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276B1 -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 Google Patents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276B1
KR101839276B1 KR1020170167565A KR20170167565A KR101839276B1 KR 101839276 B1 KR101839276 B1 KR 101839276B1 KR 1020170167565 A KR1020170167565 A KR 1020170167565A KR 20170167565 A KR20170167565 A KR 20170167565A KR 101839276 B1 KR101839276 B1 KR 10183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nkle
reciprocating
modu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김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형 filed Critical 김도형
Priority to KR102017016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61H2001/0251Hip by moving the legs together later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는, 내부에 형성된 제1 공동(cavity)과, 상부면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 제1 공동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왕복 운동 모듈;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의 상기 결합 지지부에 지지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받침대; 및 내부에 형성된 제2 공동과, 상기 제1 개구와 인접하는 전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하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상부면와 상기 발목받침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와 결합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INDOOR EXERCISE EQUIPMENT HAVING BODY CORRECTION EFFECT,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AND CORE MUSCLE STRENGHTENING EFFECT}
본 발명은 실내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현대인들은 경직된 자세로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거나 일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척추기립근 등의 근력이 저하되고 척추나 고관절이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짐으로 인한 질병이 빈번히 발생 되고 있다.
이러한 질병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척추와 고관절 다리 등을 포함하는 온몸을 좌우로 움직이는 이른바 붕어운동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붕어운동을 통해 척추, 흉추, 요추 등이 교정되어 좌우 균형을 이루고 내장 하수가 원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모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0163141호(1999.12.15.공고)는 슬라이딩식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판면에 그 두께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볼이 판면을 관통하여 유격을 두고 판면에서 이탈되지 않게 배치된 볼판과, 상기 볼판 위에 상기 볼판에 탄성연결 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1 또는 2 이상의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이 배치되는 평활한 표면의 기판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붕어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만,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신체의 특정 부위에 힘을 주어 움직임을 발생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부피가 커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0163141호(1999.12.15.공고) “슬라이딩식 전신운동기구” 한국등록특허 제1171881호(20121.08.07.공고) “전신운동기구”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골반 운동을 통해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운동기는, 내부에 형성된 제1 공동(cavity)과, 상부면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제1 공동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왕복 운동 모듈;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의 상기 지지부에 지지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받침대; 및 내부에 형성된 제2 공동과, 상기 제1 개구와 인접하는 전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하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발목받침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와 결합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본체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공동의 측면을 형성하는 중앙 케이스;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케이스의 상기 상부면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되, 상기 상부 본체의 상기 제2 공동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본체가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 및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중앙 케이스의 상기 하부면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되, 상기 하부 본체의 무게 중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량부재와, 상기 돌출 고정부들에 대응하여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들과, 상기 결합홀들에 결합되는 복수의 러버패킹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홀들은 상기 돌출 고정부들이 연장되는 연장선들 상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본체는, 상부면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을 향해 함몰 형성된 손잡이홈; 상기 손잡이홈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형성된 2개의 손잡이홀들; 및 상기 손잡이홀들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가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상기 손잡이의 본체는 홈 내에 위치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내 운동기는, 상기 상부 본체의 상기 전면과 대면하는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발목받침대를 향하여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원적외선 램프; 및 상기 발목받침대와 상기 원적외선 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적외선 램프를 커버하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상에 상기 