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290B1 - 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 - Google Patents

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290B1
KR101837290B1 KR1020160113574A KR20160113574A KR101837290B1 KR 101837290 B1 KR101837290 B1 KR 101837290B1 KR 1020160113574 A KR1020160113574 A KR 1020160113574A KR 20160113574 A KR20160113574 A KR 20160113574A KR 101837290 B1 KR101837290 B1 KR 10183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frame
support body
hook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석만
Original Assignee
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만 filed Critical 강석만
Priority to KR102016011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2Pin plat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frame having an auxiliary hook being attachable to or detachable from a wallpaper pin,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ok frame having an auxiliary hook being attachable to or detachable from a wallpaper pin, which is improved such that, when an object is hung on a wallpaper pin, the body of the wallpaper pin can come in close contact with a wall surface without a gap, and thus, even if a high-load object is hung, the wallpaper pin can be sufficiently durable without being bent.

Description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and-loop frame having a hook-and-loop attachment and detachable attachment to a wall pin,

본 발명은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지핀에 물건을 걸었을 때 벽지핀 몸체가 벽지면에 완전히 간격없이 완전히 밀착되게 하여 고하중의 물건이 걸리더라도 벽지핀이 휘어지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개선된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frame having auxiliary hooks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allpaper pin, and more particularly, And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improved wallpaper pin so that the wall pin can withstand without being bent.

통상, 가정에서 실내에 액자나 달력, 기타 실내 장식품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직접 못을 박은 다음 못에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Typically, in order to install a frame, calendar, or other interior decoration on a wall, nails are placed directly on the wall and then placed on a nail.

그런데, 단단한 콘크리트 벽면에 못을 박는 작업은 매우 어렵고, 매우 큰 소음 진동의 발생으로 이웃 간에 피해를 주게 되며, 못을 박는 작업을 자칫 잘못하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고, 벽면에 금이 가거나 단단한 시멘트 조각이 떨어져 실내 벽면을 훼손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nail a hard concrete wall and it causes damage to neighbors due to the generation of a very large noise vibration. If the nailing operation is mistakenly made, there is a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 There is a problem of damaging the wall of the room.

또한, 한번 위치를 정하여 벽면에 못을 박아 놓은 경우,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기고 싶어도 벽에 박아 놓은 못을 옮길 수가 없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또 하나의 새로운 못을 박아야 하므로 실내의 미관을 해치게 하는 요인이 된다.Also, once you set a location and put a nail on the wall, you can not move the nail that is stuck on the wall even if you want to move the position if necessary, so you have to put another new nail in the desired position, do.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면에 열에 의해 가소화된 상태로 벽지 등의 피고정면에 부착시키면 냉각되면서 붙고, 그 반대면에는 걸고리를 마련하여 물건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간이걸고리가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imple hook has been disclosed in which, when it is adhered to a front face of a wall paper or the like in a plasticized state by heat on one side, it is attached while being cooled while hooks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have.

하지만, 이러한 간이걸고리는 고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무거운 물건을 걸 수 없고,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쉽게 떨어져 사용상 불편함이 매우 컸다.However, since these hooks have a weak fixing force, they can not hang heavy objects, and they are easily discon- nected easily after a short time.

이에, 최근에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벽지에 핀을 꽂아 사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고정력도 향상시킨 간이 행거가 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simple hanger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fixing force is improved to some extent by using a pin in a wallpaper while being structurally simple.

그런데, 이 간이 행거의 경우에도 조금만 무거운 물건을 걸게 되면 벽지가 쉽게 찢어져 버려 사용하기 어렵고, 벽지가 찢어질 경우 외관을 해치기 때문에 보기 흉하며, 매번 벽지 보수를 해야 하는 문제를 남긴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is hanging hanger, if a heavy object hangs up, the wallpaper tears easily and it is difficult to use, and when the wallpaper is torn, it hurts the appearance, which is poor and leaves the problem of repairing the wallpaper every time.

