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887B1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887B1
KR101836887B1 KR1020110046764A KR20110046764A KR101836887B1 KR 101836887 B1 KR101836887 B1 KR 101836887B1 KR 1020110046764 A KR1020110046764 A KR 1020110046764A KR 20110046764 A KR20110046764 A KR 20110046764A KR 101836887 B1 KR101836887 B1 KR 10183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light emitting
light
block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859A (ko
Inventor
구남희
김윤재
이병준
김보람
김지웅
이종윤
김명철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887B1/ko
Priority to US13/240,240 priority patent/US9787975B2/en
Priority to EP14163783.5A priority patent/EP2760210B1/en
Priority to EP11183642A priority patent/EP2451179A3/en
Priority to JP2011242498A priority patent/JP6058882B2/ja
Priority to CN201110351213.5A priority patent/CN102457754B/zh
Publication of KR2012012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859A/ko
Priority to JP2016153960A priority patent/JP2017005741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은 영상이 표시되는 스캔 방향에 따라 배열된 제1 내지 제k(k는 자연수) 발광 블록들에 의해 제1 내지 제k 표시 블록들이 정의된 표시 패널에 좌안용 또는 우안용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프레임 구간 중 전체 오프 구간에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모두 소등한다. 상기 프레임 구간 중 상기 전체 오프 구간 후 순차 온 구간에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 내에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상기 좌안용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에 대응하여 셔터 안경에 포함된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의 개폐동작을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의 액정 응답 속도에 의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격 구간이 길게 구현함으로써 이웃한 발광 블록으로부터 누설된 광에 의해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2차원 평면 영상을 표시한다. 최근 게임, 영화 등과 같은 분야에서 3차원 입체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은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의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두 눈은 일정 정도 떨어져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눈으로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 영상은 뇌에 입력된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사람의 양안시차를 이용한다.
상기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안경 방식과 비안경 방식(autostereoscopic)이 있다. 상기 안경 방식은 양안에 각기 다른 편광축을 갖는 편광 필터에 의한 수동적(passive)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방식과, 시간 분할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주기적으로 표시하고, 이 주기에 동기된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개폐하는 안경을 쓰는 능동적(active) 셔터 안경(Shutter Glasses)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셔터 안경 방식은 좌안 또는 우안 영상이 표시 패널에 표시된 후 수직 블랭킹 구간 동안 좌안 셔터 또는 우안 셔터를 열어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시인한다.
한편, 일반 60Hz급 액정표시장치에서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각각 30Hz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좌안 영상에서 상기 우안 영상으로 또는 상기 우안 영상에서 상기 좌안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관찰자의 눈에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60Hz보다 고주파수로 구동되는 120Hz급 액정표시장치에서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양안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이 각각 60Hz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60Hz급 대비 부드럽게 시인되나 여전히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120Hz급 액정표시장치에서 시인 구간을 늘리기 위해 상기 수직 블랭킹 구간을 한 프레임의 약 30%까지 확대시켜 구동시키는 방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프로그래시브 스캔(Progressive Scan) 방식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복수의 수평라인들에 라인 데이터가 인가되는 시간이 다르고 액정의 응답속도도 다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특성에 의해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해 표시패널에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할 때,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혼재되어 상기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응답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 측에서보다 하부측에서 상기 크로스 토크가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크로스 토크에 의해 입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를 개선하기 위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은 영상이 표시되는 스캔 방향에 따라 배열된 제1 내지 제k(k는 자연수) 발광 블록들에 의해 제1 내지 제k 표시 블록들이 정의된 표시 패널에 좌안용 또는 우안용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프레임 구간 중 전체 오프 구간에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모두 소등한다. 상기 프레임 구간 중 상기 전체 오프 구간 후 순차 온 구간에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 내에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상기 좌안용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에 대응하여 셔터 안경에 포함된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의 개폐동작을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전 발광 블록의 발광 구간과 중첩되는 중첩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전 발광 블록의 발광 구간과 이격 구간만큼 이격된 발광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광 블록은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좌안용 또는 상기 우안용 데이터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기 설정된 설정 시간 이후 제1 발광 구간 동안 발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안경에 포함된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의 개폐동작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 중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셔터를 먼저 여는 단계 및 이후,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 중 다른 하나의 셔터를 닫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면, 각 발광 블록의 발광 구간을 이웃한 발광 블록의 발광 구간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셔터 안경의 셔터 열고 닫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좌안 3차원 영상의 크로스토크(3D 크로스토크)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한 발광 블록의 누설 광에 의한 상기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크로스토크 값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타이밍 제어부(300), 광 공급 유닛(400), 광원 구동부(500) 및 셔터 안경(6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P)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 화소는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소자(TR)와, 상기 스위칭 소자(TR)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들과 상기 두 개의 기판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게이트 구동부(210) 및 데이터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10)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23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23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에서 생성한 3차원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230)에 제공한다. 상기 3차원 영상신호는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 및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 구동부(5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 안경(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광 공급 유닛(400)은 도광판(410) 및 광원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10)은 상기 표시 패널(1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부(450)는 영상이 스캐닝되는 스캐닝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스캐닝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k는 자연수)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광원부(450)가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포함하고, 각 발광 블록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410)의 일 측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도광판(410)의 양측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도광판(410)을 생략하고, 직하형 구조로 상기 표시 패널(100) 아래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직하형 구조의 경우 상기 광원은 형광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상기 광원부(450)의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의 발광 및 소등을 제어하여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 각각의 발광 구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다. 이에 따라, 프레임 주기 중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모두 소등되는 전체 오프 구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순차 온 구간을 갖는다.