발목받침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하는 램프 커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은, 회전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운동력에 기초하여 회전 운동하며, 원주면으로부터 중심축을 향해 함몰 형성되되 원주면을 따라 폐쇄루프를 형성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일부 영역의 깊이는 상기 가이드홈의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른 주동절; 및 상기 주동절의 상기 가이드홈에 링크되고 상기 주동절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종동절을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동절이 상기 가이드홈의 상기 일부 영역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는 일시적으로 수직 운동하며, 상기 발목받침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목을 수직 방향으로 자극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왼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은,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종동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왼발에 의한 제1 하중을 측정하는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2 지지대 및 상기 종동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오른발에 의한 제2 하중을 측정하는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은, 상기 주동절을 지지하되, 상기 주동절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절하거나, 상기 주동절의 상기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기 주동절의 배치 방향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1 하중 및 상기 제2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종동절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를 통해 상기 주동절의 상기 위치 및 상기 배치 방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내 운동기는, 상기 제1 하중, 상기 제2 하중,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의 구동 시간 및 상기 구동 시간 동안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의 구동 강도를 포함하는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1 하중 및 상기 제2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이력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이력은 외부의 분석 모듈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 검사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에 이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운동기는, 왕복 운동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골반 운동(또는, 붕어 운동, 체형 밸런스 운동)을 제공하고, 적외선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족욕 기능(또는, 건식 족욕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 교정, 순환 기능 개선 및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사용자 단말 등과 연동되어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운동기는 하부 본체를 중앙 케이스,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로 구성하여 실내 운동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본체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고, 손잡이, 거치홈 등을 구비하는 상부 본체를 통해 실내 운동기의 이동성, 사용자 이용 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내 운동기는, 주동절(412), 종동절(421)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왕복 운동 모듈을 통해 발목받침대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동절에 형성된 가이드홈(또는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홈)의 일부 영역의 깊이를 다른 영역의 깊이와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펌핑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혈액 순환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운동기는 주동절과 종돌절을 링크하되 위치 가변성을 가지는 링크 구성과, 구동부의 수평면 상에서의 회전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범위(또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범위)를 조절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운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 운동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램프 커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왕복 운동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왕복 운동 모듈에 포함된 주동절의 가이드 홈의 깊이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왕복 운동 모듈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왕복 운동 모듈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왕복 운동 모듈에 포함된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실내 운동기가 적용된 헬스 케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헬스 케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운동 이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운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내 운동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램프 커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100)(이하, “실내 운동기”라 함)는 누운 상태인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골반을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어 주어 체형 밸런스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실내 운동기(100)는 사용자의 발(또는, 발목)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켜 주고, 이 경우, 사용자의 골반을 중심으로 하체가 좌우로 흔들리고, 이에 의한 반동으로 사용자의 상체 또한 좌우로 흔들리게 되어, 사용자에게 체형 밸런스 운동 또는 붕어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실내 운동기(100)는 하부 본체(110), 왕복 운동 모듈(120), 발목받침대(130)(또는, 웨이브 보드) 및 상부 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운동기(100)는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사용자에게 족욕 기능을 제공하는 적외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본체(110)는 내부에 형성된 제1 공동(cavity)(또는, 빈 공간)와, 