따라서, 벽지에 꽂힌 핀 주변을 보강하는 구조들이 개발되고는 있지만, 이를 누르는 힘이 적기 때문에 현재 시판중인 구조의 간이 행거로는 상술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고 한계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although structures for reinforcing the periphery of the pin inserted in the wallpaper are being developed, there is a limit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because the pressing hanger of the presently commercially available structure can not completely solve the above problem.

특히, 도 1의 예시와 같이, 종래 벽지핀은 지지몸체부(10)와 보강커버부(20)로 구성되고, 지지몸체부(10)의 하측 수평면(BT) 상에 다수의 삽입침(30)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보강커버부(20)의 외측면에는 걸고리(40)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소 무거운 물건(50)을 걸고리(40)에 걸게 되면 삽입침(30)과 물건(50) 사이는 물론, 물건(50)과 벽지 사이가 떠서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보강커버부(20)가 도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입침(30)의 일부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침(30)이 눌린 지점 바로 위쪽에서는 삽입침(30)이 꺽이게 되며 결국 벽지 반대쪽으로 휘어지면서 그 부위의 벽지를 찢으면서 벽지핀이 벽지로부터 떨어져 바닥으로 낙하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Particularly, as in the example of FIG. 1, the conventional wallpaper pin is composed of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and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needles 30 (30) are formed on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BT of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And a hook 4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cover 20. When the heavy object 50 is hooked on the hook 40, The space between the object 50 and the wall 50 is formed as well as between the object 50 and the wall 50 so that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rotates clockwise as shown in the figure to press a part of the insertion needle 30, The insertion needle 30 is bent right above the point at which the insertion needle 30 is pushed, and eventually it is ben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wallpaper, tearing the wall paper at that portion, causing the problem that the wallpaper pin is dropped from the wallpaper to the floor.

때문에, 다소 무거운 물건(50)은 걸 수 없고 아주 경량의 물건만 걸어야 하므로 사용상 한계가 컸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hang a heavy object (50), and it is necessary to hang only a very lightweight object, so that the use limit is great.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09호(2010-12-17) '벽지에 설치하는 행거'Korea Public Practice No. 20-2010-0012509 (2010-12-17) 'Hangers to be installed on wallpaper'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74166호(2014-03-07)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74166 (2014-03-07) 'Small hangers for fixing on wallpaper'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50470호(2014-10-06)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50470 (2014-10-06) 'Small hangers for fixing on wallpaper'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209285호(1998-10-07) '침삽식 벽걸이용 행거'Korea Practical Registration No. 20-0209285 (1998-10-07) 'Hanging type hanging hanger'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266353호(2002-02-18) '조립형 침삽식 벽걸이용 행거'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20-0266353 (2002-02-18) 'Assembly type spoon type hanging hang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벽지핀에 물건을 걸었을 때 벽지핀 몸체가 벽지면에 완전히 간격없이 완전히 밀착되게 하여 고하중의 물건이 걸리더라도 벽지핀이 휘어지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개선된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lpaper pin body that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a wallpaper surface without completely spac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ok-and-loop frame having auxiliary hooks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improved wallpaper pin so that the wall pin can withstand without being bent.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몸체부로부터 보강커버부에 이르는 내측면에는 제1비접촉경사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경사대응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과 대응되는 제2수직대응면을 갖고 상기 삽입침을 향한 면은 벽지를 향해 하방이 두꺼워지도록 테이퍼 가공된 형태의 보강블럭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걸고리 틀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 틀은 벽지면에 접지되는 U형상의 지지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연장틀부와, 상기 수평연장틀부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연결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하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고리 틀의 양측인 지지틀부는 상기 보강블럭의 양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에 의해 눌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을 구비하고,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로 끼워지는 보강블럭을 포함하는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걸고리 틀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 틀은 벽지면에 접지되는 U형상의 지지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연장틀부와, 상기 수평연장틀부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연결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하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고리 틀의 양측인 지지틀부는 상기 보강블럭의 양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에 의해 눌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s means for attain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body part, a reinforcing cover part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body part,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needle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body part, A first non-contact sloped surface and a second non-contact vertical surface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reaching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n-contact sloped surface and a second vertically correspon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non-contact vertical surface are provided between the insertion needle and the wall and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And a reinforcing block of a tapered shape is inserted so as to be thicker than the lower wall of the wall pin. The hooking frame includes a U-shaped support frame portion that is grounded on a wallpaper surface, a horizontal extension frame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portion, and a support body portion And a ring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part; Wherein the supporting fram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hooking frame is pressed and fixed by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upport body portion, a reinforcement cover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body portion, and a reinforcement block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needle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body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wallpaper and the reinforcement cover portion A wall frame fixed to the support body portion of the wall pin; The hooking frame includes a U-shaped support frame portion that is grounded on a wallpaper surface, a horizontal extension frame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portion, and a support body portion And a ring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part; And the supporting fram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hooking frame is pressed and fixed by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The hooking frame is provided with auxiliary hook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wallpaper pin.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벽지핀에 물건을 걸었을 때 벽지핀 몸체가 벽지면에 완전히 간격없이 완전히 밀착되게 하여 고하중의 물건이 걸리더라도 벽지핀이 휘어지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bject is placed on a wallpaper pin, the wallpaper pin body is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paper surface without completely spacing, so that even when a heavy object is caught, the effect that the wallpaper pin can withstand without being bent can be obtain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벽지핀의 구조 및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핀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핀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고리 틀의 사용예 및 예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and use of a wallpaper pi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allpaper pi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wallpaper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wallpaper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show an example and a use example of the hoo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벽지핀은 도 2 내지도 4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wallpaper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s. 2 to 4.

