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937B1 -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937B1
KR101836937B1 KR1020150054737A KR20150054737A KR101836937B1 KR 101836937 B1 KR101836937 B1 KR 101836937B1 KR 1020150054737 A KR1020150054737 A KR 1020150054737A KR 20150054737 A KR20150054737 A KR 20150054737A KR 101836937 B1 KR101836937 B1 KR 10183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ng
rotating roller
roll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908A (ko
Inventor
윤우석
윤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티이씨
Priority to KR102015005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937B1/ko
Priority to PCT/KR2016/003424 priority patent/WO2016167500A1/ko
Publication of KR2016012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32Assembly, disassembly, repair or servicing of endless-tr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narrowband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한궤도차량의 하부주행체의 구성 중 체인벨트 내측에서 상기 체인벨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와,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이하, '회전 롤러'라 통칭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수 내지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검지부와, 상기 회전 롤러에 저장된 윤활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검지부와, 상기 회전 롤러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제3검지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검지부와, 상기 복수의 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결과값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작업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Remote Mornitoring System of Caterpilar vehicles}
본 발명은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한궤도 차량의 현재 상태를 원거리에서 관리자가 정확하게 파악하여 점검할 수 있음은 물론, 오일의 충전 또는 부품의 교체 시기를 파악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 및 작업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한궤도 차량의 하부 주행체는 포크레인이나 불도저와 같이 농업용, 토목용 차량 등에 사용되며, 군사용으로는 전차 또는 장갑차 등에 사용되고 있다.
무한궤도 차량의 하부 주행체는, 바퀴 역할을 하는 체인벨트와, 체인벨트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주행감속기, 캐리어 롤러, 트랙 롤러 및 아이들러를 포함한다. 주행감속기, 캐리어 롤러, 트랙 롤러 및 아이들러는 각각 체인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체인벨트 내측에 배치된다.
주행감속기는, 체인벨트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무한궤도 차량의 엔진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체인벨트를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구동기이다.
주행감속기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벨트가 회전될 때, 캐리어 롤러는 체인벨트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트랙 롤러는 체인벨트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아이들러는 주행감속기가 배치된 측에 대향되는 체인벨트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운전 중에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작업 중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만 작업을 멈추고 작업자가 직접 차량 상태를 점검하거나, 작업 완료 후 점검하여 부품 이상이 있을 경우 A/S 수리를 의뢰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차량에 하자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 경우에도 계속적인 작업으로 인한 실질적인 하자 발생 후에야 비로소 이를 보완하는 A/S 작업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차량에 탑승 또는 현장 관리 사무소에서 원격으로 무한궤도 차량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무한궤도차량의 하부주행체의 구성 중 체인벨트 내측에서 상기 체인벨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와,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이하, '회전 롤러'라 통칭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수 내지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검지부와, 상기 회전 롤러에 저장된 윤활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검지부와, 상기 회전 롤러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제3검지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검지부와, 상기 복수의 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결과값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무한궤도차량에 탑승하여 운전 중인 운전자가 소유한 휴대용 무선 장치 및 상기 결과값을 수신 가능한 거리에 구비된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무선 장치는, 상기 통신부와 블루투스 통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부와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회전 롤러 외의 기능 동작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롤러 외의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추가 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유선 통신으로 수신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차량은, 전자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검지부 내지 제3검지부 및 상기 추가 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수신하여 유선 통신으로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송신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수신부에 상기 결과값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원격의 