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860B1 -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860B1
KR101840860B1 KR1020170026805A KR20170026805A KR101840860B1 KR 101840860 B1 KR101840860 B1 KR 101840860B1 KR 1020170026805 A KR1020170026805 A KR 1020170026805A KR 20170026805 A KR20170026805 A KR 20170026805A KR 101840860 B1 KR101840860 B1 KR 10184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mesh
pattern
dust
static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674A (ko
Inventor
박지연
Original Assignee
박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연 filed Critical 박지연
Priority to KR102017002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8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방충망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체로 구비되거나, 방충망에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를 형성하고, 방충망에 형성된 전도체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방충망에 정전기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정전기가 방충망을 통과하려는 미세 먼지를 집진하여 방충망 건너의 실내를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특징이 있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DUST BLOCKING SCREEN USING STATIC ELECTRICITY}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방충망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체로 구비되거나, 방충망에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를 형성하고, 방충망에 형성된 전도체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방충망에 정전기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정전기가 방충망을 통과하려는 미세 먼지를 집진하여 방충망 건너의 실내를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특징이 있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주택과 같은 거주지에서는 환기를 위해 창문 및 베란다를 열어 실내를 환기를 하는데, 오늘날과 같이 미세먼지 및 황사가 많이 발생하는 날, 특히, 기관지가 약한 영유아가 있는 거주지 같은 경우에는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를 꺼리게 된다. 이를 위해 실내에 공기청정기와 같이 집진효과가 있는 장치를 구비해 왔는데, 한정된 공간 내에만 청정되고, 거주지의 실내공간 모두를 청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593호는 집진기능을 가지는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방충망 및 제 2 방충망이 구비되고, 제 2 방충망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여 제 2 방충망의 진동으로 인해 제 1 방충망과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어 먼지를 집진하는 특징을 가진다. 다만, 상기 선행문헌은 진동을 이용한 마찰력으로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습기가 있을 때 사용하지 못하고, 제 1 방충망 및 제 2 방충망 모두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5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기를 위해 창문 또는 베란다를 개방 시 유입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공기청정기와 같은 장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베란다에 설치되는 방충망이 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먼지 집진과 동시에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방지하는 방충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이 개구된 창틀 형상의 제 1 프레임부,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내측에 격자무늬로 형성되는 메시부, 상기 메시부의 격자무늬를 따라 형성되는 전도부 및 상기 전도부에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을 제공하며, 상기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전도부에 미세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되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메시부를 통과하는 먼지를 집진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자무늬를 갖는 메시부에 미세전류가 흐르고, 미세전류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기가 먼지를 집진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격자무늬를 갖는 메시부는 먼지 집진과 동시에 벌레 및 곤충들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부는 미세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벌레 및 곤충들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부는 미세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인해 먼지 집진뿐만 아니라, 외부인의 출입을 경고 또는 호출할 수 있어 보안상의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의 전도부가 메시부에 분리 또는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을 나타낸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의 메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의 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의 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의 메시부에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형성된 전도부 및 전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미세전류를 이용해 먼지를 차단하기 적합한 곳에 설치되는데, 기관지가 약한 영유아가 생활하는 공간, 먼지 등이 많이 발생되는 공장 또는 작업실, 실험실, 가정의 배란다 및 테라스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메시부(100)와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되는 전도부(200)에 미세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미세전류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기가 