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272B1 -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272B1
KR101837272B1 KR1020160058259A KR20160058259A KR101837272B1 KR 101837272 B1 KR101837272 B1 KR 101837272B1 KR 1020160058259 A KR1020160058259 A KR 1020160058259A KR 20160058259 A KR20160058259 A KR 20160058259A KR 101837272 B1 KR101837272 B1 KR 101837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encil
biopolymer
pattern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8671A (en
Inventor
김규만
김철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72B1/en
Publication of KR2017012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6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8General culture methods using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10Mineral substrates
    • C12N2533/18Calcium salts, e.g. apatite, Mineral components from bones, teeth, sh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70Polysaccharides
    • C12N2533/72Chitin, chitosa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70Polysaccharides
    • C12N2533/74Algi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5/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topography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실 상의 관통형 패턴의 공간에 바이오폴리머를 충진하여 용매가 증발하면서 막형상의 바이오폴리머 구조체를 형성하는 점에 착안하여 초소형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관통형 패턴의 크기에 따라 용기의 크기는 수십 ㎛에서 1mm 이하로 초소형 용기의 제작이 가능하다. 스텐실을 모재에 부착하여 낮은 농도의 바이오폴리머를 충진하면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용기의 바닥이 모재에 부착되어 있는 어레이 형태의 용기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스텐실을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바이오폴리머를 충진하면 양방향 용기, 이종 복합체 마이크로 구조, 다공성 바이오폴리머 박막을 지닌 구조물 등 다양한 복합형상 마이크로 구조의 제작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small container considering the point that a biopolymer is filled in a space of a through-pattern on a stencil to form a membrane-shaped biopolymer structure while the solvent evaporat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hrough-pattern, the size of the container can be reduced from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o 1 mm or less. When the stencil is attached to the base material and the low concentration biopolymer is fill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array type container in whi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base material by using the through pattern of the stencil. In addition, when a biopolymer is filled with stencil in the air, various complex microstructures such as a bidirectional container, a heterogeneous composite microstructure, and a structure having a porous biopolymer thin film can be manufactured.

Description

마이크로 스텐실을 이용한 마이크로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생체적합성 폴리머 재질의 초소형 용기{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structure using a microstencil and a microcontainer made of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using the microstencil,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텐실을 이용한 마이크로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생체적합성 폴리머 재질의 초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microstencil and a microcontainer made of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manufactured thereby.

일반적으로 세포는 배양용기를 이용하여 용기바닥면 전체에 세포를 부착하여 배양한다. 이러한 경우 세포배양 면적이 넓기 때문에 배양액을 비롯하여 배양에 필요한 물질의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배양 이후 필요한 다양한 분석, 검사를 위하여 다량의 배양용기에 세포를 여러 번 배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Generally, the cells are cultured by attaching cells to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sing a culture container. In this case, since the cell cultivation area is wide, not only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for culture including the culture medium is wasted, but also it is troublesome to cultivate a large number of cells in a large amount of culture container for various analysis and inspection necessary after the culture.

세포가 배양되는 모재는 일반적으로 폴리스티렌 계열의 플라스틱으로, 페트리 디시, 마이크로 웰 등의 배양용기 형태를 지닌다. 이들 용기에 배양된 세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용기 전체를 사용해야 하며, 따라서 분석 후 전량 폐기함에 따른 세포의 소모가 크고 세포배양에 필요한 배양액, 시간 및 노동력의 소모 역시 크다.The base material in which the cells are cultured is generally a polystyrene type plastic, and has a culture vessel form such as Petri dish, microwell, and the like. In order to analyze the cells cultured in these vessels, the whole container must be used. Therefore, the cells are wasted due to the total disposal after the analysis, and the amount of culture solution, time and labor required for cell culture is also large.

