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340B1 -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for terminal - Google Patents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fo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340B1
KR101837340B1 KR1020170039418A KR20170039418A KR101837340B1 KR 101837340 B1 KR101837340 B1 KR 101837340B1 KR 1020170039418 A KR1020170039418 A KR 1020170039418A KR 20170039418 A KR20170039418 A KR 20170039418A KR 101837340 B1 KR101837340 B1 KR 10183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e
coupling
plat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권
Original Assignee
김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권 filed Critical 김태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holding and carrying connection ring for a terminal includes: a floor part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side of a terminal, and including a combin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a combination part including a cylindrical body combined with the center of the floor part to be rotatable, and a plurality of combination members extended from a side of the body, separ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combination hole to be rota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ination hole; and a holding part combined with the body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ring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ring is able to be rotated in a screen direction of a terminal, and the ring is able to be maintained at various angles, and thus, the terminal is able to be stably held at a desired angle in a desired screen direction. Since the combination part is made of TPEE material, there is little abrasion despite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holding part and the combination part, and thus, the terminal is able to be stably held for a long time.

Description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for termin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portable connecting ring for a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결합시켜 단말기를 일정각도로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손목과 같은 신체에 연결하여 낙하로 인한 파손 및 분실을 방지하여 휴대성이 향상된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portable connection link for a terminal, which can stably mount th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connect the terminal to a body such as a wrist so as to prevent breakage or loss due to falling, To an improved mounting and portable link for a terminal.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하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DMB(Digital multimeadia broadcasting)나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TV시청, 영화감상 등의 부가기능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편리하게 보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화면을 적절한 각도로 유지시켜 주시하게 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smart phone, a tablet, and the like, which is used by a user, and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MB (digital multimeadia broadcasting) .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reduced in size, slimness and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watching TV and watching movies can be utilized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conveniently view images using such a terminal, the user keeps the screen of the terminal at an appropriate angle.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손으로 단말기를 계속적으로 잡고 있을 수 있으나, 긴 시간 유지시켜야하는 불편함으로 단말기를 벽에 기대거나, 물건을 단말기의 저면에 받쳐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벽이나 물건을 이용하여 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단말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않아 시청 도중 각도가 변경되어 지속적으로 단말기를 재배치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To this end, the user can hold the terminal by hand, but it is possible to lean the terminal on the wall with the inconvenience of maintaining the terminal for a long time, or to support the objec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to maintain the angle. However, if the angle is maintained by using the wall or the object, the terminal is not stably mounted, and the angle is changed during the viewing so that the terminal must be relocated continuously.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단말기용 거치 연결고리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3649호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23649 discloses a mounting link for a terminal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하지만 종래의 단말기용 거치 연결고리는,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고리가 일정각도에서 유지되기 위하여 회동축의 외측둘레를 따라 탄성부가 삽입된다. 즉 사용자는 힘을 가하여 고리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고리는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고정 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단말기용 거치대의 구조는 계속적인 회동축의 회동으로 탄성부의 표면과 회동축이 지속적으로 마찰된다. 따라서 탄성부가 마모되어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단말기용 거치대를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탄성력의 저하로 고리를 일정각도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unt connecting link for a terminal, the elastic portion is inser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shaft so that the ring for holding the terminal is held at a certain angle. That is, the user applies a force to rotate the ring, and the rotated ring can be fix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Such a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tand for a portable terminal continuously rubs the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and the rotary shaft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Therefore, elasticity may be lowered due to abrasion of the elastic part. If the holder for a terminal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ring at a certain angle may be lowered due to the decrease of elastic force.

한편, 종래의 단말기용 거치 연결고리는 거치용 고리가 고리의 일단에 결합된 회동축을 기준으로만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단말기의 화면방향을 변경하게 되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일방향에서만 주시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Meanwhile, the conventional mounting link for a terminal is structured such that the mounting ring rotates only on the basis of a pivot shaft coupled to one end of the loop, and if the screen direc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it can not be stably supported, There is.

더불어 단말기를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양단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차량용거치대를 필요로 한다. 이때 종래의 차량용거치대는 차량에 부착되어 단말기를 일방향으로 파지하거나 걸어, 단말기를 거치하도록 구성된 바, 화면방향을 변경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unt the terminal on a moving means such as a vehicle, a car holder that is provided to grip both ends of the terminal is required.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cradle for a vehicle is attached to a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grip or hang the terminal in one direction and to mount the terminal, which inconveniently can not change the screen direction.

따라서 단말기의 화면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방향에 대하여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용 거치대 및 차량용 거치대가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erminal stand and a vehicle stand which can easily change the screen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stably mount the terminal in the changed screen direction.

또한 방수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단말기는 수영장, 계곡 등 물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수중 속에서 소지하며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며, 분실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중 속에서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결합되는 스트랩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waterproof function-equipped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used in an environment with water such as a swimming pool or a valley,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in the water and is in danger of being lost. Thus, there is a need for a strap that is coupled to the terminal for ease of use in the wat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오랜기간 사용함에도 고정력이 유지되고, 단말기의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며, 손목과 같은 신체에 연결하여 분실 및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maintain a fixed force even after a long period of us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mount and a portable connection ring which can prevent breakage.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에 의하면, 일면이 단말기의 일면에 맞닿아 탈부착되고,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결합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unting and portable connection ring for a terminal, comprising: a bottom portion having one surface thereof being detached and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erminal,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which are formed to exten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and turn abou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s, An engaging portion including a member; And an attachmen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formed in an annular shape.

