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407B1 -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407B1
KR101724407B1 KR1020150108504A KR20150108504A KR101724407B1 KR 101724407 B1 KR101724407 B1 KR 101724407B1 KR 1020150108504 A KR1020150108504 A KR 1020150108504A KR 20150108504 A KR20150108504 A KR 20150108504A KR 101724407 B1 KR101724407 B1 KR 10172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aterial
main steel
material file
binding memb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4708A (en
Inventor
이경진
Original Assignee
금강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407B1/en
Publication of KR2017001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2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항타되는 메인 강재파일; 상기 강재파일의 후면에 적어도 2열로 접촉 배치되도록 해당 지반에 강재파일의 종방향으로 항타되는 보조 강재파일;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되며 지반 붕괴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흙막이 벽체;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도록 마련되는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상부영역을 결속하고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된 상기 흙막이 벽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lf-supporting earth retaining structure is disclosed. The self-supporting earth retain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steel material pile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a corresponding ground in which terra cotta construction has been performed; A secondary steel material file being stuck to the gr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material pile so as to be disposed in at least two row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material pile; An earth retaining wall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s and being provid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A first bind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 side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And a second binding member which binds the upper region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nd prevents the flow of the earth retaining wall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s.

Description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막이 공사시 지반 붕괴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수 있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that can cope with a ground collapse at the time of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and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의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해당 지반을 일정깊이로 굴토하는 터파기 공가 후 토압에 의한 굴토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시공하는 흙막이 공사가 선행된다.Generally, in order to construct an underground structure such as a basement or a subway of a building, a retaining structure is constructed to construct a structur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xcavation surface due to the earth pressure after excavating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기존의 흙막이 공사는 터파기 공사가 수행된 해당 지반에 H형상의 강재파일을 항타하여 배치하고 H형상의 강재파일 사이에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여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한 후 굴토면과 흙막이 구조물 사이에 흙을 메워 지반이 안정화되도록 하는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흙막이 공사는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상태에서 지반에 설치되는 H형상의 강재파일 및 흙막이 벽체로 이루어진 흙막이 구조물과 터파기 공사시 형성된 굴토면 사이에 흙을 메움으로써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 공법이다.In the existing soil-retaining works, H-shaped steel piles are placed on the ground where the earthworks are performed, and the earth retaining walls are installed between the H-shaped steel piles to form earth retaining structures. So that the ground is stabilized. That is, the earthwork is a method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ground by filling earth between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omposed of the H-shaped steel pile and the earth retaining wall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excavated surface formed when the earthquake was constructed.

상기한 흙막이 구조물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6229호가 개시되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6229 is disclosed as an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retaining structure.

이러한 흙막이 구조물은 H형 강재의 웨브에 가이드레일을 결합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후 그 공간부에 강판의 양측을 결합하여 공간부 내에서 강판의 전,후로 흔들림 및 지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uch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that a space portion is formed by joining a guide rail to a web of H-shaped steel and then both sides of the steel plate are joined to the space portion to prevent shaking and ground collapse before and after the steel plate in the space portion have.

하지만, 종래의 흙막이 구조물은, H형 강재가 지반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입설되기 때문에, 지반 붕괴에 대응할 수 있는 견고한 자립 구조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H형 강재는 터파기 공사시 토압이 강판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일렬 배치구조에 의해 토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적 자립성이 결여되고 이에 토압으로 밀리는 강판에 의해 휨 변형되어 지반 붕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taining structure, since the H-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in a line at a certain interval on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olid self-supporting structure capable of coping with the ground collapse can not be secured. That is, when H-shaped steel works intensively on the steel plate when the earth pressure acts on the steel plate, the H-shaped steel lacks the structural independence that can cope with the earth pressure due to the linear arrangement structure and is deformed by the steel plate pushed by the earth pressure to cause the ground collapse It is because.

