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586B1 - 퓨즈 일체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퓨즈 일체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586B1
KR101840586B1 KR1020170013520A KR20170013520A KR101840586B1 KR 101840586 B1 KR101840586 B1 KR 101840586B1 KR 1020170013520 A KR1020170013520 A KR 1020170013520A KR 20170013520 A KR20170013520 A KR 20170013520A KR 101840586 B1 KR101840586 B1 KR 10184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asing
lead
cable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수
Original Assignee
전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수 filed Critical 전현수
Priority to KR102017001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9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integral with the terminal, e.g. pin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는 내부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내장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인입케이블과 전원이 인출되는 인출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측은 상기 인입케이블의 인입케이블메일부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출케이블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와 결합되어 연결되며,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퓨즈를 통해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퓨즈가 내장되는 커넥터바디와; 상기 케넥터의 내부에 삽입 내장되어 전선로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단락이 되며, 일정 허용 전압과 일정 허용 전류를 갖는 퓨즈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바디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부와; 구리선과 주석판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상기 인입케이블 및 퓨즈에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로 통전시키며, 상기 퓨즈 및 인출케이블과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에서 상기 인출케이블로 통전시키는 도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부에는 상기 퓨즈가 파열되어 단선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는 LED 표시램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내부에 퓨즈를 내장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 자체에 퓨즈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태양광 모듈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외부 케이블과의 결합이 용이하며,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어도 내부로 수분이 스며들지 않는 방수성이 있어 내구성이 높고, 퓨즈가 파열 시 알 수 있으며, 커넥터의 교체 없이도 퓨즈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퓨즈 일체형 커넥터{Fuse Integral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내부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내장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인입케이블과 전원이 인출되는 인출케이블을 연결시키는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한 전력을 축전지로 축전하기 위하여 태양광 모듈에서 인출되는 케이블과 축전지로 가는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내부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내장되는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모듈과 같은 장치에서 전력을 생산하면 축전지에 저장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태양광 모듈에서 축전지까지 전력을 이송하는 케이블(전선로)이 필요하며, 태양광 모듈의 출력선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대는 많은 커넥터가 필요하다.
상기 태양광 발전 시에는 태양광 모듈이 무수히 많으므로 케이블과의 연결이 쉬어야 하며 단선되었는지 알 수 있어야 발전시설을 운영하기 쉽다.
종래에도 저전압용 기존 케이블 퓨즈 커넥터(5)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퓨즈(11)의 전후로 인입선(54)을 연결하기 위하여 인입선삽입홈(531)을 갖는 접속단자(53)가 있고 커넥터몸체(52)의 내부에 퓨즈(51)가 일체 형성하여 상기 퓨즈(51)가 단락되면 인입선(54)을 절단 후 새로운 케이블 퓨즈 커넥터(5)로 교환하기 위하여 인입선(54)의 피복을 소정 길이 박리시킨 후 인입선삽입홈(531)에 인입선(54)을 끼움시킨 후 기존 케이블 퓨즈 커넥터(5) 외부에서 인입선삽입홈(531) 외부를 압착시켜 연결을 한 후 절연용 커버(531)를 피복하였다.
그로 인해 인입선(54)는 퓨즈(51) 교환을 대비하여 여유를 두고 배선을 행하여야 하므로 케이블의 낭비가 심하고, 또한 퓨즈(51) 교환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워 초보자는 손쉽게 교환이 불가능한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한 전력을 축전지로 축전하기 위하여 태양광 모듈에서 인출되는 케이블과 축전지로 가는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필요하며, 이때 내부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내장되면 상기 태양광 모듈에 퓨즈가 필요하지 않아 태양광 모듈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과 같이 많은 케이블을 연결할 때는 결합의 용이성이 필요하며, 외부에 설치할 때는 방수성과 내구성이 문제가 된다.
