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252B1 -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 Google Patents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252B1
KR101838252B1 KR1020160177419A KR20160177419A KR101838252B1 KR 101838252 B1 KR101838252 B1 KR 101838252B1 KR 1020160177419 A KR1020160177419 A KR 1020160177419A KR 20160177419 A KR20160177419 A KR 20160177419A KR 101838252 B1 KR101838252 B1 KR 10183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essing
glass substrates
pai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철
박홍진
김종환
서종현
나윤성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피
Priority to KR102016017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2Scanning systems, i.e. 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beam relative to the las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B23K2203/5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유리기판용 레이저 용접장치에 장착되어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밀착시키는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유리기판용 레이저 용접장치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가압렌즈를 유리기판에 직접 접촉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밀착시키거나, 유리기판과 비접촉되는 프레스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이 공기가 프레스부와 유리기판 사이로 빠져나가면서 형성하는 공압에 의해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밀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Pressurizing module for glass to glass welding}
본 발명은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유리기판용 레이저 용접장치에 장착되어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밀착시키는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관한 것이다.
QD(Quantum-Dot) LED, 유기 Display, 유기 태양전지, 유기 battery, 유기 반도체 등은 각종 소자들이 실장되는 유기층들 및 접촉을 위한 금속층들의 패키지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서로 맞대어지는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 소자들을 배치한 후 한 쌍의 유리기판이 접하고 있는 가장자리부를 결합하여 유리기판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 과정이 없으면 한 쌍의 유리기판 내부에 배치된 소자들이 산소 및 증기에 의해 부식되어 소자의 기능상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한 쌍의 유리기판 내부를 밀봉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접착제는 습기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접착제에 의한 밀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의 계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을 직접 레이저 용접함으로써, 한 쌍의 유리기판 내부를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펨토 내지 피코초 범위의 짧은 펄스 레이저를 이용할 경우 용접되는 부분에 지나치게 높은 응력이 전개되지 않으면서 크랙 형성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의 계면에서 위아래 기판이 동시에 용융되면서 성공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한편, 면적은 넓고 두께는 얇은 유리기판의 특성상 제조 및 이송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휘어질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두 장의 유리기판을 서로 맞대었을 때, 유리기판의 전면이 서로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게 된다. 즉, 두 장의 유리기판 중 어느 하나라도 뒤틀리거나 휘어져 있으면, 서로 맞대지는 유리기판의 계면 사이가 들떠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레이저 용접이 제한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4308호(2013.08.23 공개, 발명의 명칭 : 유리 땜납 없이 극초단 펄스 레이저에 의한 유리 하우징 컴포넌트들의 직접 용접에 의한 광전자 반도체 엘리먼트 및 연관된 생산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간단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한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유리기판용 레이저 용접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레이저빔의 광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을 투과시키고,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과 마주보는 가압면이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이 접하는 계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압렌즈; 상기 가압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압렌즈를 감싸며 지지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가압면이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을 가압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렌즈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렌즈는, 상기 렌즈 하우징과 접하는 외측면이 구면을 이루며 상기 렌즈 하우징과 볼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을 가압하면서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의 기울기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과 마주보는 가압렌즈의 배면과 상기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렌즈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압렌즈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렌즈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가압렌즈를 이용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밀착시킴으로써, 기판의 용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가압렌즈의 가압면과 유리기판 사이의 평행도 차이에 따라 