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82B1 - Linked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pipes - Google Patents
Linked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pip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0682B1 KR101840682B1 KR1020160054773A KR20160054773A KR101840682B1 KR 101840682 B1 KR101840682 B1 KR 101840682B1 KR 1020160054773 A KR1020160054773 A KR 1020160054773A KR 20160054773 A KR20160054773 A KR 20160054773A KR 101840682 B1 KR101840682 B1 KR 1018406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air supply
- air
- exhaust
- surviv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lmo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급기유니트(1000), 관로의 타측에 연결되는 배기유니트(2000) 및 상기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를 제어하고 관로 내부의 유동을 선택하는 복합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제어부는, 상기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supply unit (1000) connected to one side of a pipeline, an exhaust unit (20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line, and a complex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And the combined control unit operates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o operate the combined ventilating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수도와 같은 관로의 갱생 및 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구경을 가지는 관로의 노후 내벽의 처리 과정 등에서 효율성을 향상하고 관내에 발생되는 화재나 질식 위험 등 다양한 안전문제의 발생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ehabilitation and ventilation of pipelines such as water supply and sewerage,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the process of the inner wall of the old pipe of a pipe having a large diameter, and to improve safety in case of occurrence of various safety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은 통상 주철관이나 강관 및 흄관, PE관 등이 이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하수도 관로를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상하수도 관로 내경 쪽에 녹과 같은 이물질이 끼면서 유속이 저하되거나, 배관 중도의 이음부가 부식 또는 이완되면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관로 외부의 토압에 의해 배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Generally, a pipe for forming a water supply and drain pipe is usually a cast iron pipe, a steel pipe, a Hume pipe, a PE pipe, or the like. Therefore, if such a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i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leakage of water such as rust may occur due to foreign substances such as rust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leakage of water may occur due to corrosion or relaxation of the joint portion of the pipe, There is a problem such as being damaged.
이에 따라 일정기간 이상 사용된 상하수도 관로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어야 하고, 이러한 상하수도 관로의 교체시에는 통상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하수도 관로를 제거하고 새로운 상하수도 관로를 다시 매설하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be replaced with new ones. When replacing such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normally buried in the underground are removed and new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are buried again.
그런데 대부분의 상하수도 관로의 경우 도로나 건물의 하부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를 새로이 매설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굴착공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하수도 관로의 교체시에는 장기간 동안 도로 교통이 정체되고 극심한 소음이 유발되는 등 많은 민원이 따르게 된다.However, most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ducts are buried in the roads or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In order to newly install the water supply and sewerage pipes, large-scale excavation works must be carried out. And so on.
따라서 최근에는 상하수도 관로를 교체하는 대신 노후 된 소정구간의 배관 내벽에 에폭시수지도료를 분사하여 도막을 형성하거나 노후 된 배관 내벽에 연성튜브로 설치하여 이러한 도막이나 연성튜브를 통해 노후 된 배관을 갱생하는 갱생공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Recently, instead of replacing the water supply and sewer pipe, epoxy resin paint is sprayed on the inner wall of the old section to form a coating film, or a soft tub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old pipe to rejuvenate the old pipe Rehabilitation methods are widely u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9956호는 종래기술의 에어튜브를 이용한 상하수도 노후관 속경화 갱생공법을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모식도이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49956 discloses a hardening rehabilitation method in a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using a conventional air tube, and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the sam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노후된 상하수도관을 갱생하는 과정에서 보수용튜브(1)를 관거 내부에 삽입하여 공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보수용튜브(1)는 내부에 견인용 에어튜브(3)와 견인용 에어호스(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스팀호스를 통하여 공급된 스팀의 유속을 향상함으로써 공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Specifically, the repairing tube 1 is inserted into the pipe in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old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The repairing tube 1 is internally provided with an air tube 3 for traction, A hose 2 is provided. Accordingly, the flow rate of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hose is improv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work.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는 소구경의 도심형 수도관의 공사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수원지로부터 지역단위별로 공급하는 대구경 광역 상수도관의 공사에는 장비의 크기, 비용 및 에너지의 사용량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하다.However,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small-scale urban water pipes, and it is practical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waterworks pipes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to each regional unit considering the size of equipment, cost and energy consumption. impossible.
더군다나, 노후화된 상수도관 내부에 도포되어 있는 콜탈에나멜이나 내부 도장재는 부식에 의하여 상수도의 오염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이를 대규모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였다.Furthermore, since the caulking enamel or the inner coating material applied inside the aged water pipe serves as a source of contamination of the water pipe due to corrosion, there is a need to remove it, and in the past, there has been no method capable of practically treating it on a large scale.
한강이나 금강 등과 같은 대규모 상수원으로부터 송수하는 광역 상수도관의 경우는 대부분이 노후화되어 내부 부식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누수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교체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어 도심형 상수도관의 경우와는 달리 국가적 사업으로도 시행이 어려웠다.In the case of a wide-area water supply pipe sent from a large-scale water source such as the Han River or the Geum River, most of the water pipe is aged and the internal corrosion is progressing considerably. Accordingly, a leakage is continuously generat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it as a national project, unlike the case of urban waterworks, because excessive replacement costs were required.
기성의 상수도관 내부의 콜탈 제거 및 도료의 도포 작업은 인력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도 몇 가지 문제를 가진다.The removal of the collet inside the existing water supply pipe and the application of the paint are inevitable as manpower, but this case also has some problems.
광역 상수도관의 경우는 대략 그 직경이 1m ~ 4m에 이르며 길이는 수십에서 백키로미터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금강지역의 광역상수도관은 직경이 1.1m~1.5m이며, 길이는 수십키로미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the case of a wide-area water supply pipe, its diameter ranges from 1m to 4m and its length is in the range of tens to hundreds of kilometers. For example, in the Geum River area, the wide-area water supply pipe is 1.1 to 1.5 meters in diameter and is known to be several tens of kilometers in length.
그런데, 이렇게 인력이 직접 투입되어 갱생공사를 수행하는 경우 관로 내부에서 생존을 위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질식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화재의 발생시에는 유독가스를 직접 흡입할 수밖에 없어 바로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manpower is directly injected and rehabilitation work is performed, there is a risk of suffocation because the supply of oxygen for the survival is not smooth in the pipeline. Especially, when the fire occurs, the toxic gas is inhaled directly. There is a continuing problem.
또한, 지중에 매설된 관로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를 인지하고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어 초기 대응에도 문제를 가진다. Also, since the pipeline buried in the ground is considerably long,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nd cope with it from outsid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구경을 가지는 광역 상수도관과 같은 관로 내부의 작업시 인명사고를 방지하고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ocking type indoor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securing safety by avoiding human casualties and allowing early response when working inside a pipeline such as a large- And to provide the above objects.
