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682B1 -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682B1
KR101838682B1 KR1020170078428A KR20170078428A KR101838682B1 KR 101838682 B1 KR101838682 B1 KR 101838682B1 KR 1020170078428 A KR1020170078428 A KR 1020170078428A KR 20170078428 A KR20170078428 A KR 20170078428A KR 101838682 B1 KR101838682 B1 KR 10183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late
delete delete
hole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랜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랜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랜어스
Priority to KR102017007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6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etaining wall and a fastening apparatus for the same, and the fastening apparatus for a retaining wall comprises: a bolt fixed to a wall; a fastening tool including a combining unit having a through hole with the flat inner surface, wherein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fastening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combining unit and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and a fixing nut which is located between an end of the bolt and the fastening tool and engaged with the bolt, and blocks the fastening tool from moving to the end of the bolt.

Description

옹벽 및 옹벽용 체결 장치{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and a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 및 발파석, 자연석 또는 블록을 이용한 벽체와 후면의 구조체의 연결 구조를 개선한 옹벽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fastening device which improves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wall and a rear wall using a retaining wall of a fillet or a cut-away portion and a blasting stone, a natural stone or a block.

옹벽은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한 절토부의 절개면과 지반을 성토한 성토부의 경사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때 옹벽은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벽체가 미감을 갖도록 시공되어야 한다.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ways on the incised surface of the cut part where the rock part or the ground is cut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mbankment part where the ground is formed. At this time, the retaining wall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the wall is anesthetized while securing stability.

상기한 옹벽의 벽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되거나 발파석 또는 자연석을 이용한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may be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or may be constructed of a structure using blasting stone or natural stone.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경우, 옹벽의 벽체는 조경적인 미감을 갖도록 시공하기 어렵다.When concrete pouring is use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so as to have a sense of aesthetic beauty.

발파석 또는 자연석을 이용한 경우, 옹벽의 벽체는 자연석이나 발파석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높게 시공해야 하는데, 이를 시공하는데 기술적 어려움이 있고 높은 수준의 숙련도와 많은 시간 및 인력 등이 요구된다.In the case of using blasting stone or natural stone,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must be constructed with high stability while maintaining the stable state of natural stone or blasting stone, and there is a technical difficulty in construction thereof, and a high level of skill and a lot of time and manpower are required.

본 발명은 간단한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시공 비용 및 시공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및 옹벽용 체결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aining wall and a retention wall fastening device which can be easily constructed by using simple parts, can reduce a construction cost and a construction time, and can secure stability.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는 벽체에 고정되는 볼트; 내면이 평탄한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볼트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결속구; 상기 볼트의 단부와 상기 결속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와 결합되고, 상기 결속구가 상기 볼트의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ain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lt fixed to a wall; A coupling portion having a flat through-hole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into which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And a fixing nut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end of the bolt and the binding port and is coupled to the bolt and blocks the binding port from moving to the end of the bolt.

본 발명의 옹벽은 벽체를 형성하는 발파석 또는 자연석; 상기 발파석 또는 자연석의 후면에 고정되며 볼트가 결합되는 셋앙카; 내면이 평탄한 제1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볼트가 상기 제1 관통구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결속구; 상기 볼트의 단부와 상기 제1 결속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속구가 상기 볼트의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고정 너트; 및 상기 제1 체결부의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발파석 또는 자연석의 후면의 구조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ast stone or natural stone forming a wall; A set ancho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natural stone or blasting stone and coupled with the bolts; A first coupling unit having a first coupling unit having a first through hole having a flat inner surface and the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coupling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unit and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A first fixing nut positioned between the end of the bolt and the first binding port and coupled with the bolt, and blocking the first binding port from moving to the end of the bolt;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connects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tructure of the back surface of the natural stone or the blasting stone.

또한, 본 발명의 옹벽은,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 상기 블록의 후면에 고정되는 볼트; 내면이 평탄한 제1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볼트가 상기 제1 관통구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결속구; 상기 볼트의 단부와 상기 제1 결속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속구가 상기 볼트의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고정 너트; 및 상기 제1 체결부의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발파석 또는 자연석의 후면의 구조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ck forming a wall; A bolt secured to a rear surface of the block; A first coupling unit having a first coupling unit having a first through hole having a flat inner surface and the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coupling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unit and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A first fixing nut positioned between the end of the bolt and the first binding port and coupled with the bolt, and blocking the first binding port from moving to the end of the bolt;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connects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tructure of the back surface of the natural stone or the blasting stone.

본 발명은 간단한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옹벽에 대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고 시공 비용 및 시공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by using simple parts,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자연석, 발파석 또는 블록을 이용한 옹벽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taining wall using a natural stone, a blasting stone, or a block can have a stab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셋앙카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속구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발파석과 절토면에 적용한 본 발명의 옹벽의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블록과 절토면에 적용한 본 발명의 옹벽의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블록을 이용한 벽체를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발파석과 성토체에 적용한 본 발명의 옹벽의 실시예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적용된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결속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보강재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락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옹벽의 전체를 예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7은 블록과 성토체에 적용한 본 발명의 옹벽의 실시예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실시예에 의한 옹벽의 전체를 예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t ancho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inding member of FIG. 1;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blasting stone and a cut slope;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4;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block and a cut-away surfac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l using the block of Fig. 7;
Figure 9 is a plan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6;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blasting stone and an embankment.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Fig. 10;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inding means of Fig. 10;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ffener clip of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ctone of FIG.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the entir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FIG.
Figure 16 is a plan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5;
1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block and an embankment;
FIG. 18 is a view illustrating the entir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7;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먼저,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는 도 1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First, a lock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결속구(10), 고정 너트(20) 및 볼트(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binding member 10, a fixing nut 20 and a bolt 30 are included.