여기서 상기 바닥부는, 일면이 상기 단말기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판과,일면이 상기 부착판의 타면에 결합되며, 타측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일측 중심부에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는 연장홀이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ttom portion may include an attachment plate, one surface of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erminal,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attachment plat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And a coupling plate formed thereon.

또한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관통된 회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동홀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동핀과, 양단이 서로 이격된 고리 형상으로, 상기 회동핀의 양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동핀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거치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may have a pivot hole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pivot portion may include a pivot pin inserted into the pivot hole and an annular shape having both end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mounting ring that rotates about the pivot pin.

또한 상기 결합부는,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made of TPE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material.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삽입되는 지지볼을 더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이탈방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all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engagement members such that the one end of the insertion ball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And a plurality of detachment prevent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protruding to the side.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이탈방지편과 상기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gag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release preventing piece and the bottom,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보조홀이 형성된 보조결합체와, 상기 보조결합체에 결합되고, 스트랩홀이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일측이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트랩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rminal holder and the portable connection ring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protruded, an auxiliary connector having an auxiliary hole formed thereon, and an auxiliary connector coupled to the auxiliary connector, And a strap portion including a strap member provided thereon.

또한 상기 보조결합체는, 상기 보조홀의 중심축이 상기 몸체의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coupling body is disposed such that the center axis of the auxiliary hole 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또한 상기 스트랩부재는, 일단이 상기 보조홀에 결합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타단에 결합하고, 일측 양단에 자석을 구비하여 양단을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은, 게르마늄(Germanium) 또는 실리콘(Silicon)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ap member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auxiliary hole and a strap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 magnet at one end and selectively removable at both ends. The strap is preferably made of germanium or silicon.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목걸이홀이 형성된 목걸이결합체와, 상기 목걸이결합체에 결합되고, 목걸이홀이 형성되는 고리형상인 목걸이줄을 포함하는 목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걸이줄은, 게르마늄(Germanium) 또는 실리콘(Silicon)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and the portable connection link for a terminal are formed by a necklace assembly coupled to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protruded and formed with a necklace hole, And a necklace portion including a necklace string having an annular shape. Here, the necklace string is preferably formed of germanium or silicon.

한편, 상기 거치링은, 중앙부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에 오목하게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는 일면이 차량의 거치면에 맞닿아 탈부착되고, 타면의 일측에 상기 거치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면에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걸림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걸림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거치링이 일측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차량용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ationary ring is formed in a linear shap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stationary groove is formed concavely in the central portion. The stationary mount and the portable connection ring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ationary surface of the vehicle, A holding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ing plate and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a holding plate spaced apart from the holding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upport for connect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retaining plate to each other and disposed so that the retaining ring is hooked on one side.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에 의하면, 단말기의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거치링을 회동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거치링을 유지할 수 있어 원하는 단말기의 화면방향 및 화면각도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onary ring can be rot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creen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tationary ring can be maintained at various angles, .

또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결합부재가 결합홀에 탄성 삽입됨으로써, 결합이 용이하여 제조효율이 높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so that the engaging members can be easily engag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high.

또한 결합부가 TPEE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지속적인 거치부 및 결합부의 회동에도 마모가 적어 오랜기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Also, since the coupling part is made of TPEE material, it can be stably moun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there is little wear on the continuous mounting part and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part.

그리고 스트랩부 및 목걸이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중에서도 단말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단말기를 중심부에서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어 실수로 단말기가 낙하되어도 파손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랩 및 목걸이줄이 게르마늄소재로 형성됨으로써, 휴대성과 동시에 건강증진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By further including the strap portion and the necklace portion, the terminal can be carried easily in the water, and the terminal can be stably carried at the central portion, so that even if the terminal is accidentally dropped, the degree of breakage can be reduced. Also, since the strap and the necklace are formed of a germanium material,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can be enhanced while being portable.

더불어 차량용거치대의 걸림돌기에 거치링의 거치홈이 걸림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움직이는 차량 내에서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화면방향 및 화면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며 사용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 of the mounting ring is hooked and supported o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vehicle mount so that the terminal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moving vehicle, and the screen direction and the screen angle of the terminal can be selectively changed.

또한 걸림판이 거치링의 내경보다 작고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말기가 걸림판에 간섭없이 회전할 수 있어, 단말기를 걸림판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차량내의 다양한 위치 및 구조에서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성이 높다.Further, since the engaging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ationary ring, the terminal can be rot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engaging plate so that the terminal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late, It is usable because it is usa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의 일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거치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의 차량용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차량용지지부에 거치링이 걸림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차량용지지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걸림판의 수직방향으로 차량에 거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ion and a portable connection loop for a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part of a stationary and portable connection ring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attachment and portable connection ring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using the terminal holder and the portable connection ring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for a vehicle of a stationary and portable connection ring shown in FIG. 1;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ationary ring is engaged and fixed to the vehicle support shown in Fig. 5;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vehic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using the vehicle support shown in Fig. 5,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ion and a portable connection loop for a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10)는 단말기(S)의 저면에 부착되어 단말기(S)를 일정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S)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패드, 각종 모바일 기기, PMP 등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10)는 바닥부(100), 결합부(200), 거치부(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6, the stationary and portable connection ring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S to mount the terminal S at a predetermined angle. Here, the terminal S is preferably a smart 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erminals for mounting a smart pad, various mobile devices, and a PMP can be applied. The station and mobile link 10 for the terminal includes a floor 100, a coupling part 200, and a mounting part 300.