상기 셔터 안경(600)은 액정 셔터인 좌안용 셔터(610) 및 우안용 셔터(620)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안경(600)은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된 셔터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셔터제어신호는 상기 좌안용 셔터(610)를 열고 닫는 좌안용 오픈 신호 및 클로즈 신호와, 상기 우안용 셔터(620)를 열고 닫는 우안용 오프 신호 및 클로즈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제어신호는 라이징 시간 보다 폴링 시간이 짧은 액정 응답 속도를 고려하여 좌안용 오픈 신호, 우안용 클로스 신호, 우안용 오프 신호 및 좌안용 클로즈 신호 순서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제N(N은 자연수) 프레임에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제N 프레임 내의 상기 전체 오프 구간 내에 상기 좌안용 오픈 신호 및 상기 우안용 클로스 신호를 차례대로 제공한다. 제N+1 프레임에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제N+1 프레임 내의 상기 전체 오프 구간 내에 상기 우안용 오프 신호 및 상기 좌안용 클로즈 신호를 차례대로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600)은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좌안용 오픈 신호, 상기 우안용 클로스 신호, 상기 우안용 오프 신호 및 상기 좌안용 클로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6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좌안용 셔터 신호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를 제어하는 우안용 셔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를 구동한다.
상기 셔터 안경(600)은 상기 전체 오프 구간 내에서 상기 셔터 안경(600)의 개폐동작을 시작함으로써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 상기 셔터들(610, 620)이 완전히 열리고 닫히기 전에 시인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3D 크로스토크)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같거나 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제1, 제2,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DB1, DB2, DB3, DB4) 각각에 광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고,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은 화이트 데이터이고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은 블랙 데이터 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직동기신호(VSYNC)에 기초하여 한 프레임은 액티브 구간(ACTIVE) 및 블랭킹 구간(VB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은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표시 패널(100)에 출력되는 구간이고, 상기 블랭킹 구간(VBI)은 상기 데이터가 유지되는 구간이다. 상기 블랭킹 구간(VBI)은 한 프레임 주기의 약 5% 내지 약 6%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한다.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은 좌안용 제1, 제2, 제3 및 제4 데이터 블록들(LI1, LI2, LI3, LI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920 × 1080 해상도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고, 각 데이터 블록은 920 × 270 해상도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N 프레임(F(N))의 제1 구간(I11) 동안 상기 좌안용 제1 데이터 블록(LI1)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N 프레임(F(N))의 제2 구간(I12) 동안 상기 좌안용 제2 데이터 블록(LI2)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N 프레임(F(N))의 제3 구간(I13) 동안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N 프레임(F(N))의 제4 구간(I14) 동안 상기 좌안용 제4 데이터 블록(LI4)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좌안용 제1 데이터 블록(LI1)의 첫 번째 라인데이터는 액정 응답 속도(LC_RS)에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은 제2 구간(I2)의 중기 이후에 상기 첫 번째 라인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하며, 또한, 상기 좌안용 제1 데이터 블록(LI1)의 마지막 라인데이터는 상기 액정 응답 속도(LC_RS)에 따라서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은 제3 구간(I3)의 중기 이후에 상기 마지막 라인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상기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하고,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액정 응답 속도 만큼 지연되어 좌안 영상을 표시한다.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한다.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은 우안용 제1, 제2, 제3 및 제4 데이터 블록들(RI1, RI2, RI3, RI4)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제N+1 프레임(F(N+1))의 제1 구간(I21) 동안 상기 우안용 제1 데이터 블록(RI1)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프레임(F(N+1))의 제2 구간(I22) 동안 상기 우안용 제2 데이터 블록(RI2)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프레임(F(N+1))의 제3 구간(I23) 동안 상기 우안용 제3 데이터 블록(RI3)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프레임(F(N+1))의 제4 구간(I24) 동안 상기 우안용 제4 데이터 블록(RI4)을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상기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하고,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제N+1 프레임(F(N+1))의 시작점에 대해 액정 응답 속도(LC_RS) 만큼 지연되어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액정 응답 속도(LC_RS)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마진 시간을 고려하여 한 프레임의 시작점에 대해 설정 시간(Rt) 이후부터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상기 설정 시간(Rt)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적어도 긴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광원부(450),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구동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을 생성한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 각각은 프레임 주기(T)로 각 발광 블록을 발광하는 하이 레벨을 갖는 발광 구간과 각 발광 블록을 소등하는 로우 레벨을 갖는 소등 구간이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제1 발광 구간(OP1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부터 상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발광 구간(OP1) 동안 발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의 마지막 라인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됨 시점부터 상기 제1 발광 구간(OP1)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에,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은 상기 좌안용 제1 데이터 블록(LI1)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1 블록 영상이 완성되고, 상기 제2,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DB2, DB3, DB4)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의해 좌안용 제2, 제3 및 제4 블록 영상들이 미완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에 상기 좌안용 제1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12)을 갖는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 직후 턴-온 되어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에,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은 상기 좌안용 제2 데이터 블록(LI2)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은 상기 우안용 제1 데이터 블록(RI1)이 제공됨에 따라서 상기 좌안용 제1 블록 영상과 우안용 제1 블록 영상이 혼재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DB3, DB4)은 액정 응답 속도에 의해 좌안용 제3 및 제4 블록 영상들이 미완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는 제3 발광 구간(OP13)을 갖는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 직후 턴-온 되어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에,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은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에는 우안용 제1 블록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은 좌안용 제2 블록 영상과 우안용 제2 블록 영상이 혼재된 혼재 영상이 된다. 또한,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은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미완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 직후 턴-온 되어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에,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은 상기 좌안용 제4 데이터 블록(LI4)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에는 우안용 제1 블록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는 좌안용 제2 블록 영상과 우안용 제2 블록 영상이 혼재되고,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는 좌안용 제3 블록 영상과 우안용 제3 블록 영상이 혼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에 상기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약 4T/5 구간에 대응하는 순차 온 구간(SQ_ON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T/5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모두 소등되는 전체 오프 구간(ALL_OFF1)을 갖는다.
한편, 상기 셔터 안경(600)은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를 구동하기 위해 좌안용 셔터 신호(LSS) 및 우안용 셔터 신호(RSS)를 생성한다. 상기 좌안용 셔터 신호(LSS) 및 우안용 셔터 신호(RSS) 각각은 하이 레벨의 셔터 신호에 응답하여 셔터가 열리고 로우 레벨의 셔터 신호에 응답하여 셔터가 닫힐 수 있다.