먼저, 볼트(30)는 벽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First, the bolt 30 is fixed to a wall (not shown) and has a horizontally elongated structure.

벽체는 후술하는 발파석, 자연석 또는 블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all may be constructed using a blasting stone, a natural stone, or a block as will be described later.

벽체가 발파석과 자연석으로 구성되는 경우, 볼트(30)는 셋앙카에 구성되고, 셋앙카가 벽체에 설치됨에 따라 볼트(30)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되어서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셋앙카는 발파석과 자연석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고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볼트(30)는 발파석과 자연석으로부터 노출된 셋앙카의 단부에 고정된다. When the wall is composed of a blast stone and a natural stone, the bolt 30 is formed on the set anchor, and the bolt 30 can be fixed to the wall as the set anchor is installed on the wall. And can be coupled to the wall. In this case, the set anchor can be installed by a method in which the anchor is partly inserted into the blast stone and the natural stone and fixed using a fixing agent or the like. The bolt 30 is fixed to the end of the set anchor exposed from the blasting stone and the natural stone.

셋앙카는 도 2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도 2는 발파석과 자연석에 설치되는 셋앙카(32)의 단부에 볼트(30)가 구성된 것을 예시한다. The set anchor can be illustrated as shown in FIG. 2 illustrates that the bolts 30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blasting stone and the set anchor 32 installed in the natural stone.

이와 달리, 벽체가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 볼트(30)의 일부가 블록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블록에 삽입된 볼트(30)의 단부가 홈에 충진되는 고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볼트(30)는 예시적으로 전산 볼트가 이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wall is formed of a block, a part of the bolt 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block, and the end of the bolt 30 inserted in the block can be fixed by a fixing agent filling the groove. As the bolt 30, a computer bolt may be used as an example.

여기에서, 블록은 석재를 가공하거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된 것이며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위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블록의 예시는 후술한다.Here, the block is formed by processing stone or using concrete and can be understood as a unit for forming a wall. An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block will be described later.

고정 너트(20)는 볼트(30)의 단부와 결속구(10)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30)와 나사 결합되고, 결속구(10)가 볼트(30)의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 너트(20)는 볼트(30)와 나사 결합 가능한 다양한 형태 및 길이를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 너트(20)는 육각 너트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nut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end of the bolt 30 and the coupling aperture 10 and is screwed with the bolt 30 and blocks the coupling aperture 10 from moving to the end of the bolt 30. [ The fixing nut 20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shapes and lengths that can be screwed with the bolts 30. [ Illustratively, the locking nut 20 may be constructed using a hexagonal nut.

상기한 구성에서 결속구(10)는 도 3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도 3의 결속구(10)는 와이어(40)와 결합을 위해 실시된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inding port 10 can be illustrated as shown in FIG. The binding orifice 10 of Fig. 3 is intended for engagement with the wire 40. Fig.

결속구(10)는 볼트(30)가 삽입되는 관통구(13)를 갖는 결합부 및 체결공(15)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의 관통구(13)는 내면이 평탄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체결부는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binding port 1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13 into which the bolt 30 is inserted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the coupling hole 15 formed therein. The through-hole 13 of the engaging portion can have a flat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engaging portion can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결속구(10)의 결합부는 관통관(1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관(12)은 볼트(30)가 관통되는 장공의 관통구(13)를 갖는다. 관통구(13)의 내면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결속구(10)는 볼트(3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볼트(30)에 의해 유동이 구속되지 않는다. 즉, 결속구(10)는 고정 너트(20)에 의해 단속되는 범위 내에서 볼트(30)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다.The coupling portion of the binding port 10 can be formed as a tube 12 and the tube 12 has a through hole 13 through which the bolt 30 pa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13 is formed flat. Therefore, since the binding port 10 is not engaged with the bolt 30, the flow is not constrained by the bolt 30. That is, the binding port 10 can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30 within a range of being interrupted by the fixing nut 20.

결속구(10)의 체결부는 관통관(12)의 일측에 결합된 오링(1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링(14)은 관통관(1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오링(14)은 내측 공간은 체결공(15)을 형성한다.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inding opening 10 may be formed by an O-ring 14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pe 12. The O-ring 14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pe 12 or can be joined by welding. The inner space of the O-ring 14 forms a fastening hole 15.

상기한 오링(14)은 와이어(4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와이어(40)는 유연한 재질의 금속재나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와이어(40)의 단부는 오링(14)의 체결공(15)을 통과하여 접힐 수 있다. 결국, 와이어(40)는 단부에 두 겹으로 접힌며, 접힌 두 겹의 와이어(40)는 와이어 클립(42)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와이어(40)가 오링(14)에서 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O-ring 14 may be coupled to the wire 40, and the wire 4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flexible metal material or a resin. The end of the wire 40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15 of the O-ring 14 and can be folded. As a result, the wire 40 is folded in two folds at the end, and the double folded wire 40 is fixed by the wire clip 42, so that the wire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osened in the O-ring 14 .

상술한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가 발파석과 절토면에 적용된 경우, 옹벽은 도 4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retain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lasting stone and a cut surface, the retaining wall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발파석 또는 자연석(SW, 이하 “발파석”이라 함)은 옹벽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정형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다층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파석(SW)은 상하층이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벽체에 대응하여 하나의 발파석(SW)만 대표하여 실시한 것으로 예시한다.A blasting stone or a natural stone (SW)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asting stone") may be construct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layers while being longitudinally arranged in an indefinite shape to form a wall of the retaining wall.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last stones SW may be staggered. Fig. 4 exemplifies a case in which only one blast stone SW is represen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wall.