또한, H형 강재에 강판을 타설시 좁은 폭을 갖는 공간부 사이로 삽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간부와 강판 사이에서 많은 마찰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eel plate is pushed into the H-shaped steel material,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steel plate between the space portions having a narrow width, and a lot of friction is generated between the space portion and the steel plate, so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ing work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hav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1551호(등록일자: 2013년 04월 01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1551 (Registration date: April 01, 201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흙막이 공사시 안정화되지 않은 지반 붕괴에 대응할 수 있는 견고한 자립 구조에 의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설치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할 수 있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stability and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mounting work by a solid self-supporting structure capable of coping with a ground disruption that is not stabilized during earth retaining wor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항타되는 메인 강재파일; 상기 강재파일의 후면에 적어도 2열로 접촉 배치되도록 해당 지반에 강재파일의 종방향으로 항타되는 보조 강재파일;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되며 지반 붕괴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흙막이 벽체;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도록 마련되는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상부영역을 결속하고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된 상기 흙막이 벽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steel material pile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in a lateral direction on a corresponding ground on which a terra cotta construction is performed; A secondary steel material file being stuck to the gr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material pile so as to be disposed in at least two row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material pile; An earth retaining wall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s and being provid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A first bind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 side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And a second binding member which binds the upper region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nd is provided to prevent the flow of the earth retaining wall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s. ≪ / RTI >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은, 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서로 접촉된 플랜지부는 양 표면의 상,하부에 함몰되는 걸림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의 후면에 상기 보조 강재파일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의 양 측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re formed such that flange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re formed by pil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flange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member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ngagement grooves that are recessed i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both surfaces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one side is open to engage the contact side regions of the openings, and both ends of the openings ar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s.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은, 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서로 접촉된 플랜지부 중 어느 플랜지부의 표면의 상,하부에 함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의 후면에 상기 보조 강재파일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 측단부 중 한쪽 단부에 상기 접촉된 플랜지부 중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지 않은 플랜지부에 밀착되는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한쪽 플랜지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re formed such that flange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and are formed into a f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lange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binding member is push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so that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And a flange portion formed on one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open portion, the flange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not having the engaging groove formed therein,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one flange portion via a fastening member, The other end of the preservati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ement in the locking groove.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은, 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의 후면에 상기 보조 강재파일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한쪽 단부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접촉된 플랜지부 중 한쪽 플랜지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다른 쪽 플랜지부에 밀착되도록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re formed such that flange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re formed by pil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flange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haped cross section having one side opened to engage with a side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fter the auxiliary steel she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sheet, And one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one flange portion of the contacted flange portion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other flange portion.

상기 제1 결속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bind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상부영역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블록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가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에 결합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상부영역에 끼움홈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econd binding member is formed as a block body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an upper region where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fitting groove.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흙막이 벽체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된 흙막이 벽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bind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when it is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thereby preven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material piles from flowing.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후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항타된 메인 강재파일의 후면에 보조 강재파일을 종방향으로 접촉 배치하여 항타하고 메인 강재파일과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 및 상부영역을 제1 결속부재 및 제2 결속부재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결속할 수 있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흙막이 공사시 보조 강재파일의 지지에 의한 메인 강재파일의 견고한 자립 구조를 통해 안정화되지 않은 지반 붕괴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terra cotta work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is progressed, a secondary steel material file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pable of binding a side region and an upper reg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first binding member and a second binding member, The rigid self-standing structure of the file ensures the structural stability to cope with the unstabilized ground collapse and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분리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결합된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제1 결속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제2 결속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ombined plan view of the self-supporting earth retaining structure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first binding member of the self-supporting earth retain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coupling member of 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분리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결합된 평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제1 결속부재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제2 결속부재를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upled plane of 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binding member of 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binding member of the self 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과, 흙막이 벽체(30)와, 제1 결속부재(40)와, 그리고 제2 결속부재(50)를 포함한다.1 to 4, 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teel pile 10, a secondary steel pile 20, an earth retaining wall 30, A first binding member 40, and a second binding member 50. [

여기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터파기 공사 후 안정화되지 않은 굴토면에 의한 지반 붕괴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물이다.Here, the self-supporting type retaining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ground collapse due to the unstabilized uneven surface after the erection construction to construct the underground structure.

메인 강재파일(10)은 터파기 공사 후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항타되도록 마련된다. 즉, 메인 강재파일(10)은 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10A)가 연결부(10B)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된다.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is provided so as to be stradd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ground after the terra cotta work. That is,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is formed of a f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10A parallel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10B so as to have an H-shaped cross section.

이러한 메인 강재파일(10)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후 항타기에 의해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깊이로 항타되어 고정 설치된다.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is fixed and installed at a constant depth in the later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ground by a hatcher after a terra cotta work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proceeds.