상기 셔터 안경(600)은 좌안용 셔터 신호(LSS) 및 우안용 셔터 신호(RSS)에 응답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를 개폐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과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부터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까지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좌안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좌안용 셔터 신호(LSS)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구간들(OP11, OP12, OP13, OP14)에 대응하는 오픈 구간(OPP)을 갖고, 상기 오픈 구간(OPP)에 응답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610)는 열린다. 한편, 상기 우안용 셔터 신호(RSS)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구간들(OP11, OP12, OP13, OP14)에 대응하는 클로스 구간(CLP)을 갖고, 상기 클로스 구간(CLP)에 응답하여 상기 우안용 셔터(620)는 닫힌다. 상기 오픈 구간(OPP) 및 상기 클로스 구간(CLP) 각각의 초기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모두 소등되는 전체 오프 구간(ALL_OFF1)을 포함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1)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동작이 시작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마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1)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열리고 닫힘(또는 닫히고 열림)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 라이징 시간 보다 폴링 시간이 긴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 신호(LSS)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우안용 셔터 신호(RSS)의 폴링 시점 보다 먼저 구현함으로써 상기 셔터 안경(600)의 구동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안 및 우안용 셔터 신호들(LSS, RSS) 각각의 상기 오픈 구간(OPP)은 상기 클로징 구간(CLP)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의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I1, LI2, LI3, LI4)을 출력하고,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I1, RI2, RI3, RI4)을 출력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액정 응답 속도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정 마진 시간을 고려하여 한 프레임의 시작점부터 설정 시간(Rt)이 경과된 시점부터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제1 발광 구간(OP1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부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좌안 데이터 블록(LI3)의 마지막 라인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됨 시점부터 상기 발광 구간(OP11)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에 상기 좌안용 제1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12)을 갖고,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은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의 후기와 중첩된 제1 중첩 구간(OV1)을 갖는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1)은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의 약 1/4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중첩 구간(OV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의 후기에 턴-온되어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에,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은 상기 좌안용 제2 데이터 블록(LI2)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1)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 중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된 시점부터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이 종료되는 시점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는 제3 발광 구간(OP13)을 갖고,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은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의 후기와 중첩된 제2 중첩 구간(OV12)을 갖는다.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의 후기에 턴-온되어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에,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은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되는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 중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된 시점부터 상기 제2 발광 구간(OP11)이 종료되는 시점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는 제4 발광 구간(OP14)을 갖고,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의 후기와 중첩된 제3 중첩 구간(OV13)을 갖는다. 상기 제3 중첩 구간(OV1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중첩 구간(OV13)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의 후기에 턴-온되어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에,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은 상기 좌안용 제4 데이터 블록(LI4)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에 상기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되는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3 중첩 구간(OV13)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중첩 구간(OV13)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3 발광 구간(OP31) 중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에 상기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된 시점부터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이 종료되는 시점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중첩 구간들(OV11, OV12, OV13)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약 3T/5 구간에 대응하는 순차 온 구간(SQ_ON2)을 갖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중첩 구간들(OV12, OV12, OV13)에 의해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2T/5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모두 소등되는 전체 오프 구간(ALL_OFF2)을 갖는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2)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동작이 시작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마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열리고 닫힘(또는 닫히고 열림)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2)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2)은 도 2에서 설명된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구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의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I1, LI2, LI3, LI4)을 출력하고,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I1, RI2, RI3, RI4)을 출력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액정 응답 