가압렌즈가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유리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가압렌즈와 렌즈 하우징 사이에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고 가압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가압렌즈와 탄성부재 사이에 쿠션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가압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렌즈 하우징을 분리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제작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공압을 이용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비접촉식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용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유리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프레스부가 받는 부양력에 대응하는 하중을 프레스부에 가함으로써, 프레스부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중공부의 상측에 차폐부재를 설치하여 중공부에 형성되는 공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차폐부재와 프레스부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차폐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따르면, 프레스부의 외측으로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의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유리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포함된 가압렌즈가 유리기판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의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유리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에 포함된 가압렌즈가 유리기판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100)은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에 레이저빔(L)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유리기판용 레이저 용접장치에 장착되어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렌즈(110)와, 렌즈 하우징(120)과, 승강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렌즈(110)는 레이저 헤드부(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L)의 광축 상에 배치되어 레이저빔(L)을 투과시키고, 한 쌍의 유리기판(W)과 마주보는 가압면(111)이 한 쌍의 유리기판(W)이 접하는 계면(Wa)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가압렌즈(110)는 석영(quartz)과 같은 투명성 광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하우징(120)은 가압면(1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압렌즈(110)를 감싸며 지지한다. 렌즈 하우징(120)은 제작 편의를 위해 상부 하우징(121)과 하부 하우징(122)으로 분리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22)은 가압렌즈(110)가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면홈(122a)과, 구면홈(122a)과 연결되고 그 폭이 확장되면서 후술되는 탄성부재(140) 등이 안착되는 확장홈(122b)을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121)은 탄성부재(140) 등이 하부 하우징(1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 하우징(122)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121)의 중앙부에 통공(121a)이 형성되는데, 이는 레이저빔(L)이 상부 하우징(121)을 투과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W)을 향해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가압렌즈(110)의 가압면(111)이 한 쌍의 유리기판(W)을 가압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가 밀착되도록 렌즈 하우징(120)을 승강시킨다. 승강수단(130)은 공·유압을 이용한 실린더, 회전모터와 랙 기어를 조합한 구동부 등 다양한 선형 구동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다.
유리기판(W)은 일반적으로 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다. 유리기판(W)이 쉽게 뒤틀리거나 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기판(W)의 전체 면에 걸쳐 두께를 일정하게 제작하기는 어렵다. 이럴 경우,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유리기판(W)을 서로 맞대었을 때, 유리기판(W)의 전체 면이 서로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한다. 즉, 서로 맞대지는 유리기판(W)의 계면(Wa) 사이가 들떠 틈(g)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레이저빔(L)이 유리기판(W) 사이의 틈(g)에 초점(Lf)을 형성하므로 유리기판(W)이 제대로 용융되지 않는다. 용접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아예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에 틈(g)이 있으면, 한 쌍의 유리기판(W)에 두 매질이 존재하게 된다. 매질 중 하나는 유리이고 다른 하나는 공기이다. 레이저빔(L)이 이 매질을 통과하면서 매질 사이의 굴절률에 차이에 의해 레이저빔(L)이 프리즘과 같이 서로 다르게 굴절하면서 유리기판(W)의 계면(Wa)에 정확히 초점(Lf)을 맺지 못하게 된다.
결국, 레이저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의 내부 공간(미도시)이 완전하게 밀봉되지 못한다. 이 내부 공간에 실장되는 소자 등이 산소 및 증기에 의해 부식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소자들로 만들어지는 QD(Quantum-Dot) LED, 유기 Display, 유기 태양전지, 유기 battery, 유기 반도체 등과 같은 각종 전자제품들의 품질 저하와 수명 단축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130)의 구동에 의해 렌즈 하우징(120)이 하강되고, 가압렌즈(110)의 가압면(111)이 한 쌍의 유리기판(W)을 가압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를 밀착시킨다. 가압렌즈(110)의 가압면(111)이 한 쌍의 유리기판(W)을 직접 눌러 두 장의 유리기판(W)이 마치 한 장의 유리기판(W)인 것처럼 완전히 밀착시킨다. 즉,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의 틈(g)이 없어지고 한 쌍의 유리기판(W)이 차지하는 공간이 하나의 매질만으로 구성되므로, 상술한 기존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플레이트(20) 자체의 기울기, 유리기판(W)의 가공 오차, 가압모듈의 조립 오차 등에 의해 가압렌즈(110)의 가압면(111)과 유리기판(W)이 서로 완전하게 평행을 유지하지 어렵다. 