본 발명은,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급기유니트(1000), 관로의 타측에 연결되는 배기유니트(2000) 및 상기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를 제어하고 관로 내부의 유동을 선택하는 복합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제어부는, 상기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supply unit (1000) connected to one side of a pipeline, an exhaust unit (20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peline, and a complex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And the combined control unit operates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o operate the combined ventilating system.
상기 복합제어부는, 상기 급기유니트에 대해 절환배기유로로 유동의 방향을 절환하고, 배기유니트에 대해 절환급기유로로 유동의 방향을 절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ybrid control unit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flow to the switching exhaust passage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unit and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flow with the switching air supply passage to the exhaust unit.
상기 복합제어부는, 관로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결선부(401)와 연결되며 연결선부의 각 개소에 구비되는 생존모듈(400)로부터 화재발생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여부 및 화재발생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e hybrid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또한, 상기 복합제어부는 각 개소에 구비되는 생존모듈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화재감지부(220)와, 화재발생지점 및 작업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확인부(230)와, 위치확인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대피방향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대피지시부(240)와, 급기유니트 및 배기유니트로의 유동방향 및 유동개폐에 대한 유동제어명령을 송출하는 유동제어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brid control unit includes a fire detection unit 22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a survival module provided at each location, a
상기 급기유니트는, 외기에 대하여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급기유로로 공급하는 급기본체부와, 급기본체부와 급기덕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급기챔버부와, 복합제어부로부터 유동절환의 명령 수신시 음압을 제공하여 관로 내부의 공기를 급기챔버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절환배기유로를 형성하는 급기비상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y unit includes an air supply basic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upply duct by regula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respect to the ambient air, an air supply chamber unit interposed between the air supply basic unit and the air supply duct, So that the air in the duc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air supply chamber portion.
또한, 상기 급기유니트는 급기챔버부와 급기덕트의 경로를 개폐하는 급기제1댐퍼(1911)와, 급기챔버부와 급기비상부의 연통을 개폐하는 급기제2댐퍼(1912)와, 급기챔버부와 외부의 연통을 개폐하는 급기제3댐퍼(19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includes an air supply
상기 배기유니트는, 관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본체부와, 배기본체부와 배기덕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배기챔버부와, 복합제어부로부터 유동절환의 명령 수신시 양압을 제공하여 외부 공기를 관로 내부로 유동하도록 절환급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exhaust unit includes an exhaust body portion for exhausting the air inside the duct to the outside, an exhaust chamber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exhaust body portion and the exhaust duc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witching air supply flow path so as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pipe.
일실시예로서, 상기 복합제어부는, 급기유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화재발생지점이 작업위치보다 후단에 위치한 경우 급기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대피방향(γ)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escape direction (gamma)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supply is supplied when the fire generation point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supply channel.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복합제어부는, 급기유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화재발생지점이 작업위치보다 전단에 위치한 경우 급기의 진행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결정하고 급기유니트 및 배기유니트에서 유동의 방향을 절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ybrid control uni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evacuation in the direction of advance of the air supply and switches the direction of flow in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when the fire generation point is located before the work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supply channel .
상기 생존모듈은, 연결선부의 각 개소에 연결되며, 산소센서부(431), 온도센서부(436), 습도센서부(437), 열감지부(438)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복합센서부로 송신하여 화재발생 및 대피방향을 판단하도록 하고 배기유니트에서 조화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피드백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The survival module is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line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any one of the
또한, 상기 생존모듈은, 연결선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인출을 위한 콘센트(421) 및 단자대(42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vival module may include a
또한, 상기 생존모듈은, 대피방향의 지시를 위한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survival module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instructing a direction of evacuation.
또한, 상기 생존모듈은, 산소분배기(411) 및 산소분배기와 산소공급라인(412)을 통하여 연결되어 생존을 위한 산소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생존마스크(50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vival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또한, 상기 생존모듈은, 관내의 영상정보를 복합제어부로 송신하는 카메라와 외부의 음향정보를 수신하는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vival module includes a camera that transmits image information in the tube to the composite control unit and a speaker unit that receives external sound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라 작업자가 내부의 격리된 환경에서 작업의 수행시 발생되는 질식, 화재, 붕괴 등의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suffocation, fire, collapse, or the like, which occurs when a worker performs an operation in an isolated environment, and to cope with such a dangerous situation.
또한, 복합제어부가 급기와 배기의 방향과 차단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관내의 각 개소에 설치되는 각 센서 및 통신수단들과 지속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기초로 생존에 필요한 판단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면서 유동과 대피방향에 대한 지시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화재발생시의 생존의 확률은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mplex control unit continuously exchanges information with each sensor and communication means installed at each location in the pip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y and exhaust and whether to block the air supply, and actively performs the determination necessary for survival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evacuation direction can be performed instantaneously, so that the probability of survival in the event of a fire can be maximized.
또한, 관내의 다양한 환경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궤환적으로 제어수행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며 작업자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nformation o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ipe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and feedback control can be performed,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maximiz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er is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의 에어튜브를 이용한 상하수도 노후관 속경화 갱생공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서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이 노후 상수도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이 화재 위치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서 관내 배치되는 생존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 적용되는 생존마스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서 복합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curing rehabilitation method in a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using an air tube of the prior art.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ed ventil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supply unit and the air exhaust unit in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ing-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ld-age water supply pip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ccording to a fire position and an operator's posi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rvival module disposed in a pipe in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rvival mask applied to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ed control unit in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part or device is connected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elem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는 급기유니트와, 관로의 타측에 연결되는 배기유니트와, 관로 내부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기유니트 및 배기유니트를 제어하여 화재 발생지점에 따라 관로 내부로 유통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a duct, an exhaust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uc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by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inside the duct, And a composi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intercooled pipe.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수도관과 같이 대구경으로 이루어져 인력이 투입되어 소정의 갱생작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기준으로 설명이 이루어지나, 다양한 형태의 관로는 물론 비교적 길이가 길고 작업자의 투입이 불가피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터널이나 주차장과 같은 공간을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관로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an environment in which a large amount of manpower is put into operation such as a water pipe and a predetermined rehabilitation work is performed. However, in addition to various types of pipes, a predetermined space A space such as a tunnel or a parking lot that can be formed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duc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갱생과정을 기본으로 설명하면 관로의 일부를 양측에서 절개하고 그 사이에 배치되는 관로에 대해 내부 도장재 등을 제거하고 회수하며 내벽에 대한 표면처리 후 도장을 형성함으로써 갱생하기 위한 과정에서 인력이 투입되며, 본 발명의 기본개념에서 이러한 인력의 생존을 위하여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는 일방향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관로와 급기유니트 및 배기유니트의 연결과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a part of the pipeline is cut from both sides, and the internal coating material is removed and recovered from the piping disposed therebetween, and the work is put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by forming the surface after the surface treatment on the inner wall I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unit and the air discharge unit function to supply outside air in one direction for the survival of such attraction. Specific embodiments relating to the connection of the duct to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를 관로 내부의 화재발생지점 및/또는 인력의 위치를 감안하여 생존이 가능하도록 최적으로 유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복합제어부가 기능하는바, 아래에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ed control unit functions to control the flow of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optimally so as to be able to surviv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 or the attraction position inside the pipe, Explain it.