속도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마진 시간을 고려하여 한 프레임의 시작점에 대해 설정 시간(Rt)이 경과된 시점부터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 2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의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구간(OP21, OP22, OP23, OP24) 각각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구간(OP11, OP12, OP13, OP14) 각각 보다 길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상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상기 제1 발광 구간(OP21)을 갖는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Rt) 이후 상기 제1 발광 구간(OP21)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21)은 프레임 주기(T)의 약 1/4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22)을 갖고, 상기 제2 발광 구간(OP22)은 상기 제1 발광 구간(OP1)의 후기와 중첩된 제1 중첩 구간(OV21)을 갖는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중첩 구간(OV21)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발광 구간(OP21) 중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된 시점부터 상기 제1 발광 구간(OP21)이 종료되는 시점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는 제3 발광 구간(OP23)을 갖고, 상기 제3 발광 구간(OP23)은 상기 제2 발광 구간(OP22)의 후기와 중첩된 제2 중첩 구간(OV12)을 갖는다.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2 발광 구간(OP22) 중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된 시점부터 상기 제2 발광 구간(OP22)이 종료되는 시점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는 제4 발광 구간(OP24)을 갖고, 상기 제4 발광 구간(OP24)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23)의 후기와 중첩된 제3 중첩 구간(OV13)을 갖는다. 상기 제3 중첩 구간(OV1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중첩 구간(OV13)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중첩 구간(OV13)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3 발광 구간(OP23) 중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에 상기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된 시점부터 상기 제3 발광 구간(OP23)이 종료되는 시점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중첩 구간들(OV11, OV12, OV13)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약 17T/20 구간에 대응하는 순차 온 구간(SQ_ON3)을 갖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중첩 구간들(OV21, OV22, OV23)에 의해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3T/20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이 모두 소등되는 전체 오프 구간(ALL_OFF3)을 갖는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3)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동작이 시작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마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3)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열리고 닫힘(또는 닫히고 열림)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의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상기 발광 구간이 길므로 표시 장치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I1, LI2, LI3, LI4)을 출력하고,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I1, RI2, RI3, RI4)을 출력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광원부(450),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구동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을 생성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제1 발광 구간(OP1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부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된다. 상기 설정 시간(Rt)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4 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의 마지막 라인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됨 시점부터 상기 발광 구간(OP11)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에,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은 상기 좌안용 제1 데이터 블록(LI1)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1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에 상기 좌안용 제1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12)을 갖고,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은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의 후기와 중첩된 제1 중첩 구간(OV11)을 갖는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의 후기에 턴-온되어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에,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은 상기 좌안용 제2 데이터 블록(LI2)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 중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된 시점부터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이 종료되는 시점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는 제3 발광 구간(OP13)을 갖고,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은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의 종료점부터 이격 구간(A1) 만큼 경과된 후 시작된다. 상기 이격 구간(A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1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상기 이격 구간(A1) 이후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 동안 발광한다. 즉, 상기 이격 구간(A1) 내에는 상기 광원부(450)는 전체적으로 발광하지 않는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에,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은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되는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는 제4 발광 구간(OP14)을 갖고,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의 후기와 중첩된 제2 중첩 구간(OV12)을 갖는다.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의 후기에 턴-온되어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에,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은 상기 좌안용 제4 데이터 블록(LI4)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에 상기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되는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이격 구간(A1)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 및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들(OV11, OV12)에 따라서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들(OV11, OV12)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순차 온 구간(SQ_ON4) 및 전체 오프 구간(ALL_OFF)을 갖는다.
