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79B1 -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79B1
KR101839079B1 KR1020160103406A KR20160103406A KR101839079B1 KR 101839079 B1 KR101839079 B1 KR 101839079B1 KR 1020160103406 A KR1020160103406 A KR 1020160103406A KR 20160103406 A KR20160103406 A KR 20160103406A KR 101839079 B1 KR101839079 B1 KR 101839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insulating film
heater
core cable
flexible mul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904A (ko
Inventor
이한준
Original Assignee
(주)Hk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Hk전자 filed Critical (주)Hk전자
Priority to KR102016010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54Flat-harness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01B7/0216Tw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다심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호 적층되는 상부절연필름, 도체, 하부절연필름과, 측부에 커넥터가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한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도체는 외면에 금과 은을 포함한 도체 금속재질로 도금한 도금층을 구비하고, 단자부에서 도체의 상면 일부에 부착되거나, 도체의 상면 일부와, 도체 및 하부절연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을 씌워지도록 측면상 굴절된 형태로 부착된 보호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Flexible flat cable,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ng thereof}
본 발명은 단자부의 하면과 상면은 물론 전면에 보강필름 또는 보호재를 부착하여 커넥터에 장착시 단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성 다심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은 휨, 겹침, 접힘, 말림, 꼬임, 등의 유연성이 우수하여 공간의 유효한 이용과 입체 배선 등을 필요로 하는 비디오카메라, 카 스테레오, 컴퓨터와 프린터의 헤드 부분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성 다심 케이블은 일례로, 평행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재 도체와, 이 도체를 감싸는 상부 및 하부 절연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완제품의 경우에는 양 선단에 일정 길이만큼 상부 절연필름이 제거되어 도체 노출되면서 단자부를 마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자부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넥터에 접속 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성 다심 케이블은 커넥터와 접속 연결시, 단자부를 지지하거나 안내하는 부재가 없이 작업자에 의해 직접 커넥터에 삽입되어 장착되므로, 노출된 도체 부분이 찌그러질 수도 있고, 도체가 하부 절연필름으로부터 벗겨지는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제품이 불량 처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4671호(2011.08.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5108호(2012.04.1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5630호(2015.03.24.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부의 노출된 도체를 도금하고, 도체의 하면에 보강필름이 부착하며, 상면과 전면에 보호재를 부착함으로써, 커넥터에 단자부를 장착할 때 발생하는 도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은, 상호 적층되는 상부절연필름, 도체, 하부절연필름과, 측부에 커넥터가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한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도체는 외면에 금과 은을 포함한 도체 금속재질로 도금한 도금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단자부에서 도체의 상면 일부에 부착되거나, 도체의 상면 일부와, 도체 및 하부절연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을 씌워지도록 측면상 굴절된 형태로 부착된 보호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자부에서 하부절연필름의 하면 또는, 하부절연필름을 박리한 도체의 하면에 직접 부착된 보강필름을 더 구비하고, 이 보강필름의 전면에도 보호재가 선택적으로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보호재는 필름과 수지를 포함한 열가소성 재질이거나, 얇게 펴서 도포할 수 있는 겔 또는 패스트 상태의 경화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호재는 도체의 상면이면서 상부절연필름측 선단 부위에 측면상 상향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은, 상호 적층되는 상부절연필름, 도체, 하부절연필름과, 측부에 커넥터가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한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단자부에서 도체의 상면 일부에 부착되거나, 도체의 상면 일부와, 도체 및 