)에 의해 시트 부재(2)의 길이 방향을 향하던 부분 중 a만큼의 길이 부분이 제1 직각 방향 중 일방향으로 전향되며 이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 부재(1)가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으로 a만큼 이동되면, 시트 부재(1)의 타단 측은 바 부재(1)와 같이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으로 a만큼 이동되고, 시트 부재(1)의 일단 측은 바 부재(1)와 달리 제1 직각방향 중 일 방향으로 a만큼 이동될 수 있다.2, the bar member 1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linear portion 31 of the housing 1, the sheet member 2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linear portion 31, May be disposed so as to have a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r member 1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ortion located in the bent portion 32 and bent in one direction out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3, when the bar member 1 is moved by a along the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in the initial arrangement state, the other end is moved to one end of the bar member 1 The connected sheet member 2 is also moved together with the bar member 1 so that a portion of the portion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by the member guide portion 5 is moved in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t can be moved and moved in one direction. 3, when the bar member 1 is moved by a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heet member 1 is moved by a in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ike the bar member 1, The one end side of the member 1 can be moved by a in one direction among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unlike the bar member 1. [

도 2를 참조하면, 부재 가이드부(5)는 시트 부재(2)에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를 가하여 시트 부재(2)의 일부가 길이 방향에서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만곡되며 구부러지도록 가이드하는 만곡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부(51)는 바 부재(1)의 길이 방향 이동에 대응하는 시트 부재(2)의 이동에 있어서, 시트 부재(2)의 타단 측과 대비하여 시트 부재(2)의 일단 측은 제1 직각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도록 시트 부재(2)의 중간 부분을 완만하게 구부러지게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만곡부(51)에 의해 시트 부재(2)의 방향이 길이방향에서 제1 직각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2)는 기준 휨 모멘트보다 작은 휨 모멘트에 의해서는 구부러지지 않도록 구비되므로, 만곡부(51)의 커브 형태(구부러진 형태)는 시트 부재(2)에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를 가하여 시트 부재(2)를 점차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2, the member guide portion 5 applies a bending moment not less than a reference bending moment to the sheet member 2 so that a part of the sheet member 2 is bent in one direction ou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urved portion 51 for guiding the curved portion 51 so as to be guided. The curved portion 5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one end side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member 1 is oppos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2 is guided so as to be gently bent. By this curved portion 51, the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can be gradually switched from one to the other in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eet member 2 is provided so as not to be bent by a bending moment smaller than the reference bending moment, so that the curved shape (curved shape) of the curved portion 51 allows the sheet member 2 to bend more than the reference bending mo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et member 2 is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bending the sheet member 2 gradually by applying a moment.

예시적으로, 만곡부(51)는 시트 부재(2)가 이를 따라 점차적으로 구부러지며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부재 가이드부(5)는 바 부재(1)와 시트 부재(2)를 수용하는 튜브(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그 중에서 만곡부(5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와 제1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주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curved portion 5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having a size and shape that can guide the sheet member 2 to gradually bend and move along the sheet member 2. 1 to 3, the member guide portion 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tube) for receiving the bar member 1 and the sheet member 2, A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ube extending in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만곡부(51)는 하우징(3) 내부 중 선형부(31)와 절곡부(32)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시트 부재(2)의 연장 방향을 길이방향에서 제1 직각방향 중 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전환시키는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만곡부(51)는 만곡된 튜브 형태로 구비되거나, 만곡을 유도하도록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 양측에 배치된 다수의 롤러 가이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curved portion 51 is disposed in a portion between the linear portion 31 and the bent portion 32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3 so that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extends in the first righ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for progressively shifting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curved portion 51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urved tube or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ller guides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to induce curva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부재 가이드부(5)는 바 부재(1)가 하우징(3)의 길이 방향을 벗어나지 않고 선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간격유지부재(스테빌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간격유지부재는 하우징(3)의 내면과 바 부재(1) 또는 시트 부재(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3)의 내면에 대하여 바 부재(1) 또는 시트 부재(2)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로서, 하우징(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다른 구현예로, 간격유지부재는 바 부재(1) 또는 시트 부재(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재는 바 부재(1) 및 시트 부재(2)를 수용하는 튜브(관) 부재를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member guide portion 5 may include a gap maintaining member (stabilizer) for guiding the bar member 1 to be linearly mov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 [ The gap holding member is formed by a bar member 1 or a bar member 2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 so that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 and the bar member 1 or the sheet member 2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A plurality of spacers for supporting the sheet member 2 and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 [ Or in other embodiments, the gap hold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continuously support the bar member 1 or the sheet member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the gap hold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support the bar member 1 and a tube (pipe) member which receives the sheet member 2. [

시트 부재(2)는, 하우징(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의 단면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과 제1 직각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직각 방향으로의 너비(도 1 참조, w)가 제1 직각 방향으로의 두께(도 2 참조, t)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2)는 만곡부(51)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부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용이하게 만곡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부터 제2 직각 방향을 향해서는 쉽게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second perpendicula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see Fig. 1, w) is set to be (See Fig. 2, t) in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Accordingly, the sheet member 2 can be easily bent in one direction ou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urved portion 51, and can not easily be bent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econd perpendicular direction .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시트 부재(2)는 중간 부분이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도 4 참조 10시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시트 부재(2)는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의 단면 설정에 의해,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의 단면 설정시보다 만곡부(51)에서의 시트 부재(2)의 일부의 만곡이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4, the sheet member 2 may have a curved sheet-like cross section whose intermediate portion is convex in the other right direction (10 o'clock direction in Fig. 4) in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The sheet member 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eet member 2 at the curved portion 51 in the curved sheet shape is convex in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2 can be easily induced.

또한, 하우징(3)은 바 부재(1)가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시트 부재(2) 중 일부가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캔틸레버(cantilever, 외팔보)의 형태로 돌출되도록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시트 부재(2)가 통과하는 단부 홀(33)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bar member 1 is moved along one direction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e housing 3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so that a part of the sheet member 2 protrude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cantilever) And an end hole 33 through which the sheet member 2 passes in one direction out of the right angle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력 전달 유닛(4)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바 부재(1)가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타단이 바 부재(1)의 일단과 연결된 시트 부재(2)는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되, 시트 부재(2)의 길이 방향을 향하던 부분이 제1 직각 방향 중 일방향으로 전향되며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2)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는 늘어날 수 있고, 시트 부재(2)의 일단은 단부 홀(33)을 통과하여 하우징(3)의 외측으로 캔틸레버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트 부재(2)의 이동에 따라, 시트 부재(2)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는 늘어날 수 있고, 길이가 늘어날수록, 캔틸레버의 형태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는 늘어날 수 있다. 즉, 바 부재(1)의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으로의 전진량(a)에 대응하여 캔틸레버의 형태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a)가 증가할 수 있다. 3, when the bar member 1 is mov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the othe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r member 1, The member 2 is moved by the transmitted driving force and th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2 which fac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shifted and moved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The length of the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can be increased and the one end of the sheet member 2 passes through the end hole 33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 It can be protrud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In other words, as the sheet member 2 moves, the length of the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can be increased, and as the length is increased, the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form of the cantilever The length can be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length a of the portion projecting in the form of the cantilev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advancement (a) in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member 1 can be increased.