따라서, 배양용기의 체적을 줄인 형태로 마이크로 웰 플레이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96웰플에이트의 웰의 직경이 약 5mm이며, 384웰플레이트 경우 웰의 직경은 약 3mm 이다. 최근 웰의 직경이 수십um에서 1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초소형 마이크로웰의 제작 및 세포배양응용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초소형 마이크로웰은 배양체(embryoid body), 세포 스페로이드(cell spheroid) 및 단세포(single cell) 배양 등에 사용되고 있다.Thus, a microwell plate may be used in a reduced volume of the culture vessel, the well of the 96 well plate having a diameter of about 5 mm, and the 384 well plate having a diameter of about 3 mm. Recently, micro-microwells having a diameter of several tens of microns to 1 mm in diameter have been attracted attention and cell culture application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Such micro-wells have been used for embryoid bodies, cell spheroids, and single cells single cell) culture.

이러한 초소형 마이크로웰, 혹은 마이크로 배양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 절삭, 포토리소그래피, 식각, 몰딩을 이용한 전사 등 다양한 마이크로 가공 기술을 사용한 마이크로 구조체 제작기술이 사용되고 있다.Microstructure fabrication techniques using various micro-fabrication techniques such as cutting, photolithography, etching, and transfer using molding have been used to manufacture such micro-wells or micro-culture vessels.

마이크로 스텐실은 관통형 구멍을 지닌 멤브레인 형상이며, 이 멤브레인을 모재 위에 올려놓고 물질을 증착하거나 합성하면 구멍이 형성된 영역에만 물질이 증착되므로 구멍 사이즈에 따라 마이크로 미터에서 수 밀리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물질을 증착 및 합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멤브레인 상에 관통된 구멍의 위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마이크로 패턴의 제작이 가능하다.The microstencil is a membrane having a through-hole. Since the material is deposited only on the area where the hole is formed by depositing the material on the base material and synthesizing the material, the microstencil is locally deposited in the area having a size of several millimeters To deposit and synthesize the material.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micro patterns having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shape and size of the holes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많은 종류의 생체적합성 폴리머들은 용제(solvent)에 녹인 액상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이후에 용제를 증발(solvent evaporation)시켜 고형 형상을 얻게 되는데, 이때 증발된 용재의 양에 따라 부피의 변화가 생긴다. 특히 폴리머의 농도를 매우 작게 할 경우 고형화된 폴리머가 틀의 측면으로 이동하며 막 형상으로 고형화된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Many types of biocompatible polymers are formed into a desired shape in a liquid state dissolved in a solvent, and then the solvent is evaporated (solvent evaporated) to obtain a solid shape. At this time, a volume change occu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evaporated solvent. Particularly,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is made very small, the solidified polymer moves to the side of the mold and a polymer solidified into a film shape can be obtained.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초소형 용기의 제작 방법에 대해 예의 노력한 결과, 관통형 패턴을 지닌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틀로 사용하여 관통형 패턴에 형성된 빈 공간에 용제에 녹은 폴리머를 충진한 이후에 용제를 증발시킴에 따라 폴리머가 얇은 막 형상으로 고형화가 진행됨으로써, 용기형상의 초소형 구조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s a result of intensive efforts to fabricate an ultra-small container using this principl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fter filling a hollow space formed in a through pattern with a polymer dissolved in a solvent by using a membrane stencil having a through pattern, And the solidification of the polymer in the form of a thin film is progressed by evaporating the solvent. Thu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icrostructure in the form of a container.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스텐실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용 용기 등의 다양한 용도의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sized container structure for various uses such as a cell culture container using a micro stenci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양태는 관통형 패턴을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형성하는 제1단계; 모재에 상기 스텐실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킨 후 스텐실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를 얻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ncil of a membrane type having a through-type pattern, A second step of attaching the stencil to a base material; A third step of filling the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the biopolymer solution; And a fourth step of evaporat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and removing the stencil to obtain a container-shaped structure made of a solidified biopolymer.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라 제조되고, 모재 표면에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공한다.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container-shaped structure made of a biopolym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본 발명의 제3양태는 관통형 패턴을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형성하는 제1단계; 모재에 상기 스텐실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켜 스텐실과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체를 얻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cil comprising: a first step of forming a stencil of a membrane shape having a through pattern; A second step of attaching the stencil to a base material; A third step of filling the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the biopolymer solution; And a fourth step of evaporat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to obtain a composite structure composed of a stencil and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본 발명의 제4양태는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라 제조되고, 스텐실과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공한다.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which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mposite of a solid biopolymer having a stencil and a container shape.

