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006B1 -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 Google Patents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006B1
KR101841006B1 KR1020170168023A KR20170168023A KR101841006B1 KR 101841006 B1 KR101841006 B1 KR 101841006B1 KR 1020170168023 A KR1020170168023 A KR 1020170168023A KR 20170168023 A KR20170168023 A KR 20170168023A KR 101841006 B1 KR101841006 B1 KR 101841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temperature
weight
reducing
temperatur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to KR102017016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는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는 고분자 수지, 착색제, 보조제 및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조 잔디 표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품질은 상승시킨 인조 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조 잔디모에 천연 항균 물질을 포함하여, 항균 물질을 코팅한 인조 잔디에 비해, 지속적이며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및 이의 제조 방법{ARTIFICIAL TURF FOR REDUCING TEMPERATUR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조 잔디 표면의 온도 상승을 방지 할 수 있는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잔디밭에서 운동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나 천연 잔디는 유지비와 사용비가 많이 들고, 살충제와 비료 등의 문제로 인해 매우 국한적이기 때문에 최근 들어 인공잔디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인조 잔디는 생체공학 원리를 채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탄성이나, 움직임이 천연잔디와 아주 유사하다. 또 환경, 날씨, 지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혹한이나 고온, 고산지대 등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점이 장점이다.
인조 잔디는 60년대 미국의 군사시설에서 처음 만들어 졌으나, 후에 도시 청소년들을 위한 용도로 바뀌게 되었다. 인공잔디는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 관리가 편하다 장점 덕에 빠른 속도로 천연잔디를 대체하게 되었다.
인공 잔디는 축구 경기장, 야구 경기장, 풋볼 경기장 등 운동장에서 쓰이고 있다. 테니스, 축구, 골프 같은 스포츠의 산업화와 상업화에 따라 인조 잔디 경기장 제조업 역시 전도가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조 잔디 제조업은 매년 20 내지 25%의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인조 잔디는 경기장뿐만 아니라 공원이나 각종 휴게시설에도 쓰이고 있다.
현장에서 조사한 데이터에 따르면 인조 잔디 경기장의 온도는 천연잔디 경기장에 비해 15℃나 높았고, 여름의 경기장 표면 온도는 70℃에 임박했다. 오전 기온 25℃일 때, 태양열을 바로 받은 천연 잔디 경기장의 온도는 30℃였지만, 그 근처에 있던 인조잔디 경기장의 온도는 60℃에 가까웠다. 표면 온도가 50℃가 넘는 곳에 10분 이상 있게 된다면, 피부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인조 잔디에서 주로 고분자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조 잔디모를 제조하였는데, 이렇게 제조된 원사는 외부 노출된 환경에서 직사광선에 의해 고온으로 상승하게 된다. 특히 광조사량이 강한 하절기에는 외부 대기 온도에 더욱더 영향을 받아 지속적인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파일사의 내구성 저하와도 연계되며, 파일사의 컬(Curl) 현상을 앞당겨 외관 복원을 위한 충진재 보충 및 브러싱 작업 등의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을 유발시킨다.
인조 잔디의 온도가 급격도로 상승하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수분 공급을 통해 인조 잔디 경기장의 온도를 낮추려는 시도를 하였다. 실험 결과 인조 잔디 경기장의 온도가 내려가긴 했으나, 인조 잔디가 열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물을 공급해 주었을 때, 그 효과를 볼 수 있는 시간은 단지 20분에 불과하였다.
