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756B1 -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756B1
KR101837756B1 KR1020160100042A KR20160100042A KR101837756B1 KR 101837756 B1 KR101837756 B1 KR 101837756B1 KR 1020160100042 A KR1020160100042 A KR 1020160100042A KR 20160100042 A KR20160100042 A KR 20160100042A KR 101837756 B1 KR101837756 B1 KR 10183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rotation
guide body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087A (ko
Inventor
안경랑
Original Assignee
비에스티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스티케이(주) filed Critical 비에스티케이(주)
Priority to KR102016010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7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팔 또는 어깨 등을 포함하는 상지에 대한 재활운동이 필요한 사용자(편마비 뇌졸증환자, 장애인, 환자 및 상지 재활운동 필요한 기타 수요자 등)가 양손 중에서 한손을 사용하여 원통형 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통형 기구 내부의 시험구가 나선형 가이드 홈을 따라서 조절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상지 근력 및 관절 재활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비된 손이나 팔의 운동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감각 기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Rehabilitation device for the upper body balancing enhancements}
본 발명은 손, 팔 또는 어깨 등을 포함하는 상지에 대한 재활운동이 필요한 사용자(편마비 뇌졸증환자, 장애인, 환자 및 상지 재활운동 필요한 기타 수요자 등)가 양손 중에서 한손을 사용하여 원통형 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통형 기구 내부의 시험구가 나선형 홈을 따라서 조절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상지 근력 및 관절 재활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비된 손이나 팔의 운동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감각 기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에서 어깨를 거쳐 손에 이르는 인체 부분인 상지(上肢)에 근육 또는 관절운동의 제한으로 이상(통증, 손상, 쇠약, 마비 등)이 발생하거나 또는 뇌졸증, 다중동맥경화, 뇌출혈, 뇌손상, 뇌성마비, 신경장애, 소아마비, 척추손상, 휠체어 사용자, 사고(교통사고 등)로 인한 SCI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재활 치료자 와 기타 상지에 대한 재활운동이 필요한 사용자(장애인, 노약자 등의 상지 재활운동 필요한 기타 수요자 등)에 이상(통증, 손상, 쇠약, 마비 등)이 발생하면, 그 환자에 맞는 가장 이상적인 의료적인 치료 방법이 적용되겠지만, 특히 어깨와 팔 및 손 동작의 경우 그 치료방법이 적절한 움직임을 통한 지속적인 재활운동이 수반되어야 더욱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특히 양손/양팔 마비 환자나 뇌졸증 등에 의한 상지 편마비 환자의 경우에는 지속적인 근육 및 관절운동이 수반되지 않으면 결국 적절한 재활치료 시기를 놓쳐서 관절의 연골이 계속하여 경화되고 근육 또한 수축 및 퇴화하면서 결국에는 합병증 형태의 근력약화, 오십견(유착성 관절막염), 석회성 건염, 어깨충돌 증후군, 신경퇴화 등에 노출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합병증과 더불어 영구 회복불능의 상태로 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재활운동의 필요성이 최근 들어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관이나 기타 기관에서 실시하는 상지 마비환자의 상지 재활운동 및 재활훈련에 이용되는 종래의 재활장치들은 복잡한 기계장치들로서 불필요하게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구입 및 설치에 따른 소요 공간과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 병원이나 특수 재활센터 이외의 일반적인 장소에서의 이용이 어려워서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활용의 혜택을 주기 어렵고, 그 기계 장치의 동작 메커니즘의 범위 내에서만 어깨와 팔의 반복된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지루함을 쉽게 느끼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마지 못하여서 억지로 하게 되는 결과로 인해 장시간의 운동이 잘 되지 않기에 지속적인 운동을 통한 재활효과 달성이라는 재활 목표에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상지 재활훈련을 위한 재활 운동 장치들의 대부분은 환자의 근력 향상이나 운동 범위 향상 등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복잡한 기계 장치를 구조를 가진 상지 근력강화 재활 운동 장치(예컨대, 공개특허 10-2015-0083469호)로 구현되거나, 아니면 이와 전혀 다른 구조로서 손의 감각 향상을 찾기 위하여 환자의 신경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훈련 장치(예컨대, 등록특허 10-0723433호)나 환자의 손 동작을 센싱하여 평가하기 위한 장치(예컨대, 등록특허 10-1507700호)와 같은 단순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10-2015-0083469호 (2015년07월20일 공개) 등록특허 10-0723433호 (2007년05월31일 공고) 등록특허 10-1507700호 (2015년04월07일공고)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지 재활운동 중에서 거의 최종 단계에 해당하는 손의 운동 기능과 감각 기능 향상을 팔 및 어깨 운동 능력 향상과 조화롭게 밸런싱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 운동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장치를 제공하며, 나아가 치료의 요소들을 어깨, 팔, 손, 손가락과 같이 구분하지 않고서 상체 밸런싱 운동 기능을 종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환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동 