메시부(100)를 통과하는 먼지를 차단해 실내 또는 특정 공간으로 미세먼지가 유입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메시부(100)가 하나 구비되는 제 1 실시예, 두 개 이상의 메시부(100)에 각각 전원부(300)가 구비되는 제 2 실시예, 두 개 이상의 메시부(100)에 하나의 전원부(300)가 구비되는 제 3 실시예 및 메시부(100)의 전도부(200)의 구성에 따른 제 4 실시예로 나누어지고, 각 구성 및 실시예에 따른 보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창틀 형상의 제 1 프레임부(10), 제 1 프레임부(10)가 가이브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 2 프레임부(20), 격자무늬로 형성되는 메시부(100), 메시부(100)에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도부(200), 전도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가하는 전원부(300), 전도부(200)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600) 및 전원부(300)를 방전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센서부(70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10을 참고하면, 제 1 프레임부(10)는 내측이 개구된 테 형태로 구비되어 내측에 메시부(100)가 형성되는 창틀에 대한 구성으로서, 제 1 프레임부(10)는 내측에 메시부(100)가 구비되어 고정되고, 메시부(100)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프레임부(10)로 흐르지 않도록 비전도체로 구비된다. 제 2 프레임부(20)는 제 1 프레임부(10)가 체결되어 이동되는 구성으로, 제 2 프레임부(20)는 내측이 개구된 테 형태로 구비되는데 내측면에 제 1 프레임이 체결되어 가이드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제 1 프레임이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즉, 제 2 프레임부(20)가 창틀에 대한 구성이고, 제 1 프레임부(10)는 제 2 프레임부(20)에 가이드 체결되어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는 창에 대한 구성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메시부(100)는 제 1 프레임부(10) 내측에 구비되어 격자무늬를 갖는 구성으로서, 방충망의 역할을 갖고, 방충망의 형태와 같이 미세한 구멍들로 이루어 진다. 즉, 메시부(100)는 메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제 1 프레임부(10)의 내측을 횡단 및 종단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메시부(100)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부(200)가 구비되는데 전도부(200)는 메시부(100) 일면에 형성되거나 메시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메시부(100)가 형성된 형태를 따라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메시부(100)는 전도체 또는 절연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전도체로 구비되는 경우 전도부(200)는 메시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고, 메시부(100)가 절연체로 구비되면 메시부(100)의 일면에 전도부(200)를 형성하여 메시부(100)를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메시부(100)는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부(300)와 연결되는데, 전원부(300)와 직접으로 연결되는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가 메시부(100)에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다. 메시부(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양극부재(310)는 전원부(300)의 양극단자(311)와 연결되고, 메시부(1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음극부재(320)는 전원부(300)의 음극단자(321)와 연결되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의 위치는 이동될 수 있지만, 메시부(100)는 넓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으로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류가 고루 통할 수 있도록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가 대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원부(300)는 양극단자(311) 및 음극단자(321)가 형성되어 있고, 양극단자(311) 및 음극단자(321)가 메시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에 각각 체결되어 메시부(100)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원부(300)는 배터리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배터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 외의 ac전원 및 변압기로 이루어진 가정용 코드 및 태양열 발전기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미세전류를 메시부(100)에 흐르게 함으로써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정전기를 이용해 먼지 등이 메시부(100)는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비교적 높은 전압을 가지는 ac전원 보다는 태양열 및 배터리로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전원부(300)의 양극단자(311) 및 음극단자(321)는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를 통해 메시부(100)에 형성되는 전도부(200)와 연결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를 통해 연결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전원부(300)의 양극단자(311) 및 음극단자(321)가 메시부(100)에 형성되는 전도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메시부(100)는 보다 효과적인 집진효과를 얻기 위해 메시부(100)의 양면인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전도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메시부(100)의 일면에 전도부(200) 및 전도부(200)와 연결된 전원부(300)가 구비되고, 타면에 전도부(200) 및 전도부(200)와 연결된 전원부(300)가 각각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메시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두 개의 전도부(200) 및 전원부(300)는 서로 접하지 않도록 구비되어 서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시부(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전도부(200)와 메시부(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부(200)는 메시부(100)에 의측면에 형성되었을 때, 메시부(100)의 내측으로 전도부(200)간의 접촉을 막기 위해 메시부(100)의 두께는 메시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부(20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구비된다. 