또한, 상기 퓨즈는 고장났거나 파괴된 경우 교체할 수 있어야 케이블을 다시 결합하거나 커넥터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이점이 많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09-0010733 (공개일자 : 2009년 10월 21일) 케이블 퓨즈 커넥터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52903 (등록일자 : 2002년 09월 03일) 전선퓨즈 삽입접속금구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16425 (공개일자 : 2016년 10월 10일) 퓨즈를 구비한 단자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18514 (등록일자 : 2013년 10월 08일) 퓨즈 커넥터 조립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퓨즈가 내장되고, 양단에 인입케이블 및 인출케이블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가지며, 퓨즈가 단선되었을 때 표시램프가 켜져 단선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퓨즈 교체가 용이하고, 방수성을 가져 외기에 노출하여 설치하여도 내구성이 있는 퓨즈 일체형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는 내부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내장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인입케이블과 전원이 인출되는 인출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측은 상기 인입케이블의 인입케이블메일부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출케이블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와 결합되어 연결되며,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퓨즈를 통해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퓨즈가 내장되는 커넥터바디와; 상기 케넥터의 내부에 삽입 내장되어 전선로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단락이 되며, 일정 허용 전압과 일정 허용 전류를 갖는 퓨즈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바디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부와; 구리선(Copper Rod)과 주석판(Tin-Plated)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상기 인입케이블 및 퓨즈에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로 통전시키며, 상기 퓨즈 및 인출케이블과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에서 상기 인출케이블로 통전시키는 도체부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부의 일단에는 상기 인입케이블의 인입케이블메일부와 연결될 수 있게 인입케이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부의 타단에는 상기 인출케이블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와 연결될 수 있게 인출케이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가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과; 상기 피메일케이싱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어 원터치로 결합되며, 상기 메일결합부가 형성되는 메일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체부는 상기 피메일케이싱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의 퓨즈도체부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케이블이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 도체부와; 상기 메일케이싱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의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출케이블이 결합되는 메일케이싱 도체부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부에는 상기 퓨즈가 파열되어 단선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는 LED 표시램프가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케이싱 도체부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의 도체가 연결되는 일정 직경을 갖는 로드 형상의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와; 일단 중앙부분이 상기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에 결합되며, 타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 일단의 퓨즈도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에서 상기 퓨즈로 전원이 통전되며,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막혀있는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로 구성된다.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는 상기 퓨즈 타단의 퓨즈도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퓨즈에서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로 전원이 통전되며,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막혀있는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와;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의 일단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의 도체부가 삽입되어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에서 상기 인출케이블로 전원이 통전되는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로 구성된다.
상기 피메일케이싱은 상기 인입케이블의 인입케이블메일부와 결합되며,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의 도체부분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로드도체부의 일단이 내부로 노출되는 인입케이블 결합부와;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의 일단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로드도체부가 내부 중앙으로 통과하고, 상기 메일케이싱에 삽입 시 일정 위치로 가이드되어 상기 메일케이싱과 원터치 결합되는 메일케이싱 결합부와;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퓨즈의 퓨즈도체부가 삽입되는 퓨즈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퓨즈 결합부에는 오링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의 외면을 타고 상기 메일케이싱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피메일오링이 설치된다.
