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438B1 - LED plastic flower - Google Patents

LED plastic fl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438B1
KR101838438B1 KR1020170075110A KR20170075110A KR101838438B1 KR 101838438 B1 KR101838438 B1 KR 101838438B1 KR 1020170075110 A KR1020170075110 A KR 1020170075110A KR 20170075110 A KR20170075110 A KR 20170075110A KR 101838438 B1 KR101838438 B1 KR 101838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lay switch
alarm signal
circuit
ho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이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운 filed Critical 이지운
Priority to KR102017007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4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5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luminous or 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H05B33/088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flower sculp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LED flower sculpture in which heat generated inside the sculpture is minimized by installing a heat sink inside the sculpture, and external air is allowed to flow through a ventilation hole to prevent LED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generated. The LED flower sculpture comprises: a support table; a heat sink installed and fixed on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table; and LED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t sink and emitting light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sculpture formed to surround the heat sink, wherein the heat sink comprises: a board formed of a disc-shaped metal material, having a grid-shaped insertion groov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bsorb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and a radiating line which is fitted 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of a copper material, and dispersing heat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board.

Description

LED 조형 플라워{LED plastic flower}LED plastic flower {LED plastic flower}

본 발명은 LED 조형 플라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형물 내부에 방열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조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고, 통풍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발열에 의해 LED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LED 조형 플라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molding fl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LED molding flower, in which heat generated inside a molding is minimized by installing a heat sink inside the molding,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a ventilation hole, LED < / RTI >

일반적으로 조형물은 제품을 일반인에게 널리 알림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물품이다. 이러한 조형물은 다양한 물품의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판 형태의 형상을 가지고 그 표면에 광고하고자 하는 물품의 형상을 인쇄한 것이다.In general, sculpture is a product to maximize the effect of advertisement by widely publicizing the product to the general public. Such a molding has a shape of a variety of articles or a shape of a plate, and the shape of the article to be advertised on the surface is printed.

위와 같은 종래 조형물은 다수의 사람 눈에 잘 보이도록 대형인 경우가 많고, 이러한 대형 조형물에는 야간에도 광고효과를 갖도록 내부에 조명수단을 구비한 것이 대부분이며, 판매점 매장 내부에 비치하는 것은 조명수단을 가지지 않고 단순히 물품의 형상만으로 이루어진 광고조형물을 사용하여 물품의 형상에 의해 소비자가 물품을 인식하도록 하였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culptures are often large-siz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en by a large number of people. Most of the large sculptures are provided with lighting means inside so as to have an advertisement effect at night. And not only the shape of the article but also the shape of the article by using the shape of the article.

그러나, 상기한 대형 조형물의 경우 네온사인 또는 기타 조명수단의 설치가 복잡하고, 이에 따른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large-scale molding, the installation of the neon sign or other lighting means is complicat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cost and inconvenience to carry.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0001)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84520호 (2002년07월23일 등록)(Patent Document 0001) 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84520 (Registered on July 23, 2002)

(특허문헌 0002)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898호 (2009년09월02일 공개)(Patent Document 0002) 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8898 (published on September 02, 2009)

(특허문헌 0003) 국내등록특허 제10-1096117호 (2011년12월13일 등록)(Patent Document 0003) Domestic Registration No. 10-1096117 (registered on December 13, 2011)

(특허문헌 0004) 국내등록특허 제10-1376454호 (2014년03월13일 등록)(Patent Document 0004) Domestic Registration No. 10-1376454 (Registered on Mar. 13, 2014)

본 발명은 조형물 내부에 방열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조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고, 통풍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발열에 의해 LED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LED molding flower having a heat sink for minimizing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molding by using a heat sink inside the molding and preventing external air from flowing through the vent to prevent the LED from being damaged by heat generation .