본 발명의 제5양태는 관통형 패턴을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형성하는 제1단계; 모재 상에 상기 스텐실을 배치하되 모재와 스텐실 사이에 간격을 두는 제2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켜 스텐실과 양방향으로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얻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cil comprising: a first step of forming a stencil of a membrane shape having a through pattern; A second step of disposing the stencil on a base material, wherein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material and the stencil; A third step of filling the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the biopolymer solution; And a fourth step of evaporat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to obtain a composite composed of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in both directions and a stencil.

본 발명의 제6양태는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라 제조되고, 스텐실과 양방향으로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공한다.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container structure which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mposite of a solid biopolymer having a stencil shape and a container shape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의 제7양태는 본 발명의 제6양태의 스텐실과 양방향으로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로부터 스텐실을 제거하여 얻어진 것읕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공한다.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i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in both directions, which is obtained by removing a stencil from a composite of a stencil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oli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in both directions Thereby providing 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본 발명의 제8양태는 상기 제조방법에서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약물을 추가로 포함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이 담지된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약물 전달용 구조체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ug-loaded microcontainer structure, which is prepared by further comprising a drug in a biopolymer solution in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The micro-container structure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drug delivery structure.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관통형 패턴의 크기에 따라 1 ㎛ 내지 1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may have a diameter of 1 to 1 mm,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hrough pattern.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복수의 초소형 용기 구조체가 어레이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The microtiter container structure may be one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titer container structures form an array.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세포배양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icrocontainer structure may be used as a cell culture container.

본 발명은 초소형 용기, 양방향 용기, 폴리머 박막과 이종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복합 구조 및 다공성 폴리머 박막으로 형성된 마이크로 구조체 등 다양한 형태의 초소형 구조체의 제작에 응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된 초소형 용기는 세포 배양용 초소형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types of micro structures such as a micro container, a bi-directional container, a composite structure composed of a polymer thin film and a heterogeneous membrane, and a micro structure formed of a porous polymer thin film. It can be used as an ultra-small container.

본 발명은 초소형 용기의 제공을 통하여 세포를 용기내 지정된 위치와 형상에 국부적으로 배양함으로써 추후 세포 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ells to be locally cultured to a designated position and shape in a container through the provision of a microcontainer to efficiently perform cell analysis later.

특히, 본 발명은 세포 배양용 모재로 초소형 용기를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초소형 용기를 쉽게 떼어내어 배양된 세포의 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icrocontainer as a base material for cell culture, and can easily peel off the microcontainer as necessary to efficiently perform the analysis of the cultured cells.