상기 바닥부(100)는 일면이 단말기(S)의 일면에 맞닿아 부착되고, 중심부(110)에 결합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부착판(120)과 결합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bottom part 10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S and a coupl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110. The bottom portion 100 may include an attachment plate 120 and a coupling plate 130.

상기 부착판(120)은 일면이 상기 단말기(S)의 일면에 부착된다. 즉 상기 부착판(120)의 일면은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단말기(S)의 일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단말기(S)화면의 후측인 저면 중앙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side of the attachment plate 12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S. That is, one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20 is formed as an adhesive surface,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attach to one side of the terminal S and attach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S screen.

상기 결합판(130)은 상기 부착판(120)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後述) 할 결합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판(130)은 일면이 상기 부착판(120)의 타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착판(1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판(130)은, 상기 중심부(110)에 관통형성된 결합홀(111)과 연장홀(131)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결합판(130)의 타측에 결합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130)의 일측에 상기 연장홀(1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홀(111)이 연장되어 상기 연장홀(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111)과 상기 연장홀(131)은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홀(131)의 내경은 상기 결합홀(1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plate 130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20, and the coupl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Preferably, the coupling plate 130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20,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attachment plate 120. The coupling plate 13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11 and an extension hole 131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110. A coupling hole 11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130 and the extending hole 1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late 130. That is, the coupling hole 111 may be extended to form the extended hole 131, and the coupling hole 111 and the extended hole 131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inner diameter of the extension hole 131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111.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에 결합되어, 후술(後述) 할 거치부(300)와 단말기(S)를 결합시키고, 상기 거치부(300)를 단말기(S)의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210)와 결합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00 is coupled to the bottom part 100 and couples the terminal S to a mount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connects the mounting part 300 to the screen S And may include a body 210 and an engaging member 220. The engaging member 22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상기 몸체(210)는 상기 바닥부(100)의 중심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210)는 상기 바닥부(100)에 상기 결합홀(111)을 기준으로 0-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210)는, 외주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회동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홀(211)은 후술(後述) 할 회동핀(310)이 삽입되며, 상기 회동핀(310)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부(300)가 회동가능하다. 즉 상기 회동홀(211)은 상기 회동핀(310)이 억지끼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핀(310)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110 of the bottom portion 100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body 210 is coupled to the bottom 10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0-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111. In addition, the body 210 may include a rotation hole 211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he pivoting hole 211 is inserted into a pivoting pin 3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ivoting pin 300 is rotatable about the pivoting pin 31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ivot hole 211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vot pin 310 by inserting the pivot pin 310.

상기 결합부재(220)는, 상기 결합홀(111)에 상기 몸체(21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2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22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결합부재(220)는 상기 몸체(210)의 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원을 그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220)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홀(111)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삽입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220)는, 외주면이 상기 결합홀(111)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111)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20)는 삽입체(221)와 이탈방지편(2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220 is configured to pivotally connect the body 210 to the coupling hole 111 and extends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210. The coupling members 22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rt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210. The coupling member 220 is arranged to be spaced circumferential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ody 210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20 is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111 And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That is,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2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hole 111, and may rotat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111. The engaging member 220 may include an insert 221 and an escape preventing piece 222.

상기 삽입체(221)는 상기 몸체(2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111)에 삽입된다. 즉 상기 삽입체(221)의 길이는 상기 결합홀(111)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체(221)는 상기 결합부재(220)가 복수개 구비됨으로써, 상기 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삽입체(221)는 상기 몸체(210)의 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원을 그리도록 배치되어, 외주면이 상기 결합홀(1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삽입체(221)는 외주면이 상기 결합홀(111)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삽입체(221)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홀(111)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삽입체(221)가 상기 결합홀(111)의 내주면을 따라 0-360도 회동가능하다. 상기 삽입체(221)가 회동가능함으로써 후술(後述)할 거치링(320)을 0-360도 회동시킬 수 있어 단말기(S)의 화면방향을 변경하더라도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거치링(320)의 중심부가 거치시킬 지면에 맞닿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S)를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삽입체(221)는 상기 몸체(210)의 중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사방으로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개의 삽입체(221)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결합홀(111)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삽입체(221)가 서로 이격된 공간으로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개의 삽입체(221)는 서로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삽입체(221)를 상기 결합홀(111)에 삽입시키기에 용이하다.The insert 221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dy 210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1.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insert 22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coupling hole 111. The insertion member 2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20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2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210. Therefore,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are arranged in a circ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center of the body 2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gagement hole 111 . That is,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are arrang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bu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111. The insert 221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1 so that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can rotate 0 to 360 degre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1.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mounting ring 320 to be described later from 0 to 360 degrees by changing the screen direction of the terminal S so that the insertion ring 221 of the mounting ring 320 can be rotated The center portion can be disposed so as to abut the ground to be mounted. Therefore, the terminal S can be stably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s 2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dy 210, and four inserts are formed in each of the inserts 221, 111), and a "+" -shaped groove is formed in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can be de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the spa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it is easy to insert the inserts 221 into the engagement holes 111.

