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769B1 - Bobbin of Stepping Motor - Google Patents

Bobbin of Stepping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769B1
KR101837769B1 KR1020110058614A KR20110058614A KR101837769B1 KR 101837769 B1 KR101837769 B1 KR 101837769B1 KR 1020110058614 A KR1020110058614 A KR 1020110058614A KR 20110058614 A KR20110058614 A KR 20110058614A KR 101837769 B1 KR101837769 B1 KR 10183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obbin
stepp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9065A (en
Inventor
이진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769B1/en
Publication of KR2012013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텝핑 모터의 보빈은, 원통형상의 몸체; 자기장 형성을 위한 패턴이 마련되며, 상기 몸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단에 상기 패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양쪽 끝단을 지지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 마련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a pattern for forming a magnetic fiel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pattern at the other end; Side walls supporting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t both ends of the body; And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provided on the sidewall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Description

스텝핑 모터의 보빈{Bobbin of Stepping Mot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본 발명은 스텝핑 모터의 보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일반적으로 스텝핑 모터는 저렴하고, 각도 및 위치 제어가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여러 종류의 사무자동화 장비 및 공장자동화 장비, 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이용되고 있다.Generally, stepping motors are inexpensive, easy to angle and position control, and are used in various types of office automation equipment, factory automation equipment, optical disk drives, and the like.

스텝핑 모터는 샤프트 위치 검출을 위한 별도의 센서가 없어도 디지털 펄스를 이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각도를 유지하며 정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개인용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stepping motor is widely used in personal computers because it can stop and maintain the required angle by using digital pulses even if there is no sensor for detecting the shaft position.

현재, 개인용 컴퓨터는 데스크탑형 컴퓨터에서 노트북형 컴퓨터로 그 이용이 확산되고 있는데, 다른 부품과 마찬가지로 노트북형 컴퓨터에 이용되는 스텝핑 모터도 경박단소(輕薄短小)의 부품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Currently, the personal computer is spreading from a desktop type computer to a notebook type computer, and like other parts, the stepping motor used in a notebook type computer is also being developed in the form of thin, thin and small parts.

스텝핑 모터의 보빈에는, 코일을 감아 자기장을 형성하는데, 이 코일의 지름과 권선회수는 모터의 토크와 저항, 인덕턴스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따라서, 코일의 지름과 권선회수에 따라 보빈의 크기가 결정되며, 그 두께에 따라 모터의 지름도 결정된다.The bobbin of the stepping motor forms a magnetic field by winding a coil. The diameter of the coil and the number of windings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orque, resistance and inductance of the motor. Therefore, the size of the bobbin is determined by the diameter of the coil and the number of windings, and the diameter of the mo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obbin.

그런데, 보빈의 외주면에 코일을 권선하여 스테이터를 구성하면, 권선기술에 따라 불량율이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경박단소해지는 부품 개발 추세에 맞추어, 스텝핑 모터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f the stator is constituted by winding the coi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the defective ratio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nding technique.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epping motor can not be miniaturiz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compon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텝핑 모터의 보빈에 코일 권선 작업 없이 스테이터를 구성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스텝핑 모터의 보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in which a stator can be constructed without a coil winding operation on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텝핑 모터의 보빈은, 원통형상의 몸체; 자기장 형성을 위한 패턴이 마련되며, 상기 몸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단에 상기 패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양쪽 끝단을 지지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 마련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a pattern for forming a magnetic fiel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pattern at the other end; Side walls supporting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t both ends of the body; And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provided on the sidewall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이탈방지 유닛은, 상기 측벽에 환형(ring shape)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나, 상기 측벽에 환형(ring shape)으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may include a guide rib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side wall or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side wall in a ring shape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몸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attached to the body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means such as double-sided tape.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몸체에 1회 권취될 수도 있고,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에 복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wound once on the body, and a plurality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may be provided to form a multilayer on the body.

상기 몸체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일측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preferably includes a fixing slit for fixing one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의 둘레에 코일 대신, 소정의 패턴을 가지지는 FPCB(Flexible PCB)를 1회 권취하여 스테이터를 구성하므로, FPCB의 패턴의 전류값을 변경하여 스텝핑 모터의 토크값을 변경할 수 있어, 스텝핑 모터의 토크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빈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or is formed by winding an FPCB (Flexible PCB)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ce around a bobbin instead of a coil, so that the current value of the pattern of the FPCB is changed,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bobbin in order to increase the torque value of the stepping motor.