발파석(SW)은 후면에 셋앙카(32)가 고정된다. 셋앙카(32)의 노출된 단부에는 볼트(30)가 고정된다. And the set anchor 32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lasting stone SW. At the exposed end of the set anchor 32, the bolt 30 is fixed.

도 4에서, 결속구(10), 고정 너트(20) 및 볼트(30)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4, the constructions of the binding mechanism 10, the fixing nut 20, and the bolt 3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 so that redundant structures and operations are not described.

발파석(SW)에서, 조경을 위하여 노출되는 면은 전면이라 하고 뒷채움되는 토사와 마주하는 면은 후면이라 한다. In a blast stone (SW), the side exposed for landscaping is called the front side, and the side facing the back side soil is called the rear side.

결속구(10)의 체결부인 오링(14)의 체결공(15)에 연결 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결속구(10)의 오링(14)과 발파석(SW)의 후면의 구조체 간을 연결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발파석(SW)의 후면의 구조체로서 절토면(50)이 예시된다.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5 of the O-ring 14, which is the fastening part of the binding opening 10. The connect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O ring 14 of the coupling aperture 10 and the structure of the back surface of the blasting stone SW. 4 shows a cut-off surface 50 as a struc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lasting stone SW.

도 4에서, 연결 부재는 와이어(40)와 절토면(50)의 소일 네일(52)에 결합되는 결속구(60) 및 고정 너트(54)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wire 40 and a binding port 60 and a fixing nut 54, which are coupled to the soil nail 52 of the cut-off surface 50. As shown in Fig.

먼저, 결속구(60)는 도 1의 결속구(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First, the binding tool 6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inding tool 10 of Fig.

즉, 결속구(60)는 절토면(50)의 소일 네일(52)에 결합되며, 내면이 평탄한 관통구를 가지며 소일 네일(52)이 관통구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결합부는 관통관으로 형성되며, 관통관은 소일 네일(52)이 관통되는 장공의 관통구를 갖는다. 상기한 결속구(60)의 결합부는 고정 너트(54)에 의해 단속되는 범위 내에서 소일 네일(52)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결속구(60)의 체결부는 관통관의 일측에 결합된 오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binding port 60 is coupled to the soil nail 52 of the cut-off surface 50, has a through hole having a flat inner surface an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into which the soil nail 5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with a ball. Here,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s a pipe tube, and the pipe tube has a through hole having a slot through which the soil nail 52 passes. The engaging portion of the binding port 60 can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il nail 52 within a range where it is interrupted by the fixing nut 54. [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60 is formed by an O-r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pipe tube.

그리고, 고정 너트(54)는 소일 네일(52)의 단부와 결속구(60) 사이에 위치하여 소일 네일(54)과 결합되고, 결속구(60)가 소일 네일(52)의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The fixing nut 54 is positioned between the end of the sheet nail 52 and the binding port 60 and is engaged with the sheet nail 54. When the binding port 60 is moved to the end of the sheet nail 52 It blocks things.

와이어(40)는 결속구(10)의 체결부인 오링(14)과 결속구(60)의 체결부인 오링을 연결하며, 와이어(40)의 양단의 겹친 부분은 와이어 클립(42)에 의해 고정된다.The wire 40 connects the O-ring which is the fastening part of the O-ring 14 and the fastening tool 60 which is the fastening part of the fastener 10 and the overlapped part of both ends of the wire 40 is fastened by the wire clip 42 .

도 4의 옹벽은 도 5와 같은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웃한 발파석들(SW)은 이음쇄(34)에 의해 연결된다. 이음쇠(34)는 철근으로 제작되며 철근의 양단이 동일 방향으로 꺽어진 구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발파석들(SW)의 수평 간격 및 위치는 이음쇠(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retaining wall of FIG. 4 may have a planar structure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5, neighboring blast stones SW are connected by a seam 34. The fittings 34 are made of reinforcing bars and can be fabricated so th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bent in the same direction. The horizontal spacing and position of the blasting stones SW can be fixed by fittings 34. [

한편,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가 블록과 절토면에 적용된 경우, 옹벽은 도 6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sten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lock and a cut-away surface, the retaining wall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블록(BL)은 옹벽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형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다층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BL)은 단층 또는 복층 단위로 상하층이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벽체에 대응하여 하나의 블록(BL)만 대표하여 실시한 것으로 예시한다.The blocks BL may be formed by laminating multiple layers while longitudinally arranging the blocks to form walls of the retaining walls. The block BL may b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in units of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FIG. 6 exemplifies one block BL corresponding to the wall.

도 6의 옹벽의 실시예는 블록(BL)과 연결을 위한 구조체로 절토면(60)이 예시된다. The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in Fig. 6 is a structure for connection with the block BL, and a cut-away surface 60 is exemplified.

도 6의 실시예는 도 4와 대비하여 블록(BL) 및 보조 너트(34)를 이용한 것과 셋앙카를 이용하지 않고 블록(BL)에 볼트(30)가 직접 고정된 것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6에서 도 4와 동일 부품에 대해 동일 부호로 표시하며 중복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embodiment of FIG. 6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4 in that the block BL and the auxiliary nut 34 are used and the bolt 30 is directly fixed to the block BL without using a set anchor. Are the same. Therefore, in FIG. 6,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4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of the duplicat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omitted.