상기 이탈방지편(222)은 복수개의 상기 삽입체(221)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체(22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편(222)은 상기 삽입체(22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홀(130)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100)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삽입체(221)가 상기 결합홀(1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연하면 상기 이탈방지편(222)은 상기 삽입체(221)가 복수개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홀(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편(221)의 외측둘레는 상기 결합홀(1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체(221)를 상기 결합홀(111)의 내측으로 삽입 시,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편(222)은 서로 이격된 공간인 내측방향으로 수축되고, 상기 이탈방지편(222)이 상기 결합홀(111)을 통과하면서 원위치로 이완되어 상기 연장홀(130)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부(100)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222)이 상기 결합홀(1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부재(220)를 상기 결합홀(111)에 삽입시킬 시, 상기 이탈방지편(222)의 경사면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편(222)은 상기 삽입체(211)가 용이하게 회동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판(120)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222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and protrude from side surfaces of the inserts 221. That is, 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222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 221 and are disposed in the extension hole 130 and are disposed to abut the bottom 100, And is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the engaging hole 111. In addition, 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222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inserts 22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ngagement holes 111.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departure prevention pieces 2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111. When the insertion body 22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1, the plurality of departure prevention pieces 222 are contracted inward, which is a spaced apart space, And may be disposed to abut the bottom portion 100 by being loose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 111 and disposed in the extension hole 13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iece 222 in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111,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ide is inclined up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That is, when the engaging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11, the engaging member 220 may be inser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leasing preventing piece 222. Preferably, 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222 are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plat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rder to easily pivot the insertion body 211.

한편 상기 결합부재(220)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부재(220)가 탄성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삽입체(221)와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편(22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탄성 삽입 될 수 있어 삽입이 용이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조효율이 높다. 더불어 상기 결합부재(220)가 TPEE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체(221)를 상기 결합홀(111)에 맞닿도록 끼움 삽입함으로써, 힘을 인가하여 상기 결합부재(220)를 회동시킨 후에 회동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인 회동에도 상기 삽입체(221) 및 상기 결합홀(111)의 마모가 적어 오랜기간 사용 가능하여 이용효율을 높여준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member 2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it is formed of TPE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hat is, since the engaging member 2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and the plurality of escape preventing pieces 222 can be elastically inserted through a space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ssembl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high. 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220 is made of TPEE material, and the insertion member 22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hole 220, so that the coupling member 220 is rotated The insertion member 221 and the coupling hole 111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little wear, and the efficiency of use is increased.

한편 상기 결합부재(220)는, 와셔(223) 및 지지볼(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upling member 220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223 and a support ball 224.

상기 와셔(223)는 상기 이탈방지편(222)과 상기 바닥부(10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와셔(223)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체(221)의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편(222)과 상기 바닥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재(220)의 체결효과를 높여준다. 따라서 상기 와셔(223)에 의하여 상기 삽입체(221)의 고정 및 회전이 용이하다.The washer 223 is disposed between the release preventing piece 222 and the bottom part 100. That is, the washer 223 i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inserts 22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release preventing piece 222 and the bottom portion 100, . Therefore, it is easy to fix and rotate the insert 221 by the washer 223.

상기 지지볼(224)은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220)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삽입된다. 부연하면 상기 지지볼(224)은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220)의 내주면에 끼움삽입되어 고정가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220)의 내측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220)가 상기 결합홀(111)에 배치된 후, 상기 지지볼(224)을 끼움삽입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220)가 상기 결합홀(111)의 내주면에 맞닿는 힘이 계속적으로 인가되어 상기 결합부재(220)의 체결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The support ball 224 is inserted to ab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220. The support ball 224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engagement members 220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engagement members 220. That is, after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20 are disposed in the coupling holes 111,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2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1 by inserting the support balls 224 So that the fastening efficiency of the coupling member 220 can be increased.

상기 거치부(300)는 단말기(S)를 거치시킬 지면에 맞닿아 단말기(S)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300)는 회동핀(310)과 거치링(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300 is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terminal S by abutting against the ground for mounting the terminal S, and is coupled to the body 210 in a rotatable manner.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pivot pin 310 and a mounting ring 320.

상기 회동핀(310)은 상기 회동홀(2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회동핀(310)은 힘을 인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홀(211)에 끼움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vot pin (310) is inserted into the pivot hole (211). Preferably, the pivot pin 310 is inserted into the pivot hole 211 so as to be rotatable by applying a force.

상기 거치링(320)은 양단이 서로 이격된 고리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회동핀(3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거치링(320)은 상기 회동핀(3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핀(310)을 기준으로 0-180도 회동가능하다. 즉 상기 거치링(320)의 회동각도에 따라 거치된 단말기(S)의 화면경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링(320)의 양단은 상기 회동핀(310)에 결합되고, 거치링(320)의 중앙부(321)가 지면에 맞닿아 단말기(S)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321)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힘을 인가하여 상기 거치링(320)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켜 상기 중앙부(321)가 지면에 평행하게 맞닿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단말기(S)의 화면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The stationary ring 320 is annular with both ends there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stationary ring 32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ivot pin 310. That is, the mounting ring 320 is rotatable about 0-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ivot pin 310 by being coupled to the pivot pin 310.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creen of the terminal S, which is stationary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tationary ring 320, can be changed. 4, both ends of the mounting ring 320 are coupled to the pivot pin 310, and the central portion 321 of the mounting ring 320 abuts against the ground to mount the terminal S, The center portion 32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That is, the user rotates the stationary ring 320 by a desired angle by applying a force to arrange the center portion 32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thereby selectively adjusting the screen angle of the terminal S and stably mounting the screen .