상기 메일케이싱은 내부에 중공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퓨즈가 삽입된 상기 퓨즈결합부와 메일케이싱 결합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가 설치되어 상기 퓨즈의 퓨즈도체부가 삽입되는 퓨즈삽입 원통부와; 상기 퓨즈삽입 원통부의 일단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케이블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와 원터치 결합되는 인출케이블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인출케이블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와 원터치 결합되는 인출케이블피메일 걸림부와;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의 도체부분이 삽입되는 인출케이블도체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퓨즈삽입 원통부에는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의 걸림부의 걸림돌기가 걸릴 수 있게 4각 형상의 4각걸림홀과, 상기 피메일케이싱이 상기 메일케이싱으로 삽입 시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에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의 걸림부분이 통과하며 4각형 형상이고 2개인 걸림부분 4각통과홀과,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의 도체부분이 삽입되는 도체삽입홀과,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의 걸림부분이 걸리는 2개소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에는 상기 4각걸림홀에 걸리며, 말단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이 상기 메일케이싱으로 삽입 시 삽입 위치를 지정해주는 일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퓨즈 결합부에는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의 설치를 위한 원통도체 설치중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퓨즈 일체형 커넥터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내부에 퓨즈를 내장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 자체에 퓨즈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태양광 모듈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외부 케이블과의 결합이 용이하며,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어도 내부로 수분이 스며들지 않는 방수성이 있어 내구성이 높고, 퓨즈가 파열 시 알 수 있으며, 커넥터의 교체 없이도 퓨즈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퓨즈 커넥터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 사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의 제1실시예 전체 조립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의 제2실시예 조립 및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커넥터바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케이싱부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도체부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피메일케이싱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메일케이싱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퓨즈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일체형 커넥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기존의 퓨즈 커넥터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 사용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의 제1실시예 전체 조립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의 제2실시예 조립 및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커넥터바디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케이싱부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도체부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피메일케이싱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메일케이싱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른 퓨즈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C)는 내부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2)가 내장되고 주로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광 모듈에서 전원이 인입되는 인입케이블(A)과 전원이 인출되는 인출케이블(B)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퓨즈(2) 내에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다이오드(Diode)가 설치되어 전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C)의 일단에는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넥터(C)는 일측은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결합되어 연결되며, 일체형으로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퓨즈(2)를 통해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퓨즈(2)가 내장되는 커넥터바디(1)와; 상기 커넥터바디(1)의 내부에 삽입 내장되어 선로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단락이 되며, 일정 허용 전압과 일정 허용 전류를 갖는 상기 퓨즈(2)로 구성된다.
태양광 모듈에 상기 커넥터(C)를 사용할 때의 상기 퓨즈(2)는 상기 퓨즈(2) 내부에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다이오드(Diode)가 설치되어 전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바디(1)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외형을 이루며 일체형인 케이싱부(11)와; 구리선(Copper Rod)과 주석판(Tin-Plated)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부(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상기 인입케이블(A) 및 퓨즈(2)에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로 통전시키며, 상기 퓨즈(2) 및 인출케이블(B)과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에서 상기 인출케이블(B)로 통전시키는 도체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부(11)의 일단에는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부(11)의 타단에는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는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부(11)에는 상기 퓨즈(2)가 파열되어 단선 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는 LED 표시램프(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LED 표시램프(3)는 상기 퓨즈(2) 전후에서 전원을 따고 LED와 저항을 설치하는 방법이거나,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퓨즈(2)가 파열되어 단선 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게 한다.
외부로 노출되는 LED는 적색 불이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LED를 통하여 수분이 내부로 침입되지 않도록 도 9에 표시된 LED 표시램프 설치홈(11214)과 LED 사이를 방수제로 적절히 밀폐시켜야 한다.
제1실시예의 상기 커넥터바디(1)는 일체형으로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고 상기 퓨즈(2)를 교환할 수 없으며, 오직 상기 인입케이블(A) 및 인출케이블(B)와 쉽게 결합할 수 있게 제작되어, 과전류가 거의 흐를 수 없고, 외부 환경이 열악하여 일체형이 적합하며, 비교적 전압이 낮고, 전류가 적게 흐르는 곳에 적합하다.
상기 케이싱부(11)는 외부는 절연체인 PPE(Polyphenylene Ether)와 TPE(Thermo Plastic Elastomer])의 혼합 조성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기 온도 -40℃ ~ +85℃에서 사용 가능하여야 하며, 최대 사용온도는 110℃ 이다.
상기 도체부(12)는 상기 퓨즈(2)나 케이블의 도선이 삽입되는 부분은 주석판(Tin-Plated)으로 제작되고, 원통부분에 삽입되는 도체부분(도 3에서 좌측의 도체부(12) 부분) 은 구리선(Copper Rod)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커넥터(C)는 일측은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결합되어 연결된다.