본 발명은 초소형 용기 제공 및 세포분석 효율을 높임으로써 배양액을 비롯한 세포배양에 필요한 물질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를 지정된 위치와 형상으로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쉽게 떼어낼 수 있는 배양용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세포배양 및 세포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ultra-small container and increase the cell analysis efficiency, there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materials necessary for cell culture including the culture mediu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ulturing cells in a designated position and shape,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cell cultures and cell research by providing a method for producing a readily detachable base material for cul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텐실을 이용한 초소형 용기제작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텐실을 이용한 초소형 용기제작 공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초소형 용기의 광학 이미지(좌) 및 SEM 이미지(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폴리머/스텐실 복합체 제조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폴리머/스텐실 복합체의 SEM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초소형 용기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다공성 바이오폴리머 복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바이오폴리머 표면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재에서 분리해낸 배양용기의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용기 구조체를 사용하여 간세포(HepG2)를 배양한 것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icro-containe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micro-stenc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containe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micro-stenc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ptical image (left) and a SEM image (right) of a microcontainer ma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io-polymer / stencil composi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SEM image of a biopolymer / stencil compl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of a bi-directional micro-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encil / porous bio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hotograph of a porous biopolymer su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of a culture container separated from a bas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hepatocyte (HepG2) cultured using the container structur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스텐실 상의 관통형 패턴의 공간에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한 후 용제를 증발시킴으로써 패턴 경계면에 고형화된 폴리머의 막이 형성되는 원리를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의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various types of micro-sized container structure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 biomolymer solution is filled in a space of a through-type pattern on a stencil and then a solvent is evaporated to form a film of solidified polymer on a pattern interface .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모재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모재 표면에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된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Fabrication of a micro-sized container structure having a container-shaped structure made of a biopolymer formed on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통형 패턴을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형성하는 단계; 모재에 상기 스텐실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킨 후 스텐실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cil comprising: forming a stencil of a membrane shape having a through pattern; Attaching the stencil to the base material; Filling the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a biopolymer solution; And evaporat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and removing the stencil to obtain a container-shaped structure made of a solidified biopolymer.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 형상은 형성하고자 하는 초소형 구조체의 형태, 크기 및 배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 ㎛ 내지 1 ㎜인 복수의 구멍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관통형 패턴을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은 기계적 가공이나 화학적 식각을 이용하여 관통형 패턴을 형성하거나, 마스터 몰드로부터 멤브레인 재료를 캐스팅(casting)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through-pattern shape of the stencil may be determined by the shap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microstructure to be formed, and may preferably be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diameter of 1 占 퐉 to 1 mm. The stencil of the membrane type having the penetration pattern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through pattern using mechanical processing or chemical etching or by casting a membrane material from a master mold.

스텐실의 재질은 PDMS(폴리디메틸실록산)를 포함하는 탄성재료, PEGDA(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PEGMEA(폴리(에틸렌 글리콜)메틸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키토산(chitosan),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등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내지 젤라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aterial of the stencil is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PDMS (polydimethylsiloxane), PEGDA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MEA (poly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rylate), chitosan, hydroxyapatite HA)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모재는 실리콘 웨이퍼나 유리 등과 같은 세라믹 재질로 된 것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base material may be a ceramic material such as a silicon wafer or glass, or a p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이오폴리머의 재질은 PLGA(poly lactic-co-Glycl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CL), PLA(polylactic acid), 키토산(chitosan),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알지네이트(alginate) 등을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폴리머 내지 하이드로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material of the biopolymer is biocompatible material such as PLGA (poly lactic-co-glycollic acid), polycaprolactone (PCL), PLA (polylactic acid), chitosan, hydroxyapatite (HA), alginate Suitable poly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hydrogels.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사용되는 용제는 바이오폴리머를 용해시킬 수 있고 증발에 의해 바이오폴리머 용질이 얇은 막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그 예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옥탄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DCM), 클로로포름, 아세트산,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디메틸카보네이트(DM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The solvent us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solve the biopolymer and allow the biopolymer solute to form a thin film by evaporation.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octanol,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N-hexane,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DCM), chloroform, Dimethyl sulfoxide, dimethyl sulfoxide, dimethyl amide, dimethyl formamide, and dimethyl carbonate (DMC).

바이오폴리머 용액 중 바이오폴리머의 함량은 1 ~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이면 용제의 증발에 의해 얇은 막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지 않으며, 10 중량% 초과이면 농도가 너무 높아 용제의 증발에 의해 얇은 막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biopolymer in the biopolymer solution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If the amoun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thin film may not be formed to a uniform thickness by evaporation of the solvent, and if it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 concentration may be excessively high so that the thin film may not be formed due to evaporation of the solv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재 표면에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얻을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having a container-like structure made of a biopolym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상기 방법에 따라 관통형 패턴을 갖는 스텐실을 모재에 부착하여 낮은 농도의 바이오폴리머를 충진한 후 용제를 증발시키면 용기의 바닥이 모재에 부착되어 있는 초소형 용기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스텐실을 이용한 초소형 용기의 제작공정의 모식도이며, 도 3은 상기 공정을 적용하여 제작된 초소형 용기 어레이의 사진이다.According to the method, a stencil having a through pattern is attached to a base material to fill a low concentration biopolymer, and then the solvent is evaporated, so that a microcontainer array in whi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base material can be manufacture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icro-container using a stencil, and FIG. 3 is a photograph of a micro-container array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process.