상부면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개구(opening)(HOLE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HOLE1)는 후술하는 지지부(즉, 발목받침대(130)를 지지하며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지지부)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충분한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하부 본체(110)의 제1 공동과 외부를 연통하며, 하부 본체(110)의 전방(즉,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왕복 운동 모듈(120)은 하부 본체의 제1 공동에 배치되되, 제1 개구(HOLE1)를 통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또는,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왕복 운동 모듈(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발목받침대(130)는 하부 본체(110)의 상부면으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되, 왕복 운동 모듈(120)의 지지부에 지지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목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발목받침대(130)는 사용자의 발목을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면이 W 형상의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본체(140)는 내부에 형성된 제2 공동과, 전면(즉, 하부 본체(110)의 제1 개구(HOLE1)와 인접하는 전면)에 형성된 제2 개구(HOLE2)를 포함하고, 하부면이 개방되어 하부 본체(110)의 상부면과 발목받침대(130)를 커버하도록 하부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개구(HOLE2)는 사용자의 발이 실내 운동기(110) 내부로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부 본체(140)는 하부 본체(110)의 상부면과 함께 제2 공동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발이 제2 공동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본체(14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제2 공동, 즉,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적외선 모듈(150)의 족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본체(110)는, 중앙 케이스(111), 상부 케이스(112) 및 하부 케이스(113)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케이스(111)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하부 본체(110)의 제1 공동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2)는 제1 개구(HOLE1)를 포함하며, 중앙 케이스(111)의 상부면을 커버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2)는 상부 본체(130)의 제2 공동에 삽입되어 하부 본체(110)를 기준으로 상부 본체(130)가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고정부(PROT_S)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3)는 판 형상을 가지고, 중앙 케이스(111)의 하부면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되, 하부 본체(110)의 무게 중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량부재(미도시)와, 돌출 고정부(PROT_S)들에 대응하여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H_B)들과, 결합홀(H_B)들에 결합되는 복수의 러버패킹(RU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홀(H_B)들은 돌출 고정부(PROT_S)들이 연장되는 연장선들 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체결 부재(예를 들어, 볼트)는 하부 방향에서, 결합홀(H_B)과 돌출 고정부(PROT_S)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부 본체(130)에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에 결합(예를 들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중량부재는 철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부 본체(110)의 하단 내부 또는 하부 케이스(113)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어, 실내 운동기(100)의 무게 중심을 낮추어, 실내 운동기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러버패킹(RUB)은 결합홀(H_B)을 커버함으로써, 하부 본체(110)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재질 특성상 하부 본체(110)(또는, 실내 운동기(100))의 흔들림과,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러버패킹(RU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운동기(100)의 무게 분포를 고려하여, 하부 케이스(113)의 하부면에 5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상부 본체(140)는 손잡이홈(G_H), 손잡이홀(H_H) 및 손잡이(HANDLE)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홈(G_H)는 상부면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홈(G_H)은 사용자의 손의 크기(또는, 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홀(H_H)은 손잡이홈(G_H)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홀(H_H)은 손잡이홈(G_H)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부 본체(140)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손잡이(HANDLE)은 손잡이홀(H_H)에 삽입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손잡이(HANDLE)은 일반적인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양단이 손잡이홀(H_H)에 삽입되며, 양단에는 별도의 이탈 방지 부재 등이 배치되어 손잡이(HANDLE)가 손잡이홀(H_H)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HANDLE)가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예를 들어,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손잡이(HANDLE)의 본체(즉, 사용자의 손에 잡혀지는 부분)은 홈 내에 위치하고, 손잡이(HANDLE)가 상부 본체(140)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노출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잡이(HANDLE)를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HANDLE)가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본체(140)는 상부 본체(140)의 상부면의 일측에(예를 들어, 전면측에, 또는 하부 본체(110)의 제1 개구(HOLE1)로부터 수직하는 축 상에) 형성된 거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홈에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이 삽입 거치될 수 있다. 거치홈 내에는 데이터 통신용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실내 운동기(100)(또는, 후술하는 제어부(712))와 사용자 단말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외선 모듈(150)은 원적외선 램프(151)와 램프 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램프(151)는 상부 본체(140)의 후면(즉, 전면과 대면하는 후면)에 배치되어 발목받침대를 향하여 원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다. 원적외선 램프(151)는 3단계 이상의 온도로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다. 원적외선 램프(151)는 사용자에게 건식 족욕을 제공할 수 있다.