하부절연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을 씌워지도록 측면상 굴절된 형태로 부착된 보호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단자부이면서 하부절연필름의 하면에 보강필름이 부착되고, 이 보호재가 보강필름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호재는 도체의 상면이면서 상부절연필름 측 선단 부위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호재는 필름과 수지를 포함한 열가소성 재질이거나, 얇게 펴서 도포할 수 있는 겔 또는 패스트 상태의 경화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는 장치는, 보호재를 구비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는 장치는 승강하는 칼날과 히터를 포함하고, 칼날은 상부절연필름의 일부가 일정 간격으로 박리되어 도체의 일부위를 노출하도록 마련된 단자부에 폭 방향으로 일정 넓이로 보호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보호재를 양분하면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절단하고, 또한, 히터는 칼날의 외측에 설치되고, 양분된 보호재를 각각 가압하면서 열을 제공하여 보호재가 도체의 상면 일부 및 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씌워지도록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자부는 상부절연필름이 박리된 상태로, 보호재, 도체와 하부절연필름 순으로 적층된 구조이거나, 보호재, 도체, 하부절연필름과 보강필름 순으로 적층된 구조이거나, 보호재, 도체와 보강필름 순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히터에 의해 변형되는 보호재 중 도체의 상면에 위치한 일부가 상부절연필름측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히터의 외측으로 설치된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 차단부재는 칼날과 일정 시간을 두고 승강하는 히터와 함께 승강하거나, 히터가 상승한 후 상승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차단부재는 보호재의 돌출부를 가공하기 위해 히터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돌출부의 일부위가 측면상 곡면을 이루도록 측면상 히터의 상부절연필름측 하부가 곡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 제작장치를 이용한 제작방법은, 상부절연필름의 일부가 일정 간격으로 박리되어 도체의 일부위를 노출하도록 마련된 단자부에 폭 방향으로 일정 넓이로 보호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보호재를 양분하면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칼날로 절단하는 제10단계(S10); 보호재가 변형하여 유동하면서 도체의 상면과 전면에 씌워지도록 칼날이 상승하면서 히터가 하강하는 제11단계(S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1단계(S11) 이후에, 도체의 상면까지 하강한 차단부재가 도체의 상면에서 상부절연필름으로 유동하는 일부 보호재를 차단하는 제12단계(S12);와 히터가 상승하거나, 히터와 차단부재가 함께 또는 후순위로 차단부재가 상승하는 제13단계(S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2단계(S12)에서 히터와 차단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보호재가 상승하여 돌출부가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심 연성 케이블의 도체를 도금한 후 상부절연필름과 하부절연필름 사이에 열융착시킴으로써, 단자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도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단자부를 커넥터에 장착할 때 도체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정도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심 연성 케이블 제작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단자부를 절단할 때, 열가소성 또는 경화성 물질의 보호재가 도체의 상면 일부와 전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도체 절단시 도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도체 부분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노출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커넥터 장착시 도체를 안내하고, 찌그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단자부의 하면 또는 하부절연필름의 하면에 보강필름을 부착하거나, 단자부의 하면에 하부절연필름이 배제된 상태에서 보강필름을 직접 부착함으로써,, 커넥테에 단자부가 장착될 때, 도체와 하부절연필름이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성 다심 케이블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완성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절단하기 이전에 보호재를 부착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의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절단하여 도 4의 완성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도체(100), 상부절연필름(110), 하부절연필름(120)과 보강필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체(100)는 통상의 금속재로 와이어 형태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도체(100)의 표면에 금, 은 등을 포함한 도체 금속재가 도금된 도금층(101)을 구비한다. 이 도금층(101)은 도체(100)를 제작할 때 가공한다.