또한, 보빈의 둘레에 코일을 권선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 권선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tep of winding the coil around the bobbin is not required, a product failure that may occur during the coil winding process can be prevented.

또한,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의 지름에 비해, FPCB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스텝핑 모터에 사용되는 보빈의 개수를 기존의 2개에서 1개로 줄일 수도 있기 때문에, 스텝핑 모터의 지름과 길이를 모두 소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FPCB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coil wound on the bobbin, and the number of bobbins used in the stepping motor can be reduced from two to one as required, Both the diameter and the length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포함하는 스텝핑 모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 1 보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 1 보빈에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감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epping motor including a bobb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bbin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wound on the first bobbin of Fig. 2,
4 and 5 are sectional views of FIG. 3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텝핑 모터의 보빈을 유첨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스텝핑 모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epping mo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는, 제 1 하우징(110), 제 1 보빈(120) 및 제 1 요크(130)를 포함하는 제 1 모터부(100)와, 제 2 하우징(210), 제 2 보빈(220) 및 제 2 요크(230)를 포함하는 제 2 모터부(200) 및 마그네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300)는 축(3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110)(210)에는 각각 브라켓(101)과 커버(201)가 결합된다.The stepping motor includes a first motor unit 100 including a first housing 110, a first bobbin 120 and a first yoke 130 and a second motor unit 100 including a second housing 210, A second motor unit 200 including a bobbin 220 and a second yoke 230 and a magnet 300. The magnet 30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haft 310. [ The bracket 101 and the cover 201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210, respectivel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스텝핑 모터의 제 1 및 제 2 보빈(120)(220)의 구성에 발명의 특징이 있으며, 제 1 및 제 2 보빈(120)(220)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제 1 보빈(120)을 중심으로 그 구조를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120 and 220 of the stepping motor having such a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120 and 22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bobbin 12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텝핑 모터의 보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권취된 상태의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obbin of a stepping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bbin in a state in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wound, Figs. 4 and 5 are cross-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structur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텝핑 모터의 제 1 보빈(120)은 원통형상의 몸체(121),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 측벽(128) 및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한다.As shown, the first bobbin 120 of the stepping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121,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a side wall 128, and an escape prevention unit.

몸체(121)는 일반적인 스텝핑 모터에 사용되는 코일 권선형 보빈의 형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상기 몸체(121)의 둘레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이 감긴다.The body 12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not largely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oil-wound bobbin used in a general stepping moto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is wound around the body 121.

상기 몸체(1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의 끝단(126)이 삽입 결합되는 슬릿(122)이 형성되어, 이 슬릿(122)에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의 일단이 고정된다. 2, a slit 122 into which an end 126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121,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are fixed.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FPCB)은 자기장 형성을 위한 패턴이 그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121)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단에 상기 패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127)가 형성된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FPCB) is provided with a pattern for forming a magnetic field, wound around the body 121 in a state where one end thereof is fixed, and has a connection terminal (127) are formed.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자(127)가 형성된 부분이 수직하게 접힌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을 상기 몸체(121)에 감을 때, 단자부(127)가 상기 측벽(128)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단자부(127)를 절곡하지 않고 평평하게 구성한 후, 상기 몸체(121)에 감은 후, 단자부(127)를 절곡하는 것도 가능하며, 몸체(121)의 둘레에 맞춘 곡면형상으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2,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is formed to be vertically folded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 127 is formed,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is connected to the body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portion 127 is ma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128. Although not shown, the terminal portion 127 may be formed flat without being bent, and then the terminal portion 127 may be bent after being wound around the body 121. The terminal portion 127 may be curved As shown in FIG.

측벽(128)은, 상기 몸체(121)의 양단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의 양쪽 끝단을 지지한다. 상기 측벽(128)은 금형 등을 통해, 상기 몸체(121)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 부재를 이용하여, 원통형상의 몸체(121)에 끼워 맞추거나 접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생산 공정 및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The side walls 128 support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at both ends of the body 121. The side wall 128 may be formed to be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body 121 through a mold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to be fitted or adhered to the cylindrical body 121 using a separate member have. However, it is best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21 so as to reduce the number of production processes and assembly processes.