램프 커버(152)는 발목받침대(130)와 원적외선 램프(151) 사이에 배치되어 원적외선 램프(151)를 커버하고, 커버 본체(3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커버(152)는 하부 본체(110)의 상부면에 적외선 모듈(150)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영역의 개구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램프 커버(152)의 커버 본체(31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되, 상부면에 메쉬 구조의 개구들을 포함하며, 개구들을 통해 원적외선 램프(151)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과 열이 상부 본체(140)의 제2 공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돌기(320)는 커버 본체(310) 상에 발목받침대를 향하여(또는, 커버 본체(310)의 상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호 등간격(및/또는, 등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램프 커버(152)는 신체가 원적외선 램프(15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램프 커버(152)의 돌기(320)는 접촉 방지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즉, 실내 운동기(110)의 안전성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램프 커버(152)와의 전체적인 형상을 통해 온도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운동기(100)는, 왕복 운동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골반 운동(또는, 붕어 운동, 체형 밸런스 운동)을 제공하고, 적외선 모듈(150)을 통해 사용자에게 족욕 기능(또는, 건식 족욕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 교정, 순환 기능 개선 및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사용자 단말 등과 연동되어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운동기(100)는 하부 본체(110)를 중앙 케이스(111), 상부 케이스(112), 하부 케이스(113)로 구성하여 실내 운동기(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 본체(140)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고, 손잡이(HANDLE), 거치홈 등을 구비하는 상부 본체(110)를 통해 실내 운동기(100)의 이동성, 사용자 이용 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내 운동기(100)는 왕복 운동 모듈(120)을 왕복 이동 속도를 3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당 약 210회, 분당 약 180회, 분당 약 140회의 3단계로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실내 운동기(100)는 원적외선 램프(151)를 3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적외선 램프(151)에 의한 제2 공동 내 온도를 약 44도, 약 41도, 약 38도 의 3단계로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운동기(100)는 별도의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을 구비하고, 리모컨을 이용하여 왕복 운동 모듈(120)의 이동 속도, 원적외선 램프(151)의 강도 등을 사용자의 일력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실내 운동기(100)는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여 왕복 운동 모듈(120)과 원적외선 램프(15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왕복 운동 모듈(120)의 구동시 15분이 경과하는 경우, 왕복 운동 모듈(12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왕복 운동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도 4a의 왕복 운동 모듈에 포함된 주동절의 가이드 홈의 깊이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 도 4d는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왕복 운동 모듈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왕복 운동 모듈(120)은 구동부(410) 및 지지부(420)를 포함하고, 구동부(410)는 모터(411)와 주동절(412)를 포함하며, 지지부(420)는 종동절(421)과 지지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왕복 운동 모듈(120)은 각 구성들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고정 구성들과, 각 구성들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 부재들(예를 들어, 기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10)와 지지부(420)는 개념적으로 구성요소들을 구분한 것으로, 구동부(410)와 지지부(420)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종동절(421)은 지지부(420)가 아닌 구동부(410)에 포함될 수 있다.
모터(411)는 회전 운동력을 발생시키며,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일반적인 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모터(41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그 속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단계로 구분되는 회전 속도를 가지고 동작할 수 있다.
주동절(412)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모터(411)의 회전 운동력에 기초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동절(412)은 그 중심축이 모터(412)의 회전축과 연결되거나, 복수의 기어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주동절(412)은 원주면으로부터 중심축을 향해 함몰 형성되되 원주면을 따라 폐쇄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 가이드홈(G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G1)의 제1 방향(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길이에 의해 지지부(420)의 왕복 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종동절(421)은 주동절(412)의 가이드홈(G1)에 링크되고 주동절(412)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또는, 제1 방향(D1))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주동절(412)은 가이드홈(G1)과 링크되는(또는, 가이드홈(G1)에 삽입되어 가이드홈(G1)을 따라 이동하는) 링크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축(423)은 주동절(412)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발목받침대(130)와 연결되거나, 발목받침대(130)를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주동절(412)이 모터(411)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도 4a에 도시된 ①의 경우), 링크부재(422)와 접촉하는 가이드홈(G1)의 수평 방향의 위치가 변경되며(예를 들어, 가장 좌측 지점에서 가장 우측 지점으로, 다시 가장 우측 지점에서 가장 좌측 지점으로, 제1 방향으로의 위치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 링크부재(422)를 포함하는 지지부(420)는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도 4a에 도시된 ②의 경우).