약 4T/5 구간에 대응하는 순차 온 구간(SQ_ON4) 동안,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1 중첩 구간(OV1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과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이격 구간(A1) 이후에 발광하고,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2 중첩 구간(OV12)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과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T/5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4) 동안,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은 모두 소등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4)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동작이 시작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마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4)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열리고 닫힘(또는 닫히고 열림)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한 발광 블록으로부터 누설된 광에 의해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발광 블록(450b)이 발광하는 경우,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광을 제공되고, 상기 제2 표시 블록(DB2)과 이웃한 제1 및 제3 표시 블록들(DB1, DB3)에는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의 누설 광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3 표시 블록들(DB1, DB3)에 표시된 3D 크로스토크가 시인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3 표시 블록들(DB1, DB3)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표시 블록(DB2) 보다 높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구간의 중간 구간에 상기 발광 블록들을 모두 소등하는 상기 이격 구간(A1)을 마련함으로써, 누설된 광에 의한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I1, LI2, LI3, LI4)을 출력하고,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I1, RI2, RI3, RI4)을 출력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광원부(450),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구동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을 생성한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제1 발광 구간(OP1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부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된다. 상기 설정 시간(Rt)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4 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1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12)을 갖고,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은 상기 제1 발광구간(OP11)의 후기와 중첩된 제1 중첩 구간(OV21)을 갖는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21)은 실시예 4의 제1 중첩 구간(OV11) 보다 길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중첩 구간(OV2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10 배일 수 있다.
제3 발광제어신호(450c)는 상기 제2 발광 구간(OP12)과 이격 구간(A2)만큼 이격된 제3 발광구간(OP13)을 갖는다. 상기 이격 구간(A2)은 실시예 4의 이격 구간(A1) 보다 길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격 구간(A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제4 발광제어신호(BLC4)는 제4 발광 구간(OP14)을 갖고, 상기 제4 발광 구간(OP14)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의 후기와 중첩된 제2 중첩 구간(OV22)을 갖는다. 상기 제2 중첩 구간(OV22)은 실시예 4의 제2 중첩 구간(OV12) 보다 길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중첩 구간(OV22)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13)의 1/2 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OV21, OV22)을 길게 하여 상기 이격 구간(A2)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 구간(A2)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 및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들(OV21, OV22)에 따라서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순차 온 구간(SQ_ON5) 및 전체 오프 구간(ALL_OFF5)을 갖는다. 약 4T/5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순차 온 구간(SQ_ON5) 동안,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1 중첩 구간(OV2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과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이격 구간(A2) 이후에 발광하고,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2 중첩 구간(OV22)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과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T/5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5) 동안,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은 모두 소등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5)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5)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5) 내에서 상기 좌안용 셔터(610)를 완전히 열리고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닫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셔터 안경(600)을 통해 상기 좌안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앞서 설명한 실시예 4와 비교하면,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들(OV21, OV22)을 이용하여 상기 이격 구간(A2)이 길게 구현함으로써 이웃한 발광 블록으로부터 누설된 광에 의해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반면, 각 발광 블록의 발광 구간이 동일하므로 표시 장치의 전체 휘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크로스토크 값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제1, 제2, 제3 및 제4 표시 블록들(DB1, DB2, DB3, DB4)에 대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측정 포인트들(1, 2, 3, 4)에서의 3D 크로스토크값을 측정하였다.