보조 강재파일(20)은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접촉 배치되도록 해당 지반에 메인 강재파일(10)의 종방향으로 항타되도록 마련된다. 즉, 보조 강재파일(20)은 메인 강재파일(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20A)가 연결부(20B)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된다. 이때, 보조 강재파일(20)은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2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auxiliary steel product file 20 is provided so as to be mounted on the gr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teel product pile 10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product pile 10. That is,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20 is formed by a fil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20A parallel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ortion 20B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10. At this time,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s 20 are arranged in two rows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이러한 보조 강재파일(20)은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접촉 배치되도록 해당 지반에 메인 강재파일(10)의 종방향으로 항타되어 고정 설치된다.This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20 is fixed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

즉, 보조 강재파일(20)은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항타되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달리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종방향으로 항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보조 강재파일(20)에 의해 메인 강재파일(10)을 지지하여 견고한 자립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흙막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In other words,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is til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unlike the main steel pile 10 which is laterally tilted on the ground. This is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structure by supporting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by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to secure a solid self-standing structure.

여기서 보조 강재파일(20)은 메인 강재파일(10) 후면에 2열 배치되도록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보조 강재파일(20)은 메인 강재파일(10)의 견고한 자립 구조를 위해 2열 이상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steel files 20 are arranged in two rows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sheet 10, but the auxiliary steel sheets 20 are arranged in two rows for the rigid self-standing structure of the main steel sheet 10 Or may be arranged to be arranged in a row or more.

상기한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은 서로 접촉된 플랜지부(10A, 20A)의 측부영역의 양 표면에 함몰되는 걸림홈(12, 22)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2, 22)은 플랜지부(10A, 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gaging grooves 12 and 22 that are recessed on both surfaces of the side regions of 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engaging grooves 12 and 22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gaging grooves 12 and 22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이러한 걸림홈(12, 22)은 후술하는 제1 결속부재(40)의 개방된 양 측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se latching grooves 12 and 22 provide a space in which both open ends of the first binding member 40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hooked.

흙막이 벽체(30)는 메인 강재파일(10) 사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즉, 흙막이 벽체(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형성되며 메인 강재파일(10)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흙막이 벽체(30)는 메인 강재파일(10) 사이를 차단하여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earth retaining wall 30 is provided to be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s 10. That is, the earth retaining wall 30 is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is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s 10. The earth retaining wall 30 serves to prevent the ground collapse by blocking the main steel piles 10.

제1 결속부재(4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제1 결속부재(40)는 일측이 개방되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된다.The first binding member 40 is provided so as to bind the contacted side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To this end, the first binding member 40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whose one side is opened.

이러한 제1 결속부재(40)는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보조 강재파일(20)이 접촉되게 배치된 후 개방된 양 측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복원되는 과정을 통해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플랜지부(10A, 20A)에 형성된 걸림홈(12, 22) 및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플랜지부(20A)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되며, 이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binding member 40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and then the open ends of the second steel material pile 20 are spread or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1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gagement grooves 12 and 22 formed in the flanged portions 10A and 20A of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nd the engagement grooves 22 formed in the flanged portion 20A of the auxiliary steel sheet So that it is possible to bind the side regions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in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서 제1 결속부재(4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됨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측부영역에 대한 결속 및 해제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binding member 40 is detachably engaged with the side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so that the side walls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So that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n be ensured.

제2 결속부재(5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을 결속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제2 결속부재(5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과 대응되도록 저면에 끼움홈(52)이 형성되는 블록체로 형성된다. 즉, 제2 결속부재(5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상부영역에 접촉된 플랜지부(10A, 20A) 및 연결부(10B, 20B)에 끼움될 수 있는 끼움홈(52)이 형성된다.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s provided to bind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s formed as a block body in which a fitting groove 5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region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That is, the second binding member 50 has 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nd 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and the connecting grooves 10B and 20B, (52) are formed.

이러한 제2 결속부재(5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에 끼움홈(52)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region where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tting groove 52, It is possible to bind the contacted upper region of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20. [

여기서 제2 결속부재(50)는 제1 결속부재(40)와 마찬가지로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상부영역에 대한 결속 및 해제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region where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binding member 40, It is easy to bind and release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to the upper area and thus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dismounting work of 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can be ensured.

또한, 제2 결속부재(5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 흙막이 벽체(30)의 후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 사이에 결합된 흙막이 벽체(30)의 전, 후 흔들림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30 when it is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 10 and the auxiliary steel pile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earth retaining wall 30 due to shaking before and after the earth retaining wall 30.