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종동절(421)의 기 설정된 경로는 가이드 부재(430)와 이동 부재(424)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30)는 이동 가이드홈(G2)를 포함하는 레일로 구현되며, 구동부(410)와 지지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왕복 운동 모듈(120)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부재(424)(예를 들어, 롤러)는 이동 가이드홈(G2)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 부재(424)를 포함하는 지지부(420)(또는, 종동절(421))는 가이드 부재(430)에 의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주동절(412)의 가이드홈(G1)의 일부 영역(AP)의 깊이(DEPTH)는 가이드홈(G1)의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를 수 있다. 종동절(421)(또는, 링크 부재(422))이 가이드홈(G1)의 일부 영역(AP)과 접촉하는 경우, 지지부(420)는 일시적으로 수직 운동하며(즉, 제3 방향(D3)으로의 위치 변화를 가지며), 발목받침대(130)를 통해 사용자의 발목을 수직 방향(즉, 제3 방향(D3))으로 자극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홈(G1)의 깊이(DEPTH)의 변화를 이용하여, 실내 운동기는 펌핑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혈액 순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링크부재(422)와 접촉하는 가이드홈(G1)의 제1 방향의 위치(POSITION)와 가이드홈(G1)의 깊이(DEPTH) 간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그래프(GRAPH1)는 가이드홈(G1)의 깊이(DEPTH)가 전체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며(즉, 깊이(DEPTH)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 실내 운동기(100)는 펌핑 기능을 제외한 왕복 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그래프(GRAPH2)는 가이드홈(G1)의 깊이(DEPTH)가 제1 영역(AP1) 영역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감소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링크부재(422)가 제1 영역(AP1)과 접촉하는 경우, 실내 운동기(100)는 펌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영역(AP1)에서의 가이드홈(G1)의 깊이(DEPTH) 변화에 따라 펌핑 강도가 변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그래프(GRAPH2)는 가이드홈(G1)의 깊이(DEPTH)가 제2 영역(AP2) 영역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감소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제3 그래프(GRAPH3)의 제3 영역(AP3)은 제2 그래프(GRAPH2)의 제2 영역(AP2)에 비해 클 수 있다. 즉, 제3 영역(AP3)의 폭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실내 운동기(100)는 펌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c에서 일부 영역(AP)(또는, 제1 영역(AP1), 제2 영역(AP2))의 가이드홈(G1)(또는, 주동절(412))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영역의 가이드홈(G1)의 일측에 해당하거나, 상호 이격된 복수의 서브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d를 참조하면, 왕복 운동 모듈(120)은 도 4a에 도시된 주동절(412), 링크부재(422), 지지대(423)를 사용자의 양 발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왕복 운동 모듈(120)은 제1 및 제2 주동절(412-1, 412-2), 제1 및 제2 링크부재들(422-1, 422-2) 및 제1 및 제2 지지대들(423-1, 4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동절(412-1)의 제1 가이드홈(G11)의 제3 영역(AP3)의 깊이가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를 수 있으며, 제2 주동절(412-2)의 제2 가이드홈(G12)의 제4 영역(AP4)(즉, 제3 영역(AP3)에 대응되는 영역)의 깊이가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점에 사용자의 양발에 펌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주동절(412-1)의 제1 가이드홈(G11)의 제5 영역(AP5)의 깊이가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를 수 있으며, 제2 주동절(412-2)의 제2 가이드홈(G12)의 제6 영역(AP6)(즉, 제5 영역(AP5)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깊이가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상이한 시점들에서 사용자의 양발 각각에 펌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왕복 운동 모듈이 펌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동절(412)의 일부 영역(AP)의 깊이(DEPTH)를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르게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운동 모듈(120)이 가이드 부재(430)를 구비하는 경우, 이동 가이드홈(G2)에 내의 일부 영역의 깊이를 다른 영역과 다른 게 구현하여, 펌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왕복 운동 모듈(120)은 주동절(412), 종동절(421) 등의 구성을 통해 발목받침대(130)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동절(412)에 형성된 가이드홈(G1)(또는 가이드 부재(430)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홈(G2))의 일부 영역의 깊이를 다른 영역의 깊이와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펌핑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혈액 순환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실내 운동기에 포함된 왕복 운동 모듈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왕복 운동 모듈에 포함된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왕복 운동 모듈(120)은 링크 부재(510)를 제외하고, 도 4a에 도시된 왕복 운동 모듈(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왕복 운동 모듈(120)은 제1 및 제2 압력 센서들(531, 532)과 위치 조절부(440) 및 제어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부재(510)는 종동절(421)에 고정되지 아니하고, 종동절(421)에 형성된 가이드홀(H_G)을 따라 제2 방향(D2)(또는, 전후방향)으로 특정 범위(즉, 가이드홀(H_G)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 이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링크 부재(510)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후술하는 위치 조절부(440)에 의해 주동절(412)의 위치가 조절되더라도, 왕복 운동 모듈(120)은 제1 방향(D1)으로의 직선 왕복 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420)는 사용자의 왼발(또는, 오른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지지대(521) 