한편 상기 중앙부(321)는 거치홈(3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홈(322)은 후술(後述) 할 차량용지지부(600)의 걸림돌기(611)에 걸림으로써, 상기 거치링(320)이 상기 차량용지지부(600)에 안정적으로 걸림고정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central portion 321 may be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322. The mounting groove 322 is engaged with the mounting projection 611 of the vehicle support portion 6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ounting ring 320 can be stably fixed to the vehicle support portion 600.

한편, 상기 몸체(210)는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10)가 TPEE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핀(310)이 상기 회동홀(211)에 맞닿도록 끼움 삽입됨으로써, 사용자는 힘을 인가하여 상기 거치링(320)을 회동시킨 후,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링(3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링(320)의 지속적인 회동에도 상기 회동핀(310) 및 상기 회동홀(211)의 마모가 적어 오랜기간 사용 가능하여 이용효율을 높여준다.Meanwhile, the body 210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The body 210 is made of TPEE material and the pivot pin 310 is inserted into the pivot hole 211 so that the user applies a force to rotate the pivot ring 320,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mounting ring 320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ring 320 is continuously rotated and the rotating pin 310 and the rotating hole 211 can be used for a long time due to less wear of the rotating pin 310 and the rotating hole 211, .

한편 상기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10)는 스트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400)는 상기 단말기(S)를 손목에 걸어 휴대함으로써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보조결합체(410)와 스트랩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tionary and portable connection ring 10 for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trap part 400. The strap part 400 may include an auxiliary coupling body 410 and a strap member 420 to enhance portability by carrying the terminal S by carrying it on the wrist.

상기 보조결합체(410)는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보조결합체(410)는 후술(後述) 할 스트랩부재(420)를 상기 몸체(2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보조홀(411)이 형성된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보조결합체(410)는 상기 보조홀(411)의 중심축이 상기 몸체(210)의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결합체(410)의 링 형상의 외주면이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홀(411)의 중심축이 상기 몸체(210)의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트랩부재(420)를 상기 보조홀(411)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e auxiliary coupling body 4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0 so as to be protru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coupling body 410 has a ring shape in which auxiliary holes 411 are formed for coupling the strap member 42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body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coupling body 410 is disposed such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auxiliary hole 411 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21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shap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oupling body 410 is configured to a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0. The center axis of the auxiliary hole 411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210 so that the strap member 42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auxiliary hole 411.

상기 스트랩부재(420)는 상기 보조결합체(410)에 결합되고, 스트랩홀(421)이 형성된 고리형상이며, 사용자는 상기 스트랩홀(421)에 손목을 걸어 단말기(S)를 휴대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재(420)는 연결체(422)와 스트랩(4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ap member 42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coupling body 410 and has an annular shape with a strap hole 421. The user can carry the terminal S by placing a wrist on the strap hole 421. [ The strap member 420 may include a connector 422 and a strap 423.

상기 연결체(422)는 일단이 상기 보조홀(411)에 결합된다. 부연하면 상기 연결체(422)의 일단에는 후크(Hook)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홀(411)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coupling body 422 is coupled to the auxiliary hole 41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ook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422 so as to be selectively removable to the auxiliary hole 411.

상기 스트랩(423)은 상기 연결체(422)의 타단에 결합되고, 고리형상으로 상기 스트랩홀(4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트랩(423)은 일측이 상기 연결체(422)에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자석(4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423)이 상기 자석(424)을 구비함에 따라 양단을 선택적으로 착탈하여 손목을 상기 스트랩(423)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랩(423)이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단말기(S)를 중심부에서 들 수 있어, 실수로 단말기(S)가 낙하하게 되어도 안정적으로 낙하되어 파손정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423)은 게르마늄(Germanium) 또는 실리콘(Silicon)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랩(423)이 게르마늄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트랩(423)을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성과 건강증진의 효과를 함께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423)은 실리콘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방수용 단말기(S)를 휴대하여 수중 속에서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423)은 그 소재를 다르게 복수개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trap 42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422, and the strap hole 421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at is, the strap 423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22 at one side and the magnet 424 at the other en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s the strap 423 is provided with the magnet 424, both ends of the strap 423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wrist can be easily fixed to the strap 423. Since the strap 42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210, the terminal S can be lifted from the center, and even if the terminal S accidentally falls, the strap 42 can stably fall and the degree of damage can be reduced. The strap 423 is preferably made of germanium or silicon. Since the strap 423 is made of a germanium material, the strap 423 can be worn on the wrist to enhance the portability and health-promoting effect. The strap 423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S can be carried and carried easily even under water. The strap 423 may have a plurality of different materials so that the strap 423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strap 423 if necessary.

한편 도5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10)는 차량용지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지지부(600)는 단말기를 차량의 거치면(C)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차량의 거치면(C)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차량 외에 움직이는 운송수단인 자전거 및 오토바이 등에도 적용가능하며, 단말기를 고정시켜 사용하기 위한 벽 등으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가능 할 것이다. 상기 차량용지지부(600)는 상기 지지판(610), 걸림판(620) 및 지지대(630)를 포함할 수 있다. 5 to 7, the stationary and portable connection ring 10 for a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support part 600. FIG. The vehicle support portion 600 is for supporting the terminal from the stationary surface C of the vehicle. The stationary surface C of the vehicle is illustrative and is also applicable to bicycles, motorcycles, etc., Wall or the like for fixing and using it. The vehicle support portion 600 may include the support plate 610, the engagement plate 620, and the support 630.