여기서 제2 결속부재(50)는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2열의 보조 강재파일(20)이 설치됨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 및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을 결속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Here, 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s disposed in a contacted upper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s the two rows of auxiliary steel sheets 20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sheet 10, Respectively, so as to bind the contacted upper region of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후 굴토면의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 흙막이 공사를 시공하기 위하여, 메인 강재파일(10)을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후 항타기로 항타하여 고정 설치한다.First, in order to construct the earth retaining work to prevent the ground collapse of the excavated surface after the excavation work for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main steel pile 1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ground, And fixedly installed.

메인 강재파일(10)이 해당 지반에 고정되면,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보조 강재파일(20)을 2열로 접촉되게 배치한 후 항타기로 항타하여 고정 설치한다. 이때,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경계에 배치된 플랜지부(10A, 20A)는 서로 접촉된다.When the main steel sheet 10 is fixed to the grou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steel sheet 10 in two rows,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보조 강재파일(20)이 접촉되게 설치되면,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의 플랜지부(10A, 20A) 및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의 플랜지부(20A)에 제1 결속부재(40)를 결합하여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측부영역을 일체화되도록 결속한다.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of the side region where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sheet 10, The first binding member 40 is engaged with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contact side region of the pile 20 so that the side regions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bound together.

즉, 제1 결속부재(40)는 개방된 양 측단부가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플랜지부(10A, 20A)의 걸림홈(12, 22) 및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플랜지부(20A)의 걸림홈(22)에 삽입되어 걸림되며 이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이 일체화되도록 결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binding member 40 has the opened both side ends of the auxiliary steel member 10 and the auxiliary steel member 20 in the engaged flange portions 10A, 20A of the contacted flange portions 10A, 20A, Is inserted and engaged in the engaging groove 22 of the contact flange portion 20A of the file 20 so that the contacted side regions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can be joined together .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측부영역이 제1 결속부재(40)에 의해 결속되면,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의 플랜지부(10A, 20A) 및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의 플랜지부(20A)에 제2 결속부재(50)를 결합하여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상부영역을 일체화되도록 결속한다.When the side regions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joined together by the first binding member 40, 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s joined to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upper region of contact where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joined, As shown in Fig.

즉, 제2 결속부재(50)는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52)에 의해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플랜지부(10A, 20A)에 각각 끼움 결합되며 이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상부영역이 일체화되도록 결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coupling member 50 is fitted to 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respectively, by the fitting grooves 52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contacted upper regions of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can be joined together.

또한, 상기한 제2 결속부재(50)는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 흙막이 벽체(30)의 후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메인 강재파일(10) 사이에 결합된 흙막이 벽체(30)의 전,후 흔들림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30 when it is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 10 and the auxiliary steel pile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combined earth retaining wall 30 due to shaking.

본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후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항타된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보조 강재파일(20)을 종방향으로 접촉 배치하여 항타하고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 및 상부영역을 제1 결속부재(40) 및 제2 결속부재(50)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결속함으로써, 흙막이 공사시 보조 강재파일(20)의 지지에 의한 메인 강재파일(10)의 견고한 자립 구조를 통해 안정화되지 않은 지반 붕괴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lf 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So that the side area and the upper area where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tegrated by the first binding member 40 and the second binding member 5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that can cope with the unstabilized ground collapse through the rigid self-standing structure of the main steel pile 10 due to the support of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during the earth retaining work,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of the apparatus.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보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재(42)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first binding member 42 as shown in Fig.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결속부재(42)는 일측이 개방되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되 개방부의 양 측단부 중 어느 한쪽 단부에 플랜지부(10A)의 표면과 밀착되는 결합부(43)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inding member 42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having a C-shaped cross-section whose one side is opened,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0A at either one of the both- And the portion 43 is extend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속부재(42)의 결속구조를 위해, 메인 강재파일 (10)과 보조 강재파일(20) 또는 보조 강재파일(20)의 서로 접촉된 경계를 형성하는 플랜지부(10A, 20A) 중 어느 한쪽 플랜지부(20A)의 표면의 상,하부에만 걸림홈(2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In this embodiment, for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first binding member 42, a flange portion (not shown) for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or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10A, and 20A, the flange portion 20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gagement groove 22 is formed onl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lange portion 20A.