상부절연필름(110)과 하부절연필름(120)은 도금층(101)을 구비한 도체(100)를 사이에 두고 열융착을 통해 적층하도록 가공된다. 이렇게 하여 길이가 긴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한다. 이때, 상부절연필름(110)에는 도체(100)가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140)를 마련하기 위해 일정 간격의 박리된 부위를 갖는다. 이후, 대략 단자부(140)의 중간 부위를 칼날로 절단하여 단위 길이의 완성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한다. 이때, 절단시 종래에는 칼날이 도체(100)에 직접 접촉하면서 도체(100)에 손상이 가해졌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도체(100)에 도금층(101)이 마련되어 칼날(200)과 도체(100)의 직접 접촉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도체(100)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
보강필름(130)은 하부절연필름(120)을 지지하여 절단시 도체(100)와 하부절연필름(120)이 휘거나 굴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커넥터(10, 도 1 참조)에 단자부(140)를 끼워 넣을 때, 도체(100)와 하부절연필름(120)이 상호 간에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보강필름(130)의 커넥터(10)측이면서 측면상 하단면이 절삭되어 경사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커넥터(10)가 끼워지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은 도 4에 도시된 봐와 같이, 단자부(140)에서 도체(100)의 상면 일부와 전면에 대해 보호재(150)가 씌워지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상부절연필름(110), 도체(100), 하부절연필름(120)과 보강필름(130)은 도 2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도금층(101)을 포함할 수도 또는 배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보호재(150)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면서, 필요시 기타 구성 요소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보호재(150)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단자부(140)에서 도체(100)의 상면 일부와 전면 전체에 대해 씌우도록 가공된다. 따라서, 보호재(150)는 단자부(140)에서 외부로 노출된 도체(100)의 부위를 최소화하여 공기 중에 부식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도체(100)에 금 또는 은 등을 포함한 도금 물질로 도금층(101)을 마련하는 경우, 이들 도금층(101)의 부식 역시 최대한으로부터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재(150)는 단자부(140)의 전면은 물론 하부절연필름(120)과 보강필름(130)의 전면까지도 씌우도록 가공함으로써, 단자부(140)가 커넥터(10)에 끼워질 때 도체(100), 하부절연필름(120)과 보강필름(130)들 간의 경계 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호들 간의 박리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재(150)는 도체(100)의 상면에만 씌워지도록 부착되면 측면상 대략 판 형태일 수 있고, 도체(100)의 상면 일부와 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씌워지도록 부착되면, 상면과 더불어 전면에 같이 씌워진 경우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재(150)는 도체(100)의 상면측이면서 상부절연필름(110)측의 선단 부위에 측면상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돌출부(151)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151)는 커넥터(10)에 단자부(140)가 끼워질 때, 일방향으로 원활히 삽입된 후 커넥터(10)와 단자부(140)의 의도치 않은 타방향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재(150)의 두께, 돌출부(151)의 돌출 높이 등은 도면에서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두껍게 그려졌지만, 실제로는 수 mm에서 수십 mm 정도의 두께이다. 일례로, 보호재(150)의 두께는 보강필름(130) 또는 하부절연필름(120) 정도와 비슷하거나 더 얇다. 이러한 보호재(150)는 열가소성 물질로 필름 또는 수지일 수도 있고, 얇게 펴서 도포할 수 있는 겔(gel) 또는 패스트(paste) 상태이면서 열 또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 경화하는 경화성 물질일 수 있다. 이 보호재(1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2실시 예의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도 5는 도 4의 완성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절단하기 이전에 보호재를 부착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의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절단하여 도 4의 완성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는 방법은 도 5 내지 도 9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일정 단위 길이로 절단된 완성된 연성 다심 케이블은 도 5에서와 같이 길면서 일정 간격으로 상부절연필름(110)이 도체(100)로부터 박리되어 단자부가 마련되면서 일정 넓이의 보호재(150)가 부착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보호재(150)를 칼날(200, 도 6 참조)로 절단하여 제작한다. 즉, 도 5의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은 상부절연필름(110)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단자부(140)에서 외부에 노출된 도체(100)의 상면에 일정 넓이의 열가소성 또는 경화성 물질인 보호재(150)를 부착 또는 도포하고, 하부절연필름(120)의 하면에 보강필름(130)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보호재(15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도 4의 완성된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의 보호재(150)의 두께보다 도 6의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의 보호재(150)의 두께가 더 두껍다. 