도 6에서, 보조 너트(34)는 결속구(10)와 블록(BL)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30)와 결합되고, 결속구(10)가 블록(BL)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조 너트(34)는 고정 너트(20)와 같이 결속구(10)의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6, the auxiliary nut 34 is located between the binding port 10 and the block BL and is coupled to the bolt 30 and is configured to block the binding port 10 from moving to the block BL . That is, the auxiliary nut 34 serves to restrict the flow of the binding port 10, such as the fixing nut 20.

블록(BL)은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block BL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블록(BL)은 전면벽(70), 바닥(71) 및 중간벽(72)을 포함한다. 블록(BL)에서 조경을 위하여 노출되는 면은 전면이라 하고 뒷채움되는 토사와 마주하는 면은 후면이라 한다.The block BL includes a front wall 70, a bottom 71 and an intermediate wall 72. The surface exposed for landscaping in block BL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urface, and the surface facing the backfill is referred to as the rear surface.

전면벽(70)은 블록(BL)의 전면을 이루고, 바닥(71)은 전면벽(7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블록(BL)의 후면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The front wall 70 constitutes the front face of the block BL and the bottom 71 extends to the rear face of the block BL by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face of the front wall 70. [

지지벽(72)은 장방형상을 가지며 제1 면이 전면벽(70)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1 면에 접하는 제2 면이 바닥(71)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support wall 72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first surface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wall 70 and a second surface abutting the first surface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bottom 71.

지지벽(72)은 전면벽(70)의 폭(W1) 및 바닥(71)의 폭(W2)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면벽(70)의 폭(W1)은 바닥(71)의 연장 단부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전면벽(70)과 바닥(71)의 연장단부의 폭의 차이는 벽체를 굴곡지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support wall 72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width W1 of the front wall 70 and the width W2 of the bottom 71. [ In this case, the width W1 of the front wall 70 is preferably wider than the width W2 of the extending end of the bottom 71. Illustratively, it is understood that the difference in width of the extending ends of the front wall 70 and the bottom 71 can be understood to form a curved wall.

그리고, 블록(BL)은 지지벽(72)의 양측에 각각 빈 공간을 갖는다. 지지벽(72)은 전면벽(70) 및 바닥(71)의 폭의 중간 영역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전면벽(70)과 동일한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바닥(71)과 동일한 연장 길이(L)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blocks BL have vacant space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wall 72, respectively. The support wall 72 is preferably formed at an intermediate region between the widths of the front wall 70 and the bottom 71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H as the front wall 7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extension length (L).

상기한 구조에 의해서, 블록(BL)의 후면은 바닥(71)의 연장 단면과 지지벽(72)의 제1 면과 마주하는 제3 면을 포함하며, 바닥(71)의 연장 단면과 지지벽(72)의 제3 면은 평면으로 이어지고, 볼트(30)는 지지벽(72)의 제3 면에 고정된다.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BL includes an extended end surface of the bottom 71 and a thir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wall 72, And the bolt 30 is fixed to the third surface of the support wall 72. The third surface of the support wall 72 extends in a plane.

상기한 블록(BL)의 후면 중, 지지벽(72)의 제3 면에 볼트(30)의 고정을 위한 홈(7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73 for fixing the bolt 30 is formed on the third surface of the support wall 72 in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BL.

또한, 블록(BL)의 후면 중, 바닥(71)의 연장 단면의 양측 변부에 제1 고정홈(75) 및 제2 고정홈(76)이 형성되고, 지지벽(72)의 홈(73)의 상부에 제3 고정홈(7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3 고정홈(75, 76, 74)은 후술하는 고정 핀을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The first fixing groove 75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76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extending section of the bottom surface 71 of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BL and the groove 73 of the supporting wall 72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fixing groove 74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 first to third fixing grooves 75, 76 and 74 are used for fixing the fixing pi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도 7과 같이 구성되는 블록들(BL)은 도 8과 옹벽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형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다층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BL)은 단층 또는 복층 단위로 상하층이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단층 단위로 상하층이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예시한다.The blocks BL formed as shown in FIG. 7 may be stacked in multiple layers while being longitudinally arranged in a regular shape to form a wall of the retaining wall. The block BL may b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in units of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8 illustrates that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ingle layer unit.

도 8과 같이 적층된 블록들(BL)은 인접한 것들끼리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the adjacent blocks BL are preferably fixed to each other.

즉, 복수 개의 블록들이 수평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하로 인접하는 세 개의 블록(BL)이 마주하여 인접하는 제1 내지 제3 고정홈(75, 76, 74)들에 제1 내지 제3 고정핀(77~79)이 각각 고정되고, 제1 내지 제3 고정핀(77~79)이 체인(80)에 의해 결합된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horizontally arranged, three blocks BL adjacent to each other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through third fixing grooves 75, 76, The pins 77 to 79 are respectively fixed and the first to third fixing pins 77 to 79 are coupled by the chain 80. [

따라서, 상하로 적층되면서 인접하는 세 개의 블록들(BL)은 체인(8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배치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ree blocks BL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being stacked up and down can be fixed by the chain 80 by being fixed.

상술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구성되는 옹벽은 도 9와 같은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as shown in FIGS. 6 to 8 may have a planar structure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가 발파석과 성토체에 적용된 경우, 옹벽은 도 10 및 11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1의 10-10 단면 부분을 표시한 부분 단면도이다.In the meantime, when the fasten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lasting stone and an embankment, the retaining wall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portion of FIG.