도 3을 참조하면, 간격의 측정시, 하우징(3)의 길이 방향은 교량상부구조(500)의 횡 방향 또는 사각(skew)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제1 직각 방향은 교량상부구조(500)의 종 방향 또는 사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직각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3, in the measurement of the gap,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 may correspond to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skew dir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At this time,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square dir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and the second right angle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vertical direction.

예를 들어, 교량상부구조(500)에 사각(skew)이 없는 경우,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의 간격(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의 간격)은 교량의 횡 방향(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교량의 종 방향에 대한 간격이라 할 수 있으므로, 간격의 측정시 하우징(3)은 그의 길이 방향이 교량상부구조(500)의 횡 방향(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교량상부구조(500) 사이(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시트 부재(2)의 일단이 이동하는 제1 직각 방향이 상기 교량상부구조(500)의 횡 방향과 직교하는 교량 종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For example, if there is no skew in bridge superstructure 500, the spacing between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the spacing between alternations with bridge superstructure 500) may be determ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ridge The length of the housing 3 in the direction of the length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500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500) (Or alternating with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500) so that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sheet member 2 is moved is directed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see FIG. 3).

한편, 교량상부구조(500)에 사각(skew)이 있는 경우,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의 간격(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의 간격)은 교량의 횡 방향(교량 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아니라, 교량 횡 방향에 대하여 사각(skew)만큼 기울어진 사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교량의 종 방향에 대한 간격이라 할 수 있으므로, 간격의 측정시 하우징(3)은 그의 길이 방향이 교량상부구조(500)의 사각 방향을 향하도록, 교량상부구조(500) 사이(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시트 부재(2)의 일단이 이동하는 제1 직각 방향이 교량상부구조(500)의 사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교량상부구조(500) 사이(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skew in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the distance between bridge supra structures 500 (or the distance between bridge superstructure 500 and alternation) is determined by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ridge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3 is not limited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3 but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formed along a square direction inclined by a skew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ridge. Can be disposed between the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so as to face in the square dir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see FIG. 3) such that the right angle direction is directed horizontally orthogonal to the square dir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즉, 간격의 측정시, 구동력 전달 유닛(4)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바 부재(1)는 교량상부구조(500)의 횡 방향 또는 사각(skew)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시트 부재(2)는 일단이 교량상부구조(500)의 종 방향 또는 사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교량상부구조(500)의 종 방향 또는 사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의 간격이 본 간격 측정 장치가 측정하는 간격일 수 있다.That is, at the time of the interval measurement, the bar member 1 can be mov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skew direction of the bridge top structure 50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Can be driven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rectangular dir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once. 3,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superstructures 500 form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square dir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or between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and the alternation, It can be the interval that the device measures.

본 간격 측정장치에 의한 간격 측정을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간격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3)은 교량상부구조(500)의 횡 방향(또는 사각 방향)으로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을 향하는 외면이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중 하나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바 부재(1)가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a만큼 이동되면, 시트 부재(2)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은 시트 부재(2)의 일단이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중 다른 하나의 벽면에 접촉될때까지 단부 홀(33)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a만큼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와 시트 부재(2)의 단부 홀(33)로부터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d)의 합산 값이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의 간격으로 측정될 수 있다. 참고로, 시트 부재(2)의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부분(캔틸레버부)의 길이(d)는 시트 부재(2)의 이동량(a)과 후술할 시트 부재(2)의 일단에 구비되는 단부 부재 (21)의 두께(d-a)를 고려한 값이다. 즉, 바 부재(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실제로 이동된 거리는 a이지만, 측정되는 간격은 본 간격 측정장치 중 제1 직각 방향을 향하고 있는 길이(c+d-a)만큼을 고려하여 보정된 간격에 대응하도록 표시될 필요가 있다. 예시적으로, 바 부재(1)가 초기 상태로부터 a만큼 이동하였더라도 후술할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간격 표시부(38)에는 a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본 간격 측정장치의 본래 길이(하우징의 길이(c)와 단부 부재의 두께(d-a)의 합)를 고려하여 보정된 값(a+c+d-a=c+d)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의 간격 측정 및 측정값 표시 또한 상기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n interval measurement by the interval meas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interval between the bridge superstructures 500 as follows. 3, the housing 3 can be inserted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in the transverse (or square) dir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and the housing 3 can be inserted in the first right- When the bar member 1 is moved by a along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ther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one of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facing each other at an interval, Th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2 facing the one direction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has a length protruding from the end hole 33 until the one end of the sheet member 2 is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other of the two bridge top structures 500 a < / RTI > 3, the length c of the portion of the housing 3 facing the one direction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and the length d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d hole 33 of the sheet member 2 ) Can be measured at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The length d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in the form of the cantilever of the sheet member 2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movement a of the sheet member 2 and an end portion (Da) of the first substrate 21. That is, the distance that the bar member 1 is actu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but the measured interval corresponds to the interval compensated by considering the length (c + da) of the interval measuring apparatus facing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Need to be displayed. Illustratively, even if the bar member 1 is moved by a distance from the initial state, a is not displayed in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shown in Figs. 5 and 6,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cted value (a + c + da = c + d) is displayed considering the inherent length (the sum of the length c of the housing and the thickness da of the end member). Although the spacing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is illustratively described 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and the alternating measurement and the display of the measured values may als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Of course it is.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삽입길이 표시부 및 간격 표시부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삽입길이 표시부 및 간격 표시부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insertion length display unit and an interval display unit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space gap for safety diagnosis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ertion length display portion and the interval display por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space measuring device. Fig.

즉,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3)의 외면에는, 시트 부재(2) 중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d)에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하우징(3)의 길이(c)를 함께 고려하여 보정한 간격 값(c+d)을 표시하는 간격 표시부(38)가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length c of the housing 3 with respect to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s set to the length d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ed in the sheet member 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may be formed to display the interval value c +

또한,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간격 표시부(38)는 눈금계 방식으로 간격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표시부(38)는 바 부재(1)의 이동과 연동되어 눈금계 상에서 이동 가능한 기준 부재(41)의 최종 위치(바 부재(1)의 이동이 완료되었을 때의 기준 부재(41)의 위치)가 나타내는 값이 상기 보정한 간격 값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5,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may display interval values in a scale system. For example, the interval display portion 38 may be provided at a final position of the reference member 41 that is movable on the scale scal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the reference member 41 when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is completed) ) Is indicated by the corrected interval value.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기준 부재(41)는 간격 표시부(38)의 눈금계 상에서, 초기 위치(바 부재(1)의 이동이 이루어지기 전의 기준 부재(41)의 위치)로부터 바 부재(1)의 이동량(a)만큼, 다시 말해, 바 부재(1)의 이동 완료 후의 시트 부재(2)의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 값(a)만큼 이동되어 상기 최종 위치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간격 표시부(38)는 기준 부재(41)의 초기 위치가 눈금계 상에서,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와 단부 부재(21)의 두께의 합과 대응되는 값(만약, 단부 부재(21)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와 대응되는 값)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기준 부재(41)의 최종 위치일때 기준 부재(41)가 간격 표시부(38)의 눈금계 상에서 지시하는 값이 상기 보정한 간격 값(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와 시트 부재(2)의 단부 홀(33)로부터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d)의 합)이 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5 together, the reference member 41 is arranged on the scale of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at the initial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ember 41 before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is performed) (A) of the bar member 1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by the length value a of the portion protruding in the cantilever shape of the sheet member 2 after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Location. Therefore,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reference member 41 is set such that the length c of the portion of the scale 3 facing the one direction of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of the housing 3 and the thickness of the end member 21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c of the portion of the housing 3 facing the one direction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when the end member 21 is not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um The value indicated on the scale of the interval display portion 38 by the reference member 41 at the final position of the reference member 41 is smaller than the corrected interval value in the direction of one of the first right angles of the housing 3 (D)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d hole 33 of the sheet member 2).