제2실시예의 커넥터(C)는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 타입으로 상기 퓨즈(2)를 교체할 수 있고,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퓨즈(2)를 통해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퓨즈(2)가 내장되는 커넥터바디(1)와; 상기 커넥터바디(1)의 내부에 삽입 내장되어 선로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단락이 되며, 일정 허용 전압과 일정 허용 전류를 갖는 상기 퓨즈(2)로 구성된다.
태양광 모듈에 상기 커넥터(C)를 사용할 때의 상기 퓨즈(2)는 상기 퓨즈(2) 내부에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다이오드(Diode)가 설치되어 전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바디(1)는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고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부(11)와; 구리선(Copper Rod)과 주석판(Tin-Plated)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부(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상기 인입케이블(A) 및 퓨즈(2)에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로 통전시키며, 상기 퓨즈(2) 및 인출케이블(B)과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에서 상기 인출케이블(B)로 통전시키는 도체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부(11)는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일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2)가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111)과;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어 원터치로 결합되며,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되는 메일케이싱(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체부(12)는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2)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케이블(A)이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 도체부(121)와; 상기 메일케이싱(11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2)의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출케이블(B)이 결합되는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부(11)의 일단에는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부(11)의 타단에는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는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부(11)에는 상기 퓨즈(2)가 파열되어 단선 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는 LED 표시램프(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LED 표시램프(3)는 상기 퓨즈(2) 전후에서 전원을 따고 LED와 저항을 설치하는 방법이거나,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퓨즈(2)가 파열되어 단선 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게 한다.
외부로 노출되는 LED는 적색 불이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LED를 통하여 수분이 내부로 침입되지 않도록 도시된 LED 표시램프 설치홈(11214)과 LED 사이를 방수제로 적절히 밀폐시켜야 한다.
제2실시예의 상기 커넥터바디(1)는 분해 조립할 수 있는 분리형으로 피메일오링(1114)가 형성되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고 상기 퓨즈(2)를 교환할 수 있으며, 외부의 환경이 비교적 열악하지 않는 곳에 분리형이 적합하며, 비교적 전압이 높고, 일정 전류 이상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곳에 적합하다.
상기 케이싱부(11)는 외부는 절연체인 PPE(Polyphenylene Ether)와 TPE(Thermo Plastic Elastomer])의 혼합 조성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기 온도 -40℃ ~ +85℃에서 사용 가능하여야 하며, 최대 사용온도는 110℃ 이다.
상기 피메일케이싱 도체부(121)의 좌측부분은 원통부분에 삽입되는 도체부분이므로 구리선(Copper Rod)로 제작되고, 우측부분은 상기 퓨즈(2)가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주석판(Tin-Plated)으로 제작된다.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는 좌측부분은 상기 퓨즈(2)가 삽입되고, 우측부분은 케이블의 도선이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주석판(Tin-Plated)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커넥터바디(1)는 일측은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결합되어 연결되며,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퓨즈(2)를 통해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퓨즈(2)가 내장되며,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부(11)와; 구리선(Copper Rod)과 주석판(Tin-Plated)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부(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상기 인입케이블(A) 및 퓨즈(2)에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로 통전시키며, 상기 퓨즈(2) 및 인출케이블(B)과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에서 상기 인출케이블(B)로 통전시키는 도체부(12)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케이싱부(11)는 일측은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결합되어 연결되며,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퓨즈(2)를 통해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퓨즈(2)가 내장되며,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일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2)가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111)과;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어 원터치로 결합되며,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되는 메일케이싱(112)으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도체부(12)는 구리선(Copper Rod)과 주석판(Tin-Plated)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부(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상기 인입케이블(A) 및 퓨즈(2)에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로 통전시키며, 상기 퓨즈(2) 및 인출케이블(B)과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에서 상기 인출케이블(B)로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2)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케이블(A)이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 도체부(121)와; 상기 메일케이싱(11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2)의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출케이블(B)이 결합되는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피메일케이싱 도체부(121)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도체부분이 연결되는 일정 직경을 갖는 로드 형상의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1211)와; 일단 중앙부분이 상기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1211)에 결합되며, 타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2) 일단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1211)에서 상기 퓨즈(2)로 전원이 통전되며,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막혀있는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로 구성된다.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는 상기 퓨즈(2) 타단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어 상기 퓨즈(2)에서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로 전원이 통전되며,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막혀있는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와;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의 일단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의 도체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122)에서 상기 인출케이블(B)로 전원이 통전되는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로 구성된다.