도 10 및 11의 실시예는 띠형 보강재(45)와 띠형 보강재(45)에 적합한 구조의 결속구(100)를 이용할 수 있다. 10 and 11, a binding member 100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band-shaped stiffener 45 and the stiffener 45 can be used.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에서 볼트(20)는 셋앙카(32)에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셋앙카(32)는 도 4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발파석(SW)에 설치된다. 10 and 11, the bolt 20 is illustrated as being configured in the setanker 32 and the setanker 32 is installed in the blasting stone SW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결속구(100)는 이어진 L 형강의 구조를 가지며 구체적인 형상은 도 12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The binding orifice 100 has a structure of an L-shaped steel structure, and its specific shape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결속구(100)도 도 1의 결속구(10)와 같이 내면이 평탄한 관통구를 가지며 볼트(30)가 관통구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having the through hole that is flat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bolt 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with a ball.

그러나, 도 10 내지 도 12에 예시된 결속구(100)는 결합부로서 관통구(103)를 갖는 플레이트(102)를 포함하며 체결부로서 체결공(105)이 형성된 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플레이트(104)는 플레이트(102)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볼트(30)의 단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꺽어지며 체결공(10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체결공(105)은 띠형 보강재(45)의 통과 및 지지가 가능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However, the binding port 100 illustrated in Figs. 10 to 12 includes a plate 104 including a plate 102 having a through-hole 103 as a coupling portion and a fastening hole 105 formed as a fastening portion . Here, the plate 104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02, and is vertically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olt 3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hole 105 is formed. The fastening holes 105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llowing passage and support of the strip-like stiffeners 45.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는 연결 부재로서 띠형 보강재(45), 보강재 클립(120) 및 락핀(140)을 포함한다. 상기한 연결 부재는 체결부인 플레이트(104)의 체결공(105)과 발파석(SW) 후면의 구조체 간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10 and 11 include a stiffener 45, a stiffener clip 120 and a lock pin 140 as connecting members. The connecting member is for connecting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which is the fastening part, and the struc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lasting stone SW.

띠형 보강재(45)는 구조체인 성토체(200) 내에 수평으로 지그재그로 전개되며 성토체(200) 내의 굴곡된 일단이 고정핀(47)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플레이트(104)의 체결공(105)에 체결된다. The band-like stiffener 45 is horizontally and zigzag in the embossed body 200 as a structural body and the bent end of the embeddable body 200 is fixed by the fixing pin 47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 Respectively.

여기에서, 성토체(200)는 토사를 다층으로 성토한 구조체를 의미하며, 발파석(SW)의 후면에 구성된다. Here, the embedding body 200 means a structure in which the gravels are formed into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lasting stone SW.

보강재 클립(120)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보강재 클립(120)은 체결공(105)에 연결된 한 쌍의 띠형 보강재(45)를 정렬하며 수용하는 제1 공간(122) 및 위치 고정에 이용되는 제2 공간(124)이 형성된다. The stiffener clip 120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tiffener clip 120 is formed with a first space 122 for aligning and accommodating a pair of stiffeners 45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s 105 and a second space 124 used for position fixing.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재 클립(120)은 내부에 관통 공간이 형성된 링형의 몸체를 가지며, 관통 공간은 띠형 보강재(45)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제1 공간(122)과 락핀(140)의 제2 단부(144)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는 제2 공간(124)이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More specifically, the stiffener clip 120 has a ring-shaped body with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The through-hole has a first space 122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height of the stiffener 45, And the second space 124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two end portions 144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띠형 보강재(45)는 보강재 클립(120)의 제1 공간(122)을 거쳐서 플레이트(104)의 체결공(105)으로 진행하고, 플레이트(104)의 체결공(105)을 통과한 후 보강재 클립(120)의 제2 공간(122)을 다시 거쳐서 성토체(200) 방향으로 전개된다. The strip type stiffener 45 advances 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through the first space 122 of the stiffener clip 120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The second space 122 of the body 120 is developed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embedding body 200.

락핀(140)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락핀(140)은 길이 방향의 제1 단부(142)가 플레이트(104)의 체결공(105)에 체결되고 제1 단부(142)의 반대 쪽 길이 방향의 제2 단부(144)가 보강재 클립(120)의 제2 공간(124)에 체결됨으로써 보강재 클립(120)의 위치를 고정한다.The lockpin 140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lock pin 1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first end 142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nd the second longitudinal end 144 opposite the first end 142 is secured to the stiffener clip & 120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stiffener clip 120. The stiffener clip 1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pace 124 of the stiffener clip 120. [

이를 위하여, 락핀(140)은 직선형의 연결체의 양단에 제1 단부(142)와 제2 단부(144)가 각각 구성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제1 단부(142)는 플레이트(104)의 체결공(105)에 삽입되어 플레이트(104)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의 구조를 갖도록 직각으로 두 번 꺽어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단부(144)는 보강재 클립(120)의 제2 공간(124)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의 구조를 갖도록 직각으로 두 번 꺽어진 구조를 갖는다. 제1 단부(142)와 제2 단부(144)는 서로 마주보도록 꺽어진 갈고리 형상을 갖는다. To this end, the lock pin 140 has a shape in which a first end portion 142 and a second end portion 144 are formed at both ends of a straight connecting body. The first end 14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142 is bent at a right angle twice so as to have a hook-like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nd can be engaged with the plate 104. The second end portion 144 has a structure bent twice at right angles so as to have a hook-like structur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space 124 of the reinforcing material clip 120. The first end portion 1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144 have a hook shape bent to face each other.