또한, 간격 표시부(38)는 하우징(3)의 길이 방향 중 타단 측(도 5 기준 12시 방향 단부 측)에 최대한 가깝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간격 표시부(38)는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깊숙이 삽입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눈금 확인이 용이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본 간격 측정장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간격 사이의 공간 내에 깊숙이 삽입하였을 때에도 상기 공간 바깥쪽에서 표시되는 간격을 쉽게 읽을 수 있게 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display portion 38 is provid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ousing 3 (the end side in the reference 12 o'clock direction in Fig. 5). That is,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can easily check the scale even when the safety diagnosis bridge upper structure gap measuring device is deeply inserted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 Accordingly, even when the interval measuring apparatus is inserted deeply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tervals to be measured, the interval displayed outside the space can be easily read.

또한, 간격 표시부(38)는 필요에 따라 오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영점 조절될 수 있다. 본 간격 측정장치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계절 변화,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초기에 설정된 c값, (d-a) 값 등에 다소간의 변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차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간격 표시부(38)는 영점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금선과 눈금표시값이 서로 상대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르게 이동되도록 간격 표시부(38)가 구비될 수 있으나, 간격 표시부(38)의 영점 조절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간격 표시부(38)는 눈금계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간격 표시부(38)는 절곡부(32)가 선형부(31)에 대하여 절곡 배치되었을 때(자세히 후술함)의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와 단부 부재(21)의 두께의 합과 대응되는 값(만약, 단부 부재(21)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와 대응되는 값)을 기준 부재(41)의 초기 위치가 지시할 수 있도록 영점 조절될 수 있다.Further,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can be adjusted to zero so that the error can be eliminated if necessary. There may be some fluctuations in the initially set c value, (d-a) value, etc., depending on the seasonal change, the temperature change, and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such an error,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may be provided so that the zero point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cale line and the scale display value are shifted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 zero point adjustment method of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is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cale system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terval display portion 38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rtion of the housing 3 facing the one direction among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housing 3 when the bent portion 32 is bent and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31 The length of the portion facing the one direction of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of the housing 3 when the end member 21 is not provided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lengths c and the thicknesses of the end members 21 c) can be zero-pointed so th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reference member 41 can indicate.

또한,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간격 표시부(38)는 정보창에 간격 값을 표시하는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창은 디지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지만, 바 부재(1)의 이동과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창은 하우징(3)의 길이 방향 타단 측(도 6 기준 12시 방향 단부 측)에 가깝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간격 표시부(38)는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깊숙이 삽입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눈금 확인이 용이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본 간격 측정장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간격 사이의 공간 내에 깊숙이 삽입하였을 때에도 상기 공간 바깥쪽에서 표시되는 간격을 쉽게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 표시부(38)는 필요에 따라 오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영점 조절될 수 있다.Also,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6,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may be provided as a type that displays an interval value in an information window. This information window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digital manner, bu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n analog manner mechanically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window is provided close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 (the end side in the reference 12 o'clock direction in Fig. 6). That is,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can easily check the scale even when the safety diagnosis bridge upper structure gap measuring device is deeply inserted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 Accordingly, even when the interval measuring apparatus is inserted deeply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tervals to be measured, the interval displayed outside the space can be easily read.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can be adjusted to zero so that the error can be eliminated if necessary.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3)의 외면에는 하우징(3)이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삽입된 길이를 표시하는 삽입길이 표시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삽입길이 표시부(39)를 통해 하우징(3)이 삽입된 길이를 파악함으로써, 교량 횡 방향 또는 사각 방향으로의 각 위치별 간격을 구별하여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거더 외측에서 1 m 삽입하였을 때 거더 간 이격 간격, 2 m 삽입하였을 때 거더 간 이격 간격, 3 m 삽입하였을 때 거더 간 이격 간격 등을 각각 측정하여 대비하여 봄으로써, 안전진단이 보다 신뢰성 있고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원에 의하면, 단순히 거더 외측(횡 방향으로 외측)에서 파악할 수 있는 거더 간 간격을 측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거더 사이 공간 중 횡 방향을 따라 매우 깊숙하게 형성되어 있는 거더 사이 공간에 대한 거더 간 간격까지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에 의하면, 3-BEAM 거더 등과 같이 복수개의 거더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나열된 교량상부구조와 같이 횡 방향 폭이 넓은 교량상부구조에 대해서도 횡 방향을 따라 나열된 각 거더별로 종 방향으로 거더 간 이격된 간격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넓은 폭을 갖는 교량상부구조를 고려하여, 본 간격 측정장치는 확장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5 and 6,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 is provided with an insert (not shown) f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e housing 3 inserted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A length display portion 39 may be formed. By measuring the insertion length of the housing 3 through the insertion length display portion 39,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measure and record the intervals of each posi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square direction of the bridge. For example, if the girder is inserted 1 m apart from the girder, the gap between the girders, the gap between girders when inserted 2 m, and the gap between girders when girders are inserted 3 m, Reliable and sophisticat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only the inter-girder spacing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outside of the girder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urthermore, to measure the inter-girder spacing The interval can be accurately measured. Illustra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for a bridge superstructure having a transverse width, such as a 3-BEAM girder, or a bridge super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irders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girders can be measured separately. In considera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having such a wide width, the interval measur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in an extended for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삽입길이 표시부(39)는,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깊숙이 삽입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눈금 확인이 용이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삽입길이 표시부는 눈금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눈금계는 삽입된 길이에 대응하는 최종값이 눈금계의 타단(하우징의 길이 방향 중 타 방향의 단부)을 향하도록, 다시 말해 눈금계의 타단을 향할 수록 눈금계 상의 숫자들이 커지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교량상부구조 외측에서도 삽입 길이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length display unit 39 can easily check the scale even when the safety diagnosis bridge upper structure gap measuring device is deeply inserted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insertion length indicator may include a scale, in which the fin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length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of the scale, ), That is, the numbers on the scale scale increase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cale syste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insertion length even outside the bridge superstructure.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부재(2)는 그 일단에 면의 법선이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단부면이 형성되는 단부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의 간격 측정을 위해, 시트 부재(2)의 일단은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중 하나의 벽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단부 부재(21)에 의해 시트 부재(2)의 일단과 상기 벽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시트 부재(2)의 일단은 상기 벽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1 and 2, the sheet member 2 may include an end member 21 at one end of which a normal line of the surface is formed with an end face oriented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sheet member 2 may b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one of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for the spacing measurement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The contact area between one end of the sheet member 2 and the wall surface is increased by the end member 21 and one end of the sheet member 2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시트 부재(2)의 단면은, 단부 부재(21)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부분이 단부 홀(33)로부터 최대로 돌출되었을 때, 시트 부재(2)의 자중에 의해 작용되는 토션에 의해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이 비틀림 변형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간격 측정장치가 간격을 측정하고자 하는 공간 내에 삽입되었을 때, 시트 부재(2)는 두께(t)보다 넓은 너비(w) 방향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시트 부재(2)는 간격을 측정을 위해 캔틸레버(외팔보) 형태로 돌출되더라도, 이러한 세워진 단면 형태에 따라 자중에 의해 휘어지고자 하는 모멘트에 저항하는 단면2차모멘트가 매우 커지게 되어, 본 간격 측정장치 사용시 휨에 의해 캔틸레버 부분이 휘어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어지지만, 그 대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 부재(21) 등에 의해 작용되는 토션 등에 의해 비틀림 변형이 발생될 가능성을 보다 높은 비중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시트 부재(2)가 단부 홀(33)로부터 최대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량(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에 대하여 단부 부재(2)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부분의 자중에 의해 비틀림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시트 부재(2)의 단면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토션에 대해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2)는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되는 방식임에도 휨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 없이 소정 이상 돌출될 수 있어, 간명한 구조만으로도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의 간격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2)는 단부 부재(21)가 교량상부구조(500)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되었을 때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에 저항할 수 있는 단면 제원을 가지도록 볼록한 곡면 시트 형태의 두께, 폭, 재질 등이 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의 충격이라 함은, 본 간격 측정장치의 사용자가 구동력 전달 유닛(4)을 조작하여 바 부재(1)를 길이방향 중 일 방향으로 전진시키다가, 단부 부재(21)가 교량상부구조(500)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됨으로써 바 부재(1)를 추가적으로 전진시키기 어렵다는 저항감을 느껴 전진을 중단시켰을 때, 상기 저항감에 대응하는 정도의 충격량을 의미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member 2 is a part of the sheet member 2 which protrudes to the maximum by the torsion acting by the self weight of the sheet member 2 when the cantilever portion including the end member 21 protrudes from the end hole 33 at the maximum So that the cantilever portion is not twist-deformed. 3, when the gap measur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pace to be measured, the sheet member 2 is disposed in a standing state such that the width w of the sheet member 2 is wider than the thickness t . Even if the sheet member 2 protrude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cantilever) for measuring the interval,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cross section against the moment to be bent by its own weight becomes very large according to the raised cross-sectional shape, The possibility of bending of the cantilever portion due to warping in use of the apparatus is relatively small.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torsional deformation is generated by a torsion or the like, which is acted on by the end member 21 or the like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That is to say, the cantilever portion including the end member 2 is deformed by the self weight of the cantilev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protrusion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maximum) at which the sheet member 2 can protrude to the maximum from the end hole 33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member 2 is set. In order to have a high resistance to such a torsion, the sheet member 2 may be provided in a convex curved sheet shap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even if the cantilever is protruded, the cantilever can protrude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without any warping or twisting. Thus, even if only the simple structure is us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the gap Can be accurately measured. The sheet member 2 also has a thickness in the form of a convex curved sheet such that the end member 21 has a cross sectional dimension that can withstand the predetermined impact applied when it is contacted with the opposite wall surface of the bridge top structure 500, Width, material, and the like are preferably set. Here, the predetermined impac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user of the gap measuring device operates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to advance the bar member 1 in one direction in the lengthwise direction, When the forward movement is interrupted due to the feeling of resistance that the bar member 1 is difficult to further advance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opposing wall surface of the bar member 500, it may mean an amount of impact corresponding to the resistance.