도 2는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ed ventil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로(100)는 지중에 매설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로에는 터널이나 지하도와 같은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의 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The
상기 관로(100)의 내부에는 작업자가 투입되어 갱생공정과 같은 작업의 수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로(100)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외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산소부족에 따른 질식의 우려가 있어 생존을 위하여 일측과 타측에 각각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가 배치된다. A worker is input into the
도시된 사항에서 급기유니트(1000)가 배치되는 측을 일측으로, 배기유니트(2000)가 배치되는 측을 타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러한 배치상태는 변경 가능하다.In the drawings, the side on which the
급기유니트(1000)는 외기를 정화하고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조화공기를 관로(100) 내부에 투입하도록 하며, 배기유니트(2000)는 타측에서 산소가 소진되고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기로 정화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이러한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는 기본적으로 아래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첫째로 관로(100) 내부에 투입되어 갱생공정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생존을 위한 외기의 공급, 둘째로 관로 내부의 도장이나 콜탈 제거 공정 등의 효율적인 수행을 목적으로 관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공기의 공급, 셋째로 관로 내부의 공정에 따라 발생한 분진 등이 외기로 배출되기 정화하는 필터링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의 실시예는 후술한다.First, the supply of outside air for the survival of a worker put in the
본 발명에서는 이에 부가하여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가 공기의 방향을 절환하여 화재발생 또는 관내 오염시 작업자가 생존을 유지하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네 번째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is, the
상기 첫째 내지 셋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급기유니트(1000)는 급기유로(311)로 조화된 외기를 관로(100)에 투입하고 배기유니트(2000)는 배기유로(321)로부터 관내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한다. In order to perform the first to third functions, the
또한, 내부의 화재발생 또는 오염의 지점에 따라 작업자의 탈출방향에서 유독가스 등의 물질이 유동되지 않도록 네번째의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급기유니트(1000)는 절환배기유로(312)로 유동의 방향을 절환하고 타측에서는 배기유니트(2000)가 절환급기유로(322)로 유동의 방향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toxic gas or the like from flowing in the direction of escape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fire or pollution inside the
이러한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는 복합제어부(200)에 연결되고, 상기 복합제어부(200)는 관로(100)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고 소정의 유동 작동조건을 판단하여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에 유동의 방향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제어명령을 제어라인(참조번호 미표시)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기능한다.The
한편, 상기 복합제어부(200)는 관로(100)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화재발생의 여부, 화재발생의 위치, 작업자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연결선부(40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부(401)는 관로(100) 내부의 일측과 타측으로 관통 배치되는 소정의 도선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선부(401)는 관로(100) 내부에 작업의 수행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위치별로,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램프나 소켓의 연결을 위한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제어부(200)와 연결선부(401)의 각 개소와는 소정의 감지신호 송수신과 제어명령의 송수신을 위하여 전력선통신방식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선부(401)는 와이파이나 지그비통신 등의 무선통신방식이 배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상기 연결선부(401)는 각 개소에 생존모듈(40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생존모듈(400)은 지상과 같은 외부와 통신을 위한 인터컴, 화재감지센서, 작업자의 위치확인모듈, 생존마스크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이러한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복합제어부(200)가 연결선부(401)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 또는 관리서버에 이를 경보하고, 화재발생지점과 작업자의 위치를 통하여 유동의 방향을 판단하여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가 관내의 유동을 생존에 가장 효과적인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실제로는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의 거리가 1km 이상의 먼 거리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급기유니트(1000)측에 복합제어부(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어느 하나의 유니트만이 작동 가능한 조건에서 개별적 제어를 위하여 상기 복합제어부(200)는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에 각각 구비되고 개별적이거나 상호 연동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따라서,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각각 흡배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화재의 발생으로 인하여 관로(100) 내부의 생존모듈(400)의 손상이나 연결선부(401)의 단선이 있는 경우에도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의 경우를 적용하여 작업자의 생존이 가능하도록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선부(401)는 관로(100) 내부의 어느 지점에서의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일방으로 생존모듈(400)로부터의 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서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supply unit and the air exhaust unit in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급기유니트(1000)는 관로(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급기유로(311)와 절환배기유로(31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로는 급기덕트부(310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급기덕트부(3100)는 급기유니트(1000)의 배출측과 관로(100)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배기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작업자의 투입과 유동의 형성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관로(100)와 급기덕트부(3100)의 사이에는 도어조립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air
급기유로(311)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관로(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가 진행되도록 하며, 절환배기유로(312)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관로의 타측으로부터 진행된 공기가 관로의 일측을 거쳐 급기유니트(10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air
이러한 급배기의 절환을 고려하여 급기유니트(1000)는 급기본체부와 급기비상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급기 및 절환배기의 전환 효율성을 고려하여 공통유로를 이루는 급기챔버부(1910)가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급기본체부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switching of the air supply and exhaust, the
상기 급기본체부의 유로는 급기챔버부(1910)를 경유하여 급기유로(311)로 형성되어 관로(100) 내부로 연장되는데, 관로(100) 내부의 상황에 따라 유동의 절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에 역방향으로 절환배기유로(3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환배기유로(312)는 마찬가지로 급기챔버부(1910)를 거쳐서 급기방출부(1920)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The flow path of the grade basic body portion is formed as an air
이를 위하여 상기 급기챔버부(1910)의 급기유로(311) 측에는 급기제1댐퍼(19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기제1댐퍼(1911)는 급기챔버부(1910)와 급기유로(311)의 연통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급기유로(311)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급기유로(311)로부터의 공기의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관로(100) 내부의 유동이 형성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급기유로(311)의 폐쇄는 작업자의 탈출시 유해가스가 탈출경로로 이동되지 않도록 기여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n air supply
상기 급기방출부(1920)는 급기챔버부(1910)를 외부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급기챔버부(1910)와 급기방출부(1920)의 사이에는 급기제3댐퍼(1913)가 개재되어 외부와의 연통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급기제3댐퍼(1913)는 기본적으로 급기유로(311)의 작동시 폐쇄되고 절환배기유로(312)의 작동시 개방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and
이러한 급기챔버부(1910)는 또한 급기비상부(참조번호 미표시)와 연결되어 절환배기유로(312)의 형성의 필요시 급기제2댐퍼(1912)에 의하여 연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급기비상부에는 급기비상팬부(1930)가 배치되어 절환배기유로(312)의 형성을 위한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ir
상기 급기비상팬부(1930)는 경우에 따라 급기본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의 회전방향제어로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ir supply