현장 사무소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상기 이동통신망 또는 상기 위성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측정된 결과값을 실시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제1검지부를 통하여 회전 롤러와 지지샤프트 사이의 가속도 또는 회전수를 검출하여 무한궤도 차량의 주행거리 또는 구동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제2검지부를 통하여 회전 롤러 및 지지샤프트 사이에 충진된 윤활유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윤활유 자체의 누유 여부 및 회전 롤러 및 지지샤프트에 개재된 부시의 편마모 현상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제3검지부를 통하여 회전 롤러의 마모 상태를 검출하여 회전 롤러의 잔여 수명을 확인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상술한 제1검지부 내지 제3검지부를 통하여 획득한 검출값을 무한궤도 차량에 직접 탑승한 작업자 또는 현장 관리 사무소에 위치한 관리자에게 현재 작업 무한궤도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송출하여 확인 가능토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인 회전 롤러를 구비한 아이들러,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를 포함하는 측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구성 중 아이들러,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트랙 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트랙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통신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통신부를 구체화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인 회전 롤러를 구비한 아이들러,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를 포함하는 측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구성 중 아이들러,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트랙 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트랙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작업 바디(1)의 주행 방향에 대해 직교되게 배치된 지지샤프트(130,230,330)와, 지지샤프트(130,230,330)의 양단을 지지하면서 작업 바디(1)에 지지샤프트(130,230,330)를 연결시키는 커넥팅 칼라(140,240,340)와, 지지샤프트(130,230,330) 외주에 끼워지고 체인벨트(400)의 내주면을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회전 롤러(110,210,310)와, 지지샤프트(130,230,330)와 회전 롤러(110,210,31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의 회전수 내지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검지부(10,20)와, 지지샤프트(130,230,330) 및 회전 롤러(110,210,310) 사이에 도포된 윤활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검지부(30)와, 회전 롤러(110,210,310)에 배치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제3검지부(40)와, 제1검지부(10,20) 내지 제3검지부(40)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외부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한궤도 차량의 하부 주행체의 구성 중 체인벨트(400)의 내주면을 지지하면서도 상술한 지지샤프트(130,230,330) 및 커넥팅 칼라(140,240,340)와 회전 롤러(110,210,310)를 공통 구성으로 하는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a에 참조된 아이들러(100), 도 1 및 도 2b에 참조된 트랙 롤러(200) 및 도 1 및 도 2c에 참조된 캐리어 롤러(30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아이들러(100), 트랙 롤러(200) 및 캐리어 롤러(30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지지샤프트(130,230,330), 커넥팅 칼라(140,240,340) 및 회전 롤러(110,210,310)는 각각 '제1, 제2, 제3'의 접두어를 붙여 구별하여 작성하기로 한다.
무한궤도 차량의 하부 주행체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바퀴 역할을 하는 체인벨트(400)와, 체인벨트(400)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주행감속기 및 상술한 아이들러(100), 트랙 롤러(200)와 캐리어 롤러(300)를 구비한다. 주행감속기, 아이들러(100), 트랙 롤러(200) 및 캐리어 롤러(300)는 단수 또는 다수가 각각 체인벨트(4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체인벨트(40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주행감속기는 체인벨트(400)의 전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무한궤도 차량의 엔진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체인벨트(40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이다.
주행감속기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벨트(400)가 회전되면, 아이들러(100)가 체인벨트(400)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트랙 롤러(200)가 체인벨트(400)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캐리어 롤러(300)가 체인벨트(400)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아이들러(100)는, 제1회전 롤러(110)가 제1지지샤프트(130)를 축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제1지지샤프트(130)는 커넥팅 수단(120)을 매개로 작업 바디(1)에 연결된다.
제1지지샤프트(130)는, 하부 주행체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1회전 롤러(110)는 체인벨트(400)의 전방부 내측면을 지지하면서 회전되되, 제1지지샤프트(130)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제1지지샤프트(130)의 양단에는 각각 커넥팅 수단(120)에 연결시키는 제1커넥팅 칼라(140)가 각각 구비되어 제1지지샤프트(130)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1회전 롤러(110)는, 제1지지샤프트(13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제1커넥팅 컬라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지지샤프트(130)의 일측에서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지지샤프트(130)에 대한 제1회전 롤러(110)의 체결 방법이 상술한 체결 방법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1지지샤프트(130)와 제1회전 롤러(110) 사이에는 부시(150,250,350)가 개재될 수 있다. 부시(150,250,350)는 고정된 제1지지샤프트(130)에 대한 제1회전 롤러(11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역할을 한다.