또한, 시트 부재(2)의 단면은, 단부 부재(21)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부분이 단부 홀(33)로부터 최대로 돌출되었을 때,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에 그 자중에 의해 작용될 수 있는 최대 휨 모멘트보다 상기 기준 휨 모멘트가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member 2 is set such that the cantilever portion including the end member 21 protrudes to the maximum from the end hole 33, The reference bending moment is larger than the bending moment.

또한,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는, 장대교량을 제외한 일반교량의 상기 간격을 측정 가능한 길이로서 50 c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는 30 cm 이상, 50 c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하우징(3)의 길이와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를 합산한 값이 측정되는 간격(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의 간격 또는 1개의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의 간격)이 될 것이기 때문에,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하우징(3)의 길이와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의 합을 50 cm 이하(바람직하게는, 30 cm 내지 50cm)로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시적으로,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하우징(3)의 길이를 일반교량에 있어서의 상기 간격의 최소값으로서 5 cm 내지 20 cm로 설정하고,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하우징(3)의 길이와 최대로 돌출 가능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의 합을 30 cm 내지 50 cm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간격 측정장치는 장대교량을 제외한 일반교량을 적용 대상으로 하였을 때, 시트 부재(2)는 단부 홀(33)로부터 대략 50 cm 이내의 길이만 돌출되면 되므로, 상술한 볼록한 곡면 시트 단면이 조합되고, 이러한 시트 단면이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사용되어 자중에 의한 휨 모멘트에 대하여 높은 휨 저항력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캔틸레버 형태의 단순한 돌출 구조를 통해 간편하면서도 정확한 간격 측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maximum can be set to 50 cm or less, which is a measurable length of the interval of the general bridge excluding the long bridge.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maximum can be set to 30 cm or more and 50 cm or les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the distance between one bridge superstructure 500 and the second bridge superstructure 500) where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housing 3 with respect to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maximum is measured,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housing 3 with respect to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at the maximum is set to 50 cm or less (preferably 30 cm to 50 cm) . Illustratively, the length of the housing 3 with respect to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is set to 5 cm to 20 cm as the minimum value of the interval in the general bridge, and the length of the housing 3 with respect to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and the maximum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cantilever portions that can protrude from the cantilever can be set to 30 cm to 50 cm.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eneral-purpose bridge excluding the long bridge is applied, only the length of the sheet member 2 from the end hole 33 is limited to about 50 cm. Therefore, the above- And this sheet cross section is used in the form of sta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high bending resistance against bending moment due to it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measure easily and precisely through a simple protruding structure in the form of a cantilever Do.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길이 방향 수평계 및 제1 직각 방향 수평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longitudinal directional leveling system and a first rectangular-directional leveling system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bridges for safety diagnosis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이 수평 방향을 향할 때 수평임을 나타내도록 구비되는 길이 방향 수평계(3a) 및 시트 부재(3)의 제1 직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수평 방향을 향할 때 수평임을 나타내도록 구비되는 제1 직각 방향 수평계(3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housing 3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al scale 3a, which is provided to indicate that th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horizontal when it is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irst orthogonal directional leveling unit 3b provided to indicate that the portion is horizontal when it is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길이 방향 수평계(3a) 및 제1 직각 방향 수평계(3b)는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를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500)와 교대 사이에 깊숙이 삽입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눈금 확인이 용이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길이 방향 수평계(3a) 및 제1 직각 방향 수평계(3b)는 하우징(3)의 타단부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길이 방향 수평계(3a) 및 제1 직각 방향 수평계(3b)에는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수평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이들 수평계에는 물 수평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수평계를 조합하여 수평을 조정함으로써, 교량 횡 방향 또는 사각 방향으로 본 간격 측정장치가 삽입된 거리 및 교량상부구조 사이 간격(또는 교량상부구조와 교대 사이 간격)이 보다 수평한 상태에서 측정될 수 있어, 안전진단을 위한 측정 위치 및 측정 간격의 기록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ngitudinal directional leveling device 3a and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al leveling device 3b can be used even when the safety diagnosis bridge superstructure gap measuring device is deeply inserted between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or alternately with the bridge superstructure 500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s provided so as to facilitate checking of the scale. Illustratively, the longitudinal directional leveling device 3a and the first right-angled directional leveling device 3b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3. Further, by way of example, various horizontal systems that can be used conventionally can be appli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al level 3a and the first right-angled directional level 3b. For example, a water level can be applied to these levels. By adjusting the horizontal level by combining these two leveling system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bridges superstructure (or the bridge superstructure and the alternation interval) So that the recording of the measurement position and the measurement interval for the safety diagnosis can be made more accurately.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절곡부가 선형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bending portion of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 bridge superstructure spac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은, 바 부재(1) 및 시트 부재(2)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위치하는 선형부(31), 그리고 시트 부재(2)의 제1 직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위치하는 절곡부(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8을 참조하면, 절곡부(32)는, 시트 부재(2)의 제1 직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길이 방향을 향하게 시트 부재(2)의 만곡된 부분이 펴질 수 있도록, 선형부(31)에 대하여 제2 직각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간격 측정장치는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절곡부(32)는 선형부(31)에 대하여 제2 직각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34)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2)의 내구성 감소가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부재(2)의 절곡된 상태가 장기간 유지될 경우, 시트 부재(2)의 절곡된 부분의 휨에 대한 탄성복원력이 저하되고 일부 소성 변형이 완료되어 시트 부재(2)가 단부 홀(33)로부터 선형으로 돌출되지 못하고 일부분 구부러진 상태로 돌출되는 곤란성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간격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측정 