상기 급기제1댐퍼(1911), 급기제2댐퍼(1912), 급기제3댐퍼(1913) 및 급기비상팬부(1930)의 작동은 복합제어부(2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되며 화재지점, 작업자의 위치 및 유동의 방향의 최적제어를 고려하여 복합제어부(200)는 유동의 형성에 대한 판단을 한다.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또한, 배기유니트(2000)는 관로(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배기유로(321)와 절환급기유로(32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로는 배기덕트부(3200)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배기덕트부(3200)는 배기유니트(2000)의 입구측과 관로(100)의 타단측을 연결하는 배기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급기덕트부(3100)와 마찬가지로 관로(100)와 배기덕트부(3200)의 사이에 도어조립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배기유로(321)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관로(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가 진행되도록 하며, 절환급기유로(322)는 점선으로 표시되고 배기유니트(2000)로부터 송출되는 공기가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거쳐 급기유니트(10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exhaust
배기유니트(2000)도 마찬가지로 배기본체부와 배기비상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배기 및 절환급기의 전환 효율성을 고려하여 공통유로를 이루는 배기챔버부(2910)가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배기본체부의 유로는 배기유로(321)가 배기챔버부(2910)를 거쳐서 배기본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며, 관로(100) 내부의 상황에 따라 유동의 절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에 역방향으로 절환급기유로(3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환급기유로(322)는 배기비상부로부터 배기챔버부(2910)를 거쳐 배기덕트부(3200)를 통하여 형성된다.The
상기 배기챔버부(2910)의 배기덕트부(3200)와 연결되는 측에는 배기제1댐퍼(2911)가 형성되어 배기챔버부(2910)와 배기덕트부(3200)를 연통의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기유로(321)로부터 또는 배기유로(321)로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여 관로(100) 내부의 유동이 형성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급기유로(311)의 폐쇄는 작업자의 탈출시 유해가스가 탈출경로로 이동되지 않도록 기여할 수 있다.A
또한, 배기방출부(2920)는 배기챔버부(2910)를 외부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배기챔버부(2910)와 배기방출부(2920) 사이에는 배기제3댐퍼(2913)가 개재되어 외부와의 연통을 개폐할 수 있다.The
상기 배기챔버부(2910)는 배기비상부와 연결되어 절환급기유로(322) 형성의 필요시 배기제2댐퍼(2912)를 통하여 연통이 이루어질 있으며, 상기 배기비상부에는 배기비상팬부(2930)가 배치되어 절환급기유로(322)의 형성을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기비상팬부(2930)는 경우에 따라 배기본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의 회전방향제어로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기 배기제1댐퍼(2911), 배기제2댐퍼(2912), 배기제3댐퍼(2913) 및 배기비상팬부(2930)의 작동도 마찬가지로 복합제어부(2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되며 화재지점, 작업자의 위치 및 유동의 방향의 최적제어를 고려하여 복합제어부(200)는 유동의 형성에 대한 판단을 한다. 이때, 상기 복합제어부(200)는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길이가 긴 상수도관과 같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생존을 위한 공기 유동의 형성 및 공기유동의 차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exhaus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이 노후 상수도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ing-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ld-age water supply pipe.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갱생작업이 요구되는 길이에 대응되는 관로(100)의 양단측에서 지중에 대한 굴삭 및 관로의 절개가 수행되어 급기절개부(110)와 배기절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들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갱생작업이 요청되는 관로(100)를 마주보는 부위에는 관로의 폐색을 위하여 플러그부(3130)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excavation of the ground and excision of the duct are performed at both ends of the
관로(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도어조립체(3200)가 배치되며 상기 도어조립체(3200)는 관로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며 급기유니트(1000)로부터 온도 및 습도가 조화된 공기가 유입되어 콜탈 등의 분진이 포함된 배기가 배기유니트(20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조립체(3200)는 출입구인 도어와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와의 연결을 위한 덕트와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
일측의 도어조립체(3200)에는 급기덕트부(3100)가 연통되어 상측으로 연장되고 말단부에는 급기유니트(1000)가 배치된다. The
상기 급기유니트(1000)는 외기에 대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관로(100) 내부로 유입시키는데, 관로(100)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생존을 위한 산소의 공급과 분진의 제거를 위한 환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The
관로(100)의 타측에는 배기덕트부(3120)가 연통되어 상측으로 연장되고 말단부에는 배기유니트(2000)가 배치된다. An exhaust duct unit (3120) communicates with the other side of the duct (100) and extends upward, and an exhaust unit (2000) is disposed at a distal end thereof.
상기 배기유니트(2000)는 도장재의 제거 및 내벽의 도장 과정에서 발생한 분진과 오염물들을 외기로 배출하기 전에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분진의 분리를 위한 집진부(20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배기유니트(2000)로부터 정화되어 배기되는 공기는 관로(100) 내부로부터의 악취를 발생할 수 있어 정화 및 소음제거와 함께 탈취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purified and exhausted from the
도장재의 제거 과정에서 종래에 도포된 콜탈에나멜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며 관로의 부식을 촉진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탈 입자들은 미세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인체에 흡입되었을 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3200)에 의한 유동로와 출입로의 분리 및 내부 기밀성의 유지는 더욱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밀성은 반드시 공기의 일부 누설을 완전 차단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방진을 할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In the process of removing paint, conventionally applied collet enamel is known t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omote corrosion of pipelines. Since the chalcote particles have a minute size, they may cause serious problems when they are sucked into the human body. Further, separation of the flow path and the entrance and exit by the
상기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의 비상부들은 화재의 발생시는 물론 본체부들의 가동 중단시 긴급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내부 작업자의 작업 도중 질식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The emergency parts of the
한편, 상기 급기유니트(1000) 및 배기유니트(2000)의 작동을 위하여 외부 전력원이 별도로 설치될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단전 등의 사태로 인하여 급기유니트(1000)에서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관로(100) 내부에서 인명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급기절개부(110)측의 도어조립체(3200)에는 비상시 공기의 공급을 위한 비상공급기(3300)와 비상공급관(331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operate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로(100)의 내부에는 생존모듈(400)이 연결선부(401)의 각 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생존모듈(400)은 화재의 발생여부는 물론 습도나 온도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센싱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작업시에는 급기유니트(1000)가 공기조화시 판단의 요소로써 기능할 수 있다. 생존모듈(400)은 온도와 습도는 물론, 이산화탄소 및 산소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더욱 구체적으로, 급기유니트(1000)는 기본적으로 외기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필터링부와, 냉각사이클을 통하여 공기내 수분의 응결을 유도하는 냉각제습부와, 냉각제습된 공기를 승온하는 히팅부와, 수분을 흡습하여 2차로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부와, 관로로 유입되기 전 최종적으로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냉각제습부(참조번호 미표시)는 필터링된 외기에 대하여 1차적인 제습을 수행하며 냉매의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열교환기에서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하도록 함으로써 제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의 유동로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는 팽창밸브를 거친 저온/저압의 냉매가 공기에 대해 흡열하여 냉각을 수행한다.The cooling and dehumidifying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performs the primary dehumid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filtered outside air, and performs a dehumidifying function by causing the heat exchanger to condens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using the cooling cycle of the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disposed in a flow path of the air absorbs heat of the low-temperature / low-press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against air to perform cooling.