이때,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종단면도이다.2 to 3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벽지핀은 지지몸체부(10)의 형상이 상기 지지몸체부(10)의 하단에 형성된 보강커버부(20)와 지지몸체부(10)의 연결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제1비접촉경사면(INS)과 제2비접촉수직면(VER)을 통해 연결된다.2 to 4, the wallpaper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supporting body 10 is a connecting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cover 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body 10 and the supporting body 10 The first non-contact sloped surface I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n-contact vertical surface VER.

또한, 본 발명은 보강블럭(60)을 포함하는데, 보강블럭(60)은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INS)과 제2비접촉수직면(VER)이 삽입침(30)과 간격을 갖고 형성된 공간 사이로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기 보강블럭(60)의 삽입에 의해 상기 보강커버부(20)는 아무리 휘어지더라도 결코 삽입침(30) 혹은 벽지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구조를 갖는다는 점에 있어 기존 제품 혹은 선행기술들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reinforcing block 60 wherein the reinforcing block 60 is inserted between spaces formed with the first non-contact sloped surface INS and the second non-contact vertical surface VER, Contact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is never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sertion needle 30 or wallpaper even when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is bent by th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lock 60. In this cas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technologies.

특히, 보강블럭(60)은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INC)에 대응되는 제1경사대응면(66a)과, 상기 제2비접촉수직면(VER)에 대응되는 제2수직대응면(66b)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직대응면(66b)의 단부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상기 보강커버부(20)의 하단이 안착되어 걸림되는 스토퍼면(66c)을 이룬다.Particularly, the reinforcing block 60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66a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n-contact sloped surface INC and a second vertical corresponding surface 66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non-contact vertical surface VER And a stopper surface 66c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end of the second vertical mating surface 66b to receive and engage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