상기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1211)는 원통부분에 삽입되는 도체부분이므로 구리선(Copper Rod)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는 상기 퓨즈(2)가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주석판(Tin-Plated)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는 상기 퓨즈(2)가 삽입되는 도체부분이므로 주석판(Tin-Plated)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는 케이블의 도선이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주석판(Tin-Plated)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 및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는 상기 퓨즈(2)가 삽입되거나 케이블의 도선이 삽입되기 쉽게 플랙서블하고 삽입 후 서로 접촉이 잘되도록 빈부분(12121, 12211, 12221)이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케이싱 도체부(121)와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는 각각 상기 피메일케이싱(111)과 메일케이싱(112) 사출 시 미리 넣어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피메일케이싱(111)과 메일케이싱(112) 제작 시 같이 제작하거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은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일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2)가 결합되며,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결합되며,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도체부분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로드도체부(1211)의 일단이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와;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의 일단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로드도체부(1211)가 내부 중앙으로 통과하고, 상기 메일케이싱(112)에 삽입 시 일정 위치로 가이드되어 상기 메일케이싱(112)과 원터치 결합되는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와;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퓨즈(2)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는 퓨즈 결합부(1113)로 구성된다.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은 외부는 절연체인 PPE(Polyphenylene Ether)와 TPE(Thermo Plastic Elastomer])로 혼합 조성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기 온도 -40℃ ~ +85℃에서 사용 가능하여야 하며, 최대 사용온도는 110℃ 이다.
상기 퓨즈 결합부(1113)에는 오링 결합홈(11131)이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의 외면을 타고 상기 메일케이싱(112)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피메일오링(1114)이 설치된다.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에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걸림부분이 통과하며 4각형 형상이고 2개인 걸림부분 4각통과홀(11111)과,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도체부분이 삽입되는 도체삽입홀(11112)과,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걸림부분이 걸리는 2개소의 걸림턱(11113)이 형성된다.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에는 상기 4각걸림홀(11212)에 걸리며, 말단에 상기 걸림돌기(111211)가 형성되는 걸림부(11121)와, 상기 가이드홈(11213)에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이 상기 메일케이싱(112)으로 삽입 시 삽입 위치를 지정해주는 일자형의 가이드돌기(11122)가 형성된다.
상기 퓨즈 결합부(1113)에는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의 설치를 위한 원통도체 설치중공(11132)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메일케이싱(112)은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어 원터치로 결합되며,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된다.
상기 메일케이싱(112)은 내부에 중공(1121)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퓨즈(2)가 삽입된 상기 퓨즈 결합부(1113)와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가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가 설치되어 상기 퓨즈(2)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는 퓨즈삽입 원통부(1121)와; 상기 퓨즈삽입 원통부(1121)의 일단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원터치 결합되는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로 구성된다.
상기 메일케이싱(112)은 외부는 절연체인 PPE(Polyphenylene Ether)와 TPE(Thermo Plastic Elastomer])로 혼합 조성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기 온도 -40℃ ~ +85℃에서 사용 가능하여야 하며, 최대 사용온도는 110℃ 이다.