및 사용자의 오른발(또는, 왼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 센서(531)는 제1 지지대(521)와 종돌절(421)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왼발에 의한 제1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압력 센서(532)는 제2 지지대(522)와 종돌절(421)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오른발에 의한 제2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압력 센서들(521, 522)는 다이어프램 등과 같은 소자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압력 센서들(521, 522)을 통해 측정된 제1 및 제2 하중들은 증폭기, 비교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미도시)를 통해 제어부(450)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체형(예를 들어, 양발/양다리가 균형을 이루는지 여부), 사용자의 운동 자세(예를 들어, 사용자의 골반을 기준으로 실내 운동기(100)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체형, 운동 자세에 의하여 제1 및 제2 하중들이 상호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실내 운동기(100)(또는, 실내 운동기(100)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는 제1 및 제2 하중들을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형의 불균형 여부를 판단하고 나아가 해당 체형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예를 들어, 밸런스 운동의 강도, 밸런스 운동의 좌우 각각의 이동폭 등)을 결정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운동 자세를 취하도록 별도의 출력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등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을 통해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위치 조절부(440)는 주동절(412)(또는, 구동부(410))를 지지하되, 주동절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수평 방향(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조절하거나(즉, 도 5에 도시된 ④의 경우), 주동절(412)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예를 들어, 제3 방향(D3)으로의 축)을 기준으로 주동절(412)의 배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수평 이동, 회전 기능을 제공하는 위치 조절 장치 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450)는 제1 및 제2 압력 센서들(531, 532)에서 측정된 제1 및 제2 하중들에 기초하여 종동절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위치 조절부(440)를 통해 주동절(412)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제1 및 제2 하중들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왼쪽으로 치우쳐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주동절(412)의 위치를 기준 지점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따라 왼쪽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조절부(440)는 주동절(412)(또는, 구동부(410))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부정확한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구동부(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제1 및 제2 하중들의 총합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결정하고(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하중들의 총합이 제1 기준치 내지 제2 기준치 사이인 경우 사용자를 성인 여자로 판단하거나, 제1 및 제2 하중들이 총합이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를 성인 남자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범위(즉, 발목받침대의 왕복 이동시, 그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를 구별하여, 사용자별로 적합한 운동 범위를 결정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조절부(440)의 동작에 따른 주동(412)(또는, 구동부(410))의 이동 범위(즉,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는 구동부(410)가 제1 방향(D1)에 평행하게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 종동절(421)의 링크부재(422)는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2 지점(P2)까지의 범위 내에서 제1 방향(D1)을 따라 왕복 이동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2 지점(P2)가지의 제1 거리(L1)는 주동절(412)에 형성된 가이드홈(G1)에 의해 고정된 값을 가지고 기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는 위치 조절부(440)가 구동부(410)를 수평면(즉,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제1 각도(ANG1)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구동부(410)가 제4 방향(D4)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종동절(421)의 링크부재(422)는 제3 지점(P3)으로부터 제4 지점(P4)까지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그 거리는 제1 거리(L1)와 동일하고, 제1 거리(L1)의 제1 방향(D1)으로의 성분은 제2 거리(L2) 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510)는 가이드홀(H_G)의 크기에 따라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주동절(412)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 성분은 종동절(421)의 왕복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링크 부재(510)의 위치 가변성과 구동부(410)의 회전을 통해, 운동 범위(예를 들어, 제1 거리(L1) 및 제2 거리(L2))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운동기(100)는 주동절(412)과 종돌절(421)을 링크하되 위치 가변성을 가지는 링크 구성과, 구동부(410)의 수평면 상에서의 회전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범위(또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범위)를 조절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실내 운동기가 적용된 헬스 케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헬스 케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운동 이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헬스 케어 시스템(700)은 실내 운동기(710), 분석 서버(720) 및 사용자 단말(7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운동기(710), 분석 서버(720) 및 사용자 단말(73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호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 운동기(7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내 운동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통신부(711)는 