한편, 상기 보강블럭(60)의 벽지를 향한 면은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수직하게 연장된 블럭수직면(68a)을 이루고, 상기 블럭수직면(68a)의 단부에서 보강블럭(60)의 하단까지는 다시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 즉 삽입침(30)을 향해 경사진 블럭테이퍼면(68b)을 이룬다.The wal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lock 60 forms a block vertical surface 68a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block 60.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lock 6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end of the block vertical surface 68a to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lock 60 I.e., a block tapered surface 68b that is inclined toward the insertion needle 3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보강블럭(60)은 삽입침(30)이 벽지에 꽂힌 다음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끼워지는 것이므로 보강블럭(60)이 끼워질 때 블럭테이퍼면(68b) 때문에 보강블럭(60)은 강제 끼움형태가 되며, 그 과정에서 삽입침(30)이 도 3과 같이 휘게 된다.Since the reinforcing block 60 is inserted in the wallpaper after the insertion needle 30 is inserted into the wallpaper, the reinforcing block 60 is forced by the block taper surface 68b when the reinforcing block 60 is fitted. The insertion needle 30 is bent as shown in FIG.

이 경우, 상기 보강블럭(60)은 삽입침(30)의 길이만큼 유지되게 하고 삽입침(30)과 보강커버부(20) 사이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벽지핀 설치작업중 삽입침(30)의 하단이 벽지를 뚫고 나오더라도 보강블럭(60)이 커버하기 때문에 보강블럭(60)을 아래에서 위로 끼울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찔릴 염려가 없게 된다.In this case, the reinforcing block 60 is held by the length of the insertion needle 30 and is inserted between the insertion needle 30 and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needle 30 Since the reinforcing block 60 covers the wall, the user's fingers are not pricked when the reinforcing block 60 is inserted from the bottom up.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보강블럭(60)이 보강커버부(20)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하방에서 상방으로 강제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다.That i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lock 60 is not engaged with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but simply is forcedly fixed upward from below.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More specifically, the install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와 같이, 먼저 지지몸체부(10)를 잡고 삽입침(30)을 벽지에 끼워 넣는다.As shown in Fig. 3, first, the support needle 10 is held and the insertion needle 30 is inserted into the wallpaper.

그러면, 삽입침(30)은 벽지와 벽면 사이로 끼워지며 최대로 꽂히게 되면 지지몸체부(10)의 전면(벽지를 바라보는 면) 상단이 벽지로부터 살짝 벌어지게 된다. 이것은 삽입침(30)이 지지몸체부(10)의 전면 끝에 맞춰 형성된 것이 아니라 약간 들어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다.Then, the insertion needle 30 is sandwiched between the wallpaper and the wall surface. When the insertion needle 30 is fully inserted into the wall,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0 (the surface facing the wallpaper) is slightly widened from the wallpaper. This is natural because the insertion needle 30 is formed not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ing body 10 but at a slightly extended position.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무거운 물건을 걸고리(H1)에 걸게 되면 삽입침(30)이 쉽게 휘어지게 된다.For this reason, when the heavy object is hooked on the hook H1, the insertion needle 30 is easily bent.

본 발명은 이 상태에서 보강블럭(60)을 잡고 벽지와 보강커버부(20)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 넣는다. 즉, 하방에서 상방으로 끼워 밀어 올린다.The present invention grips the reinforcing block (60) in this state and inserts it into the space between the wallpaper and the reinforcing cover part (20). That is, it is pushed upward from below.

그러면, 상기 보강블럭(60)은 상기 공간보다 큰 두께의 블럭테이퍼면(68b) 때문에 억지끼움, 즉 강제끼움되면서 도 3처럼 삽입침(30)은 물론 벽지가 활처럼 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지지몸체부(10)의 상단 전면 벽지면 쪽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아 벽지에 최대한 밀착되게 된다.Therefore, the reinforcing block 60 is constrained by the block taper surface 68b having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space, that is, the reinforcing block 60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lock 60. In addition, The top wall surface of the top portion of the body 10 receives a rotational forc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paper as much as possible.

때문에, 걸고리(H1)는 약간 벽지면 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므로 하중이 큰 물건을 걸더라도 수직하중이 벡터력에 의해 분해되므로 하중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존 대비 현저히 큰 중량의 물건까지 걸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hooking hook (H1) is lifted slightly toward the wall surface, so even if a heavy load is applied, the vertical load is decomposed by the vector force, so that the load distribution effect can be obtained. It will be.