또한, 본 발명은 방열판에 온도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기준이상으로 과열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방열판의 과열상태를 빨리 인지하여 해결토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an alarm signal when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a heat sink to overhe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thereby prompting the operator to recognize and overheat the heat sink quick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측에 설치 고정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 상면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에 의해 발광하는 LED; 및 상기 방열판을 감싸도록 형성된 조형물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판은, 원판 형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격자 모양의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판넬; 및 상기 삽입 홈에 끼움 고정되고, 구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판넬 중앙에 집중된 열을 분산시키는 방열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형물은 장미 또는 튤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며, 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확산 되도록 도광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에는 온도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감지 센서의 확인 결과 기준이상으로 과열되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A support stand; A heat sink installed and fixed on the support table; An LE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ink and emitting light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molding formed to surround the heat sink, wherein the heat sink is formed of a disc-shaped metal material, a grid-shap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anel for absorb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And a heat radiating line which is fitt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is made of a copper material and disperses heat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panel;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and the light guide plate is formed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And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temperature sensor on the heat sink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when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at the temperature sensor is overheated.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by itself;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not shown) that is op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to display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when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 alarm for switching the relay switch and for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e same time,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guid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third relay switch, the first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alarm unit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so that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output.

또한, 상기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의 일단에는 소음측정 센서(1151)를 더 설치하고, 상기 소음측정 센서의 측정결과 기준소음 이상인 상태에서 방열판의 온도가 기준이상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 펌핑수단(115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noise level as a result of measurement by the noise measurement senso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mell sensor 1151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malodor pumping means 1152 for outputting the malodor pumping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형물 내부에 방열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조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고, 통풍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발열에 의해 LED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dissipating plate for minimizing heat generated inside a molding by using a heat dissipating plate inside the molding, and preventing external air from flow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to damage the LED due to heat genera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LED molding flower.

또한, 본 발명은 방열판에 온도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기준이상으로 과열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방열판의 과열상태를 빨리 인지하여 해결토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a heat sink, an alarm signal is outpu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is over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reby enabling the operator to quickly recognize and overheat the heat si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0022]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방열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를 위한 구성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예시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LED molding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LED molding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sink of an LED molded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LED molding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for an alarm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is an operation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0022]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LED molding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2 is a side view of an LED molding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방열판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sink of an LED molded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LED molding flower provided with a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를 위한 구성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for an alarm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예시도로서,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는 공원 등과 같은 조경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하여 야간에 LED를 점등시켜 조형물을 돋보이도록 하면서 야경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다양한 꽃을 조형물로 형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된 LED 조형 플라워는 지주대(100), 방열판(200), LED(300), 조형물(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LED molding flower provided with the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rea requiring landscaping such as a park, so as to illuminate the LEDs at night to enjoy the night view, , In particular, a variety of flowers can be used as shaped objects. The LED molded flower provided with the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ut 100, a heat sink 200, an LED 300, a molding 400 and a control unit 500.

지주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열판(2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pedestal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rovided to fix and support the heat sink 200.

방열판(200)은 조형물(4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발열이 심한 LED(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방열판(200)은 판넬(210) 및 방열선(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sink 2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lding 400 to absorb heat generated from the LED 300 having a high heat generation and to radiate heat to the outside. The heat sink 200 may include a panel 210 and a heating wire 220.

판넬(2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격자 모양의 삽입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판넬(210)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보다 저렴한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판넬(210)은 지주대(100)의 상측에 설치 고정되고, 중앙에는 LED(300)가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panel 210 is formed of a disc-shaped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grid-shaped insertion groove 2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210. In particular, the panel 2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less expensive than copper or aluminum,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The panel 210 may be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100, and the LED 300 may be installed and fixed at the center.

방열선(220)은 열전도율이 좋은 구리선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구리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판넬(210)에 형성된 삽입 홈(211)에 끼움 고정되어 LED(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heating wire 220 is formed of a copper wire having a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copper wi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eating wire 22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211 formed in the panel 210, For example.