종래에는 인조 잔디의 충전재에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충전재를 사용하였으나, 충전재는 지속적으로 보충해줘야되는 문제가 있어, 충전재가 아닌 인조 잔디모 자체에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온도 저감 방법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이에, 인조 잔디 표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인조 잔디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 문헌 1) KR10-1770404 B1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 잔디 표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인조 잔디의 품질을 상승시킨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조 잔디모에 천연 항균 물질을 포함하여, 항균 물질을 코팅한 인조 잔디에 비해, 지속적이며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는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는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는 고분자 수지, 착색제, 보조제 및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는 고분자 수지 85 내지 98 중량%, 착색제 0 내지 5 중량%, 보조제 0.1 내지 5 중량% 및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는 고분자 수지, 온도 저감용 충전재 및 보조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저감용 충전재는 적외선 반사 안료, 적외선 반사 충전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는 고분자 수지 35 내지 70 중량%, 온도 저감용 충전재 25 내지 60 중량% 및 보조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 충전재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주석 안티몬 산화물(ATO),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AZO), 산화주석(SnO2), 안티모니 펜토사이드(Sb2O5)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가공 보조제, 분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의 제조 방법은 1) 고분자 수지, 온도 저감용 충전재 및 보조제를 혼합하고, 100 내지 250℃에서 압출하여,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고분자 수지, 착색제 및 보조제를 혼합하고, 150 내지 300℃에서 압출 및 인발 공정으로 인조 잔디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인조 잔디 원사를 오븐 내에서 5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 및 4) 상기 가열한 인조 잔디 원사를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는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는 고분자 수지, 착색제, 보조제 및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포함한다.
인조 잔디모를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착색제 및 보조제 이외에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인조 잔디 표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태양빛이 지구표면에 다다를 때, 일부분은 반사되어 대기층으로 돌아가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표면을 덮고 있는 지표면의 내부로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바뀐다. 때문에 지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다. 지구에서 받는 태양광의 스펙트럼은 그 파장의 크기에 따라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태양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율을 높일 경우, 인조 잔디 표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조 잔디는 인조 잔디의 표면에 도달하는 태양광 중,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높여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이다. 상기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는 고분자 수지 85 내지 98 중량%, 착색제 0 내지 5 중량%, 보조제 0.1 내지 5 중량% 및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조 잔디모는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소량 포함함에 불구하고,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가 균일하게 분포하여,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반사시켜, 인조 잔디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따라서,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인조 잔디 표면의 온도 저감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조 잔디모의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는 고분자 수지, 온도 저감용 충전재 및 보조제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 30 내지 70 중량%, 온도 저감용 충전재 5 내지 60 중량% 및 보조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온도 저감용 충전재를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온도 저감을 위한 가시광선 및 적외선의 반사율이 미비한 문제가 발생하며,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인조 잔디모의 제조 시, 성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저감용 충전재는 적외선 반사 안료, 적외선 반사 충전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온도 저감용 충전재는 적외선 반사 안료 및 적외선 반사 충전재를 각각 사용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적외선 반사 안료 및 적외선 반사 충전재를 1:1 내지 3: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반사 안료 및 적외선 반사 충전재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보다,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가시광선 및 적외선의 반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중량 비율 범위 내에서 사용할 때, 적외선 반사 안료 및 적외선 반사 충전재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 효과로 인해, 가시광선 및 적외선의 반사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조 잔디 표면의 온도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 충전재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주석 안티몬 산화물(ATO),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AZO), 산화주석(SnO2), 안티모니 펜토사이드(Sb2O5)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적외선 반사 안료는 미국 셰퍼트 안료회사의 제품으로 모델명은 GREEN223, GREEN 410, GREEN 260, YELLOW 10P110 및 GREEN49P601이며, 이 중 한 제품 또는 여러 제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ITO), 주석 안티몬 산화물(ATO),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AZO), 산화주석(SnO2), 안티모니 펜토사이드(Sb2O5)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외선 반사 충전재는 적외선 반사 효과 및 열 차단 효과가 우수하여, 효과적으로 인조 잔디 표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 안료는 가시광선을 반사시키고, 자외선은 흡수하며,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선명한 색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적외선은 반사시키기 때문에 인조 잔디 표면의 온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으로 이용 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보조제는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가공 보조제, 분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가공 보조제는 점착 방지제이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는 고분자 수지, 착색제, 보조제 및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포함하며, 항균성을 위해, 항균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은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Calcium phosphate-silver compound complex), 은이온-실리케이트 복합체(Silver ion-silicate complex), 갈릭오일(garlic oil), 로즈마리오일(rosemary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당근 씨앗 오일(carrot seed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는 칼슘 포스페이트에 은 화합물을 담지하여 얻은, 칼슘 포스페이트의 은 화합물 코팅물을 의미한다. 