스텐실과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제조Preparation of a composite of a stencil and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관통형 패턴을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형성하는 단계; 기재에 상기 스텐실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켜 스텐실과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forming a stencil, comprising: forming a stencil in the form of a membrane having a through pattern; Attaching the stencil to a substrate; And filling the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a biopolymer solution; And evaporat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to obtain a composite structure comprising a stencil and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스텐실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텐실과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tencil was not remov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a composite composed of a solid biopolymer having a stencil and a container shape was obtained.

저농도의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로겐을 추가로 포함시킬 경우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박막 형상의 다공성 바이오폴리머 구조체를 얻을 수 있었다. When a porogen was further included in the low concentration biopolymer solution, a porous biopolymer structure having a thin film shape as shown in FIG. 8 was obtained.

스텐실과 양방향으로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제조Preparation of a composite composed of a stencil and a soli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관통형 패턴을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형성하는 단계; 기재 상에 상기 스텐실을 배치하되 기재와 스텐실 사이에 간격을 두는 단계; 및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켜 스텐실과 양방향으로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forming a stencil, comprising: forming a stencil in the form of a membrane having a through pattern; Disposing the stencil on a substrate with a gap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tencil; And filling the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a biopolymer solution; And evaporat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to obtain a composite comprising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in both directions and a stencil.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폴리머/스텐실 복합체 제조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4와 같이 스텐실을 모재 표면으로부터 띄운 상태에서 저농도의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면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에 박막 형상의 바이오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iopolymer / stencil composi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when a low concentration biopolymer solution is filled in a state where the stencil is floa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 thin biopolymer can be formed in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스텐실을 모재 표면으로부터 띄우기 위해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스텐실을 놓고 제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placing the stencil on the slide glass to float the stencil from the surface of the parent material.

이때, 박막형상의 바이오폴리머를 스텐실로부터 분리하면 도 6와 같이 양방향으로 물질을 담을 수 있는 바이오 용기를 얻을 수 있었다.At this time, when the thin film-type biopolymer was separated from the stencil, a biocontainer capable of holding a substance in both directions as shown in FIG. 6 was obtained.

<실시예 1> &Lt; Example 1 >

폴리스티렌계 모재에 PDMS 재질의 스텐실을 부착한 후 4 중량% PLGA 용액(용제:DCM)을 충진하였다. 그 다음 상온 조건하에서 DCM을 증발시켜 스텐실과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였다.A stencil of PDMS material was attached to the polystyrene base material and filled with a 4 wt% PLGA solution (solvent: DCM). Next, DCM was evaporated under normal temperature conditions to prepare a composite structure composed of a stencil and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복합 구조체에 간세포(HepG2)를 접종하여 배양시켰다. 그 결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배양용기와 동등한 수준으로 세포 증식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Hepatocyte (HepG2) was inoculated on the complex structure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 and cultur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it was confirmed that cell proliferation was performed at a level equivalent to that of the conventional culture vessel.

Claims (22)