자체가 복잡하지도 않으면서 반복적인 훈련으로 지루하기 쉬운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지속적으로 재미를 가지면서 재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계속하여 높여줄 수 있는 재활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인체공학적 구조 설계 관점을 접목하여 고령의 환자들이라고 할지라도 병원 및 가정 어디에서도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지 마비 증상, 특히 손 운동 기능 이상 및 손 감각 기능 이상 증상의 진단 후에 이러한 증상의 완화 또는 재활 치료용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재활 치료가 끝난 이후에 신체 기능, 특히 상체 밸러싱 기능의 유지나 향상을 위한 도구나 놀이 도구로서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재활 단계별로 도달되어야 하는 다양한 신체 능력 향상 목표에 맞추어서 다양한 변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과제로 삼고 있다.
그리고, 재활 운동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적합한 사용에 의한 재활 목표 또는 운동 목표의 달성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작동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활 운동 장치에 있어서,
구형의 시험구와;
양측 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원통체로서 원통면에 상기 시험구의 나선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형 가이드 홈이 설정 길이 만큼 형성되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와;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개방된 일측 개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시험구 가이드 본체가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단 및 그 회전 지지단의 외측에 연장 제공되는 지지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지지체와;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개방된 타측 개방 단부에 결합되어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력 인가단 및 그 회전력 인가단의 외측에 연장 제공되는 회전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제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제어체의 회전 손잡이부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된 회전력이 회전력 인가단을 통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 시험구 가이드 본체가 회전 지지체의 회전 지지단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가 나선형 가이드 홈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제어체의 회전 손잡이부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되지 않은 회전력이 회전력 인가단을 통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 시험구 가이드 본체가 회전 지지체의 회전 지지단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비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가 나선형 가이드 홈을 벗어나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에는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 사이에 나선형 가이드 홈을 벗어난 시험구가 외부로 반출될 수 있는 크기의 시험구 반출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비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가 나선형 가이드 홈을 벗어나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시험구 반출공을 통하여 시험구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제어체의 상기 회전력 인가단에는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타측 개방 단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체결 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재활 목표 달성 여부를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기 재활 운동 장치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회전 상태와 상기 시험구의 이동 상태를 이미지 정보로 검출하는 화상검출장치와, 그리고 화상검출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정보로부터 재활 운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평가하는 작동 모니터링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재활 운동 중인 환자의 손 운동 기능과 감각 기능 향상이 팔 및 어깨 운동 능력 향상과 조화롭게 밸런싱되면서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는 어깨, 팔, 손, 손가락과 같이 각각 구분된 재활 운동에 맞추어진 운동 장치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 없이 하나의 통합 기능 장치로서 상체 밸런싱 운동 기능을 종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활용성이 매우 높은 장치이며, 또한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동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훈련 목적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지루해 하지 않고서 지속적으로 재미를 가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장치 사용 중에 그 작동 상태를 평가하는 작동 모니터링 장치를 통하여서 재활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평가 결과 데이터를 환자 뿐만 아니라 재활전문의료진이나 응급의료진과 공유할 수도 있기에 치료 효과 증진에 더욱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를 구성하는 시험구와 시험구 가이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사시 사진이다.