이 상태에서, 유리기판(W)을 가압하게 되면, 평행도 차이(θ)에 의해 유리기판(W)과 접촉되는 가압면(111)의 한 지점에 가압력이 집중되면서 유리기판(W)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렌즈(110)는 렌즈 하우징(120)과 접하는 외측면(112)이 구면을 이루며 렌즈 하우징(120)과 볼 결합되고, 한 쌍의 유리기판(W)을 가압하면서 한 쌍의 유리기판(W)의 평행도 차이(θ), 즉 기울기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탄성부재(140)와 쿠션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가압렌즈(110)의 가압면(111)과 마주보는 가압렌즈(110)의 배면(113)과 렌즈 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렌즈(11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 복원력에 의해 가압렌즈(110)가 렌즈 하우징(120)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가압면(111)이 유리기판(W)을 향하여 일정한 방향을 유지한다. 가압렌즈(110)가 향하는 방향을 별도로 교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렌즈(110)가 유리기판(W)에 닿으면서 받는 충격을 탄성부재(140)가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가압렌즈(110)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취성이 높은 가압렌즈(110)는 탄성부재(140)와의 순간적인 충격에는 취약하므로, 가압렌즈(110)와 탄성부재(140) 사이에 쿠션부재(150)를 개재하여 가압렌즈(110)와 탄성부재(140) 사이의 충격이 쿠션부재(150)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면적의 유리기판(W)의 경우, 가압렌즈(110)가 유리기판(W)의 테두리(미도시)에 존재하는 가상의 용접라인을 따라 쭉 밀고 가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는데, 유리기판(W)의 표면 굴곡으로 인해 가압렌즈(1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탄성부재(140)와 쿠션부재(150)에 흡수되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200)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100)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200)은 공압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스부(210)와, 공압형성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부(210)는 레이저빔(L)의 광축 상에서 한 쌍의 유리기판(W)과 마주보며 이격되게 배치되고, 레이저빔(L)이 통과하는 중공부(211)를 구비한다. 프레스부(210)는 중공부(211)와 공압형성부(220)를 연결하고 공압형성부(2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a)를 중공부(211)로 전달하는 공압유로(212)를 구비하는데, 공압유로(212)에서 중공부(211)로 배출되는 공기(a)가 중공부(211)의 상측으로 유출되어 공압이 저하되지 않도록 광 투과성 재질의 차폐부재(230)로 중공부(211)의 상측을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230)가 공압유로(212)의 상측을 차폐하면서 공기(a)의 압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차폐부재(230)와 프레스부(210) 사이에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250)를 차폐부재(230)와 프레스부(210)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중공부(211)는 공압유로(212)에서 공기(a)가 배출되는 제1중공구역(211a)과, 제1중공구역(211a)과 연결되고 공기(a)가 빠져나가는 중공부(211)의 출구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2중공구역(2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공압유로(212)에서 배출된 공기(a)가 제2중공구역(211b)을 경유하여 중공부(211)의 출구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제2중공구역(211b)의 경사면을 따라 프레스부(210)의 외측으로 공기(a)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압형성부(220)는 중공부(211)에 공기(a)를 공급한다. 공압형성부(220)는 통상의 공압라인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200)은 중공부(211)에 공급된 공기(a)가 프레스부(210)와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로 빠져나가면서 형성하는 공압에 의해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가 밀착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일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그대로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를 공압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밀착시키기 때문에 직접 접촉에 의해 유리기판(W)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프레스부(210)는 프레스부(210)와 한 쌍의 유리기판(W) 사이에 형성되는 공압에 의해 한 쌍의 유리기판(W)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양력(Fa)을 받는다. 따라서 부양력(Fa)에 대응하는 하중(Fb)을 프레스부(210)에 가하여 프레스부(21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승강수단(2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가압렌즈를 이용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밀착시킴으로써, 용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가압렌즈의 가압면과 유리기판 사이의 평행도 차이에 따라 가압렌즈가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유리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가압렌즈와 렌즈 하우징 사이에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고 가압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가압렌즈와 탄성부재 사이에 쿠션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가압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렌즈 하우징을 분리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제작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공압을 이용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를 비접촉식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용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유리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프레스부가 받는 부양력에 대응하는 하중을 프레스부에 가함으로써, 프레스부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중공부의 상측에 차폐부재를 설치하여 중공부에 형성되는 공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차폐부재와 프레스부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차폐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은, 제2중공구역의 폭이 출구 쪽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함으로써, 프레스부의 외측으로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110 : 가압렌즈