상기한 락핀(140)은 띠형 보강재(45)가 보강재 클립(120)의 제1 공간(122)에 삽입되어서 고정된 상태에서 보강재 클립(1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를 위하여, 플레이트(104)의 체결공(105)에 제1 단부(142)가 걸린 후 보강재 클립(120)의 제2 공간(124)에 제2 단부(144)를 고정시킴으로써 락핀(140)이 플레이트(104)와 보강재 클립(120)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The lock pin 140 is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iffener clip 120 in a state where the stiffener 45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122 of the stiffener clip 120 and fixed. To this end, the lock pin 140 is secured by securing the second end 144 to the second space 124 of the stiffener clip 120 after the first end 142 is engaged in the fastener 105 of the plate 104 And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plate 104 and the stiffener clip 120.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파석(SW)이 볼트(30), 결속구(100), 보강재 클립(120) 및 락핀(140)을 이용하여 띠형 보강재(45)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lasting stone SW is combined with the strip-shaped stiffener 45 by using the bolts 30, the binding member 100, the stiffener clip 120 and the lock pin 140 .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는 도 15와 같은 전체 옹벽의 구현에 이용될 수 있다. The embodiment of Figs. 10 to 14 can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ntire retaining wall as shown in Fig.

도 15는 성토체(200)에 대한 옹벽을 예시하며 발파석(SW)을 이용하여 벽체(500)를 형성한다.FIG. 15 illustrates a retaining wall for an embankment body 200 and forms a wall 500 using a blasting stone SW.

벽체(500)는 성토체(200)의 전면에 위치한다. The wall 50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embeddable body 200.

벽체(500)를 형성할 지면(300)은 터파기되며, 터파기된 지면(300) 상에 지지 콘크리트층(310)이 형성되며, 지지 콘크리트층(310) 상에 벽체(500)가 형성된다. 제작자에 따라 지지 콘크리트층(310) 상에 버팀 콘크리트층(32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The ground surface 300 to form the wall 500 is torn away and a supporting concrete layer 310 is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300 and a wall 500 is formed on the supporting concrete layer 310 .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 supporting concrete layer 320 may further be formed on the supporting concrete layer 310.

여기에서, 지지 콘크리트층(310)은 지면이 연약 지반인 경우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며, 버팀 콘크리트층(320)은 벽체(500)의 하부 층을 이루는 발파석(SW)의 고정을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Here, the support concrete layer 310 is configured to prevent settlement when the ground is a soft ground, and the support concrete layer 320 is configured to fix the blast stone SW constituting the lower layer of the wall 500 will be.

그리고, 벽체(500)가 형성된 앞쪽의 터파기된 공간은 토사로 앞채움(330)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part of the front side where the wall body 500 is formed is pre-filled with the gravel (330).

벽체(500)는 발파석(SW)이 수평 방향으로 비정형으로 배치되며 다층으로 적층됨으로써 형성된다. 두 층의 발파석들(SW)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The wall 50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lasting seats SW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n irregular manner. The two layers of blast stones SW can be staggered.

각 발파석(SW)이 볼트(30), 결속구(100), 보강재 클립(120) 및 락핀(140)을 이용하여 띠형 보강재(45)와 결합되는 방법은 도 10 내지 도 14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중복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method in which each blast stator SW is combined with the stiffener 45 using the bolts 30, the binding member 100, the stiffener clip 120 and the lock pin 14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omitted.

띠형 보강재(45)가 성토체(200) 내에 지그재그로 전개되는 것은 도 16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It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16 that the strip-shaped stiffener 45 is deployed in a staggered manner in the embeddable body 200.

한편, 본 발명의 옹벽용 체결 장치가 블록과 성토체에 적용된 경우, 옹벽은 도 17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stening device for a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lock and an embankment, the retaining wall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도 17의 실시예는 도 10과 대비하여 블록(BL)을 이용한 것과 셋앙카를 이용하지 않고 블록(BL)에 볼트(30)가 직접 고정된 것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7에서 도 10과 동일 부품에 대해 동일 부호로 표시하며 중복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embodiment of FIG. 17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0 in that a block BL is used and a bolt 30 is directly fixed to a block BL without using a set anchor. Therefore, in Fig. 17,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1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of the duplicat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omitted.

그리고, 도 17의 블록(BL)은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lock BL of FIG. 17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of FIGS. 6 to 9, the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블록(BL)에 고정된 볼트(30)에 결속구(100)가 고정되며, 결속구(100)가 볼트(30)의 단부로 이동되는 것은 볼트(30)에 나사결합된 고정 너트(30)에 의해 차단된다.The binding port 100 is fixed to the bolt 30 fixed to the block BL and the binding port 100 is moved to the end of the bolt 30 by the fixing nut 30 screwed to the bolt 30. [ .

결속구(100)는 보강재 클립(120), 락핀(140) 및 띠형 보강재(45)를 이용하여 성토체(200)의 고정핀(47)에 연결된다. 즉, 블록(BL)이 성토체(200)의 고정핀에 연결된다.The binding member 10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47 of the embeddable body 200 by using the reinforcing material clip 120, the lock pin 140 and the stiffener 45. That is, the block BL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of the embedding body 200.

도 17의 실시예는 도 18와 같은 전체 옹벽의 구현에 이용될 수 있다. The embodiment of Fig. 17 can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ntire retaining wall as shown in Fig.