대구경의 상수도관으로 공기의 유동량을 고려하면 제습의 효율성을 위하여 냉각사이클 및/또는 열교환기는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각제습부는 외기에 대하여 결로온도(dew point temperature)까지 냉각함으로써 포화상태를 유도하여 응결이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냉각제습부를 거쳐서 제습 및 냉각된 공기는 히팅부(참조번호 미표시)를 통하여 다시 승온되고 승온된 공기는 제습된 상태로서 제습부(참조번호 미표시)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흡습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부는 2차적으로 제습을 수행하는데 상기 냉각제습부가 이슬점온도를 이용하는 방식을 수행함에 반하여 제습부는 소정의 흡습 입자가 공기의 수분을 흡수하여 내부에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제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oling cycles and / or heat exchangers are arranged for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considering the flow amount of air through a water pipe of a large diameter. The cooling and dehumidifying part cools the outside air to a dew point temperature, thereby inducing a saturation state and causing condensation to occur. The dehumidified and cooled air through the cooling dehumidifier is heated again through a heating unit (not shown), and the heated air is dehumidified, and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a dehumidifier (not shown). Therefore, the dehumidifying part performs dehumidification in a secondary way, while the dehumidifying part performs dehumidifica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predetermined moisture absorbing particles absorb the moisture of the air and increase the water content therein desirable.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2가지 서로 다른 방식의 제습을 2단계에 걸쳐서 수행함으로써 공기 중의 제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냉각방식의 응결 제습의 경우 비교적 수분함량이 높은 경우에 유용하며, 흡습 입자를 통하여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는 제습의 용량이 작으나 공기 내 수분 함량이 낮은 경우의 제습에는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이렇게 제습부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작업환경에 최적화된 온도로써 온도조절부(참조번호 미표시)에 의하여 조절되어 급기덕트부(3100) 및 도어조립체(3200)를 통하여 관로(100) 내부에 투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humidification in two different ways is performed in two steps, so that dehumidification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That is, in the case of coagulation and dehumidification in the cooling system, it is useful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relatively high. When the moisture is absorbed through the moisture absorption particles, the dehumidification capacity is small. However, whe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air is low, the dehumidification can be more efficient.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portion and finally having its moisture removed is adjusted to a temperature optimized for the working environment by a temperature control portion (not shown) and is supplied to the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3200)에 대한 실시예에서는 출입경로와 흡배기경로를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기의 효율성과 출입의 편리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구체적으로, 도어조립체(3200)는 절개된 관로(100)의 단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로연결부와, 상기 관로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출입이 가능한 도어부와, 관로연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급기덕트부 또는 배기덕트부의 연결이 가능한 덕트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로연결부는 일단에서 관로(100)와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관로(100)의 직경에 대응되며, 기밀성을 고려하면 내주측으로 관로(100)가 삽입되거나 또는 관로(100)의 내주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로연결부와 관로(100)의 결합된 부위에는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 또는 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필름이나 테이프와 같은 부재가 기밀성의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부는 진출입로를 형성하며 개방시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개구에 배치된다. Specifically, the
추가적으로, 히팅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선택적으로 바이패스유로 및 제습부를 통과할 수 있는데 바이패스유로와 제습부로의 유동량의 조절을 함으로써 습도의 정확하고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 및 제습유로의 전단계에는 유동의 분기를 위한 댐퍼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각각 바이패스유로와 제습유로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0~100%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차단판이 회동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ing portion can selectively pass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dehumidifying portion.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low to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dehumidify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fficiently control the humidity. To this end, a damper portion for branching the flow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previous stage of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dehumidification flow path. The damper unit can be controll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are rotated so that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ath and the dehumidifying path can be adjusted between 0 and 100%,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이 화재 위치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ccording to a fire position and an operator's position.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합제어부(200)가 연결선부(401)와의 관계에서 관로(100)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황에 따라 유동을 최적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급기유니트(1000) 및 배기유니트(2000)와 덕트부의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생존모듈(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선부(401)의 각 개소에 구비되어 내부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복합제어부(200)로 전송하며, 상기 복합제어부(200)는 내부의 상황에 따라 유니트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관로(100)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합제어부(200)는 소정의 표시 또는 경보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관로에 대한 통합관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모니터링 상황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화재발생지점(α)과 작업위치(β)를 확인하고 이에 대하여 최선의 생존을 위한 각종 제어를 수행하며, 여기서의 제어는 기본적으로 관내의 유동의 제어를 포함하나 대피방향의 표시, 생손산소의 공급, 비상연락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생존모듈(400)의 추가적인 개념은 후술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hecks the fire generation point a and the work position β and performs various controls for the best survival thereof, Including the control of flow in the conduit, but also includes the indication of the evacuation direction, the supply of raw-oxygen, and the emergency contact. Additional concepts of
도 5의 (a)는 급기유로(311)의 유동 진행방향에 대하여 화재발생지점(α)보다 작업위치(β)가 먼저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재발생지점(α)에 배치되는 생존모듈(400)에서는 화재의 발생을 이산화탄소 또는 온도 등의 감지를 통하여 연결선부(401)를 통하여 복합제어부(200)로 송신하며, 작업위치(β)에 배치되는 생존모듈(400)에서는 작업자의 위치를 인지하여 복합제어부(200)로 연결선부(401)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때, 작업자의 작업위치(β) 확인은 생존모듈(400)에 구비되는 적외선센서나 온도센서를 통한 능동적인 작동으로 가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위치에 대한 생존모듈(400)의 버튼의 누름 또는 인터컴의 연결 또는 지문인식장치로의 입력 등을 통하여 수동적으로도 작동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5A shows a case where the working position β is arranged before the fire generation point α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이때, 복합제어부(200)는 화재발생지점(α)과 작업위치(β)를 고려하여 대피방향(γ)을 결정하여 생존모듈(400)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생존이 가능한 대피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지시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의 안내,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표시부(도 6의 450)의 표시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복합제어부(200)는 작업자가 유독가스를 흡입하지 않도록 유동의 제어방향과 그 정도를 결정할 수 있는데, 도 5의 (a)의 경우는 급기유로(311)로부터의 진행방향이 유독가스를 작업자와 먼 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복합제어부(200)는 급기의 방향을 작업환경에서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급기유니트(1000)의 급기제1댐퍼(1911)를 폐쇄 및/또는 배기유니트(2000)의 배기제1댐퍼(2911)를 폐쇄하여 외기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유동의 형성을 억제하고 화재의 확산 억제를 도모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5 (a), the
도 5의 (b)는 급기유로(311)를 통한 유동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작업위치(β)보다 화재발생지점(α)이 먼저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복합제어부(200)는 화재발생지점(α)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대피방향(γ)을 지시하도록 하며, 유동을 절환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의 절환은 절환배기유로(312) 및 절환급기유로(322)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유동을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먼저 억제하도록 할 수 있다. 5 (b) shows a case where the fire generation point? Is placed ahead of the work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ow through the air