따라서, 메시부(100)는 메시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부(200)의 두께의 합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메시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전도부(200) 및 전원부(300)가 각각 구비되었을 때 서로 전류가 통하지 않아 일 방향으로 고루 전류가 흐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 다른 일례로, 전도부(200)에 전원부(300)가 각각 구비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시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부(200)에 하나의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제 1 프레임부(10)의 내측에 두 개 이상의 메시부(100)가 형성된다. 또한, 두 개 이상 형성되는 메시부(100)의 내측에 메시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접착부(500)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두 개의 메시부(100)가 제 1 프레임부(10)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프레임부(10) 내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메시부(100)는 내측에 접착부(500)가 구비되는데, 메시부(100)에 형성된 통공(150)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부(500)는 두 개의 메시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메시부(100)는 각각 전원부(300) 및 전원부(300)와 연결되는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메시부(100)는 서로 접하여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접착부(500)는 두 개의 메시부(10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전류가 접착부(500)를 통해 메시부(100)에서 또 다른 메시부(100)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체로 구비된다. 위와 같이 두 개의 메시부(100)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했지만, 메시부(1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 나열되었을 때에는 접착부(500)도 메시부(100)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즉, 메시부(100)의 개수보다 접착부(500)가 하나 적게 구비된다. 일례를 들어 메시부(100)가 5개가 포개어져 구비된다면, 메시부(100)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부(500)는 4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프레임부(10) 내측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메시부(100)는 각각의 메시부(100)에 전원부(300), 양극단자(311) 및 음극단자(321)가 형성되는데, 이는 하나의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메시부(100)가 구비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일 메시부(100)가 파손 또는 방전으로 인해 기능이 정지하더라도 타 메시부(100)에 의해 작동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메시부(100)의 양 끝에 위치하는 메시부(100) 중 일 메시부(100)에 상기 양극부재(310)가 구비되고, 타 메시부(100)에 상기 음극부재(320)가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30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두 개 이상 구비되는 메시부(100)의 내측에 상기 두 개 이상 구비되는 메시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0)가 각각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두 개 이상 구비되어 포개어지도록 형성되는 메시부(100)는 양 끝에 위치하는 메시부(100) 중 하나의 메시부(100)에 양극부재(310)가 구비되고, 반대되는 방향의 또 다른 메시부(100)에 음극부재(320)가 구비되어 전원부(300)와 연결된다. 또한, 두 개 이상 구비되는 메시부(100)는 서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메시부(10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0)가 구비되고, 연결부재(330)는 전도체로 구비된다. 즉, 양극부재(310) 및 음극부재(320)는 두 개 이상 구비되는 메시부(100) 중 양 끝에 위치하는 메시부(100)에 각각 하나 구비되고, 두 개 이상 구비되는 메시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30)는 구비되는 메시부(1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또한, 이렇게 구비되는 양극부재(310), 음극부재(320) 및 연결부재(330)는 서로 대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이때 대항이라 함은 동일한 평면상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는 두 지점에 각각 하나 씩 구비됨을 뜻한다. 상세하게는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메시부(100)가 두 개 구비되었을 때, 사각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일 메시부(100)의 일면상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양극부재(310)가 구비되면, 일 메시부(100)의 타면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연결부재(330)가 구비되고, 이 연결부재(330)는 타 메시부(100)의 일면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연결되며, 타메시부(100)의 타면 좌측 상단 모서리에 음극부재(3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전원부(300)를 구비하고, 전원부(300)에 연결되는 양극부재(310), 메시부(100), 연결부재(330) 및 음극부재(320)는 서로 대항되는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에 각 메시부(100)마다 고루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의 전도부(200)는 횡단하는 제 1 전도체(210) 및 종단하는 제 2 전도체(220)로 이루어지고,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는 서로 고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서로 접하지 않게 구비되며,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는 제 3 전도체(230)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제 3 전도체(230)로 인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는 제 3 전도체(230)를 제외한 부분은 서로 접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 1 프레임부(1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 1 전도체(210)는 갈 지(之)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1 프레임부(10)를 종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제 2 전도체(220)도 갈 지(之) 형상으로 구비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제 1 전도체(210)는 갈 지(之) 형상, 지그재그 형상 및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제 1 전도체(210)는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번갈아가면 연결된다. 