도 18은 성토체(200)에 대한 옹벽을 예시하며 블럭(BL)을 이용하여 벽체(500)를 형성한 것을 예시한다.18 exemplifies a retaining wall for the embeddable body 200 and a wall 500 formed by using the block BL.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발파석이나 자연석 또는 블록을 간단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조체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옹벽에 대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고 시공 비용 및 시공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a blasting stone, a natural stone, or a block to a structure by using simple par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the workability to the retaining wall can be improved, and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자연석, 발파석 또는 블록을 이용한 옹벽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taining wall using a natural stone, a blasting stone, or a block can have a stable structur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secured.

Claims (3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벽체에 고정되는 볼트(30);
L 형강 구조로 이어진 플레이트(102)와 플레이트(104)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102)는 상기 볼트(30)가 삽입되는 관통구(103)를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104)는 띠형 보강재(45)의 통과 및 지지가 가능한 장방형의 체결공(105)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04)는 상기 플레이트(102)의 측면에 상기 볼트(30)의 단부 방향으로 꺽어지면서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 결속구(100);
상기 볼트(30)가 삽입되며, 상기 볼트(30)의 상기 단부와 상기 결속구(1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결속구(100)가 상기 볼트(30)의 상기 단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 너트(20);
상기 체결공(105)에 연결된 상기 띠형 보강재(45)를 정렬하며 수용하는 제1 공간(122) 및 위치 고정에 이용되는 제2 공간(124)이 형성된 보강재 클립(120); 및
길이 방향의 제1 단부(142)가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의 제2 단부(144)가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상기 제2 공간(124)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142)와 상기 제2 단부(144)는 직선형의 연결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상기 제1 단부(142)가 걸린 후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상기 제2 공간(124)에 상기 제2 단부(144)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핀(140);을 포함하는 옹벽용 체결 장치.
A bolt (30) fixed to the wall;
And the plate 102 has a through hole 103 into which the bolt 30 is inserted and the plate 104 is connected to the strap stiffener 45 The plate 104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02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olt 30 so as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100);
The bolt 30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bolt 30 and the binding port 100 to prevent the binding port 100 from moving toward the end of the bolt 30. [ A nut 20;
A stiffener clip 120 having a first space 122 for aligning and accommodating the stiffener 45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105 and a second space 124 used for position fixing; And
Wherein the longitudinal first end 142 has a hook shape that engages with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nd the longitudinal second end 144 engages the second The first end portion 1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144 are connected by a linear connecting body and the first end portion 1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144 ar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 lock pin 140 securing the position of the stiffener clip 120 by securing the second end 144 to the second space 124 of the stiffener clip 120 after the first end 142 is engaged; And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retaining wal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클립(120)은 내부에 관통 공간이 형성된 링형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관통 공간은 상기 띠형 보강재(45)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공간(122)과 상기 락핀(140)의 상기 제2 단부(144)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공간(124)이 연통된 구조를 갖는 옹벽용 체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inforcing material clip 120 has a ring-shaped body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first space 122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strip- And the second space (124)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nd portion (144)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벽체를 형성하는 발파석(SW);
상기 발파석(SW)의 후면에 고정되며 볼트(30)가 결합되는 셋앙카(32);
L 형강 구조로 이어진 플레이트(102)와 플레이트(104)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102)는 상기 볼트(30)가 삽입되는 관통구(103)를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104)는 띠형 보강재(45)의 통과 및 지지가 가능한 장방형의 체결공(105)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04)는 상기 플레이트(102)의 측면에 상기 볼트(30)의 단부 방향으로 꺽어지면서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 결속구(100);
상기 볼트(30)가 삽입되며, 상기 볼트(30)의 상기 단부와 상기 결속구(1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결속구(100)가 상기 볼트(30)의 상기 단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 너트(20);
상기 체결공(105)에 연결된 상기 띠형 보강재(45)를 정렬하며 수용하는 제1 공간(122) 및 위치 고정에 이용되는 제2 공간(124)이 형성된 보강재 클립(120); 및
길이 방향의 제1 단부(142)가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의 제2 단부(144)가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상기 제2 공간(124)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142)와 상기 제2 단부(144)는 직선형의 연결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상기 제1 단부(142)가 걸린 후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상기 제2 공간(124)에 상기 제2 단부(144)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핀(140); 및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체결되고, 상기 플레이트(104)가 형성된 상기 결속구(100)와 상기 발파석(SW)의 후면의 구조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A blasting stone (SW) forming a wall;
A set anchor 32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blasting stone SW and coupled with the bolts 30;
And the plate 102 has a through hole 103 into which the bolt 30 is inserted and the plate 104 is connected to the strap stiffener 45 The plate 104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02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olt 30 so as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100);
The bolt 30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bolt 30 and the binding port 100 to prevent the binding port 100 from moving toward the end of the bolt 30. [ A nut 20;
A stiffener clip 120 having a first space 122 for aligning and accommodating the stiffener 45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105 and a second space 124 used for position fixing; And
Wherein the longitudinal first end 142 has a hook shape that engages with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nd the longitudinal second end 144 engages the second The first end portion 1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144 are connected by a linear connecting body and the first end portion 1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144 ar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 lock pin 140 securing the position of the stiffener clip 120 by securing the second end 144 to the second space 124 of the stiffener clip 120 after the first end 142 is engaged; And
And a connect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nd connects the binding structure 100 on which the plate 104 is formed to the struc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lasting stone SW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클립(120)은 내부에 관통 공간이 형성된 링형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관통 공간은 상기 띠형 보강재(45)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공간(122)과 상기 락핀(140)의 상기 제2 단부(144)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공간(124)이 연통된 구조를 갖는 옹벽.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reinforcing material clip 120 has a ring-shaped body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first space 122 and the second space 122, which correspond to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strip- And the second space (124)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nd (144) are communic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BL);
상기 블록(BL)의 후면에 고정되는 볼트(30);
L 형강 구조로 이어진 플레이트(102)와 플레이트(104)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102)는 상기 볼트(30)가 삽입되는 관통구(103)를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104)는 띠형 보강재(45)의 통과 및 지지가 가능한 장방형의 체결공(105)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04)는 상기 플레이트(102)의 측면에 상기 볼트(30)의 단부 방향으로 꺽어지면서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 결속구(100);
상기 볼트(30)가 삽입되며, 상기 볼트(30)의 상기 단부와 상기 결속구(1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결속구(100)가 상기 볼트(30)의 상기 단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 너트(20);
상기 체결공(105)에 연결된 상기 띠형 보강재(45)를 정렬하며 수용하는 제1 공간(122) 및 위치 고정에 이용되는 제2 공간(124)이 형성된 보강재 클립(120); 및
길이 방향의 제1 단부(142)가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의 제2 단부(144)가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상기 제2 공간(124)에 걸림 가능한 갈고리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142)와 상기 제2 단부(144)는 직선형의 연결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상기 제1 단부(142)가 걸린 후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상기 제2 공간(124)에 상기 제2 단부(144)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재 클립(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핀(140); 및
상기 플레이트(104)의 상기 체결공(105)에 체결되고, 상기 플레이트(104)가 형성된 상기 결속구(100)와 상기 블록(BL)의 후면의 구조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A block BL forming a wall;
A bolt 30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block BL;
And the plate 102 has a through hole 103 into which the bolt 30 is inserted and the plate 104 is connected to the strap stiffener 45 The plate 104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102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olt 30 so as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100);
The bolt 30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bolt 30 and the binding port 100 to prevent the binding port 100 from moving toward the end of the bolt 30. [ A nut 20;
A stiffener clip 120 having a first space 122 for aligning and accommodating the stiffener 45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105 and a second space 124 used for position fixing; And
Wherein the longitudinal first end 142 has a hook shape that engages with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nd the longitudinal second end 144 engages the second The first end portion 1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144 are connected by a linear connecting body and the first end portion 142 and the second end portion 144 ar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 lock pin 140 securing the position of the stiffener clip 120 by securing the second end 144 to the second space 124 of the stiffener clip 120 after the first end 142 is engaged; And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05 of the plate 104 and connects the fastening hole 100 formed with the plate 104 and the struc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BL,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클립(120)은 내부에 관통 공간이 형성된 링형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관통 공간은 상기 띠형 보강재(45)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공간(122)과 상기 락핀(140)의 상기 제2 단부(144)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공간(124)이 연통된 구조를 갖는 옹벽.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reinforcing material clip 120 has a ring-shaped body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first space 122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strip- And the second space (124)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nd (144) are communic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78428A 2017-06-21 2017-06-21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KR101838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28A KR101838682B1 (en) 2017-06-21 2017-06-21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28A KR101838682B1 (en) 2017-06-21 2017-06-21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97A Division KR20180138520A (en) 2018-03-08 2018-03-08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682B1 true KR101838682B1 (en) 2018-03-14