1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바닥면 및 벽체를 구비한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바닥면에 대응되는 관통형 패턴 및 상기 용기 벽체의 높이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준비하는 제1단계;
모재에 상기 스텐실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용제 증발시 상기 관통형 패턴의 벽면을 따라 막을 형성하는 농도의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관통형 패턴에 의해 한정된 바닥면 및 상기 관통형 패턴의 벽면을 따라 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킨 후 스텐실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를 얻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wall having a diameter of 1 mm or les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tencil of a membrane shape having a penet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height of the container wall;
A second step of attaching the stencil to a base material;
A third step of filling a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a bi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to form a film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through-pattern when the solvent evaporates; And
A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is evaporated so as to form a film along the bottom surface defined by the through pattern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hrough pattern, and then the stencil is removed to obtain a container-shaped structure composed of the solidified biopolym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comprising four ste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1 ㎛ 내지 1 mm의 직경을 갖는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titer container structure has a diameter of 1 [mu] m to 1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실의 재질은 PDMS, PEGDA, PEGMEA, 키토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또는 젤라틴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ncil material is PDMS, PEGDA, PEGMEA, chitosan, hydroxyapatite (HA) or gelat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폴리머의 재질은 PLGA, PCL, PLA, 키토산(chitosan),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또는 알지네이트(alginate)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iopolymer is PLGA, PCL, PLA, chitosan, hydroxyapatite (HA), or algi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 중 바이오폴리머의 함량은 1 ~ 10 중량%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io-polymer solution comprises 1 to 10 wt% of the biopolymer.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모재 표면에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The micro-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tainer-shaped structure made of a biopolym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1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바닥면 및 벽체를 구비한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바닥면에 대응되는 관통형 패턴 및 상기 용기 벽체의 높이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준비하는 제1단계;
모재에 상기 스텐실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용제 증발시 상기 관통형 패턴의 벽면을 따라 막을 형성하는 농도의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관통형 패턴에 의해 한정된 바닥면 및 상기 관통형 패턴의 벽면을 따라 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켜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wall having a diameter of 1 mm or less ,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tencil of a membrane shape having a penet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height of the container wall;
A second step of attaching the stencil to a base material;
A third step of filling a void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a bi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to form a film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through-pattern when the solvent evaporates; And
A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is evaporated so as to form a film along the bottom surface defined by the through pattern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hrough pattern to form a container shape made of a biopolymer solidified in a hollow space of the through- And a fourth step of forming a structure of the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1 ㎛ 내지 1 mm의 직경을 갖는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icrotiter container structure has a diameter of between 1 m and 1 m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실의 재질은 PDMS, PEGDA, PEGMEA, 키토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또는 젤라틴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ncil material is PDMS, PEGDA, PEGMEA, chitosan, hydroxyapatite (HA) or gelati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폴리머의 재질은 PLGA, PCL, PLA, 키토산(chitosan),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또는 알지네이트(alginate)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iopolymer is PLGA, PCL, PLA, chitosan, hydroxyapatite (HA), or algin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 중 바이오폴리머의 함량은 1 ~ 10 중량%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iopolymer solution comprises 1 to 10% by weight of the biopolymer solution. 제7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스텐실과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7. A micro-container structure mad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icro-container structure is a composite of a stencil and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1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바닥면 및 벽체를 구비한 초소형 용기 구조체 2개를 바닥면을 공유하면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바닥면에 대응되는 관통형 패턴 및 상기 2개의 용기 벽체의 높이 합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멤브레인 형상의 스텐실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양 방향에서 용제 증발이 가능하도록, 관통형 패턴이 없는 상기 스텐실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용제 증발시 상기 관통형 패턴의 벽면을 따라 그리고 관통형 패턴의 횡단면을 따라 막을 형성하는 농도의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충진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관통형 패턴의 횡단면에 의해 한정된 바닥면 및 상기 관통형 패턴의 벽면을 따라 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포함된 용제를 증발시켜 상기 스텐실의 관통형 패턴의 빈 공간에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용기형상의 구조체 2개를 형성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two ultra-small container structures with a bottom surface and a wall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or equal to 1 mm,
A first step of preparing a stencil of a membrane shape having a penet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two container walls;
A second step of fixing the edge of the stencil without the through pattern so that the solvent can be evapora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through pattern of the stencil;
A third step of filling a vacant space of the through-pattern of the stencil with a biopolymer solution at a concentration that forms a film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through-type pattern and along the cross-section of the through-pattern when the solvent evaporates; And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iopolymer solution is evaporated so as to form a film along the bottom surface defin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through-pattern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hrough-pattern, thereby forming a biopolymer solidified in the void space of the through- And a fourth step of forming two container-shaped structur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1 ㎛ 내지 1 mm의 직경을 갖는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icrotextured container structure has a diameter of 1 [mu] m to 1 m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실의 재질은 PDMS, PEGDA, PEGMEA, 키토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또는 젤라틴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aterial of the stencil is PDMS, PEGDA, PEGMEA, chitosan, hydroxyapatite (HA) or gelati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폴리머의 재질은 PLGA, PCL, PLA, 키토산(chitosan),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또는 알지네이트(alginate)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iopolymer is PLGA, PCL, PLA, chitosan, hydroxyapatite (HA), or algin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폴리머 용액 중 바이오폴리머의 함량은 1 ~ 10 중량%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io-polymer solution comprises 1 to 10 weight% of the biopolymer. 제13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스텐실과 상하 양 방향으로 용기형상을 갖는 고형화된 바이오폴리머로 이루어진 복합체인 것읕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용기 구조체.13. The micro-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3, which is a composite made of a stencil and a solidified biopolymer having a container shape in both upper and lower directions. 제13항에 있어서, 제4단계 이후 스텐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removing the stencil after the fourth step. 제1항, 제7항 또는 제13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이오폴리머 용액에 약물을 추가로 포함시켜 약물이 담지된 초소형 용기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7 or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 drug to the biopolymer solution to produce a micro-container structure carrying the drug. 제6항, 제12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19. The micro-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12 and 18, wherein the micro-sized container structure forms an array. 제6항, 제12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용기 구조체는 세포배양 용기인 것인 초소형 용기 구조체.The micro-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12 and 18, wherein the micro-container structure is a cell culture container.
KR1020160058259A 2016-05-12 2016-05-12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8372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59A KR101837272B1 (en) 2016-05-12 2016-05-12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59A KR101837272B1 (en) 2016-05-12 2016-05-12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671A KR20170128671A (en) 2017-11-23
KR101837272B1 true KR101837272B1 (en) 2018-03-12