도 3a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험구의 상호 관계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3b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험구의 상호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정상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4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4b의 정상 작동 상태의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5b는 도 4c의 비정상 작동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회전 지지체의 지지 손잡이부와 회전 제어체의 회전 손잡이부의 형상을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6b는 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가 화상검출장치 및 작동 모니터링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100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球刑, spherical shape)의 시험구(500)와;
양측 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원통체로서 원통면에 상기 시험구(500)의 나선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형 가이드 홈(110)이 설정 길이 만큼 형성되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와;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개방된 일측 개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가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단(220) 및 그 회전 지지단(220)의 외측에 연장 제공되는 지지 손잡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지지체(200)와;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개방된 타측 개방 단부에 결합되어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력 인가단(320) 및 그 회전력 인가단(320)의 외측에 연장 제공되는 회전 손잡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제어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는 도 2b의 사진 영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시험구(500)로서 강철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110)은 상기 시험구(500)가 안착되어 원활히 굴러갈 수 있는 형상으로 가공되면 될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으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일정 깊이 만큼만 절삭 가공된 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재활 운동 장치(1000)의 회전 지지체(200)의 지지 손잡이(210)와 회전 제어체(300)의 회전 손잡이부(310)를 각각 잡고서 재활 운동을 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손을 사용하여 잡고 있는 회전 손잡이부(310)를 회전시켜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에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 때 첨부 도면 도 4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제어체(300)의 회전 손잡이부(310)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된 회전력이 회전력 인가단(320)을 통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에 인가되는 경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가 회전 지지체(200)의 회전 지지단(220)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500)가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나선형 가이드 홈(110)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첨부 도면 도 4c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제어체(300)의 회전 손잡이부(310)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되지 않은 회전력이 회전력 인가단(320)을 통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가 회전 지지체(200)의 회전 지지단(220)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비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500)가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벗어나 이동되도록 나선형 가이드 홈(11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에는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110) 사이에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벗어난 시험구(500)가 외부로 반출될 수 있는 크기의 시험구 반출공(12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비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500)가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벗어나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시험구 반출공(120)을 통하여 외부로 반출되게 되는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구(500)의 직경(R2)은 나선형 가이드 홈(110)의 폭(d0) 보다 크며, 상기 시험구 반출공(120)의 직경(R1)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서, 시험구(500)(R1>R2>d0)가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벗어나 이동되게 되면 인접한 시험구 반출공(120)을 통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도 4c 및 도 5b 참조).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험구 반출공(120)의 직경(R1) 보다 큰 직경(R2)을 가진 별도의 시험구(500)(R2>R1>d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추가적인 시험구(500)의 경우에는 큰 직경을 가진 대신에 가벼운 재료로 형성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 100)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500)가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벗어나 탈출하게 되는 비정상 상태를 유발하는 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다양한 시험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활 훈련 목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루해 하지 않고서 지속적으로 재미를 가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제어체(300)의 상기 회전력 인가단(320)에는 결합 돌기(325)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타측 개방 단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325)가 끼움 결합되는 체결 홈(125)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예시된 결합 돌기(325)와 체결 홈(125)의 결합 구조 이외에 다양한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공지의 다른 체결 수단을 간단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제1 실시예)에 따른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1000)의 작동 상태를 첨부 도면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재활 운동 장치(1000)의 회전 지지체(200)의 지지 손잡이(210)와 회전 제어체(300)의 회전 손잡이부(310)를 각각 잡고서 재활 운동을 하고자 하는 손(예컨대 도 4a의 왼편에 도시된 오른손)을 사용하여 잡고 있는 회전 손잡이부(310)를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사용자의 어깨, 팔, 및 손을 포함한 상체 전체의 적절한 밸런싱이 유지되면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에 제어된 회전력이 인가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첨부 도면 도 4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가 회전 지지체(200)의 회전 지지단(220)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500)는 자중에 의해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낮은 위치에서 회전하는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따라서 구름 진행하면서(180°회전의 경우: ⓐ→ⓒ, 360°회전의 경우: ⓐ→ⓑ→ⓒ→ⓓ→ⓔ)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그 위치를 이동(180°회전의 경우: ⓐ→ⓒ, 360°회전의 경우: ⓐ→ⓑ→ⓒ→ⓓ→ⓔ)하게 된다.