이탈방지 유닛은 상기 측벽(128)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121)에 감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측벽(128)에 환형(ring shape)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129)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와 같이, 상기 측벽(128)에 환형(ring shape)으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129')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28 to prevent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wound on the body 121 from separating fro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guide rib 129 may be formed as a ring shape protruding fro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0 in a ring shape on the side wall 128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May be formed as a guide groove 129 'formed concavely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guide groove 125'.

이와 같은 가이드 리브(129)나, 가이드 홈(129')의 구성은, 측벽(128)과 함께 금형 작업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가공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상기 측벽(128)에 마련할 수 있다.Since the guide rib 129 and the guide groove 129 'can be formed together with the side wall 128 through a mold operation, the side wall 128 can be easily form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processing step, As shown in FIG.

단,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리브(129)로 상기 이탈방지유닛이 마련될 경우,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의 연결단자(127)와 간섭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가이드 리브(128)가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in the case where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s provided with the guide rib 129, at a posi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127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The guide rib 128 is preferably removed.

한편,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은, 상기 몸체(121)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이탈방지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접착수단만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may be attached to the body 121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such as a double-sided tape. In this case, it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described above, or may be fixed using only such a bonding means.

한편,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은, 상기 몸체(121)에 1회 권취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121)에 복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하는 스텝핑 모터의 용량이나 출력에 따라 결정하는 것으로, 고출력이 필요할 경우, 한 장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이 최대로 생성할 수 있는 자기량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만일, 복수 매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을 사용할 경우, 그 코일의 패턴과 두께는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may be wound once on the body 121 o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25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body 121. This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and output of the stepping motor to be used, and when a high output is required, 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amount that can be generated by a singl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at maximum. If a plurality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25 are use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attern and thickness of the coil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텝핑 모터의 보빈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obbin of the stepping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핑 모터의 보빈은 종래와 비교하면, 코일의 권선 유무에 차이가 있는 구성이다. 즉, 종래에는 보빈의 둘레에 소정 횟수로 코일을 권선하여, 보빈에 자기장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보빈의 둘레에 코일의 역할을 대체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여 자기장을 형성한다.The bobbin of the stamping mo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il winding. That is, conventionally, a coil is wound around the bobbi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o form a magnetic field on the bobbi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replacing the role of the coil is provided around the bobbin to form a magnetic field.

도 3 내지 도 5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1 보빈(120)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도면과 같이 동일한 형태의 제 1 및 제 2 보빈(120)(220)을 구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a first bobbin 1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120 and 220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ose of FIG. 1 are shown .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연결단자(127)를 통해 인가된 전류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25)에 형성된 소정의 형상의 패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그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리 설계된 폭과 두께를 가지는 배선으로 마련된다.When the power is applied, a current a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127 flows along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formed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5. At this time, the pattern is provided with a wiring having a width and a thickness designed in advance so that a magnetic field can be formed around the current as the current flows.

이때, 상기 연결단자(127)는 소정의 제어모듈과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패턴의 배선에 부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양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보빈(120)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보빈(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보빈(220)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terminal 127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adjusts the magnitude and amount of the electric current to be added to the wiring of the pattern so that the size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first bobbin 120 Can be adjusted. Meanwhile, the second bobbin 220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obbin 120 can be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보빈에 코일을 감는 권취작업 대신, 보빈의 둘레에 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감는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코일 권취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단선과 같은 불량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stead of the winding operation of winding the coil on the bobb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is wound around the bobbin. Therefore, defects such as disconnection, .

또한, 코일을 복층으로 권취하는 대신, 한층으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감아 보빈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코일을 권취하는 종래의 보빈의 측벽보다 낮은 높이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텝핑 모터를 구성하는 보빈의 부피를 줄여, 제품 소형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instead of winding the coil in a multilay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bobbin by wind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 one layer, so that the side wall can b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side wall of the conventional bobbin for winding the coi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obbin constituting the stepping motor, thereby achieving product miniaturization.