제1지지샤프트(130)와 제1회전 롤러(110) 및 제1커넥팅 칼라(140)가 상호 입접되는 부위에는 한 쌍의 플로팅 실(160,260,360)이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어, 외부로 윤활유가 누출되거나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플로팅 실(160,260,360)은, 제1지지샤프트(130)를 기준으로 상술한 제1커넥팅 칼라(140)의 내측에 각각 구비된다. 한 쌍의 플로팅 실(160,260,360)의 외주면에는 각각 실링(265)이 개재되어 제1회전 롤러(110)의 회전을 지지하면서도 윤활유의 누유 방지 및 이물질의 침투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제1지지샤프트(130)와 제1회전 롤러(110) 사이의 공간에는 상술한 부시(150,250,350)가 개재될 수 있는데, 부시(150,250,350)의 마모 및 제1회전 롤러(1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윤활유가 충진되는 윤활유 저장부(170,270,370)가 구비될 수 있다. 윤활유 저장부(170,270,370)는, 제1지지샤프트(130)와 제1회전 롤러(110) 사이에 구비되면 족하나, 전체적으로 균일한 오일 공급을 위하여 가운데 지점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트랙 롤러(200)는, 아이들러(100)와 비교하여 그 명칭과 기능만이 상이할 뿐 거의 대동 소이한 구성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 롤러(200)는, 제1지지샤프트(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지지샤프트(230)와, 제2지지샤프트(230)를 축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제2회전 롤러(210) 및 제2지지샤프트(230)의 양단에 배치된 제2커넥팅 칼라(240)를 포함하고, 아이들러(100)와 마찬가지로, 부시(150,250,350) 및 한 쌍의 플로팅 실(160,260,360) 및 실링(265)이 구비됨과 아울러, 윤활유 저장부(170,270,370)가 구비된다.
또한,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캐리어 롤러(300)는, 아이들러(100), 트랙 롤러(200)와 비교하여 그 명칭과 기능만이 상이할 뿐 거의 대동 소이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랙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하부 주행체의 구성 중 회전되도록 배치되되, 회전되는 체인벨트(400)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성의 공통요소인 지지샤프트(130,230,330) 및 회전 롤러(110,210,310)가 구비된 아이들러(100), 트랙 롤러(200) 및 캐리어 롤러(300)에 다수의 검지부를 장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1지지샤프트 내지 제3지지샤프트(330)와, 제1회전 롤러(110) 내지 제3회전 롤러(110,210,310) 및 제1커넥팅 칼라 내지 제3커넥팅 칼라(140,240,340), 그리고, 나머지 구성인 부시 및 한 쌍의 플로팅 실(160,260,360)과 실링(265)의 구성은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구분하는 접두어를 사용하지 않고 공통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검지부(10,20)는, 지지샤프트(130,230,330)와 회전 롤러(110,210,31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의 회전수 내지 가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검지부(30)는, 지지샤프트(130,230,330) 및 회전 롤러(110,210,310) 사이에 도포된 윤활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3검지부(40)는, 회전 롤러(110,210,310)에 배치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검지부(10,20)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전 롤러(110,210,310)의 내주면 중 지지샤프트(130,230,330)를 향하여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마그네틱과, 마그네틱의 회전 경로 상에 해당되는 지지샤프트(130,230,330)에 결합되어 마그네틱의 자성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센서는 회전되는 회전 롤러(110,210,310) 상에 구비된 마그네틱의 자성을 감지함으로써 회전 롤러(110,210,310)의 회전수를 감지함은 물론 가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검지부(10,20)를 통하여 측정된 결과값은, 체인벨트(400)의 구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 현장에서의 무한궤도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구동 상태를 