먼저, 도 2에서 설명된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측정 포인트(3)의 3D 크로스토크값이 가장 작았고, 다음 제2, 제1 및 제4 측정 포인트들(2, 1, 4) 순으로 3D 크로스토크값이 증가하였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측정 포인트들(1, 2, 3, 4)의 3D 크로스토크값이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허용치보다 작거나 근접한 수준이었다.
도 3에서 설명된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측정 포인트(2)의 3D 크로스토크값이 가장 작았고, 다음 제1, 제3 및 제4 측정 포인트들(1, 3, 4) 순으로 3D 크로스토크값이 증가하였다. 상기 제4 측정 포인트의 3D 크로스토크값이 다소 크기는 하였으나, 그 외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측정 포인트들(1, 2, 3)의 3D 크로스토크값은 모두 허용치 보다 작거나 근접한 수준이었다.
도 5에서 설명된 실시예 4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측정 포인트(3)의 3D 크로스토크값이 가장 작았고, 제1, 제2 및 제4 측정 포인트들(1, 2, 4) 순으로 3D 크로스토크값이 증가하였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측정 포인트들(1, 2, 3, 4)의 3D 크로스토크값이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허용치 보다 작거나 근접한 수준이었다.
도 6에서 설명된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3 측정 포인트(3)의 3D 크로스토크값이 가장 작았고, 제1, 제4 및 제2 측정 포인트들(1, 4, 2) 순으로 3D 크로스토크값이 증가하였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측정 포인트들(1, 2, 3, 4)의 3D 크로스토크값이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허용치 보다 작거나 근접한 수준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3D 크로스토크값은 양호한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I1, LI2, LI3, LI4)을 출력하고,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I1, RI2, RI3, RI4)을 출력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광원부(450),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구동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을 생성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제1 발광 구간(OP3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상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된다. 상기 설정 시간(Rt)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4 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의 마지막 라인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됨 시점부터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에,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은 상기 좌안용 제1 데이터 블록(LI1)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1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표시 블록(DB1)에 상기 좌안용 제1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32)을 갖고,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은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의 종료된 이후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에,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은 상기 좌안용 제2 데이터 블록(LI2)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된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는 제3 발광 구간(OP33)을 갖고,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은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의 종료점부터 이격 구간(A3) 만큼 경과된 후 시작된다. 상기 이격 구간(A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1/1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상기 이격 구간(A3) 이후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 동안 발광한다. 즉, 상기 이격 구간(A3) 동안 상기 광원부(450)는 광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에,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은 상기 좌안용 제3 데이터 블록(LI3)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되는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는 제4 발광 구간(OP34)을 갖고,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의 종료점 후에 위치한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 동안 발광한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에,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은 상기 좌안용 제4 데이터 블록(LI4)에 대응하는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에 상기 좌안용 제4 블록 영상이 완성되어 유지되는 구간에 발광한다.
상기 이격 구간(A3)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 에 따라서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순차 온 구간(SQ_ON6) 및 전체 오프 구간(ALL_OFF6)을 갖는다. 약 4T/5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순차 온 구간(SQ_ON6)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발광 블록들(450a, 450b)은 순차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c, 450d)은 상기 이격 구간(A3) 이후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또한,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T/5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6) 동안,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은 모두 소등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6)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동작이 시작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마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6)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열리고 닫힘(또는 닫히고 열림)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 라이징 시간 보다 폴링 시간이 긴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좌안용 셔터 신호(LSS)의 라이징 시점을 상기 우안용 셔터 신호(RSS)의 폴링 시점 보다 먼저 구현함으로써 상기 셔터 안경(600)의 구동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안 및 우안용 셔터 신호들(LSS, RSS) 각각의 상기 오픈 구간(OPP)은 상기 클로징 구간(CLP)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의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구간의 중간 구간에 상기 발광 블록들을 모두 소등하는 상기 이격 구간(A1)을 마련함으로써, 누설된 광에 의한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I1, LI2, LI3, LI4)을 출력하고,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I1, RI2, RI3, RI4)을 출력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광원부(450),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구동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을 생성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제1 발광 구간(OP3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상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된다. 상기 설정 시간(Rt)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3/4 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32)을 갖고,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은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의 종료점부터 제1 이격 구간(A41) 만큼 경과된 후 시작된다. 상기 제1 이격 구간(A4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는 제3 발광 구간(OP33)을 갖고,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은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의 종료점 후에 위치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는 제4 발광 구간(OP34)을 갖고,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의 종료점부터 제2 이격 구간(A42) 만큼 경과된 후 시작된다. 상기 제2 이격 구간(A4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격 구간(A41)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2 표시 블록(DB2)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격 구간(A42)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4 표시 블록(DB4)에 상기 좌안용 제2 블록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순차 온 구간(SQ_ON7) 및 전체 오프 구간(ALL_OFF7)을 갖는다. 약 4/5 구간에 대응하는 순차 온 구간(SQ_ON7) 동안,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하고 상기 제1 이격 구간(A41) 이후에 발광하고,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 직후에 발광하고,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이 발광하고 상기 제2 이격 구간(A42) 이후에 발광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이격 구간들(A41, 42)에 의해 이웃한 발광 블록의 누설 광에 의한 휘도 불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T/5 구간에 대응하는 전체 오프 구간(ALL_OFF7) 동안,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은 모두 소등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7)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동작이 시작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마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7)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열리고 닫힘(또는 닫히고 열림)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의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구간들 사이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이격 구간들(A41, A42)을 마련함으로써 이웃한 발광 블록으로부터 누설된 광에 의해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타이밍도들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N 프레임(F(N))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LI1, LI2, LI3, LI4)을 출력하고, 제N+1 프레임(F(N+1))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에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I1, RI2, RI3, RI4)을 출력한다.