즉, 판넬(210) 상측에 설치된 LED(300)에서 빛이 발광하면 빛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LED(300)에서 발생한 열은 판넬(210)의 중앙에 집중적으로 열이 가해지고, 판넬(210)의 중앙으로 전달된 열은 다시 판넬(210)의 상측에 설치된 방열선(220)으로 전달되어 방열선(220)에 의해 LED(3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분산되도록 한다.That is,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LED 300 installed on the panel 210, heat is generated by the light. Heat generated from the LED 300 is intensively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panel 210, The heat transferred to the center of the panel 210 is transmitted to the heat radiation line 2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nel 210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300 is dispersed by the heat radiation line 220.

한편, 종래에는 방열판 없이 장시간 동안 LED(300)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상태로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LED(300)에서 발열이 심해 LED(300)의 수명을 단축시켜 LED(30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방열판(200) 상측에 LED(300)를 설치하고, 지속적으로 LED(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열판(200)으로 열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LED(300)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related art, when the LED 300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a heat sink and the LED 300 is heated for a long time, the life of the LED 300 is shorten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 sink 200,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LED 300 is continuously absorbed by the heat sink 200. So that the lifetime of the LED 300 is prolonged.

LED(300)는 방열판(200) 상면에 설치 고정되고,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며, 조형물(400)의 주변을 밝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각 조형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LED(300)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로 들면, 장미의 조형물에 사용될 경우 빨간색의 LED(300)를 사용하고, 튤립의 조형물에 사용될 경우 노란색의 LED(300)가 사용될 수 있다.The LED 3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ink 2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to emit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ontroller 500. The LED 300 may be provided to illuminate the periphery of the molding 400 have. In particular, the LED 300 having various color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each molding. For example, when the LED 300 is used for a rose, the red LED 300 is used. When used for a tulip, 300) may be used.

또한, LED(300)는 방열판(200)의 중앙에 설치하거나 또는 삽입 홈(21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LED 300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eat sink 200 or at least one between the insertion grooves 211.

조형물(400)은 지주대(10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방열판(200)을 감싸도록 장미 또는 튤립 등 다양한 꽃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원 또는 행사장 등에 조경으로 꾸미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조형물(400)은 LED(300)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해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도광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형물(400)은 통풍구(410), 방충망(411), 고정대(420), 도전선(430) 및 해충 수거함(4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lding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edestal 100 and is formed into various flowers such as a rose or a tulip to cover the heat radiating plate 200 and may be provided for decorating a park or an event place. The molding 4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light guide plate for diff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300 to the outside. The molding 400 may include a ventilation hole 410, an insect control net 411, a fixing plate 420, a conductive line 430 and a pest collection box 440.

통풍구(410)는 조형물(400)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고, LED(3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상승된 온도를 낮추도록 외부 공기가 조형물(4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nt holes 410 are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lding 40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molding 400 to lower the temperature rais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300 .

방충망(411)은 통풍구(410)에 설치 고정되고, 해충들이 조형물(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방충망(411)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500)에서 제공하는 고압의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금속재질의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해충이 근접하면 감전시켜 박멸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sect control net 411 is fixed to the ventilation hole 410 and may be provided to block insects from flowing into the molding 400. The insect control net 4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and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high voltage electricity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500 can flow.

즉, 야간 조경을 위해 LED(300)를 발광시켜 조형물(400)의 주변이 밝아지도록 하면, 조형물 주변으로 각종 해충들이 달라붙어 조형물의 미관을 훼손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형물(400)의 미관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충들을 감전시켜 조형물(400)에 달라붙는것을 방지한다.That is, if the periphery of the molding 400 is illuminated by emitting the LED 300 for the night landscape, various insects may adhere to the periphery of the molding, thereby damaging the beauty of the molding 400. The beauty of the molding 400 may be damaged And to prevent the pests from being caught by the electric shock of the sculpture 400.