제 2 전도체(220)도 제 1 전도체(210)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지만 제 1 전도체(210)는 횡단 방향으로 구비되고 제 2 전도체(220)는 종단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는 서로의 끝단에 제 3 전도체(230)가 구비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는 제 3 전도체(230)에 의해 연결된 부분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3 전도체(230)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모든 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방충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격자무늬를 갖는 메시부(100)의 일면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전도체(210)가 형성되고, 타면에 종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 전도체(220)가 형성되며, 메시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를 연결하는 제 3 전도체(230)가 메시부(100)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위와 같이 메시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가 형성되는 것을 일례를 들어 설명했지만 반드시 위와 같이 일면 및 타면에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면에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일면에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판 형상의 제 2 수지부(102), 제 2 수지부(102) 일면에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3 패턴홈(130), 제 3 패턴홈(13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50) 및 제 3 패턴홈(130)을 따라 형성되는 전도부(20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는데, 제 2 수지부(102)는 경화성 수지로서,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는 uv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제 2 수지부(102)가 기판위에 형성되고, 기판위에 형성된 제 2 수지부(102)의 상면에 격자무늬를 갖는 주형을 가압하여 제 2 수지부(102) 상면에 제 3 패턴홈(130)을 형성하고, 제 3 패턴홈(130)의 사이에 돌출부가 형성된 주형을 가압하여 복수의 통공(150)을 형성한다. 또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체로 구비되는 전도부(200)를 제 3 패턴홈(130)에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으로서,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미세패턴 가공과 같이 제 3 패턴홈(130)의 너비를 수~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너비로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저렴해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판 형상의 제 1 수지부(101), 제 1 수지부(101) 일면에 횡단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 1 패턴홈(110) 및 제 1 수지부(101) 타면에 종단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 2 패턴홈(120)으로을 포함한다. 제 1 패턴홈(110) 및 제 2 패턴홈(120)은 갈 지(之)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제 1 패턴홈(110)은 횡단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갈 지(之)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2 패턴홈(120)은 종단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갈 지(之)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제 1 패턴홈(110) 및 제 2 패턴홈(12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갈 지(之) 형상, 지그재그(Zig-Zag) 또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 1 패턴홈(110)의 사이와 제 2 패턴홈(120)의 사이에 부합하는 위치에 복수의 통공(150)이 형성된다. 이때 부합하는 위치라 함은 복수로 형성되는 통공(150)이 제 1 수지부(101)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패턴홈(110)과 제 1 수지부(101) 저면에 형서오디는 제 2 패턴홈(120)에 모두 접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일컫는다. 한편, 제 1 패턴홈(110) 및 제 2 패턴홈(120)은 각각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가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제 1 수지부(101)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패턴홈(110)은 제 1 전도체(210)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고, 제 2 수지부(102) 저면에 구비되는 제 2 패턴홈(120)은 제 2 전도체(220)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는 서로 끝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수지부(101)는 경화성 수지로서,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경화되는 uv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자외선을 조사 받으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제 1 수지부(101)가 기판위에 형성되고, 기판위에 형성된 제 1 수지부(101)의 상면에 제 1 패턴홈(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갈 지(之) 형상으로 돌출된 주형을 제 1 수지부(101)에 가압하여 제 1 패턴홈(110)을 형성하는데, 제 1 수지부(101)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패턴홈(120)은 제 1 패턴홈(110)과 같이 주형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기판 상면에 제 2 패턴홈(120)과 같이 돌출된 주형을 미리 구비하여 제 1 수지부(101)를 기판위에 형성함으로써, 제 1 수지부(101)의 저면에 제 2 패턴홈(1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패턴홈(110) 및 제 2 패턴홈(120)이 형성된 제 1 수지부(101)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주형을 가압하여 복수의 통공(150)을 얻어 전체적으로 격자무늬를 갖는 제 1 수지부(101)를 형성한다. 