111 : 가압면
120 : 렌즈 하우징
130 : 승강수단
W : 한 쌍의 유리기판
Wa : 계면
L : 레이저빔

Claims (9)

  1.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용접하는 유리기판용 레이저 용접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레이저빔의 광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을 투과시키고,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과 마주보는 가압면이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이 접하는 계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압렌즈;
    상기 가압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압렌즈를 감싸며 지지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가압면이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을 가압하여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가 밀착되도록 상기 렌즈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렌즈는, 상기 렌즈 하우징과 접하는 외측면이 구면을 이루며 상기 렌즈 하우징과 볼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을 가압하면서 상기 한 쌍의 유리기판의 기울기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과 마주보는 가압렌즈의 배면과 상기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렌즈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렌즈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렌즈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177419A 2016-12-23 2016-12-23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KR101838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19A KR101838252B1 (ko) 2016-12-23 2016-12-23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19A KR101838252B1 (ko) 2016-12-23 2016-12-23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252B1 true KR101838252B1 (ko) 2018-03-14

Family

ID=6166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19A KR101838252B1 (ko) 2016-12-23 2016-12-23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3259A1 (en) * 2007-10-05 2011-03-31 Jeffrey Michael Amsd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glass package
US20150298256A1 (en) * 2014-04-17 2015-10-22 Primoceler Oy Method to weld two substrate pieces together using a focused laser beam
JP5830233B2 (ja) * 2010-09-17 2015-12-09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接合体の製造装置
JP5984452B2 (ja) * 2012-03-29 2016-09-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ガラス溶着装置及びガラス溶着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3259A1 (en) * 2007-10-05 2011-03-31 Jeffrey Michael Amsd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glass package
JP5830233B2 (ja) * 2010-09-17 2015-12-09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接合体の製造装置
JP5984452B2 (ja) * 2012-03-29 2016-09-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ガラス溶着装置及びガラス溶着体
US20150298256A1 (en) * 2014-04-17 2015-10-22 Primoceler Oy Method to weld two substrate pieces together using a focused laser be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5309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654304B2 (en) Flat pane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396003B (zh) 顯示面板及其邊框窄化、邊緣強度提昇方法
JP2008201629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基板の分断方法、及び、基板分断装置
CN211826839U (zh) 显示组件及显示设备
US20070126945A1 (en)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id crystal panel
KR102457975B1 (ko)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80092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3149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7154049A1 (ja) 液晶バックライト装置
KR102248159B1 (ko) 플립 칩 본딩장치의 가압 헤드 및 그를 포함하는 가압 어셈블리
KR101838252B1 (ko) 유리기판 용접용 가압모듈
KR10199933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17531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127566B2 (ja)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633196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스크라이빙 방법
JP2010159187A (ja) 基板ブレイク方法、基板ブレイク装置及びブレイクバー
US10293385B2 (en) Foreign substance collection structur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2000214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thereby
US2019017104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04986B (zh) 背光模組外框、背光模組及液晶面板
KR102599475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20145362A (ja) レーザ処理装置
KR20140138421A (ko)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챔퍼링 장치
JP2013004454A (ja) 接合基板の製造方法、接合基板の製造装置及び光透過量調整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