예측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제1검지부(10,20)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지지샤프트(130,230,330)와 회전 롤러(110,210,310) 내주면 사이에는 지지샤프트(130,230,33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상술한 부시(150,250,350)가 개재되는 바, 마그네틱을 회전 롤러(110,210,310)의 내주면 중 부시(150,250,350)와 마주하지 않는 부분에 결합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위치시키고, 홀 센서를 마그네틱의 회전 경로 상에 해당하는 지지샤프트(130,230,330) 및 커넥팅 칼라(140,240,34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마그네틱의 자성을 감지하도록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검지부(10,20)는, 회전 롤러(110,210,310)의 내주면 중 상기 부시(150,250,350)와 마주하는 부분에 결합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마그네틱과, 마그네틱의 회전 경로 상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샤프트(130,230,330)에 결합되어 마그네틱의 자성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검지부(30)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윤활유 저장부(170,270,370)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검지부(30)는, 직접적으로 윤활유인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검지부(30)에 의하여 측정된 윤활유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오일이 누유된 경우이거나 부시(150,250,350)가 편마모되어 오일의 자체 온도를 상승시킨 경우로 예측할 수 있는 바, 제2검지부(30)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은 해당 부품의 내구성 평가 또는 부품 교체의 시기를 가늠케 하는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제3검지부(40)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전 롤러(110,210,310)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깊이에 은닉되도록 배치되는 접촉 센서일 수 있다.
회전 롤러(110,210,310)는, 체인벨트(400)의 내주면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실질적으로 마모가 발생되는 부위인 바, 어느 정도의 마모가 발생된 경우에는 다른 회전 롤러와의 사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하중 분배를 위하여 교체되어야 하는 소모 부품이다.
제3검지부(40)는, 회전 롤러(110,210,310)에 배치되어 회전 롤러(110,210,310)의 마모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현재 장착된 회전 롤러(110,210,310)의 잔여 수명 및 회전 롤러(110,210,310)의 교체 시기를 가늠케 하는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3검지부(40)는, 통전되는 와이어로써, 마모에 따라 소정 깊이 이상 회전 롤러(110,210,310)가 마모되면 체인벨트(400)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한 단선으로 인하여 그 마모 상태가 확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 롤러(110,210,310)의 외주면으로부터 깊이가 상이하게 제3검지부(40)를 복수개소 마련하여 각 깊이마다 단전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현재 마모 상태를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현장에서 마모 상태가 급격이 나빠지는 경우 바로 교체 가능하도록 부품을 미리 준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및 후술하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통신부는, 제1검지부(10,20) 내지 제3검지부(40)로부터 측정된 결과값을 외부로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통신부는, 제1검지부(10,20) 및 제2검지부(30)의 결과값을 출력하도록 라인 연결된 제1통신 라인(51,52)과, 제3검지부(40)의 결과값을 출력하는 제2통신 라인(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검지부(10,20) 및 제2검지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130,230,330) 및 회전 롤러(110,210,3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지지샤프트(130,230,330)나 회전 롤러(110,210,310)의 외측에 구비된 제3검지부(40)와는 달리 별도의 라인 연결이 필요하다.