상기 퓨즈삽입 원통부(1121)에는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의 걸림부(11121)의 걸림돌기(111211)가 걸릴 수 있게 4각 형상으로 된 4각걸림홀(11212)과,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이 상기 메일케이싱(112)으로 삽입 시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1213)이 형성되어,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가 일정 방향으로 삽입되고, 다른 방향으로 삽입시키면 상기 4각걸림홀(11212)에 상기 걸림돌기(111211)가 걸리지 않게 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111)과 메일케이싱(112)를 결합시킬 수 없다.
상기 퓨즈삽입 원통부(1121)에는 상기 상기 퓨즈(2)가 파열되어 단선 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는 LED 표시램프(3)가 설치되는 LED 표시램프 설치홈(11214)가 설치되며, 상기 LED를 통하여 수분이 내부로 침입되지 않도록 상기 LED 표시램프 설치홈(11214)과 LED 사이를 방수제로 적절히 밀폐시켜야 한다.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는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원터치 결합되는 인출케이블피메일 걸림부(112221)와;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의 도체부분이 삽입되는 인출케이블도체 결합부(11222)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케이블도체 결합부(11222)에는 메일오링 결합홈(112221)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연결될 때에 수분이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일오링(11223)이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퓨즈(2)는 상기 커넥터바디(1)의 내부에 삽입 내장되어 선로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단락이 되며, 일정 허용 전압과 일정 허용 전류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퓨즈도체부(21)가 형성된다.
태양광 모듈에 사용할 때의 상기 퓨즈(2)는 20A, 1000V DC 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퓨즈(2)의 사용 전류는 3~20A이다.
또한, 태양광 모듈에 상기 커넥터(C)를 사용할 때의 상기 퓨즈(2)는 상기 퓨즈(2) 내부에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다이오드(Diode)가 설치되어 전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퓨즈 일체형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내부에 퓨즈를 내장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 자체에 퓨즈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태양광 모듈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외부 케이블과의 결합이 용이하며,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어도 내부로 수분이 스며들지 않는 방수성이 있어 내구성이 높고, 퓨즈가 파열 시 알 수 있으며, 커넥터의 교체 없이도 퓨즈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 : 인입케이블 A1 : 인입케이블메일부
B : 인출케이블 B1 : 인출케이블피메일부
C : 커넥터
1 : 커넥터바디
11 : 케이싱부 111 : 피메일케이싱
1111 : 인입케이블 결합부 11111 : 걸림부분 4각통과홀
11112 : 도체삽입홀 11113 : 걸림턱
1112 : 메일케이싱 결합부 11121 : 걸림부
111211 : 걸림돌기 11122 : 가이드돌기
1113 : 퓨즈 결합부 11131 : 오링 결합홈
11132 : 원통도체 설치중공 1114 : 피메일오링
112 : 메일케이싱 1121 : 퓨즈삽입 원통부
11211 : 중공 11212 : 4각걸림홀
11213 : 가이드홈 11214 : LED 표시램프 설치홈
1122 : 인출케이블 결합부 11221 : 인출케이블피메일 걸림부
11222 : 인출케이블도체 결합부 112221 : 메일오링 결합홈
11223 : 메일오링 12 : 도체부
121 : 피메일케이싱 도체부 1211 :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
1212 :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 12121 : 빈부분
122 : 메일케이싱 도체부 1221 :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
12211 : 빈부분 1222 :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
12221 : 빈부분
2 : 퓨즈 21 : 퓨즈도체부
3 : LED 표시램프
5 : 기존 케이블 퓨즈 커넥터
51 : 퓨즈 52 : 커넥터몸체
521 : 투명 중앙부 53 : 접속단자
531 : 인입선삽입홈 54 : 인입선
55 : 절연용 커버

Claims (5)

  1. 내부에 과전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2)가 내장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인입케이블(A)과 전원이 인출되는 인출케이블(B)을 연결시키는 커넥터(C)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C)는 일측은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결합되어 연결되며,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퓨즈(2)를 통해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퓨즈(2)가 내장되는 커넥터바디(1)와;
    상기 커넥터바디(1)의 내부에 삽입 내장되어 선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단락이 되는 상기 퓨즈(2)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바디(1)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부(11)와;