상기 지지판(610)은 일면이 차량의 거치면(C)의 일면에 맞닿아 부착된다. 즉 상기 지지판(610)의 일면은 부착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610)의 일면을 상기 차량의 거치면(C)에 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610)은 걸림돌기(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611)는 상기 지지판(611)의 타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홈(32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611)는 상기 거치홈(322)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611)의 일측으로 상기 거치홈(322)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거치링(320)이 걸림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611)와 상기 거치홈(322)이 걸림고정구조를 통하여 상기 거치링(320)이 상기 지지판(610)과 후술(後述)할 걸림판(620)의 사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61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tationary surface C of the vehicle. That is,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10 is formed with an adhesive material, and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10 can be fixed to the stationary surface C of the vehicle. The support plate 610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611. The locking protrusion 61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11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322.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611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322, and the fixing groove 32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611, And the fixing ring 611 and the fixing groove 322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xing structure so that the fixing ring 320 is held between the supporting plate 610 and the holding plate 6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can be stably fixed.

상기 걸림판(620)은 상기 지지판(61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판(620)은 상기 지지판(610)의 타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판(620)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판의 직경은 상기 거치링(3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판(620)이 상기 거치링(320)에 관통됨으로써, 상기 걸림판(620)과 상기 지지판(610)사이로 상기 거치링(320)이 걸림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걸림판(620)과 상기 지지판(610)의 이격된 사이로 상기 거치링(320)의 중앙부(321)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611)에 상기 거치홈(322)이 걸림고정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판(620)은 상기 거치링(320)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지지판(610)과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판(620)이 상기 거치링(320)의 내경보다 작고 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링(320)이 상기 걸림판(620)과 상기 지지판(610)의 사이에 걸림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걸림판(620)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S)를 상기 걸림판(620)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적절하게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어, 차량 내에 다양한 위치 및 구조에서 이용가능하다. 상기 걸림판(620)은 일면에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6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620)는 상기 걸림판(620)의 일면에 서로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621)는 단말기(S)의 일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단말기(S)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상기 단말기(S)가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retaining plate 620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plate 610. That is, the retaining plate 62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610.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ing plate 620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that the diameter of the disc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ing ring 320. That is, the retaining plate 620 is passed through the retaining ring 320 so that the retaining ring 320 can be caught between the retaining plate 620 and the support plate 610. The central portion 321 of the retaining ring 320 is inserted between the retaining plate 620 and the support plate 610 so that the retaining groove 322 can be engaged with the retaining protrusion 611 ha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ining plate 620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610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taining ring 320. The retaining plate 6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ing ring 320 so that the retaining ring 320 is retained between the retaining plate 620 and the support plate 610 It can be easily rot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latching plate 620. Accordingly, the terminal S can be properly rota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plate 620, and can be used in various positions and structures in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ing plate 620 has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621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non-slip protrusions 620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atch plate 6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on-slippery protrusion 621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erminal S,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terminal S is improved, and the terminal S can be stably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screen direction.

상기 지지대(630)는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걸림판(6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걸림판(620)을 연결시킨다. 즉 일단이 상기 지지판(610)의 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판(620)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걸림판(620)을 연결가능하다. 상기 지지대(630)는 일측에 상기 거치링(320)이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거치링(320)의 내주면이 상기 지지대(630)의 일측에 맞닿고, 상기 거치링(320)의 외주면이 상기 걸림돌기(611)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링(320)이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걸림판(620) 사이에 안정적으로 걸림고정 가능하다.The support plate 63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610 and the retaining plate 620 to connect the retaining plate 610 to the retaining plate 620. That is,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6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retaining plate 620, so that the support plate 610 and the retaining plate 620 can be connected. The support base 63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mounting ring 320 is hung on one side there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32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pporting table 6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320 is arranged in the locking protrusion 611, And can be stab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late 610 and the retaining plate 620.

상기 거치링(320)을 상기 지지판(610)과 상기 걸림판(620) 사이에 안정적으로 걸림고정함으로써, 움직이는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 내에서 단말기(S)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링(320)을 상기 차량용지지부(600)에 걸림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단말기의 화면방향 및 화면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며 용이하게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성을 증대시킨다. The stationary ring 320 can be stab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late 610 and the retaining plate 620 so that the terminal S can be stably fixed and supported in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moving vehicle. Further, the stationary ring 320 is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stationary ring 320 is fastened to the vehicle support part 600, thereby selectively changing the screen direction and the screen angle of the terminal and increasing the use efficiency.

상기 바닥부(100)는 일면이 단말기(S)의 일면에 맞닿아 부착되고, 중심부(110)에 결합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부착판(120)과 결합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bottom part 10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S and a coupl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110. The bottom portion 100 may include an attachment plate 120 and a coupling plate 130.

상기 부착판(120)은 일면이 상기 단말기(S)의 일면에 부착된다. 즉 상기 부착판(120)의 일면은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단말기(S)의 일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단말기(S)화면의 후측인 저면 중앙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side of the attachment plate 12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S. That is, one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20 is formed as an adhesive surface,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attach to one side of the terminal S and attach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S screen.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20)를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ationary and portable connection rings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4 denote the same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stitution and function,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20)는 목걸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부(500)는 단말기(S)를 목에 걸어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목걸이결합체(510)와 목걸이줄(5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 and portable connection ring 20 for a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ecklace portion 500. The necklace unit 500 is configured to easily carry the terminal S by hanging it around the neck and may include a necklace combination body 510 and a necklace string 520.