상기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트리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Tricalcium Phosphate-silver compound complex)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은이온-실리케이트 복합체는 유리, 즉 실리케이트의 구조내 은이온이 물리적으로 포함 또는 결합된 복합체를 의미하며, 상기 복합체로부터 은이온이 방출되어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항균성이 인정된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 및 은이온-실리케이트 복합체에 상기 천연 항균 물질을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따라, 항균성이 향상되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인조 잔디모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수지 85 내지 98 중량%, 착색제 0 내지 5 중량%, 보조제 0.1 내지 5 중량%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0.1 내지 10 중량% 및 항균 물질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물질은 은이온-실리케이트 복합체(Silver ion-silicate complex), 갈릭오일(garlic oil), 로즈마리오일(rosemary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및 당근 씨앗 오일(carrot seed oil)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의 제조 방법은 1) 고분자 수지, 온도 저감용 충전재 및 보조제를 혼합하고, 100 내지 250℃에서 압출하여,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고분자 수지, 착색제 및 보조제를 혼합하고, 150 내지 300℃에서 압출 및 인발 공정으로 인조 잔디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인조 잔디 원사를 오븐 내에서 50 내지 150℃로 가열하는 단계; 및 4) 상기 가열한 인조 잔디 원사를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는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로, 고분자 수지 30 내지 70 중량%, 온도 저감용 충전재 5 내지 60 중량% 및 보조제 0.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고, 100 내지 250℃에서 압출하여,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다.
상기 1) 단계에서 압출하여 제조한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섬도(Denier)는 섬도는 1500 내지 2500D이다.
상기 2) 단계는 상기 1) 단계에서 제조한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고분자 수지, 착색제 및 보조제를 혼합하고, 압출 및 인발 공정으로 인조 잔디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인조 잔디 원사를 제조하기 위해, 그 구성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 공정을 진행하고, 압출 및 인발 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50 내지 150℃의 오븐에서 가열 후, 인조 잔디 원사를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한다.
상기 2) 단계에서, 항균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고분자 수지, 착색제 및 보조제 이외에 항균 물질을 추가로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조한 인조 잔디 원사를 일정한 양으로 꼬아 인조 잔디모를 제조하고, 터프팅기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하에 인조 잔디모를 패브릭 시트의 일면에 터프팅하여, 인조 잔디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조 잔디 표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품질은 상승시킨 인조 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조 잔디모에 천연 항균 물질을 포함하여, 항균 물질을 코팅한 인조 잔디에 비해, 지속적이며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의 제조]
실험에 사용된 안료는 모두 미국 셰퍼트 안료회사 Shepherd Color Company에서 생산된 것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공통적으로,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섬도는 2500D이다.
실시예 1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4.5kg, SnO2 5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1kg, 컬러 마스터 배치 4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4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4.5kg, AT0 2.5kg, ITO 2.5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1kg, 컬러 마스터 배치 4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4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4.5kg, 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23) 5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5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4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3.5kg, 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60) 6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89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10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4.5kg, 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410 1.5kg, GREEN 49P601 3.5kg) 5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5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5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4.5kg, ATO 2.5kg,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23) 2.5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5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4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4.5kg, Sb2O5 1.5kg,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60) 3.5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5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6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7kg, SnO2 2kg,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60) 4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85kg, 보조제 5kg(자외선 안정제 1kg, 산화 방지제 1kg, 정전기 방지제1kg, 점착 방지제1kg, 분산제 1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10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3.5kg, ATO 2kg,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60, 2kg, YELLOW 10P110 2kg) 4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0kg, 컬러 마스터배치 5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10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4.5kg, ITO 2kg,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60) 5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95kg, 보조제 1kg (자외선 안정제 0.2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1kg, 점착 방지제 0.3kg, 분산제 0.2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10kg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의 제조:
폴리에틸렌 7kg, ITO 2kg,적외선 반사 기능을 가진 안료(GREEN 260) 4kg 보조제 0.5kg (자외선 안정제 0.1kg, 산화 방지제 0.2kg, 정전기 방지제 0.05kg, 점착 방지제 0.05kg, 분산제 0.1kg)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150℃에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였다.