한편, 상기 복합제어부(200)는 경우에 따라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각각의 생존모듈(400)로 인식하여 대피의 진행상황을 인지하고 대피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유독가스의 진행방향을 대피방향과 반대로 형성하게 한 이후에, 대피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유동을 차단하여 화재를 억제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작업자가 배치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상기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는 모두 배출되는 방향으로서 유동을 형성하여 관로(100) 내부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재 진압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관로(100)의 각 개소에는 화재의 진압을 위한 소화기 등의 소화설비를 비치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각각 흡배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화재의 발생으로 인하여 관로(100) 내부의 생존모듈(400)의 손상이나 연결선부(401)의 단선이 있는 경우에도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의 경우를 적용하여 작업자의 생존이 가능하도록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급기유니트(1000)와 배기유니트(2000) 측에 각각 복합제어부(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서 관내 배치되는 생존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rvival module disposed in a pipe in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생존모듈(400)은 관로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선부(401)의 각 개소에 소정의 감지 및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러한 생존모듈(400)은 관내의 소정의 부위에 하중을 지지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걸이부(402)를 구비하고 연결선부(4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력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정보를 복합제어부(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선부(401)는 전력의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정보의 송신을 위한 통신선이 별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이러한 생존모듈(400)은 관로 내부에서 작업시 전력의 인출을 위하여 단자대(42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단자대(420)의 말단에는 장비 연결을 위한 콘센트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또한, 각각의 생존모듈(400)은 내부 산소를 측정하여 산소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산소센서부(431)가 구비될 수 있고, 복합제어부(200)는 산소량이 부족한 경우 외부 송풍량을 조절하거나 외부의 관리자에 관로내부의 이상 또는 급기유니트(1000) 등의 장비이상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또한, 급기유니트(1000)에서 조화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피드백제어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부(436)와 습도센서부(437)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소에서 현재 온도와 습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습도표시부(43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내부의 화재발생이나 호흡량의 증가 등의 요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센서부(434)를 구비하고, 화재의 감지를 위하여 열감지부(43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arbon
또한, 외부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발신기(435),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발생시키는 스피커부(4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관로 내부의 작업환경을 영상정보로서 복합제어부(200)로 송신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또한, 화재발생이나 긴급상황시 작업자가 위험경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배기버튼(46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경우에 따라 작업위치(β)의 확인을 위한 입력버튼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위치(β)의 확인은 적외선센서와 같은 위치확인센서나 움직임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may have an
한편, 어느 하나 이상의 생존모듈(400)에서 열감지부(438) 또는 이산화탄소센서부(434)에 따라 설정값과 다른 비정상적인 감지신호가 송신되면 복합제어부(200)는 이를 화재의 발생으로 판단하고 경보하게 된다. 이때, 해당 위치에서 화재발생지점(α)으로 판단하고, 각각의 작업위치(β)와 유동의 방향을 대비하여 최적의 대피경로와 유동의 제어를 수행하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Meanwhile, when at least one of the
이러한 대피방향(γ)의 표시를 위하여 표시부(450)는 대피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인식의 용이성을 위하여 화살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시된 사항에서 램프부(403)가 양측방향을 각각 지향하여 어느 하나의 발광 또는 점멸로서 대피방향(γ)을 내부의 작업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In order to display the evacuation direction [gamma], the
여기서, 상기 생존모듈(400)은 작업자의 생존 가능성의 극대화를 위하여 산소의 공급이 가능한 생존마스크(500)를 비치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따라서, 각각의 생존모듈(400)은 산소분배기(411)를 구비하고 이러한 산소분배기(411)는 산소공급라인(412)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생존마스크(500)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생존모듈(400)에 구비되는 산소분배기(411)는 독립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생존마스크(500)에 공급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른 생존모듈(400)과 연동되어 외부의 산소를 산소주입라인(410)을 통하여 공급받아 각각의 생존마스크(500)로 분배할 수도 있다.Each
도 7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 적용되는 생존마스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rvival mask applied to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생존마스크(500)는 기본적으로 생존모듈(400)과 연결되고 산소공급라인(412)을 통하여 산소를 공급받아 관내 화재환경에서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관내 급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질식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이를 위하여 생존마스크(500)의 내측에는 산소공급라인(412)으로부터의 산소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n outlet for oxygen discharge from the
또한, 각각의 생존마스크(500)는 각 개소에 구비되어 도피시에 소정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산소공급라인(412)과 연결되어 이동 간에 생존마스크(500)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Each of the survival masks 500 is provided at each location and is connected to an
한편, 카메라부(520)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관로 내부의 상태 및 작업자의 이동상황을 화상으로 복합제어부(200) 측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스피커(510)를 구비하여 이동 중인 작업자에게 음향 또는 음성 안내를 지속적으로 제공 가능하다. Meanwhil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tate of the pipeline and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in real time by the
또한, 생존마스크(500)에는 마이크를 구비하여 외부와 쌍방향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도 8은 본 발명의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에서 복합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ed control unit in the interlocking type in-pipe combined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복합제어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내의 상태를 각 개소별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생존모듈(400)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유동의 제어와 대피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따라서, 이러한 복합제어부(200)는 화재감지부(220)를 구비하여 관로(100) 내부의 화재발생여부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재의 판단은 이산화탄소센서부(434) 또는 온도센서부(436)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소정의 일반적인 작업환경의 설정값과의 대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한, 위치확인부(230)는 화재발생지점(α)의 위치를 각 생존모듈(400)의 위치를 통하여 확인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각각의 생존모듈(400)은 위치별로 위치확인코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위치확인부(230)는 작업자의 작업위치(β)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이러한 화재발생지점(α)과 작업위치(β)의 확인을 통하여 작업자가 화재발생지점(α)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대피 가능하도록 대피방향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고 표시부(450) 또는 램프부(403) 또는 스피커부(440) 또는 스피커(510)를 통한 화재의 발생사실과 대피방향의 안내가 가능하도록 대피지시부(240)를 포함한다.The operator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fire escape in such a way as to be able to escape in the direction far from the fire point a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fire point? And the work position?, And the
한편, 생존모듈(400)에는 각각 온도, 습도, 산소농도, 이산화탄소농도, 열감지 등을 소정의 감지신호로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소정의 센서들이 구비되고 체크부(250)는 각각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감지부(220)에서 화재여부의 판단이나 유동제어부(260)에서 유동의 온습도나 송풍량 또는 유동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기초데이터를 제공한다.Meanwhile, the
유동제어부(260)는 기본적으로 대피지시부(240)의 판단을 기초로 유동의 절환여부를 판단하고 급기유로(311) 및 배기유로(321)의 유지, 절환배기유로(312) 및 절환급기유로(322)로의 절환, 급기 및/또는 배기의 차단을 선택적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제어부(2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급기유로(311)를 통하여 조화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의 제어를 위하여 관로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피드백제어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통신부(210)를 통하여 연결선부(401)의 각 개소에 구비되는 생존모듈(400), 급기유니트(1000) 및 배기유니트(20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제어부(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무선연결방식의 실시예로서 CDMA, 3G, 4G통신, WIFI, RF(Radio Frequency)통신, 적외선(Infra Red)통신, 지그비(Zigbee, IEEE 802.15.4)통신, 블루투스(Bluetooth)통신 등이 고려될 수 있다.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은 작업자가 내부의 격리된 환경에서 작업의 수행시 발생되는 질식, 화재, 붕괴 등의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The above-describe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or system capable of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asphyxiation, fire, collapse, and the like occurring when a worker performs an operation in an isolated environment inside the ventilator, Can be prevented.