이때, 보강블럭(60)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철부(68c)는 보강블럭(60)을 끼워 넣은 후 벽지와의 접촉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At this time, the irregular portion 68c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lock 60 prevents the reinforcing block 60 from slipping down upon contact with the wallpaper, so that a stable fix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즉, 본 발명의 핵심적인 개념은 블럭테이퍼면(68b)의 존재로 인해 보강블럭(60)을 강제끼우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몸체부(10)를 벽지면 쪽으로 완전히 붙게 밀착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것은 결국 도 3과 같은 형상을 유지하게 하여 수직하중을 벡터분해력으로 분해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r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inforcing block 60 is forcibly fitt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block tapered surface 68b, so that the supporting body 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This results in the effect of decomposing the vertical load into the vector decomposition force by maintaining the shape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조의 벽지핀이 정말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 시판중인 종래 벽지핀과 본 발명에 따른 벽지핀을 동일한 벽지에 끼워 설치한 다음 2리터(2kg)짜리 페트병을 걸어 무게를 견디는지 확인하였다.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wall pin of this structure can withstand a high load, a conventional wallpaper pin on the market and a wallpaper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ut in the same wallpaper, and then a 2 liter (2 kg) .

확인 결과, 종래 벽지핀의 경우에는 페트병물 2리터(2kg)를 걸었을 때 휘어지면서 벽지가 찢어져 낙하되었으나, 본 발명의 벽지핀은 페트병물 3리터(3kg)까지 견디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conventional wallpaper pins, the wall paper was torn and fell due to warping when 2 liters (2 kg) of the PET bottle was hanged, but the wallpaper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endured to 3 liters (3 kg) of PET bottles.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벽지핀이 고하중에 견딜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임을 최종 확인하였다.Accordingly, it was finally confirmed that the wallpaper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poch-making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loads.

덧붙여, 상기 보강블럭(60)의 형상은 도 4와 같으며, 양측면에는 작업시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DTR)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돌기(DRT)는 보강블럭(60)의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block 60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60, a non-slip protrusion (DTR) for preventing slippage in the hand is further formed. 60 as shown in FIG.

그리고, 중량 절감을 위해 보강블럭(60)의 폭방향으로 요철홈(GRT)가 다수 형성되어 살빼기할 수도 있으며, 이때 요철홈(GRT)은 상하길이방향으로 긴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reduce weight, a plurality of protrusive grooves (GRT)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lock (60), and the protrusive grooves (GRT) are formed in long slots in the vertical direct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걸고리(H1)는 물건이 걸리는 공간 형성시 지지몸체부(10)의 상측에서부터 시작되어 보강커버부(20)의 전면부 또는 상측면까지 형성되기 때문에 물건이 걸려 가하는 하중은 벽지면 쪽에 최대한 가깝게 되어 모멘트, 즉 팔길이가 짧아짐으로써 같은 물건의 하중이 걸리더라도 더 큰 하중까지 견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ooks H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to the front face portion or the upper side face of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when the spaces for catching objects are formed, Become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all surface side, and the moment, that is, the arm length becomes shorter, so that even if the load of the same object is applied, the load can withstand a larger load.

여기에서, 모멘트(회전토크)는 팔길이와 관련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 팔길이란 벽지면에서 물건이 걸리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Here, the moment (rotation torque) is related to the arm leng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 length means the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to the point where the object is caught.

더구나, 도 2에서 예시한 사시도와 같이, 걸고리(H1)는 지지몸체부(10)와 보강커버부(20)에 걸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물건이 걸려 하중을 받게 되면 벡터분해력에 의해 일부는 지지몸체부(10)로 분산되고, 나머지 일부만 보강커버부(20)를 통해 수직하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지몸체부(10)로 분산된 벡터분해력은 벽지면을 미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그 만큼 더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2, the hook H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10 and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so that when the object is hooked and receives a load, The vector decomposition force dispersed in the support body portion 10 acts as a pushing force against the wallpaper surface because the rest of the support body portion 10 is dispersed in the support body portion 10 and the remaining portion acts as the vertical load through the reinforcement cover portion 20. Thus, The more load it can hold.