여기서 걸림홈(22)은 보조 강재파일(20)의 플랜지부(20A)에 형성되나, 이와 다른 구조로 메인 강재파일(10)의 플랜지부(10A)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latching groove 22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auxiliary steel pipe 20 but may b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10A of the main steel pipe 10 in a different structure.

또한, 제1 결속부재(42)에 형성된 결합부(42A)는 체결부재에 의해 메인 강재파일(10)의 플랜지부(10A)에 고정 결합되나, 이와 다른 구조로 보조 강재파일(20)의 플랜지부(20A)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The engaging portion 42A formed on the first binding member 42 is fixedly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0A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by the fastening member,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20A.

이에 따라, 제1 결속부재(42)는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보조 강재파일(20)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개방부의 양 측단부 중 한쪽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42A)가 체결부재(43)를 매개로 메인 강재파일(10)의 플랜지부(10A)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부의 다른 쪽 단부는 보조 강재파일(20)의 플랜지부(20A)에 형성된 걸림홈(22)에 걸림됨으로써,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binding member 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main steel sheet 10 so that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main steel sheet 10, The engaging portion 42A formed a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open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0A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via the engaging member 43 a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The en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22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so that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will be.

본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제1 결속부재(42)에 결속구조에 의해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elf 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firmly binding the side area of the first binding member 42 where the main steel sheet 10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binding structure, Other operation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보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재(44)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first binding member 44 as shown in Fig.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결속부재(44)는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inding member 44 has a structure formed of an elastic body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with one side thereof open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속부재(44)의 결속구조를 위해,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 또는 보조 강재파일(20)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0A, 20A)는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된다.The flange portions 10A and 20A formed on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or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for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first binding material 44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제1 결속부재(44)는 메인 강재파일(10)의 후면에 보조 강재파일(20)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개방부의 양 측단부 중 한쪽 단부가 체결부재(45)를 매개로 메인 강재파일(10)의 플랜지부(10A)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부의 다른 쪽 단부는 보조 강재파일(20)의 플랜지부(20A)에 밀착되도록 걸림됨으로써, 메인 강재파일(10)과 보조 강재파일(20)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binding member 4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main steel sheet 10 so that the auxiliary steel sheet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main steel sheet 10, One end portion of both ends of the open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0A of the main steel material pile 10 via the fastening member 45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joined to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pile 20,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flange portion 20A.

여기서 체결부재(45)는 메인 강재파일(10)의 플랜지부(10A)에 고정 결합되나, 이와 다른 구조로 보조 강재파일(20)의 플랜지부(20A)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Here, the fastening member 45 is fixedly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0A of the main steel pile 10, bu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20A of the auxiliary steel pile 20 with a different structure.

본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결속부재에 결속구조에 의해 메인 강재파일과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elf-supporting typ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irmly bind the side region of the first binding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by the binding structure, lik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operation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메인 강재파일
12: 걸림홈
20: 보조 강재파일
22: 걸림홈
30: 흙막이 벽체
40: 제1 결속부재
50: 제2 결속부재
52: 끼움홈
10: Main steel file
12: Retaining groove
20: Secondary steel files
22:
30:
40: first binding member
50: second binding member
52: Fitting groove