또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체로 구비되는 제 1 전도체(210) 및 제 2 전도체(220)를 제 1 패턴홈(110) 및 제 2 패턴홈(120)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으로서,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미세패턴 가공과 같이 제 1 패턴홈(110) 및 제 2 패턴홈(120)의 너비를 수~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너비로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저렴해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메시부(100)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600)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메시부(100)에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도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부(700)가 더 구비되고, 센서부(700)는 전도부(200)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만약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면 비프음과 같은 알림음 또는 소리 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경고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이 센서부(700)가 더 구비되면 메시부(100)에 형성된 전도부(200)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방충망을 통해 도둑 및 강도와 같이 외부인(610)이 출입을 시도했을 때, 외부인(610)이 메시부(100)에 형성된 전도부(200)와 접촉하게 되면 전압이 변화되고 이로 인해 센서부(700)에서 사용자 또는 외부인(610)에게 알림 또는 경고할 수 있어 일반 가정의 외부인(610) 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은 제 1 프레임부(10)가 삽입 가이드 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 2 프레임부(20)가 구비되는데,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제 1 프레임부(10)는 방충망 역할을 하는 메시부(100)를 감싸는 방충망틀의 구성이고, 제 2 프레임부(20)는 제 1 프레임부(10)가 삽입 체결되어 좌우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는 창틀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프레임부(10)를 제 2 프레임부(20)의 일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제 1 프레임부(10)에 구비되는 전도부(200)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전시키고, 타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전도부(200)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시키는 센서부(700)가 더 구비된다. 즉, 제 1 프레임부(10)를 제 2 프레임부(20)의 일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만 전도부(200)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먼지를 집진시키고, 타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전도부(200)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전원부(300)의 전력낭비를 방지한다. 즉, 배터리와 같이 소형 전지로 구비되는 전원부(300)가 구비되었을 때 제 1 프레임부(1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 전도부(200)에 전류가 흐르고, 타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다. 센서부(700)는 다양한 구조 및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센서부(700)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막대로 구비되어 제 2 프레임부(20)의 일단의 양극부재(310) 및 전원부(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제 1 프레임부(10)를 일 방향으로 이동 시 양극부재(310) 및 전원부(300)가 센서부(700)에 의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 1 프레임부(10)를 타 방향으로 이동 시 양극부재(310) 및 전원부(300)가 센서부(700)의 이탈로 인해 단절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즉, 제 1 프레임부(10)를 제 2 프레임부(20)의 상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 시 전원부(300)와 양극부재(310)가 센서부(700)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타 방향으로 이동시 전원부(300)와 양극부재(310)가 센서부(700)가 이탈됨에 따라 전류가 차단되는 구성이다. 다만, 반드시 위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와 같은 일례의 반대로, 센서부(700)가 절연체로 구비되어 제 1 프레임부(10)가 일 방향으로 이동 시 전원부(300) 및 양극부재(310)가 센서부(700)에 절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고, 타 방향으로 이동 시 전원부(300) 및 양극부재(310)가 센서부(700)가 이탈됨에 따라 서로 다시 접하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구성 등과 같이 다양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고, 단절 또는 연결되는 부위 또한 양극부재(310) 및 전원부(300)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제 1 프레임부 20 : 제 2 프레임부
100 : 메시부 101 : 제 1 수지부
102 : 제 2 수지부 110 : 제 1 패턴홈
120 : 제 2 패턴홈 130 : 제 3 패턴홈
150 : 통공 200 : 전도부
210 : 제 1 전도체 220 : 제 2 전도체
230 : 제 3 전도체 300 : 전원부
310 : 양극부재 311 : 양극단자
320 : 음극부재 321 : 음극단자
330 : 연결부재 500 : 접착부
600 : 감지부 610 : 외부인
700 : 센서부

Claims (5)

  1. 내측이 개구된 창틀 형상의 제 1 프레임부(10);
    상기 제 1 프레임부(10)의 내측에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메시부(100);
    상기 메시부(100)의 격자무늬를 따라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도부(200); 및
    상기 전도부(200)에 연결되는 전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부(100)는,
    판 형상의 제 2 수지부(102),