외 시간(보관 시간, 이동 시간 등)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2)가 일부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펴진 선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시트 부재(2)의 소성 변형에 의해 측정 정확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다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은 절곡부(32)가 선형부(31)에 대하여 90도보다 더 큰 각도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트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절곡부(32)와 선형부(31)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축(34)의 외측에 절곡부(32)를 직각 방향까지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리미트 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미트 블록과 절곡부(32)에는 절곡부(32)의 면과 일부 접촉되었을 때 자력 결합, 쐐기 결합 등을 통해 상호 가고정될 수 있는 유닛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가고정이라 함은 사용자 등이 소정 이상의 외력(리미트 블록으로부터 절곡부(32)를 분리하고자 하는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정도의 고정력을 가진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고정 결합은 바 부재들간의 결합 방식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3 has the linear portion 31 in which the bar member 1 and the portion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are positioned, and the linear portion 3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ight angle of the sheet member 2 8, the folding portion 32 is formed so that th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2 facing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fac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2, and the folded portion 32 of the sheet member 2 Can be rotated about the second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31 so that the curved portion of the linear portion 31 can be straightened. That is, the interval measur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in a foldable typ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bent portion 32 may be hinged 34 to be rotatable about the second perpendicul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31. Thus, the reduction in durability of the sheet member 2 can be minimized. For example, when the folded state of the sheet member 2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gainst the bending of the bent portion of the sheet member 2 is lowered and a part of the plastic deformation is comple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fficulty of protruding from the hole 33 in a partially bent state can not be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the sheet member 2 is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ar state rather than maintaining a partially curved state at an extra-measurement time (storage time, moving time, etc.) It is possible to more fundamentally prevent the measurement accuracy from decreasing due to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2. The housing 3 may also have a limit block that prevents the bent portion 32 from spreading at an angle greater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31. [ 8, a limit block is disposed outside the hinge shaft 34 connecting the bending portion 32 and the linear portion 31 to restrict the bending portion 32 to rotate on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inge axis 34 . The limit block and the bending portion 32 may be provided with a unit structure that can be mutually fixed through a magnetic force coupling, a wedge coupling, or the like when they are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ending portion 32. The term "temporarily fixed" may mean a coupling having a fixing force not to be separated unless a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an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the bent portion 32 from the limit block). This temporary rigid coupling can be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bar members.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절곡부(32)의 선형부(31)에 대한 절곡 배치(절곡부(32)가 길이방향으로부터 제1 직각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리는 배치)를 위한 회전시, 바 부재(1)는 시트 부재(2)가 구부러지는만큼 길아방향 중 일 방향 측으로 조금 당겨져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간격 표시부(38)에 표시되는 간격 값은 절곡부(32)가 선형부(31)에 대하여 절곡 배치되어 간격 측정을 위한 상태에 놓였을 때를 기준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즉, 간격 표시부(38)에 표시되는 간격 값은 간격 측정을 위한 상태에 놓였을 때를 기준으로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와 시트 부재(2)의 단부 홀(33)로부터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d)의 합이 고려되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에 있어서,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길이(c)는, 절곡부(32)가 선형부(31)에 대하여 절곡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의(3)의 선형부(31)의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을 향하는 단부로부터 절곡부(32)의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단부까지의 제1 직각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8, at the time of rotation for the bending arrangement (the arrangement in which the bending portion 32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ight angle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31 of the bending portion 32, The sheet member 1 is long enough to bend the sheet member 2 and can be slightly pulled toward one side of the direction.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value displayed on the interval display section 38 is displayed based on when the bent section 32 is bent with respect to the linear section 31 and placed in a state for interval measurement. In other words, the interval value displayed on the interval display unit 38 is determined by the length c of the portion facing the one direction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and the length (c) of the end member of the sheet member 2 And the length (d)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antilever portion (33). 8, the length c of the portion of the housing 3 facing the one direction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housing 3 is set such that the bent portion 3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31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linear portion 31 of the housing 3 toward the other direction in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to the end of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32 toward one direction, May refer to a length based on a direction.

또한, 예시적으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만곡부(51)는, 시트 부재(2)의 일부가 만곡된 만곡 상태 및 시트 부재의 만곡된 부분이 펴진 선형 상태에서 모두 시트 부재(2)가 이동 가능한 경로가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튜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the curved portion 51 is formed in a curved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heet member 2 is curved and in a linear state in which the curved portion of the sheet member is straightened,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exible material tube in which a movable path is formed.

한편, 선형부(31)는 면의 법선이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을 갖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간격 측정시, 하우징(3)의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은 2개의 교량상부구조(500) 중 하나의 벽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near portion 31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the normal of the plane having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other of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interval measure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 in the first right-angled direction facing the other direction can stably contact one wall surface of the two bridge superstructures 500.