    구리선(Copper Rod)과 주석판(Tin-Plated)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부(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원이 인입되는 상기 인입케이블(A) 및 퓨즈(2)에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로 통전시키며, 상기 퓨즈(2) 및 인출케이블(B)과 결합되어 전원을 상기 퓨즈(2)에서 상기 인출케이블(B)로 통전시키는 도체부(12)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부(11)의 일단에는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부(11)의 타단에는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연결될 수 있게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11)는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가 형성되며, 일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2)가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111)과;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의 일측이 내부로 삽입되어 원터치로 결합되며,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가 형성되는 메일케이싱(112)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체부(12)는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2)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입케이블(A)이 결합되는 피메일케이싱 도체부(121)와;
    상기 메일케이싱(11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퓨즈(2)의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인출케이블(B)이 결합되는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부(11)에는 상기 퓨즈(2)가 파열되어 단선 되었을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단선 시 램프가 켜지는 LED 표시램프(3)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케이싱 도체부(121)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도체부분이 연결되는 일정 직경을 갖는 로드 형상의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1211)와;
    일단 중앙부분이 상기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1211)에 결합되며, 타단의 내부로 상기 퓨즈(2) 일단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 로드도체부(1211)에서 상기 퓨즈(2)로 전원이 통전되며,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막혀있는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로 구성되며,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는 상기 퓨즈(2) 타단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어 상기 퓨즈(2)에서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122)로 전원이 통전되며,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막혀있는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와;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의 일단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의 도체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메일케이싱 도체부(122)에서 상기 인출케이블(B)로 전원이 통전되는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로 구성되고,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은 상기 인입케이블(A)의 인입케이블메일부(A1)와 결합되며,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도체부분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로드도체부(1211)의 일단이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와;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의 일단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로드도체부(1211)가 내부 중앙으로 통과하고, 상기 메일케이싱(112)에 삽입 시 일정 위치로 가이드되어 상기 메일케이싱(112)과 원터치 결합되는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와;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퓨즈(2)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는 퓨즈 결합부(1113)로 구성되며,
    상기 퓨즈 결합부(1113)에는 오링 결합홈(11131)이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의 외면을 타고 상기 메일케이싱(112)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피메일오링(1114)이 설치되고,
    상기 메일케이싱(112)은 내부에 중공(1121)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퓨즈(2)가 삽입된 상기 퓨즈 결합부(1113)와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가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21)가 설치되어 상기 퓨즈(2)의 퓨즈도체부(21)가 삽입되는 퓨즈삽입 원통부(1121)와;
    상기 퓨즈삽입 원통부(1121)의 일단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원터치 결합되는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로 구성되며,
    상기 인출케이블 결합부(1122)는 상기 인출케이블(B)의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원터치 결합되는 인출케이블피메일 걸림부(11221)와;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의 도체부분이 삽입되는 인출케이블도체 결합부(11222)로 구성되며,