고정대(420)는 조형물(400)의 내부에 환형 형태 즉 링 형상으로 설치 고정되고, 방열판(200)이 끼움 고정되며, 조형물(400)이 방열판(2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조형물(400)이 외부 충격 즉 강한 바람에 의해 흔들려 지주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열판(200)에 조형물(40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The fixing table 420 may be installed in an annular shape or a ring shape inside the molding 400 and may be provided to secure the molding 400 to the heat sink 200 by inserting and fixing the heat sink 200. Particularly, the molding 400 can be fixedly supported on the heat sink 200 to prevent the molding 400 from being shaken due to external impact, that is, strong wind,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cradle 100.

도전선(430)은 조형물(400)의 내측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 고정되고,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500)에서 고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가 흐르게 하고, 조형물(400) 내부로 유입된 해충들을 고압의 전기로 감점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전선(430)은 고압의 전기가 잘 흐르도록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철사 또는 구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line 430 is installed and fixed so as to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ing 400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 line 500 receives high- And may be provided to scrape the insects introduced into the molding 400 by high-voltage electricity. The conductive line 430 may be formed of a wire or a copper wi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so that high-voltage electricity flows well.

해충 수거함(44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조형물(40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며, 조형물(400)내부에서 박멸된 해충들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해충 수거함(440)은 조형물(400) 내부에 설치된 도전선(430)에 의해 감전된 해충들이 조형물(400) 바닥에 쌓여 조형물(400) 내부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해충 수거함(440) 내부에 쌓인 박멸된 해충들을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The pest collection box 440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lding 400 and may be provided for temporarily storing the insect pests which have been eradicated in the molding 400. The insect collecting box 440 prevents insects punched by the conductive wire 430 installed inside the molding material 400 from accumulating on the bottom of the molding material 400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molding material 400 from becoming dirty, Allows easy and convenient collection of eradicated pests by workers.

제어부(500)는 방열판(200)의 하부 설치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고전압 전기로 변화하여 방충망(411) 및 도전선(430)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LED(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LED(300)로 공급하여 LED(300)가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방충망(411) 및 도전선(430)으로 공급하는 고전압의 전기를 1초 내지 3초간 공급과 차단을 반복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be installed to lower the heat sink 200 and suppl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ect control network 411 and the conductive line 430 by converting the electricity into high voltage electricity. The control unit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300 and supplies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LED 300 so that the LED 300 can emit light. The control unit 500 can repeatedly supply and shut off the high voltage electricity supplied to the insect control net 411 and the conductive line 430 for 1 second to 3 seconds.

즉, 방충망(411) 및 도전선(430)으로 전기를 수시로 공급하게 되면 에너지 낭비가 심해 1초 내지 3초 간격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이도록 한다.That is, if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insect control net 411 and the conductive line 430 at any time, the energy is wasted and power is supplied at intervals of 1 second to 3 seconds to reduce energy waste.

한편, 제어부(500) 내부에 충전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배터리(미도시)의 전기를 LED(300), 방충망(411) 및 도전선(430)으로 공급하여 비상시에도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when a battery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500 and is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xternal power is cut off, the electricity of the battery (not shown)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D 300, Line 430 so that electricity can be used even in an emergency.

또한, 제어부(500)는 관리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LED(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00 is connec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s the LED 300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예로 들어, 지면으로부터 3m 내지 5m 이상 높이에 설치된 조형물(400)을 관리센터 또는 근처에 배치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LED(300)의 온(on)/오프(off) 또는 LED(30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500)를 통해 공급되는 고전압의 전기를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manager 400 disposed at the management center or nearby is connected to the LED 300 by turning on / off the LED 300 while carrying the manager terminal, the molding 400 installed at a height of 3 m to 5 m or more from the ground, And can turn on / off the high-voltage electricity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FIG.