또한, 본 간격 측정장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손잡이의 이동을 제한 및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에 의해 손잡이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바 부재(1)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토퍼에 의해 손잡이의 이동이 허용됨으로써, 바 부재(1)의 이동에 자유도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스토퍼는 90˚로 회전되었을 때에만 손잡이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허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gap measuring apparatus may include a stopper. The stopper may limit and allow movement of the handle.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bar member 1 can be fixed 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by the stopper. 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allowed by the stopper, a degree of freedom can be imparted to the movement of the bar member (1). Further, for example, the stopper may be provided so that movement of the handle is selectively allowed only when rotated by 90 degrees.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길이 확장형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length-expanding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upper and lower parts of a bridg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선형부(31)는, 절곡부(32)와 연결되는 연결 하우징 블록(311) 및 연결 하우징 블록(311)의 타단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하우징 블록(311)과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확장 하우징 블록(313)의 배치가 가능하다. 확장 하우징 블록(313)이 연결 하우징 블록(311)과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사이에 배치 가능함으로써, 확장 하우징 블록(313)의 배치 여부 및 배치 개수에 따라, 선형부(31)의 길이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9, the linear portion 31 includes a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32 and a base housing block 312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 Also, one or more expansion housing blocks 313 can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and the base housing block 312. [ The extension housing block 313 can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and the base housing block 312 so that the length extension of the linear portion 31 depends on the arrangement of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It can be possible.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바 부재(1)는, 연결 하우징 블록(311)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그 일단이 시트 부재(2)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 바 부재(11) 및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그 일단이 연결 바 부재(11)의 타단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바 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 블록(412)에는 구동력 전달 유닛(4)이 베이스 바 부재(1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베이스 바 부재(11)에 전달하도록 장착되며, 확장 하우징 블록(313)이 배치되는 경우, 확장 하우징 블록(313)의 내부에는 그 타단이 베이스 바 부재(12)의 일단과 연결되고 그 일단이 연결 바 부재(11)의 타단과 연결되는 확장 바 부재(13)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부(31)의 길이 확장에 대응하여 바 부재(1)의 길이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9, the bar member 1 includes a connecting bar member 11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housing block 311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eet member 2, And a base bar member 12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side the block 312 and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 is mounted on the base housing block 412 so as to transmit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base bar member 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se bar member 11 and the extended housing block 313 The other end of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se bar member 12 and at least one end of the extension bar member 1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ar member 11 Can be disposed.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bar member 1 can be extended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f the linear portion 31.

베이스 바 부재(12)의 일단은 연결 바 부재(11)의 타단 또는 확장 바 부재(13)의 타단과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바 부재(11)의 일단은 다른 연결 바 부재(11)의 타단 또는 확장 바 부재(13)의 타단과 자력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자력의 크기는, 베이스 바 부재(12)의 이동이 연결 바 부재(11) 또는 확장 바 부재(13)와 연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base bar member 12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or the other end of the extending bar member 13 by a magnetic force. One end of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ther connecting bar member 11 or the other end of the extending bar member 13 by the magnetic force.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ase bar member 12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or the extending bar member 13. [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길이 확장형 구조에 있어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바 부재들 사이(베이스 바 부재와 확장 바 부재 사이, 2개의 확장 바 부재 사이, 확장 바 부재와 연결 바 부재 사이, 베이스 바 부재와 연결 바 부재 사이 등)의 쐐기 결합에 의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r members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base bar member and the extension bar member, between the two extension bar members , Between the extension bar member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between the base bar member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and the lik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 바 부재(12)의 일단은 연결 바 부재(11)의 타단 또는 확장 바 부재(13)의 타단과 쐐기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바 부재(11)의 일단은 다른 연결 바 부재(11)의 타단 또는 확장 바 부재(13)의 타단과 쐐기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쐐기 결합의 크기는 베이스 바 부재(12)의 이동이 연결 바 부재(11) 또는 확장 바 부재(13)와 연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10 and 11, one end of the base bar member 12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or the other end of the extending bar member 13 by wedge-engag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ther connecting bar member 11 or the other end of the extending bar member 13 by wedge joining. The size of the wedge connection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ase bar member 12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or the extending bar member 13. [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쐐기 결합시, 쐐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쐐기 삽입부의 단부에는 쐐기 함몰부 내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쐐기 함몰부의 개구부의 크기(폭)에 대응하는 테이퍼 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 및 도 11에는 베이스 바 부재(12)와 연결 바 부재(11)의 쐐기 결합에 관하여 도시하였지만, 동일한 쐐기 결합이 다른 바 부재들 간의 연결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쐐기 결합 구조는 도 10 및 도 11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여러 형태의 쐐기 결합 구조가 본 간격 측정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10 and 11, at the end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wedge recess when the wedge is engaged, a taper or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siz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wedge depres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Can be formed. Although Figs. 10 and 11 show the wedge connection of the base bar member 12 and the connection bar member 11, the same wedge connection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other bar members. In addition, the wedge joint structur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0 and 11, and various other types of wedge joint structure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terval measurement device.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바 부재(12)는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잔존하는 범위(다시 말해,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내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확장 바 부재(13)는 확장 하우징 블록(313)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잔존하는 범위(다시 말해,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내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연결 바 부재(13)는 연결 하우징 블록(313)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잔존하는 범위(다시 말해,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내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베이스 바 부재(12), 확장 바 부재(13), 및 연결 바 부재(11)는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2)의 일단이 단부 홀(33)의 외측으로 최대로 돌출되는 경우(캔틸레버 부분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경우)에도, 베이스 바 부재(12), 확장 바 부재(13), 및 연결 바 부재(11)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확장 하우징 블록(313), 및 연결 하우징 블록(311) 각각의 내부에 잔존할 수 있다.9, the base bar member 12 has a length in a range in which at least a part remains within the base housing block 312 (that is, a range in which the base bar member 312 does not completely deviate from the inside of the base housing block 312) And the expansion bar member 13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range in which at least a part remains within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that is, the range in which the expansion bar block 313 is not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inside of the base housing block 312)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13 is disposed within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3 in a range where at least a part thereof remains (that is, a range in which the connecting bar member 13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ase housing block 312) , And the base bar member 12, the extension bar member 13,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are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maximum The length of the protruded cantilever por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truded cantilever portion. The base bar member 12 and the extension bar member 1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even when one end of the sheet member 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end hole 33 to the maximum (when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becomes maximum) And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connecting bar members 11 may remain within each of the base housing block 312,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and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예시적으로, 베이스 바 부재(12), 확장 바 부재(13), 및 연결 바 부재(11) 각각은,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확장 하우징 블록(313), 및 연결 하우징 블록(311)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유닛(2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탈 방지 유닛(25)은 베이스 바 부재(12), 확장 바 부재(13), 및 연결 바 부재(11) 각각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고, 베이스 바 부재(12), 확장 바 부재(13), 및 연결 바 부재(11) 각각의 이탈 방지 유닛(25) 각각은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확장 하우징 블록(313), 및 연결 하우징 블록(311) 각각의 일단에 걸림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베이스 바 부재(12), 확장 바 부재(13), 및 연결 바 부재(11) 각각 중 하나 이상이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확장 하우징 블록(313), 및 연결 하우징 블록(311) 각각으로부터의 이탈이 이루어지기 전에, 이탈 방지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이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확장 하우징 블록(313), 및 연결 하우징 블록(311) 각각의 일단 중 하나 이상에 걸림으로써, 베이스 바 부재(12), 확장 바 부재(13), 및 연결 바 부재(11) 각각의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확장 하우징 블록(313), 및 연결 하우징 블록(311) 각각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each of the base bar member 12, the extension bar member 13,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includes a base housing block 312, an expansion housing block 313, and a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Preventing unit 25 from being completely deviat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25 can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base bar member 12, the extension bar member 13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and the base bar member 12, Each of the member 13 and the detachment preventing unit 25 of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can be engaged with one end of each of the base housing block 312, the extending housing block 313, and the connecting housing block 311 have. Accordingly, at least one of each of the base bar member 12, the extension bar member 13,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which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ceived by the base housing block 312,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One or more of the escape prevention units are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base housing block 312,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and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before separation from each of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and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is performed,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and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of the base bar member 12, the extension bar member 13, and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respectively,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each other.