특히, 종래에는 보빈에 권선된 코일의 굵기와 권선횟수에 따라 고정된 자기장의 크기를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에 부가되는 전류의 크기 조절을 통해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스텝핑 모터의 제어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fix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il wound on the bobbin and the number of windings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ore precise control of the stepping motor is possible Do.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텝핑 모터와 같이 2개의 보빈을 사용하는 대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보빈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품수 절감에 따른 추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stead of using two bobbins as in the stepping motor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different patterns may be formed on one bobbin, although not show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dditional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100; 제 1 모터부 110; 제 1 하우징
120; 제 1 보빈 121; 보빈 몸체
122; 슬릿 125;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126; 끝단 127; 연결단자
128; 측벽 129, 129'; 이탈방지 유닛
130; 제 1 요크
200; 제 1 모터부 210; 제 2 하우징
220; 제 2 보빈 230; 제 2 요크
100; A first motor unit 110; The first housing
120; A first bobbin 121; Bobbin body
122; Slit 125;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6; End 127; Connection terminal
128; Side walls 129, 129 '; Release prevention unit
130; The first yoke
200; A first motor unit 210; The second housing
220; A second bobbin 230; Second yoke

Claims (10)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자기장 형성을 위한 패턴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단에 상기 패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영역 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양쪽 끝단을 지지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 유닛은, 상기 측벽에 환형(ring shape)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이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내면은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외면에 접촉하는 스텝핑 모터의 보빈.
A cylindrical bod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which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has a pattern for forming a magnetic field so that one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wound on the body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other end, );
A sidewall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sidewalls being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relatively larger in cross-sectional area than a region wher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coupled; And
And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provided on the side wall for prevent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may include a guide rib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side wal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ib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몸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핑 모터의 보빈.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bbin of the stepping motor is attached to the body by an adhesive or an adhesive means such as a double-sided t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몸체에 1회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핑 모터의 보빈.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obbin of the stepping motor is wound on the body on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에 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핑 모터의 보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lurality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are provided to form a multi-layer on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일측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핑 모터의 보빈.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fixing slit for fixing one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 1 항에 기재된 한 쌍의 보빈으로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스텝핑 모터.
A stepping motor constituting a stator by the pair of bobbins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기재된 1개의 보빈으로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스텝핑 모터.A stepping motor constituting a stator with one bobbin according to claim 1.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자기장 형성을 위한 패턴이 마련되어 상기 몸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단에 상기 패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영역 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양쪽 끝단을 지지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 유닛은, 상기 측벽에 환형(ring shape)으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고,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양쪽 끝단은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바닥면에 끝단이 접촉되는 스텝핑 모터의 보빈.
A cylindrical bod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which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has a pattern for forming a magnetic field so that one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wound on the body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other end, );
A sidewall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sidewalls being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relatively larger in cross-sectional area than a region wher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coupled; And
And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provided on the side wall for prevent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s a guide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 a ring shape on the side wall,
Wherein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r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the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KR1020110058614A 2011-06-16 2011-06-16 Bobbin of Stepping Motor KR101837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14A KR101837769B1 (en) 2011-06-16 2011-06-16 Bobbin of Stepping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14A KR101837769B1 (en) 2011-06-16 2011-06-16 Bobbin of Stepping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65A KR20120139065A (en) 2012-12-27
KR101837769B1 true KR101837769B1 (en) 2018-03-12

Family

ID=4790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614A KR101837769B1 (en) 2011-06-16 2011-06-16 Bobbin of Stepping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7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115A (en) * 2005-07-28 2007-02-08 Sumitomo Electric Ind Ltd Bobbin for optical fib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115A (en) * 2005-07-28 2007-02-08 Sumitomo Electric Ind Ltd Bobbin for optical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65A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3641B2 (en) Lens drive device
US9560255B2 (en) Camera module
EP3029520B1 (en) Camera module
US8498070B2 (en) Voice coil motor and camera module with same
US8564394B2 (en) Power module and circuit board assembly thereof
JP4810167B2 (en) Inductor
KR101153580B1 (en) 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 same
EP2337039A2 (en) Transformer module
US11314033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9030059B2 (en) Actuator
US20080159729A1 (en) Auto-focusing camera
JP2011198898A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loading the same
KR101837769B1 (en) Bobbin of Stepping Motor
JP2009093956A (en) Fixing structure for female terminal and motor unit
CN106291860A (en) Voice coil motor actuator
TWI575542B (en) Detachable transformer
JP5185590B2 (en) motor
JP6948139B2 (en) Electromagnetic drive for mobile
WO2018139197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JP2010040706A (en) Thin-film co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wer supply using thin-film coil
JP2010098079A (en) Inductance element
KR20150003700A (en) Rear housing for ipm motor and ipm motor comprising the same
US11031858B2 (en) Voice coil motor
US8054150B2 (en) Magnetic element
JP7302340B2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