일반적인 통신 모듈(예를 들어, BLE, WiFi, 유선 통신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로 구현되고, 실내 운동기(710)에서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하중들, 운동 시작 시간, 운동 종료 시간, 운동 강도 등)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운동 강도 등을 정의하는 운동 프로그램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12)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4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 생성/수신된 데이터 등을 별도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시키고, 데이터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2)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왕복 운동 모듈(120)에서 측정된 제1 하중, 제2 하중, 왕복 운동 모듈(120)의 구동 시간 및 구동 시간 동안 왕복 운동 모듈(120)의 구동 강도를 포함하는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제1 하중 및 상기 제2 하중에 기초하여 사용 이력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관리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구분 정보, 무게 정보, 설정 정보, 이력 정보들을 포함하는 사용 이력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제어부(712)(또는, 후술하는 분석 서버(720))는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련 데이터를 저장/갱신/관리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구분 정보는 사용자를 상호 구별하는 정보로,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정보이거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712)에서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무게 정보는 사용자의 몸무게(W1), 양발에 의한 제1 및 제2 하중들(WL1, WR1) 등 일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결정된 설정 정보로서, 운동 범위, 운동 강도(또는, 구동 강도), 운동 프로그램 등일 수 있다. 이력 정보들은 실제 사용자가 이용한 운동 시간(D1)(또는, 구동 시작 시간, 구동 종료 시간), 운동 강도(S1), 운동 프로그램(P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관리되는 사용 이력은 외부의 분석 모듈(예를 들어, 분석 서버(720), 사용자 단말(73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 검사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또는, 상관관계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이력과 사용자의 신체 검사 결과와의 상관성은, 실내 운동기(710)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체형 교정의 효과 유무와, 이와 반대로, 특정 체형 교정 효과를 위한 운동 방법(또는, 운동 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일 수 있다.
분석 서버(720)는 실내 운동기(710)로부터 또는 사용자 단말(730)을 통해 사용 이력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신체 검사 결과(예를 들어, 헬스 케어 시스템(700)과 연동되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사용 이력을 분석하여, 이들간의 상관성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체형별(또는, 사용자 그룹별, 사용자의 목적별 등) 운동 프로그램을 도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30)은 실내 운동기(710) 등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30)은 데이터의 송수신, 데이터 가공을 위해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운동기가 적용된 헬스 케어 시스템(700)은 실내 운동기(710)의 실제 사용과 관련된 사용 이력 등을 저장/갱신/관리하고, 사용자의 신체 검사 결과와 사용 이력 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별로 최적의 운동 프로그램을 도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운동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실내 운동기
110: 하부 본체
111: 중앙 케이스
112: 상부 케이스
113: 하부 케이스
120: 왕복 운동 모듈
130: 발목받침대
140: 상부 본체
150: 적외선 모듈
151: 원적외선 램프
152: 램프 커버
410: 구동부
411: 모터
412: 주동절
412-1, 412-2: 제1 및 제2 주동절들
420: 지지부
421: 종동절
422: 링크 부재
422-1, 422-2: 제1 및 제2 링크 부재들
423: 지지대
423-1, 423-2: 제1 및 제2 지지대
424: 이동 부재
430: 가이드 부재
440: 위치 조절부
450: 제어부
510: 링크 부재
521, 522: 제1 및 제2 지지대들
531, 532: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
700: 헬스 케어 시스템
710: 실내 운동기
711: 통신부
712: 제어부
720: 분석 서버
730: 사용자 단말

Claims (6)

  1. 내부에 형성된 제1 공동(cavity)과, 상부면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제1 공동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왕복 운동 모듈;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의 상기 지지부에 지지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받침대; 및
    내부에 형성된 제2 공동과, 상기 제1 개구와 인접하는 전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하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발목받침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와 결합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공동의 측면을 형성하는 중앙 케이스;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케이스의 상기 상부면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되, 상기 상부 본체의 상기 제2 공동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본체가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 및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중앙 케이스의 상기 하부면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되, 상기 하부 본체의 무게 중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량부재와, 상기 돌출 고정부들에 대응하여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들과, 상기 결합홀들에 결합되는 복수의 러버패킹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홀들은 상기 돌출 고정부들이 연장되는 연장선들 상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는, 상부면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을 향해 함몰 형성된 손잡이홈; 상기 손잡이홈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형성된 2개의 손잡이홀들; 및 상기 손잡이홀들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가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경우 상기 손잡이의 본체는 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은,