인공 잔디 원사의 제조:
폴리에틸렌 85kg, 보조제 5kg(자외선 안정제 1kg, 산화 방지제 1kg, 정전기 방지제1kg, 점착 방지제1kg, 분산제 1kg),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10kg, 항균 물질 5kg(은이온-실리케이트 복합체, 갈릭오일, 로즈마리오일, 호호바오일 및 당근 씨앗 오일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를 혼합하여 인조 잔디 원사를 만든다. 인조 잔디 원사의 제조 조건은 압출 성형 온도 210℃,총 확산 비 5,오븐 온도 90℃이다.
이후, 원사를 촘촘하게 접착시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 잔디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온도 저감 효과 측정]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의 인조잔디를 10X10cm의 실험 시료로 제조 후, IR 전구를 이용하여 온도 저감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실험실에서 IR 전구를 사용하는 오븐을 이용하여 35㎝ 떨어진 각 시료에 IR 광을 10분간 부여하여 온도 상승과 하강의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5 내지 10분 사이에 5회 측정하여, 평균 온도를 비교하는 평가를 진행하였다. 각 시료의 온도 측정은 K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균 온도(℃)
비교예 1 67.2
실시예 1 55.4
실시예 2 54.2
실시예 3 50.2
실시예 4 47
실시예 5 48.4
실시예 6 46
실시예 7 43
실시예 8 40.4
실시예 9 47
실시예 10 48
상기 표 1의 결과에 따르면,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10의 인조 잔디에서 10 내지 25℃정도 온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모가 적외선을 반사시켜, 인조 잔디 표면의 온도를 저감시킴에 따른 효과라고 할 것이다.
[실험예 2: 인조잔디의 항균성 시험]
항균성 평가를 위해, 상기 실시예 8 및 실시예 11의 인조 잔디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농도(CFU/mL) 24시간 후의 log(CFU/mL) 세균 감소율(%)
실시예 8 1.00ⅹ105 8.00ⅹ105 -
실시예 11 1.00ⅹ105 0 100
(CFU는 균의 수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8의 인조 잔디의 경우, 항균 효과가 없어,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장균의 농도가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실시예 11의 인조 잔디의 경우, 대장균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모는 고분자 수지 85 내지 98 중량%, 착색제 0 내지 5 중량%, 보조제 0.1 내지 5 중량%,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 0.1 내지 10 중량% 및 항균 물질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저감용 마스터 배치는 고분자 수지 35 내지 70 중량%, 온도 저감용 충전재 25 내지 60 중량% 및 보조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저감용 충전재는 적외선 반사 안료 및 적외선 반사 충전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외선 반사 충전재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주석 안티몬 산화물(ATO),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AZO), 산화주석(SnO2), 안티모니 펜토사이드(Sb2O5)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보조제는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가공 보조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 물질은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Calcium phosphate-silver compound complex), 은이온-실리케이트 복합체(Silver ion-silicate complex), 갈릭오일(garlic oil), 로즈마리오일(rosemary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당근 씨앗 오일(carrot seed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가공 보조제는 점착 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68023A 2017-12-08 2017-12-08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KR101841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23A KR101841006B1 (ko) 2017-12-08 2017-12-08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23A KR101841006B1 (ko) 2017-12-08 2017-12-08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006B1 true KR101841006B1 (ko) 2018-03-22

Family