이와 같은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은 형태의 걸고리 틀(70)을 더 포함한다.With this structure as a basi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oking frame 70 of the form as shown in Figs.

상기 걸고리 틀(70)은 변형을 억제하면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강철선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면에 접지되는 U형상의 지지틀부(72)와, 상기 지지틀부(72)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연장틀부(74)와, 상기 수평연장틀부(74)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틀부(76)와, 상기 지지틀부(72)의 하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H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the U-shaped support frame portion 72 is grounded on the wallpaper surface, and the U-shaped support frame portion 70, A connecting frame part 76 connecting each end of the horizontal extending frame part 74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frame part 76 connecting the lower end center part of the supporting frame part 72, And a ring H2 formed integrally with the ring.

그리고, 상기 걸고리 틀(70)은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틀부(76)와 수평연장틀부(74)가 지지몸체부(10)와 보강커버부(20)를 연결하는 경사진 외면에 걸림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틀부(72)는 보강블럭(60)의 양측면을 타고 하향된 상태에서 벽지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6 and 7, the hooking frame 70 includes a connection frame part 76 and a horizontal extension frame part 74 connecting the supporting body part 10 and the reinforcing cover part 20 And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paper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is downward facing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60. [

특히, 상기 지지틀부(72)는 설치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블럭(60)의 양측 일부가 폭방향으로 각각 더 연장되어 상기 지지틀부(72)를 덮어 눌러 주도록 구성되어야 한다.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from being separated after it is installe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60 ar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to cover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이렇게 보강블럭(60)의 양측면에 연장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틀부(72)를 눌러주게 되므로 지지틀부(72)를 포함한 걸고리 틀(70)은 벽지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고, 이것은 걸고리 틀(70)에 작은 충격이 가해져도 전혀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Since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is pressed by the extension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60, the hook frame 70 including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paper surface, This is the reason why even if a small impact is applied to the hooking frame 70, it stays in a stably contact state without shaking or falling at all.

또한, 상기 걸고리 틀(70) 자체에 고리(H2)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몸체부(10)에 있는 걸고리(H1)는 구비할 수도 있고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ok H2 is separately formed in the hooking frame 70 itself, the hook H1 in the support body 10 may or may not be provided.

즉, 걸고리(H1)와 고리(H2) 2개가 동시에 있는 경우에는 그 만큼 걸 수 있는 부분이 많아져 더 많은 양의 물건을 걸 수 있으며, 고리(H2)만 있을 경우에는 고리(H2)가 걸고리(H1)의 기능을 대용한다고 보면 된다.That is, when two hooks H1 and H2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a greater number of hooks H1 and H2 can be hooked so that a greater amount of hooks can be hooked. (H1).

이때, 상기 걸고리 틀(70)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고리 틀(70)의 연결틀부(76)가 안착되는 지점의 지지몸체부(10)와 보강커버부(20)가 연결되는 경사진 외면에는 상기 연결틀부(76)가 유동되지 않고 끼워지도록 하는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stably install the hooking frame 70,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at the point where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76 of the hooking frame 70 is seated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20,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76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76 may be fitted without being moved.

걸고리 틀(70)을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일단 고리(H2)는 벽지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게 되므로 벽지면과 간격이 없어 특히, 액자나 거울 등과 같이 벽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려 있어야 안정적이 사용이 가능한 물건들을 안전하게 걸어 보관할 수 있다.Since the hooking frame 70 is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hook H2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H2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paper surface,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hooking frame 70. In particular, You can safely store these usable items.