제1통신 라인(51,52)은, 제1검지부(10,20)와 제2검지부(3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연결선(51)과, 제1검지부(10,20) 및 제3검지부(30)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연결선(51)으로부터 분기하는 제2연결선(5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통신 라인(51,52) 및 제2통신 라인(53)으로부터 출력된 결과값을 수렴하여 외부의 이동통신망이나 서버 등에 발신하는 발신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통신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통신부를 구체화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통신부로부터 출력된 결과값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이 가능한 별도의 서버일 수 있는 한편,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하여 수신이 가능한 기지국(2)이 될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장치(3)(Potable Device)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통신부와 수신부가 직접적으로 통신을 할 필요는 없고,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무한궤도차량은, 전자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자제어유닛과 수신부 사이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한궤도차량의 하부주행체에는, 상술한 제1검지부 내지 제3검지부(10~40)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 뿐만 아니라, 회전 롤러(110,210,310) 외의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추가 검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여기서의 추가 검지부는 직접적으로 전자제어유닛에 유선 통신으로 측정된 결과값을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는, 그 자체로 작업자가 휴대한 휴대용 무선 장치(3)에 직접 무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된 결과값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송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는 한편, 전자제어유닛으로의 유선 송신을 위한 유선 커넥팅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선 커넥팅부는, 일반적인 차량의 통신 방식인 CAN 통신이나 K-line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각 CAN 라인 접속 핀 및 K-line 접속 핀(5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검지부 내지 제3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 및 추가 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유선 커넥팅부가 구비된 통신부를 통하여 전자제어유닛으로 정보를 집결시킨 후,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수신부 에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기지국(2)을 통하여 통신되는 제1검지부(10,20) 내지 제3검지부(40)의 결과값은 현장 관리 사무소(4) 내의 관리자 컴퓨터로 전송되거나 관리자 모니터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특정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작업 중인 무한궤도 차량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통신되는 제1검지부(10,20) 내지 제3검지부(40)의 결과값은 해당 무한궤도 차량에 탑승하여 작업 중인 작업자의 휴대용 무선 장치(3)로 직접 전송되고, 작업자는 휴대용 무선 장치(3) 내에 설치된 소정의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탑승 무한궤도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부시의 측면부위 및 이에 대응되는 커넥팅 칼라에 소정의 감지부를 부착하여, 주변 구성의 얼라인먼트(Alignment)의 정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지지샤프트의 중간 부분에 소정의 감지부를 장착하여 처짐량을 측정함으로서 과부하로 인한 파손을 예방하거나, AE(Acoustic Emission, 음향방출) 진단 시스템을 활용하여 균열, 파괴 직전의 지지샤프트의 진동수를 측정함으로써 사전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플로팅 실 중 고정측의 플로팅 실 및 회전측의 플로팅 실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중 소정 부위에 각각 소정의 감지부를 결합시켜, 회전수 또는 오일량/오일 온도 및 습동부에 해당하는 플로팅 실의 외주면 온도를 측정함으로서, 앞서 검토한 주행거리, 부품의 점검 또는 교체주기 시기를 가늠함은 물론, 적정 오일량 점검이나 내부 오일 온도 측정으로 이상 발열 상태를 감지함은 물론 플로팅 실의 습동부 온도 측정으로 실의 소착 등으로 인한 사전 파손 감지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작업 바디 2: 기지국
3: 휴대용 무선 장치 4: 관리 사무소
8: 주행감속기 10,20: 제1검지부
30: 제2검지부 40: 제3검지부
51: 제1연결선 52: 제2연결선
51,52: 제1통신 라인 53: 제2통신 라인
100: 아이들러 110-310: 회전 롤러
120: 커넥팅 수단 130-330: 지지샤프트
140-340: 커넥팅 칼라 150-350: 부시
160-360: 한 쌍의 플로팅 실 265: 실링
170-370: 윤활유 저장부

Claims (6)

  1. 무한궤도차량의 하부주행체의 구성 중 체인벨트 내측에서 상기 체인벨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아이들러와,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이하, '회전 롤러'라 통칭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수 내지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검지부와, 상기 회전 롤러에 저장된 윤활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검지부와, 상기 회전 롤러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제3검지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검지부와;
    상기 회전 롤러 외의 기능 동작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롤러 외의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추가 검지부와;
    전자제어유닛과;