상기 목걸이결합체(510)는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목걸이결합체(510)는 후술(後述) 할 목걸이줄(520)을 상기 몸체(2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홀(511)이 형성되어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ecklace assembly 5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0 so as to be protru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necklace combination body 510 is formed in a ring shape with a connection hole 511 for coupling the necklace string 52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body 210.

부연하면 상기 목걸이결합체(510)는 상기 연결홀(511)의 중심축이 상기 몸체(210)의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결합체(510)의 링 형상의 외주면이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홀(511)의 중심축이 상기 몸체(210)의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목걸이줄(520)을 상기 연결홀(511)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e necklace assembly 510 is disposed such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on hole 511 is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of the body 21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shap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lace combination body 510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0. The necklace string 52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511 by arranging the center axis of the connection hole 511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of the body 210.

상기 목걸이줄(520)은 단말기(S)를 목에 걸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목걸이결합체(510)에 결합되고, 목이 관통되도록 목걸이홀(5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목걸이줄(520)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목걸이홀(521)로 목을 관통시켜 단말기(S)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줄(520)은 게르마늄(Germanium) 또는 실리콘(Silicon)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걸이줄(520)이 게르마늄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목걸이줄(520)을 목에 착용하여 휴대성과 건강증진의 효과를 함께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목걸이줄(520)을 실리콘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방수용 단말기(S)를 휴대하여 수중 속에서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줄(520)은 그 소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개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목걸이결합체(51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부연하면 상기 목걸이줄(520)은 일단에 후크(522)가 결합되어, 상기 후크(522)가 상기 연결홀(5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목걸이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necklace string 520 is for hooking the terminal S to the neck, and is coupled to the necklace combination body 510, and the necklace hole 521 is formed so that the neck is passed therethrough. That is, the necklace string 52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that the necklace can be easily carried through the necklace hole 521. The necklace string 520 is preferably made of germanium or silicon. Since the necklace string 520 is formed of a germanium material, the necklace string 520 can be worn on the neck to enhance both the portability and the health promotion effect. By forming the necklace string 520 from a silicone material, The waterproof terminal S can be carried and carried easily even in the water. The necklace string 520 may have a plurality of different materials so that the necklace string 52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necklace combination body 510 as needed. In addition, the necklace string 520 may be coupled to the hook 522 at one end thereof, and the hook 522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511 to selectively connect the necklace string.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에 의하면, 단말기의 화면방향에 대응하여 거치링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거치링을 유지할 수 있어 원하는 단말기의 화면방향 및 거치각도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onary ring can be rot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creen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tationary ring can be maintained at various angles, so that the stationary and portable connection rings can be stably Can be mounted.

또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결합부재가 결합홀에 탄성 삽입됨으로써, 결합이 용이하여 제조효율이 높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so that the engaging members can be easily engag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high.

또한 결합부가 TPEE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지속적인 거치부 및 결합부의 회동에도 마모가 적어 오랜기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Also, since the coupling part is made of TPEE material, it can be stably moun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there is little wear on the continuous mounting part and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part.

더불어 스트랩부 및 목걸이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중에서도 단말기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단말기를 중심부에서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어 실수로 단말기가 낙하되어도 파손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랩 및 목걸이줄이 게르마늄소재로 형성됨으로써, 휴대성과 동시에 건강증진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By further including the strap portion and the necklace portion, the terminal can be carried easily in the water, and the terminal can be stably carried at the central portion, so that even if the terminal is accidentally dropped, the degree of breakage can be reduced. Also, since the strap and the necklace are formed of a germanium material,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can be enhanced while being portable.

더불어 차량용거치대의 걸림돌기에 거치링의 거치홈이 걸림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움직이는 차량 내에서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화면방향 및 화면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며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성을 증대시킨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 of the mounting ring is hooked and supported on the latching protrusion of the vehicle mount so that the terminal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moving vehicle, and the screen direction and the screen angle of the terminal can be selectively changed and the us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

또한 걸림판이 거치링의 내경보다 작고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말기가 걸림판에 간섭없이 회전가능하여 단말기를 걸림판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차량내의 다양한 위치 및 구조에서 사용가능하여 사용효율성이 높다.Further, since the latching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ring, the terminal can be rot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latching plate, and the terminal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atching plate, So that the efficiency of use is high.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100 : 바닥부 110 : 중심부
111 : 결합홀 120 : 부착판
130 : 결합판 131 : 연장홀
200 : 결합부 210 : 몸체
211 : 회동홀 220 : 결합부재
221 : 삽입체 222 : 이탈방지편
223 : 와셔 224 : 지지볼
300 : 거치부 310 : 회동핀
320 : 거치링 321 : 중앙부
322 : 거치홈 400 : 스트랩부
410 : 보조결합체 411 : 보조홀
420 : 스트랩부재 421 : 스트랩홀
422 : 연결체 423 : 스트랩
424 : 자석 500 : 목걸이부
510 : 목걸이결합체 511 : 연결홀
520 : 목걸이줄 521 : 목걸이홀
522 : 후크 600 : 차량용지지부
610 : 지지판 611 : 걸림돌기
620 : 걸림판 621 : 미끄럼방지돌기
630 : 지지대 S : 단말기
C : 거치면
10: Mounting and carrying link for terminal
100: bottom part 110: center
111: coupling hole 120: attachment plate
130: coupling plate 131: extension hole
200: coupling portion 210: body
211: rotation hole 220: coupling member
221: insert body 222:
223: washer 224: support ball
300: mounting part 310: pivot pin
320: mounting ring 321: center portion
322: mounting groove 400: strap portion
410: auxiliary coupling 411: auxiliary hole
420: strap member 421: strap hole
422: connector 423: strap
424: magnet 500: necklace part
510: necklace assembly 511: connection hole
520: Necklace line 521: Necklace hole
522: Hook 600: Car support
610: Support plate 611:
620: Retaining plate 621: Non-slip projection
630: Support S: Terminal
C: When I go