Family

ID=6080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259A KR101837272B1 (en) 2016-05-12 2016-05-12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7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39B1 (en) * 2014-07-08 2015-03-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cissile cell culture sheet with perforated membra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39B1 (en) * 2014-07-08 2015-03-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cissile cell culture sheet with perforated membran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terials, Vol. 24, pp. 2533-2540 (2003.)
Polymers, Vol. 3, pp. 1377-1397 (2011.08.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671A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7244B2 (en) Cell culture container and cell culture method
EP2715450B1 (en)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monolithic three-dimensional microfluidic devices
EP2310491B1 (en) Self-assembling tissue modules
Livoti et al. Self-assembly and tissue fusion of toroid-shaped minimal building units
Liu et al. Three-dimensional hepatic lobule-like tissue constructs using cell-microcapsule technology
Vozzi et al. Fabrication of PLGA scaffolds using soft lithography and microsyringe deposition
KR101792380B1 (en) Cell culture method and screening method
JP5676265B2 (en) Cell storage method and cell transport method
JPWO2008130025A1 (en) Hepatocyte culture vessel and hepatocyte culture method
WO2010025515A1 (en) Method for fabricating microstructured cell culture devices
US9290735B2 (en) Mammary gland epithelial cell culture
KR10183727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tructures using microstencil and micro container of biocompatible polymer manufactured by the same
Wang et al. Fabrication of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hexanoate)(PHBHHx) microstructures using soft lithography for scaffold applications
JP2010200679A (en) Cell culture container, method for performing cell culture, and method for evaluating cell
WO2013156941A1 (en) Device for obtaining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s,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and use of such device
WO2016006792A1 (en) Separable cell culture sheet having perforated membrane attached thereto
Takeda et al. Selective Cell-adhesion on Micro-structured Fine Particles
Rivron et al. Self-assembling tissue modules
WO2014184386A1 (en) Cell cultivation scaffold
Morimoto et al. Microfluidic Formation of Cell‐Laden Hydrogel Modules for Tissue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