상기 광원 구동부(500)는 상기 광원부(450),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을 구동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제어신호들(BLC1, BLC2, BLC3, BLC4)을 생성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은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1 발광제어신호(BLC1)는 제1 발광 구간(OP31)을 갖고,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상기 설정 시간(Rt)이 경과한 시점부터 시작된다. 상기 설정 시간(Rt)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3/4 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구간(OP3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2 발광제어신호(BLC2)는 제2 발광 구간(OP32)을 갖고,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은 상기 제1 발광구간(OP31)의 후기와 중첩된 제1 중첩 구간(OV31)을 갖는다. 상기 제1 중첩 구간(OV31)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3/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3 발광제어신호(BLC3)는 제3 발광 구간(OP33)을 갖고,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은 상기 제2 발광 구간(OP32)의 종료점부터 이격 구간(A5) 만큼 경과된 후 시작된다. 상기 이격 구간(A5)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3/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에 응답하여 발광 및 소등한다. 상기 제4 발광제어신호(BLC4)는 제4 발광 구간(OP34)을 갖고,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은 상기 제3 발광 구간(OP33)의 후기와 중첩된 제2 중첩 구간(OV32)을 갖는다. 상기 제2 중첩 구간(OV32)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약 1/20 배일 수 있다. 상기 제4 발광 구간(OP34)은 상기 프레임 주기(T)의 1/5 배일 수 있다.
상기 이격 구간(A5)은 상기 액정 응답 속도 및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들(OV31, OV32)에 따라서 상기 제3 표시 블록(DB3)에 상기 좌안용 제3 블록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450)는 상기 제N 프레임(F(N))의 시작점에 대해 지연차(Dt)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주기(T)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광원부(450)의 동작 주기는 순차 온 구간(SQ_ON8) 및 전체 오프 구간(ALL_OFF8)을 갖는다. 약 4/5 구간에 대응하는 순차 온 구간(SQ_ON8) 동안,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은 상기 제1 중첩 구간(OV3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과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은 상기 제2 발광 블록(450b)이 발광하고 상기 이격 구간(A5) 이후에 발광하고, 상기 제4 발광 블록(450d)은 상기 제2 중첩 구간(OV32)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발광 블록(450c)과 중첩되어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상기 제1 발광 블록(450a)이 발광되기 전 약 T/5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8) 동안,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발광 블록들(450a, 450b, 450c, 450d)은 모두 소등한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8)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개폐됨으로써 상기 좌안용 셔터(610) 및 상기 우안용 셔터(62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따른 액정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8)은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전체 오프 구간(ALL_OFF4) 내에서 상기 좌안용 셔터(610)를 완전히 열리고 상기 우안용 셔터(620)가 완전히 닫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좌안 영상이 유지되는 구간에 상기 셔터 안경(600)을 통해 상기 좌안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안경(600)의 액정 응답 속도(SLC_RS)에 의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구간들(OV31, OV32)을 이용하여 상기 이격 구간(A5)이 길게 구현함으로써 이웃한 발광 블록으로부터 누설된 광에 의해 3D 크로스토크 및 휘도 불균일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3차원 영상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할하여 120Hz로 표시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기 3차원 영상을 좌안용 복수의 영상들과 우안용 복수의 영상들로 분할하여 120 Hz 이상의 주파수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사이에 블랙 영상을 삽입하여 120 Hz 이상의 주파수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블랙 영상은 적어도 한 프레임 구간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20Hz 이상의 주파수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셔터 안경의 오픈 구간 및 클로즈 구간 각각은 상기 좌안용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들이 표시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표시 패널 200 : 패널 구동부
210 : 게이트 구동부 230 : 데이터 구동부
300 : 타이밍 제어부 400 : 광원 공급 유닛
410 : 도광판 450 : 광원부
500 : 광원 구동부

Claims (15)