도 12는 도 9의 길이 확장형 구조에 있어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의 하우징(선형부)의 단면이 원형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linear part)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for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ircular in the extended structure of FIG.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3)의 선형부(31)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3)의 선형부(31)는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 측에 면의 법선이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을 향하는 단부면이 형성되는 정렬 부재(3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linear portion 31 of the housing 3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In this case, the linear portion 31 of the housing 3 may include an alignment member 37 on which an end face of the first norm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normal direction is formed, have.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3)의 선형부(31)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연결 하우징 블록(311),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 및 확장 하우징 블록(313)간의 결합은 나사 결합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하우징(3)의 길이 조절(길이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3)의 확장이 원형 단면 간 나사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바 부재들 간의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력에 의한 연결, 쐐기 결합에 의한 연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선형부(31)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베이스 하우징 블록(312)은 연결 하우징 블록(311) 또는 확장 하우징 블록(313)과 나사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시 베이스 바 부재(12)의 일단은 연결 바 부재(11)의 타단 또는 확장 바 부재(13)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하우징 블록들의 나사 결합은 바 부재들 간의 결합과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구현될수 있다. 다만, 원형 단면 간 나사 결합은 회전에 의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쐐기 결합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암수 쐐기 형상은 그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12, when the linear portion 31 of the housing 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the base housing block 312 and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is a screw Lt; / RTI > Thus, the length of the housing 3 can be more easily adjusted (extended length). In addition, when the housing 3 is extended in a threaded manner between circular cross sectio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r members can be considered as a connection by a magnetic force and a connection by a wedge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linear portion 3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base housing block 312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using block 311 or the expansion housing block 313 through a screw connection. One end of the base bar member 12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r member 11 or the other end of the extending bar member 13. [ As such, the threaded engagement of the housing blocks can be implemented to be operatively associated with the engagement between the bar members. However, since the threaded connection between the circular cross sections is progressively performed by rotation, in the case of the wedge conn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le and female wedge shapes shown in FIG. 10 are provided such that their cross sections are circular.

종래에는 교량상부구조 간의 간격 측정시, 사용자가 직접 교량상부구조 사이에 접근하여 간격을 직접 측정해야 해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고, 사용자의 편의가 고려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었다. 예를 들면, 거더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교각 상으로 직접 올라가 측정해야 했으며, 교각 상으로 올라가더라도 거더와 거더 사이 공간 중 깊숙한 공간에 대응하는 간격은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거더와 교대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교대의 받침면 상으로 직접 올라가 측정해야 했다.Conventionally, when measuring the interval between bridge superstructures, the user has to directly approach the bridge superstructure and directly measure the interval, thereby posing a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the user's convenience is not considered. For example, if you want to measure the spacing between girders, you have to measure directly up to the pier and you can not measure the gap corresponding to the deep space in the spa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even if you go up the pier. In addition, even when it is desir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shift, the user has to measure directly on the alternate bearing surface.

그러나, 본 간격 측정장치에 의하면, 바 부재(1)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고, 구조 또한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되는 단순 돌출 구조로 간명하게 마련되므로, 간격 측정이 안전하고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간격 측정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교각이나 교대 상에 직접 올라가지 않더라도 본 간격 측정장치의 긴 연장길이를 이용하여 궤도 점검차 상에서도 교량상부구조에 대한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간격 측정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3)의 삽입 길이 또한 측정이 가능하여, 간격 측정이 이루어지는 위치까지 파악이 가능하므로, 횡 방향 또는 사각 방향에 따른 각 거더(또는 슬래브) 별로 간격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으므로, 안전진단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간격 측정장치는 구조가 단순하므로 소지, 제작 및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gap measur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gap with respect to the first orthogo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dvancing the bar member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ucture is also form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Since the protruding protruding structure is provided with simplicity, the interval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safely, easi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gap measuring apparatus,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ascend to the bridge pier or the alternation, the interval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can be measured on the track observer by using the long extension length of the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gap measuring apparatus, since the insertion length of the housing 3 can be measur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where the interval measurement is performed. Therefore, the gap is measured for each girder (or slab)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square direction Therefore, the safety diagnosis can be made more systematically. In addition, since the gap measuring apparatus has a simple structure, it can be easily handled, manufactured and repair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바 부재
11: 연결 바 부재
12: 베이스 바 부재
13: 확장 바 부재
2: 시트 부재
21: 단부 부재
25: 이탈 방지 유닛
3: 하우징
3a: 길이 방향 수평계
3b: 제1 직각 방향 수평계
31: 선형부
311: 연결 하우징 블록
312: 베이스 하우징 블록
313: 확장 하우징 블록
32: 절곡부
33: 단부 홀
34: 힌지 결합
38: 간격 표시부
39: 삽입길이 표시부
37: 정렬 부재
4: 구동력 전달 유닛
41: 기준 부재
5: 부재 가이드부
51: 만곡부
500: 교량상부구조
1: bar member
11: Connection bar member
12: base bar member
13: Extension bar member
2: sheet member
21: end member
25:
3: Housing
3a: longitudinal directional level
3b: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horizontal scale
31:
311: Connection housing block
312: base housing block
313: Extended housing block
32:
33: end hole
34: Hinge coupling
38:
39: Insertion length indicator
37: Alignment member
4: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41: Reference member
5: member guide portion
51: Bunch
500: bridge superstructure

Claims (8)