이는 히터(210)로 열을 가했을 때, 보호재(150)의 일부가 도체(100) 또는 보강필름(130)까지 변형될 수 있는 정도의 양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절단하여 완성된 여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는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 다심 케이블 제작장치는 도 6에서와 같이 승하강하도록 설치된 칼날(200), 칼날(200) 주변에 배치되어 칼날(200)과 별도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히터(210) 및 차단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 칼날(200)은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의 단자부(140)이면서 도체(100)의 상부에 부착된 보호재(150)에서 보강필름(130)까지 절단하기 위해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히터(210)는 보호재(150)를 하방 가압하여 열을 제공하는 부재로, 칼날(200)의 양측 주변에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즉, 히터(210)는 칼날(200)에 의해 절단되어 양측으로 나뉜 보호재(150)를 각각 하방 가압하고, 열을 제공하여 열가소성 또는 경화성인 보호재(150)의 형태가 변하면서 도체(100)의 상면 및 전면을 씌우도록 변형되도록 한다. 이때, 히터(210)는 칼날(200)과는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역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히터(210)는 보호재(150)가 변형되어 최초의 높이보다 얇아지면서 도체(100)의 상면에 일정 두께를 갖는 정도까지만 하강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보호재(150)의 돌출부(151)를 가공하기 위해 히터(210)의 차단부재(220)측 하단측 일부위는 측면상 곡면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차단부재(220)는 히터(210)에 의해 변형된 보호재(150)가 상부절연필름(110)측으로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차단하는 부재로, 히터(2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차단부재(220)는 히터(210)와 함께 승강하거나, 함께 하강한 후 일정 시간만큼 더 늦게 상승하면서 도체(100)의 상면에 접촉하는 정도까지만 하강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차단부재(220)는 보호재(150)의 돌출부(151)를 가공하기 위해 히터(210)와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설치된다. 이 차단부재(220)는 배제될 수 있고, 이 경우 보호재(150)의 돌출부(151) 역시 배제될 수 있다.
이러한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도 4, 도 6 내지 도 9의 공정을 수행하여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차단부재(220)를 포함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전 작업으로, 도 4의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 위에 도 6에서와 같이 제작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보호재(150)는 상부절연필름(110)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더 높게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칼날(200)을 하강시켜 보호재(150)부터 보강필름(130)까지 절단한다(S10).
다음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칼날(200)은 상승하면서 히터(210)와 차단부재(220)가 하강한다(S11). 여기서, 히터(210)는 보호재(150)를 하방 가압하면서 보호재(150)에 열을 가해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재(150)가 도체(100)의 전면 또는 보강필름(130)의 전면까지 흘러내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체(100)의 상면까지 하강한 차단부재(220)가 도체(100)의 상면에서 상부절연필름(110)측으로 유동하는 일부 보호재(150)를 차단한다(S12). 이때, 차단부재(220)에 의해 막힌 보호재(150)가 히터(210)와 차단부재(220) 사이의 공간에 일정 높이만큼 진입하게 되고, 히터(210)의 유도곡면(211)을 따라 완만한 곡면을 이루게 된다.
끝으로, 히터(210)와 차단부재(220)가 상승한다(S13). 이렇게 히터(210)가 상승하면 보호재(150)의 경화가 진행된다. 이때, 차단부재(220)는 히터(210)와 함께 상승할 수도 있고, 히터(210)가 상승한 이후 보호재(150)의 경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상승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S12)가 배제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히터(210)만 상승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커넥터
100:도체
101:도금층
110:상부절연필름
120:하부절연필름
130:보강필름
140:단자부
150:보호재
151:돌출부
200:칼날
210:히터
211:유도곡면
220:차단부재
C:케이블.

Claims (9)

  1. 상호 적층되는 상부절연필름(110), 도체(100), 하부절연필름(120)과, 측부에 커넥터(10)가 장착되는 단자부(140)를 포함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는 장치에서,
    상기 상부절연필름(110)의 일부가 일정 간격으로 박리되어 도체(100)의 일부위를 노출하도록 마련된 단자부(140)에 폭 방향으로 일정 넓이로 보호재(150)가 부착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보호재(150)를 양분하면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절단하도록 설치된 칼날(200);과,
    상기 칼날(2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양분된 보호재(150)를 각각 가압하면서 열을 제공하여 보호재(150)가 도체(100)의 상면 일부 및 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씌워지도록 하도록 설치된 히터(210);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210)에 의해 변형되는 보호재(150) 중 도체(100)의 상면에 위치한 일부가 상부절연필름(110)측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히터(210)의 외측으로 설치된 차단부재(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220)는 칼날(200)과 일정 시간을 두고 승강하는 히터(210)와 함께 승강하거나, 히터(210)가 상승한 후 상승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제작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단자부(140)는 상부절연필름(110)이 박리된 상태로, 보호재(150), 도체(100)와 하부절연필름(120) 순으로 적층된 구조이거나, 보호재(150), 도체(100), 하부절연필름(120)과 보강필름(130) 순으로 적층된 구조이거나, 보호재(150), 도체(100)와 보강필름(130) 순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제작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차단부재(220)는 보호재(150)의 돌출부(151)를 가공하기 위해 히터(210)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성 다심 케이블의 제작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돌출부(151)의 일부위가 측면상 곡면을 이루도록 측면상 히터(210)의 상부절연필름(110)측 하부가 곡면 처리된 연성 다심 케이블의 제작장치.