  1. 영상이 표시되는 스캔 방향에 따라 배열된 제1 내지 제k(k는 자연수) 발광 블록들에 의해 제1 내지 제k 표시 블록들이 정의된 표시 패널에 좌안용 또는 우안용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프레임 구간 중 전체 오프 구간에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모두 소등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 구간 중 상기 전체 오프 구간 후 순차 온 구간에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오프 구간 내에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상기 좌안용 또는 상기 우안용 영상에 대응하여 셔터 안경에 포함된 좌안용 셔터 및 우안용 셔터의 개폐동작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전 발광 블록의 발광 구간과 중첩되는 중첩 구간을 가지고,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전 발광 블록의 발광 구간과 이격 구간만큼 이격된 발광 구간을 가지며,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의 개폐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체 오프 구간 내에 상기 좌안용 셔터에 인가되는 좌안용 셔터 신호의 레벨 및 상기 우안용 셔터에 인가되는 우안용 셔터 신호의 레벨이 천이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길이의 발광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은 서로 동일한 길이의 발광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각 발광 구간에 포함된 상기 중첩 구간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각 발광 구간에 포함된 상기 중첩 구간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것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온 구간 내의 상기 이격 구간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온 구간 내의 상기 이격 구간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k 발광 블록들 중 제1 발광 블록은 제1 표시 블록의 첫 번째 라인데이터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기 설정된 설정 시간 이후에 제1 발광 구간 동안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제1 표시 블록의 첫 번째 라인데이터부터 제k-1 표시 블록의 마지막 라인데이터까지 출력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오프 구간은 상기 셔터 안경의 액정 응답 속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의 개폐동작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 중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셔터를 먼저 여는 단계; 및
    이후, 상기 좌안용 셔터 및 상기 우안용 셔터 중 다른 하나의 셔터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안경의 상기 셔터가 열린 오픈 구간은 상기 셔터가 닫힌 클로즈 구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KR1020110046764A 2010-11-05 2011-05-18 입체 영상 표시 방법 KR10183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764A KR101836887B1 (ko) 2011-05-18 2011-05-18 입체 영상 표시 방법
US13/240,240 US9787975B2 (en) 2010-11-05 2011-09-22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EP14163783.5A EP2760210B1 (en) 2010-11-05 2011-09-30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EP11183642A EP2451179A3 (en) 2010-11-05 2011-09-30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11242498A JP6058882B2 (ja) 2010-11-05 2011-11-04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により立体画像を表示する表示装置
CN201110351213.5A CN102457754B (zh) 2010-11-05 2011-11-04 用来显示立体影像的方法及用来执行该方法的显示设备
JP2016153960A JP2017005741A (ja) 2010-11-05 2016-08-04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により立体画像を表示する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764A KR101836887B1 (ko) 2011-05-18 2011-05-18 입체 영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859A KR20120128859A (ko) 2012-11-28
KR101836887B1 true KR101836887B1 (ko) 2018-03-12

Family

ID=4751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764A KR101836887B1 (ko) 2010-11-05 2011-05-18 입체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8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3963A1 (en) * 2007-06-05 200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3963A1 (en) * 2007-06-05 200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859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22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7549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glasses
JP6058882B2 (ja)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により立体画像を表示する表示装置
US88480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US20110007140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system
KR20110050178A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30097796A (ko) 백라이트 제어 방법, 장치 및 3d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3606358A (zh) 具有均匀亮度的3d影像显示装置及3d影像显示系统
JP6208444B2 (ja) 表示装置
CN103139593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9083967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11257592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視聴システム
KR101874953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1155148A1 (ja) 表示装置及び映像視聴システム
KR101598396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2013126248A (ja) 3次元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遂行するための表示装置
KR101836887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KR20130063277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5022126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54119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101715285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101689666B1 (ko) 3d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110050166A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11059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961355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