복합제어부가 급기와 배기의 방향과 차단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관내의 각 개소에 설치되는 각 센서 및 통신수단들과 지속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기초로 생존에 필요한 판단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면서 유동과 대피방향에 대한 지시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화재발생시의 생존의 확률은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The complex control unit continuously exchanges information with each sensor and communication means installed at each location in the pip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y and exhaust and whether to block the flow, Since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the probability of survival in the event of a fire can be maximized.
또한, 관내의 다양한 환경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궤환적으로 제어수행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며 작업자의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nformation o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ipe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and feedback control can be performed,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maximiz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er is improved.
또한, 2차에 걸친 제습의 과정과 복합적인 온도의 조절 및 유량의 제어를 통하여 제습 및 작업자 생존을 위한 외기를 정확한 습도와 온도로써 관로에 투입하고 환기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절감과 공정의 단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econdary dehumidification process, combined temperature control and flow control, the outside air for dehumidification and worker survival can be introduced into the pipeline with the correct humidity and temperature, and the ventil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 simplic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관로 200...복합제어부
210...통신부 220...화재감지부
230...위치확인부 240...대피지시부
250...체크부 311...급기유로
312...절환배기유로 321...배기유로
322...절환급기유로 400...생존모듈
401...연결선부 402...걸이부
403...램프부 410...산소주입라인
411...산소분배기 412...산소공급라인
420...단자대 421...콘센트
431...산소센서부 432...경보표시부
433...온습도표시부 434...이산화탄소센서부
435...발신기부 436...온도센서부
437...습도센서부 438...열감지부
440...스피커부 450...표시부
460...버튼부 500...생존마스크
510..스피커 520...카메라부
1000...급기유니트 1910...급기챔버부
1911...급기제1댐퍼 1912...급기제2댐퍼
1913...급기제3댐퍼 1920...급기방출부
1930...급기비상팬부 2000...배기유니트
2910...배기챔버부 2911...배기제1댐퍼
2912...배기제2댐퍼 2913...배기제3댐퍼
2920...배기방출부 2930...배기비상팬부
3100...급기덕트부 3200...배기덕트부100 ... channel 200 ... complex control unit
210 ... communication unit 220 ... fire detection unit
230 ...
250 ... Check
312 ... a switching
322 ... switching
401 ...
403 ...
411 ...
420 ...
431 ...
433 ... Temperature and
435 ...
437 ...
440 ...
460 ...
510 ..
1000 ...
1911 ...
1913 ...
1930 ... Air supply
2910 ...
2912 ... exhaust
2920 ...
3100 ... air
Claims (13)
관로의 타측에 연결되고 배기유로와 절환급기유로를 구비하는 배기유니트(2000);
관로의 각 개소에 구비되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생존모듈(400); 및
생존모듈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화재발생여부 및 화재발생위치를 판단하며 작업위치에 따라 작업자의 생존을 위한 외기를 공급하고 대피방향을 결정하도록 급기유니트 및 배기유니트를 제어하여 관로 내부의 유동을 선택하는 복합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제어부는,
상기 급기유니트의 급기유로와 절환배기유로와 배기유니트의 배기유로와 절환급기유로를 각각 선택하여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An air supply unit 10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uct and having a supply air flow path and a switching exhaust flow path;
An exhaust unit 20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duit and including an exhaust passage and a switching air supply passage;
A survival module (400) provided at each of the pipelines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urvival modul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fire occurs and the location of fire occurrence, and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are controlled to supply the outside air for the survival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working position and determine the evacuation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200)
Wherein,
And the air supply unit, the exhaust unit, and the exhaust unit are operated to operate by selecting the air supply flow path of the air supply unit, the switching exhaust flow path, the exhaust flow path of the exhaust unit, and the switching air supply flow path.
상기 복합제어부는,
관로 내부의 작업자에 대한 작업위치(β)와 화재발생지점(α)의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자가 화재발생지점으로부터 먼 방향으로의 대피방향을 판단하며 관로 내부의 유동의 방향 또는 유동의 차단을 결정하되, 관로 내부에 작업자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기의 공급을 중단하여 관로 내부의 산소 농도를 낮추도록 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or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working position (β) and the fire point (α) for the worker inside the pipe,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evacuation in the direction far from the fire point and decides the direction of the flow inside the pipe or blocks the flow In the case of a worker not disposed in the pipeline, the supply of outside air is stopped to lower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pipeline.
상기 복합제어부는,
관로 내부에 작업자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급기유니트와 배기유니트를 모두 배출되는 방향으로 유동을 형성하도록 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d a flow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both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are discharged when an operator is not disposed in the pipeline.
상기 급기유니트는,
외기에 대하여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급기유로로 공급하는 급기본체부와, 급기본체부와 급기덕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급기챔버부와, 복합제어부로부터 유동절환의 명령 수신시 음압을 제공하여 관로 내부의 공기를 급기챔버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절환배기유로를 형성하는 급기비상부로 구성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ir supply unit,
An air supply chamber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air intake duct and the air intake duct;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sound pressure when receiving a command for switching the airflow from the composite control unit, And an air supply emergency section for forming a switching air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air supply passage to the outside via the air supply chamber section.