한편, 방열판에 온도센서(600)를 설치하여 상기 온도센서의 확인 결과 기준 이상으로 과열되면 에러상황이므로 제어부(500)가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에러상황을 빨리 치유토록 유도하는 것이다.Meanwhile, when the temperature sensor 600 is installed on the heat sink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over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500 outputs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t is to induce the situation to heal quickly.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a first relay switch RY1, a second relay switch RY2, a third relay switch RY3,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and an alarm control unit 1120. [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source unit 1110 applies power to its own power source.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first relay switch RY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second relay switch RY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to switch the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third relay switch RY3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piece by the third relay switch.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third relay switch so that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on to induce an alarm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It plays a role.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larm control unit 1120 switches the second relay switch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are switched,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continuously maintained to switch the alarm state It plays a role to sustain.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it element for operation 1131, an alarm piece 1132 for connecting an alarm signal operation control unit,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Means 1133a, a gap 1134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As shown in Fig.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operating piece 1131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rela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connecti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breaker 1131.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Thereby induc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sw1 and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are always kept in the off-state.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has a bar magnet shape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magnet holding The circuit breaker 1133 is pushed to push the circuit breaker 1131 up to maintain the electrically turned off state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S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en the first relay swit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relay switch is in the close position and the first relay switch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State And then maintains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is time, when the circuit breaker iron piec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he iron wire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ler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alarm signal is outputted to the outside.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keep the circuit in a disconnected state while the third relay switch is in operation, The operating wire 1131 is lowered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Particularly, 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affects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even i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blinded, so that the off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during the third relay switch non- And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gap 1134a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separated more naturally from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spacing agent at the time of disassembly. If the spacing agent is not present, the body of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body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pacers are provid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spacing agent is provided only arou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Pole and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eparat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f the spacing agent is wrapped to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he strength of the S-poles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weaken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pacers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maintenance of the separation state may become unst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s are provided only on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when magnetic coupling is performed, So that the magnetically coupl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n practice, when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are strongly magnetically coupled Even if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the fall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1131 is maintained, so that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can be maintained.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nnected to a wire for circuit operation and a wire for connecting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to the power supp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automatic operation switch 1135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in a state that the alarm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ff, The signal output control unit turns off the iron wire for power connec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is stopped so that no alarm signal is outputted.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a control relation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applies power to the second relay switch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on and the alarm signal is display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witch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relay switch.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in the middle of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operated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by returning the power to the alarm signal control unit 1140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circuit while moving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40.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if the alarm factor is not solved,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outputs a warning sound to guide the user to solve the alarm factor.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first relay switch, the power supply is returned again and the alarm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Accordingly, even if the alarm signal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reliably solve the cause of the alarm signal.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needed by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signal is no longer appli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n this case,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manual switch 1135 to turn off the alarm signal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의 일단에는 소음측정 센서(1151)를 더 설치하고, 상기 소음측정 센서의 측정결과 기준소음 이상인 상태에서 방열판의 온도가 기준이상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 펌핑수단(1152)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may further include a noise measurement sensor 1151,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is higher than a reference noise level i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noise measurement sensor, Therefore, the malodor pumping means 1152 for outputting malodor is further provided.

이에 따라 소음이 기준이상인 상태에서 에러상황이 발생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도 듣지 못할 수 있으므로 악취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에러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Accordingly, if an error condition occurs in a state where the nois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an alarm signal may not be output even when the alarm signal is output. Therefore, the user may output a malodor to induce the operator to recognize that an error condition has occurred.