    유선 커넥팅부를 구비하여, 상기 추가 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유선 통신으로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1검지부 내지 제3검지부 및 상기 추가 검지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값을 수신하여 유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송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지부는, 상기 회전 롤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의 자성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검지부는, 윤활유 저장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윤활유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3검지부는, 상기 회전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깊이가 상이하게 복수개소 마련되며, 통전되는 와이어로써, 각 깊이마다 단전되는 상황을 감지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수신부에 상기 결과값을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결과값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무한궤도차량에 탑승하여 운전 중인 운전자가 소유한 휴대용 무선 장치 및 상기 결과값을 수신 가능한 거리에 구비된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인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장치는, 상기 통신부와 블루투스 통신되는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부와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원격의 현장 사무소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측정된 결과값을 실시간 송신하는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50054737A 2015-04-17 2015-04-17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3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737A KR101836937B1 (ko) 2015-04-17 2015-04-17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CT/KR2016/003424 WO2016167500A1 (ko) 2015-04-17 2016-04-01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737A KR101836937B1 (ko) 2015-04-17 2015-04-17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08A KR20160123908A (ko) 2016-10-26
KR101836937B1 true KR101836937B1 (ko) 2018-03-09

Family

ID=5712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737A KR101836937B1 (ko) 2015-04-17 2015-04-17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6937B1 (ko)
WO (1) WO2016167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22590A1 (it) * 2019-11-29 2021-05-29 Italtractor Sistema di monitoraggio per sottocarro cingolato
IT202000002371A1 (it) * 2020-02-06 2021-08-06 Italtractor Gruppo rullo di sottocarro cingolato con monitoraggio della temperatur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160A (ja) * 2001-08-01 2003-02-13 Komatsu Ltd 履帯式車両のメンテナンス時期判定装置
US20130255354A1 (en) * 2012-03-27 2013-10-03 Wearpro Incorporated Wea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Undercarriage and Roller Wear
US20150081166A1 (en) * 2014-11-21 2015-03-19 Caterpillar Inc. Wear monitoring system for a track roll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110A (en) * 1993-12-28 1995-09-19 Syedala Industries, Inc. Bearing wear indicator
US6080982A (en) * 1998-05-13 2000-06-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mbedded wear sensor
US6868711B2 (en) * 2002-05-10 2005-03-22 Sensopla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onitoring mechanical w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160A (ja) * 2001-08-01 2003-02-13 Komatsu Ltd 履帯式車両のメンテナンス時期判定装置
US20130255354A1 (en) * 2012-03-27 2013-10-03 Wearpro Incorporated Wea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Undercarriage and Roller Wear
US20150081166A1 (en) * 2014-11-21 2015-03-19 Caterpillar Inc. Wear monitoring system for a track 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08A (ko) 2016-10-26
WO2016167500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931B1 (ko) 무한궤도 차량의 트랙 어셈블리
US10696337B2 (en) Wea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undercarriage and roller wear
KR101836937B1 (ko) 무한궤도 차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20150066291A1 (en) Wear monitoring system for undercarriage component
CN114258638B (zh) 履带传动装置、履带板、履带链节、底盘总成和车辆
TR201815505T4 (tr) Bir aşınma algılama cihazına sahip palet zinciri baklası.
US9228875B2 (en) Liquid level detection system for a driveline component
WO2019097556A1 (en) Element of a tracked movement assembly for works machines
CN102859216A (zh) 具有润滑剂传感器的轴承组件
JP2019502061A (ja) トレーラ軸においてホイールハブ温度及び走行距離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557244B2 (en) Thrust bias detection system
KR20180019131A (ko) 무한궤도 차량의 트랙 어셈블리
CN102822681A (zh) 具有轴承的轴承组件
CN106536335A (zh) 具有磨损测量特征的履带板
CN106829391A (zh) 一种刮板输送机载荷监测装置及链条张力估算方法
US20230150594A1 (en) Tracked undercarriage roller assembly with temperature monitoring
US20230400291A1 (en) Detecting wear of track link pin based on sensor data of a sensor device provided in a cavity of the track link pin
US20230366842A1 (en) Bushing wear monitoring
US11860061B2 (en) Undercarriage wear measurement using a gyro sensor
US20230060000A1 (en) Component monitoring based on magnetic signals
CN106840488A (zh) 测量载荷传感器单元以及带测量载荷传感器单元的轮毂轴承
CN117677561A (zh) 用于监测履带车辆的行走机构的履带辊的轴承的润滑状况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