Claims (7)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해당 지반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항타되는 메인 강재파일;
상기 강재파일의 후면에 적어도 2열로 접촉 배치되도록 해당 지반에 강재파일의 종방향으로 항타되는 보조 강재파일;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되며 지반 붕괴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흙막이 벽체;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도록 마련되는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상부영역을 결속하고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된 상기 흙막이 벽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상부영역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십자(+)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블록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결속부재가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에 결합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상부영역에 끼움홈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흙막이 벽체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메인 강재파일 사이에 결합된 흙막이 벽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A main steel file which is hung at a certain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ground where the earthworks are constructed;
A secondary steel material file being stuck to the gr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material pile so as to be disposed in at least two row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eel material pile;
An earth retaining wall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s and being provid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A first bind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 side region of the main steel sheet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And
And a second binding member which binds the upper region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nd prevents the flow of the earth retaining wall joined betwee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s,
And the second binding member
Wherein the first binding member is formed as a block body having a cross groove formed i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an upper region where the main steel sheet and the auxiliary steel she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coupled to a contacted side region of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area where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is contacted with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Wherein the main retaining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retaining wall coupled between the main steel pi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은, 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서로 접촉된 플랜지부는 양 표면의 상,하부에 함몰되는 걸림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의 후면에 상기 보조 강재파일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개방부의 양 측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re formed such that flange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re formed by pil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flange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ngagement grooves being recess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urfaces are formed correspondingly,
Wherein the first binding member has a C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so as to bind the side region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fter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is conta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opening portion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은, 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서로 접촉된 플랜지부 중 어느 플랜지부의 표면의 상,하부에 함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의 후면에 상기 보조 강재파일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 측단부 중 한쪽 단부에 상기 접촉된 플랜지부 중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지 않은 플랜지부에 밀착되는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한쪽 플랜지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re formed such that flange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and are formed into a f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lange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ange portion is formed with an engaging groove recess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Wherein the first binding member has a C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so as to bind the side region in contact with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fter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is conta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an engaging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flange portion of the abutting flange portion where the engaging groove is not formed is extended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은, 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서로 평행한 플랜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 강재파일의 후면에 상기 보조 강재파일이 접촉되도록 항타된 후 상기 메인 강재파일과 상기 보조 강재파일의 접촉된 측부영역을 결속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한쪽 단부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접촉된 플랜지부 중 한쪽 플랜지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다른 쪽 플랜지부에 밀착되도록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steel material file and the auxiliary steel material file are formed such that the flange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have a H-shaped cross section and are formed of a f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flange portions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bind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binding member and a second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auxiliary steel sheet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steel sheet, And one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fixedly engaged with one flange portion of the contacted flange portion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other flange por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flange portion. Self - supporting retaining structur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bind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08504A 2015-07-31 2015-07-31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KR101724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504A KR101724407B1 (en) 2015-07-31 2015-07-31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504A KR101724407B1 (en) 2015-07-31 2015-07-31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08A KR20170014708A (en) 2017-02-08
KR101724407B1 true KR101724407B1 (en) 2017-04-18

Family

ID=5815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504A KR101724407B1 (en) 2015-07-31 2015-07-31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4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561A (en) * 2021-08-27 2021-11-19 中交二公局第一工程有限公司 Deep foundation pit supporting anti-seepag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075A (en) * 2001-12-18 2003-07-03 Tokyu Constr Co Ltd Soil cement column strip earth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581610B1 (en) * 2004-05-19 2006-05-22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Coupl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
KR101359906B1 (en) * 2013-10-07 2014-02-12 윤태소 Modular assembly partition
KR101448216B1 (en) * 2014-04-15 2014-10-10 (주)피디티이엔씨 Retaining wall with multiple pi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51B1 (en) 2010-11-19 2013-04-08 주식회사 영창토건 Soil guar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075A (en) * 2001-12-18 2003-07-03 Tokyu Constr Co Ltd Soil cement column strip earth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581610B1 (en) * 2004-05-19 2006-05-22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Coupl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
KR101359906B1 (en) * 2013-10-07 2014-02-12 윤태소 Modular assembly partition
KR101448216B1 (en) * 2014-04-15 2014-10-10 (주)피디티이엔씨 Retaining wall with multiple p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08A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515B1 (en) Earth retaining wall using support and panel,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403350B1 (en) Soil guar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68048B1 (en) A retaining pa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232604B1 (en) Earth retaining structure using steel pla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03782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water works
KR101506880B1 (en) Shoring apparatus
KR101862208B1 (en)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uon mothod thereof
KR102259036B1 (en) Method of installing a foundation soil barrier wall for a building that prevents soil inflow and secures construction stability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oundation soil barrier wall
KR20110098597A (en) Guide frame for h-steel
KR101724407B1 (en) Self-supported soil retaining structure
KR20140015019A (en) Arch wall shoring structure
KR101567742B1 (en)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65519B1 (en) Construction and disjoining usable retaining wall temporary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597542B1 (en) Self-supported type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88478B1 (en) Arch-shaped retaining panel
KR10138655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JP5476953B2 (en) Structure of mountain retain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713490B1 (en) Soil Guard Structure
JP6692175B2 (en) End structure of preceding el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
KR101906198B1 (en) 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JP6429512B2 (en) Road lining method
JP6804034B2 (en) How to build a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465111B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protecting landslide and construction method structure for protecting landslide using the same
KR101938988B1 (en)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ing the same
KR101665654B1 (en) The deepened sheet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