100; 지주대 200; 방열판
210; 판넬 211; 삽입 홈
220; 방열선 300; LED
400; 조형물 410; 통풍구
411; 방충망 420; 고정대
430; 도전선 440; 해충 수거함
500; 제어부 600: 온도감지 센서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100; Standing band 200; Heat sink
210; Panel 211; Insert groove
220; A heating wire 300; LED
400; A sculpture 410; ventilation opening
411; Insect screen 420; Fixture
430; A conductive line 440; Pest collector
500; Control unit 600: Temperature sensor
1000: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Claims (3)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측에 설치 고정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 상면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에 의해 발광하는 LED; 및 상기 방열판을 감싸도록 형성된 조형물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판은, 원판 형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격자 모양의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판넬; 및 상기 삽입 홈에 끼움 고정되고, 구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판넬 중앙에 집중된 열을 분산시키는 방열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형물은 장미 또는 튤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며, 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확산 되도록 도광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에는 온도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감지 센서의 확인 결과 기준이상으로 과열되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형 플라워.
A support stand; A heat sink installed and fixed on the support table; An LE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ink and emitting light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molding formed to surround the heat sink,
The heat dissipation plate is formed of a disc-shaped metal material, a grid-shap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anel for absorb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And a heat radiating line which is fitt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is made of a copper material and disperses heat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panel;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and the light guide plate is formed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And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temperature sensor on the heat sink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through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if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at the temperature sensor is overheated.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not shown) that is op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to display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when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 alarm for switching the relay switch and for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e same time,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guid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third relay switch, the first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alarm unit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so that no further alarm signal is output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의 일단에는 소음측정 센서(1151)를 더 설치하고,
상기 소음측정 센서의 측정결과 기준소음 이상인 상태에서 방열판의 온도가 기준이상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 펌핑수단(1152)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형 플라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further includes a noise measurement sensor 1151,
And a malodor pumping means (1152) for outputting a malodo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is higher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noise.
KR1020170075110A 2017-06-14 2017-06-14 LED plastic flower KR101838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10A KR101838438B1 (en) 2017-06-14 2017-06-14 LED plastic f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10A KR101838438B1 (en) 2017-06-14 2017-06-14 LED plastic fl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438B1 true KR101838438B1 (en) 2018-03-14

Family

ID=6166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110A KR101838438B1 (en) 2017-06-14 2017-06-14 LED plastic fl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4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669B1 (en) * 2019-04-03 2020-02-05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A solar power plant equipped with a rotating solar trac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156Y1 (en) * 2001-04-17 2001-10-11 이상훈 Luminous Artificial Flower
KR101005566B1 (en) * 2010-10-08 2011-01-05 (주)레프코리아 Teh lamp comprising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function of dissipation proper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156Y1 (en) * 2001-04-17 2001-10-11 이상훈 Luminous Artificial Flower
KR101005566B1 (en) * 2010-10-08 2011-01-05 (주)레프코리아 Teh lamp comprising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function of dissipation proper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669B1 (en) * 2019-04-03 2020-02-05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A solar power plant equipped with a rotating solar trac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53689U (en) Landscape lamp with insecticidal function
CN206352800U (en) A kind of solar LED street lamp with mosquito killing function
KR101838438B1 (en) LED plastic flower
CN105305261A (en) Intelligent temperature-adjustable lighting distribution cabinet
KR100993791B1 (en) Power LED Street Light for Eradicating Harmful Insects
KR200456165Y1 (en) Streetlamp
KR101413082B1 (en) The warm air circulator that discharge is possible in every direction
CN203618607U (en) Self-light-source suction type mosquito-killing lamp
KR101587496B1 (en) led illumination lamp
KR101369501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ED Light For A Poultry Farm of Poultry Of Superior Girowth
KR101061484B1 (en) Repeater installation structure
CN213089582U (en) Efficient and safe LED lighting street lamp with insect luring and killing functions
CN212408530U (en) Wisdom street lamp
CN208169164U (en) Electric fan device with mosquito catching lamp
KR102122511B1 (en) Emergency induction lamp without electric power supply
JP3170778U (en) Cord reel
CN209073301U (en) A kind of telescopic Mosquito killer lamp
CN218268807U (en) Landscape lamp with deinsectization function
CN107270183B (en) Self-heat-dissipation type LED lawn lighting lamp
CN209213653U (en) A kind of bulkhead lamp with emergency power supply case structure
CN215422387U (en) Insect expelling device for landscape garden lamp box
CN215929403U (en) Lighting lamp with mosquito killing function
CN216020080U (en) Multifunctional insecticidal seat
CN215224183U (en) Landscape design lamp capable of killing mosquitoes
JP3056807U (en) Electric fan having lighting means and means for forcibly catching mosquit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