Family

ID=6166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428A KR101838682B1 (en) 2017-06-21 2017-06-21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6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753B1 (en) 2018-08-21 2018-10-30 주식회사 탑에코 Retaining Wall using Natural Ro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37Y1 (en) * 2003-12-17 2004-03-24 이용희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0889257B1 (en) * 2008-05-08 2009-03-17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using greening of retaining panel's front
KR101237241B1 (en) * 2012-06-26 2013-02-26 임찬영 Set anchor apparatus for breast wall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37Y1 (en) * 2003-12-17 2004-03-24 이용희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0889257B1 (en) * 2008-05-08 2009-03-17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using greening of retaining panel's front
KR101237241B1 (en) * 2012-06-26 2013-02-26 임찬영 Set anchor apparatus for breast wall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753B1 (en) 2018-08-21 2018-10-30 주식회사 탑에코 Retaining Wall using Natural Ro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238B1 (en) Install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 for reinforced earth wall
TWI503468B (en) The traverse of the outer wall to prevent accessories and the use of this part of the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KR101420374B1 (en) Bracket
KR20060032823A (en) Soil retaining method using two rows pile
KR101599327B1 (en) Earth self-retaining wall method
KR20110129657A (en) Retaining wall using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retaining wall using thereof
KR101838682B1 (en)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KR20180138520A (en) Retaining wall and fastening apparatus thereof
KR20170040061A (en) Composite front block and Cut section and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embankment retaining wall section using composite front block
KR101567742B1 (en)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37513B1 (en) Temporary facilities structure
KR102008991B1 (en) supporting system for strut using wale girders with plural row
JP2005307452A (en) Method of regenerating concrete open channel
KR101841996B1 (en) Retaining wall using block
JP6431390B2 (en) dam
KR101724407B1 (en)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KR102076081B1 (en) Strut Connector Assembly
KR20050099067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ground anchor and wale having such supporting apparatus
JP6329824B2 (en) Yamato member and road surface lining method
KR101627209B1 (en) Bracket and rasing the ground using the same
KR101915189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912753B1 (en) Retaining Wall using Natural Ro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KR20120002868U (en) Connecting device for reinforcing braced wall
KR102185956B1 (en) Fastening apparatus for retaining wall
JP3987010B2 (en) Civil engineering structure using wall materia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