Claims (16)

일면이 단말기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판과, 일면이 상기 부착판의 타면에 결합되며 타측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일측 중심부에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는 연장홀이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는 바닥부;
외주면에 관통된 회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 상기 결합홀을 기준으로 0-360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반경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결합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재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삽입되는 지지볼을 포함하고,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소재로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회동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동핀과, 양단이 서로 이격된 고리 형상으로 상기 회동핀의 양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동핀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핀의 반대측인 중앙부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에 오목한 반원통형상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링을 포함하는 거치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중심축이 상기 몸체의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보조홀이 형성되는 보조결합체; 및
일면이 차량의 거치면에 맞닿아 탈부착되고 타면의 일측에 상기 거치홈에 대응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면에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걸림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걸림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거치링이 일측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차량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을 따라 0-360도 회동가능한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측면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과 상기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며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And a coupling plate on one side of the terminal, wherein the coupling plate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ttachment plate, and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
A cylindrical body formed with a rotation hole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otatably engaged with a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by 0-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a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which are deformabl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which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and tur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s; and a support ball inserted to ab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engaging members, wherein TPEE a polyester elastomer material;
A rotation pin inserted into the pivot hole; and both ends of the pivot pi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ivot pi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thereof to be pivotable about the pivot pin, and a central portion opposite to the pivot pin is formed linear A mounting portion including a mounting ring having a central semi-cylindrical mounting groove formed therein;
An auxiliary coupling coupled to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And
And 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rotrusio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comprises: a support plate including a cylindrical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other surface, And a support memb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retaining plate and connects the retaining plate to the retaining plate and is arranged to be hooked on one side of the retaining ring,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ncludes an insert having one end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and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and being rotatable about 0-360 degre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And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escape prevention piece and the bottom portion, the escape prevention piece being formed of a resilient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체에 결합되고, 스트랩홀이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일측이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트랩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rap member coupled to the auxiliary coupling member and including a strap member having an annular shape in which a strap hole is formed, the strap member being detachably attached at one side thereof.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재는,
일단이 상기 보조홀에 결합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타단에 결합하고, 일측 양단에 자석을 구비하여 양단을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rap member comprises:
A connecting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auxiliary hole,
And a strap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and having a magnet at one end and being selectively detachable at both end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재는,
게르마늄(Germanium) 또는 실리콘(Silicon)소재로 형성되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rap member comprises:
Mounting and carrying hooks for terminals made of germanium (Germanium) or silicon (silicon)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목걸이홀이 형성된 목걸이결합체와,
상기 목걸이결합체에 결합되고, 목걸이홀이 형성되는 고리형상인 목걸이줄을 포함하는 목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ecklace assembly coupled to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protrude therefrom,
Further comprising a necklace portion coupled to the necklace combination and including an annular string of an annular collar having a necklace hole formed therethrough.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줄은,
게르마늄(Germanium) 또는 실리콘(Silicon)소재로 형성되는 단말기용 거치 및 휴대 연결고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necklace strap
Mounting and carrying hooks for terminals made of germanium (Germanium) or silicon (silicon)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39418A 2017-02-09 2017-03-28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for terminal KR1018373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858 2017-02-09
KR20170017858 2017-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340B1 true KR101837340B1 (en) 2018-03-12

Family

ID=6172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418A KR101837340B1 (en) 2017-02-09 2017-03-28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fo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3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640B1 (en) 2020-03-10 2020-07-06 조윤성 Accessorie for mobile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5783A (en) * 2013-04-12 2016-05-30 エイエイユーエックスエックス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Aauxx Korea Co.,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mobile device mou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5783A (en) * 2013-04-12 2016-05-30 エイエイユーエックスエックス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Aauxx Korea Co.,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mobile device mou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640B1 (en) 2020-03-10 2020-07-06 조윤성 Accessorie for mobil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63B1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US9249927B2 (en) Support for planar or tablet computing device
US112925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multi-positional device holder
US6206542B1 (en) Flashlight support device
US20160036950A1 (en)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KR101316210B1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WO2014014194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JP2015104124A (en) Fixing device
US20060166722A1 (en) Mobile phone back clip device
KR101777505B1 (en)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KR101837340B1 (en) Supporting and portable connecting ring for terminal
TWM627265U (en) Multifunctional stand frame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KR101903232B1 (en) Rings accessory for mobile device
WO2024055958A1 (en) Holder having double-sided magnetic attraction function
KR200483647Y1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US8376557B2 (en) Housing with foot pads and couplers
KR101856447B1 (en) Support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217422985U (en) Finger lamp structure
KR100563152B1 (en) Support structur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663817B1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CN216896553U (en) Multifunctional stand for flat-plate electronic device
CN221202609U (en) Electronic equipment support and accessory
KR200494821Y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CN217335634U (en) Ring support is inhaled to magnetism
KR101856445B1 (en) Support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