ID=6190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023A KR101841006B1 (ko) 2017-12-08 2017-12-08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28B1 (ko) * 2019-03-07 2019-09-04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전량 재활용이 가능하고 전면배수 및 온도저감효과가 뛰어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102162734B1 (ko) * 2020-02-27 2020-10-07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온도저감을 위한 인조잔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54578B1 (ko) * 2019-12-20 2021-05-25 일신화학공업 주식회사 냉방 및 보온 효율이 증진된 시설원예용 하이브리드형 장기성 코팅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8271A (ja) * 2007-09-13 2009-04-02 Oku Antsuuka Kk 遮熱性人工芝パ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65593A (ja) * 2009-05-12 2010-11-25 Hagihara Industries Inc 低昇温性人工芝生
KR101398802B1 (ko) * 2014-02-11 2014-05-27 필드마스터 주식회사 열차단 기능의 인조잔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KR101619050B1 (ko) * 2014-07-28 2016-05-10 주식회사 소포스 Led 광경화를 이용한 냉난방 창호용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8271A (ja) * 2007-09-13 2009-04-02 Oku Antsuuka Kk 遮熱性人工芝パ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65593A (ja) * 2009-05-12 2010-11-25 Hagihara Industries Inc 低昇温性人工芝生
KR101398802B1 (ko) * 2014-02-11 2014-05-27 필드마스터 주식회사 열차단 기능의 인조잔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KR101619050B1 (ko) * 2014-07-28 2016-05-10 주식회사 소포스 Led 광경화를 이용한 냉난방 창호용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228B1 (ko) * 2019-03-07 2019-09-04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전량 재활용이 가능하고 전면배수 및 온도저감효과가 뛰어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KR102254578B1 (ko) * 2019-12-20 2021-05-25 일신화학공업 주식회사 냉방 및 보온 효율이 증진된 시설원예용 하이브리드형 장기성 코팅 필름
KR102162734B1 (ko) * 2020-02-27 2020-10-07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온도저감을 위한 인조잔디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006B1 (ko) 온도 저감용 인조 잔디
CN101979430B (zh) 一种低温人造草坪及制备方法
CN101649516B (zh) Pvc/pu涂层涤纶工业丝的丝线涂层方法及其设备
CN1038252C (zh) 用于遮蔽辐射的复合材料
CN105568422A (zh) 一种低温人造草坪及其制备方法
KR101841705B1 (ko) 대전 방지용 인조 잔디
US20150346402A1 (en) Near-infrared radiation absorbing masterbatch, near-infrared radiation absorbing product made from the masterbatch, and method of making near-infrared radiation absorbing fiber from the masterbatch
JP4091970B1 (ja) 遮熱性人工芝パ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263216A (zh) 一种自适应温度调节的散射节能膜
CN111607833A (zh) 具有抗菌抗老化功能的人造草坪及其制备方法
CN106676671A (zh) 一种大克重人造草坪曲丝及其制备方法
CN105330936B (zh) 一种散光隔热热辐射调控膜及制备方法
CN104441869B (zh) 光散射型农膜、其的制造方法和用途
US11034803B2 (en) Color masterbatch composition for dark textiles or engineering plastics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110904683A (zh) 用于遮阳面料的功能性pvc涤纶包覆丝及其制备方法
CN110978690A (zh) 一种防虫膜及其制备方法
JPH10290635A (ja) 農業用遮熱シート
CN113736230A (zh) 一种可降解功能地膜及其制备方法
CN105332091B (zh) 一种散光降温热辐射防护网的制备方法
CN104389041A (zh) 一种抗菌人造草坪的制备方法
KR101651896B1 (ko) 적외선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2994B1 (ko) 차열용 인조 잔디 술 및 그 제조 방법
CN109537399A (zh) 一种反射太阳光热能的人造草坪及其制备方法
CN114032624A (zh) 抗菌人造草坪及其制备方法
CN105330935A (zh) 一种散光降温热辐射调控膜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