    회전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운동력에 기초하여 회전 운동하며, 원주면으로부터 중심축을 향해 함몰 형성되되 원주면을 따라 폐쇄루프를 형성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일부 영역의 깊이는 상기 가이드홈의 다른 영역의 깊이와 다른 주동절; 및
    상기 주동절의 상기 가이드홈에 링크되고 상기 주동절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종동절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절이 상기 가이드홈의 상기 일부 영역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는 일시적으로 수직 운동하며, 상기 발목받침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목을 수직 방향으로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의 상기 전면과 대면하는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발목받침대를 향하여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원적외선 램프; 및
    상기 발목받침대와 상기 원적외선 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적외선 램프를 커버하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상에 상기 발목받침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하는 램프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왼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은,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종동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왼발에 의한 제1 하중을 측정하는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2 지지대 및 상기 종동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오른발에 의한 제2 하중을 측정하는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은,
    상기 주동절을 지지하되, 상기 주동절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절하거나, 상기 주동절의 상기 무게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기 주동절의 배치 방향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1 하중 및 상기 제2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종동절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를 통해 상기 주동절의 상기 위치 및 상기 배치 방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중, 상기 제2 하중,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의 구동 시간 및 상기 구동 시간 동안 상기 왕복 운동 모듈의 구동 강도를 포함하는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제1 하중 및 상기 제2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이력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이력은 외부의 분석 모듈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 검사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KR1020170167565A 2017-12-07 2017-12-07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KR10183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65A KR101839276B1 (ko) 2017-12-07 2017-12-07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65A KR101839276B1 (ko) 2017-12-07 2017-12-07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276B1 true KR101839276B1 (ko) 2018-03-15

Family

ID=6165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565A KR101839276B1 (ko) 2017-12-07 2017-12-07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82B1 (ko) * 2020-11-06 2021-01-19 와이.엘산업주식회사 골반기저근육 강화 케겔운동 및 족열 기능을 갖춘 전동식 척추교정 운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714B1 (ko) 1997-04-22 2004-05-07 이구선 온열안마기
JP2012120656A (ja) 2010-12-08 2012-06-28 Sanyo Electric Co Ltd マッサージ機
KR101774732B1 (ko) * 2017-02-16 2017-09-05 와이.엘산업주식회사 족열 및 좌욕 기능을 갖춘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714B1 (ko) 1997-04-22 2004-05-07 이구선 온열안마기
JP2012120656A (ja) 2010-12-08 2012-06-28 Sanyo Electric Co Ltd マッサージ機
KR101774732B1 (ko) * 2017-02-16 2017-09-05 와이.엘산업주식회사 족열 및 좌욕 기능을 갖춘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82B1 (ko) * 2020-11-06 2021-01-19 와이.엘산업주식회사 골반기저근육 강화 케겔운동 및 족열 기능을 갖춘 전동식 척추교정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326B1 (ko) 예측된 혈자리 위치의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안마 의자
CN205549366U (zh) 智能下体运动机
US10376738B2 (en) Physical therapy device for lower limbs and therapeutic methods thereof
KR20100105747A (ko) 타동 운동 기기
JP5122941B2 (ja) 立位式他動運動機器
KR101541356B1 (ko) 발끝치기 운동기구
KR20170002963U (ko) 전동 메트리스
US201800707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lligent mattress
US7335172B2 (en) Balancing and exercising device with vibrator
KR101839276B1 (ko) 골반 운동을 통한 체형 교정 및 순환기능 개선과 코어 근육 강화 효과를 가지며,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접목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
KR102044774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스텝퍼
CN111902193A (zh) 平衡板
WO2017050437A1 (en) Therapeutic device
KR102518813B1 (ko) 골반운동용 자동 및 반자동 어셈블리
US20180085284A1 (en) Device for applying stimulation to the foot or feet of a person
US6695796B1 (en) Chiropractic massage device
CN112739301A (zh) 用于执行振动训练的具有可调节的手柄的设备
KR101879973B1 (ko) 쿠션 모듈이 구비된 발목운동기구
CN108992865A (zh) 一种应用振动幅度感应器的振动器及应用其的健身装置
US20130035617A1 (en) Aerobic exercise vibration machine
US20140371641A1 (en) Foot massager for massaging feet
WO2019142959A1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KR200492353Y1 (ko) 스마트 발목운동 보드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KR101799506B1 (ko) 진동 에어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