상기 급기유니트는,
급기챔버부와 급기덕트의 경로를 개폐하는 급기제1댐퍼(1911)와, 급기챔버부와 급기비상부의 연통을 개폐하는 급기제2댐퍼(1912)와, 급기챔버부와 외부의 연통을 개폐하는 급기제3댐퍼(1913)를 포함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air supply unit,
An air supply first damper 19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th of the air supply chamber portion and the air supply duct, an air supply second damper 19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ir supply chamber portion and the air supply emergency portion, And an air supply third damper (1913).
상기 복합제어부는,
급기유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화재발생지점이 작업위치보다 후단에 위치한 경우 급기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대피방향(γ)을 결정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Γ)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ly air is supplied when the fire point is located behind the work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supply flow path.
상기 복합제어부는,
급기유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화재발생지점이 작업위치보다 전단에 위치한 경우 급기의 진행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결정하고 급기유니트 및 배기유니트에서 유동의 방향을 절환하도록 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ventilation direction is determin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air supply and the direction of flow is switched between the air supply unit and the air exhaust unit when the fire generation point is located before the work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supply flow passage.
상기 생존모듈은,
연결선부의 각 개소에 연결되며, 산소센서부(431), 온도센서부(436), 습도센서부(437) 또는 열감지부(43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복합센서부로 송신하여 화재발생 및 대피방향을 판단하도록 하고 배기유니트에서 조화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피드백제어하도록 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vival module comprises:
And is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line unit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any one of the oxygen sensor unit 431, the temperature sensor unit 436, the humidity sensor unit 437 or the heat sensing unit 438 to the composite sensor unit, And the feedback control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ir conditioned in the exhaust unit.
상기 생존모듈은,
연결선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인출을 위한 콘센트(421) 및 단자대(420)를 구비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rvival module comprises:
And an outlet (421) and a terminal block (420) for withdrawing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생존모듈은,
대피방향의 지시를 위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rvival module comprises: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n escape direction.
상기 생존모듈은,
산소분배기(411) 및 산소분배기와 산소공급라인(412)을 통하여 연결되어 생존을 위한 산소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생존마스크(500)를 구비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rvival module comprises:
And at least one survival mask (500) connected through an oxygen distributor (411) and an oxygen distributor and an oxygen supply line (412) to supply oxygen for survival.
상기 생존모듈은,
관내의 영상정보를 복합제어부로 송신하는 카메라와 외부의 음향정보를 수신하는 스피커부를 구비하는 연동형 관내 복합 환기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rvival module comprises:
And a loudspeaker unit for receiving external acoustic information from a camera f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in the tube to the composite control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773A KR101840682B1 (en) | 2016-05-03 | 2016-05-03 | Linked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pip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773A KR101840682B1 (en) | 2016-05-03 | 2016-05-03 | Linked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pipe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2796A Division KR20170115308A (en) | 2016-04-07 | 2016-04-07 | Complex safety system of pip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5418A KR20170115418A (en) | 2017-10-17 |
KR101840682B1 true KR101840682B1 (en) | 2018-05-04 |
Family
ID=6029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4773A KR101840682B1 (en) | 2016-05-03 | 2016-05-03 | Linked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pip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068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06099A1 (en) * | 2022-06-29 | 2024-01-04 | Rescue Air Systems, Inc. | Method and system of air parameter based automatic purging of breathable air within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
WO2024006336A1 (en) * | 2022-06-29 | 2024-01-04 | Rescue Air Systems, Inc. | Method, device and system of a block subassembly integrated with routing and piping elements associated with breathable air supplied to a component of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4842A (en) * | 2000-01-28 | 2001-07-31 | Nohmi Bosai Ltd | Fire hydrant device |
JP2014136907A (en) * | 2013-01-17 | 2014-07-28 |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 Ventilation equipment for tunnel |
KR101439597B1 (en) * | 2012-06-01 | 2014-09-11 | 이성록 | Venti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nderground Tunnel |
-
2016
- 2016-05-03 KR KR1020160054773A patent/KR101840682B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4842A (en) * | 2000-01-28 | 2001-07-31 | Nohmi Bosai Ltd | Fire hydrant device |
KR101439597B1 (en) * | 2012-06-01 | 2014-09-11 | 이성록 | Venti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nderground Tunnel |
JP2014136907A (en) * | 2013-01-17 | 2014-07-28 |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 Ventilation equipment for tunne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06099A1 (en) * | 2022-06-29 | 2024-01-04 | Rescue Air Systems, Inc. | Method and system of air parameter based automatic purging of breathable air within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
WO2024006336A1 (en) * | 2022-06-29 | 2024-01-04 | Rescue Air Systems, Inc. | Method, device and system of a block subassembly integrated with routing and piping elements associated with breathable air supplied to a component of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
WO2024006100A1 (en) * | 2022-06-29 | 2024-01-04 | Rescue Air Systems, Inc. |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 switching between sources of breathable air in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air parameter based automatic purging of a compromised form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5418A (en) | 2017-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4821B1 (en) | Gas type fire-fighting apparatus for a ship with double detective function | |
KR101088341B1 (en) | A double direction ventilation system for tunnel and method for it | |
KR101840682B1 (en) | Linked complex ventilation system of pipes | |
CN112494871A (en) | Intelligent fire-fighting system for highway tunnel | |
KR20170115308A (en) | Complex safety system of pipes | |
JPH109692A (en) | Air conditioner | |
JP2006348696A (en) | Ventilating method and ventilator | |
CN109139078A (en) | A kind of tunnel ventilation smoke evacuation system | |
KR101613569B1 (en) | A ventilating apparatus with heat exchanger and a ventilating method therewith | |
JP5006834B2 (en) | Tunnel ventilation method and tunnel ventilation device | |
CN102561789B (en) | Fireproof ventilated building | |
US20170338130A1 (en) | Ion implanter comprising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 |
KR20120108316A (en) | Locally controled ventilation duct system provided with fire detector and opening/closing apparatus | |
CN105604597A (en) | Intelligent exhaust system | |
KR20150059419A (en) | Air handling unit and hvac comprising the same | |
CN207437115U (en) | A kind of underground railway tunnel fire ventilation smoke extraction system | |
CN206745788U (en) | A kind of fire-fighting system of vcehicular tunnel | |
CN109028437B (en) | Cooling and ventilating device for basement of coke oven | |
KR20170103590A (en) | System and method for ventilation and rehabilitation of superannuated pipes | |
CN115959277A (en) | Ship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2002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ventilation and rehabilitation of superannuated pipes | |
JP2008095982A (en) | Air cleaning system | |
JP5328098B2 (en) | Building ventilation system | |
CN204932656U (en) | A kind of integrated form note nitrogen control oxygen firebreak device | |
KR100717772B1 (en) | Impulse ventilation system for vacating smoke or poison g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