안전진단을 위해 2개의 교량상부구조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와 교대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바 부재;
타단이 상기 바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는 시트 부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기 바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직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부재 가이드부 및 상기 바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시트 부재 중 일부가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캔틸레버의 형태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상기 시트 부재가 통과하는 단부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바 부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바 부재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1 휨 방향에 대하여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 작용시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휨 방향으로 휨 가능하고, 상기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 작용 해제시 탄성 회복되는 휨 탄성을 가지며,
상기 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시트 부재에 상기 기준 휨 모멘트 이상의 휨 모멘트를 가하여 상기 시트 부재의 일부가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해 만곡되며 구부러지도록 가이드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직각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직각 방향으로의 너비가 상기 제1 직각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크고, 중간 부분이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의 단면 설정에 의해,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시트 형상의 단면 설정시보다 상기 만곡부에서의 상기 시트 부재의 일부의 만곡이 용이하게 유도되며,
상기 간격의 측정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은 상기 교량상부구조의 횡 방향 또는 사각(skew)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직각 방향은 상기 교량상부구조의 종 방향 또는 사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대응하며, 상기 제2 직각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응하며,
상기 시트 부재는, 그 일단에 면의 법선이 상기 제1 직각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단부면이 형성되는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의 단면은, 상기 단부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캔틸레버 부분이 상기 단부 홀로부터 최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시트 부재의 자중에 의해 작용되는 토션에 의해 상기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이 비틀림 변형되지 않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이 수평 방향을 향할 때 수평임을 나타내도록 구비되는 길이 방향 수평계 및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1 직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수평 방향을 향할 때 수평임을 나타내도록 구비되는 제1 직각 방향 수평계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wo bridge superstructures or between bridge superstructures and alternations for safety diagnosis,
Bar member;
A sheet member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r member;
Wherein the bar member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be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out of a first right angl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ember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heet member movab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a part of the sheet member, when the bar member is moved along on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sheet member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in the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bar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r member,
Wherein the sheet member is selectively bendable in the first bending direction only in a first bending direction that is bent in one direction out of the first orthogo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ly when a bending moment acts at a reference bending moment or more, Bending moment over bending moment, and bending elasticity,
Wherein the member guide por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that applies a bending moment of the reference bending moment or more to the sheet member to guide a part of the sheet member to be bent and bent in one direction among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width of the sheet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larger than a thickness in the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urved sheet shape in which a middle portion is convex in the other direction among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and convex in the other direction among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The curvature of a part of the sheet member in the curved portion is more easily induced than in the case of sett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curved shee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corresponds to a lateral direction or a skew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and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s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square direction of the bridge top structure , The second right angle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sheet member includes an end member at one end of which a normal line of the surface is formed with an end face oriented in one direction out of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Wherein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maximum by the torsion acting by the self weight of the sheet member is not twisted or deformed when the cantilever portion including the end member protrudes from the end hole at the maximum Respectively,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longitudinal directional leveling unit, which is provided to indicate that th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orizontal when horizontally directed, and a horizontal leveling unit that is horizontal when th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facing the first right- And a first perpendicular angle direction leveling unit provided on the first upper surface of the brid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는, 장대교량을 제외한 일반교량의 상기 간격을 측정 가능한 길이로서 50 c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maximum is set to be not more than 50 cm as a measurable length of the interval of the general bridge excluding the long bri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의 단면은, 상기 단부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캔틸레버 부분이 상기 단부 홀로부터 최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최대로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에 그 자중에 의해 작용될 수 있는 최대 휨 모멘트보다 상기 기준 휨 모멘트가 크도록 구비되는 것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member has a maximum bending moment that can be exerted by its own weight on the maximally protruding cantilever portion when the cantilever portion including the end member protrudes from the end hole to the maximum, Wherein the bridge is provided so as to have a large mo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위치하는 선형부, 그리고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1 직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위치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제1 직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하게 상기 시트 부재의 만곡된 부분이 펴질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직각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이 가능한 것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linear portion in which the bar member and a portion of the sheet member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ositioned and a bent portion in which th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facing the first perpendicular direction is located,
Wherein the bent portion has a rotation about the second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near portion so that a curved portion of the sheet member can be extended so that a portion of the sheet member facing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is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ridge superstructure gap measur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which is 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시트 부재 중 돌출된 캔틸레버 부분의 길이에 상기 제1 직각 방향에 대한 하우징의 길이를 함께 고려하여 보정한 간격 값을 표시하는 간격 표시부, 및 상기 하우징이 2개의 교량상부구조 사이 또는 교량상부구조와 교대 사이에 삽입된 길이를 표시하는 삽입길이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인,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terva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terval value correc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length of the cantilev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heet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right angle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Wherein an insertion length indicator portion indicating a length inserted between the bridge superstructure and the alterna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is formed.
삭제delete
KR1020170078106A 2017-06-20 2017-06-20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KR101841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06A KR101841633B1 (en) 2017-06-20 2017-06-20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06A KR101841633B1 (en) 2017-06-20 2017-06-20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633B1 true KR101841633B1 (en) 2018-03-23

Family

ID=6191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06A KR101841633B1 (en) 2017-06-20 2017-06-20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63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722A (en) 2001-09-20 2003-03-28 Nagano Keiki Co Ltd Displacement gauge and displacement adjuster
KR100796636B1 (en) 2003-10-06 2008-01-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asurement Appratus of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
KR101615960B1 (en) 2015-10-19 2016-04-28 신종현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bridge seat for the purpose of safety-check
KR101656771B1 (en) * 2015-11-23 2016-09-12 정태하 Apparatus measuring the joint gap length of the bridge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safety-check
KR101695323B1 (en) 2016-09-20 2017-01-13 한국시설기술단(주)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Up Of Brid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722A (en) 2001-09-20 2003-03-28 Nagano Keiki Co Ltd Displacement gauge and displacement adjuster
KR100796636B1 (en) 2003-10-06 2008-01-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asurement Appratus of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
KR101615960B1 (en) 2015-10-19 2016-04-28 신종현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bridge seat for the purpose of safety-check
KR101656771B1 (en) * 2015-11-23 2016-09-12 정태하 Apparatus measuring the joint gap length of the bridge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safety-check
KR101695323B1 (en) 2016-09-20 2017-01-13 한국시설기술단(주)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Up Of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635B1 (en)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KR100734390B1 (en) Instrument for measuring two dimensional deformation in tunnels
KR101522193B1 (en) Upper structure displacement measurement device of bridge
EP23723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xle load of a vehicle and a sensor device
JP4996499B2 (en) Structure displacement estimation system and structure displacement estimation method
CN108759702B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onitoring of arching of track slab
PT2064532E (en)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sure in a vehicle tyre and/or speed of the vehicle
KR101858002B1 (en) Accuracy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structure
KR102149499B1 (en) Measuring Apparatus of Displacement Using Incline Angle and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 Using The Same
KR101841633B1 (en)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KR101841634B1 (en) Length-extending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KR101841637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gap of structure using connecting structure
KR101926827B1 (en) Length-extending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having support
KR101926840B1 (en) Length-extending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having support
KR101858001B1 (en) Measuring apparatus for gap of bridge girder
KR101858003B1 (en) Connection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gap between bridge upper structures
KR101926839B1 (en) Length-extending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having support
KR101841636B1 (en) Length-extending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gap of bridge upper structure
KR101209939B1 (en) Apparatus for measurement based on FBG sensor and bridge bearing thereof
KR101195955B1 (en) Measuring Apparatus of Large Displacement Using Inclinometer
KR10196853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ridge deflection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0562912B1 (en) Flow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up of construction
KR10079734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width of rail
US6332365B1 (en) Method and devices for detecting flexure, and structure such as a geotechnical or building structur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