이것은 기존 벽지핀의 구조로는 달성할 수 없는 것으로 기존 벽지핀은 필히 벽지면과 걸고리가 서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거울이나 액자를 걸었을 때 거울이나 액자 등이 기울어진 채 걸려 있을 수 밖에 없어 매우 불안정한 걸림 상태를 갖는다.This can not be accomplished by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wallpaper pin. The wall pin and the hook should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mirror or the frame is hooked, the mirror or the frame is tilted and hangs It has a very unstable jamming state.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일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can be solved completely.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걸고리 틀(70)을 사용하게 되면 고리(H2)에 물건이 걸릴 경우 물건의 하중이 고리(H2)에 작용하고, 이는 중력방향을 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oking frame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a hook is hooked on the hook H2, the load of the hook acts on the hook H2 and is directed toward the gravity direction.

동시에, 지지틀부(72)도 중력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당기게 되고, 이는 연결틀부(76)도 당기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is also pulled by a force in the gravity direction, which also pulls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76.

그런데, 연결틀부(76)는 지지몸체부(10)에 걸려 있고, 또한 동시에 수평연장틀부(74)에 의해 지지틀부(7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하중은 지지틀부(7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발생시킨다.Since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76 is hooked on the support body portion 10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by the horizontal extension frame portion 74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load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frame portion 72 Thereby generating a pulling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것은 지지몸체부(10)를 벽지면 쪽으로 더욱 더 밀착시키는 효과를 낳게 되고, 이 때문에 보강블럭(60)이 갖는 지지몸체부(10)의 벽지 밀착력에 더하여 지지몸체부(10)를 완벽하게 벽지면에 밀착시켜 떨어지지 않게 하는 강한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This brings about an effect that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is further closely contacted with the wallpaper surface and therefore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of the supporting body portion 10 of the reinforcing block 60, So that it acts as a strong force to keep the sheet from falling off.

때문에, 삽입침(30)은 휘어질 수 있는 조건을 모두 상실하게 되므로 항상 꼿꼿한 상태로 벽지에 삽입된 채 걸려 있게 된다.Therefore, the insertion needle 30 loses all the conditions that can be bent, so that the insertion needle 30 is always inserted in the wall pap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wall paper.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걸고리 틀(70)을 사용하게 되면 더 고하중의 물건까지 걸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ooking frame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hang objects having a higher load.

이를 확인하기 위해, 물이 차 있는 페트병을 걸어서 견디는지를 더 확인하였는 바, 보강블럭(60)만 갖추었을 때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페트병 물 3리터(3kg)까지 견디었지만, 상기 걸고리 틀(70)을 더 구비한 상태에서 고리(H2)에 물이 차 있는 페트병을 걸었을 때 페트병 물 4리터(4kg)까지 견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order to confirm this, it was further confirmed whether the water bottle stood with the bottled water bottle. When the waterproof bottle 60 was equipped with only the reinforcing block 60, as described above, When equipped with a bottle of water containing H2 in the ring,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withstand 4 liters (4kg) of PET bottles.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걸고리 틀(70)을 사용하게 되면 더 높은 고하중의 물건까지 걸 수 있고, 그랬음에도 불구하고 벽지가 찢어지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when the hooking frame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hang up to a higher-height object, and the wall tear does not occur even though the hooking frame 70 is used.

삭제delete

10: 지지몸체부 20: 보강커버부
30: 삽입침 60: 보강블럭
70 : 걸고리 틀
10: support body part 20: reinforcing cover part
30: insertion needle 60: reinforcement block
70: hooking frame