한편, 이와 달리 첨부 도면 도 4c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 팔, 및 손을 포함한 상체 전체의 적절한 밸런싱이 유지되지 못한 채로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에 제어되지 못한 회전력(예컨대, 회전 중의 과도한 떨림, 과도한 회전 속도 등의 경우)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가 회전 지지체(200)의 회전 지지단(220)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500)가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벗어나 탈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선형 가이드 홈(110)을 벗어나 탈출된 시험구(500)는 도 3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크기 관계(R1>R2>d0))에 따른 직경(R2)를 가진 경우에 도 4c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위치에 제공된 직경(R1)의 시험구 반출공(120)을 통하여 외부로 떨어지게(낙구하게) 되어서 사용자(환자)에게 재활 훈련 목표 달성 실패 또는 놀이에서의 실패를 알려 주게 된다.
도 1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지지체(200)의 지지 손잡이(210) 및 회전 제어체(300)의 회전 손잡이부(310)의 균일 단면 형상과 달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1000)는 첨부 도면 도 6a의 분해 사시도 및 도 6b의 작동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체(200)의 지지 손잡이부(210)와 회전 제어체(300)의 회전 손잡이부(310)가 가변 단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면서 단부에 손가락 파지부(215, 315)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재활 운동 중에서 손가락 감각향상 운동이나 손가락을 이용한 회전 제어 기능 강화 훈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재활 목표 달성 여부를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회전 상태와 상기 시험구(500)의 이동 상태를 이미지 정보로 검출하는 화상검출장치(600)와, 그리고 화상검출장치(600)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정보로부터 재활 운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평가하는 작동 모니터링 장치(7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회전 상태 검출을 위하여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표면에는 회전 속도 검출을 위한 눈금 표지(15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360°회전 상태를 눈금 표지(150)로부터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360°회전에 소요된 시간(△t)과 시험구(500)의 이동 거리(△L)를 검출하여 재활 운동 장치의 정상 작동 상태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시험구 가이드 본체
110: 나선형 가이드 홈
120: 시험구 반출공
200: 회전 지지체
210: 지지 손잡이
220: 회전 지지단
300: 회전 제어체
310: 회전 손잡이부
320: 회전력 인가단
500: 시험구

Claims (8)

  1. 삭제
  2. 구형의 시험구와;
    양측 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원통체로서 원통면에 상기 시험구의 나선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형 가이드 홈이 설정 길이 만큼 형성되는 시험구 가이드 본체와;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개방된 일측 개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시험구 가이드 본체가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단 및 그 회전 지지단의 외측에 연장 제공되는 지지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지지체와;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개방된 타측 개방 단부에 결합되어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력 인가단 및 그 회전력 인가단의 외측에 연장 제공되는 회전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제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제어체의 회전 손잡이부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된 회전력이 회전력 인가단을 통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 시험구 가이드 본체가 회전 지지체의 회전 지지단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가 나선형 가이드 홈을 따라서 진행하면서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제어체의 회전 손잡이부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되지 않은 회전력이 회전력 인가단을 통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 시험구 가이드 본체가 회전 지지체의 회전 지지단에 지지되어 원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정상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비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가 나선형 가이드 홈을 벗어나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에는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 사이에 나선형 가이드 홈을 벗어난 시험구가 외부로 반출될 수 있는 크기의 시험구 반출공이 제공되며,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원통 회전축 중심의 비정상 상태 회전에 의하여 시험구 가이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시험구가 나선형 가이드 홈을 벗어나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시험구 반출공을 통하여 시험구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구 반출공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시험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체의 상기 회전력 인가단에는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타측 개방 단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체결 