    상기 제 2 수지부(102) 상면에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3 패턴홈(130) 및
    상기 제 3 패턴홈(130)을 따라 형성되는 전도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2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부(10)를 횡단하고 서로 갈 지(之)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도체(210)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부(10)를 종단하고 갈 지(之)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도체(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전도체(210) 및 상기 제 2 전도체(220)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 1 전도체(210) 및 상기 제 2 전도체(220)의 일단부에 제 3 전도체(230)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전도체(210) 및 상기 제 2 전도체(22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체(210)는 상기 메시부(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체(220)는 상기 메시부(100)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전도체(230)로 연결되는 일단부를 제외한 면이 서로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부(100)는,
    판 평상의 제 1 수지부(101),
    상기 제 1 수지부(101) 일면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갈 지(之)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 1 패턴홈(110),
    상기 제 1 패턴홈(110)에 형성되는 제 1 전도체(210),
    상기 제 1 수지부(101) 타면에 위치하고 종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갈 지(之)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 2 패턴홈(120),
    상기 제 2 패턴홈(120)에 형성되는 제 2 전도체(220) 및
    상기 제 1 패턴홈(110)의 사이와 상기 제 2 패턴홈(120)의 사이에 부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5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도체(210) 및 상기 제 2 전도체(220)는 서로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5. 삭제
KR1020170026805A 2017-02-28 2017-02-28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KR10184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805A KR101840860B1 (ko) 2017-02-28 2017-02-28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805A KR101840860B1 (ko) 2017-02-28 2017-02-28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574A Division KR101792228B1 (ko) 2015-04-06 2015-04-06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674A KR20170031674A (ko) 2017-03-21
KR101840860B1 true KR101840860B1 (ko) 2018-03-21

Family

ID=5850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805A KR101840860B1 (ko) 2017-02-28 2017-02-28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9838A (zh) * 2018-04-09 2018-11-02 利辛县逸安新能源有限公司 一种纱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200A (zh) * 2018-03-08 2019-09-17 北京中科艾加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压电效应的静电防霾复合网格布及其制备的静电防霾纱窗
KR102029719B1 (ko) * 2019-01-11 2019-10-08 (주)서울전업공사 방충망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12Y1 (ko) * 2002-11-22 2003-02-26 김영훈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593B1 (ko) 2010-12-13 2012-10-15 성열규 집진기능을 가지는 방충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12Y1 (ko) * 2002-11-22 2003-02-26 김영훈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9838A (zh) * 2018-04-09 2018-11-02 利辛县逸安新能源有限公司 一种纱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674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228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KR101840860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US44772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utralizing static electric charges in sensitive manufacturing areas
CA2873601C (en) Electronic air cleaners and method
KR102601218B1 (ko) 공기조화장치
US7156898B2 (en) Low pressure drop deep electrically enhanced filter
KR102406030B1 (ko) 집진 장치
US6855190B1 (en) Cleaning mechanism for ion emitting air conditioning device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EP0626886A1 (en) ELECTROSTATIC TWO-STAGE FILTER.
KR102029719B1 (ko) 방충망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시스템
DE102010016519A1 (de) Filterlüfter
USRE33927E (en) Air cleaner
KR20100104306A (ko) 전격 방충장치
US20160158765A9 (en) Active Field Polarized Media Air Cleaner
KR101003919B1 (ko) 포인트 이온화 소스를 이용한 공기 여과 장치
KR20190072732A (ko) 먼지 차단 방충망
DE102019212676A1 (de) Gasprüfmodul für einen Kühlschrank, Kühlschrank und Gasprüfverfahren für einen Kühlschrank
KR20180112414A (ko) 정전기 발생 장치가 장착된 미세먼지 차단 방충망
US6234234B1 (en) Venetian blind
US20230405603A1 (en) Spark toleran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40112341A (ko) 방충 및 방진을 위한 이오나이징 방충망 시스템
JP2015196114A (ja) 微小飛翔物除去装置および除去部材
JP3346244B2 (ja) 空気清浄機のイオン化部
KR102190081B1 (ko)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