Claims (2)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몸체부로부터 보강커버부에 이르는 내측면에는 제1비접촉경사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경사대응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과 대응되는 제2수직대응면을 갖고 상기 삽입침을 향한 면은 벽지를 향해 하방이 두꺼워지도록 테이퍼 가공된 형태의 보강블럭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걸고리 틀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 틀은 벽지면에 접지되는 U형상의 지지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연장틀부와, 상기 수평연장틀부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연결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하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고리 틀의 양측인 지지틀부는 상기 보강블럭의 양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에 의해 눌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needle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body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portion to the reinforcement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non-contac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non- A second non-contact vertical surface is formed continuously;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n-contact sloped surface and a second vertically correspon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non-contact vertical surface are provided between the insertion needle and the wall and the reinforcing cover portion, And a reinforcing block of a tapered shape is inserted so as to be thicker than the lower wall of the wall pin.
The hooking frame includes a U-shaped support frame portion that is grounded on a wallpaper surface, a horizontal extension frame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portion, and a support body portion And a ring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part;
Wherein the supporting fram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hooking frame is pressed and fixed by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을 구비하고,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로 끼워지는 보강블럭을 포함하는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걸고리 틀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 틀은 벽지면에 접지되는 U형상의 지지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연장된 수평연장틀부와, 상기 수평연장틀부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벽지핀의 지지몸체부에 걸림고정되는 연결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하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고리 틀의 양측인 지지틀부는 상기 보강블럭의 양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에 의해 눌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
A support body portion, a reinforcement cover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body portion, a support wall pin including a plurality of insertion needles projecting from the support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reinforcing block fitted between the wallpaper and the reinforcement cover portion Claims [1] A hook-shaped frame fixedly used on a body part, comprising:
The hooking frame includes a U-shaped support frame portion that is grounded on a wallpaper surface, a horizontal extension frame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portion, and a support body portion And a ring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part;
Wherein the supporting fram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hooking frame is pressed and fixed by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lock.
KR1020160113574A 2016-09-05 2016-09-05 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 KR101837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74A KR101837290B1 (en) 2016-09-05 2016-09-05 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74A KR101837290B1 (en) 2016-09-05 2016-09-05 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290B1 true KR101837290B1 (en) 2018-03-09

Family

ID=6172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74A KR101837290B1 (en) 2016-09-05 2016-09-05 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9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53Y1 (en) 2001-11-10 2002-03-02 박원관 Hanger of needle inserted type to be assembled with plastic and/or solid body
WO2003047880A1 (en) 2001-12-05 2003-06-12 Tom Nielsen Device for use at removal of a wallpaper
JP5927312B1 (en) 2015-01-30 2016-06-01 株式会社清和産業 Adhesive sheet material
WO2016122142A1 (en) 2015-01-30 2016-08-04 이진우 Hanger assembly attached to wallpa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53Y1 (en) 2001-11-10 2002-03-02 박원관 Hanger of needle inserted type to be assembled with plastic and/or solid body
WO2003047880A1 (en) 2001-12-05 2003-06-12 Tom Nielsen Device for use at removal of a wallpaper
JP5927312B1 (en) 2015-01-30 2016-06-01 株式会社清和産業 Adhesive sheet material
WO2016122142A1 (en) 2015-01-30 2016-08-04 이진우 Hanger assembly attached to wallpa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07B1 (en) Accessory for securing the hanger wallpaper
US20170112282A1 (en) Wall mounted storage system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6027091A (en) Curtain clip
US6474612B2 (en) Pool stick hanging device
KR101837290B1 (en) Template hook with a hook backing wallpaper removable pin
JP5789358B2 (en) Slide shelf and product display shelf
US8359707B1 (en) Rod bracke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8925148B2 (en) Rod bracke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3704333B2 (en) Board suspension
JP7031483B2 (en) Toilet roll support structure
JP3119865U (en) Suction cup type storage accessory
US20180010734A1 (en) Hanger
KR200281344Y1 (en) Drawer falling prevention structure
KR101854565B1 (en) Iron net fixture using wallpaper pin
CN201193915Y (en) Handle pulling device
CN211902274U (en) Protection device, suspension bracket and projection equipment
JP2009233073A (en) Shelf for bathroom
JP2017166207A (en) Grip fitting for flooring ledger frame
KR100851299B1 (en) The receipt box installed at ceiling
JP2560570Y2 (en) Underfloor storage
JPH0421505Y2 (en)
JPH0630057Y2 (en) Small equipment
KR200241643Y1 (en) Wall-mounted fishing port hangers
JP3034874U (en) Hangers for clothes hangers
JP3034560U (en) Hand tool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