    상기 퓨즈삽입 원통부(1121)에는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의 걸림부(11121)의 걸림돌기(111211)가 걸릴 수 있게 4각 형상으로 된 4각걸림홀(11212)과,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이 상기 메일케이싱(112)으로 삽입 시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1213)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케이블 결합부(1111)에는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걸림부분이 통과하며 4각형 형상이고 2개인 걸림부분 4각통과홀(11111)과,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도체부분이 삽입되는 도체삽입홀(11112)과, 상기 인입케이블메일부(A1)의 걸림부분이 걸리는 2개소의 걸림턱(11113)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케이싱 결합부(1112)에는 상기 4각걸림홀(11212)에 걸리며, 말단에 상기 걸림돌기(111211)가 형성되는 걸림부(11121)와, 상기 가이드홈(11213)에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케이싱(111)이 상기 메일케이싱(112)으로 삽입 시 삽입 위치를 지정해주는 일자형의 가이드돌기(11122)가 형성되며,
    상기 퓨즈 결합부(1113)에는 상기 피메일케이싱 원통도체부(1212)의 설치를 위한 원통도체 설치중공(1113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11)의 외부는 절연체인 PPE(Polyphenylene Ether)와 TPE(Thermo Plastic Elastomer])의 혼합 조성물로 제작되며,
    상기 인출케이블도체 결합부(11222)에는 메일오링 결합홈(112221)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케이블피메일부(B1)와 연결될 때에 수분이 상기 인출케이블 삽입도체부(1222)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일오링(112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일체형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13520A 2017-01-31 2017-01-31 퓨즈 일체형 커넥터 KR10184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20A KR101840586B1 (ko) 2017-01-31 2017-01-31 퓨즈 일체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20A KR101840586B1 (ko) 2017-01-31 2017-01-31 퓨즈 일체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586B1 true KR101840586B1 (ko) 2018-03-20

Family

ID=6191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520A KR101840586B1 (ko) 2017-01-31 2017-01-31 퓨즈 일체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8549A (zh) * 2019-03-09 2019-06-14 东莞市鸿顺电线有限公司 防反接电极、防反接电池插头、让多个电池进行放电的插头
KR20210154457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758911U (zh) * 2012-07-30 2013-02-27 东莞市新金阳光电科技有限公司 能更换保险丝、二极管的光伏连接器
JP2014515552A (ja) 2011-06-02 2014-06-30 クーパー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インライン・ヒューズ・ホルダ・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5552A (ja) 2011-06-02 2014-06-30 クーパー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インライン・ヒューズ・ホルダ・アセンブリ
CN202758911U (zh) * 2012-07-30 2013-02-27 东莞市新金阳光电科技有限公司 能更换保险丝、二极管的光伏连接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8549A (zh) * 2019-03-09 2019-06-14 东莞市鸿顺电线有限公司 防反接电极、防反接电池插头、让多个电池进行放电的插头
KR20210154457A (ko) *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장치
KR102374813B1 (ko) * 2020-06-12 2022-03-17 한국전력공사 전선 퓨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870B2 (en) Light string system
US7270468B2 (en) Lamp string
CN101858546B (zh) 嵌入式led照明装置
WO1998005055A1 (fr) Dispositif emetteur de lumiere, dispositif de douille et dispositif d'eclairage
KR101840586B1 (ko) 퓨즈 일체형 커넥터
ES2206816T3 (es) Conjunto de ventilador electrico para sistemas de aire acondicionado para vehiculos.
US7621771B2 (en)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receiver and a power source
CN215645337U (zh) 电插接件以及平板灯
US20130155662A1 (en) Modular Lighting System
WO2005001333A3 (en) Floodlight and spotlight adapter and enclosure
CN209183818U (zh) 一种新型焊锡环连接器
WO1985004053A1 (en) Electrical jack-plug
ES2882294T3 (es) Ensamblaje de conector eléctrico para una unidad de iluminación
CN218993311U (zh) 免焊灯带
CN217158871U (zh) 一种用于灯串连接的组装式防水公母插
CN219588740U (zh) 一种防短路的灯泡
CN213520518U (zh) 一种洁净灯快捷式接线结构
CN217903581U (zh) 一种安装便捷的hm组件防水接头
CN216431619U (zh) 一种灯具及采用该灯具的落地灯
CN201421857Y (zh) Led渔猎灯电池
CN209341204U (zh) 一种led条形灯连接器及led条形灯
US11469555B1 (en) Waterproof power plug and string light using the waterproof power plug
CN211289977U (zh) 一种组装式灯具
CN216850648U (zh) 防水型同轴转接器
CN211118841U (zh) 一种组装式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