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는 투명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그리고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은 상기 시험구가 안착되어 원활히 굴러갈 수 있는 형상으로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의 지지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 제어체의 회전 손잡이부가 가변 단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단부에 손가락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의 회전 상태와 상기 시험구의 이동 상태를 이미지 정보로 검출하는 화상검출장치와, 그리고 화상검출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정보로부터 재활 운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평가하는 작동 모니터링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회전 상태 검출을 위하여 상기 시험구 가이드 본체(100)의 표면에는 회전 속도 검출을 위한 눈금 표지(15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KR1020160100042A 2016-08-05 2016-08-05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KR10183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2A KR101837756B1 (ko) 2016-08-05 2016-08-05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2A KR101837756B1 (ko) 2016-08-05 2016-08-05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87A KR20180016087A (ko) 2018-02-14
KR101837756B1 true KR101837756B1 (ko) 2018-04-12

Family

ID=6122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42A KR101837756B1 (ko) 2016-08-05 2016-08-05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7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105U (ja) 2004-11-30 2005-05-12 株式会社ドリーム 健康器具
US7175575B1 (en) 2004-04-16 2007-02-13 Dantolen Harry E Reciprocating weight exercise apparatus
JP2008237872A (ja) 2007-03-28 2008-10-09 Uchida Hanbai System:Kk ストレッチ器具
CN103656982A (zh) 2012-09-24 2014-03-26 天津威康医疗用品有限公司 Led平衡健身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575B1 (en) 2004-04-16 2007-02-13 Dantolen Harry E Reciprocating weight exercise apparatus
JP3109105U (ja) 2004-11-30 2005-05-12 株式会社ドリーム 健康器具
JP2008237872A (ja) 2007-03-28 2008-10-09 Uchida Hanbai System:Kk ストレッチ器具
CN103656982A (zh) 2012-09-24 2014-03-26 天津威康医疗用品有限公司 Led平衡健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87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593B2 (en) Exercise device
Rasouli et al. Walking assistance using crutches: A state of the art review
Beer et al. Impact of gravity loading on post‐stroke reaching and its relationship to weakness
US8206267B2 (en) Virtual ankle and balance trainer system
ES2284618T3 (es) Dispositivo para el entrenamiento bilateral.
Merlo et al. Upper limb evaluation with robotic exoskeleton. Normative values for indices of accuracy, speed and smoothness
US20150359697A1 (en) Wrist and forearm exoskeleton
Lee et al. Effects of functional movement strength training on strength, muscle size, kinematics, and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A 3-month follow-up
Lambercy et al. Robotic and wearable sensor technologies for measurements/clinical assessments
KR101501527B1 (ko) 상지 재활 훈련 장치
Karime et al. E-Glove: An electronic glove with vibro-tactile feedback for wrist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patients
Lee et al. The effect of flexi-bar exercise with vibration on trunk muscle thickness and balance i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KR101837756B1 (ko) 상체 밸런싱 기능 강화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KR100554461B1 (ko) 편마비 환자용 상지 대칭운동 재활훈련기구
Teruel et al. Improving motivation in wrist rehabilitation therapies
JP2016073502A (ja) 上肢運動機能回復訓練器具
KR101338049B1 (ko) 운동 협응 측정 장치 및 방법
Han Multiple joint proprioception in movement discrimination
KR101181388B1 (ko) 능동형 운동치료장치
Hung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upper and lower limb orthoses with intelligent control for rehabilitation
Karime et al. Capturing ankle benchmark kinematics using an interactive sensory wobble board
KR200362063Y1 (ko) 편마비 상지 재활훈련기구
KR102234005B1 (ko) 손가락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웨이트 볼
Wu et al. Design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an exoskeleton for upper limb resistance training
Abdelhafez et al. Serious Games For Hand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