  6. 제5항의 장치로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상기 상부절연필름(110)의 일부가 일정 간격으로 박리되어 도체(100)의 일부위를 노출하도록 마련된 단자부(140)에 폭 방향으로 일정 넓이로 보호재(150)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에서 보호재(150)를 양분하면서 초기의 연성 다심 케이블을 칼날(200)로 절단하는 제10단계(S10);
    상기 보호재(150)가 변형하여 유동하면서 도체(100)의 상면과 전면에 씌워지도록 칼날(200)이 상승하면서 히터(210)가 하강하는 제11단계(S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제작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제11단계(S11) 이후에, 도체(100)의 상면까지 하강한 차단부재(220)가 도체(100)의 상면에서 상부절연필름(110)으로 유동하는 일부 보호재(150)를 차단하는 제12단계(S12);와
    상기 히터(210)가 상승하거나, 히터(210)와 차단부재(220)가 함께 또는 후순위로 차단부재(220)가 상승하는 제13단계(S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제작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2단계(S12)에서 히터(210)와 차단부재(220) 사이의 공간으로 보호재(150)가 상승하여 돌출부(151)가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다심 케이블의 제작방법.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작된 연성 다심 케이블.
KR1020160103406A 2016-08-16 2016-08-16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39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06A KR101839079B1 (ko) 2016-08-16 2016-08-16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06A KR101839079B1 (ko) 2016-08-16 2016-08-16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035A Division KR101699450B1 (ko) 2015-11-12 2015-11-12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04A KR20170055904A (ko) 2017-05-22
KR101839079B1 true KR101839079B1 (ko) 2018-03-15

Family

ID=5904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406A KR101839079B1 (ko) 2016-08-16 2016-08-16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913A (ja) * 2002-12-10 2004-07-08 Fujikura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913A (ja) * 2002-12-10 2004-07-08 Fujikura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04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7915B (zh) 金属箔图案层叠体、金属箔层叠体、金属箔层叠基板、太阳能电池模块和金属箔图案层叠体的制造方法
CN108281407B (zh) 具有粘合剂溢流凹部的经修改的引线框架设计
TWI485846B (zh) 具可撓性基板之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EP3552308B1 (en) Method of interconnecting shingled pv cells
US9761462B2 (en) Resin package with a groove for an embedded internal lead
JP6349540B2 (ja) 半導体チップの実装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70220919A1 (en) Electronic document having angled antenna ends, antenna holder for such an electronic docu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ocument
KR200489288Y1 (ko) 리드 프레임 디바이스 및 이 리드 프레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디바이스 조립체
TWI511177B (zh) 噴墨列印之打線接合、密封劑及屏蔽
KR101057088B1 (ko) 환형도체를 사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20140041559A (ko) 매립된 차폐물을 구비하는 케이블 재킷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30112878A (ko) 불연속적인 컨덕터를 가진 광전지 셀
KR101699450B1 (ko) 연성 다심 케이블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
JP2012234761A (ja) 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ケーブル
KR101839079B1 (ko) 연성 다심 케이블과,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50188B1 (ko) 플랫 케이블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CN103325848A (zh) 一种覆膜焊带及其制备方法
WO2012102320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7512373A (ja) 配線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23864A1 (en) Wir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72660B1 (ko) 기판 스트립
US20170162492A1 (en) IC Carrier of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18116643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211047388U (zh) 一种印制电路板及连接器
TWI686910B (zh) 半導體裝置、導線架以及導線架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